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진유전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촉진유전자(프로모터)는 유전자의 전사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DNA 서열이다. 원핵생물 프로모터는 RNA 중합효소가 인식하는 핵심 서열을 포함하며, -35 영역과 -10 영역(프리브노 박스)이 주요 요소이다. 진핵생물 프로모터는 TATA 박스, BRE, Inr, DPE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며, RNA 중합효소의 종류에 따라 I, II, III형으로 구분된다.
프로모터는 유전자 발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질병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생물학에서 유전자 회로 및 대사 네트워크를 조절하고 유전자 발현을 최적화하기 위해 합성 프로모터가 설계 및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전자 발현 - RNA 간섭
RNA 간섭은 이중가닥 RNA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과정으로, 다이서 효소에 의해 생성된 작은 간섭 RNA가 RNA 유도 침묵 복합체와 결합하여 표적 mRNA를 분해하거나 번역을 억제하며, 바이러스 방어, 발생 조절, 유전체 안정성 유지 등 다양한 기능과 응용 분야를 가진다. - 유전자 발현 -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재조합은 유성 생식 생물의 염색체 유전자 교차를 통한 유전자 재배열 현상으로, 유전적 변이를 증가시키고 유전학적 지도 작성에 활용되며,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로 이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촉진유전자 | |
---|---|
개요 | |
정의 | DNA 서열에서 RNA 중합효소가 결합하여 전사를 시작하는 위치 |
기능 | 유전자 발현의 시작점을 제어하고 조절하는 역할 |
위치 | 일반적으로 유전자 상류에 위치 |
구성 요소 | 핵심 프로모터 영역 조절 서열 (예: 인핸서, 사일렌서) |
구조 및 기능 | |
핵심 프로모터 영역 | RNA 중합효소가 직접 결합하는 부위 TATA 상자, 개시점 (Initiator, Inr) 등을 포함 |
조절 서열 | 전사 인자들이 결합하여 전사 활성을 조절 인핸서는 전사 활성을 증가시키고, 사일렌서는 전사 활성을 감소시킴 |
프로모터의 종류 | |
박테리아 프로모터 | -10 서열 (Pribnow 상자) 및 -35 서열 포함 시그마 인자에 의해 인식됨 |
진핵세포 프로모터 | 다양한 종류의 프로모터 존재 (예: RNA 중합효소 I, II, III에 의한 프로모터) TATA 상자, CAAT 상자, GC 상자 등을 포함 |
조절 메커니즘 | |
전사 인자 |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전사 활성을 조절하는 단백질 활성 인자는 전사를 촉진하고, 억제 인자는 전사를 억제함 |
크로마틴 구조 | 염색질 구조의 변화를 통해 프로모터 접근성을 조절 히스톤 변형, DNA 메틸화 등이 관련됨 |
활용 분야 | |
유전자 발현 조절 | 특정 조건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거나 억제 합성 생물학에서 유전자 회로 설계에 활용 |
유전자 치료 | 특정 세포에서만 유전자 발현을 유도하는 데 사용 질병 치료를 위한 유전자 전달 시스템 개발에 활용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RNA 중합효소 전사 인자 인핸서 사일렌서 유전자 발현 |
2. 원핵생물 프로모터
원핵생물에서 프로모터는 RNA 중합 효소와 관련 시그마 인자에 의해 인식되는 DNA 서열이다. RNA 중합효소는 시그마 인자와 결합하여 홀로효소를 형성하고, 이 홀로효소가 프로모터에 결합한다.
세균의 프로모터는 전사 시작 부위 상류 약 10bp(염기쌍) 지점의 프리브노 박스 (-10 영역)와 35bp 지점의 -35 영역에 두 개의 짧은 서열 요소를 포함한다.[2] 이들은 RNA 중합효소와 시그마 인자의 결합을 돕는다.
