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 (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수(물)는 물 속의 원치 않는 성분을 제거하여 음용, 산업, 의료 등의 목적에 적합하도록 만드는 과정이다. 17세기부터 시작된 정수 기술은 모래 여과, 염소 소독, 오존 소독, 자외선 소독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정수 처리 과정은 수원(지하수, 호수, 강 등)에서 취수한 원수를 전처리, 응집 및 응결, 침전, 여과, 소독 등의 단계를 거쳐 정화한다. 소독에는 염소, 이산화 염소, 클로라민, 오존, 자외선 등이 사용되며, 고도 정수 처리 기술도 활용된다. 정수 과정에서 미네랄 제거, 소독 부산물 생성 등의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며, 끓이는 방법, 활성탄 흡착, 증류, 역삼투압 등의 기술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 물질 - 유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은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과거 생기론으로 여겨졌으나 뵐러의 요소 합성으로 폐기되었고, 이후 다양한 유기 화합물 합성 및 고분자 개발에 기여했지만 환경 친화적 접근이 과제로 남아 있으며, 구조, 용도 등으로 분류되고 천연물, 합성 화합물 등으로 연구된다. - 화학 물질 - 위험물
위험물은 안전한 운송을 위해 국제적으로 규제되며, 각 기구 및 국내 법률에 따라 분류, 포장, 표시 및 운송 관련 규제를 적용한다. - 물 처리 - 양극 산화
양극 산화는 전압을 이용하여 물 속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전기화학적 산화 과정으로, 직접 산화와 매개 산화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하며, 전극 재료에 따라 효율이 달라 수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지만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 물 처리 - 중화 반응
중화 반응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염과 물을 만드는 화학 반응으로, 넓게는 양성자 교환 반응을, 좁게는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이 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뜻하며, 다양한 종류와 응용 분야를 가진다. - 상하수도 공학 - 저수지
저수지는 수력 발전, 수자원 관리,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공 시설로,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다양한 수위 기준과 용량 산정 방법을 가지고 건설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환경영향, 댐 붕괴 위험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운영 및 관리된다. - 상하수도 공학 - 펌프
펌프는 공기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기계이며, 진공과 고압을 이용해 작동하고, 원심 펌프, 기어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효율, 양정, 유량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여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정수 (물) | |
---|---|
정수 | |
개요 | |
정의 |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 |
목적 | 음용, 의학, 산업, 기타 용도에 적합하게 만드는 것 |
방법 | |
물리적 과정 | 여과 침전 |
생물학적 과정 | 모래 여과와 같은 생물학적 활성 |
화학적 과정 | 살균과 응고 |
주요 정수 기술 | |
여과 | 모래 여과 막 여과 (초여과, 역삼투압) |
화학적 처리 | 염소 소독 오존 처리 자외선 소독 |
기타 | 활성탄 흡착 이온 교환 탈기 |
자연 정수 | |
개요 | 습지, 연안대수층, 강변여과와 같은 자연 시스템을 이용하여 물을 정화하는 방법 |
정수기 (가정용) | |
종류 | 필터형 자외선 살균형 역삼투압형 이온 교환 수지형 |
관련 문제 | |
과불화화합물 (PFAS) | 정수 과정에서 제거가 어려운 화학 물질 |
기타 | |
관련 항목 | 수질 오염 수돗물 하수 처리 정수장 |
2. 역사
17세기에 물 여과에 대한 첫 번째 실험이 이루어졌다. 프랜시스 베이컨 경은 사구를 통해 흐름을 통과시켜 해수를 담수화하려 시도했다. 비록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이 분야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현미경의 아버지인 안톤 판 레이우엔훅과 로버트 훅은 현미경을 사용하여 물에 부유하는 작은 물질 입자를 처음으로 관찰하여, 수인성 병원체에 대한 미래의 이해의 기반을 마련했다.[36]
정수에 사용되는 원수는 그 출처에 따라 지하수, 고지대 호수 및 저수지, 강, 운하 및 저지대 저수지, 기타 수원(대기 중 물 생성, 빗물 채집, 해수 담수화, 표면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수를 위한 모래 여과의 첫 번째 문서화된 사용은 180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스코틀랜드 페이즐리의 표백 공장 소유주인 존 깁이 실험적인 여과기를 설치하고 원치 않는 잉여분을 대중에게 판매했다.[37] 1829년, 런던의 첼시 워터웍스 컴퍼니를 위해 엔지니어 제임스 심슨이 설치한 세계 최초의 공공 수자원 처리 시설이 등장했다.[38]
1854년 브로드 스트리트 콜레라 유행 동안 의사 존 스노우는 콜레라 전염병의 확산에 물 공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39][40] 그의 데이터는 지역 의회를 설득하여 물 펌프를 비활성화하도록 했고, 이는 즉시 발병을 종식시켰다.
