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루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루 전쟁은 1879년 영국 제국이 남아프리카 연방 계획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줄루 왕국을 무력으로 제압하기 위해 발발한 전쟁이다. 영국은 카이로에서 케이프타운까지 이어지는 아프리카 종단 정책을 추진하며 줄루족의 강력한 군사력이 연방 계획의 장애물이라고 판단했다.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은 줄루 왕국에 무리한 요구를 하며 전쟁을 도발했고, 1월 11일 최후 통첩 거부 이후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영국군은 줄루족에게 대패했으나,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에서 방어에 성공하고 반격을 시작하여 울룬디 전투에서 승리하며 줄루 왕국을 멸망시켰다. 전쟁 이후 줄루 왕국은 분할 통치되었고, 이는 보어 전쟁으로 이어지는 갈등의 씨앗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줄루 전쟁 - 이산들와나 전투
1879년 영국-줄루 전쟁 중 이산들와나에서 벌어진 전투는 영국군 주력 부대가 줄루 왕국 군대에 의해 전멸당한 영국 식민지 확장 역사상 가장 참혹한 패배 중 하나로, 영국군의 오만함과 줄루족의 용맹함이 결합된 전쟁의 흐름을 바꾼 사건이다. - 콰줄루나탈주의 역사 - 더반
더반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동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영국 합병 후 급속한 성장과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컨테이너 항구 및 주요 관광지로 발전했다. - 콰줄루나탈주의 역사 - 이산들와나 전투
1879년 영국-줄루 전쟁 중 이산들와나에서 벌어진 전투는 영국군 주력 부대가 줄루 왕국 군대에 의해 전멸당한 영국 식민지 확장 역사상 가장 참혹한 패배 중 하나로, 영국군의 오만함과 줄루족의 용맹함이 결합된 전쟁의 흐름을 바꾼 사건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참전한 전쟁 - 모잠비크 내전
모잠비크 내전은 1977년부터 1992년까지 프렐리모 정부와 레나모 간에 벌어진 분쟁으로, 사회주의 정책, 부족 사회 갈등, 외부 세력 지원 등이 원인이 되어 약 100만 명의 사망자와 500만 명 이상의 난민을 발생시키고 경제적 파탄을 초래했으며, 1992년 평화 협정 체결 후에도 불안정한 평화가 이어지고 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참전한 전쟁 - 앙골라 내전
앙골라 내전은 1975년부터 2002년까지 앙골라에서 벌어진 권력 다툼과 냉전 시대 강대국들의 개입으로 발생한 장기간의 내전으로, 독립을 둘러싼 갈등과 민족적 분열, 그리고 냉전의 대리 전쟁 양상이 주요 원인이 되어 수많은 사상자와 피해를 남겼다.
줄루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기 | 1879년 1월 11일 – 7월 4일 |
위치 | 줄루 왕국, 현재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
결과 | 영국의 승리 |
영토 | 줄루 왕국의 분할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대영 제국 |
교전국 2 | 줄루 왕국 |
지휘관 | |
영국 | 벤저민 디즈레일리 |
줄루 | 세체와요 캄판데 |
병력 규모 | |
영국 (1차 침공) | 16,500–16,800명 6,700명 (영국 및 식민지 군) 9,000명 (아프리카인) 800명 (보조병력) 대포 17문 개틀링 기관포 7문 |
영국 (2차 침공) | 25,000명 16,000명 (영국군) 7,000명 (아프리카인) 2,000명 (보어인) 대포 14문 개틀링 기관포 3문 |
줄루 | 35,000–50,000명 |
피해 규모 | |
영국 | 1,902명 사망 263명 부상 |
줄루 | 6,930명 이상 사망 3,500명 이상 부상 |
관련 전투 |
2. 배경
대영 제국은 아프리카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정책에 따라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시작하여 수단을 거쳐 남아프리카의 케이프타운까지 연결하고자 하였다. 1867년 북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를 합쳐 캐나다 자치령을 만든 것을 모델로 삼아, 남아프리카 지역의 모든 식민지와 국가들을 거대한 연방으로 묶는 남아프리카 연방 계획을 세웠다.[25]
그러나 남아프리카를 연방으로 묶는 계획은 실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영국령 케이프, 나탈 식민지는 연방 계획을 환영하지 않았고, 그 지역에 정착하여 살고 있었던 네덜란드계 백인 보어인들도 이를 반기지 않았다. 또한, 여러 군장들이 다스렸던 세력들이 하나의 통일된 왕국으로 설립된 지역 원주민 국가인 줄루 왕국이 계획된 연방 지역에 있었다. 줄루 왕국은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남아프리카 원주민 세력 중 최강으로 성장한 강력한 군사 국가였다. 따라서 영국이 남아프리카 연방 계획을 성공시키려면 줄루족과 보어인들을 설득하거나 무력으로 강압적인 계획 실현을 이뤄내야 했다.[26]
1877년 식민지국 장관 카나본 경(Lord Carnarvon)은 남아프리카에서 영국 식민지 연방과 보어 공화국 연방을 만듦으로써, 즉 남아프리카 지역의 식민지를 하나의 거대한 연방으로 묶어 식민지 통치를 수월하게 하고 영국 제국의 영향력을 확장하고자 했다.[27]
1877년, 남아프리카 고등판무관으로 임명된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은 남아프리카 연방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19] 그는 줄루 왕국을 연방의 가장 큰 장애물로 여기고, 무력으로라도 이를 제거하려 했다.[20][21]
프레어는 줄루 왕국과의 국경 분쟁, 줄루족 전사들의 영국 영토 침입 사건 등을 과장하거나 왜곡하여 전쟁의 명분을 만들었다. 영국 총리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런던의 보수당 행정부는 줄루족과의 전쟁을 원하지 않았다. 1878년 11월, 카나본의 후임인 식민부 장관인 마이클 힉스 비치 경은 "문제는 동유럽과 인도에서 ... 너무 심각한 양상을 띠고 있어서 다른 더 크고 가능한 문제에 더하여 줄루 전쟁을 치를 수 없다"고 적었다.
1878년 12월 11일, 프레어는 줄루 왕 케취와요 캄판데에게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의 최후통첩을 보냈다.[22][23] 당시 영국 정부는 줄루 왕국과의 전쟁을 원하지 않았지만, 프레어는 독단적으로 최후통첩을 보내고 전쟁을 시작했다.[24] 최후통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측량 기사를 붙잡은 범인을 나탈 법원에서 재판받도록 인도할 것.
