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네키 줄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스네키 줄러는 헝가리의 유서 깊은 체스네키 가문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여러 국가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이탈리아 군사 학교를 졸업하고, 이탈리아의 문화 엘리트와 교류하며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의 시를 번역하는 등 문학적 활동을 펼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부관과 핀도스 공국 및 마케도니아 공국의 섭정을 역임했으나, 반나치 활동을 했으며 유대인을 구출하여 이스라엘로부터 열방의 의인으로 인정받았다. 전쟁 후에는 아르헨티나로 망명하여 브라질에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계 브라질인 - 카시아 키스
카시아 키스는 대한민국 서울 출신 배우로, 2000년대 중반부터 영화와 TV 시리즈에서 활동하며 2007년 골든 글로브상과 2008년 아카데미상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 과거 신지학 공동체 활동 이력과 현재 전통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낙태 반대 운동 등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 헝가리계 브라질인 - 케빈 쿠라니
브라질 출신 독일 축구 선수 케빈 쿠라니는 공격수로 VfB 슈투트가르트, 샬케 04, 디나모 모스크바 등에서 활약했으며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뛰었으나 2008년 무단 이탈 사건 이후 발탁되지 못했다.
| 체스네키 줄러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체스네키 줄러 이슈트반 |
| 출생일 | 1914년 6월 28일 |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왕국, 스페슈 주 나지마요르 (현재의 슬로바키아 스트라냐니) |
| 사망일 | 1970년 |
| 사망지 | 브라질 |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 가문 | 체스네키 가문 |
| 작위 | |
| 칭호 | 체스네키 데 밀바니 에트 체스네크 백작 |
| 경력 | |
| 직업 | 마케도니아 대공, 핀도스 공국 섭정 |
| 활동 시기 | 1943년 |
2. 초기 생애
체스네키 줄러는 발명가이자 체스네키 가문 출신의 귀족 아버지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및 발칸 반도 지역에서 활동하던 부유한 곡물 거래상의 상속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가문의 재산 대부분이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몰수되고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1]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그는 학업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문학과 시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가족의 바람대로 로마 가톨릭교 사제가 되는 길을 고려하기도 했으나, 곧 군인의 길을 선택하여 이탈리아 군사 학교에 진학했다. 이탈리아 유학 시절, 그는 피옴비노 공국의 봉콤파니 가문의 지원을 받았으며, 엔리코 산 마르티노 디 발페르가 백작의 도움으로 현지 문화계 인사들과 교류했다. 이탈리아 문화에 매료되어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의 시를 헝가리어로 번역하기도 했는데, 이는 훗날 그의 활동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2]
2. 1. 가문과 배경
체스네키 줄러의 아버지는 발명가이자 체스네키 가문 출신의 가난한 귀족이었고, 어머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발칸 반도 전역에 상업적 연계를 가진 부유한 곡물 거래상의 외동딸이자 상속녀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가문의 재산 대부분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 정부에 의해 몰수되었으며,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가문의 경제적 어려움을 더욱 심화시켰다.[1]이러한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도 줄러는 학교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특히 문학과 시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의 가족은 그가 로마 가톨릭교 사제가 되기를 바랐지만, 그는 곧 진로를 바꾸어 피옴비노 공국의 봉콤파니 가문으로부터 지원금을 받아 이탈리아의 군사 학교에 입학했다. 이탈리아에서 그는 오랜 친구이자 이탈리아 왕국의 상원의원이었던 엔리코 산 마르티노 디 발페르가 백작의 소개로 현지 문화 엘리트 및 상류 사회와 교류할 기회를 얻었다. 이탈리아어와 문화에 매료된 젊은 헝가리 사관생도였던 그는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의 시 여러 편을 헝가리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체스네키는 이탈리아 시인 다눈치오를 깊이 존경했으며, 훗날 그가 발칸 반도에서 벌인 모험은 다눈치오가 피우메에서 세운 카르나로 이탈리아 섭정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2]
2. 2. 교육과 문학 활동
재정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줄러는 학교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문학과 시에 큰 관심을 보였다. 그의 가족은 그가 가톨릭 사제가 되기를 권했지만, 그는 곧 마음을 바꿔 군인이 되기로 결심했다. 이후 피옴비노 공국의 봉콤파니 가문의 지원금을 받아 이탈리아의 군사 학교에 진학했다.이탈리아 체류 중에는 옛 친구이자 이탈리아 왕국의 상원의원이었던 엔리코 산 마르티노 디 발페르가 백작의 도움으로 현지 문화계 엘리트 및 상류 사회와 교류할 수 있었다. 이탈리아어와 문화에 매료된 젊은 헝가리 사관생도였던 그는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의 시 여러 편을 헝가리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체스네키는 이탈리아 시인 다눈치오를 존경했으며, 훗날 발칸 반도에서 벌인 그의 활동은 다눈치오가 피우메에서 세운 카르나로 이탈리아 섭정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
3.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체스네키 줄러는 헝가리와 발칸 반도 지역에서 다양한 군사적, 정치적 활동에 참여했다. 1940년 제2차 빈 중재 이후 예비역 장교로서 트란실바니아 진주에 기여하여 헝가리 섭정 호르티 미클로시로부터 비테즈(hu) 칭호를 받았다. 1941년에는 추축국의 괴뢰국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명목상 국왕 토미슬라브 2세로부터 바코니 백작 칭호를 얻기도 했다.