일부 프로모터는 하나 이상의 상류 프로모터 요소(UP 요소)를 포함하여 RNA 중합효소와의 결합을 강화하기도 한다.[7]
프로모터는 세포 내 조절 단백질의 양이나 형태 변화에 반응하여 유도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전사 인자가 RNA 중합 효소를 모집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대장균(''E. coli'') 연구를 통해 프로모터의 보존된 서열 요소들이 밝혀졌다.[61]
2. 1. 전사 시작점
전사 시작점은 90% 이상의 경우 퓨린 염기이다.[61] CAT라는 염기 서열의 중앙인 경우가 비교적 많지만, 잘 보존되어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2. 2. -35 영역과 -10 영역 (프리브노 박스)
세균에서 전사 시작 부위 상류 약 10 뉴클레오타이드(nt) 지점에 존재하는 프리브노 박스와 35 nt 지점에는 두 개의 짧은 서열 요소가 있다.[2] 이들은 RNA 중합효소가 결합하여 전사를 개시하는 주요 지점이다.- 10 영역(-10 요소)은 TATAAT를 합의 서열로 가진다. -35 영역(-35 요소)은 TTGACA를 합의 서열로 가진다. 이 합의 서열들은 평균적으로 보존되지만, 대부분의 프로모터에서는 일부 염기쌍만이 일치한다. 완전한 합의 서열을 갖는 프로모터는 드물며, 인공 프로모터는 합의 서열과 일부 불일치를 갖는 프로모터보다 낮은 빈도로 전사된다.[61] -35 영역과 -10 영역 사이의 최적 간격은 17bp이다.
대장균 연구를 통해 프로모터 중에서도 특히 보존된 부분적 서열 ('''서열 요소''', element)이 밝혀졌다.[61] 이 서열 요소는 RNA 중합효소가 실제로 결합하는 영역에는 없다.[61] 진정세균의 프로모터에는 RNA 중합 효소를 강력하게 끌어들이는 두 가지 메커니즘이 존재한다. 하나는 전사 개시점으로부터 35 bp 상류에 있는 '''-35 박스'''(-35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10 bp 상류에 있는 '''-10 박스'''(-10 영역, 데이비드 프립노가 발견하여 '''프리브노 박스'''라고도 불림)이다.[62][61] 두 영역은 15~19 nt, 예외적으로 20 nt 떨어져 있다.[63][61]
수천 개의 프로모터 조사 결과, 각 박스에서 전형적인('''공통 서열''', 컨센서스 서열)이 밝혀졌다. 공통 서열은 나타나는 빈도가 높은 염기 서열이다. 각 박스가 공통 서열과 완전히 일치하면 전사 개시는 매우 빈번해진다. 실제로는 일치하는 예가 적지만, 유사 정도가 프로모터의 강도(전사 빈도)가 된다. 각 박스를 전형에 가깝게 하는 돌연변이는 '''우세 변이'''라고 하며, 프로모터를 강력하게 하여 전사 개시를 촉진한다.[61] 반대로, 유사성을 낮추는 변이인 '''열성 변이'''를 받은 프로모터는 약하다.[61]
- 35 박스는 RNA 중합 효소에 인식되는 부위이고, -10 박스는 DNA 이중 나선을 푸는 데 중요한 부위로 생각된다. -35 박스의 열성 변이는 폐쇄형 복합체 형성 속도를 감소시킨다.[64] -10 박스의 열성 변이는 폐쇄형 복합체 형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개방형 복합체로 전환되는 것을 느리게 한다.
예외적으로, 한쪽 또는 양쪽 박스를 갖지 않는 프로모터도 존재한다.[61] 이 경우, 보조 인자가 RNA 중합 효소의 인식을 돕는다. 또한, 양쪽 박스 이외의, 처음에 전사되는 +1~+30 영역도 RNA 중합 효소와 DNA 결합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61]
대장균 중에는 -35 박스 대신 "연장된 -10 박스"를 갖는 것도 있다.[65] 이 서열과 RNA 중합 효소 사이의 접촉이 -35 박스의 결여를 보완한다. 예를 들어 갈락토스 대사에 관여하는 ''gal'' 유전자군이 있다.
- 10 박스의 바로 하류에는 RNA 중합 효소와 결합하는 '''변별 요소'''가 발견되었다. 이는 효소와 프로모터가 만드는 복합체의[61]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프로모터의 각 요소는 서브유닛 중 하나인 '''σ 인자'''와 결합하여 RNA 중합 효소를 유도한다.
