반동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동주의는 기존의 경향이나 상태를 역전시키거나 이전 상황으로의 복귀를 추구하는 정치 사상이다. 프랑스 혁명 이후 보수 세력의 저항에서 비롯되었으며, 봉건 제도, 세습 군주제, 가톨릭 교회의 사회적 역할을 이상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마르크스주의에서는 사회 발전에 대한 저항으로 간주하며, 파시즘과 나치즘에서도 반동적인 요소가 나타났다. 20세기 후반에는 우익 민족주의와 포퓰리즘 운동에서 반동적인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21세기에는 '신반동주의'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사상이 등장했다. 주요 인물로는 루이 드 보날, 조제프 드 메스트르,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동주의 - 조제프 드 메스트르
조제프 드 메스트르는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며 반계몽주의와 반합리주의를 주창하고 정부의 권위는 종교에서 기원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상가이자 외교관이다. - 반동주의 - 암흑 계몽주의
죄송합니다. 개요가 제공되지 않아 암흑 계몽주의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1790년대 신조어 - 이념
이념은 1796년에 앙투안 데스튀트 드 트라시가 고안한 용어로, 현실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을 바탕으로 한 일관된 사상 체계이며 사회 통합 또는 불평등 정당화를 포함한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진다. - 1790년대 신조어 - 테러리즘
테러리즘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폭력이나 협박을 사용하는 행위로, 시대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유형과 정의가 존재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 협력과 법률 제정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 반동주의 | |
|---|---|
| 기본 정보 | |
| 용어 | 반동주의 |
| 설명 | 이전 사회 상태로의 복귀를 주장하는 정치적 관점 |
| 핵심 사상 | 전통 질서 위계 종교 가족 |
| 특징 | |
| 목표 | 프랑스 혁명 이전으로의 복귀 자유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에 대한 반대 민주주의와 개인주의에 대한 거부 |
| 핵심 주장 | 인간 불평등은 자연스러운 현상 사회적, 정치적 질서는 반드시 유지되어야 함 급진적인 변화는 사회 불안정을 초래 |
| 연관된 사상 | 보수주의 권위주의 군주제 귀족제 |
| 역사적 배경 | |
| 발생 시기 | 프랑스 혁명 이후 |
| 주요 인물 | 조제프 드 메스트르 루이 드 보날 카를로스 마르텔 프란시스코 프랑코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 역사적 사건 | 빈 체제 반혁명 운동 나치즘 파시즘 스페인 내전 |
| 관련 개념 | |
| 사회 변화 | 변화를 거부하고 기존 질서를 유지하려는 태도 |
| 급진주의 |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급진주의에 대한 반대 |
| 진보주의 | 진보적 변화와 가치를 부정 |
| 좌익 사상 | 좌익 사상에 대한 반대 |
| 평가 | |
| 비판 | 사회 변화를 부정하고 억압적인 체제를 정당화 시대착오적인 사고방식 권위주의를 옹호 |
| 긍정적 평가 | 사회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는 데 기여 전통과 가치를 보존 |
| 추가 정보 | |
| 영향 | 보수주의에 영향 극우 정치 운동에 영향 |
| 주의 사항 | 반동이라는 용어가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음 반동주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 |
| 관련 항목 | |
| 관련 항목 | 보수주의 극우 반혁명 전통주의 권위주의 |
2. 역사적 배경
프랑스 혁명은 영어권에 '반동적인'(reactionary), '보수적인'(conservative), '우익'(right)이라는 세 가지 정치 용어를 제공했다.[9] 이 중 '반동적인'은 프랑스어 'réactionnaire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기존 경향이나 상태를 역전시키려는 움직임' 또는 '이전 상황으로의 복귀'를 의미한다.[10]
메이지 시대에 정치학 용어로 일본에 소개되어 번역된 "반동"은 원래 프랑스 혁명 이후 왕당파를 포함한 반혁명 세력인 "반동파"(réactionnaires프랑스어)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마르크스주의의 유물사관에서는 경제 발전 단계에 따라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회주의 사회, 공산주의 사회로 발전한다고 보았기 때문에, 이러한 흐름에 대한 저항이나 역사적 역행은 반동주의로 간주된다. 사회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에서는 제국주의와 파시즘을 대표적인 반동으로 보았다. 일당 독재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반동"으로 낙인찍힌 사람들이 숙청되기도 했다.
