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신속대응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신속대응사단은 2021년 1월 1일 경기도 양평군에서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제7기동군단 예하 사단이다. 과거 해체된 제2보병사단의 상징 명칭과 부대 표지를 계승했으며, 제201신속대응여단과 제203신속대응여단을 예하에 두고 공격 및 공중 강습 임무를 수행한다. 1947년 제2여단으로 시작하여 제2사단으로 승격되었으며,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속대응군의 부대 및 편성 - 제18공수군단
제18공수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둔다. - 신속대응군의 부대 및 편성 - NATO 대응군
NATO 대응군은 위기 발생 시 신속 투입되어 위기 억제, 평화 유지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신속 대응 전력으로, 육해공군 및 특수부대 등으로 구성되며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처음 활성화된 이후 규모가 확대되었다. - 양평군 소재의 관공서 - 제20기계화보병사단
제20기계화보병사단은 1953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대간첩 작전 및 최전방 경계 임무를 수행했으며,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 작전에 투입된 후 기계화 보병 사단으로 개편되었으나 2019년 해체되어 제11기동사단으로 통합되었다. - 양평군 소재의 관공서 - 양평소방서
양평소방서는 경기도 양평군을 관할하며 2004년에 개서했고, 넓은 관할 구역과 많은 소방 인력 및 장비를 갖춘 소방서이다.
제2신속대응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부대 명칭 | 제2신속대응사단 |
원어 명칭 | 第二迅速對應師團 |
로마자 표기 | Je-i sin-sok dae-eung sa-dan |
한자 표기 | 第二迅速對應師團 |
별칭 | 노도부대 (怒濤部隊) |
영어 명칭 | 2nd Quick Response Division |
창설일 | 1949년 5월 12일 |
해체일 | 2019년 12월 6일 (제2보병사단) |
재창설일 | 2021년 1월 1일 |
종류 | 신속대응부대, 공수부대 |
역할 | 신속대응 작전 |
규모 | 사단 |
상위 부대 | 제7기동군단 |
주둔지 | 경기도 양평군 |
별명 | 노도 (No-Do / Furious Wave) |
사단가 | 2신속대응사단가 |
전신 | 제2보병사단 |
지휘관 | |
현재 사단장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장광선 |
주요 지휘관 | 대령 유승렬 |
이전 사단장 | [[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임태호 (육사 51기) |
상징 | |
![]() | |
전투 및 훈련 | |
참전 | 한국 전쟁 |
참전 전투 | 작전명 포크풍 의정부 전투 (1950년) 제3차 서울 전투 |
기타 | |
특이 사항 | 육해공 동시 공격 가능한 대한민국 최초의 공수사단 |
2. 역사
2021년 1월 1일 경기도 양평군에서 제7기동군단 예하 사단으로 창설되었다.[17] 2019년 12월에 해체된 옛 제2보병사단의 상징명칭인 "노도부대"와 부대표지[18]를 계승하였다. 사단 창설과 함께 기존에 제2작전사령부에 배속되어 있었던 제201특공여단과 제203특공여단을 각각 제201신속대응여단과 제203신속대응여단으로 개편하여 예하에 배속받았다.
1950년 12월 26일부터 중국 공산군은 서울 서부 방면에서 유엔군 부대를 강력하게 공격했다. 중공군은 대한민국 육군 부대를 맹렬히 공격했고, 여러 부대가 붕괴되었다. 제2사단의 3개 연대 중 2개 연대가 전장을 이탈했으며, 제17연대는 막대한 손실에도 불구하고 수 시간 동안 고립된 채로 진지를 사수해야 했다. 매슈 리지웨이 장군은 마지못해 전반적이고 질서 있는 철수를 명령했으며, 부대들에게 적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 단순히 영토를 포기하는 대신, 후퇴하는 동안 적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지시했다.[2]
2. 1. 창설 및 한국전쟁 이전
1947년 12월 1일 대전에서 제2여단이 창설되었다. 1949년 5월 12일 제2보병사단으로 승격되었다. 예하 부대가 여수·순천 사건 진압에 투입되었다. 이때 이승만 대통령이 반란에 연루된 군인들을 진압하는 모습을 "여름의 노도(怒濤)를 보는 것 같다"고 표현한 것이 부대 애칭의 유래가 되었다. 같은 해 11월부터 안동 지역에서 공비 토벌 작전에 종사했다. 1950년 4월 다시 대전에 주둔했다.창설 초기에는 제2연대(연대장: 최덕신 소령), 제3연대(연대장: 임선하 소령), 제4연대(연대장: 이한림 소령)로 편성되었지만, 이들은 다른 부대에 편입되었고, 1950년 6월 시점에서는 제5연대(연대장 대리: 박기성 중령), 제16연대(연대장: 문용채 대령)의 2개 연대 편성이었다.
