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는 2008년에 개최되었으며, 아시아 영화의 신인 감독들을 발굴하는 뉴 커런츠 부문, 세계적인 거장들의 신작을 소개하는 갈라 프레젠테이션 부문,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영화를 선보이는 아시아영화의 창 부문 등 다양한 섹션으로 구성되었다. 한국 영화의 흐름을 보여주는 한국영화의 오늘, 아시아 외 지역의 영화를 소개하는 월드 시네마, 단편 영화를 다루는 와이드 앵글, 장르 영화를 상영하는 미드나잇 패션, 애니메이션을 소개하는 애니 아시아! 등의 부문도 운영되었다. 또한, 한형모, 김기영 감독의 한국영화 회고전, 타비아니 형제 특별전, 루마니아 뉴웨이브 특별전, 아시아 컬트 영화 특별전 등 특별전과 단편 영화를 모은 특별 기획 프로그램도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영화제 - 제30회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2008년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는 리브 울만 심사위원장 체제 하에 《압수르디스탄》, 《해안의 전쟁》, 《지프트》 등의 경쟁작들과 《그저 그렇게》의 황금 게오르기상 수상, 그리고 기타노 다케시와 이자벨 위페르의 공로상 및 스타니슬라브스키 상 수상으로 구성되었다. - 2008년 영화제 - 제5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2008년에 개최된 제58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코스타 가브라스가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조제 파딜랴 감독의 《엘리트 스쿼드》가 황금곰상을, 홍상수 감독의 《밤과 낮》이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
2021년 부산에서 열린 제26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여러 국가와 장르의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의 위상을 높였으며, '온 스크린' 섹션에서 OTT 드라마 시리즈를 선보였다. - 부산국제영화제 -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2014년에 개최된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는 다양한 섹션을 통해 세계 영화를 소개하고 아시아 영화 신인 감독을 발굴하며, 여러 부문의 상을 수여하고, 정진우 감독 회고전과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 상영 등으로 관객의 호응과 사회적 논란을 동시에 불러일으킨 영화 축제이다.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 | |
---|---|
영화제 정보 | |
이름 |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 |
원어 이름 | 13th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개막작 | 스탈린에게 보낸 선물 |
폐막작 | 나는 행복합니다 |
개최 기간 | 2008년 10월 2일 ~ 10월 10일 |
개최 장소 | 부산광역시 |
상영 작품 수 | 315편 |
웹사이트 | 부산국제영화제 공식 웹사이트 |
2. 주요 경쟁 부문
2. 1. 뉴 커런츠
아시아 영화의 미래를 이끌어갈 신인 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경쟁 부문이다. 심사위원단은 다음과 같다.- 안나 카리나 (심사위원장), Anna Karina프랑스어, 덴마크 출신 프랑스 배우
- 사미라 마흐말바프, 이란 감독
- 산토쉬 시반, 인도 감독
- 이화시, 대한민국 배우
- 카를 바움가르트너, 독일 영화 제작자
제목 | 감독 | 제작 국가 |
---|---|---|
100 | 크리스 마르티네즈 | 필리핀 |
날고 싶은 눈 먼 돼지 | 에드윈 | 인도네시아 |
빈 의자 | 사만 에스테레키 | 이란 |