프로모터 서열과 전사 개시 위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61]
상류 프로모터 mRNA로 전사되는 영역 하류
5'----------|TTGACa(-35)|---------|TAtAaT(-10)|----------------------|T|------------3'
3'----------|AACTGt(-35)|---------|ATaTtA(-10)|----------------------|T|------------5'
|전사 개시점
|--------------------->
mRNA
서열 | T | A | G | C | A | T |
---|---|---|---|---|---|---|
-10 박스 | 80% | 95% | 45% | 60% | 50% | 96% |
-35 박스 | 82% | 84% | 78% | 65% | 54% | 45% |
2. 3. UP 엘리먼트
세균에서 일부 프로모터는 하나 이상의 상류 프로모터 요소(UP 요소) 부위를 포함한다.[7] UP 엘리먼트는 -35 영역 상류에 존재하는 추가적인 조절 요소로, RNA 중합효소의 α 서브유닛과 결합하여 전사 개시 단계에서 떨어지기 쉬운 RNA 중합효소와 DNA의 결합을 강화한다.[61]UP 엘리먼트의 합의 서열은 -42 영역에 중심을 둔 경우 5'-AAAAAARNR-3', -52 영역에 중심을 둔 경우 5'-AWWWWWTTTTT-3'이다. (W = A 또는 T; R = A 또는 G; N = 임의의 염기).[8]
예를 들어, 대장균에는 rRNA를 코딩하는 7개의 유전자 (rrn 유전자)가 있는데, 이것들에는 UP 엘리먼트가 존재한다. 그 결과, 증식 등 대량의 rRNA가 필요할 때에는 7개의 rrn 유전자만으로 세포 내 전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 중 하나인 rrnB P1 유전자는 UP 엘리먼트에 의해 전사 빈도가 40배 증강된다고 한다.[61]
```
- 60 -50 -40 -30 -20 -10 +1
| | | | | | |
5’----T[CAGAAAATTATTTTAAATTTC]CTC[TTGTCA]GGCCGGAATAACTCCC[TATAAT]GCGCCACCACT---3'
UP 엘리먼트 -45 박스 -10 박스
그림 3. rrnB P1 프로모터의 개략
```
rrn 유전자의 프로모터를 제어하는 것은 그 염기 서열뿐만이 아니다. 개시 NTP (iNTP)와 구아노신 5' 이인산 3' 이인산 (ppGpp)의 두 작은 분자도 외부에서 제어를 수행한다.[66] iNTP 존재 하에서는 전사 산물의 재료인 뉴클레오티드 농도가 높은 듯하다. iNTP는 개방형 프로모터 복합체를 안정화함으로써 전사 개시를 촉진한다. 한편, 세포 내 아미노산 농도가 낮아 단백질 합성이 어려울 때는 rRNA의 합성도 필요 없어진다. 리보솜은 아미노산을 갖지 않은 tRNA가 결합하면 아미노산의 부족을 감지한다. 그러면 RelA라는 리보솜 관련 단백질이 경고를 받아 ppGpp를 합성한다. 경고(alarm)로부터 ppGpp를 '''알라몬'''이라고 부른다. 개방형 프로모터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어 전사를 억제한다.
2. 4. 양방향 프로모터 (원핵생물)
프로모터는 DNA 내에서 매우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 프로모터"는 원핵생물[10]과 인간[9]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DNA에서 관찰되었으며, 보존 정도가 높다.[11] 따라서 이들은 (현재 알려지지 않은)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이러한 프로모터 쌍은 발산형, 직렬형 및 수렴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사 인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의 뉴클레오타이드 거리, 두 프로모터의 강도 등과 같은 다양한 특징에서 차이가 있다.