# 위의 범행 및 세테와요가 법원 명령에 따르지 않은 데 대한 배상으로 소 500마리를 지불할 것.
# 측량 기사에 대한 불법 행위의 배상으로 소 100마리를 지불할 것.
# 스와지족장 은빌리나이를 트란스발 법원에서 재판받도록 인도할 것.
# 즉위 시의 약속을 준수할 것.
# 줄루군은 해산하고, 남자들은 귀가할 것.
# 기존의 줄루 군제는 폐지하고, 영국과의 협의 하에 다른 군제를 채택할 것.
# 귀가한 남자들은 결혼할 수 있도록 할 것.
# 1877년에 이전에 줄루에 거주했던 모든 선교사와 개종자는 그들이 원한다면 귀환하여 원래의 거주지에 살게 할 것.
# 선교사들은 설교를 허용하고, 가르침을 원하는 줄루족은 자유롭게 들을 수 있을 것.
# 위의 조건의 이행을 감독하는 영국 대리인의 체류를 허가할 것.
# 선교사 및 유럽인에 관한 모든 분쟁은 판무관 입회 하에 왕이 공개적으로 청취할 것.
# 판무관의 동의 없이, 줄루 랜드로부터의 추방형은 행하지 않을 것.
2. 1. 영국의 아프리카 종단 정책과 남아프리카 연방 계획
대영 제국은 아프리카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정책에 따라 이집트의 카이로(Cairo)에서 시작하여 수단을 거쳐 남아프리카의 케이프타운까지 연결하고자 하였다. 1867년에 북아메리카의 영국 식민지를 합쳐 캐나다 자치령을 만든 것을 모델로 삼아, 남아프리카 지역의 모든 식민지와 국가들을 거대한 연방으로 묶는 남아프리카 연방 계획을 세웠다.[25]그러나 남아프리카를 연방으로 묶는 계획은 실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영국령 케이프, 나탈 식민지는 연방 계획을 환영하지 않았고, 그 지역에 정착하여 살고 있었던 네덜란드계 백인 보어인들도 이를 반기지 않았다. 또한, 여러 군장들이 다스렸던 세력들이 하나의 통일된 왕국으로 설립된 지역 원주민 국가인 줄루 왕국이 계획된 연방 지역에 있었다. 줄루 왕국은 활발한 정복 활동으로 남아프리카 원주민 세력 중 최강으로 성장한 강력한 군사 국가였다. 따라서 영국이 남아프리카 연방 계획을 성공시키려면 줄루족과 보어인들을 설득하거나 무력으로 강압적인 계획 실현을 이뤄내야 했다.[26]
1877년 식민지국 장관 카나본 경(Lord Carnarvon)은 남아프리카에서 영국 식민지 연방과 보어 공화국 연방을 만듦으로써, 즉 남아프리카 지역의 식민지를 하나의 거대한 연방으로 묶어 식민지 통치를 수월하게 하고 영국 제국의 영향력을 확장하고자 했다.[27]
카나본 경의 요구를 이뤄내기 위해 남부 아프리카 고등 판무관(High Commisioner)으로 임명된 헨리 바틀 프레어 경(Sir Henry Bartle Frere)은 나탈과 트란스발에 접해있는 줄루 왕국을 자국의 통제 아래에 놓기 위해 줄루 왕국에 영국과의 연방체제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케취와요 캄판데 줄루 왕국 왕은 자신과 줄루 왕국의 세력을 잃게 될 것을 우려하여 이를 거절하였다. 따라서 영국은 무력으로 줄루 왕국을 자신의 지배 하에 놓고자 전쟁을 일으켰다.[28]
2. 2. 줄루 왕국의 성장과 영국과의 갈등

초대 줄루 왕 샤카 줄루는 전쟁과 정복을 통해 작은 줄루 부족을 줄루 왕국으로 성장시켰다. 1825년까지 줄루 왕국은 약 약 29784.72km2의 지역을 포괄했다. 1828년 샤카는 인두나 중 한 명과 두 명의 이복 형제에 의해 두쿠자에서 암살당했는데, 그 중 한 명인 딩가네 카센장가코나가 왕위를 이었다. 1830년대 이주해 온 보어인들은 딩가네가 통치하던 줄루 왕국과 충돌했다. 딩가네는 1838년 12월 16일 블러드 리버 전투에서 프레토리우스가 이끄는 470명의 보어인 개척자들을 공격했다가 치명적인 패배를 겪었다. 딩가네의 이복 형제 음판데 카센장가코나는 약 17,000명의 추종자들과 함께 딩가네에 대항하여 보어인들과 동맹을 맺었고, 딩가네는 암살당했다. 이후 음판데가 줄루 제국의 왕이 되었다.
1839년, 프레토리우스 휘하의 보어 보르트레커들은 투겔라 강 남쪽, 그리고 영국 정착지인 포트 나탈(현재의 더반) 서쪽에 보어 나탈리아 공화국을 세웠다. 음판데와 프레토리우스는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1842년 영국과 보어인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고, 그 결과 영국은 나탈리아를 병합했다. 음판데는 영국에 충성을 바꿨고, 그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1843년, 음판데는 왕국 내 반대자로 여겨지는 자들을 숙청하라고 명령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고 수천 명의 난민들이 영국이 통치하는 나탈을 포함한 인접 지역으로 도망쳤다. 이들 중 많은 수가 줄루족의 주요 재산인 소와 함께 도망쳤다. 음판데는 주변 지역을 습격하기 시작했고, 1852년에는 스와질란드를 침공했다. 그러나 영국은 그에게 철수를 압박했고, 그는 곧 철수했다. 이 시기에 음판데의 두 아들인 체스웨요와 음부야지 사이에 왕위 계승을 위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는 1856년 논다쿠수카 전투에서 절정에 달했고, 음부야지는 사망했다. 그 후 체스웨요는 아버지의 권위를 찬탈하기 시작했다. 1872년 음판데가 노환으로 사망하자 체스웨요가 통치자로 즉위했다.
1861년, 음판데의 또 다른 아들인 움통가가 유트레흐트 지구로 도망치자 체스웨요는 인근 국경에 군대를 소집했다. 보어인들이 나중에 주장한 바에 따르면, 체스웨요는 그의 형제를 넘겨주면 국경을 따라 토지 구획을 농부들에게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 보어인들은 움통가의 생명을 보존하는 조건으로 이에 동의했고, 1861년 음판데는 이 토지를 보어인들에게 양도하는 증서를 서명했다. 유트레흐트에 추가된 토지의 남쪽 경계는 버팔로 강에 있는 로크스 드리프트에서 퐁골라 강의 지점까지 이어졌다.

1864년에 경계가 표시되었지만, 1865년에 움통가가 다시 줄루 왕국에서 나탈로 도망치자, 체스웨요는 자신이 거래의 일부를 잃었다고 생각했다. 그는 여전히 살아있는 움통가가 음판데가 딩가네를 대체하는 데 사용되었듯이 자신을 대체하는 데 사용될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표지를 제거하고 스와지족이 리덴부르크에 양도한 토지를 주장했다. 줄루족은 스와지족이 그들의 봉신이었고 따라서 이 영토를 포기할 권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1년 동안 폴 크루거가 지휘하는 보어 코만도 부대와 체스웨요 휘하의 군대가 새로 획득한 유트레흐트 국경을 방어하기 위해 배치되었다. 줄루군은 퐁골라 강 북쪽의 토지를 되찾았다. 유트레흐트 구획과 관련하여 줄루족이 서명한 문서의 유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고, 1869년 나탈 부총독인 로버트 윌리엄 키트의 도움을 양측이 중재자로 받아들였지만, 불일치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체스웨요는 유럽 선교사들의 활동에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줄루족에 허용했다. 그는 선교사들 자신을 해치거나 박해하지는 않았지만, 몇몇 개종자들이 살해되었다. 선교사들은 그들 나름대로 적대적인 보고서의 원천이었다. 많은 줄루족의 라이벌 파벌들이 나탈과 주변 지역으로 도망쳤지만, 체스웨요는 수십 년 동안 유지되어 온 나탈 식민지 주민들과의 평화로운 관계를 지속했다. 1873년 체스웨요가 아버지의 죽음으로 줄루족의 절대적인 통치자가 되었을 때 이러한 정치적 배경이 있었다.
통치자로서 체스웨요는 삼촌 샤카의 군사적 방법을 가능한 한 부활시키기 시작했다. 그는 새로운 연령 집단 연대를 형성했으며, 심지어 그의 연대에 몇 정의 구식 머스킷총과 기타 구식 화기를 장비하는 데 성공했다.
1850년대에 대영 제국은 다양한 보어인 정착지, 줄루족, 바소토와 같은 원주민 아프리카 왕국, 수많은 토착 부족 지역 및 국가와 접경하는 남아프리카에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 케이프 식민지는 181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으로 네덜란드 식민지인 케이프타운이 영국에 영구적으로 할양된 후 형성되었으며, 그 영토는 19세기에 매우 크게 확장되었다. 남아프리카 동남부에 위치한 나탈 식민지는 영국 정부가 보어인 나탈 공화국을 병합한 후 1843년 5월 4일에 영국에 의해 식민지로 선언되었다. 줄루 잉코시 시하요의 아들 셋(메흘로카줄루 카시하요가 이끔)과 형제가 나탈로 습격하여 영국 보호 아래 있던 여성 두 명을 납치하면서 사태가 악화되었다.