2. 2. 한국전쟁
한국 전쟁이 발발했을 때, 사단 사령부와 제5연대는 대전, 제16연대는 청주에 주둔하고 있었다. 제5연대와 제16연대는 의정부에 투입되어 괴멸되었다(의정부 전투).[3]서울 함락 후, 제3연대(연대장: 이상근 대령), 제5연대(연대장: 최창언 대령), 제16연대 등으로 혼성 제2사단으로 재편성되어 한강을 방어했다(한강 방어선 전투). 한강 방어선이 붕괴되자 7월 5일 새벽부터 증평-청주에서 제16연대, 제20연대(연대장: 박기병 대령)로 재편성되어 제1군단 예비로 묶였다.[3]
1950년 7월 25일, 대구 지구 방위 사령부에 편입되었다.[3]
1950년 11월 17일, 서울에서 제17연대, 제31연대, 제32연대에 의해 재편성되었다. 금화-철원-평강의 게릴라 토벌에 임명되었다.[3] 1950년 12월 10일, 제3군단에 편입되었다.[4]
1951년 1월, 중국 인민지원군의 남하로 인해 제1선에 투입되었으나, 정월 공세를 받아 피해를 입어 후방의 소백산 남동쪽 기슭에 집결시켜 경비와 재편성에 힘썼다.[5]
1951년 2월, 미국군 제1해병사단으로부터 게릴라 토벌 임무를 계승했다. 토벌은 같은 해 4월 25일까지 계속되었다.[6] 같은 해 4월 28일, 미국군 제9군단에 편입되었다.
1952년 3월 30일, 작전 지역을 미국군 제40사단에 인계하고 예비가 되었으며, 4월 21일부터 6월 15일까지 부대 정비와 교육 훈련을 실시했다.
6월 26일자로 금화 지역에 진출하여, 미국군 제40사단의 작전 지역을 계승하여 동 지역의 방어를 맡았다. 같은 해 10월부터 저격능선을 두고 중국군 제15군 제45사단과 교전하여, 동지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12월 1일부터 20일까지 부대 정비와 교육 훈련을 실시했다. 같은 해 12월 29일, 철원 지역(화살머리고지-중강리)에 배치되었다.
1953년 1월 10일, 제7포병단 배속되었다.
1953년 7월 6일부터 화살머리고지에 중국군 제23군 제73사가 공격을 시작했다. 전투는 7월 11일까지 계속되었고, 최종적으로 제2사단은 동지를 지켜냈다.
2. 3. 한국전쟁 이후
1953년 휴전 이후, 제2보병사단은 울진·삼척, 대암산 지역 등에서 10차례의 대간첩 작전을 수행하였다.[3]1968년에는 수색 중대를 창설하였고, 1976년에는 전군에서 유일하게 대대 규모의 스키 부대인 설호 부대를 운용하였다.[4] 설호 부대는 1981년까지 운용되었다.[5]
2019년 12월 6일, 국방개혁 2.0에 따라 제2보병사단은 해체되었다.[6] 이후 2021년 1월 1일 경기도 양평군에서 제7기동군단 예하 제2신속대응사단이 창설되면서, 제2보병사단의 상징 명칭인 "노도부대"와 부대 표지를 계승하였다.[17][18]
3. 편제
제2신속대응사단은 직할대와 제201신속대응여단, 제203신속대응여단의 2개 여단으로 편제되어 있다. 직할대는 전투지원대대, 정보통신대, 본부근무대, 선견대로 구성된다.[19][20] 각 여단은 3개의 신속대응대대와 1개의 포병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3. 1. 현재 편제 (2021년~)
- '''직할대'''
- * 전투지원대대
- * 정보통신대
- * 본부근무대
- * 선견대
- 제201신속대응여단[19]
- * 제1신속대응대대 (독수리)
- * 제2신속대응대대 (비호)
- * 제3신속대응대대 (백호)
- * 제959포병대대
- 제203신속대응여단[20]
- * 제1신속대응대대
- * 제2신속대응대대
- * 제3신속대응대대
- * 제531포병대대
3. 2. 과거 편제
과거 제2신속대응사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본부
- 본부 근무대
- 전투 지원대
- 통신대
- 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1신속대응여단 본부 및 본부 근무대
- 제1신속대응대대
- 제2신속대응대대
- 제3신속대응대대
- 포병대대
