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르멘 드 스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르멘 드 스탈은 프랑스 혁명 시기 활동한 스위스 출신 작가이자 사상가이다. 그는 은행가 자크 네케르의 딸로, 살롱 문화를 통해 지적 교류를 했으며, 저서 《문학론》, 《독일론》 등을 통해 문학, 정치, 여성 문제에 대한 자유주의적 사상을 펼쳤다. 나폴레옹과 대립하여 추방당하는 등 망명 생활을 하였으며,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이자 여성 권리 옹호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여성주의자 - 미리암 칸
미리암 칸은 스위스 출신의 화가로, 페미니즘, 아동 위험, 여성 의식 등을 주제로 성기 관련 폭력적 표현을 담은 회화와 드로잉 작품을 선보이며,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활발하게 전시 활동을 펼치고, 주요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 18세기 스위스 사람 - 요한 베르누이
요한 베르누이는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 미적분학, 특히 미분 방정식과 변분법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사슬선의 방정식 발견과 지수 함수의 미적분법 확립 등으로 유명하지만, 가족과의 갈등과 업적 가로채기 시도는 그의 명성에 오점을 남겼다. - 18세기 스위스 사람 - 다니엘 베르누이
다니엘 베르누이는 스위스 출신의 수학자, 물리학자, 의사로 유체역학, 특히 베르누이 원리로 유명하며, 유체 운동 이론 제시, 기대효용 이론 연구, 천연두 예방 접종 효과 분석 등 다양한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 19세기 스위스 사람 - 라이너 마리아 릴케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20세기 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독일어 시인이자 소설가, 서간 작가로, 그의 작품은 삶의 경험과 연관되어 종교적 신비주의, 죽음과 실존, 예술가의 고뇌 등을 다루며 20세기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스위스 사람 -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스위스의 역사학자이자 미술사학자로, 르네상스 시대를 연구하고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를 저술하여 미술사 연구에 기여했으며, 예술, 문화, 미적 표현의 가치를 강조했다.
제르멘 드 스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안 루이즈 제르멘 네케르 |
출생 | 1766년 4월 22일 |
출생지 | 파리, 프랑스 |
사망 | 1817년 7월 14일 (51세)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가족 | |
배우자 | 에리크 망누스 스탈 폰 홀슈타인 (1786년 결혼, 1802년 사별) 알베르 장 미셸 드 로카 (1816년 결혼, 1818년 사별) |
부모 | 자크 네케르 쉬잔 퀴르쇼 |
경력 | |
직업 | 비평가, 소설가, 작가 |
활동 기간 | 1788년 - 1817년 |
사상과 영향 | |
사조 | 낭만주의 |
주요 관심사 | 코스모폴리터니즘 대의 정부 입헌주의 |
주요 작품 | |
주요 작품 | 델핀 (1802년) 코린 또는 이탈리아 (1807년) 독일론 (1813년) |
데뷔 작품 | 『루소의 성격 및 저작에 관한 편지』 |
서명 | |
![]() |
2. 생애
'''제르멘 드 스탈'''(Germaine de Staël)은 1766년 4월 22일 파리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안루이즈제르멘 네케르'''(Anne-Louise-Germaine Necker)이다. 아버지는 은행가이자 루이 16세의 재무장관을 지낸 자크 네케르이다.
어린 시절 아버지와 함께 망명 생활을 하며 귀족으로서 방랑 생활을 하였다. 1788년 《루소의 성격과 저작에 관한 편지》를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이성과 언론'에 의한 정부를 주장한 그의 열렬한 자유주의 사상은 나폴레옹과 대립했고, 유럽 각국으로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
스위스의 정치가이자 재정가인 자크 네케르의 딸로, 파리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부모님을 따라 백과전서파 철학자와 문학가가 모이는 살롱에 드나들며 재능을 칭찬받았다. 1786년 파리에 거주하는 스웨덴 대사인 스탈-홀슈타인 남작과 결혼했지만, 2년 후 별거 상태가 되었다.
1788년 『루소의 성격 및 저작에 대한 편지』로 문단에 이름을 알렸다. 프랑스 혁명 당시에는 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외국 대사의 아내라는 신분을 활용, 생명의 위험에 처한 친구들의 신변 안전을 확보하는 데 힘썼다. 몽모렌시-라발 공작, 나르본느-라라 백작, 탈레랑 등과 이 시기에 특히 친밀했으며, 특히 나르본느-라라와는 선을 넘는 관계였다고 한다.
혁명에 대한 온건적인 정치 자세는 결국 반감을 사게 되었고, 아버지의 영지인 스위스 코페로 망명하여 파리를 왕복했다. 이때 뱅자맹 콩스탕을 알게 된다.