1867년 케이프타운에서 북동쪽으로 약 약 885.14km 떨어진 바알강 근처에서 다이아몬드가 발견되면서 내륙 보어인들의 고립이 끝나고 사건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 발견은 전 세계에서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다이아몬드 러시를 촉발하여 킴벌리를 5년 만에 5만 명 규모의 도시로 만들었고, 영국의 제국주의적 관심도 끌어냈다. 1870년대에 영국은 킴벌리 다이아몬드 발견지인 웨스트 그리퀄랜드를 병합했다.
1877년 식민지국 장관 카나르본 경은 남아프리카에서 영국 식민지 연방과 보어 공화국 연방을 만듦으로써 남아프리카 지역의 식민지를 거대한 하나의 연방으로 묶어 식민지 통치를 수월하게 하고 영국 제국의 영향력을 확장하고 싶어했다.[27]
1867년에 캐나다 연방을 성사시킨 식민부 장관 카나본 경은 1874년에 남아프리카에서도 비슷한 계획이 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남아프리카 연방 계획은 흑인 다수 위에 백인 소수가 통치하는 것을 요구했는데, 이는 영국 설탕 농장과 광산에 저렴한 노동력을 대량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카나본은 1875년에 영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오렌지 자유국과 트란스발 공화국의 보어 국가에 접근하여 영국과 보어 영토의 연방을 조직하려고 시도했지만, 보어 지도자들은 이를 거절했다.

1877년, 바틀 프레어 경은 카나본 경에 의해 남아프리카의 고등 판무관으로 임명되었다. 카나본은 프레어에게 연방 계획을 시행하도록 하고, 그가 연방화된 남아프리카 자주 통치령의 초대 영국 총독이 될 수 있다는 조건으로 그 자리에 임명했다. 프레어는 이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 고등 판무관으로 남아프리카에 파견되었다. 그러한 계획의 장애물 중 하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트란스발 공화국)과 줄루 왕국의 존재였다. 바틀 프레어는 이 계획을 즉시 실행에 옮기고 최근 발생한 여러 사건의 중요성을 과장하여 줄루족에 대한 카수스 벨리를 조작했다.
카나본 경의 요구를 이뤄내기 위해 남부 아프리카 고등 판무관으로 임명된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은 나탈과 트란스발에 접해있는 줄루 왕국을 자국의 통제 아래에 놓기 위해 줄루 왕국에 영국과의 연방체제를 제안했지만, 케취와요 캄판데 줄루 왕국 왕은 자신과 줄루 왕국의 세력을 잃게 될 것을 우려하여 이를 거절했다. 따라서 영국은 무력으로 줄루 왕국을 지배하고자 전쟁을 일으켰다.[28]
1877년에 나탈의 영국 원주민 문제 담당 비서인 시어도어스 셰프스톤 경은 특별 영장을 사용하여 트란스발 공화국을 영국에 병합했다. 트란스발 보어인들은 반대했지만 줄루족의 위협이 남아 있는 한 두 가지 위협 사이에 놓였다. 그들은 영국 병합에 저항하기 위해 무기를 들 경우 세츠와요 왕과 줄루족이 공격할 기회를 잡을까 두려워했다. 잇따른 영국의 병합, 특히 웨스트 그리퀄랜드의 병합은 보어 공화국에 불만의 기류를 조성했다.
셰프스톤은 세츠와요 정권이 존속하는 것이 파괴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비난했다. 그는 "줄루족의 힘"이 "남아프리카의 모든 토착 어려움의 근본이자 실제적인 힘"이라고 말했다. 1877년 12월, 그는 카나본에게 다음과 같이 편지를 썼다. "세츠와요는 자신의 색깔이 우세하길 바라는 수백 마일 떨어진 모든 작은 독립 부족장의 은밀한 희망이며, 이 희망이 파괴될 때까지 그들은 문명의 규칙에 복종할 마음을 먹지 않을 것입니다." 1877년 10월 초, 셰프스톤은 블러드 강 근처에서 줄루 지도자들과 만나 줄루족과 보어족 간의 토지 분쟁을 해결했다. 그는 보어족과의 타협을 제안했고 회의는 명확한 해결 없이 끝났다. 그는 줄루족에게 복수심을 품고, 보어족의 주장을 지지하기 위해 이전에 공개되지 않았던 "가장 부인할 수 없고 압도적이며 명확한 증거"를 입수했다고 말했다. 그는 줄루족의 주장을 "야만인조차 할 수 있다고 믿을 수 없는 정도로 거짓말과 배신으로 특징지어진다"고 일축했다.
셰프스톤은 나탈의 영국 총독 자격으로 세츠와요 왕 치하의 줄루 군대와 특히 일부 줄루족이 구식 머스킷총과 기타 구식 화기를 채택한 것을 감안할 때 나탈에 대한 잠재적 위협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그는 트란스발 행정관으로서 트란스발을 보호할 책임이 있었고, 트란스발 측에서 줄루족과의 국경 분쟁에 직접 관여했다. 지속적인 보어 측의 진술과 폴 크루거의 외교적 책략이 압력을 더했다. 트란스발/나탈 국경 양쪽에서 줄루족의 준군사적 행동이 발생했고, 셰프스톤은 세츠와요 왕이 그러한 "만행"을 허용하고 "도발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점점 더 생각하기 시작했다. 세츠와요 왕은 나탈에서는 나탈 주교인 존 콜렌소 외에는 변호자를 찾을 수 없었다.
콜렌소는 나탈과 줄루랜드에서 식민지 정권에 의해 부당하게 대우받은 원주민 아프리카인들을 옹호했다. 1874년에 그는 랑갈리발레레와 훌비 부족 및 응웨 부족의 문제에 대해 식민부 장관인 카나본 경에게 진술했다. 랑갈리발레레는 1873년에 반란 혐의로 거짓 고발을 받았고, 재판의 조작 끝에 유죄 판결을 받고 로벤 섬에 투옥되었다. 콜렌소는 나탈의 식민지 정권과 원주민 문제 담당 비서인 시어도어스 셰프스톤을 상대로 랑갈리발레레 편을 들면서 나탈의 식민지 사회와 더욱 소원해졌다.
콜렌소 주교는 셰프스톤과 나탈 총독이 런던의 식민부 장관에게 제공하고 있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에 대해 우려하여 보어족의 억압과 공식적인 침해에 맞서 줄루족을 옹호했다. 그는 줄루 왕국을 나탈에 대한 위협으로 묘사하려는 프레어의 노력에 대한 저명한 비판가였다. 콜렌소의 캠페인은 나탈의 식민지 정권의 인종차별적 토대를 드러냈고 그를 식민지 주민들의 적으로 만들었다.
영국 총리 벤저민 디즈레일리의 런던의 보수당 행정부는 줄루족과의 전쟁을 원하지 않았다. 1878년 11월, 카나본의 후임인 식민부 장관인 마이클 힉스 비치 경은 "문제는 동유럽과 인도에서 ... 너무 심각한 양상을 띠고 있어서 다른 더 크고 가능한 문제에 더하여 줄루 전쟁을 치를 수 없다"고 적었다. 그러나 바틀 프레어 경은 1877년부터 여러 영국 식민지, 보어 공화국 및 토착 국가에서 남아프리카 연방을 건설하라는 지시를 받고 총독 겸 고등 판무관으로 케이프 식민지에 와 있었고 그의 계획은 매우 진전되었다. 그는 강력한 줄루 왕국이 이를 방해한다고 결론을 내렸고, 따라서 세츠와요 왕과 그의 줄루 군대가 이 지역의 평화를 위협한다는 셰프스톤의 주장에 동의했다. 줄루 왕국에 대한 영국의 침략 준비는 수개월 동안 진행되어 왔다. 1878년 12월, 영국 정부가 또 다른 식민지 전쟁을 시작하는 것을 꺼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레어는 세츠와요에게 줄루 군대를 해산하고 줄루족이 영국 거주자를 받아들일 것을 요구하는 최후 통첩을 제시했다. 이는 세츠와요가 동의했을 경우 사실상 왕위를 잃게 된다는 것을 의미했기에 줄루족에게는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었다.