- 제203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본부 및 본부 근무대
- 제1신속대응대대
- 제2신속대응대대
- 제3신속대응대대
- 포병대대
4. 역대 지휘관
대 | 성명 | 재임 기간 | 출신 학교 | 전직 | 후직 | 비고 |
---|---|---|---|---|---|---|
1 | 원용덕 | 1947.12.1 - 1949.1.15 | 세브란스 의과 전문학교 군영 1기 | 제8연대장 | 제5여단장 | |
2 | 채원개 | 1949.1.15 - 1949.5.12 | 낙양강무당 경사 3기 | 제3여단장 | ||
3 | 유승렬 | 1949.5.12 - 1949.7.30 | 일본 육사 26기 | 제1사단장 | 경상북도 편성관구 사령관 | |
4 | 송호성 | 1949.7.30 - 1950.1.5 | 한단군사강습소 경사 2기 | 제5사단장 | 청년방위대 고문단장 | |
5 | 유재흥 | 1950.1.5 - 1950.6.10 | 일본 육사 55기 군영 1기 | 제6사단장 | 제7사단장 | |
6 | 이형근 | 1950.6.10 - | 일본 육사 56기 군영 1기 | 제8사단장 | 제3군단장 | |
7 | 임선하 | 1950.6.28? - 1950.7.1 | 군영 1기 | 보병학교 부교장 | 제1군단 참모장 | 대령 |
8 | 이한림 | 1950.7.1 - 1950.7.25 | 동덕대 2기 일본 육사 57기 | 육사 부교장 | 제2군단 부군단장 | |
9 | 함병선 | 1950.11.6 - 1952.7.29 | 군영 1기 | 제2연대장 | 교육총감 겸 전라남도 지구 징수 사령관 | 준장 1952년 5월 소장 |
10 | 정일권 | 1952.7.29 - 1952.10.31 | 봉천 5기 일본 육사 55기 군영 1기 | 참모총장 | 미 제9군단 부군단장 | 중장 |
11 | 강문봉 | 1952.10.31 - 1953.4.22 | 동덕대 5기 일본 육사 59기 군영 1기 | 제1군단 부군단장 | 미 제10군단 부군단장 | |
12 | 김웅수 | 1953.4.22 - 1953.11.29 | 군영 1기 | 제2군단 참모장 | 제1군 참모장 | |
13 | 강영훈 | 1953.11.29 - 1954.5 | 군영 1기 | 국방부 차관 | 연합참모본부장 | |
14 | 박현수 | 1954.5 - 1955 | 제20사단장 | |||
15 | 문형태 | 1955 - 1956.11 | 경사 2기 | 제1야전군 작전참모 | 제20보병사단장 | |
16 | 임충식 | 1956.11 - 1957.5 | 경사 1기 | 제1사단장 | 제6군단장 | |
17 | 박기병 | 1957 - 1958 | 군영 1기 | 제15사단장 | 군사연구발전국장 | |
18 | 송효순 | 1959 - 1961 | 경사 2기 | 제30사단장 | 예비역 | 준장 |
19 | 한태원 | 1961 - ? | ||||
20 | 이규삼 | ? - 1963 | ||||
21 | 송호림 | 1963 - ? | 경사 2기 | 전라남도 지사 | 제2사관학교 교장 | |
23 | 김학원 | 1967 - 1969.11.25 | 육사 5기 | 수도사단장 | ||
27 | 최성택 | ? - 1976? | 육사 11기 | 육본 교육참모부 개인교육처장 | 하나회 | |
30 | 김국경[7] | 1980 - 1983? | 종합 14기 | 제1군 참모장 | ||
32 | 고진석 | ? - ? | 육사 16기 | |||
33 | 박광영 | ? - ? | 육사 19기 | 수도군단장 | ||
34 | 도일규 | ? - 1992? | 육사 20기 | 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처장 |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참모 | |
35 | 이호승[8][9] | ? - ? | 육사 22기 | 제8군단장 | ||
37 | 김희중[9] | ? - ? | 육사 25기 | 특전사령관 | ||
39 | 김병관 | 1999 - 2001 | 육사 28기 | 육군대학 교수부장 | 합참본부 전력기획부장 | |