1852년 대도시 물 법안은 런던의 수도 회사에 대한 규제를 도입했으며, 최초로 최소 수질 기준을 포함했다. 이 법안은 "대도시에 순수하고 위생적인 물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조항을 마련"했으며, 1855년 12월 31일부터 모든 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하도록 요구했다.[41]
존 스노우는 콜레라 발병을 확산시킨 소호의 수돗물을 소독하기 위해 염소를 성공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1893년 독일 함부르크에서 수돗물 염소 처리를 정수장에서 구현하려는 초기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1897년에는 영국 메이드스톤 시가 전체 수돗물을 염소 처리한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43]
영구적인 수돗물 염소 처리는 1905년에 시작되었는데, 링컨에서 심각한 장티푸스 유행을 막기 위해 알렉산더 크루익생크 휴스턴이 물에 염소를 처리했다.[44] 미국에서 소독을 위해 염소를 처음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한 것은 1908년 뉴저지주 저지 시티에 공급되는 로카웨이 강의 보온턴 저수지였다.[46]
압축 액화 염소 가스를 사용하여 식수를 정화하는 기술은 1903년 영국 장교인 인도 의학 서비스의 빈센트 B. 네스필드에 의해 개발되었다. 미국 육군 육군 의과대학 화학 교수인 칼 로저스 다르날 소령이 1910년에 이 방법을 처음으로 실용적으로 시연했다.[50]
3. 수원 (水源)
상수도 등에서의 정수는 수도법 및 수질 기준에 관한 성령에 규정된 수질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원수에 필요한 처리를 하는 것을 말한다. 원수의 수질에 따라 처리 방법이 달라지는데, 공장이나 농지 등이 있는 지역에서는 복잡한 처리가 필요하고, 지하수와 같이 수질이 좋은 경우에는 염소 소독 등 간단한 처리만으로 가능하다.
3. 1. 지하수
깊은 지하에서 나오는 물은 수십, 수백, 또는 수천 년 전에 비로 내렸을 수 있다. 토양과 암석층은 자연적으로 지하수를 고도로 정화하며, 종종 2차 소독제인 염소나 클로라민을 첨가하는 것 외에는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지 않다. 이러한 물은 샘물, 아르테시안 샘으로 나타나거나, 구멍이나 우물에서 추출될 수 있다. 깊은 지하수는 일반적으로 세균학적 품질이 매우 높지만 (즉, 병원성 세균 또는 병원성 원생동물은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음), 용존 고형물, 특히 칼슘과 마그네슘의 탄산염 및 황산염이 풍부할 수 있다. 물이 흐르는 지층에 따라 염화물 및 중탄산염을 포함한 다른 이온도 존재할 수 있다. 식수, 요리, 세탁에 적합하도록 이 물의 철분이나 망간 함량을 줄여야 할 수 있으며, 1차 소독도 필요할 수 있다. 지하수 함양이 시행되는 경우 (강물을 대수층에 주입하여 풍부한 시기에 물을 저장하여 가뭄 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해당 주 및 연방 규정에 따라 지하수는 추가 처리가 필요할 수 있다.
3. 2. 고지대 호수 및 저수지
일반적으로 강 시스템의 수원지에 위치한 고지대 저수지는 인간 거주지 위에 위치하며 오염 기회를 제한하기 위해 보호 구역으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세균 및 병원체 수준은 일반적으로 낮지만, 일부 세균, 원생동물 또는 조류가 존재한다.[1] 고지대가 숲이 우거지거나 이탄이 많은 경우, 휴믹산이 물을 착색시킬 수 있다.[1] 많은 고지대 수원지는 pH가 낮아 조절이 필요하다.[1]
3. 3. 강, 운하 및 저지대 저수지
저지대 표면수는 상당한 세균 부하를 가질 수 있으며, 조류, 부유 고형물 및 다양한 용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1]
3. 4. 기타 수원
대기 중 물 생성은 공기를 냉각하여 공기에서 물을 추출, 수증기를 응축시켜 고품질 식수를 제공하는 새로운 기술이다.[1] 빗물 채집 또는 안개 채집은 건기가 심한 지역과 비가 거의 오지 않더라도 안개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대기에서 물을 수집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1] 해수 담수화는 증류 또는 역삼투압에 의해 이루어진다.[1] 대기에 열려 있고 지하수로 지정되지 않은 담수체는 표면수라고 한다.[1]
4. 정수 처리 과정
공공 수도에서는 수원으로부터 취수되어, 정수지로 도수되어 온 원수(原水)를 물리적, 화학적 처리를 통해 정수한다. 정수 처리 과정은 원수의 수질, 처리 비용, 최종 수질 기준 등에 따라 달라진다.
