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광 (승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광은 오사카 출생으로 제주도 북제주군을 원적지로 둔 승려이자 예술가이다. 그는 '걸레 스님'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파격적인 행보와 예술 세계로 주목받았다. 1977년 영국 왕립 아시아 학회에서 선화와 선시를 발표하고, 1979년에는 '한국의 피카소'로 소개되기도 했다. 달마도 등 선화와 선시에 능했으며, 1980년대에서 1990년대에는 천상병, 이외수와 함께 기인삼총사로 불렸다. 1997년 광고 출연료를 기부하고, 2000년 마지막 작품전 수익금을 불우 이웃에게 나누는 등 선행을 베풀기도 했다. 2002년 통도사에서 다비식을 치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승려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승려 - 학눌
학눌은 평양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법관으로 활동하다가 승려가 되어 금강산 신계사에서 출가하여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등을 역임하고 1966년 입적하였다. - 제주 고씨 - 고광헌
고광헌은 한겨레신문 기자, 대표이사 사장, 서울신문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 제주 고씨 - 고건
고건은 1961년 고등고시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전라남도지사, 여러 부처 장관,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원,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냈으며, 사회통합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다. - 제주시 출신 - 우근민
우근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가로, 총무처 공무원 요직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역임하며 민자당, 새정치국민회의, 열린우리당 등 다양한 정당 활동을 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 성희롱 소송 패소, 새누리당 입당 논란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제주시 출신 - 강금실
강금실은 1981년 사법시험 합격 후 판사, 인권 변호사, 대한민국 최초 여성 법무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후보, 법무법인 대표변호사, 사단법인 이사장, 경기도 기후대사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정치인이다.
중광 (승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본명 | 고창률 |
법명 | 중광 |
법호 | 농암(Nong'am) |
출생일 | 1935년 1월 4일 |
출생지 | 제주도 젠란난도, 일본 제국 |
사망일 | 2003년 1월 5일 (67세) |
국적 | 대한민국 |
묘지 | 양산시, 경상남도, 대한민국 |
학력 | |
학력 | 제주도 북제주 제주고등농림학교 중퇴 |
종교 및 소속 | |
종파 | 대한불교조계종 |
소속 |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단회의 의원 |
승려 정보 | |
출가 | 1963년 6월 13일 통도사 |
수행 | 1977~1979년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단회의 의원 |
직업 | |
직업 | 승려 시인 수필가 화가 |
기타 정보 | |
알려진 이유 | 기괴한 그림과 특이한 생활 방식 |
2. 생애
(내용 없음)
2. 1. 어린 시절과 출가
속명은 '''고창률'''(高昌律)이며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법명은 '''중광'''(重光), 법호는 농암(聾庵)이다.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났으며, 원적지는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이다. 3세 때인 1936년에 가족과 함께 제주도 북제주군으로 돌아와 정착했다. 제주도 북제주 함덕국민학교를 졸업하고 제주도 북제주 제주고등농림학교에 진학했으나,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인해 2학년 때 중퇴했다.해병대에서 사병으로 복무하고 병장으로 제대한 후, 1963년 6월 13일 경상남도 양산 통도사에서 출가했다.
2. 2. 승려이자 예술가로서의 활동
— 「나는 걸레」
미친 사람이지만 내 가슴 속에 지니고 다니는 좌우명이 하나 있습니다. 우리 민족에게 항시 발원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무슨 말을 할 것 같습니까? 알아보십시오. 잠깐……천당과 극락 자리가 많이 있으니 차를 급히 달리지 마십시오….