2. 3. 영국의 대 줄루 정책 결정
1877년, 남아프리카 고등판무관으로 임명된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은 남아프리카 연방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19] 그는 줄루 왕국을 연방의 가장 큰 장애물로 여기고, 무력으로라도 이를 제거하려 했다.[20][21]프레어는 줄루 왕국과의 국경 분쟁, 줄루족 전사들의 영국 영토 침입 사건 등을 과장하거나 왜곡하여 전쟁의 명분을 만들었다. 1878년 12월 11일, 프레어는 줄루 왕 케취와요 캄판데에게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의 최후통첩을 보냈다.[22][23] 당시 영국 정부는 줄루 왕국과의 전쟁을 원하지 않았지만, 프레어는 독단적으로 최후통첩을 보내고 전쟁을 시작했다.[24] 최후통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측량 기사를 붙잡은 범인을 나탈 법원에서 재판받도록 인도할 것.
# 위의 범행 및 세테와요가 법원 명령에 따르지 않은 데 대한 배상으로 소 500마리를 지불할 것.
# 측량 기사에 대한 불법 행위의 배상으로 소 100마리를 지불할 것.
# 스와지족장 은빌리나이를 트란스발 법원에서 재판받도록 인도할 것.
# 즉위 시의 약속을 준수할 것.
# 줄루군은 해산하고, 남자들은 귀가할 것.
# 기존의 줄루 군제는 폐지하고, 영국과의 협의 하에 다른 군제를 채택할 것.
# 귀가한 남자들은 결혼할 수 있도록 할 것.
# 1877년에 이전에 줄루에 거주했던 모든 선교사와 개종자는 그들이 원한다면 귀환하여 원래의 거주지에 살게 할 것.
# 선교사들은 설교를 허용하고, 가르침을 원하는 줄루족은 자유롭게 들을 수 있을 것.
# 위의 조건의 이행을 감독하는 영국 대리인의 체류를 허가할 것.
# 선교사 및 유럽인에 관한 모든 분쟁은 판무관 입회 하에 왕이 공개적으로 청취할 것.
# 판무관의 동의 없이, 줄루 랜드로부터의 추방형은 행하지 않을 것.
3. 경과
1879년 1월 11일, 프레데릭 세시저 중장이 이끄는 영국군은 본국 정부의 승인 없이 줄루 왕국을 침공했다. 영국군은 유럽 병사 11,300명, 아프리카 병사 5,800명으로 5개 종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종대 | 병력 | 지휘관 | 역할 |
---|---|---|---|
제1 종대 | 4,750명 | 찰스 피어슨 대령 | 투겔라 강 하류를 도하하여 해안을 따라 에쇼웨를 목표로 진군 |
제2 종대 | 3,871명 | 앤서니 던퍼드 중령 | 나탈 방어 |
제3 종대 | 4,709명 | 리처드 그린 대령 (실제로는 체름스포드 중장 지휘) | 로르크스 드리프트에서 침공하여 왕도 울룬디를 목표 |
제4 종대 | 1,656명 | 에블린 우드 대령 | 위트레흐트 지역을 출발하여 블라트 강을 도하, 북서쪽으로 캄불라로 진군 |
제5 종대 | 2,278명 | 휴 로런즈 대령 | 위트레흐트 지역에 주둔 |
줄루군은 약 4만 명의 병력으로, 1,500명에서 4,000명으로 구성된 연대(''IMPI'')로 이루어졌다. 줄루 왕국의 건국자 샤카 왕이 고안한 '맹우의 뿔' 전술은 다음과 같았다.
- '''뿔''': 적을 포위하여 억누르는 역할. 젊고 경험이 부족한 전사로 구성.
- '''가슴''': 적을 정면에서 공격하는 주력 부대.
- '''사자''': 예비 부대로, 패주하는 적을 추격. 베테랑 전사로 구성.
줄루 전사는 대형 창을 주 무기로 사용했고, 전쟁 초기에는 총기를 장비한 전사가 극소수였다. 그나마 있던 총기도 구식 머스킷이 대부분이었고 정비도 불가능하여 상태가 좋지 않았다. 세테와요는 총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878년에 명중률을 높이기 위한 훈련을 명령했지만, 영국군의 화력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줄루군은 병력, 사기, 지도력, 기동성을 활용하여 무기의 열세를 보충했다.
3. 1. 최후통첩과 전쟁의 시작
1878년 12월 11일, 최후통첩 나무에서 투겔라 강둑에 있는 세트스와요 왕의 대표자들에게 최후통첩이 전달되었다.[40] 최후통첩에는 여러 조항이 있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번호 | 내용 | 기한 |
---|---|---|
1 | 시하요의 세 아들과 형제를 나탈 법원에서 재판받도록 항복 | 20일 (12월 31일까지) |
2 | 상기 범죄자들의 범죄 행위와 세트스와요가 범죄자 인도를 요구하는 나탈 정부의 요청에 늦게 응답한 것에 대해 소 500마리의 벌금 지불 | 20일 (12월 31일까지) |
3 | 스미스와 데이턴 씨에게 저지른 범죄에 대해 소 100마리를 지불 | 20일 (12월 31일까지) |
4 | 스와지 족장 움빌리니와 이후에 지정될 다른 사람들을 트란스발 법원에서 재판받도록 항복 | 명시되지 않음 |
5 | 대관식 약속 준수 | 10일 추가 (총 30일, 1879년 1월 10일까지) |
6 | 줄루 군대 해산 및 병사들의 귀가 허용 | 10일 추가 (총 30일, 1879년 1월 10일까지) |
7 | 줄루 군사 제도 폐지 및 대평의회와 영국 대표와 협의 후 다른 군사 규정 채택 | 10일 추가 (총 30일, 1879년 1월 10일까지) |
8 | 모든 남자는 성인이 되면 자유롭게 결혼할 수 있어야 함 | 10일 추가 (총 30일, 1879년 1월 10일까지) |
9 | 1877년까지 줄루 족 지역에 살았던 모든 선교사와 그들의 개종자들은 돌아와 거주지 재점유 허용 | 10일 추가 (총 30일, 1879년 1월 10일까지) |
10 | 모든 선교사들은 가르치는 것이 허용, 줄루 족은 원한다면 가르침을 자유롭게 들을 수 있어야 함 | 10일 추가 (총 30일, 1879년 1월 10일까지) |
11 | 영국 요원은 위 조항 시행 감독을 위해 줄루 족 지역에 거주 허용 | 10일 추가 (총 30일, 1879년 1월 10일까지) |
12 | 선교사나 유럽인이 관련된 모든 분쟁은 국왕이 상주관의 입회 하에 공개적으로 심리 | 10일 추가 (총 30일, 1879년 1월 10일까지) |
13 | 줄루 족 지역에서의 추방 선고는 상주관의 승인을 받을 때까지 집행되지 않아야 함 | 10일 추가 (총 30일, 1879년 1월 10일까지) |
이 조항들은 줄루 왕국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이었다. 특히 6, 7, 8번 조항은 줄루족의 군사 제도와 사회 제도에 대한 직접적인 간섭이었으며, 11, 12, 13번 조항은 줄루 왕국의 사법권과 통치권을 침해하는 것이었다.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은 런던의 간섭을 막기 위해, 취소하기에는 너무 늦을 때까지 식민지부에 자신의 최후통첩을 알리는 것을 미루었다. 그의 요구사항 전문은 1879년 1월 2일에 런던에 도착했다. 그때까지 첼름스포드는 줄루 족 지역 국경을 따라 침공 준비를 위해 18,000명의 군인을 소집했다.