상수도에서 정수는 수도법 및 수질 기준에 관한 성령에 규정된 수질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처리 조작을 하는 것을 말한다. 공장이나 농지가 있는 지역에서는 현탁물 분리, 용존 성분 처리,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 등 복잡한 처리가 필요하지만, 지하수와 같이 수질이 좋은 경우에는 염소 살균이나 경도 조정 등 단순한 처리만으로도 가능하다.
일반적인 정수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56]
- 전처리: 수원에서 취수한 물을 저장 탱크로 이동시킨 후, 스크린 필터를 사용하여 큰 부스러기를 제거한다.
- 응집 및 응결: 황산 알루미늄(명반)이나 염화철(III)과 같은 응집제를 첨가하여 입자를 뭉치게 한다.
- 침전: 뭉쳐진 입자(플록)를 침전조에서 중력에 의해 가라앉힌다.
- 여과: 침전되지 않은 부유 입자와 플록을 제거한다. 완속 여과와 급속 여과 방식이 있다.
- 소독: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염소, 오존, 자외선 등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정수 처리 과정만으로 먹는 물 수질 기준을 확보할 수 없을 때는 고도 정수 처리를 실시한다.
4. 1. 전처리
수원에서 물을 펌핑하거나 파이프를 통해 저장 탱크로 이동시킨다. 이후 스크린 필터를 사용하여 막대기, 잎, 쓰레기 등 큰 부스러기를 제거하여 후속 정화 단계를 돕는다. 대부분의 심층 지하수는 이 단계가 필요하지 않다.[1]강에서 취수한 물은 제방 저수지에 며칠에서 수개월 동안 저장하여 자연적인 생물학적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완속 여과 처리에 특히 중요하다. 저장 저수지는 또한 짧은 기간의 가뭄에 대비하거나, 수원 강에서 일시적인 수질 오염 사고가 발생했을 때 물 공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1]
과거에는 많은 공장에서 유입되는 물에 오염 생물 번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염소 처리를 하였으나, 잠재적인 유해 품질 영향 때문에 현재는 대부분 중단되었다.[1]
4. 2. 응집 및 응결
응집은 응결된 입자가 가교 현상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4] 대표적인 응집제로는 황산 알루미늄(Al2(SO4)3, 상하수도 공학에서는 명반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염화철(III)(FeCl3), 황산 제 1철(Ferrous Sulfate; FeSO4·7H2O), 황산 제 2철(Ferric Sulfate; Fe2(SO4)3) 등이 있다. pH 조절을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는 탄산 나트륨(Na2CO3)이 있다.황산 알루미늄 (또는 명반) 또는 염화철(III)과 같은 철(III) 염과 같은 무기 응고제의 첨가는 입자 상호 간 및 입자에 여러 가지 동시적인 화학적 및 물리적 상호 작용을 일으킨다. 몇 초 안에 입자의 음전하가 무기 응고제에 의해 중화된다. 또한 몇 초 안에 철 및 알루미늄 이온의 금속 수산화물 침전물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침전물은 브라운 운동과 같은 자연적인 과정과 때때로 응집이라고 하는 유도된 혼합을 통해 더 큰 입자로 결합한다. 비정질 금속 수산화물은 "플록"이라고 알려져 있다. 크고 비정질인 알루미늄 및 철(III) 수산화물은 부유 입자를 흡착하고 포획하여 침전 및 여과의 후속 공정을 통해 입자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4]
알루미늄 수산화물은 비교적 좁은 pH 범위(일반적으로 5.5에서 약 7.7 사이)에서 형성된다. 철(III) 수산화물은 명반에 효과적인 것보다 낮은 pH 수준을 포함한 더 큰 pH 범위(일반적으로 5.0에서 8.5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5]
유기 고분자는 1960년대에 응고 보조제로 개발되었으며, 일부 경우에는 무기 금속염 응고제를 대체했다. 합성 유기 고분자는 음전하, 양전하 또는 중성 전하를 띠는 고분자량 화합물이다. 유기 고분자가 입자와 함께 물에 첨가되면 고분자량 화합물이 입자 표면에 흡착되고 입자 간 브리징을 통해 다른 입자와 합쳐져 플록을 형성한다. PolyDADMAC는 정수 처리 공장에서 사용되는 인기 있는 양이온(양전하) 유기 고분자이다.[5]
4. 3. 침전
응집된 입자(플록, floc)는 침전조에서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가라앉는다.[4][5][6] 침전조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침전 속도와 제거율은 침전지의 표면적 부하율과 관련이 있다. 앨런 헤이젠은 1904년에 침전 공정의 효율이 입자 침강 속도, 탱크를 통과하는 유량, 탱크의 표면적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침전 탱크는 일반적으로 1250L/m²/h ~ 2500L/m²/h 범위에서 설계된다. 일반적인 침전 시간은 1.5 ~ 4시간이며, 조의 깊이는 3m ~ 4.5m이다. 라멜라식 침전조는 경사진 평판 또는 튜브를 추가하여 침전 효율을 높인다.4. 4. 여과
수원에서 취수된 물은 정수 처리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침전되지 않은 부유 입자와 플록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를 한다. 여과 방식에는 완속 여과와 급속 여과 두 가지가 있다.[55]
여과지의 면적(A)은 계획 정수량(Q)과 여과 속도(v)에 따라 결정되며,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완속 여과는 모래층 표면에 미생물을 배양하여 유기물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탁도가 낮은 물 정화에 적합하며 수질이 좋은 편이나 건설비가 많이 든다. 급속 여과는 약품 응집 및 침전 후 모래 여과를 통해 물을 정화하는 방식으로, 탁도 제거에 효과적이고 건설비가 저렴하다.