얼동 | 양진 | 중국 |
잘라이누르 | 자오예 | 중국 |
허수아비들의 땅 | 노경태 | 대한민국, 프랑스 |
안개속의 불빛 | 파나바르코다 레자에 | 이란 |
장례식의 멤버 | 백승빈 | 대한민국 |
6월 이야기 | O. 나타폰 | 태국 |
무방비 | 이치이 마사히데 | 일본 |
노인의 바다 | 라제쉬 셰라 | 인도 |
옹기장이 | 김태곤 | 대한민국 |
국경일 | 한다교 | 중국 |
도서관 할아버지 | 카니베크 카심베코프 외 1명 | 카자흐스탄 |
2. 1. 1. 수상작
이치이 마사히데의 무방비와 노경태의 허수아비들의 땅이 뉴 커런츠상을 수상했다. 특별 언급으로는 백승빈의 장례식의 멤버와 양진의 얼동이 선정되었다. BIFF 메세나상은 소다 가즈히로의 멘탈과 이충렬의 워낭소리에게 돌아갔다. 손제상은 Rommel Tolentino의 안동과 홍성훈의 소녀가 수상했다. 백승빈의 장례식의 멤버와 김소영의 나무 없는 산은 넷팩상을 수상했다. 국제영화비평가협회상은 자오예의 잘라이누르에게 돌아갔다. 크리스 마르티네즈의 100은 KNN 관객상을 수상했다.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은 굴나라 사르세노바에게, 한국영화상은 리차드 페냐에게 돌아갔다.2. 1. 2. 특별 언급
2. 1. 3. 후보작
후보작 섹션은 현재 비어있습니다.2. 2. 넷팩상 (아시아영화진흥기구상)
장례식의 멤버 - 백승빈 수상민둥산 - 김소영 수상
심사위원단: 모하메드 아테바이, 자넷 폴슨 헤레니코, 에드워드 델로스 산토스 카바그노트
2. 2. 1. 수상작
장례식의 멤버 - 백승빈 수상민둥산 - 김소영 수상
'''뉴 커런츠상''': 허수아비들의 땅 by 노경태 (대한민국/프랑스) 및 나체의 방어 by Masahide Ichii (일본)
'''특별 언급''': 장례식의 멤버 by 백승빈 (대한민국) 및 얼동(Er Dong) by 진 양 (중국)
'''BIFF 메세나상''': 멘탈 by Soda Kazuhiro (일본/미국) 및 워낭소리 by 이충렬 (대한민국)
'''손제상''': 안동 by Rommel Tolentino (필리핀) 및 소녀 by 홍성훈 (대한민국)
'''넷팩상''': 장례식의 멤버 by 백승빈 (대한민국) 및 나무 없는 산 by 김소영 (미국/대한민국)
'''국제영화비평가협회상''': 잘라이누르 by 자오예 (중국)
'''KNN 관객상''': 100 by 크리스 마르티네즈 (필리핀)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 굴나라 사르세노바
'''한국영화상''': 리차드 페냐
2. 3. 국제영화평론가 협회상
국제영화평론가 협회상은 뛰어난 작품성을 가진 영화를 선정하여 시상한다.심사위원단은 다음과 같다.
- 엘리즈 도메나크, 프랑스 영화 평론가
- 하이네크 팔라스, 스웨덴 영화 평론가
- 두브라브카 라키치, 세르비아 영화 평론가
- 비토판 보르보라 린주, 인도 영화 평론가
- 신강호, 대한민국 영화 평론가
잘라이누르 - 자오예 수상
2. 3. 1. 수상작
잘라이누르 - 자오예 수상'''뉴 커런츠상''': 허수아비들의 땅 by 노경태 (대한민국/프랑스) 및 나체의 방어 by Masahide Ichii (일본)
'''특별 언급''': 장례의 멤버 by 백승빈 (대한민국) 및 얼동(Er Dong) by 진 양 (중국)
'''BIFF 메세나상''': 멘탈 by Soda Kazuhiro (일본/미국) 및 워낭소리 by 이충렬 (대한민국)
'''손제상''': 안동 by Rommel Tolentino (필리핀) 및 소녀 by 홍성훈 (대한민국)
'''넷팩상''': 장례의 멤버 by 백승빈 (대한민국) 및 나무 없는 산 by 김소영 (미국/대한민국)
'''국제영화비평가협회상''': 잘라이누르 by 자오예 (중국)
'''KNN 관객상''': 100 by 크리스 마르티네즈 (필리핀)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 굴나라 사르세노바
'''한국영화상''': 리차드 페냐
2. 4. KNN 관객상
KNN 관객상은 관객들이 직접 투표하여 가장 인기 있는 영화를 선정한다. 크리스 마르티네즈의 100이 이 상을 수상했다.2. 4. 1. 수상작
크리스 마르티네즈의 100이 KNN 관객상을 수상했다.뉴 커런츠상은 노경태 감독의 허수아비들의 땅 (대한민국/프랑스)과 Masahide Ichii 감독의 나체의 방어 (일본)가 공동 수상했다.