1795년 『소설론』을 발표하여 독일의 대문호 괴테로부터 극찬을 받았고, 괴테가 직접 독일어 번역을 했다. 1796년 발표한 『개인과 국민에게 미치는 정열의 영향에 대하여』는 도덕주의적 입장에서 쓰인 열정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였다. 프랑스 혁명이 온건하고 평화적인 입헌 군주제와는 거리가 멀어지고 격렬해지는 것을 우려하여, 마리 앙투아네트의 사면을 간청하는 논문 등을 썼다. 1799년에는 남편 스탈-홀슈타인 남작과 정식으로 이혼했고, 남작은 1802년에 사망했다. 탈레랑을 프랑스 정계에 발탁한 것도 당시 연인이었던 그녀였다.
1800년 발표한 『문학론』에서는 문학가의 반전제적 사명과 문학가의 자유를 강조했고, 나폴레옹의 심기를 거스르게 된다. 1801년 나폴레옹이 로마 교황과 콩코르다트를 체결하여 가톨릭과 화해하자, 가톨릭의 미신성 등을 논한 소설 『델핀』(1802년)을 출판했고, 나폴레옹은 격노하여 결국 그녀는 파리에서 추방당했다.
그 후, 독일로 여행하여 프랑크푸르트, 바이마르, 베를린 등을 방문했다. 아버지의 죽음을 겪은 후, 이탈리아로 떠났다. 이후 코페에서 살롱 활동에 열중하며, 많은 사람들과 비평을 주고받았다. 이 무렵, 이탈리아의 천재적인 여성 시인 코린느의 운명을 그린 소설 『코린느 또는 이탈리아』(1805년)를 발표했다.
독일, 오스트리아로 여행을 떠나며 주변 국가의 반나폴레옹 사람들을 아군으로 만들었다. 두 번의 독일 여행과 가정교사로 고용한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의 도움을 받아 독일인의 민족성과 낭만주의를 다룬 『독일론』 출판을 위해 파리로 향했지만, 프랑스의 자문화 중심주의를 비판하고 독일 문화의 중요성을 설파한 것으로 나폴레옹의 분노를 사 출판 금지 처분을 받았다. 그녀는 위험 인물로 간주되어 감시를 받게 되었다. 1812년 20살 이상 연하의 장교 알베르 데 로카와 재혼, 오스트리아, 러시아, 스웨덴, 영국으로 가서 1813년 영국에서 『독일론』을 발간했다.
1814년 나폴레옹 체제가 붕괴되어 파리로 돌아왔다. 나폴레옹 포위망에 결집하고 나폴레옹의 정적인 스웨덴 왕세자 베르나도트를 옹립하여 입헌 군주제의 성립을 위해 유럽 각국을 순회하며 베르나도트를 홍보하는 책략을 펼쳤다.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의 지지도 얻었으나, 결과는 부르봉 왕가에 의한 왕정 복고였다. 1816년 『도망 10년』, 『프랑스 혁명에 대한 고찰』을 출판했으나, 이 무렵 살롱에서 예전과 같은 그녀의 모습은 없었다고 한다.
말년에는 아편을 상용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뇌출혈로 쓰러져 반신불수가 되었고, 1817년 51세의 나이로 파리에서 사망했다. 스탈 부인의 재혼 상대인 로카도 그로부터 1년도 지나지 않아 결핵으로 사망했다.
후손으로는, 프랑스 총리를 지낸 제4대 브로이 공작 알베르 드 브로이 (스탈 부인과 첫 번째 남편인 홀슈타인의 딸 알베르틴의 아들), 그리고 그의 손자로 1929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제7대 브로이 공작 루이-빅토르-피에르-레이몽 드 브로이가 있다.
2. 1. 어린 시절
제르멘 드 스탈은 1766년 4월 22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안루이즈제르멘 네케르(Anne-Louise-Germaine Necker)이다. 브란덴부르크 출신 변호사이자 교수였던 카를 프리드리히 네케르의 아들 자크 네케르는 뛰어난 제네바 주의 은행가이자 정치가였으며, 루이 16세 밑에서 재정 총감독관을 지냈다. 어머니 쉬잔 쿠르쇼는 수학과 과학에 재능이 있던 스위스 가정교사였다.[9]어린 시절 제르멘은 어머니에 의해 스위스 철학자 장자크 루소의 원칙에 따라 교육받았고, 아버지로부터는 지적인 엄격함과 칼뱅주의 규율을 배웠다.[9] 금요일마다 어머니는 제르멘을 살롱에 데려갔고, 제르멘은 어린 나이에도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 장 프랑수아 마르몽텔, 프리드리히 멜키오르 폰 그림, 에드워드 기번, 레날 신부, 장 프랑수아 드 라 아르프, 자크앙리 베르나르댕 드 생 피에르, 드니 디드로, 장 르 롱 달랑베르 등 당대 유명 인사들과 대화를 나누었다.[10] 13세 때, 몽테스키외, 셰익스피어, 루소, 단테를 읽었다.[11]
1784년 가족은 제네바 호수에 있는 저택인 샤토 드 코페에 정착했다.[12]
2. 2. 결혼과 초기 작품 활동
1786년 스탈-홀슈타인 남작과 정략 결혼을 했으나, 1788년 별거하고 1799년에 정식으로 이혼했다. 결혼식은 바크 거리 97번지의 파리 주재 스웨덴 대사관에서 열렸으며, 당시 제르멘은 19세, 남작은 37세였다. 이 결혼은 양측 모두에게 실리적인 선택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서로 간의 큰 애정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남작은 도박꾼이었는데, 결혼을 통해 8만 프랑스 리브르를 받는 등 큰 이익을 얻었고, 파리의 종신 대사로 확정되었다.[16]1788년 『루소의 성격 및 저작에 대한 편지』를 발표하여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15] 드 스탈 부인은 3막 낭만극 ''소피''(1786)와 5막 비극 ''잔 그레이''(1787)를 포함한 다양한 작품들을 썼다. 1802년 남작이 사망했다.