두 개의 근접 프로모터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서로 간섭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여러 연구에서 분석 및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이를 탐구했다.[12][13][14] 또한, 양방향 프로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합성 유전자 또는 하나에서 몇 개의 유전자에서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연구도 있다.[15]

최근 한 연구에서 ''대장균''에서 직렬 프로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대부분의 유전자를 측정했다.[16] 그 연구에서 두 가지 주요 형태의 간섭이 측정되었다. 하나는 RNAP가 하류 프로모터에 위치하여 상류 프로모터에서 신장되는 RNAP의 이동을 차단하는 경우이다. 다른 하나는 두 프로모터가 너무 가까워서 RNAP가 하나의 프로모터에 결합하면 다른 RNAP가 다른 프로모터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현상이 가능한 이유는 RNAP가 DNA에 결합될 때 전사 개시 부위를 포함하여 여러 뉴클레오타이드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유사한 현상이 프로모터가 발산형 및 수렴형으로 형성될 때 발생한다. 가능한 현상은 또한 그들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3. 진핵생물 프로모터
진핵생물에서 프로모터 과정은 세균보다 더 복잡하며, RNA 중합 효소 II가 프로모터에 결합하려면 최소 7가지 다른 인자가 필요하다.[4][5] 진핵생물 프로모터는 주어진 유전자의 전사 수준을 조절하는 핵심 요소이며, 강화 인자, 억제 인자 등 다른 조절 영역과 협력하여 작용한다.[4][5] 세포 내 조절 단백질의 변화에 반응하여 활성화된 전사 인자가 RNA 중합 효소를 모집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이 조절된다.[4][5]
진핵생물 RNA 중합효소 II 의존성 프로모터는 TATA 박스(합의 서열 TATAA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 전사 인자 TATA 결합 단백질(TBP)에 의해 인식된다.[21][17] 또한, B 인식 요소(BRE)는 일반 전사 인자 TFIIB에 의해 인식된다.[21][17][18] TATA 요소와 BRE는 일반적으로 전사 개시 지점 근처(보통 30~40 염기쌍 이내)에 위치한다.
진핵생물 프로모터 조절 서열은 전사 복합체 형성에 관여하는 전사 인자에 결합한다. 예를 들어 E-box(서열 CACGTG)는 기본 나선-루프-나선(bHLH) 패밀리 내의 전사 인자(예: BMAL1-Clock, cMyc)에 결합한다.[19]
핵심 프로모터는 전사를 적절하게 개시하는 데 필요한 최소 부분이며,[21] 전사 개시 지점(TSS)과 직접적인 상류 요소를 포함한다. RNA 중합효소 결합 부위, 일반 전사 인자 결합 부위(예: TATA 박스, B 인식 요소)를 포함하며, 다양한 다른 요소/모티프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핵심 프로모터에서 발견되는 "보편적인 요소" 세트는 없다.[22]
RNA 중합효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RNA 중합효소 I: 18S, 5.8S 및 28S 리보솜 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전사
- RNA 중합효소 II: 전령 RNA 및 특정 작은 핵 RNA와 마이크로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전사
- RNA 중합효소 III: 전이 RNA, 5s 리보솜 RNA 및 기타 작은 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전사
근위 프로모터는 유전자 상류의 근위 서열(시작 지점의 약 250 염기쌍 상류)로, 주요 조절 요소가 포함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정 전사 인자 결합 부위를 포함한다. 원위 프로모터는 유전자 상류의 원위 서열로, 추가 조절 요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인핸서 또는 그 영향이 위치/방향에 독립적인 다른 조절 영역은 아니다.
포유류의 유전자 발현은 신호가 유전자와 관련된 프로모터로 전달될 때 상향 조절된다. 프로모터 DNA 서열에는 CpG 섬, TATA 상자, 개시자(Inr), 상류 및 하류 TFIIB 인식 요소 (BREu 및 BREd), 하류 핵심 프로모터 요소 (DPE)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23] 프로모터의 CpG 섬에 여러 개의 DNA 메틸화된 CpG 부위가 존재하면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침묵될 수 있다.[24] TATA 상자와 Inr 서열은 발현을 증가시키지만, BREu 및 BREd 요소는 발현을 감소시킨다. DPE 요소는 발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5]

3. 1. 클래스 I 프로모터
I형 프로모터는 rRNA전구체만을 암호화한다. 예외적으로 트리파노소마라는 원핵생물에서 발견된 2가지 유전자는 RNA 중합 효소 I에 의해 단백질을 발현한다.[67] 따라서 하나의 게놈에 수백 개가 있지만 그 배열은 완전히 동일하다. 그러나 생물종마다의 다양성은 배열 요소를 여러 개 가진 II형 프로모터보다 훨씬 크다. 보존된 서열은 전사 개시 부위를 둘러싼 AT가 풍부한 '''개시자'''(initiator: rINR) 밖에 확인되지 않았다.[61]I형 프로모터는 2개의 떨어진 영역으로 구성된다.