— 「허튼소리」 중에서
2. 3. 파격적인 행보와 예술 세계
해병대 사병으로 복무하고 병장으로 제대한 뒤, 1963년 6월 13일 경상남도 양산 통도사에서 출가했다. 1977년에는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단회의 의원을 지내기도 했으나, 틀에 얽매이지 않는 파격적인 행동으로 인해 1979년 10월 종단으로부터 파문당했다. 이는 기존 불교계의 권위적인 모습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되기도 한다.1977년 영국 왕립 아시아 학회에 초청되어 선화(禪畫)와 선시(禪詩)를 발표했다. 이때 자신의 시 〈나는 걸레〉를 낭송한 뒤 걸레 스님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 1979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의 루잉스 랭커스터 교수가 그를 '한국의 피카소'라고 칭하며 《The Mad Monk》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국제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81년 서울 '미 화랑'에서 열린 초대전을 통해 대중에게 본격적으로 알려졌으며, 1983년에는 미국 록펠러 재단과 하와이 주립대학교의 초청으로 전시회를 열었다. 1991년에는 일본 NHK, 영국 SKY Channel, 미국 CNN 등 세계적인 방송사들이 그의 독특한 예술 세계를 조명하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후 1993년 제8회 인터내셔널 로스앤젤레스 아트페어에서 초청 퍼포먼스를 선보였고, 1997년에는 독일 함부르크 미술대학교 초빙교수로 활동하며 강의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허튼 소리》는 1986년 김수용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어 아시아 영화제에서 한국 우수영화로 선정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1987년에는 이상화 각본, 이용우 연출로 연극 무대에 오르기도 했다. 1989년에는 한국평론가협회로부터 최우수 예술인상을 수상했다. 1990년에는 영화 〈청송으로 가는 길〉에 주연 배우로 출연하여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고, 대종상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중광은 스스로 "나는 걸레다", "내 생활 전부가 똥이요, 사기다"라고 말하며 기존의 관념과 권위를 조롱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음주와 끽연을 하면서도 승복과 삭발이라는 승려의 외형을 평생 유지했으며, 자신의 성기에 붓을 매달아 그림을 그리는 퍼포먼스를 하거나 살아생전에 자신의 제사를 지내는 등 예측 불가능한 기행을 일삼았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에서 강연하던 중 갑자기 여학생에게 키스를 하는 돌발 행동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파격 속에서도 달마도를 비롯한 선화(禪畵)와 선시(禪詩)에서는 뛰어난 예술성을 보여주었다.
활발히 활동하던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비슷한 시기에 독특한 개성으로 주목받았던 시인 천상병, 소설가 이외수와 함께 '기인삼총사'로 불리기도 했다.
그의 자유분방하고 파격적인 정신세계를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시와 어록은 다음과 같다.
: 반은 미친 듯, 반은 성한 듯
: 사는 게다.
: 삼천대천(三天大天) 세계는
: 산산히 부서지고
: 나는 참으로 고독해서
: 넘실넘실 춤을 추는 거야
: 나는 걸레
: 남 한강에 잉어가 싱싱하니
: 탁주 한 통 싣고
: 배를 띄워라
: 별이랑, 달이랑, 고기랑
: 떼들이 모여들어
: 별들은 노래를 부르고
: 달들은 장구를 치오
: 고기들은 칼을 들어
: 고기회를 만드오
: 나는 탁주 한 잔
: 꺾고서
: 덩실 더덩실
: 신나게 춤을 추는 게다
: 나는 걸레
:: — 〈나는 걸레〉
: 미친 사람이지만 내 가슴 속에 지니고 다니는 좌우명이 하나 있습니다. 우리 민족에게 항시 발원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무슨 말을 할 것 같습니까? 알아보십시오. 잠깐……천당과 극락 자리가 많이 있으니 차를 급히 달리지 마십시오….
:: — 《허튼소리》 중에서
2. 4. 노년과 죽음
1997년부터 치매와 조울증으로 건강이 나빠지면서 술과 담배도 끊었다. 이후 강원도 인제 백담사와 서울 구룡사 등에서 요양하였다. 1998년 강원도 백담사에서 달마화를 만들던 중 오현 스님으로부터 농암(聾庵)이라는 법호를 받았다. 입적하기 전 마지막 2년은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에 위치한 동굴에서 보냈는데, 이곳을 스스로 ‘벙어리 절간’이라고 불렀다. 2002년 3월 13일 통도사에서 다비식을 치렀으며, 장례식장에서는 가수 이남이가 노래를 부르는 등 창과 춤사위가 있었다.3. 주요 작품 활동
1977년 영국 왕립 아시아 학회에 초대되어 선화와 선시를 발표했으며, 이때 〈나는 걸레〉라는 시를 낭송한 뒤 '''걸레 스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1979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의 루잉스 랭커스터 교수가 《The Mad Monk》라는 책을 통해 중광을 ‘한국의 피카소’로 소개하면서 국제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1] 이후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그의 저서 《허튼 소리》는 1986년 김수용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어 아시아 영화제에서 한국 우수영화로 선정되었고,[1] 1987년에는 연극으로도 각색되었다.[1] 1989년에는 한국평론가협회로부터 최우수 예술인상을 받았으며,[1] 1990년에는 영화 〈청송으로 가는 길〉에 주연으로 출연하여 대종상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1]
1991년 일본 NHK, 영국 SKY Channel, 미국 CNN 등 해외 유수 방송사들이 그의 예술 세계를 조명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1] 1997년에는 독일 함부르크 미술대학교 초빙교수로 초청되어 강의하기도 했다.[1] 그는 달마도를 비롯한 선화(禪畵)와 선시(禪詩)에 특히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1]
중광은 파격적인 언행으로도 유명했는데, "나는 걸레다", "내 생활 전부가 똥이요, 사기다" 등의 말을 남겼다.[1] 또한 시인 천상병, 소설가 이외수와 더불어 '기인 삼총사'로 불리기도 했다.[1]
> 반은 미친 듯, 반은 성한 듯
> 사는 게다.