40 | 민경백 | 2001 - 2003.4.28[10] | 육사 29기 | 제1군 참모장 | ||
41 | 한기호 | 2003.4.28 - 2005.5.6 | 공학 학사 | 제1군사령부 작전처장 | 육본 정보작전부장 | |
42 | 이한홍 | 2005.5.6[11] - 2007.5.3 | 학군 13기 | 교육사령부 | ||
43 | 주용수 | 2007.5.3[12] - 2009.4.28 | 육사 34기 | |||
44 | 이순진 | 2009.4.28[13] - 2011.4.29 | 3사 14기 | 육군부사관학교장 | 합참 군사지원본부 군민심리전부장 | |
45 | 고현수 | 2011.4.29[14] - 2013.4.26 | 학군 20기 | 육군 포병학교 교수부장 | 육군본부 감찰실장 | |
46 | 이종섭 | 2013.4.26 - 2015.4.15 | 육사 40기 | 국방부 정책기획차장 | 합동참모본부 | |
47 | 김종문 | 2015.4.15[15] | 육사 42기 | 1포병여단장 | 합동참모본부 신연합방위추진단장 | |
48 | 한영훈 | 2017.9 | 육사 44기 | 육군인사사령부 | 합동참모본부 인사부장 | 소장 |
49 | 장광선 | 2019.5 - 2019.12 | 3사 25기 | 제2작전사령부 교육훈련처장 | 제2신속대응사단 창설 준비 | 2021년 12월 중장 |
참조
[1]
서적
The Korean War: The Outbreak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1-04-17
[2]
서적
The Korean War: The Chinese Intervention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7-23
[3]
서적
対ゲリラ戦
原書房
[4]
서적
韓国戦争第3巻 中共軍の介入と国連軍の後退
かや書房
[5]
서적
対ゲリラ戦
原書房
[6]
서적
対ゲリラ戦
原書房
[7]
웹사이트
陸軍少将 金國卿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017-09-12
[8]
뉴스
【대전/충남】한남대 국방정책과 '별들의 강의' 관심
https://www.donga.co[...]
2009-09-18
[9]
뉴스
【양구】양구 거쳐간 장군들 승승장구
https://m.kwnews.co.[...]
2014-04-23
[10]
뉴스
韓起鎬第2師団長就任
http://www.kado.net/[...]
2003-04-29
[11]
뉴스
師団長就任式 イ・ハンホン2師団長(''사단장 취임식이한홍 2사단장'')
http://www.kado.net/[...]
2005-05-07
[12]
뉴스
陸軍2師団長離・就任式(''육군 2사단장 이·취임식'')
http://www.kado.net/[...]
2007-05-04
[13]
뉴스
軍威人、李淳鎮少将陸軍2師団長に就任(''군위인, 이순진 소장 육군 2사단장 취임'')
http://www.gunwinews[...]
2009-05-04
[14]
뉴스
陸軍怒涛部隊長に就任(''육군 노도부대장 취임'')
http://m.chamnews.ne[...]
2011-04-30
[15]
뉴스
「最精鋭山岳師団育成」…キム・ジョンムン2歩兵師団長就任(''"최정예 산악사단 육성"…김종문 2보병사단장 취임'')
http://news1.kr/arti[...]
2015-04-15
[16]
뉴스
"[단독]\"송영무 아이디어\" 육해공 동시공격 韓최초 공수사단"
https://n.news.naver[...]
2021-01-01
[17]
뉴스
육군 신속대응사단 창설…테러·국지도발 등 '즉각 투입'
https://n.news.naver[...]
2021-01-01
[18]
문서
제2신속대응사단의 부대표지는 기존 [[제2보병사단 (대한민국)|제2보병사단]]의 부대표지에서 공중강습 신속대응부대로서의 특성을 강조하는 "AIRBORNE"이 적힌 리본이 상단에 추가된 형태이다.
[19]
문서
구 제201특공여단
[20]
문서
구 제203특공여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