4. 4. 1. 완속 여과
보통침전지를 통과한 침전수를 모래 여과하여 물을 정화하는 시설을 말한다. 모래층 표면에 배양한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제거한다. 완속 여과는 표면 여과 작용을 한다. 모래의 유효경은 0.3~0.45mm인 모래를 사용하고, 70~90cm 두께로 설치한다. 모래의 최대 입경은 2.0mm 이하이고, 균등 계수는 2.0 이하로 한다. 여과 속도는 4~5m/day이다. 탁도가 낮은 물의 정화에 사용하며, 급속 여과지에 비해 건설비가 많이 들고 일반적으로 수질이 좋다.[55][56]느린 모래 여과는 충분한 토지와 공간이 있는 곳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물이 여과기를 통과하는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물리적 여과보다는 생물학적 처리 과정에 의존한다. 조심스럽게 등급별 모래 층을 사용하여 구성되며, 가장 거친 모래와 일부 자갈은 바닥에, 가장 고운 모래는 상단에 위치한다. 바닥의 배수관은 처리된 물을 소독을 위해 운반한다. 여과는 여과기 표면에 슐무츠데케 또는 생물막이라고 불리는 얇은 생물학적 층의 형성에 달려있다. 효과적인 느린 모래 여과는 전처리가 잘 설계되어 있고, 물리적 처리 방법으로는 거의 얻을 수 없는 매우 낮은 유효 영양 수준의 물을 생산하는 경우,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매우 낮은 영양 수준은 물을 매우 낮은 수준의 소독제로 안전하게 배분 시스템으로 보낼 수 있게 해주며, 따라서 불쾌한 수준의 염소와 염소 부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을 줄여준다. 느린 모래 여과는 역세척하지 않는다. 유량이 생물학적 성장으로 인해 결국 막히면 상단 모래 층을 긁어내는 방식으로 유지 관리한다.[8]
일본에서는 수질 오염의 정도가 경미한 경우에 선택되는 여과 방식이며, 침전지에 의한 조(粗) 현탁물의 침전 처리, 두께 70cm의 모래를 깐 여과지에서 미생물 군집의 정화 작용을 이용해 천연의 맑은 물을 만들 수 있는 정수 처리 방식이다.
부대 설비를 거의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정수장 전체의 소요 면적은 급속 여과 방식과 큰 차이가 없다. 정수장 전체의 평균 내구 연한은 급속 여과 방식의 정수장은 부대 설비(기계, 전기 설비) 등 내구 연한이 짧은 설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짧지만, 완속 여과 방식의 정수장은 주요 시설이 토목, 건축 구조물이기 때문에 평균 내구 연한이 길다. 실적으로는 100년을 넘는 시설도 있다.