- '''코어 프로모터'''(core promoter)는 전사 개시점 주변 -45 ~ +20에 있다.[61][68] rINR 근처의 서열을 제외하면 프로모터 중 서열로는 드물게 GC가 풍부하다.
- '''상류 프로모터 서열'''(upstream promoter element, UPE)는 -180 ~ -107에 위치한다.[61][69]
둘 다 GC가 풍부한 서열에 의해 전사 효율을 좌우한다.[61] 가질 수 있는 염기 서열은 광범위하지만, 두 개의 배치는 많은 진핵생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영역을 발견한 첸저난 Robert Tjian 등은 링커 스캔 돌연변이 유발 분석을 사용하여 사람에서 두 거리의 중요성을 증명했다.[61]
첸저난 Robert Tjian 등의 실험에 따르면, 사이의 염기 서열을 단 16bp 제거했을 뿐인데 프로모터 활성은 야생형의 40%까지 감소했고, 44bp에서는 단 10%로 떨어졌다. 한편, 28bp 더 길게 해도 활성에 변화는 없었으며 49bp까지 더해도 70%가 되었다. 이를 통해 프로모터 효율은 DNA 제거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3. 2. 클래스 II 프로모터
클래스 II 프로모터는 RNA 중합효소 II가 전령 RNA(mRNA) 전구체인 헤테로 핵 RNA(hnRNA)와 일부 핵 내 저분자 RNA(snRNA)를 전사하는 데 필요한 DNA 서열이다. 클래스 II 프로모터는 일반적으로 코어 프로모터와 상류 프로모터 엘리먼트(UPE) 두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70]- 코어 프로모터: 전사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DNA 서열로, 보통 40~60bp 정도의 크기이다.[70] 전사 개시 지점(TSS)과 그 주변의 여러 핵심 요소를 포함한다.
- TATA 박스: 일반 전사 인자인 TATA 결합 단백질(TBP)이 결합하는 부위이다.
- B 인식 요소(BRE): 일반 전사 인자 TFIIB가 결합하는 부위이다.
- Inr(개시자): 전사 시작 지점 주변에 위치하며 효율적인 전사를 돕는다.
- DPE(하류 프로모터 요소): TATA 박스가 없는 경우, 대신 전사를 돕는 역할을 한다.
- 상류 프로모터 엘리먼트(UPE): 코어 프로모터 상류에 위치하며, 다른 전사 인자들이 결합하여 전사 효율을 조절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기본 전사 인자와 결합하여 RNA 중합효소가 DNA에 정확하게 결합하고 전사를 시작하도록 돕는다.[61]
BRE TATA Inr DCE I DCE II DPE DCE III
- --[(GGG/CCA)CGCCC][TATA(A/T)A(A/T)]---//---[(CC/TT)AN(TCC/ATT)]-[CTTC]----[CTGT]-------[(A/G)G(A/T)CGTG][AGC]---
TF2B TBP TF IID TF IID TF IID TF IID
그림 4. 일반적인 클래스 II 프로모터 by 『왓슨 유전자 분자생물학』 p397
위에 프로모터 서열 요소의 약칭을, 아래에 결합하는 기본 전사 인자를 나타낸다. [] 안은 공통 서열이다. MTE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DPE 바로 상류에 있다.