헨리 바틀 프레어 경은 독자적으로 위원회 회의에 최후 통첩을 추가했고, 줄루족 대표들은 체츠와요에게 이를 전달하며 크게 놀랐다. 체츠와요는 연말까지 응답하지 않았고, 프레어는 1879년 1월 11일까지 기한을 연장했다. 체츠와요는 바틀 프레어의 요구에 응답하지 않았으며, 1879년 1월 프레더릭 테시거, 2대 첼름스퍼드 남작 중장이 지휘하는 영국군은 영국 정부의 승인 없이 줄루족 지역을 침공했다. 침공 날짜는 1879년 1월 11일이었다.
3. 2. 이산들와나 전투와 영국의 패배


1879년 1월 22일, 첼름스퍼드 경의 제3 종대는 이산들와나 근처에 야영했다.[7] 이날 아침, 첼름스퍼드는 정찰대를 지원하기 위해 부대를 나누어 출동시켰다. 첼름스퍼드가 야영지를 떠난 후, 풀레인 중령이 지휘를 맡았다. 앤서니 더너드 대령의 제2 종대 일부 500명이 도착하여 야영지 병력은 유럽인 800명, 아프리카인 900명이 되었다. 그러나 첼름스퍼드는 야영지에 방어 진지를 구축하지 말라고 명령했고, 줄루 군 접근 정보도 무시했다.[17]
오전 11시 30분, 음칭와요 코자가 이끄는 줄루 군 2만 명이 이산들와나 야영지에 돌격했다.[18] 영국군은 "맹우의 뿔"이라 불리는 줄루 군의 삼면 공격을 버티지 못하고 괴멸되었다. 영국군은 유럽인 806명, 아프리카인 471명이 희생되어 전멸했고, 줄루 군도 3,000명이 사상했지만, 이산들와나 전투는 이 전쟁 중 줄루족이 거둔 최대 승리였다.
1월 23일 새벽, 이산들와나에서 15km 떨어진 로크스 드리프트의 전도소 터 요새에 있던 영국군 수비대에 줄루 군 4,000명이 공격해왔다. 존 차드 중위가 이끄는 수비대는 아프리카 병력이 도망쳐 영국군 139명뿐이었다. 40대 1의 전력 차이에도 영국군은 이틀 동안 버텼고, 이산들와나에서 퇴각해 온 첼름스퍼드 부대가 접근하자 줄루 군은 철수했다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 영국군은 전사 13명, 부상 14명, 줄루 군은 전사 351명이었다. 차드 중위 등 수비대 장병 11명에게 빅토리아 십자훈장이 수여되었다.
이산들와나 패전 소식은 백인 식민자들 사이에 빠르게 퍼졌다. 그들은 방비를 강화하거나, 더 안전한 피터마리츠버그나 더반으로 피신했다. 영국은 나탈 침공을 우려했지만, 줄루 군은 지금까지 전투에서 5,000명을 잃었고, 전과를 확대할 여력이 없었다.
첼름스퍼드 제3 종대가 교전하는 동안, 해안을 따라 진격하는 찰스 피어슨 대령의 제1 종대는 투겔라 강을 건너 냐잔 강에서 기습을 시도했으나, 매복해 있던 줄루 군과 소규모 교전 후 전진하여 에쇼웨의 버려진 선교소에 도착해 진지를 구축했다. 이산들와나 참패를 알게 된 피어슨은 투겔라 강까지 후퇴를 계획했지만, 실행을 망설이는 동안 줄루 군은 영국군 보급로를 끊고 에쇼웨를 포위했다.
3. 3.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와 영국군의 반격
이산들와나 전투 직후, 줄루 군대는 로크스 드리프트의 영국군 기지를 공격했지만, 영국군의 저항에 막혀 격퇴되었다.[9] 영국은 증원군을 바탕으로 반격에 나섰다.3월 7일, 2개 포병 중대를 포함한 7개 연대 규모의 증원군 제1진이 더반에 도착했다. 그러나 3월 12일, 류엔스부르크로 향하던 보급대가 인톰비 강(Intombi River)에서 습격을 받아 전멸하고 보급 물자를 빼앗겼다(인톰비 전투).
3월 28일, 레드버스 블러 중령이 흐로바네를 공격했지만, 줄루군 본대 2만 6천 명이 지원하여 영국군은 격퇴되었고, 줄루군이 승리했다. 영국군은 아프리카인 부대 손실(대부분 도주) 외에도 유럽 병사 100명이 사망했다.
다음 날인 3월 29일, 2만 5천 명의 줄루 전사가 캄불라의 우드 야영지(2,068명)를 습격했다. 5시간의 격전 끝에 줄루군은 철수했다. (캄불라 전투) 영국군의 손실은 26명, 줄루군의 손실은 약 2,000명으로, 이 전투는 결정적인 전투가 되었다.
4월 2일, 챗츠퍼드의 종대는 깅긴들로부 전투에서 줄루의 공격을 받았지만 격퇴했다. 줄루는 약 1,200명의 큰 피해를 입었고, 영국군은 2명이 전사하고 52명이 부상당했다.
3. 4. 울룬디 전투와 줄루 왕국의 멸망
1879년 7월 4일, 울룬디 전투에서 영국군은 줄루 군대를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9] 이 전투로 줄루 왕국의 저항은 사실상 종결되었다. 세츠와요 왕은 도피 생활 끝에 체포되었고, 줄루 왕국은 13개 지역으로 분할되어 영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체트와요는 새롭게 증강된 영국군이 강력한 적이 될 것을 알고 평화 조약을 협상하려 했다. 그러나 첼름스포드는 울즐리에게 지휘권을 넘겨주기 전에 자신의 명성을 회복하고 싶어 협상에 열려 있지 않았고, 주요 줄루 군대를 격파하기 위해 울룬디 왕실 크랄로 진격했다. 7월 4일, 양군은 울룬디 전투에서 충돌했고, 체트웨요의 군대는 결정적으로 패배했다.
울룬디 전투 이후 줄루군은 흩어졌고, 지도자급 추장 대부분이 항복했으며, 세체와요는 도망자가 되었다. 울룬디 이후 첼름스포드를 구원한 울즐리는 최종 작전을 인수했다. 8월 28일, 왕은 체포되어 케이프타운으로 보내졌다. 울즐리는 줄루랜드를 13개의 추장국으로 분할하는 새로운 계획을 세웠는데, 이 계획은 줄루족이 더 이상 단일 왕 아래 통합되지 않도록 하고 내부 분열과 내전을 불가피하게 만들었다. 샤카 왕조는 폐위되었고, 줄루 국가는 지베부, 백인 모험가 존 로버트 던 등을 포함한 11명의 줄루 추장에게 분할되었다.
영국 정부는 멜모스 오스본을 통하여 추장들과 소통했다. 1882년 영국 정부는 세체와요를 권력으로 복귀시키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그동안 우시베푸 (지베부)와 하무 추장과 전 국왕과 그의 가족을 지지하는 부족 사이에서 피의 복수가 벌어졌다. 세체와요의 일파(현재 우수투로 알려짐)는 두 추장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이들은 백인 자유 용병의 지원을 받았다.