4. 4. 2. 급속 여과
약품 응집 및 침전을 거친 물을 모래 여과하여 물을 정화하는 시설이다. 전처리로 반드시 응집 침전이 요구된다. 모래의 유효경은 0.45~0.7mm인 것을 60~70cm 두께로 사용하고, 0.9~1.1mm 범위의 모래인 경우에는 90~100cm 두께로 설치한다.[55] 균등 계수는 1.7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여과 속도는 120~150m/day이다. 탁도가 잘 제거되며, 여과지 면적이 완속 여과지에 비해 작으므로 건설비가 저렴하다.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여과기는 급속 여과기이다. 물은 수직으로 아래로 이동하며, 종종 모래 위에는 활성탄 또는 무연탄 층이 있다. 최상층은 맛과 냄새에 기여하는 유기 화합물을 제거한다. 모래 입자 사이의 공간은 가장 작은 부유 입자보다 크므로 단순한 여과는 충분하지 않다. 대부분의 입자는 표면층을 통과하지만 기공 공간에 갇히거나 모래 입자에 부착된다. 효과적인 여과는 여과기의 깊이까지 확장된다. 여과기의 이러한 특성은 작동의 핵심이다. 모래의 최상층이 모든 입자를 막으면 여과기가 빠르게 막힐 것이다.[7]
여과기를 청소하기 위해, 물은 정상적인 방향과 반대 방향(''역세척'' 또는 ''역세척'')으로 여과기를 빠르게 위로 통과시켜 내장되거나 원치 않는 입자를 제거한다. 이 단계 전에 압축 공기를 여과기 바닥을 통해 불어 넣어 압축된 여과 매체를 분해하여 역세척 과정을 돕는다. 이를 ''공기 스커링''이라고 한다. 이 오염된 물은 침전조의 슬러지와 함께 폐기하거나, 정수장에 들어오는 원수와 섞어 재활용할 수 있지만, 이는 종종 원수에 박테리아 농도를 높여 다시 도입하므로 좋지 않은 방법으로 간주된다.
일부 정수장은 압력 여과기를 사용한다. 이것들은 급속 중력 여과기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며, 여과 매체가 강철 용기에 갇히고 물이 압력 하에서 이를 통과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급속 여과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종이 및 모래 여과기보다 훨씬 작은 입자를 걸러낸다.
- 지정된 기공 크기보다 큰 사실상 모든 입자를 걸러낸다.
- 얇아서 액체가 비교적 빠르게 흐른다.
- 상당히 강해서 일반적으로 2~5기압의 압력 차이를 견딜 수 있다.
- 세척(역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점토 콜로이드 등을 응집제의 첨가로 응집시켜 정수하는 방법이며, 완속 여과 방식에 비해 정수 처리 속도나 소요 시설 면적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5. 소독
소독은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정수 과정에서는 유해 미생물을 걸러내고 소독 화학 물질을 첨가한다. 물은 필터를 통과하는 모든 병원체를 죽이고, 저장 및 유통 시스템에서 잠재적으로 유해한 미생물을 죽이거나 비활성화하기 위해 소독한다. 소독 후에는 소독 작용을 완료하기 위해 물을 일반적으로 접촉조 또는 정수조라고 불리는 임시 저장소에 보관한다.
공공 수도에서는 보통 착수정→응집→약품 침전→급속 여과→소독(염소, 오존)의 순서로 정수가 진행된다.[56] 상수도 시스템에서 소독은 수인성 질병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이다. 가능한 병원체로는 바이러스, ''살모넬라'', ''콜레라'', ''캄필로박터'', ''시겔라''를 포함한 박테리아, 그리고 ''람블 편모충'' 및 기타 ''크립토스포리디움''을 포함한 원생동물이 있다.
4. 5. 1. 염소 소독
염소 소독은 상수도 시스템에서 수인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소독 방법이다.[56] 물에 염소(Cl₂)를 주입하면 하이포아염소산(HOCl)과 OCl-가 발생하는데, HOCl는 OCl-보다 강력한 살균 효과를 가진다. 염소 소독은 가격이 저렴하고 소독 효과가 탁월하며, 잔류 효과가 있어 수도관을 통해 공급될 때에도 생물학적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56]일반적으로 염소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차아염소산칼슘(Ca(OCl)₂)과 같은 염소 화합물이 사용된다.[10] 염소는 강력한 산화제로 많은 유해한 미생물을 빠르게 죽인다.[10] 최대 4mg/L (4ppm)의 염소 농도는 식수에 안전한 것으로 간주된다.[10]
하지만 염소는 물 속의 자연 유기 화합물과 반응하여 트리할로메탄(THM)과 할로아세트산(HAAs) 같은 소독 부산물을 생성할 수 있다.[57] 이러한 부산물은 발암 물질로 규제되고 있으며, 염소 첨가 전에 가능한 한 많은 유기물을 물에서 제거하여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염소는 ''람블 편모충'' 및 ''크립토스포리디움''과 같이 낭종을 형성하는 병원성 원생동물에는 효과가 제한적이다.[57]
4. 5. 2. 이산화 염소 소독
이산화 염소는 원소 염소보다 빠르게 작용하는 소독제이다. 그러나 과도한 양의 아염소산염을 생성할 수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다. 아염소산염은 미국의 규제 대상 부산물이다. 이산화 염소는 수용액 형태로 공급되어 물에 첨가되므로, 가스 취급 문제가 없다. 이산화 염소 가스가 축적되면 자연 폭발할 수 있다.4. 5. 3. 클로라민 소독