백승빈 감독의 장례의 멤버 (대한민국)와 진 양 감독의 얼동(Er Dong) (중국)이 특별 언급되었다.
BIFF 메세나상은 Soda Kazuhiro 감독의 멘탈 (일본/미국)과 이충렬 감독의 워낭소리 (대한민국)가 수상했다.
손제상은 Rommel Tolentino 감독의 안동 (필리핀)과 홍성훈 감독의 소녀 (대한민국)가 수상했다.
넷팩상은 백승빈 감독의 장례의 멤버 (대한민국)와 김소영 감독의 나무 없는 산 (미국/대한민국)이 수상했다.
국제영화비평가협회상은 자오예 감독의 잘라이누르 (중국)에게 돌아갔다.
올해의 아시아 영화인상은 굴나라 사르세노바가, 한국영화상은 리차드 페냐가 수상했다.
3. 비경쟁 부문
3. 1. 갈라 프레젠테이션
세계적인 거장들의 신작 또는 화제작을 소개하는 부문이다.- 다다의 춤 - 장위엔
- 동사서독 리덕스 - 왕가위
- 시집 - 손수범
3. 2. 아시아영화의 창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아시아영화의 창' 섹션에서는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영화들을 소개하며, 아시아 영화의 현재를 살펴볼 수 있다. 이 섹션에는 로이스톤 탄 감독의 12 연화, 야스민 아흐마드 감독의 개종,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걸어도 걸어도, 펑하오샹 감독의 경박한 일상, 루엘 다히스 안티푸에스토 감독의 고해, 이누도 잇신 감독의 구구는 고양이다, 임서우 감독의 구월풍, 타키타 요지로 감독의 굿' 바이: Good & Bye, 아민 마탈카 감독의 기장 아부라에드, 하시구치 료스케 감독의 나를 둘러싼 것들, 장초치 감독의 나비, 마랏 사룰루 감독의 남쪽 바다의 노래, 청몽홍 감독의 노면주차, 아자르 루딘 감독의 달을 기다리는 올빼미, 마지드 마지디 감독의 참새들의 합창, 사미라 마흐말바프 감독의 두발로 걷는 말, 지엔준 허 감독의 리버 피플, 에릭 쿠 감독의 마이 매직, 쳉 샤오체 감독의 먀오 먀오, 구카 오마로바 감독의 무당의 춤, 니나가와 유키오 감독의 뱀에게 피어싱, 까오 티엔 외 1명 감독의 빨간 밴을 사랑한 여자, 이시이 카츠히토 감독의 산의 사랑하는 당신, 난디타 다스 감독의 살육의 시간, 브릴얀테 멘도사 감독의 서비스, 람틴 라바피포 감독의 소년과 바다, 프리야다샨 감독의 실크 사리, 조엘 루이즈 감독의 아기 천사, 아돌포 알릭스 주니어 감독의 아델라, 다니아르 살라맛 감독의 아빠와 함께, 하기우다 코지 감독의 아이가 아이를 낳다, 판 지안린 감독의 악당들의 축제, 응유엔 빈 손 감독의 우물 바닥에 비친 달빛, 아웁 샤코비티노프 감독의 유르타, 메흐린 잡바르 감독의 접경지역의 람찬드, 웨이 더솅 감독의 하이자오 7번지, 라비 L. 바르와니 감독의 제르말, 프란시스 파시온 감독의 제이, 양야체 감독의 좌절금지!, 두기봉 감독의 참새, 산토시 쉬반 감독의 타한 - 수류탄을 쥔 소년, 사만 살루르 감독의 테헤란의 외로운 선율, 여준한 감독의 판촉, 당효백 감독의 퍼펙트 라이프, 누르만 하킴 감독의 페산트렌, 유릭와이 감독의 플라스틱 시티, 몰리 수리아 감독의 픽션, 프라사나 비타나게 감독의 하늘에 핀 꽃 등 다양한 작품이 포함되었다.3. 3. 한국영화의 오늘
당해 한국 영화의 경향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소개한다.; 파노라마
강철중: 공공의 적 1-1 (강우석 감독), 그 남자의 책 198쪽 (김정권 감독), 님은 먼곳에 (이준익 감독), 미쓰 홍당무 (이경미 감독), 히말라야 - 바람이 머무는 곳 (전수일 감독), 밤과 낮 (홍상수 감독), 슈퍼맨이었던 사나이 (정윤철 감독), 오이시맨 (김정중 감독), 우리생애 최고의 순간 (임순례 감독),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김지운 감독), 지금, 이대로가 좋아요 (부지영 감독), 추격자 (나홍진 감독) 등의 작품이 상영되었다. 이들 작품은 한국 상업 영화의 현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들로 꼽힌다.