> 삼천대천(三天大天) 세계는
> 산산히 부서지고
> 나는 참으로 고독해서
> 넘실넘실 춤을 추는 거야
> 나는 걸레
> 남 한강에 잉어가 싱싱하니
> 탁주 한 통 싣고
> 배를 띄워라
> 별이랑, 달이랑, 고기랑
> 떼들이 모여들어
> 별들은 노래를 부르고
> 달들은 장구를 치오
> 고기들은 칼을 들어
> 고기회를 만드오
> 나는 탁주 한 잔
> 꺾고서
> 덩실 더덩실
> 신나게 춤을 추는 게다
> 나는 걸레
>
> — 중광, 〈나는 걸레〉[1]
> 미친 사람이지만 내 가슴 속에 지니고 다니는 좌우명이 하나 있습니다. 우리 민족에게 항시 발원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무슨 말을 할 것 같습니까? 알아보십시오. 잠깐……천당과 극락 자리가 많이 있으니 차를 급히 달리지 마십시오….
>
> — 중광, 《허튼소리》 중에서[1]
3. 1. 저서
제목 | 연도 | 출판사 | 비고 |
---|---|---|---|
〈허튼 소리〉 | 1985년 | 판매금지 | |
〈땡초, 중광조사 예하〉 | 1988년 | 영암스님 저 | |
〈유치찬란〉 | 1990년 | 삼성출판사 | 시인 구상과 공저 |
〈도적놈 셋이서〉 | 1990년 | 인의출판사 | 시인 천상병, 소설가 이외수와 공저 |
〈괜찮다, 괜찮다, 다 괜찮다〉 | 1990년 | 시인 천상병과 공저 | |
〈나는 똥이올시다〉 | 1991년 | 우리출판사 | |
〈사랑도 주고 정도 주고〉 | 1991년 | 일계사 | |
〈(한국의 피카소!)걸레스님 重光〉 | 1991년 | 밀알 | 김정휴 저 |
〈빈손으로 왔다 빈손으로 가는 것을...〉 | 1993년 | 보성출판사 | 공저 |
〈나는 세상을 훔치(拭)며 산다〉 | 1994년 |
3. 2. 화집
3. 3. 전시회
1981년 ‘미 화랑’에서 중광 초대전을 개최하며 세상에 알려졌다. 1983년에는 미국 록펠러 재단과 하와이 주립대학교에서 초대전을 열었다. 1993년에는 제8회 인터내셔널 로스앤젤레스 아트페어에 초대되어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2000년에는 가나 아트 센터에서 달마전 <괜히 왔다 갔다 한다>를 열었다.3. 4. 영화
중광의 저서 <허튼 소리>는 1986년 김수용 감독이 영화로 만들었으며, 이 영화는 아시아 영화제에서 한국 우수영화로 선정되었다. 또한 1990년에는 영화 〈청송으로 가는 길〉에 주연으로 출연하여 대종상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4. 기타
- 1997년 광고에 출연하고 받은 출연료(5000만원)를 모두 지인의 치료비로 주었으며, 2000년 개최한 마지막 작품전 수익금도 불우한 이웃에게 나누어 주었다.
참조
[1]
뉴스
Eccentric monk and artist, Reverend Mop dies at 67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03-01-05
[2]
뉴스
How a ‘mad monk’ captured Zen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by Herald Corporation
2011-08-07
[3]
서적
The mad monk : paintings of unlimited action
Lancaster-Miller Publishers
[4]
웹사이트
Jung Kwang
http://www.galleryme[...]
GALLERY MEE
2020-12-08
[5]
서적
The dirty mop : unlimited action paintings and poems
Asian Humanities Press Po Chin Chai
[6]
서적
The mad monk : paintings of unlimited action
Lancaster-Miller Publishers
[7]
서적
Religion and Everyday Life and Culture [3 volumes
ABC-CLI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