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의 한글 표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어의 한글 표기는 한국어에서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옮겨 적는 다양한 방식을 의미한다.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등 시대에 따라 표기법이 변화해 왔으며, 현재는 1986년 문교부가 정한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 표기법은 주음부호와 한글 대조표를 기반으로 하며, 중국 인명과 지명 표기에도 적용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별도의 외국말 적기법을 사용하며, 비공식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도 존재한다.
한국에서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일제강점기에는 당시의 언어 정책에 따라 특정 표기법이 시도되었으며,[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에도 새로운 표기법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5]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표기법은 1986년 1월 7일 당시 문교부(현 교육부)가 제정한 것을 따른다.[5]
대한민국의 공식적인 중국어 표기법은 주음 부호와 한글 발음을 대조한 표를 기본 원칙으로 삼는다.[1] 이 표기법은 성모(자음)와 운모(모음) 각각에 대응하는 한글 표기를 규정하고 있다.
2. 역사
2. 1.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당시에는 한어병음의 f 발음을 ᅋ으로 표기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했다(1937년 모던조선외래어사전). 또한 한글 마춤법 통일안의 1941년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에서는 한어병음의 b, p, d, t, g, k 발음을 각각 ㅍ, ㅃ, ㅌ, ㄸ, ㅋ, ㄲ으로 표기했다.[5]
2. 2.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당시, 들온말 적는 법에 따라 한어병음의 f 발음과 z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각각 ㆄ과 ㅿ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공자(孔子, Kǒngzǐ)를 '콩ᅀᅳ'로 적는 식이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표기법은 1986년 1월 7일 당시 문교부(현 교육부)가 제정한 것이다.[5]
3. 대한민국의 중국어 표기법
표기 시에는 몇 가지 주요 원칙이 적용된다. 첫째, 중국어의 특징 중 하나인 성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둘째, 특정 자음(j, q, zh, ch, z, c에 해당하는 'ㅈ, ㅉ, ㅊ') 뒤에 오는 일부 이중모음('ㅑ, ㅖ, ㅛ, ㅠ')은 단모음('ㅏ, ㅔ, ㅗ, ㅜ')으로 바꾸어 적는다. 예를 들어, 'jiā(쟈)'는 '자'로, 'jiě(졔)'는 '제'로 표기한다.
또한, 중국어의 방언은 지역별 발음 차이가 크지만, 현재 대한민국의 표기법은 푸퉁화(普通話) 발음을 기준으로 한 표기만 규정하고 있다. 상세한 주음 부호와 한글 대조표 및 구체적인 표기 세칙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음부호와 한글 대조표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기 위한 주음 부호와 한글 대조는 크게 성모(자음)와 운모(모음)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아래는 각 부호와 발음 방식에 따른 한글 표기를 설명한 것이며, 상세한 대조표는 관련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1]
=== 성모(聲母) ===
성모는 중국어 음절의 시작 부분에 오는 자음이다. 주요 성모와 그 한글 표기는 다음과 같다.
=== 운모(韻母) ===
운모는 성모 뒤에 오는 모음 부분이다. 단독으로 쓰이거나 결합하여 다양한 발음을 만든다.
=== 표기 참고 사항 ===3. 2. 표기 세칙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 표기한다.
원음 | 표기 변경 | 원음 | 표기 변경 |
---|---|---|---|
ㄐㄧㄚ | 쟈 → 자 | ㄐㄧㄝ | 졔 → 제 |
3. 3. 인명, 지명 표기 원칙
- 중국 인물의 이름은 과거 인물과 현대 인물을 구분하여 표기한다. 신해혁명을 기준으로 이전에 태어난 사람은 과거 인물로 보아 기존 방식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적고, 이후에 태어난 사람은 현대 인물로 보아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한다. 현대 인물의 경우, 필요하다면 한자를 함께 표기할 수 있다.
- 중국의 지명 표기는 현재 사용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 사용되지 않는 역사 지명은 한국 한자음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카이펑의 옛 이름인 변경(汴京)은 '변경'으로 적는 것이 원칙이다. 반면, 현재 지명과 동일한 역사 지명은 중국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예를 들어 베이징(北京)이나 상하이(上海)는 역사 기록에 나오더라도 '베이징', '상하이'로 표기하며, 필요한 경우 한자를 병기할 수 있다.
- 중국 및 일본의 지명 중 한국 한자음으로 읽는 것이 널리 사용되어 관용으로 굳어진 경우에는 이를 허용한다.
한자 | 표준 표기 및 관용 표기 | 한자 | 표준 표기 및 관용 표기 | 한자 | 표준 표기 및 관용 표기 |
---|---|---|---|---|---|
東京|도쿄jpn | 도쿄, 동경 | 京都|교토jpn | 교토, 경도 | 上海|상하이zho | 상하이, 상해 |
臺灣|타이완zho | 타이완, 대만 | 黃河|황허zho | 황허, 황하 |
3. 4. 바다, 섬, 강, 산 등의 표기 세칙
한자 사용 지역(일본, 중국)의 지명이 하나의 한자로 되어 있을 경우, '강', '산', '호', '섬' 등은 겹쳐 적는다.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국말적기법
2001년 북한에서 제정한 외국말적기법에 따라 중국어를 한글로 표기한다.[6]
4. 1. 표기 원칙
중국말은 라틴문에 의한 공식 표기법(예: 한어 병음)으로 전사한 것을 한글로 적는다.중국말 라틴문 공식 표기법에 쓰이는 글자는 다음과 같다.
대문자 | 소문자 |
---|---|
A | a |
B | b |
C | c |
Ch | ch |
D | d |
E | e |
F | f |
G | g |
H | h |
I | i |
J | j |
K | k |
L | l |
M | m |
N | n |
O | o |
P | p |
Q | q |
R | r |
S | s |
Sh | sh |
T | t |
U | u |
Ü | ü |
W | w |
X | x |
Y | y |
Z | z |
Zh | zh |
중국말은 단어별로 소리마디(음절, 한자)를 단위로 하여 한글로 적는다. 중국말 단어의 소리마디는 그것을 적은 라틴 글자와 글자 결합이 나타내는 원어의 발음에 한글 자모를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적는다. 구체적인 라틴 문자와 글자 결합별 한글 대응 표기는 별도의 표를 따른다.
5. 비공식 표기
개인이나 단체가 비공식적으로 사용하는 표기법도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제2장: 표기 일람표/중국어의 발음 부호
https://www.korean.g[...]
国立国語院
2020-02-26
[2]
웹사이트
제3장: 표기 세칙/중국어
https://www.korean.g[...]
国立国語院
2020-02-26
[3]
웹사이트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제2절 동양의 인명, 지명 표기
https://www.korean.g[...]
国立国語院
2020-02-26
[4]
문서
辛亥革命が基準
[5]
간행물
새국어생활 제14권 제2호(2004년 여름) - 외래어 표기 양상의 변천
http://www.korean.go[...]
2004
[6]
문서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