2. 3. 프랑스 혁명과 망명
1788년에 쓴 『루소의 성격 및 저작에 대한 편지』로 문단에 인정받았다.[17] 이 당시 드 스탈은 루소의 사랑에 대한 생각과 몽테스키외의 정치에 대한 생각을 혼합한 것에 열광했다.[18]프랑스 혁명 때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외국 대사의 아내라는 신분을 활용하여 혁명이 격화되는 가운데 생명의 위험에 처한 친구들의 신변 안전을 확보하는 데 힘썼다. 몽모렌시-라발 공작, 나르본느-라라 백작, 탈레랑 등과 이 시기에 특히 친밀했다. 특히 나르본느-라라와는 선을 넘는 관계였다고 한다.
1791년 프랑스 입법 선거 이후, 그리고 1791년 프랑스 헌법이 국민 의회에서 발표된 후, 그녀는 정치 경력에서 사임하고 재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순수 미술과 문학이 내 여가를 채울 것이다."[26] 그러나 그녀는 아르망 마르크 드 몽모랭 백작의 외무 장관 승계와 나르본의 육군 장관 임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계속해서 배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27] 마리 앙투아네트는 한스 악셀 폰 페르센에게 "루이 드 나르본 백작이 어제부터 마침내 육군 장관이 되었으니, 이는 스탈 부인에게는 영광이며, 그녀가 온 군대를 혼자 갖게 된 것은 얼마나 기쁜 일인가."라고 썼다.[28]
1792년 8월 10일 클레르몽-토네르 백작은 루브르 궁전의 창밖으로 던져져 짓밟혀 죽었다. 드 스탈은 피에르 빅토르 말루에 남작에게 왕족이 디에프로 탈출할 수 있는 계획을 제안했다.[30] 8월 20일 나르본은 독일 여권을 가지고 영국에 도착했다.
1792년 9월 2일, 국민 공회 선거와 9월 학살이 시작된 날, 그녀는 대사의 복장을 하고 스스로 도망쳤다. 그녀의 마차가 멈춰 섰고 군중들은 그녀를 파리 시청으로 몰아넣었고, 그곳에서 로베스피에르가 주재했다.[35] 그날 저녁 그녀는 루이 피에르 마누엘 검찰관의 호위를 받으며 집으로 이송되었다. 다음 날, 파리 코뮌의 위원인 장-랑베르 탈리앵이 새로운 여권을 가지고 도착하여 그녀를 바리케이드 가장자리까지 동행했다.[36]
혁명에 대한 온건적인 정치 자세가 결국 반감을 사게 되어, 아버지의 영지이기도 한 스위스 코페로 망명하여 파리를 왕복했다.
파리에서 도피한 후, 스탈 부인은 스위스의 롤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알베르가 태어났다. 그녀는 몽모렌시와 이전에 스웨덴 여권을 제공했던 자쿠르 후작의 지원을 받았다.[38]
이때 뱅자맹 콩스탕을 알게 된다.
1794년 9월, 최근 이혼한 뱅자맹 콩스탕이 자살하기 전에 그녀를 만나고 싶어 방문했다. 1795년 5월, 스탈 부인은 콩스탕을 그녀의 보호자이자 연인으로 데리고 파리로 이주했다.
1795년에 『소설론』을 발표했다. 이 책은 독일의 대문호 괴테로부터 절찬을 받아, 괴테가 직접 독일어 번역을 했다. 이어서 발표한 『개인과 국민에게 미치는 정열의 영향에 대하여』(1796년)는 도덕주의적 입장에서 쓰인 열정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였다.
프랑스 혁명이 그녀가 생각했던 온건하고 평화적인 입헌 군주주의와는 거리가 멀어지고 격렬해지는 것을 우려하여, 마리 앙투아네트의 사면을 간청하는 논문 등을 썼다. 처음부터 별거 상태였던 남편 스탈-홀슈타인 남작과는 1799년에 정식으로 이혼했고, 남작은 1802년에 사망했다. 탈레랑을 프랑스 정계에 발탁한 것도 당시 연인이었던 그녀였다.