세체와요가 복위되었을 때 우시베푸는 그의 영토를 유지했고, 던의 땅과 바소토 추장의 땅은 예비 구역으로 설정되어, 복위된 국왕을 섬기기를 꺼리는 줄루족을 위한 거주지가 제공되었다. 우시베푸는 무장 훈련된 강력한 군대를 만들고, 세체와요의 영토 경계에서 독립을 유지하면서 전 국왕의 재설치를 불쾌하게 여겼고, 세체와요는 그의 친척을 굴복시키고 싶어했다. 충돌이 곧 일어났다. 우시베푸의 군대가 승리했고, 1883년 7월 22일, 기병 보어 용병 부대의 지휘를 받아 그는 세체와요의 울룬디 크랄을 갑자기 공격하여 파괴하고, 도망쳐 살아남을 수 없는 남녀 노소를 학살했다. 국왕은 부상을 입었지만 응칸들라 숲으로 도망쳤다. 멜모스 오스본에게 호소한 후 그는 에쇼위로 이동하여 곧 사망했다.
4. 평가
영국군은 줄루 왕국과의 전쟁에서 결국 승리했지만, 이산들와나 전투와 같은 패배를 경험하며 제국주의 식민지 정책의 한계를 드러냈다.[40] 또한 이 전쟁은 보어인들과의 갈등(제1차 보어전쟁)으로 이어져, 제국주의적 확장이 큰 대가를 치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줄루족은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영국군의 우세한 화력에 큰 피해를 입었다. 전쟁으로 인해 1만 명 이상의 전사자가 발생하고, 줄루 왕국은 멸망했다. 케치와요 왕은 왕위를 박탈당하고, 줄루 왕국은 13개 자치 지역으로 분할되어 줄루족 사회는 분열과 내전을 겪었다.[42][43]
영국-줄루 전쟁은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 침략과 저항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당시 조선에게도 큰 관심사였다. 이 전쟁은 한국 독립운동가들에게 제국주의에 맞서는 용기를 주었다.
군 내부에서는 첼름스퍼드에 대한 비난이 거세져, 5월 22일 그의 후임으로 식민지 전쟁 경험이 풍부한 울즐리 중장이 남아프리카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울즐리는 1875년 나탈 총독을 역임한 경험도 있었으며, 분쟁의 빠른 해결을 위해 협상을 포함한 전권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줄루 랜드의 병합은 금지되었다.
4. 1. 영국의 관점
영국군은 줄루 왕국에 결국 승리하면서 줄루 왕국이 위치했던 지역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를 옆에서 지켜보고 있던 보어인들과의 전쟁(제1차 보어전쟁)이 곧 이어졌고, 이산들와나 전투와 같이 또다시 패배하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되면서 제국주의 식민지 정책의 한계와 제국주의 열망이 얼마나 큰 비용을 치르는 지 보여주었다.[40]영국은 줄루족이 지키던 지역을 손아귀에 넣음으로써 아프리카 남북 종단 정책 및 남아프리카 연방을 실현하는데 이바지 하였으며, 정책 실현을 위한 다른 계획을 위해 또 다른 충돌을 야기해야만 했다. 그것이 바로 보어 전쟁(남아프리카 전쟁)이다.[40]
이산들와나 전투의 패배는 줄루 전쟁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영국 본국에서는 보복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아졌다.
하지만, 정부의 전쟁에 대한 태도는 불분명했다. Henry Bartle Frere|헨리 바틀 프레어|label=프레어영어와 첼름스퍼드가 공명심에서 시작한 전쟁이었고, 정부는 적극적이지 않았다. 때문에 세인트 알드윈 백작 힉스 비치 식민장관은 프레어에게 줄루란트의 병합을 금지하고, 다시 협상에 의한 해결을 명령했다. 세테와요는 이미 협상을 제안했지만, 프레어와 첼름스퍼드는 본국과의 연락에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이용하여 무시했다. 한편, 군 내부에서는 이산들와나에서 굴욕적인 패배를 당한 첼름스퍼드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게다가 로르크스 드리프트의 장병 13명에게 최고 훈장인 빅토리아 십자 훈장이 수여된 것에 대해서도 과도하다는 불만의 의견이 있었다. (예를 들어 줄루 전쟁 중에 23명이 빅토리아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본토 항공전이나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는 각 1명뿐이었다.)
그 한편, 대영 제국의 위신을 지키고 식민지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줄루에 대해 명확한 승리를 거두는 것도 필요했다. 그렇기에 본국 정부는 첼름스퍼드가 이전에 요청했던 것보다 많은 증원 부대의 파견을 결정했다.
4. 2. 줄루족의 관점
줄루족은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승리하며 사기가 높아졌지만, 영국군의 우세한 화력에 큰 피해를 입었다. 줄루족 청소년들은 군사 집단에서 훈련을 받으며 용맹한 전사로 성장했다. 이들은 근위대, 경찰, 군대 역할을 하며 외부 위협에 맞서 싸웠다.[41]이러한 줄루족의 용맹함은 줄루 전쟁에서도 드러났다. 영국군의 공격에도 굴하지 않고 돌진하는 줄루 전사들의 모습은 영국군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원시적인 무기로는 영국군에 맞서기 어려웠고, 결국 줄루족은 전쟁에서 패배하며 1만 명 이상의 전사자를 내는 큰 피해를 입었다.[42]
전쟁은 인명 피해뿐 아니라 줄루 왕국의 멸망으로 이어졌다. 케취와요 왕은 왕위를 박탈당하고, 줄루 왕국은 13개 자치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이는 줄루족 사회의 분열과 내전을 초래했다.[43]
4. 3. 한국의 관점
영국-줄루 전쟁은 제국주의 시대의 식민지 침략과 그에 맞선 저항의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이다. 당시 조선 역시 서구 열강의 침략 위협에 직면해 있었기 때문에, 이 전쟁은 한국인들에게도 큰 관심사였다. 이 전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들에게 제국주의에 맞서 싸우는 용기와 희생정신을 고취하는 계기가 되었다.5. 전쟁 이후
울룬디 전투 이후 줄루군은 흩어졌고, 세츠와요는 도망자 신세가 되었다. 7월 17일 울즐리 장군이 현지에 도착하여 첼름스포드로부터 지휘권을 인계받았고, 8월 28일 세츠와요는 체포되어 케이프타운으로 보내졌다. 이후 줄루족에게는 그의 폐위가 공식적으로 선언되었다.[9]
울즐리는 줄루 왕국을 13개 지역으로 분할하는 새로운 통치 체제를 만들었다. 샤카 왕조는 배제되었고, 줄루 왕국은 세츠와요의 라이벌이었던 지베부, 백인 모험가 존 던 등을 포함한 11명의 줄루족 추장에게 분할되었다. 이는 줄루족이 단일 왕 아래 통합되지 못하게 하고, 내부 분열과 내전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었다.
영국군은 줄루 왕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이산들와나 전투와 같은 패배를 경험하며 제국주의 식민지 정책의 한계와 그 욕망이 초래하는 큰 대가를 깨닫게 되었다.[40]
영국은 줄루족 지역을 장악함으로써 아프리카 남북 종단 정책 및 남아프리카 연방 실현에 한 걸음 다가섰지만, 보어 전쟁(남아프리카 전쟁)이라는 또 다른 갈등을 야기해야 했다.[40]
5. 1. 줄루 왕국의 분할 통치와 내분
울룬디 전투 이후 줄루군은 흩어졌고, 세츠와요는 도망자 신세가 되었다. 7월 17일 울즐리 장군이 현지에 도착하여 첼름스포드로부터 지휘권을 인계받았다.[9] 8월 28일, 세츠와요는 체포되어 케이프타운으로 보내졌고, 줄루족에게는 그의 폐위가 공식적으로 선언되었다.[9]울즐리는 줄루 왕국을 13개 지역으로 분할하는 새로운 통치 체제를 만들었다. 샤카 왕조는 배제되었고, 줄루 왕국은 세츠와요의 라이벌이었던 지베부, 백인 모험가 존 던, 그리고 전쟁에서 영국과 동맹을 맺은 바소토족 추장 흘루비를 포함한 11명의 줄루족 추장에게 분할되었다. 이러한 분할 통치는 줄루족이 단일 왕 아래 통합되지 못하게 하고, 내부 분열과 내전을 일으키기 위한 것이었다.
