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간대는 해양 생물학자들이 평균 노출 정도에 따라 상부, 중부, 하부로 구분하는 해안 지역이다. 하부 조간대는 해양 식물과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며, 중부 조간대는 주기적으로 드러나고 잠기며, 상부 조간대는 가장 높은 밀물 때만 덮인다. 조간대는 생태학 연구의 중요한 모델 시스템이며, 다양한 종의 서식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간대의 소유권과 이용에 대한 법적, 정치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관광, 인간의 환경적 영향, 영양염 오염, 어획량 과다,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 군계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 생물 군계 - 맹그로브
맹그로브는 열대 및 아열대 해안가 기수역 염성 습지에 형성되는 삼림 생태계를 이루는 나무와 관목 또는 서식지 전체를 뜻하며,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 제공, 탄소 저장, 극한 환경 적응, 태생 종자를 통한 번식 등의 특징을 갖지만, 숲 파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복원 및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해양생물학 - 댓잎장어
댓잎장어는 뱀장어목 어류의 유생인 렙토세팔루스를 의미하며, 측면으로 압착된 투명한 몸체와 긴 유생 기간, 해양 스노우를 먹는 특징을 보이며,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 해양생물학 - 조수 웅덩이
조수 웅덩이는 물의 흐름, 침식 작용 등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며, 크기와 위치에 따라 환경 변화가 심하고,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며, 생태 관찰, 어업 등에 이용된다. - 물리해양학 - 엘니뇨
엘니뇨는 2~7년 주기로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는 기후 현상으로, 전 지구적 기후와 지역별 기상 이변, 경제 및 사회,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 물리해양학 - 심해
심해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로, 태양광이 희박하고 높은 수압, 낮은 수온, 부족한 영양분 등 극한 환경을 가지며, 독특한 심해 생물과 생태계가 존재하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과 자원이 발견되고 있다.
조간대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간석지 갯벌 연안 습지 |
설명 | 조수간만의 차이로 인해 주기적으로 노출되는 해안 지역 |
특징 | |
조수 차이 | 하루에 두 번 물에 잠기고 노출됨 |
생물 다양성 |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서식 조류의 중요한 서식지 |
서식 환경 | 강한 파도, 건조, 온도 변화에 노출 소금 농도 변화가 큼 |
유형 | |
암석 해안 | 바위와 암반이 많은 지역 |
모래 해안 | 모래로 이루어진 해변 |
진흙 해안 | 진흙이 많은 지역 |
습지 | 물에 잠긴 습지 |
생물 | |
식물 | 해조류 해초 맹그로브 |
동물 | 갑각류 연체동물 극피동물 어류 조류 |
중요성 | |
생태학적 역할 | 많은 해양 생물의 서식지 먹이 사슬의 중요한 부분 해안선 보호 탄소 격리 |
경제적 가치 | 어업 관광 |
위협 요인 | 오염 기후 변화 해안 개발 |
추가 정보 | |
영어 명칭 | intertidal zone |
2. 지역 구분 (Zonation)
해양생물학자들은 조간대 지역을 평균 노출 정도에 따라 하부, 중부, 상부의 세 지역으로 나눈다.[2] 하부 조간대는 얕은 조하대와 경계를 이루며, 가장 낮은 썰물 때에만 공기에 노출되고 주로 해양 환경의 특징을 보인다. 중부 조간대는 평균 조석에 의해 주기적으로 드러나고 잠긴다. 상부 조간대는 가장 높은 밀물 때에만 덮이고, 대부분의 시간을 육지 서식지로 보낸다. 상부 조간대는 튀김대(가장 높은 만조 수위 위의 지역이지만 파도의 물보라가 닿는 지역)와 경계를 이룬다.