독일의 나치는 자신들을 반동적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우익 혁신으로 간주하여, 프로이센 군주, 귀족, 로마 가톨릭 등 저항 세력을 적으로 포함시켰다. 그러나 그들은 전통, 민속학, 고전 사상, 프리드리히 대왕의 리더십을 이상화하고, 바이마르 공화국의 민주주의와 자유로운 사회를 거부했으며, 나치 독일 국가를 제3제국(신성 로마 제국이 제1, 독일 제국이 제2)이라고 칭했다.
현대에는 미국의 알트 라이트나 리버테리아니즘의 일파로서 봉건주의를 지향하는 신반동주의가 나타나고 있다.[22]
2. 1. 프랑스 혁명과 반동
프랑스 혁명 당시, 특히 가톨릭 교회 내의 보수 세력은 혁명이 가져온 진보적인 사회, 정치, 경제적 변화에 조직적으로 저항했다. 이들은 교회의 세속적 권위와 왕권을 회복하기 위해 투쟁했다.[9] 19세기 유럽 정치에서 반동 계급에는 가톨릭 교회의 위계질서, 귀족, 왕족, 국가 정부는 교회와 국가의 전유물이라고 믿는 왕정주의자들이 포함되었다.[9]2. 2. 테르미도르 반동
테르미도르 반동은 프랑스 혁명 내에서 자코뱅파의 과격한 공포 정치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운동이었다. 1794년 7월 27일 (프랑스 공화력 2년 테르미도르 9일), 막시밀리앵 로베스피에르의 실각과 처형 이후, 국민공회는 공안위원회에 대한 권력을 재확인하고 자코뱅파를 탄압했다.[21] 이 시기에는 단두대 사용이 중단되고, 왕당파와 급진파 사이의 중도 노선이 설정되었다.2. 3. 프랑스 왕정 복고
빈 체제에서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의 군주들은 혁명과 보나파르티즘에 대항하는 집단 안보 형태인 신성 동맹을 결성하였다. 부르봉 왕정 복고, 즉 부르봉 왕가의 복위가 이루어졌는데, 이때는 하원인 대의원 의회가 선출되는 입헌군주제였다. 하지만 선거권은 40세 이상의 남성으로 제한되었는데, 이는 그들이 생애 첫 15년을 ''앙시앵 레짐'' 하에서 살았음을 의미한다.[21]생투앙 선언은 복고를 위한 길을 마련했다. 프랑스 혁명 이전에는 헌법 개정을 시행하는 유일한 방법은 제안에 동의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오래된 법률 문서에서 그 내용을 추출하는 것이었다. 모든 새로운 것은 잊혀지고 사라진 오래된 것을 의롭게 부활시키는 것으로 표현되어야 했다. 이것은 또한 몰락한 귀족들이 더 큰 몫을 차지하기 위해 사용한 수단이었다. 18세기에 재산과 명성이 농민 수준으로 줄어든 귀족들은 자신들에게 무언가를 줄 수 있는 모든 고대의 봉건 법령을 열심히 찾았다. 예를 들어, "반(ban)"은 모든 농민들이 영주의 제분소에서 곡물을 갈아야 함을 의미했다. 따라서 이러한 귀족들은 모든 주에서 그러한 관행을 법적으로 허용되는 한계까지 확대하기 위해 1789년 프랑스 삼부회에 완벽하게 준비된 상태로 왔다. 프랑스 혁명이 평범한 시민들이 사냥을 하도록 허용했을 때 그들은 공포에 질렸는데, 그것은 그들이 항상 누려왔던 소수의 특권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21]
부르봉 왕정 복고와 함께, ''상브르 앙트루바블''은 제2 신분의 권력이 정점에 달했던 루이 14세의 절대 군주제 이전의 상황으로 사회를 되돌리기 위해 모든 법률을 되돌리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것은 "반동적"인 것과 "보수적"인 것을 명확히 구분한다. 후대에 정치적 비난으로 사용되는 "반동적"이라는 단어는 다른 국가의 역사에서 ''상브르 앙트루바블''과 직접적으로 비교할 만한 것이 없기 때문에 종종 수사적인 것이다.[21]
2. 4. 교회 철학자들
프랑스 혁명 이후, 프랑스는 우익 왕당파와 좌익 혁명가들 사이의 끊임없는 다툼에 시달렸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제프 드 메스트르, 루이 드 보날,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등의 교회 철학자들이 등장하여 부르봉 왕가의 복위와 가톨릭 교회의 국교 재확립을 해결책으로 제시하였다. 그 이후로 프랑스의 정치적 스펙트럼에는 유사한 분열이 존재해 왔다.Action Française|악시옹 프랑세즈프랑스어 19세기 교황들의 가르침은 교회 철학자들의 사상을 뒷받침하였다.[11]2. 5. 메테르니히와 봉쇄 정책