영국 정부는 추장들과의 의사소통 채널로 멜모스 오스본을 거주자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 조치는 많은 유혈 사태와 혼란을 야기했고, 1882년 영국 정부는 세츠와요를 복위시키기로 결정했다. 그동안 우시베푸(지베부)와 하무 추장, 그리고 전 국왕과 그의 가족을 지지하는 부족들 사이에서 피의 복수가 벌어졌다. 세츠와요의 일파(우수투)는 두 추장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이들은 백인 자유 용병의 지원을 받았다.
세츠와요가 복위되었을 때, 우시베푸는 그의 영토를 유지했고, 던의 땅과 바소토 추장의 땅(나탈에 인접한 투겔라 강과 움흘라투지 사이의 지역)은 예비 구역으로 설정되어, 복위된 국왕을 섬기기를 꺼리는 줄루족을 위한 거주지가 되었다. 그러나 이 조치 역시 무의미했다. 우시베푸는 무장 훈련된 강력한 군대를 만들고, 세츠와요의 영토 경계에서 독립을 유지하면서 전 국왕의 재설치를 불쾌하게 여겼고, 세츠와요는 그의 친척을 굴복시키고 싶어했다. 충돌이 곧 일어났다. 우시베푸의 군대가 승리했고, 1883년 7월 22일, 기병 보어 용병 부대의 지휘를 받아 그는 세츠와요의 울룬디 크랄을 갑자기 공격하여 파괴하고, 남녀 노소를 학살했다. 세츠와요는 부상을 입었지만 응칸들라 숲으로 도망쳤다. 멜모스 오스본에게 호소한 후 그는 에쇼위로 이동하여 곧 사망했다.
5. 2. 보어 전쟁으로의 연결
영국군은 줄루 왕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줄루 왕국이 있던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보어인들과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산들와나 전투와 같은 패배를 경험하며 제국주의 식민지 정책의 한계와 제국주의적 욕망이 초래하는 큰 대가를 깨닫게 되었다.[40]영국은 줄루족 지역을 장악함으로써 아프리카 남북 종단 정책 및 남아프리카 연방 실현에 한 걸음 다가섰지만, 이를 위해서는 또 다른 갈등을 야기해야 했다. 그것이 바로 보어 전쟁(남아프리카 전쟁)이었다.[40]
이 시기, 영국령 케이프 식민지에서는 보어인(네덜란드계 식민자)들이 영국의 통치를 피해 1835년부터 북쪽으로 이동하는 그레이트 트렉을 시작했다. 보어인들은 정착지를 찾아 원주민 부족과 충돌했고, 1838년 Weenen massacre|위넨 학살영어에서 딘가네는 Voortrekkers|포르트레커af의 지도자 Piet Retief|피에트 레티프영어를 포함한 250명의 보어인을 학살했다. 이후 Battle of Blood River|블러드 리버 전투영어에서 승리한 보어인들은 나탈 공화국을 세웠다.
영국은 보어인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1845년 나탈 공화국을 케이프 식민지에 병합했다. 이에 불만을 품은 보어인들은 북동쪽으로 이동하여 1852년 바알 강 이북에 트란스발 공화국(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오렌지 강 이북에는 오렌지 자유국을 건국했다. 영국 정부는 내륙 통치에 드는 비용을 우려하여 이를 승인했다.
6. 주요 인물
- '''세츠와요''': 1876년 9월, 줄루 왕국 내 여성 대량 학살 사건에 대해 나탈 행정부의 강력한 항의를 받았으나, 현지 행정부는 아프리카 국가 문제에 거만한 태도를 보였다. 트란스발 공화국과의 국경 문제로 갈등을 겪었으나, 초기에는 나탈 원주민 문제 담당 장관 테오필러스 셰프스턴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셰프스턴이 트란스발을 대영 제국에 병합한 후, 입장을 바꿔 보어 측 이익을 대변하며 줄루 왕국을 영국의 위협으로 보고했다.[15] 울룬디 전투 패배 이후, 세츠와요는 도망쳤으나 1879년 8월 28일 체포되어 케이프타운으로 보내졌다.
- '''바틀 프레어''': 1874년 남아프리카 고등판무관으로 파견되어 남아프리카 연방을 추진했다. 그는 줄루 왕국과의 전쟁을 연방화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으로 여겼다.[15] 1878년 사소한 국경 침범을 구실로 줄루에게 과도한 배상을 요구하고, 12월 11일 수용 불가능한 최후 통첩을 보내 전쟁을 유발했다.
- '''첼름스퍼드 남작''': 1878년 2월, 남아프리카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 크림 전쟁과 인도에서의 경험이 있었지만, 야전 지휘관 경험은 부족했다.[16] 1879년 이산들와나 전투에서 부대를 분할하여 지휘를 맡겼으나, 방어 진지 구축 명령을 내리지 않고 줄루군의 접근 정보를 무시하여 패배했다.[17] 이 전투의 패배로 군 내부에서 비난을 받았고, 1879년 5월 22일 가넷 울즐리 중장에게 남아프리카 군 사령관직을 넘겨주었다.[18]
6. 1. 헨리 바틀 프레어
1874년, 캐나다 연방을 성공적으로 성립시킨 카너번 백작 식민장관은 남아프리카에도 비슷한 연방을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Henry Bartle Frere|헨리 바틀 프레어|바틀 프레어영어가 남아프리카 고등판무관으로 파견되었다.[15] 이 계획의 주요 걸림돌은 독립 국가인 트란스발 공화국과 줄루 왕국이었다.프레어는 줄루 왕국과의 전쟁이 연방화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고, 남아프리카 최고 사령관 체름스퍼드 남작도 이에 동의했다.[15] 그러나 1878년 카너번 백작을 대신하여 식민 장관이 된 마이클 힉스 비치 준남작은 줄루와의 분쟁을 협상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당시 영국군은 제2차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치르고 있었기 때문에, 인도와 가까운 아프가니스탄이 남아프리카보다 더 중요했다.
1878년 2월, 트란스발과 줄루 왕국 사이의 국경 문제에 대한 보고를 위해 나탈 총독 헨리 불워에 의해 위원회가 임명되었다. 7월에 제출된 보고서는 줄루 측의 주장에 부합하는 내용이었다. 프레어는 이 보고서를 "일방적이고 보어인에게 부당하다"고[16] 생각하여, 줄루에게 주어지는 땅에서 보어인이 철수하면 보상을 해야 하고, 잔류하면 보호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1878년, 프레어는 두 명의 줄루 전사가 두 명의 나탈 여성을 유혹해 데려간 사소한 국경 침범을 구실로 줄루에게 배상으로 500마리의 소를 요구했다. 세테와요가 50파운드 상당의 돈만 보내자, 프레어는 더 많은 배상을 요구했지만 세테와요는 다시 거부했다.