2. 4. 나폴레옹과의 갈등과 추방
1800년에 발표한 『문학론』에서는 문학가의 반전제적 사명과 문학가의 자유를 강조했고, 나폴레옹의 심기를 거스르게 된다.[58] 1801년에 나폴레옹이 로마 교황과 콩코르다트를 체결하여 가톨릭교회와 화해하자, 가톨릭의 미신성 등을 논한 소설 『델핀』(1802년)을 출판했고, 나폴레옹은 격노하여 결국 그녀는 파리에서 추방당했다.[65]2. 5. 독일과 이탈리아 여행, 그리고 코페 살롱
1803년 스탈 부인은 독일로 여행하여 프랑크푸르트, 바이마르, 베를린 등을 방문했다. 아버지의 죽음을 겪은 후, 이탈리아로 떠났다. 이후 코페에서 살롱 활동에 열중하며, 많은 사람들과 비평을 주고받았다. 이 무렵, 이탈리아의 천재적인 여성 시인 코린느의 운명을 그린 소설 《코린느 또는 이탈리아》(1805년)를 발표했다.독일 여행에서 스탈 부인은 메츠에서 칸트의 프랑스어 번역가인 샤를 드 빌리에를 만났고, 12월 중순에는 바이마르에 도착하여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과 그의 어머니 안나 아말리아 여공작의 궁정에서 두 달 반 동안 머물렀다.[69] 괴테는 그녀를 만난 후 개인적인 서신에서 그녀를 "특별한 여성"이라고 언급했고,[69] 실러는 그녀의 지성과 웅변을 칭찬했다.[70][71] 또한 베를린에서는 문학에 대해 강의하고 있던 아우구스트 슐레겔과 알게 되었고, 그에게 막대한 봉급을 주고 그녀의 아이들을 가르치도록 임명했다. 4월 18일, 그녀의 아버지 자크 네케르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그들은 모두 베를린을 떠났다.
2. 6. 『독일론』 출판과 탄압
스탈 부인은 두 번의 독일 여행과 가정교사였던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의 도움을 받아 독일인의 민족성과 낭만주의를 다룬 『독일론』을 집필했다.[86] 그러나 『독일론』은 프랑스의 자문화 중심주의를 비판하고 독일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는 이유로 나폴레옹의 분노를 사 출판 금지 처분을 받았다.[120][87][86][122] 스탈 부인은 위험인물로 간주되어 감시를 받았다.[58]2. 7. 재혼과 유럽 망명
1812년, 스탈 부인은 20세 이상 연하의 장교 알베르 드 로카와 재혼했다.[58] 이후, 스탈 부인은 오스트리아, 러시아, 스웨덴, 영국 등 유럽 각지를 전전하며 망명 생활을 했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동안, 스탈 부인, 그녀의 두 자녀, 슐레겔은 합스부르크 제국의 갈리시아를 거쳐 브르노에서 우아니우트로 여행했는데, 그곳에서 프랑스군을 탈영하고 프랑스 헌병대의 수색을 받은 드 로카가 그녀를 기다리고 있었다.[88] 1812년 7월 14일, 그들은 볼히니아에 도착했다. 그동안 나폴레옹은 더 북쪽 경로를 택하여 그의 군대와 함께 니에멘 강을 건넜다. 스탈 부인은 오데사, 콘스탄티노플로 여행하는 것을 망설였고, 대신 북쪽으로 가기로 결정했다. 아마도 그녀는 오스만 제국에서 전염병 발생에 대한 정보를 얻었을 것이다. 모스크바에서 그녀는 총독 표도르 로스토프친의 초대를 받았다. 스탈 부인에 따르면, 빈코보 근처에 있는 이탈리아 양식의 저택에 불을 지르라고 명령한 사람은 로스토프친이었다.[89] 그녀는 나폴레옹이 그곳에 도착하기 몇 주 전에 떠났다. 9월 7일까지 그녀의 일행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머물렀다.[88] 존 퀸시 애덤스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에 따르면, 그녀의 감정은 일반적인 공공 문제에 대한 견해만큼이나 보나파르트에 대한 개인적인 원한의 결과인 것으로 보였다. 그녀는 그가 자신의 작품에서 그를 칭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어디에서도 평화롭게 살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고 불평했다. 그녀는 차르 알렉산드르 1세와 두 번 만났는데, 그는 "나폴레옹이 그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한 마키아벨리식 교훈"을 나에게 이야기했다.[90] 4개월의 여행 끝에 스탈 부인은 스웨덴에 도착했다. 1811년, 그녀는 자신의 여행과 만남을 상세히 기록한 "10년간의 망명"을 쓰기 시작했다. 그녀는 이듬해 스톡홀름으로 여행했고, 그곳에서 작업을 계속했다.[93] 1813년, 영국에서 《독일론》을 출판했다.[97]2. 8. 나폴레옹 몰락 이후와 죽음
1814년 나폴레옹 체제가 붕괴되자 스탈 부인은 파리로 돌아왔다.[97] 스탈 부인은 나폴레옹 포위망에 가담하고, 나폴레옹의 정적이었던 스웨덴 왕세자 베르나도트를 옹립하여 입헌 군주제를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94]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의 지지를 얻기도 했지만,[91] 결국 프랑스에는 부르봉 왕가가 복귀했다.[97] 1816년 《도망 10년》과 《프랑스 혁명에 대한 고찰》을 출판했다. 하지만 이 무렵, 이미 살롱에서 예전과 같은 스탈 부인의 모습은 없었다고 한다.만년에 스탈 부인은 아편을 상용했다.[97] 얼마 지나지 않아 뇌출혈로 쓰러져 반신불수가 되었고, 1817년 파리에서 5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97] 스탈 부인의 재혼 상대였던 로카도 그로부터 1년도 지나지 않아 결핵으로 사망했다.