1815년부터 1848년까지 오스트리아 제국의 외무장관이었던 메테르니히는 국제적인 정치 동맹을 통해 혁명 세력의 봉쇄를 조직하여 혁명적 열기를 막았다. 그는 빈 회의에서 나폴레옹의 패배 후 새로운 질서인 유럽 연합을 수립하는 데 매우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회의 이후, 메테르니히는 복고 시대의 보수 체제를 강화하고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에서 자유주의 세력을 지원했던 러시아의 차르 알렉산드르 1세가 유럽에서 영향력을 얻는 것을 막기 위해 격렬하게 활동했다. 교회는 그의 주요 동맹자였으며, 그는 교회 내의 민족주의 및 자유주의적 경향에 반대하면서 교회를 보수적 질서의 원칙으로 옹호했다. 그의 기본 철학은 사회의 질서있는 발전과 오랜 뿌리의 필요성을 옹호했던 에드먼드 버크에 기반을 두었다. 그는 민주주의와 의회 제도에 반대했지만 점진적인 개혁을 통해 기존 구조를 현대화하는 것을 지지했다. 메테르니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848년 혁명이 유럽을 강타했다.
3. 20세기 이후의 반동
20세기에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지지자들이 적대 세력을 비판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반동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에 맞서 러시아 내전에서 싸운 백군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마르크스주의 용어에서 "반동적"은 사회주의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봉건제, 자본주의, 민족주의, 파시즘 또는 지배 계급의 특징을 포함하는 사상을 가진 사람들을 나타내는 경멸적인 형용사이다.[12]
"반동적"은 프랑스 비시 정부, 프랑코 치하의 스페인, 살라자르 치하의 포르투갈과 같이 권위주의적인 반공주의 정권 지지자들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된다. 한 예로 보리스 파스테르나크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후, 1958년 10월 26일 모스크바의 ''문학 신문''에 다비드 자슬라프스키가 쓴 "반동적인 선전, 문학적 잡초에 대한 소동"이라는 제목의 논쟁적인 기사가 게재되었다.[13]
전통적으로 우익 정부와 관련이 있지만, 좌익 정부에서도 반동적인 정치 요소들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소련 지도자 요셉 스탈린은 동성애 재범죄화, 낙태 및 이혼 제한, 여성부서인 ''제노트델'' 폐지와 같은 보수적인 사회 정책을 시행했다.[12]
정치학자 코리 로빈은 2011년 저서 ''반동적 마음''에서 현대 미국의 보수주의가 "본질적으로 반동적"이라고 주장한다.[15]
3. 1. 마르크스주의와 반동
마르크스주의의 유물사관에서는 인류 사회가 경제 단계에 따라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회주의 사회, 공산주의 사회로 발전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에 저항하거나 역행하는 것은 반동주의로 간주된다. 사회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에서는 제국주의와 파시즘을 대표적인 반동으로 지목했다. 일당 독재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반동'으로 낙인찍힌 사람들이 숙청되는 경우도 있었다.[21]3. 2. 파시즘과 반동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은 자신들을 반동적이라고 칭하며, 신분 사회와 같은 과거 질서로의 회귀를 추구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파시즘은 반동이다"라고 말했고, "스스로 반동적이라고 부르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았던 파시즘은 오늘날 자유주의적이지 않고 반자유주의적이라고 선언하는 데 어떠한 장애도 없다"라고 말했다.[14] 그러나 동시에 군주제나 이탈리아 보수 가톨릭교의 일부 측면을 비판하며 혁명적인 변화를 꾀하기도 했다. 그들은 "역사는 거꾸로 가지 않는다. 파시즘 이론은 조제프 드 메스트르를 예언자로 삼지 않았다. 군주제 절대주의는 과거의 것이며, 교회 중심주의도 마찬가지다."라고 썼다.파시즘은 좌익이 아니라 우익으로, 중앙 집권 국가를 절대 군주제 이상으로 확장했다. 파시스트 일당 독재 국가들은 대부분의 공산 국가만큼 중앙 집권화되었고, 파시즘의 강렬한 민족주의는 프랑스 혁명 이전 시대에는 찾아볼 수 없었다.