거센 파도에 노출된 해안에서는 파도의 영향으로 조간대가 확장된다. 파도가 부서지면서 생기는 물보라가 조간대를 더욱 넓게 만들기 때문이다. 해안의 기반암과 지형에 따라 추가적인 특징이 나타날 수 있다. 암석 해안에서는 밀물 때 물이 차는 움푹 들어간 곳에 조수 웅덩이가 형성된다. 모어캠베 만과 같은 특정 조건에서는 갯벌(갯벌의 일종)이 형성될 수도 있다.[3]
2. 1. 하부 조간대 (Low tide zone)
하부 조간대는 얕은 조하대와 경계를 이루며, 가장 낮은 썰물 때에만 공기에 노출되고 주로 해양 환경의 특징을 보인다.[2] 이 지역은 대부분 물에 잠겨 있으며, 간조 때에만 드러나고 극심한 간조 때에는 더 오랜 시간 드러난다.[2] 이 지역은 생물이 풍부하다. 이 지역과 다른 세 지역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해양 식물, 특히 해조류가 훨씬 더 많다는 것이다. 또한 생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하다. 이 지역의 생물들은 일반적으로 건조기와 극심한 온도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이 지역의 생물에는 전복, 말미잘, 갈조류, 군소, 게, 녹조류, 히드라, 등각류, 삿갓조개, 홍합, 갯민숭달팽이, 둑중개, 해삼, 파래, 해송, 불가사리, 성게, 새우, 달팽이, 해면, 서프그래스, 관벌레, 고둥 등이 있다. 이 지역의 생물들은 지역 생태계에 에너지가 더 풍부하기 때문에 더 큰 크기로 자랄 수 있다. 또한, 해양 식물은 더 나은 수면 피복 덕분에 다른 세 개의 조간대 지역보다 훨씬 더 큰 크기로 자랄 수 있다. 물이 충분히 얕아서 많은 햇빛이 식물에 도달하여 상당한 광합성 활동이 가능하며, 염분은 거의 정상 수준이다. 또한, 파도 작용과 비교적 얕은 물 때문에 물고기와 같은 큰 포식자로부터 보호받는다.
2. 2. 중부 조간대 (Middle tide zone)
해양생물학자들은 조간대 지역을 평균 노출 정도에 따라 세 개의 지역(하부, 중부, 상부)으로 나눈다.[2] 중부 조간대는 평균 조석에 의해 주기적으로 드러나고 잠긴다.2. 3. 상부 조간대 (Upper tide zone)
해양생물학자들은 조간대 지역의 평균 노출 정도에 따라 조간대를 하부, 중부, 상부의 세 지역으로 나눈다.[2] 상부 조간대는 가장 높은 밀물 때에만 덮이고, 대부분의 시간을 육지 서식지로 보낸다. 상부 조간대는 튀김대(가장 높은 만조 수위 위의 지역이지만 파도의 물보라가 닿는 지역)와 경계를 이룬다. 거센 파도에 노출된 해안에서는 파도의 영향으로 조간대가 확장되는데, 파도가 부서지면서 생기는 물보라가 조간대를 더욱 넓게 만들기 때문이다.해안의 기반암과 지형에 따라 추가적인 특징이 나타날 수 있다. 암석 해안에서는 밀물 때 물이 차는 움푹 들어간 곳에 조수 웅덩이가 형성된다.
3. 생태 (Ecology)
조간대는 간조 때에만 드러나고 극심한 간조 때에는 더 오랜 시간 드러나는, 생물이 풍부한 지역이다.[2] 이 지역은 해양 식물, 특히 해조류가 많고 생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조간대의 생물들은 건조기와 극심한 온도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조간대에는 전복, 말미잘, 갈조류, 군소, 게, 녹조류, 히드라, 등각류, 삿갓조개, 홍합, 갯민숭달팽이, 둑중개, 해삼, 파래, 해송, 불가사리, 성게, 새우, 달팽이, 해면, 서프그래스, 관벌레, 고둥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한다. 이들은 풍부한 에너지 덕분에 더 큰 크기로 자랄 수 있으며, 해양 식물 또한 수면 피복이 잘 되어 있어 크게 성장한다. 햇빛이 충분히 도달하여 광합성 활동이 활발하며, 염분은 거의 정상 수준이다. 또한, 파도와 얕은 물은 물고기와 같은 큰 포식자로부터 이들을 보호해 준다.