; 비전
김곡 감독의 고갈.
고태정 감독의 그녀들의 방.
양익준 감독의 똥파리.
박진성 감독의 마녀의관.
김소영 감독의 민둥산.
손영성 감독의 약탈자들.
안슬기 감독의 지구에서 사는 법.
강미자 감독의 푸른강은 흘러라.
3. 3. 1. 파노라마
강철중: 공공의 적 1-1 (강우석 감독), 그 남자의 책 198쪽 (김정권 감독), 님은 먼곳에 (이준익 감독), 미쓰 홍당무 (이경미 감독), 히말라야 - 바람이 머무는 곳 (전수일 감독), 밤과 낮 (홍상수 감독), 슈퍼맨이었던 사나이 (정윤철 감독), 오이시맨 (김정중 감독), 우리생애 최고의 순간 (임순례 감독),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김지운 감독), 지금, 이대로가 좋아요 (부지영 감독), 추격자 (나홍진 감독) 등의 작품이 상영되었다. 이들 작품은 한국 상업 영화의 현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들로 꼽힌다.3. 3. 2. 비전
김곡 감독의 고갈.고태정 감독의 그녀들의 방.
양익준 감독의 똥파리.
박진성 감독의 마녀의관.
김소영 감독의 민둥산.
손영성 감독의 약탈자들.
안슬기 감독의 지구에서 사는 법.
강미자 감독의 푸른강은 흘러라.
3. 4. 월드 시네마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월드 시네마 부문에서는 아시아 외 지역의 다양한 영화들을 소개한다. 이 부문에는 타티아 로젠탈 감독의 ''$9.99'', 클레어 드니 감독의 ''35 럼샷'', 로니트 엘카베츠 감독의 ''7일장'', 크리스티나 부오지테 감독의 ''가일'', 프레디 마스 프란케사 감독의 ''꿈에서 깨어'', 아라쉬 T. 리아히 감독의 ''나에게 자유를'', 에밀리 아테프 감독의 ''내 안의 이방인'', 로드리고 플라 감독의 ''내안의 사막'', 라울 루이즈 감독의 ''누신젠 하우스'', 코르넬 문드럭초 감독의 ''델타'', 아르센 아자티안 외 1명이 감독한 ''돌아온 탕아'', 토아 프레이저 감독의 ''딘 스팬리'', 리오넬 바이에르 감독의 ''또 다른 남자'', 아미르 나데리 감독의 ''라스베가스의 꿈'', 피터 그리너웨이 감독의 ''램브란트의 심판'', 장 피에르 다르덴 감독의 ''로나의 침묵'', 리산드로 알론소 감독의 ''리버풀'', 테렌스 데이비스 감독의 ''리버풀의 추억'', 조엘 앤더슨 감독의 ''먼고 호수'', 미카엘라 파브라토바 감독의 ''밤 올빼미'', 괴츠 스필만 감독의 ''보복'', 루벤 외스트룬드 감독의 ''분멸없는 행동'', 안나 카리나 감독의 ''빅토리아'', 토니오 잔가르디 감독의 ''빗속의 산드린'', 카렌 샤흐나자로프 감독의 ''사라진 제국'', 도리스 되리 감독의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 세르게이 모크리츠키 감독의 ''사랑의 4중주'', 파블로 트라페로 감독의 ''사자굴'', 마우고시카 슈모프스카 감독의 ''삶의 서른세장면'', 필립 가렐 감독의 ''새벽의 경계'', 미카 카우리스마키 감독의 ''세 남자'', 압바스 파델 감독의 ''세상의 새벽'', 스티브 제이콥스 감독의 ''수치'', 고란 마르코비치 감독의 ''순회공연'', 에리카 던튼 감독의 ''스물 일곱살의 록스타'', 미할 로사 감독의 ''스크래치'', 프란코 브로지 타비아니 감독의 ''신은 병들었는가'', 클레어 사이먼 감독의 ''신의 사무실'', 누리 빌게 제일란 감독의 ''쓰리 몽키스'', 아톰 에고얀 감독의 ''애모'', 칼 베사이 감독의 ''어머니와 딸'', 레아 폴 감독의 ''엄마는 미용실에 계세요'', 애너 치 감독의 ''엄마의 장례식'', 크리스티안 페촐트 감독의 ''열망/Jerichow (film)영어'', 얀 트로엘 감독의 ''영원한 순간'', 벤트 하머 감독의 ''오슬로의 이상한 밤'', 페르잔 오즈페텍 감독의 ''운수 