3. 사상과 영향
자크 네케르의 딸 제르멘 드 스탈은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자유주의 사상을 접했다. 1788년 《루소의 성격과 저작에 관한 편지》를 발표하며 '이성과 언론'에 의한 정부를 주장했고, 이는 나폴레옹과의 대립으로 이어져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
스탈 부인은 장자크 루소의 원칙에 따라 교육받고, 칼뱅주의 규율을 배우며 성장했다. 어린 시절부터 어머니의 살롱에서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 드니 디드로, 장 르 롱 달랑베르 등 당대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지적 자양분을 쌓았다.[10] 13세 때 이미 몽테스키외, 셰익스피어, 루소, 단테의 작품을 읽을 정도로 조숙했다.[11]
스탈 부인의 정치적 유산은 평등, 개인의 자유, 헌법에 의한 국가 권력 제한 등 자유주의적 가치를 옹호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11] 여성의 정치 참여에 대해서는 다양한 입장을 보였는데, 때로는 여성이 가정 영역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지만, 여성의 공적 영역 참여를 막는 것은 인권 침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112]
스탈 부인은 프랑스 식민지의 노예제도 폐지를 강력하게 옹호했다. 그녀는 노예 폐지가 프랑스 경제에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주장은 노예 제도로 이익을 얻는 자들의 환상적인 위협일 뿐이라고 반박하며, 노예 무역의 종식이 프랑스를 개선하고 '어디에나 뿌리를 내리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믿었다.[120]
최근 페미니스트 역사학자들은 스탈 부인의 활동과 이론, 작품에 나타난 여성적 측면에 주목하며, 그녀를 페미니즘의 선구자로 평가하기도 한다.[113][114][115][116][117] 오귀스트 콩트는 ''위대한 인물 달력''에 스탈 부인을 포함시키기도 했다.[110]
3. 1.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
스탈 부인은 19세기 초 낭만주의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스탈 부인의 작품들은 개인의 감정과 열정, 상상력을 중시하며, 고전주의 문학의 엄격한 형식과 규칙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표현을 추구했다. 특히, 《코린느 또는 이탈리아》와 《독일론》은 낭만주의 문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110] 그녀의 소설은 월터 스콧, 바이런, 메리 셸리의 작품보다 앞서고, 부분적으로 샤토브리앙의 작품보다 앞서며, 현대 낭만주의의 발전, 마음의 로맨스, 자연의 기쁨, 그리고 유럽의 예술, 고대, 역사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평가받는다.3. 2. 자유주의 사상
스탈 부인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 입헌주의, 제한 정부 등을 주장하는 자유주의 사상을 옹호했다.[111] 그녀는 프랑스 혁명의 이상을 지지했지만, 혁명이 과격해지고 9월 학살과 같은 공포정치가 나타나자 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스탈 부인은 나폴레옹의 독재에 맞서 싸웠으며, 권력이 한 곳에 집중되고 억압하는 것에 반대했다.[56]스탈 부인은 1791년 프랑스 헌법이 발표된 후 정치에서 물러났지만, 아르망 마르크 드 몽모랭 백작이 외무 장관이 되고 루이 드 나르본 라라 백작이 육군 장관이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정치에 계속 관여했다.[27] 마리 앙투아네트는 한스 악셀 폰 페르센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루이 드 나르본 백작이 마침내 육군 장관이 되었으니, 이는 스탈 부인에게 영광이며, 그녀가 온 군대를 혼자 갖게 된 것은 얼마나 기쁜 일인가."라고 쓸 정도였다.[28]
1792년 8월 10일 튈르리 궁전 습격 사건으로 왕정이 무너지자, 스탈 부인은 피에르 빅토르 말루에 남작에게 왕족의 탈출 계획을 제안하기도 했다.[30] 그녀는 반란 코뮌의 무장 구성원들에게 "적법한 절차와 유사한 어떠한 것 없이 용의자를 구금, 심문 및 투옥할 수 있게"하는 광범위한 경찰 권한이 부여되자,[31] 음모 혐의로 해임된 나르본을 돕기 위해 스웨덴 대사관 예배당 제단 아래에 숨기고, 홀에 있던 상퀼로트들에게 설교했다.[32][33][34]
1793년 프랑스 헌법에 도입되었으나 1795년 헌법에서 삭제된 저항권에 대한 아이디어를 거부했다. 그녀는 프랑스가 절대 군주제에서 입헌 군주제로 전환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3. 3. 여성의 권리 옹호
스탈 부인은 여성의 권리를 옹호한 선구적인 페미니스트로 평가받는다. 자신의 작품에서 여성의 교육, 사회 참여, 정치적 권리 등을 주장했다.[115][116][117] 특히, 소설 《델핀》과 《코린느 또는 이탈리아》는 여성의 억압된 현실과 자유를 향한 열망을 그려내며, 여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스탈 부인은 자유를 제도적, 정치적 자유와 사회적 규범으로부터의 개인적 자유, 두 가지로 보았다.[40] 영국 사회에서 여성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목소리와 존중을 받지 못한다고 생각했다.[39][4]