클로라민은 소독제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클로라민은 산화력이 강하지 않지만, 유리 염소에 비해 낮은 산화 환원 전위 때문에 유리 염소보다 잔류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된다. 또한 THM 또는 할로아세트산(소독 부산물)을 쉽게 생성하지 않는다.염소를 첨가한 후 물에 암모니아를 첨가하여 염소를 클로라민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1] 염소와 암모니아는 반응하여 클로라민을 형성한다.[1] 클로라민으로 소독된 물 공급 시스템은 암모니아가 박테리아 성장의 영양분이며, 질산염이 부산물로 생성되므로 질산화를 경험할 수 있다.[1]
4. 5. 4. 오존 소독
오존은 불안정한 분자로, 산소 원자 하나를 쉽게 내어 강력한 산화제를 제공하며, 이는 대부분의 수생 유기체에 유독하다. 오존 소독은 낭포를 형성하는 유해한 원생동물을 비활성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거의 모든 다른 병원체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다. 오존은 산소를 자외선이나 "냉" 방전으로 통과시켜 생성된다. 오존을 소독제로 사용하려면 현장에서 생성하여 기포 접촉으로 물에 첨가해야 한다. 오존의 장점은 위험한 부산물의 생산이 적고, 염소 처리에 비해 맛과 냄새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물에는 잔류 오존이 남지 않으므로,[11] 유통 배관의 잠재적인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유통 시스템 전체에 염소 또는 클로라민을 첨가할 수 있다.오존은 1906년부터 식수 공장에서 사용되었으며, 최초의 산업용 오존 처리 시설은 프랑스 니스에 건설되었다. 미국 식품의약국은 오존을 안전하다고 인정했으며, 식품의 처리, 저장 및 가공을 위한 항미생물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오존 처리 시 부산물이 적게 형성되지만, 오존이 물 속의 브롬 이온과 반응하여 발암 의심 물질인 브롬산염 농도를 생성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브롬은 담수 공급원에서도 충분한 농도로 발견될 수 있으며, 오존 처리 후 미국 환경 보호국(USEPA)에서 설정한 최대 오염 수준인 10ppb 이상의 브롬산염이 생성될 수 있다.[12] 오존 소독은 에너지 집약적이기도 하다.
4. 5. 5. 자외선 소독

자외선은 낮은 탁도의 물에서 낭포를 비활성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자외선 소독 효과는 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데, 이는 부유 고형물에 의한 흡수, 산란, 음영의 결과이다. 자외선 조사의 주요 단점은 오존 처리와 마찬가지로 물에 잔류 소독제를 남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1차 소독 공정 후에 잔류 소독제를 추가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1차 소독제로 논의된 클로라민을 첨가하여 자주 수행되며, 클로라민은 염소화의 부정적인 영향이 거의 없이 효과적인 잔류 소독제를 제공한다.[13]
4. 6. 고도 정수 처리
일반적인 정수 처리 과정만으로 먹는 물 수질 기준을 확보할 수 없을 때,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정수 처리 과정을 '''고도 정수 처리'''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오존(O3) 처리법, 활성탄 처리법, 막여과 등이 있다.- 오존 처리법: 염소 소독에 비해 처리된 물에 맛과 냄새가 남지 않으며, 물에 트리할로메탄(THM)과 같은 화학물질을 남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는 지속 시간이 짧아 잔류 효과가 없으며 경제성이 낮다는 점이 있다.
- 활성탄 처리법: 활성탄을 통해 오염 물질을 흡착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입상 활성탄(Granular Activated Carbon; GAC)과 분말 활성탄(Powdered Activated Carbon; GAC) 처리법 두 가지로 나뉜다. 맛, 냄새, 색도 제거에 효과적이다. 염소 소독으로 인한 트리할로메탄(THM)도 제거할 수 있다.[1]
5. 기타 정수 기술
물을 끓는점(해수면에서 약 100°C)까지 끓이는 것은 가장 오래되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끓이기는 대부분의 미생물이 장 질환을 유발하는 것을 제거하지만, 독소나 불순물을 제거할 수는 없다.[20] 물을 10분 동안 끓이라는 전통적인 조언은 주로 추가적인 안전을 위한 것이다. 미생물은 60°C 이상의 온도에서 사멸하기 시작한다. 끓는점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낮아지지만, 소독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다.[19][21]
입상 활성탄은 표면적이 넓은 활성탄의 한 형태로, 많은 독성 화합물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을 흡착한다. 활성탄을 통과하는 물은 유기물 오염, 맛 또는 냄새가 있는 지역의 지방 자치 단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많은 가정용 정수기 및 어항은 물을 정화하기 위해 활성탄 필터를 사용한다.[22]
증류는 물을 끓여 수증기를 생성하고, 수증기를 차가운 표면에 닿아 액체로 응축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용질은 일반적으로 기화되지 않기 때문에 끓는 용액에 남아 있다. 증류를 통해 99.9% 순수한 물을 얻을 수 있다.