좋은 날'', 리처드 켈리 감독의 ''웬디와 루시'', 장 자비에 드 레스트라드 감독의 ''웰컴 홈'', 파올로 소렌티노 감독의 ''일 디보'', 르도리크 장 감독의 ''잃어버린 노래'', 프랑수아 롯제 감독의 ''젠의 이야기'', 장 스테판 소베르 감독의 ''조니 매드 독'', 안드레스 우드 감독의 ''좋은 인생'', 줄리엣 가르시아 감독의 ''착한 소녀'', 다리우스 가예브스키 감독의 ''쿠카 씨의 충고'', 아르노 데플레생 감독의 ''크리스마스 이야기'', 아르센 안톤 오스토이치 감독의 ''타인의 아들'', 데이비드 록세비지 감독의 ''태양의 그림자'', 마이클 레번 감독의 ''트리옴프'', 코트니 헌트 감독의 ''프로즌 리버'', 마이크 리 감독의 ''해피 고 럭키'', 에레나 타베르나 감독의 ''희소식'', 필립 그랑드리외 감독의 ''호수'', 크리스틴 몰리 감독의 ''헬렌'', 수아드 엘 부아티 감독의 ''프랑세즈'', 예심 우스타오글루 감독의 ''판도라의 상자'' 등 다양한 작품이 포함되었다.제목 | 감독 | 제작 국가 | ||||||||||||||||||||||||||||||||||||||||
---|---|---|---|---|---|---|---|---|---|---|---|---|---|---|---|---|---|---|---|---|---|---|---|---|---|---|---|---|---|---|---|---|---|---|---|---|---|---|---|---|---|---|
$9.99 | 타티아 로젠탈 | 이스라엘, 호주 | ||||||||||||||||||||||||||||||||||||||||
The 27 Club | 에리카 던턴 | 미국 | ||||||||||||||||||||||||||||||||||||||||
삶의 33 장면 | 마우고시카 슈모프스카 | 폴란드, 독일 | ||||||||||||||||||||||||||||||||||||||||
35 럼 샷 | 클레어 드니 | 프랑스, 독일 | ||||||||||||||||||||||||||||||||||||||||
애도 | 아톰 에고이안 | 캐나다 | ||||||||||||||||||||||||||||||||||||||||
Another Man | 리오넬 바이예 | 스위스 | ||||||||||||||||||||||||||||||||||||||||
꿈에서 깨어나다 | 프레디 마스 프랑케사 | 스페인, 폴란드 | ||||||||||||||||||||||||||||||||||||||||
Be Good | 줄리엣 가르시아스 | 프랑스, 덴마크 | ||||||||||||||||||||||||||||||||||||||||
체리 블로섬 | 도리스 되리 | 독일 | ||||||||||||||||||||||||||||||||||||||||
크리스마스 이야기 | 아르노 데스플레생 | 프랑스 | ||||||||||||||||||||||||||||||||||||||||
The Collectress | 크리스티나 부오지테 | 리투아니아 | ||||||||||||||||||||||||||||||||||||||||
세계의 새벽 | 아바스 파델 | 프랑스, 독일 | ||||||||||||||||||||||||||||||||||||||||
딘 스팬리 | 토아 프레이저 | 뉴질랜드, 영국 | ||||||||||||||||||||||||||||||||||||||||
델타 | 코르넬 문드럭초 | 헝가리, 독일 | ||||||||||||||||||||||||||||||||||||||||
내부의 사막 | 로드리고 플라 | 멕시코 | ||||||||||||||||||||||||||||||||||||||||
딤섬 장례식 | 안나 치 | 미국, 캐나다 | ||||||||||||||||||||||||||||||||||||||||