독일 나치는 자신들을 파시스트나 반동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고, 혁명적 좌익에 대해서는 맹렬하게 반대했다. 그러나 전통적인 독일 반동 세력(프러시아 군주주의자, 용커 귀족, 로마 가톨릭 성직자)을 적색 전선 적들과 함께 적들로 규정했다. 1933년 나치의 집권을 Volksgemeinschaftde(국민 혁명)이라고 부른 것은 이탈리아 파시스트와 마찬가지로 어떤 형태의 혁명을 지지했음을 보여준다.
3. 3. 나치즘과 반동
독일의 나치는 스스로를 반동적이라고 여기지 않고, 오히려 우익 혁신 세력으로 간주했다. 이들은 프로이센 군주, 귀족, 로마 가톨릭 등 전통적인 반동 세력을 적으로 규정하고, 바이마르 공화국의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거부했다. 그러나 동시에 전통, 민속학, 고전 사상 등을 이상화하며 제3제국을 통해 과거 독일 제국의 영광을 재현하고자 했다. (반동 모더니즘 참조)3. 4. 성직자 파시즘
파시즘의 일부 요소를 공유하면서도 교회의 강력한 역할을 가진 혁명 이전의 사회 관계 모델로의 복귀를 촉진하는 성직주의 운동은 비평가들에 의해 성직자 파시스트로 불리며, 19세기 관점에서 반동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니콜라스 고메스 다빌라는 이러한 성직자 파시즘의 대표적인 철학자였다.3. 5. 냉전 시대와 반동
냉전 시대에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양 진영 간의 이념 대립이 격화되면서, 상대 진영을 '반동'으로 규정하고 비난하는 경향이 나타났다.20세기에는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지지자들이 적대 세력을 비판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반동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10월 혁명 이후 볼셰비키에 맞서 러시아 내전에서 싸운 백군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마르크스주의 용어에서 "반동적"은 사회주의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봉건제, 자본주의, 민족주의, 파시즘 또는 지배 계급의 다른 특징들을 포함하는 사상을 가진 사람들을 나타내는 경멸적인 형용사이다.[12]
"반동적"은 프랑스 비시 정부, 프랑코 치하의 스페인, 살라자르 치하의 포르투갈과 같이 권위주의적인 반공주의 정권 지지자들을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된다. 한 예로 보리스 파스테르나크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후의 사건이 있다. 1958년 10월 26일, 노벨 위원회 발표 다음 날 모스크바의 ''문학 신문''은 다비드 자슬라프스키가 쓴 "반동적인 선전, 문학적 잡초에 대한 소동"이라는 제목의 논쟁적인 기사를 게재했다.[13]
3. 6. 현대의 반동
20세기 후반부터 일본에서는 우익 민족주의 및 포퓰리즘 운동이 부상하면서, 전후 평화헌법(일본국헌법 제9조) 개정, 대일본제국 옹호 등 반동적인 주장을 펼치는 세력이 등장했다.[16]21세기 초, 서구권에서는 신반동주의라는 새로운 형태의 반동 사상이 등장했다. 이들은 계몽주의, 민주주의, 평등주의 등의 가치를 부정하고, 전통적인 권위와 질서를 옹호한다. '신반동'이라는 용어는 2008년 커티스 야빈(Curtis Yarvin, 가명: 멘시우스 몰드버그)이 만들었다.[18][19] 2010년 아놀드 클링(Arnold Kling)이 몰드버그를 묘사하면서 이 용어를 사용했고, 이후 빠르게 확산되었다.[17] 닉 랜드도 신반동주의 운동에 참여했다.[20]
한국에서는 극우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반동적인 주장이 나타나기도 한다.