역삼투압은 반투과성 막을 통해 물을 밀어 넣기 위해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오염 물질은 막의 반대쪽에 남겨진다. 역삼투압은 이론적으로 대규모 수처리에서 가장 철저한 방법이지만, 완벽한 반투과성 막을 만드는 것은 어렵다.[23]
현장 화학적 산화(ISCO)는 고급 산화 공정이다. 이는 대상 오염 물질의 농도를 줄이기 위해 토양 및/또는 지하수 정화에 사용된다. ISCO는 오염 물질을 파괴하기 위해 산화제를 오염된 매체(토양 또는 지하수)에 주입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도입하여 수행된다.
생물 정화는 오염된 지역에서 폐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미생물을 사용한다. 1991년 이후 생물 정화는 알칸, 과염소산염, 금속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술로 제안되었다.[25]
과산화 수소 (H₂O₂)는 물을 정화할 수 있는 일반적인 소독제이다. 일반적으로 화학 공장에서 생산되어 오염된 물로 운반된다. 또 다른 접근 방식으로는 현장의 수소와 산소 원자로부터 H₂O₂를 합성하기 위해 금-팔라듐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다.[29]
6. 안전성 및 논란
클로라민은 일부 급수 시스템에서 부식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클로라민은 오래된 서비스 라인 내부의 "보호" 필름을 용해시켜 납이 주거용 수도꼭지로 침출될 수 있게 한다. 이로 인해 높은 혈중 납 수치를 포함한 유해한 노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납은 알려진 신경독이다.[31]
증류는 물에서 모든 미네랄을 제거하며, 역삼투압 및 나노여과와 같은 막 방법은 대부분의 미네랄을 제거한다. 이로 인해 탈염수가 생성되는데, 이는 이상적인 식수로 간주되지 않는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1980년부터 탈염수의 건강 영향에 대해 조사해 왔다.[32]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탈염수는 체액 균형을 증가시키고 전해질의 배출을 증가시키며, 혈청 내 칼륨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 속의 마그네슘, 칼슘 및 기타 미네랄은 영양 결핍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탈염수는 또한 납과 카드뮴과 같은 배관 재료를 더 쉽게 침출시키기 때문에 유해 금속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칼슘 및 마그네슘과 같은 용해된 미네랄에 의해 방지된다. 미네랄 함량이 낮은 물은 특히 높은 속도로 파이프에서 물로 납이 침출될 때 영아의 특정 납 중독 사례와 관련되어 왔다. 마그네슘의 권장량은 최소 10 mg/L, 최적 20–30 mg/L; 칼슘은 최소 20 mg/L, 최적 40–80 mg/L, 총 물의 경도 (마그네슘 및 칼슘 추가)는 2~4 밀리몰/L이다. 물의 경도가 5 mmol/L 이상일 경우 담석, 신장 결석, 요로 결석, 관절증 및 관절병증의 발생률이 더 높게 관찰되었다.[33] 또한, 담수화 과정은 세균 오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33]
가정용 정수기 제조업체는 이와 반대로, 물 속의 미네랄이 많은 질병의 원인이며, 대부분의 유익한 미네랄은 물이 아닌 음식에서 나온다고 주장한다.[34][35]
참조
[1]
서적
Information Collection Rule Data Analysis
https://books.google[...]
AWWA Research Foundation and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2002
[2]
웹사이트
Aeration and gas stripping
https://ocw.tudelft.[...]
2017-06-29
[3]
웹사이트
Water Knowledge
https://www.awwa.org[...]
2017-06-29
[4]
서적
Water Quality and Treatment
https://www.accessen[...]
McGraw-Hill
2011
[5]
서적
Water Treatment: Principles and Design.
Wiley
2005
[6]
서적
Integrated Design and Operation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0-09-14
[7]
웹사이트
Technologies for Upgrading Existing or Designing New Drinking Water Treatment Facilities
http://nepis.epa.gov[...]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1990
[8]
논문
Influence of operating parameters on the performance of a household slow sand filter
2014-08-01
[9]
서적
Ion exchange material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Elsevier
[10]
웹사이트
Disinfection with Chlorine
https://www.cdc.gov/[...]
CDC
2018-02-11
[11]
간행물
Bacteriological safety of hot tap water in developing countries.
1981
[12]
논문
Controlling Bromate Formation During Ozonation with Chlorine and Ammonia
[13]
웹사이트
Solar Disinfection
https://www.cdc.gov/[...]