디스그레이스 | 스티브 제이콥스 |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영원한 순간들 | 얀 트로엘 |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 ||||||||||||||||||||||||||||||||||||||||
잠시, 자유를 위해 | 아라쉬 리아히 | 오스트리아, 프랑스 | ||||||||||||||||||||||||||||||||||||||||
Four Ages of Love | 세르게이 모크리츠키 | 러시아 | ||||||||||||||||||||||||||||||||||||||||
프랑세즈 | 수아드 엘-부아티 | 프랑스, 모로코 | ||||||||||||||||||||||||||||||||||||||||
새벽의 경계 | 필립 가렐 | 프랑스 | ||||||||||||||||||||||||||||||||||||||||
프로즌 리버 | 코트니 헌트 | 미국 | ||||||||||||||||||||||||||||||||||||||||
신의 사무실 | 클레어 시몽 | 프랑스, 벨기에 | ||||||||||||||||||||||||||||||||||||||||
굿 라이프 | 안드레스 우드 | 칠레, 스페인 | ||||||||||||||||||||||||||||||||||||||||
The Good News | 헬레나 타베르나 | 스페인 | ||||||||||||||||||||||||||||||||||||||||
해피-고-럭키 | 마이크 리 | 영국 | ||||||||||||||||||||||||||||||||||||||||
헬렌 | 크리스틴 몰로이, 조 로울러 | 아일랜드, 영국 | ||||||||||||||||||||||||||||||||||||||||
일 디보 | 파올로 소렌티노 | 이탈리아, 프랑스 | ||||||||||||||||||||||||||||||||||||||||
인볼런터리 | 루벤 외스틀룬드 | 스웨덴 | ||||||||||||||||||||||||||||||||||||||||
예리코 | 크리스티안 펫졸트 | 독일 | ||||||||||||||||||||||||||||||||||||||||
자니 매드 독 | 장-스테판 소베르 | 프랑스 | ||||||||||||||||||||||||||||||||||||||||
하나의 호수 | 필립 그랑드리외 | 프랑스 | ||||||||||||||||||||||||||||||||||||||||
레이크 뭉고 | 조엘 앤더슨 | 호주 | ||||||||||||||||||||||||||||||||||||||||
라이언스 덴 | 파블로 트라페로 | 아르헨티나, 대한민국 | ||||||||||||||||||||||||||||||||||||||||
리버풀 | 리산드로 알론소 |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프랑스, 스페인, 독일 | ||||||||||||||||||||||||||||||||||||||||
로르나의 침묵 | 장 피에르 다르덴, 뤽 다르덴 |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 | ||||||||||||||||||||||||||||||||||||||||
잃어버린 노래 | 로드리그 장 | 캐나다 | ||||||||||||||||||||||||||||||||||||||||
Maybe God Is Ill | 프랑코 브로기 타비아니 | 이탈리아 | ||||||||||||||||||||||||||||||||||||||||
엄마는 미용실에 | 레아 풀 | 캐나다 | ||||||||||||||||||||||||||||||||||||||||
엄마와 딸들 | 칼 베사이 | 캐나다 | ||||||||||||||||||||||||||||||||||||||||
미스터 쿠카의 조언 | 다리우스 가제프스키 | 폴란드, 오스트리아 | ||||||||||||||||||||||||||||||||||||||||
Night Owls | 미하엘라 파블라토바 | 체코 | ||||||||||||||||||||||||||||||||||||||||