스탈은 여성 해방에 대한 강력한 이론을 가지고 있었다. 프랑스 혁명 절정기에는 초기 프랑스 페미니즘이 남녀 간의 법적, 정치적 평등 문제에 대해 활발하게 움직였다. 1789년 프랑스 혁명이 시작되면서, 전통적인 주부의 이미지는 당시 프랑스에서 유포된 팸플릿에서 발견되는 더욱 격렬한 페미니스트적 접근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 격동의 시기에, 스탈은 혁명과 성 평등에 대한 자신의 신념을 소설과 암시적인 방식을 통해 전달했으며, 자신의 사회적 지위와 결합하여 정치 및 문학계에서 오랫동안 영향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118]
스탈의 광범위한 저술은 연애 편지에서 철학, 소설에 이르기까지 지적 충족과 낭만적 충족 사이의 갈등뿐만 아니라 페미니스트 정치적 평등과 낭만적 충족 사이의 갈등을 드러낸다. 그녀의 작품은 개인의 자유와 정서적 친밀감이라는 두 가지 욕망이 특히 혁명 이후의 프랑스 사회에서 실제로 정반대된다고 생각했음을 시사한다. 특히 남성들이 계몽주의 철학과 정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두 분야 모두 여성의 직접적인 참여를 위한 길이 열려 있지 않다는 점을 개탄했다.[119]
스탈 부인은 쿠데타 이후 왕정 복고 또는 1793년 프랑스 헌법 복원을 위해 캠페인을 벌이는 사람은 재판 없이 총살될 것이라고 발표되자, 생투앵 쉬르 센으로 이주하여 줄리에트 레카미에와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3. 4. 문화 상대주의와 국제 이해
스탈 부인은 문화 상대주의적 관점을 제시하며, 다양한 문화와 민족 간의 이해와 교류를 강조했다. 특히, 《독일론》은 프랑스 중심의 유럽 문화관에서 벗어나, 독일 문화의 독자성과 가치를 인정하고 소개한 선구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3. 5. 한국에의 시사점
제르멘 드 스탈의 사상과 프랑스 혁명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민주주의, 인권, 시민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국의 진보적 가치와 맞닿아 있다. 스탈 부인의 저항 정신은 권위주의적 정치 체제에 대한 비판과 민주화를 위한 노력에 영감을 주었으며, 이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중요한 지적 자양분이 되었다.스탈 부인은 평등, 개인의 자유, 헌법적 규칙에 의한 국가 권력 제한 등 자유주의적 가치를 강력하게 옹호했다.[111] 여성의 정치 참여에 대한 그녀의 태도는 다양했는데, 때로는 여성이 가정 영역의 수호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고, 다른 때는 여성의 공적 영역 참여를 제한하는 것은 인권 침해라고 말하기도 했다.[112]
스탈 부인의 작품과 사상은 현대 한국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권력 감시, 시민 참여, 여성 인권, 문화 다양성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녀의 소설은 월터 스콧, 바이런, 메리 셸리의 작품보다 앞서며,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의 작품보다 부분적으로 앞서 현대 낭만주의의 발전, 마음의 로맨스, 자연의 기쁨, 그리고 유럽의 예술, 고대, 역사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평가받는다.
4. 주요 저작
- 《루소의 성격과 저작에 관한 편지(Lettres sur les ouvrages et le caractère de Jean-Jacques Rousseau, 1788)》[133]
- 《소설론》(Essai sur les fictions, 1795)》
- 《개인과 국가의 행복에 대한 정열의 영향》(De l'influence des passions sur le bonheur des individus et des nations, 1796)》[134]
- 《사회 제도와의 관계에서 본 문학》(De la littérature considérée dans ses rapports avec les institutions sociales, 1800)》
- 《델핀(Delphine, 1802)》
- 《코린느 또는 이탈리아(Corinne ou l'Italie, 1807)》
- 《독일에 관하여(De l'Allemagne, 1813)》[135]
- 《프랑스 혁명에 대한 고찰》(Considérations sur les principaux événements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1818, 사후 출판)》[136]
- 《10년간의 망명》(Dix années d'exil, 1818, 사후 출판)》
5. 어록
참조
[1]
서적
Other Capitals of the Nineteenth Century An Alternative Mapping of Literary and Cultural Space
Palgrave Macmillan
2017
[2]
서적
Gender in Translation
Routledge
2003
[3]
문서
Staël, Germaine de
http://www.hls-dhs-d[...]