3. 2. 1. TATA 박스
TATA 박스는 일반 전사 인자 중 하나인 TATA 결합 단백질(TBP)이 인식하는 합의 서열 TATAAA를 포함하며, B 인식 요소(BRE)는 또 다른 일반 전사 인자인 TFIIB에 의해 인식된다.[21][17][18] TATA 요소와 BRE는 일반적으로 전사 개시 지점 근처(보통 30~40 염기쌍 이내)에 위치한다. TATA 박스는 RNA 중합효소 II에 의해 전사되는 유전자의 핵심 프로모터에서 발견되는 DNA 서열이다.TATA 박스는 클래스 II 프로모터 중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원핵생물의 -10 박스와 상동이라고 생각되지만, -10 박스(10bp 상류에 위치)와 비교하여 25~30bp 상류에 위치하여 전사 개시 부위로부터의 거리에 큰 차이가 있다. 비주형 가닥[61]에서 공통 서열 TATA를 포함하며, 고등 진핵생물에서는 오른쪽 끝의 A가 전사 개시 부위에서 25~30bp 상류에 있다[71]. TATA 서열 다음에는 일반적으로 A 또는 T가 이어지며, GC가 풍부한 서열에 둘러싸여 있는 경우가 많다[61].
하지만 공통 서열에는 많은 예외가 있다. 토끼의 β글로빈 유전자의 경우 구아닌이나 시토신이 섞여 있으며[61], 시작 서열도 TATA가 아닌 CATA이다. 또한, 특화 유전자[61]에는 반드시 TATA 박스가 있을 필요는 없다. TATA 박스가 없는 프로모터 ('''TATA리스 프로모터''', TATA-less promoter)도 종종 존재하며, 전체 프로모터의 50% 이상일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다[61]. 이러한 프로모터는 다음의 두 종류에서 자주 관찰된다[61].
- 하우스키핑 유전자: 세포의 생명 유지에 필요한 생화학적 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사실상 모든 세포에서 항상 활성 상태에 있다. 예를 들어, 세포의 뉴클레오티드 합성에 필요한 아데닌 탈아미노화 효소, 티미딜산 합성 효소, 디히드로엽산 환원 효소 등과, 바이러스의 후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들이 있다. 이러한 유전자는 TATA 박스 대신 GC 박스[61] 또는 하류 프로모터 엘리먼트를 가진다[61]. 실제로, 초파리의 클래스 II 프로모터의 약 70%에서 하류 프로모터 엘리먼트가 역할을 한다[61]. 하우스키핑 유전자의 경우, 프로모터만으로는 활성이 약하며, 추가로 상류에 전사를 촉진하는 액티베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 발생을 제어하는 유전자: 파리의 혹유전자나 포유류의 면역계 발달 시 작용하는 유전자 등이다.
TATA 박스의 역할은 세포에 따라 다르다. 크리스토퍼 브누아와 피아 샹봉 등의 실험에서는, SV40의 초기 유전자에서 전사 개시 부위를 정확하게 결정한다는 것을 밝혀냈다[61]. 이는 TATA 박스로부터의 거리에 준거하며, 시작 부위의 서열을 원래와 다르게 변경해도 전사 시작에 지장이 없다. 1981년 이전에 TATA 박스를 결손시켜도 시작점은 달라지지만, 시작 빈도는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61]. 즉, TATA 박스의 일부는 전사 효율을 조절하지 않는다.
반면, 스티븐 매크나이트와 로버트 킹즈버리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티미딜산 합성 효소 유전자에서 TATA 박스를 제거하면 전사가 훨씬 덜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했다[72]. 링커 스캔 변이 유도 분석에서 프로모터 전체 중 선택한 10bp를 다른 서열로 치환했는데, 가장 프로모터 활성이 낮아진 변이체 (LS-29/-18)는 TATA 박스 내의 GCATATTA가 CCGGATCC로 바뀐 경우였다[61]. 이러한 유전자에서는 발현에 TATA 박스가 필수적이다.