아무도 아들 | 아르센 안톤 오스토이치 | 크로아티아 | ||||||||||||||||||||||||||||||||||||||||
누생겐 하우스 | 라울 루이스 | 프랑스, 칠레 | ||||||||||||||||||||||||||||||||||||||||
오 호르텐 | 벤트 하메르 | 노르웨이, 독일 | ||||||||||||||||||||||||||||||||||||||||
시간과 도시에 관하여 | 테렌스 데이비스 | 영국 | ||||||||||||||||||||||||||||||||||||||||
판도라의 상자 | 예심 우스타오글루 | 터키, 벨기에, 프랑스, 독일 | ||||||||||||||||||||||||||||||||||||||||
어 퍼펙트 데이 | 페르잔 오즈페테크 | 이탈리아 | ||||||||||||||||||||||||||||||||||||||||
'3. 5. 와이드 앵글와이드 앵글은 단편 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들을 소개하는 부문이다.BIFF 메세나상 수상작 선재상 수상작 상영작
심사위원단(BIFF 메세나상): 안중숙(전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장-피에르 렘(마르세유 국제 다큐멘터리 영화제 집행위원장), 장셴민(중국 영화 교수) 심사위원단(선재상): 김조광수(대한민국 영화 제작자), 로제 고냉(프랑스 감독), 칼리다 우아붐룽짓(태국 프로젝트 감독) 3. 5. 1. BIFF 메세나상 수상작워낭소리 - 이충렬 수상멘탈 - 소다 카즈히로 수상 3. 5. 2. 선재상 수상작아들의 여자 - 홍성훈 수상꼬마 안동 - 롬멜 톨렌티노 수상 3. 5. 3. 상영작
3. 6. 플래시 포워드플래시 포워드는 유럽 영화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소개하는 부문이다.
3. 7. 오픈 시네마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오픈 시네마는 대중성과 작품성을 겸비한 영화들을 야외 상영관에서 상영하는 부문이다. 상영작은 다음과 같다.
3. 8. 미드나잇 패션미드나잇 패션은 심야 상영에 어울리는 스릴러, 공포, SF 등 장르 영화들을 소개하는 부문이다. 헨리크 루벤 겐즈의 무서운 행복, 조치엔의 버튼맨, 제니퍼 챔버스 린치의 서베일런스, 래리 찰스의 리리글루우스, 츠카모토 신야의 악몽탐정 2, 츠루타 노리오의 오로치, 세르지오 루비니의 오해의 눈빛, 루퍼트 와이어트의 이스케피스트, 바벳 슈로더의 인주, 마브룩 엘 메크리의 장 클로드 반담, 사카모토 준지의 카멜레온, 피터 플린스의 템플 기사단이 상영되었다.3. 9. 애니 아시아!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애니 아시아!'는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소개하는 부문이다. 나타퐁 랏타나촉시리쿤의 낙, 싱이탐 스리니마사 라오의 마법사 가투, 린 스렌의 마주, 안와르디 자밀의 부닥 라폭, 크리스만 와타나나롱의 부처의 일생, 필 미첼의 새벽을 기다리는 노래, 코바야시 마코토의 아이스, 민경조의 파인딩 노스, 라몬 엔티엔자의 우르두자, 아누락 가쉬얍의 하누만의 귀한 등이 상영되었다.4. 특별전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여러 특별전이 진행되었다.
특별기획 프로그램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단편 영화들을 모아 상영했다.
4. 1. 한국영화회고전: 한형모와 김기영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한국 영화사의 대표적인 감독인 한형모와 김기영의 작품을 상영한다.