인간은 역사적으로 조간대를 식량 자원으로 이용해 왔으며, 철새들은 조간대 종을 먹이로 삼는다.[4]
3. 1. 암석 해안
조간대는 특히 파도가 치는 암석 해안에서 생태학 연구에 중요한 모델 시스템이다. 이 지역에는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조수에 의해 만들어지는 지역 분포는 종의 서식 범위가 매우 좁은 띠로 압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펼쳐질 수 있는 육상 서식지와 달리 종의 전체 해안선 범위를 비교적 간단하게 연구할 수 있다. 파도가 치는 해안의 생물 군집은 교란으로 인해 높은 변동률을 보이므로 수십 년이 아닌 수년에 걸쳐 생태적 천이를 관찰할 수 있다.전사면은 바다에 잠겼다가 공기에 노출되므로 이 환경에 서식하는 생물은 습한 조건과 건조한 조건 모두에 적응해야 한다. 조간대 생물량은 강한 파도로 인한 해안 침식 위험을 줄인다.[4] 조간대 암석 해안의 대표적인 서식 생물에는 성게, 말미잘, 따개비, 군소, 게, 등각류, 홍합, 불가사리 및 복족류 연체동물인 삿갓조개와 고둥 등이 있다. 조간대 서식 생물의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은 다양하다.[5]
3. 2. 모래 해변 (갯벌)
모래 해변 생태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굴착성 무척추동물은 해변이 수일, 반달 주기, 계절 또는 수년 단위로 변화함에 따라 해안선 방향으로 상당히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종의 분포는 고조선과 지하수대 노출과 같은 지형 기준면과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4. 법적 문제 (Legal issues)
해변의 건조한 모래 부분과 마찬가지로, 조간대의 소유권과 이용을 둘러싼 법적, 정치적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의 한 예로는 뉴질랜드 조간대와 해저 논쟁이 있다. 법적 논의에서는 조간대를 종종 '습한 모래 지역'으로 언급한다.
미국의 사유 해변의 경우, 매사추세츠주와 같은 일부 주에서는 저수위선을 주의 재산과 해변 소유주의 재산을 구분하는 선으로 사용하지만, 여전히 일반인은 저조선과 고조선 사이의 구역에 대해 낚시, 조류 사냥 및 항해 권리를 갖는다. 캘리포니아와 같은 다른 주에서는 고수위선을 사용한다.
영국에서는 조간대가 일반적으로 왕실의 소유로 간주되지만, '여러 어업'이라고 하는 예외가 있다. 이는 존 왕 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적인 소유권 증서일 수 있으며, 오크니와 셰틀랜드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우달법도 예외에 해당한다.
그리스의 경우, 2971/01 법에 따라 조간대는 해안에서 파도의 최대 상승(해안에서의 최대 파도 상승)에 도달할 수 있는 해안 지역으로 정의된다(최대치는 '일반적으로 최대 겨울 파도'를 의미하며, 쓰나미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는 제외한다). 법의 예외 중 하나인 조간대는 공공 지역이며, 영구적인 건설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탈리아에서는 해안선의 약 절반이 정부 소유이지만, 리도스(lidos)라고 불리는 사설 해변 클럽에 임대된다.[6]
동아프리카와 서인도양에서는 집단적 경제 생산성에 대한 의도가 없기 때문에 조간대 관리가 종종 우선순위에서 간과된다.[7]
5. 위협 (Threats)
인간은 역사적으로 조간대를 간조 시 식량 자원으로 이용해 왔다. 철새들 또한 조개류와 기타 해양 생물이 풍부한 저수지 서식지 때문에 조간대 종을 먹이 지역으로 이용한다.[4]
조간대는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민감한 서식지로, 관광과 인간이 유발하는 환경적 영향과 관련된 생태적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과학자들이 요약한 여러 가지 다른 위협에는 영양염 오염, 어획량 과다, 서식지 파괴, 및 기후 변화가 포함된다.[8] 서식지 파괴는 저인망 어업과 조간대의 민감성 무시 등의 활동을 통해 심화된다.[9]
6. 갤러리 (Gallery)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the intertidal zone?
https://oceanservice[...]
2022-11-29
[2]
웹사이트
What is the Intertidal Zone?
https://www.worldatl[...]
2018-01-10
[3]
뉴스
Why is Morecambe Bay so dangerous?
https://www.theguard[...]
2004-02-12
[4]
웹사이트
Intertidal Zone
http://www.nationalg[...]
2019-10-10
[5]
웹사이트
Intertidal Ecology
https://www.marine.u[...]
USF College of Marine Science
2002
[6]
뉴스
An EU law upsets local tradition on Italy's beaches
https://www.npr.org/[...]
NPR
2024-09-14
[7]
논문
Intertidal Zone Management in the Western Indian Ocean: Assessing Current Status and Future Possibilities Using Expert Opinions
2013-12-28
[8]
웹사이트
Climate Change Impacts on Intertidal Zone Populations
https://coastalscien[...]
[9]
논문
Intertidal Zone Management in the Western Indian Ocean: Assessing Current Status and Future Possibilities Using Expert Opinions
201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