[4]
간행물
Lord Byron and Germaine de Staël
https://www.nottingh[...]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2005
[5]
서적
Considerations on the Principal Events of the French Revolution: Posthumous Work of the Baroness de Stael
https://books.google[...]
James Eastburn and Company at the literary rooms, Broadway. Clayton & Kingsland, Printers
[6]
웹사이트
Madame de Staël
https://www.european[...]
[7]
웹사이트
Germaine de Staël - Exile, Novels, Enlightenmen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8]
문서
Eveline Groot – Public Opinion and Political Passions in the Work of Germaine de Stäel, p. 190
https://pure.eur.nl/[...]
[9]
서적
The Empire of Stereotypes: Germaine de Staël and the Idea of Ital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6
[10]
문서
The Salon of Madame Necker
Chapman and Hall
1882
[11]
웹사이트
Vaud: Le château de Mezery a Jouxtens-Mezery
http://www.swisscast[...]
[12]
웹사이트
Stael and the French Revolution {{!}} Online Library of Liberty
https://oll.libertyf[...]
2023-11-20
[13]
서적
The Life of Carsten Niebuhr, the Oriental Traveller
https://books.google[...]
T. Clark
[14]
문서
Schama
[15]
서적
Germaine de Staël, daughter of the enlightenment: the writer and her turbulent era
Prometheus books
2007
[16]
뉴스
Napoleon's nemesis
https://www.theguard[...]
[17]
서적
Historical & literary memoirs and anecdotes
https://books.google[...]
Printed for H. Colburn
[18]
웹사이트
Germaine de Staël | Books, Biograph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4-18
[19]
문서
Schama
[20]
문서
Schama
[21]
문서
Schama
[22]
문서
A Voice of Moderation in the Age of Revolutions: Jacques Necker's Reflections on Executive Power in Modern Society
https://ostromworksh[...]
[23]
문서
The Works of John Moore, M.D.: With Memoirs of His Life and Writings, Band 4 by John Moore (1820)
https://archive.org/[...]
[24]
간행물
"La liquidation du ‘dépôt’ de Necker: entre concept et idée-force"
https://gallica.bnf.[...]
2004
[25]
문서
Fontana
[26]
문서
Fontana
[27]
문서
Fontana
[28]
문서
Correspondance (1770–1793)
Paris
2005
[29]
문서
Fontana
[30]
문서
"Mémoires de Malouet"
[31]
문서
Schama
[32]
문서
Fontana
[33]
문서
Moore
[34]
문서
Herold
[35]
서적
Considerations on the Principal Events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Baldwin, Cradock, and Joy
[36]
서적
A New Dictionary of the French Revolution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11
[38]
서적
Selected Correspond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39]
웹사이트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40]
웹사이트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46]
웹사이트
Germaine de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2024-04-19
[52]
간행물
Les clubs contre-révolutionnaires, cercles, comités, sociétés ..., Band 1 von Augustin Challamel, S. 507-511
https://gallica.bnf.[...]
[56]
서적
Considerations on the Principal Events of the French Revolution: Posthumous Work of the Baroness de Stael
https://books.google[...]
James Eastburn and Company at the literary rooms, Broadway. Clayton & Kingsland, Printers
[57]
서적
Considerations on the Principal Events of the French Revolution: Posthumous Work of the Baroness de Stael
https://books.google[...]
James Eastburn and Company at the literary rooms, Broadway. Clayton & Kingsland, Printers
[58]
웹사이트
Anne-Louise-Germaine Necker, Baroness de Staël-Holstein (1766–1817) by Petri Liukkonen
https://web.archive.[...]
[61]
문서
Memoirs of Madame de Remusat, trans. Frances Cashel Hoey and John Lillie, p. 407.
https://books.google[...]
[65]
웹사이트
Un journaliste contre-révolutionnaire, Jean-Gabriel Peltier (1760–1825) – Etudes Révolutionnaires
http://etudes-revolu[...]
Etudes-revolutionnaires.org
2011-10-07
[69]
서적
Portraits of Women
https://archive.org/[...]
A. C. M'Clurg
1891
[70]
서적
Schillers Briefe. Kritische Gesamtausgabe. Vol VII.
Deutsche Verlags-Anstalt
1892
[71]
서적
Der Briefwechsel zwischen Schiller und Goethe
1955
[72]
웹사이트
Madame de Staël von Klaus-Werner Haupt
https://www.weimar-l[...]
[73]
문서
Herold
[74]
서적
A History of Women's Writing in Italy
[75]
문서
The Corinna of England, and a Heroine in the Shade (1809) by [[E. M. Foster]], in which retribution is wreaked on a shallowly portrayed version of the French author's heroine.