4. 2. 타비아니 형제 특별전이탈리아의 대표적인 형제 감독인 타비아니 형제의 작품인 굿모닝 바빌론, 로렌조의 밤, 밤에도 태양이, 종달새 농장, 친화력, 카오스, 빠드레 빠드로네, 피오릴레가 상영된다.4. 3. 루마니아 뉴웨이브 특별전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루마니아 영화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소개하는 특별전을 개최했다. 이 특별전에서는 크리스티 푸이유, 크리스티안 문주, 코르넬리우 포룸보이우 등 루마니아 뉴웨이브를 대표하는 감독들의 작품이 상영되었다.4. 4. 아시아 컬트 영화 특별전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아시아 각국의 컬트 영화들을 소개하는 특별전이 진행되었다. 이 특별전에서는 다양한 국가의 작품들이 소개되었는데, 타비아니 형제의 굿모닝 바빌론, 로렌조의 밤, 밤에도 태양이, 종달새 농장, 친화력, 카오스, 빠드레 빠드로네, 피오릴레가 포함되었다.아드리안 시타루의 기묘한 피크닉, 크리스티 푸이유의 길 위의 비즈니스, 크리스티안 문주의 내겐 너무 멋진 서쪽 나라, 코르넬리우 포룸보이우의 리비우의 꿈, 크리스티앙 네메스쿠의 마릴레나, 마리안 크리산의 메가트론, 보그단 무스타타타의 수영하기 좋은 날, 라두 문틴의 암호명, 라두 쥬드의 어느 일요일, 안카 다미안의 크로싱 데이트, 카탈린 미투레스쿠의 트래픽, 토마스 치우레이의 플라워 브리지도 상영되었다. 나가이시 타카오의 가면라이더: 더 퍼스트, 라케쉬 로샨의 수퍼 히어로 끄리쉬, 페크 갈라가 외 1명의 다르나, 릴릭 수지오의 다르나 아자이브, 반디드 통디의 머큐리맨, 샨화의 슈퍼 인프라맨, 코바야시 츠네오의 월광가면, 유스리 압둘 하림의 치착맨 2, 맥 C. 알레한드레의 캡틴 바벨, 신동헌의 홍길동전, 애드윈 외 다수의 9808, 아누락 카쉬얍 외 다수의 뭄바이 커팅, 웡칭포 외 다수의 사랑의 연대기, 용유스 통콘턴의 사색공포, 김태용 외 다수의 시선 1318, 니아 디나타 외 다수의 연꽃의 노래, 최양일 외 다수의 ABC 단편영화도 특별전에 포함되었다. 4. 5. 특별기획 프로그램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단편 영화들을 모아 상영하는 특별기획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루마니아 단편 특별전 - 루마니아 뉴웨이브의 최전선: 크리스티 푸이유 감독의 《길 위의 비즈니스》, 코르넬리우 포룸보이우 감독의 《리비우의 꿈》, 마리안 크리산 감독의 《메가트론》 등 루마니아 뉴웨이브를 대표하는 감독들의 단편 영화들이 소개되었다. 아시아 단편 특별전 1 - 아시아 영화의 힘: 신동헌 감독의 《홍길동전》, 반디드 통디 감독의 《머큐리맨》, 샨화 감독의 《슈퍼 인프라맨》 등 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단편 영화들이 상영되었다. 아시아 단편 특별전 2 - 아시아의 신작 단편: 애드윈 외 다수가 제작한 《9808》, 아누락 카쉬얍 외 다수가 제작한 《뭄바이 커팅》, 김태용 외 다수가 제작한 《시선 1318》 등 아시아 신인 감독들의 단편 영화들이 소개되었다. 월드시네마 단편: 타비아니 형제 감독의 《굿모닝 바빌론》, 《로렌조의 밤》, 《밤에도 태양이》, 《종달새 농장》, 《친화력》, 《카오스》, 《빠드레 빠드로네》, 《피오릴레》 등이 상영되었다. 애니 아시아!: 안카 다미안 감독의 《크로싱 데이트》가 상영되었다. 스페셜 프로그램 - 컬렉션: 최양일 외 다수가 제작한 《ABC 단편영화》가 상영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Pusan Film Festival opens amid Korean movie slump
https://www.taiwanne[...]
2008-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