1943년에는 이탈리아가 점령지에 세운 핀도스 공국의 섭정, 이후 마케도니아 공국의 대공 '율리우스 1세'로 추대되었으나, 이들 국가는 실질적인 통치 기반이 없는 괴뢰 국가였다. 같은 해 9월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고 나치 독일이 해당 지역을 점령하면서 체스네키는 모든 직위에서 강제로 물러나 헝가리로 귀국해야 했다.
한편, 체스네키는 나치즘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했으며, 부다페스트 등지에서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 유대인들을 구출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인도주의적 활동으로 인해 게슈타포의 추적을 받기도 했으며, 전쟁 후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열방의 의인으로 인정받았다.
3. 1. 헝가리에서의 활동
원래 가톨릭 사제가 되기를 희망했으나 군인의 길을 선택했다. 이탈리아의 사관학교에 재학하며 발다사레 본콤파니 공작의 지원을 받았고, 이 시기 이탈리아 문학에 깊이 빠져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의 시를 헝가리어로 번역하기도 했다.1940년 제2차 빈 중재 이후, 헝가리 예비 장교로서 북트란실바니아 점령 및 재통합 작전에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보여준 용맹함을 인정받아 헝가리 왕국의 섭정 호르티 미클로시로부터 트란실바니아 해방 기념 메달과 용맹 훈장을 받았으며, 같은 해 예비역 참모 장교로 트란실바니아에 진주한 공로로 비테즈・Milványi 칭호를 수여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체스네키는 반나치주의적 입장을 견지했으며, 유대인 친족이 있다는 이유로 나치 독일의 비밀경찰인 게슈타포의 추적을 받기도 했다. 그는 부다페스트에서 나치의 박해를 피해 유대인들을 구출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러한 활동으로 전쟁 후 이스라엘로부터 "열방의 의인" 칭호를 받았다. 1943년 9월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고 나치 독일이 발칸 반도를 점령하자, 체스네키는 강제로 모든 직위에서 물러나 헝가리로 돌아와야 했다.
3. 2. 크로아티아에서의 활동
1941년 유고슬라비아가 붕괴된 후 크로아티아 독립국이 수립되었다. 이탈리아와 신생 국가 대표 간의 협상을 통해 이탈리아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의 조카인 스폴레토 공작 아이모네가 토미슬라브 2세라는 재위명으로 국왕에 선출되었다.체스네키 줄러는 크로아티아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헝가리어에 능통했으며, 로마에서 수년간 지내며 아이모네 공작을 만난 경험이 있어 새로운 군주의 부관이자 추밀 고문관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1941년 토미슬라브 2세로부터 바코니 백작(hu)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토미슬라브 2세가 실제로 자그레브에서 왕위에 오르지 않았고, 체스네키 백작은 우스타샤 정권의 잔혹함에 깊이 실망하여 그 직무에서 물러났다.