결국 프레어는 남아프리카 연방을 만들기 위한 주요 장애물로 줄루 왕국을 지목하고 전쟁을 결심했다. 그는 본국 정부의 지지를 받지 못할 것을 예상하여 사건의 세부 사항 보고를 늦추고, 12월 11일 줄루 측에 수용 불가능한 최후 통첩을 보냈다. 최후 통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 | 조건 |
---|---|
1 | 측량 기사를 붙잡은 범인을 나탈 법원에서 재판받도록 인도할 것. |
2 | 위의 범행 및 세테와요가 법원 명령에 따르지 않은 것에 대한 배상으로 소 500마리를 지불할 것. |
3 | 측량 기사에 대한 불법 행위 배상으로 소 100마리를 지불할 것. |
4 | 스와지족장 은빌리나이를 트란스발 법원에서 재판받도록 인도할 것. |
5 | 즉위 시의 약속을 준수할 것. |
6 | 줄루군은 해산하고, 남자들은 귀가할 것. |
7 | 기존의 줄루 군제는 폐지하고, 영국과의 협의 하에 다른 군제를 채택할 것. |
8 | 귀가한 남자들은 결혼할 수 있도록 할 것. |
9 | 1877년 이전에 줄루에 거주했던 모든 선교사와 개종자는 그들이 원한다면 돌아와 원래 거주지에 살게 할 것. |
10 | 선교사들은 설교를 허용하고, 가르침을 원하는 줄루족은 자유롭게 들을 수 있을 것. |
11 | 위의 조건 이행을 감독하는 영국 대리인의 체류를 허가할 것. |
12 | 선교사 및 유럽인에 관한 모든 분쟁은 판무관 입회 하에 왕이 공개적으로 청취할 것. |
13 | 판무관의 동의 없이, 줄루 랜드로부터의 추방형은 행하지 않을 것. |
세테와요는 이 요구를 거부했고, 1879년 1월 11일 영국군의 침공으로 전쟁이 시작되었다.
6. 2. 세츠와요 캄판데
세츠와요는 1876년 9월, 줄루 왕국 내 여성 대량 학살 사건에 대해 나탈 행정부의 강력한 항의를 받았으나, 현지 행정부는 아프리카 국가 문제에 거만한 태도를 보였다. 세츠와요와 트란스발 공화국 간 국경 문제도 지속되었다. 나탈 원주민 문제 담당 장관이자 세츠와요의 친구였던 테오필러스 셰프스턴은 국경 문제에서 그를 지지했다. 1877년 셰프스턴은 소규모 부대를 이끌고 트란스발로 가 보어인들에게 독립 포기를 설득, 트란스발은 대영 제국에 병합되었다. 이후 트란스발 행정관이 된 셰프스턴은 입장을 바꿔 보어 측 이익을 대변하며 국경 문제에 대처했고, 줄루 왕국을 영국의 위협으로 고등판무관에게 보고했다[15] .
울룬디 패배로 줄루군은 흩어졌고, 세츠와요는 도망쳤다. 7월 17일 울즐리 장군이 현지에 도착, 체름스포드로부터 지휘권을 인계받았고 체름스포드, 블러, 우드는 본국으로 귀환했다.
주요 부족장들은 영국군에 귀순을 신청했다. 8월 28일 세츠와요는 체포되어 케이프타운으로 보내졌다. 줄루족에게는 그의 폐위가 선언되었고, 울즐리는 줄루 왕국 정부에 새 체제를 만들었다. 샤카 왕족은 배제되었고, 줄루 왕국은 세츠와요의 라이벌 지헤브, 백인 모험가이자 세츠와요의 고문 존 단, 전쟁 공헌자 바스토족 수장 풀비 등 13개 지역으로 분할, 영국의 간접 통치 체제가 되었다.
6. 3. 프레드릭 테시어 (첼름스퍼드 남작)
1878년 2월, 코사족과의 국경 분쟁에서 승리한 찰스 체름스포드 중장은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 그는 크림 전쟁과 인도에서의 전적이 있었지만, 대부분 참모 장교로서 야전 지휘관 경험은 부족했다.[16]11월 11일, 체름스포드는 불워 총독으로부터 7,000명의 아프리카인을 모집할 허가를 받아, 아프리카 병사로 구성된 보조 부대를 조직했다.
1879년 1월 22일, 이산들와나 근처에 야영한 제3 종대는 이른 아침 정찰대를 지원하기 위해 체름스포드가 부대를 분할하여 출동하면서 헨리 플레인 중령이 지휘를 맡게 되었다. 댄포드 중령의 제2 종대 일부 500명이 도착하여 병력은 유럽인 800명, 아프리카인 900명이 되었으나, 체름스포드는 야영지에 방어 진지를 구축하지 않도록 명령하고(땅이 너무 단단했기 때문이었다[17]), 즈룰루 군의 접근 정보도 무시했다.
1월 23일 새벽, 이산들와나에서 퇴각해 온 체름스포드의 부대는 로르크스 드리프트 전투에서 즈룰루 군을 격퇴했다.
이산들와나 전투의 패전 이후, 군 내부에서 첼름스퍼드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자, 5월 22일 그의 후임으로 울즐리 중장이 남아프리카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8]
참조
[1]
서적
Knight (1992, 2002)
[2]
간행물
British Parliamentary Papers, C. 2222, No. 111: Frere to Hicks Beach
1878-10-06
[3]
간행물
British Parliamentary Papers, C. 2220, No. 40: Bulwer to Hicks Beach
1878-08-09
[4]
간행물
British Parliamentary Papers, C. 2220, Enclosure in No. 89: Cetshwayo to Bulwer
1879-08-24
[5]
간행물
British Parliamentary Papers, C. 2220, No. 105, Frere to Hicks Beach
1878-09-30
[6]
간행물
British Parliamentary Papers, C. 2260, Enclosure 2 in No. 6: Memorandum
1879-01-16
[7]
서적
Washing of the Spears
[8]
웹사이트
The Battle of Isandlwana: Zulu Wars with the British
https://warfarehisto[...]
2015-07-24
[9]
논문
'War Can't Be Made with Kid Gloves': The Impact of the Anglo-Zulu War of 1879 on the Fabric of Zulu Society
https://www.tandfonl[...]
2009-01-14
[10]
서적
History of the Zulu War and Its Origin
Chapman and Hall
1880
[11]
서적
The Washing of the Spears
Da Capo Press
1998
[12]
서적
History of the Zulu War and Its Origin
London
1880
[13]
서적
The Zulu War
[14]
서적
The Zulu War
[15]
서적
南アフリカの歴史
[16]
서적
Life of Frere
[17]
잡지
ズールー戦争
2001-02
[18]
잡지
ズールー戦争
2001-02
[19]
서적
The Zulu War 1879
http://books.google.[...]
Osprey
2003
[20]
서적
The Scottish Soldier and Empire, 1854-1902
http://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
[21]
서적
The Zulu War 1879
http://books.google.[...]
Osprey
2003
[22]
서적
History of the Zulu War and Its Origin
https://archive.org/[...]
Chapman & Hall
1880
[23]
서적
The Zulu War 1879
http://books.google.[...]
Osprey
2003
[24]
서적
The Washing of the Spears: A History of the Rise of the Zulu Nation Under Shaka and Its Fall in the Zulu War of 1879
http://books.google.[...]
Da Capo Press
1998
[25]
웹인용
The Union of South Africa
https://www.britishe[...]
[26]
웹인용
줄루전쟁의 역사적 배경
https://terms.naver.[...]
[27]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28]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29]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30]
웹인용
1879: The Bloodiest Battles Of The Anglo-Zulu War History Of Warfare Timeline
https://www.youtube.[...]
[31]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32]
웹인용
Battle of Isanlwana
https://www.britishb[...]
[33]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34]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35]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36]
웹인용
Battle of Khambula
https://www.britishb[...]
[37]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38]
웹인용
Battle of Ulundi
https://www.britishb[...]
[39]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40]
웹인용
South African War
https://www.britanni[...]
[41]
웹인용
줄루전쟁의 역사적 배경
https://terms.naver.[...]
[42]
웹인용
줄루전쟁-로크스드리프트 전역-2
https://bemil.chosun[...]
[43]
웹인용
Zulu War
https://www.nam.ac.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