2018-02-11
[14]
논문
Comparison of Chlorine, Bromine, and Iodine as Disinfectants for Swimming Pool Water
1966-03-01
[15]
웹사이트
CDC Releases New Guidelines on Fluoride Use to Prevent Tooth Decay
http://cdc.gov/mmwr/[...]
2007-08-09
[16]
간행물
Fluoridation census
http://cdc.gov/fluor[...]
1993-09
[17]
웹사이트
Water fluoridation: a manual for engineers and technicians
http://www.cdph.ca.g[...]
Centers for Disease Control
1986
[18]
웹사이트
Magnetic Water Treatment Devices
http://extension.psu[...]
2017-08-15
[19]
논문
Water Disinfection for International and Wilderness Travelers
[20]
웹사이트
OA Guide to Water Purification, The Backpacker's Field Manual
http://www.princeton[...]
Random House
1998
[21]
웹사이트
Is it true that you can't make a decent cup of tea up a mountain?
http://www.physics.o[...]
physics.org
2012-11-02
[22]
논문
Nanomaterials and Water Purificat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http://www.ph.ucla.e[...]
2005-05
[23]
웹사이트
Puretec Industrial Water {{!}} What is Reverse Osmosis?
https://puretecwater[...]
2021-09-10
[24]
간행물
Hydrates for Gypsum Stack Water Purification
http://www.aiche-cf.[...]
AIChE Annual Convention
2009
[25]
간행물
Biodegradation of halogenated aliphatic hydrocarbons
https://patents.goog[...]
1987-12-15
[26]
논문
Thermodynamic targeting of microbial perchlorate reduction by selective electron donors
2008-12-18
[27]
서적
Perchlorate
https://archive.org/[...]
Springer US
2006-01-01
[28]
논문
Microbial perchlorate reduction: rocket-fuelled metabolism
2004-07-01
[29]
웹사이트
Researchers develop cheap, simple, on-demand water disinfection process
https://www.zmescien[...]
2021-08-15
[30]
간행물
Mysterious Glitch Poisons Town Water Supply
https://www.wired.co[...]
2007-04-26
[31]
논문
Changes in Blood Lead Levels Associated with Use of Chloramines in Water Treatment Systems
[32]
웹사이트
Health risks from drinking demineralised water. Rolling revision of the WHO Guidelines for drinking-water quality.
http://www.who.int/w[...]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004
[33]
웹사이트
Health risks from drinking demineralised water
https://www.who.int/[...]
WHO
2004
[34]
웹사이트
Water Distillers – Water Distillation – Myths, Facts, etc
http://www.naturalso[...]
2011-02-18
[35]
웹사이트
Minerals in Drinking Water
http://www.aquatechn[...]
2011-02-18
[36]
웹사이트
The Use of the Microscope in Water Filter History
http://www.historyof[...]
[37]
간행물
Filtration of water supplie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3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helsea Waterworks
http://www.ph.ucla.e[...]
[39]
서적
Concepts and Practice of Humanitarian Medicin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
[40]
서적
L'histoire des vaccinations
https://books.google[...]
John Libbey Eurotext
[41]
문서
An Act to make better Provision respecting the Supply of Water to the Metropolis
[42]
서적
Public Water-Supplies: Requirements, Resources, and the Construction of Works
John Wiley & Sons
[43]
논문
Typhoid Epidemic at Maidstone
1897-10
[44]
웹사이트
A miracle for public health?
http://www.icis.com/[...]
2012-12-17
[45]
문서
"Report on the Epidemic of Enteric Fever in the City of Lincoln, 1904-5."
Local Government Board
1907
[46]
문서
"The Sterilization Plant of the Jersey City Water Supply Company at Boonton, N.J."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1909
[47]
문서
"Description of the Process and Plant of the Jersey City Water Supply Company for the Sterilization of the Water of the Boonton Reservoir."
AWWA
1909
[48]
서적
Clean Water and How to Get It.
Wiley
1916
[49]
논문
A Chemical Method of Sterilizing Water Without Affecting its Potability
https://zenodo.org/r[...]
[50]
웹사이트
Disinfecting Water in a Lyster Bag – Communicable Diseases and Field Sanitation
http://armymedical.t[...]
2021-09-25
[51]
서적
Combating Waterborne Diseases at the Household Level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52]
서적
Water for Life: Making it Happen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UNICEF]]
[53]
웹사이트
Water Purifier Market Size, Share & Growth {{!}} Report till 2029
https://www.fortuneb[...]
2023-01-12
[54]
웹사이트
12% of urban India relies on bottled water, 1 in 4 homes has a purifier
https://indianexpres[...]
2019-11-29
[55]
문서
KDS 57 55 00 :2017 정수시설 설계기준. 7.6 여과층의 두께와 여재
[56]
문서
[57]
문서
[58]
서적
상하수도 공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