3. 3. 핀도스 공국 및 마케도니아 공국 섭정
1943년, 이탈리아가 세운 괴뢰국인 핀도스 공국의 섭정으로 임명되었다.[1][2] 이후 세워진 마케도니아 공국에서는 '율리우스 1세'라는 이름으로 국가 원수인 대공 자리에 올랐다.[1][2] 하지만 이들 공국은 실질적인 권력을 가지지 못한 괴뢰 국가였다.[1][2]1943년 9월, 이탈리아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에 항복하자 나치 독일이 발칸 반도를 점령하였다.[1][2] 이로 인해 체스네키는 자리에서 강제로 물러나 헝가리로 돌아가야 했다.[1][2] 그의 형인 체스네키 미하이가 '미카엘 1세'로 즉위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거절하였고, 결국 두 공국은 소멸하였다.[1][2]
3. 4. 반나치 활동과 유대인 구출
체스네키 줄러는 보수적인 군주주의자이자 강력한 반공주의 성향을 가졌지만, 나치즘과 반유대주의에 대해서는 일관되게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의 누이 중 한 명은 헝가리계 유대인과 결혼했으나, 나중에 홀로코스트로 인해 희생되었다.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크로아티아와 헝가리에서 위험에 처한 여러 유대인들을 구출하는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전쟁 후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열방의 의인 칭호를 받았다.[4][6]
체스네키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명목상 국왕이었던 토미슬라브 2세가 연합국과 비밀리에 별도 평화 협정을 추진하려던 계획을 지지했다. 그는 이를 통해 발칸 지역에 연합군이 개입하여 나치 독일로부터 크로아티아와 헝가리를 해방시키고, 소련의 붉은 군대의 진주를 막기를 기대했다. 이를 위해, 그는 미클로시 칼로이가 이끌던 헝가리 정부와 크로아티아 내 반나치 쿠데타 세력인 로르코비치-보키치 쿠데타 가담자들 사이의 연락책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헝가리의 섭정 호르티 미클로시가 연합국 측으로 돌아서려던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이러한 활동 때문에 나치 독일의 비밀경찰인 게슈타포의 추적을 받게 되었다.[7][8][9]
4. 전후 생애
체스네키는 반 나치주의자였으며 유대인 친족이 있다는 이유로 게슈타포의 추적을 받기도 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부다페스트에서 나치의 박해로부터 유대인들을 구출하는 활동을 펼쳤고,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전쟁이 끝난 후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열방의 의인 칭호를 받았다.
4. 1. 남아메리카로의 망명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났을 때 그는 부다페스트에 있었다. 비록 나치에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소련이 점령한 헝가리에서 새롭게 들어선 공산 정권은 체스네키 줄러를 노동계급의 적으로 규정하고 망명을 강요했다. 결국 그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군주였던 토미슬라브 2세(당시 아오스타 공작 아이모네)와 함께 아르헨티나로 망명길에 올랐다.[4][6] 이후 브라질로 이주하여 생활했으며, 1970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4][6]5. 평가 및 유산
체스네키 줄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즘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유대인 친족이 있다는 점과 반나치 성향 때문에 나치 독일의 비밀경찰인 게슈타포의 추적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그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나치의 박해로부터 유대인들을 구출하는 활동을 펼쳤다. 이러한 인도주의적 공로를 인정받아 전쟁 후 이스라엘 정부로부터 열방의 의인 칭호를 받았다. 이는 파시즘과 나치즘이 휩쓸던 격동의 시대에 자신의 신념에 따라 위험을 무릅쓰고 행동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CSESZNEKY de MILVÁNY et CSESZNEK
http://sites.google.[...]
2018-03-21
[2]
서적
Operettállam
[3]
서적
Almanach de Gotha: House of Savoy
[4]
웹사이트
Βοεβοδάτο της Μακεδονίας
https://web.archive.[...]
2018-03-21
[5]
웹사이트
Grófok/Counts
http://ferenczygen.t[...]
2018-03-21
[6]
서적
Principatul Pindului: O istorie inedită a primului stat modern aromân din Balcani
[7]
문서
A cseszneki és milványi gróf Cseszneky család
[8]
웹사이트
Macedonian Monarchist League
http://royalmacedoni[...]
[9]
간행물
Alkiviadis Diamandi di Samarina
Neos Kosmos English Edition, Melbourn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