4. 주요 반동주의자
| 국가 | 인물 |
|---|---|
| 프랑스 | 루이 드 보날, 조제프 드 메스트르, 샤를 10세 |
| 독일 | 라인하르트 코젤렉, 칼 루트비히 폰 할러,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프란츠 폰 파펜 |
| 스페인 | 후안 도노소 코르테스[1], 프란시스코 프랑코[1] |
| 이탈리아 | 율리우스 에볼라 |
독일은 1871년까지 하나의 국가로 통일되지 않았으며, 메테르니히는 신성 로마 제국에서 태어났다.
4. 1. 프랑스
- 루이 드 보날
- 조제프 드 메스트르
- 샤를 10세
4. 2. 독일
라인하르트 코젤렉, 칼 루트비히 폰 할러,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프란츠 폰 파펜 등은 반동적인 인물로 지칭되었다. 독일은 1871년까지 하나의 국가로 통일되지 않았으며, 메테르니히는 신성 로마 제국에서 태어났다.4. 3. 스페인
- 후안 도노소 코르테스[1]
- 프란시스코 프랑코[1]
4. 4. 이탈리아
율리우스 에볼라4. 5. 미국
원본 소스에 미국과 관련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참조
[1]
서적
The New Fontana Dictionary of Modern Thought
[2]
서적
The Shipwrecked Mind
New York Review Books
[3]
웹사이트
reactionary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reactionary
https://www.merriam-[...]
[5]
서적
Reaction: Against the modern world
Andrews UK Limited
[6]
간행물
Credo of a Reactionary
[7]
뉴스
Scrap the meaningless terms Left and Right and reclaim the honourable title 'reactionary'
https://web.archive.[...]
The Daily Telegraph
2010-07-27
[8]
서적
Confessions of an Original Sinner
St. Augustine's Press
[9]
서적
The Governments of Europe
The MacMillan Co.
[10]
서적
Reply of L. N. M. Carnot, citizen of France ... to the report made on the conspiracy of the 18th Fructidor
https://books.google[...]
J. Wright
2012-03-11
[11]
서적
Conservatism: The Fight for a Tradi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
[12]
서적
A Short History of Soviet Socialism
UCL Press
[13]
서적
A Captive of Time: My Years with Pasternak
Doubleday
1978
[14]
간행물
Facts and Fascism
In Fact
[15]
웹사이트
Contraception and Counterrevolution: An Interview with Corey Robin
https://www.bostonre[...]
2012-03-22
[16]
서적
Japan and Asia's Contested Order: The Interplay of Security, Economics,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8
[17]
웹사이트
Geeks for Monarchy: The Rise of the Neoreactionaries
https://techcrunch.c[...]
2013-11-22
[18]
웹사이트
Unqualified Reservations: OL3: the Jacobite history of the world
http://unqualified-r[...]
[19]
웹사이트
Unqualified Reservations: OLX: a simple sovereign bankruptcy procedure
http://unqualified-r[...]
[19]
웹사이트
As I Please
http://www.telelib.c[...]
1943-12-24
[20]
웹사이트
The Dark Enlightenment Is Silly Not Scary
https://spectator.or[...]
2014-01-23
[21]
웹사이트
Thermidorian Reaction
http://www.britannic[...]
[22]
웹사이트
アメリカの「ネトウヨ」と「新反動主義」
http://www.britann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