[76]
웹사이트
Germaine de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2024-04-19
[77]
문서
Goodden
[78]
문서
Fontana
[79]
문서
Herold
[80]
서적
Madame de Stael: A Study of her Life and Times, the First Revolution and the First Empire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81]
문서
Schlegel and Madame de Staël have endeavoured to reduce [[Poetry#Western traditions|poetry]] to two systems, classical and romantic.
[82]
서적
Romantic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83]
간행물
Madame de Staël et Maurice O’Donnell (1805–1817), d’apres des letters inédites
Calmann-Levy, Editeurs, 3 rue Auber, Paris
1926
[84]
문서
Goodden
[85]
문서
Müller
[86]
문서
Fontana
[87]
서적
Ten years' exile: or, Memoirs of that interesting period of the life of the Baroness de Stael-Holstein
https://books.google[...]
Printed for Treuttel and Würtz
[88]
웹사이트
Ten Years' After, p. 219, 224, 264, 268, 271
https://books.google[...]
[89]
웹사이트
Ten Years' Exile, pp. 350–352
https://books.google[...]
[90]
웹사이트
Ten Years' Exile, p. 421
https://books.google[...]
[91]
웹사이트
Ten Years' Exile, p. 380
https://books.google[...]
[92]
서적
The Complete Works of Leo Tolstoy
https://books.google[...]
Musaicum Books
2017
[93]
웹사이트
Germaine de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2024-04-19
[94]
서적
Rites of Peace. The fall of Napoleon & the Congress of Vienna
Harper Perennial
2007
[95]
문서
Nicholson
[96]
웹사이트
Autograph letter in French, signed 'N. de Staël H' to William Wilberforce
https://www.lyonandt[...]
[97]
문서
Lord Byron and Germaine de Staël by Silvia Bordoni, p. 4
[98]
문서
Fontana
[99]
문서
Fontana
[100]
문서
BLJ
[101]
서적
Lord Byron and Madame de Staël: Born for Opposition
https://www.erudit.o[...]
Ashgate
[102]
서적
Considerations on the Principal Events of the French Revolution: Newly Revised Translation of the 1818 English Edition
http://files.liberty[...]
Liberty Fund
[103]
문서
Nicholson
[104]
서적
Wellington: Pillar of State
Weidenfeld & Nicolson
[105]
문서
Herold
[106]
서적
Europäischer Buchmarkt und Gelehrtenrepublik: Die transnationale Verlagsbuchhandlung Treuttel & Würtz, 1750–1850
https://heiup.uni-he[...]
Heidelberg University Publishing
2023-08-10
[107]
문서
Goodden
[108]
문서
Moore
[109]
문서
Moore
[110]
웹사이트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2024-04-17
[111]
문서
Fontana
[112]
학술지
The Man-Woman and the Idiot: Madame de Staël's Public/Private Life
[113]
학술지
Defending the Queen: Wollstonecraft and Staël on the Politics of Sensibility and Feminine Differenc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2
[114]
서적
Liberty: The Lives and Times of Six Women in Revolutionary France
2007
[115]
서적
Madame de Staël
https://www.civitas.[...]
Collegium Civitas
2013
[116]
서적
The Empire of Stereotypes: Germaine de Staël and the Idea of Italy
Springer
2006
[117]
학술지
Women Writers in Revolution: Feminism in Germaine de Staël and Ding Ling
https://digitalcommo[...]
2020-02-15
[118]
웹사이트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119]
웹사이트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120]
웹사이트
Germaine de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2024-04-19
[121]
웹사이트
Germaine de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2024-04-19
[122]
웹사이트
Germaine de Staël (1766-1817)
https://projectvox.o[...]
2024-04-19
[123]
뉴스
Rightist Indignation
https://www.washingt[...]
2007-06-30
[124]
서적
Pushkin's Tatiana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9
[125]
서적
The Romantic Poetess: European Culture, Politics, and Gender, 1820–1840
UPNE
2004
[126]
학술지
Madame de Staël et la Russie
1963
[127]
웹사이트
Emerson – Roots – Madame DeStael
http://transcendenta[...]
2013-11-06
[128]
서적
In Respect to Egotism: Studies in American Romantic Wri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29]
서적
Henrik Ibsen and the Birth of Modernism: Art, Theater, Philosoph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30]
문서
Moore
[131]
문서
Sämtliche Schriften
[132]
문서
Nicholson
[133]
웹사이트
Lettres sur la Caractère et les Écrits de Jean-Jacques Rousseau
http://www.espace-ro[...]
[134]
웹사이트
A Treatise on the influence of Passions on the Happiness of individuals and of nations
https://macsphere.mc[...]
[135]
서적
Germany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136]
웹사이트
Considérations sur les principaux événements de la révolution française
https://archive.org/[...]
[137]
웹사이트
Ten Years' Exile by Madame de Staël
http://www.gutenbe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