3. 2. 2. Inr (개시자)
Inr(개시자)은 전사를 효율적으로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시작 부위 주변(-3~+5 위치)에 존재하는 보존 서열이다.[73][61] 포유류의 일반적인 서열은 PyPyAN(T/A)PyPy이며, 초파리는 TCA(G/T)T(T/C)이다.[74] 여기서 Py는 피리미딘 염기(C 또는 T), N은 불특정 염기, 밑줄 친 A는 전사 개시점을 나타낸다. 아데노바이러스의 주요 후기 프로모터에 있는 개시자는 TATA 박스와 함께 존재하며, 그 하류의 모든 유전자를 (매우 약하게나마) 활성화한다.[61] 개시자는 상류 프로모터 요소나 인핸서의 영향을 받기 쉽다. 포유류의 말단 데옥시뉴클레오티딜 전이효소(TdT) 유전자는 TATA 박스나 상류 프로모터 요소가 없지만, 개시자만으로도 내부 전사 개시 부위에서 기본적인 양을 발현할 수 있다.[61]3. 2. 3. DPE (하류 프로모터 요소)
하류 프로모터 요소(DPE, Downstream Promoter Element)는 초파리의 게놈에 많이 존재한다. 2000년에 앨런 쿠타치(Alan Kutach)와 제임스 카도나가(James Kadonaga)는 DPE가 TATA 박스와 비슷한 빈도로 존재함을 확인했다.[61] DPE는 전사 개시 부위에서 약 30bp 하류에 위치하며, 공통 서열은 G(A/T)CG이다.[75]DPE는 TATA 박스가 없을 때 그 기능을 보완한다. 실제로 초파리에서는 DPE를 가지면서 TATA 박스가 없는 프로모터가 많다. 이 두 요소는 모두 TF IID라는 중요한 기본 전사 인자와 결합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3. 2. 4. BRE (TFIIB 인식 요소)
BRE는 TATA 박스 바로 위에 위치하며, 기본 전사 인자인 TFIIB와의 결합을 돕는다.[21][17][18] TATA 요소와 BRE는 일반적으로 전사 개시 지점 근처(보통 30~40 염기쌍 이내)에 위치한다.BRE는 중요한 기본 전사 인자인 TF IIB가 결합하기 위한 프로모터 서열로, 일반적인 서열은 (G/C)(G/C)(G/A)CGCC이다.[61]
3. 3. 클래스 III 프로모터
클래스 III 프로모터는 전사 개시 과정을 그 구조에 따라 3가지로 나눈다.종류 | 구조 | 특징 | 필요한 전사 인자 |
---|---|---|---|
I형 | 유전자 내부에 A 블록, 중간 엘리먼트, B 블록 | 5S rRNA 발현, 유전자 내부에서 작용 (도널드 브라운이 케냐발톱개구리 Xenopus borealis에서 최초로 발견) | TFIIIA, TFIIIB, TFIIIC |
II형 | 유전자 내부에 A 블록(+20 위치), B 블록(+51부터 +113 위치) | TFIIIB, TFIIIC | |
III형 | TATA 박스(-25 위치), PSE(근위 서열 요소; -55 위치) | TBP, TFIIIB, PTF |
모두 전사 인자의 인식 서열만을 가지지만, 3가지 유형을 다음 각 항에서 소개한다.
I형 클래스 III 프로모터는 5S rRNA를 발현하는 프로모터이다. 가장 큰 특징은 유전자 내부에서 작용한다는 것이다. 도널드 브라운은 케냐발톱개구리 ''Xenopus borealis''의 5S rRNA 유전자로부터 세계 최초로 클래스 III 프로모터를 분석했는데, 그 결과는 50~83번 상류에 존재한다는 놀라운 것이었다. 상류에서 결실시키면 +55번까지, 하류에서라면 +80번까지 전사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61] 그러나, 이것을 넘어서면 전사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이 프로모터는 RNA 폴리머라제 I을 자체 상류에서 전사를 시작하게 한다.[61] 이후, 로버트 로더 등이 '''박스 A''', '''중간 요소''', '''박스 C'''라는 I형 프로모터의 3 영역을 발견했다.[76]
박스 A는 기본 전사 인자인 TF IIIA와, 박스 C는 TF IIIC와 결합한다. 여기에는 순서가 있으며, 먼저 TF IIIA에서 시작하여 TF IIIC가 온다. 이것들은 '''구축 인자'''라고 불리며, 두 개가 모두 갖춰지면 전사 개시점에 TF IIIB가 결합하여 전사가 시작된다.
3. 4. 포유류 프로모터
포유류의 유전자 발현은 신호가 유전자와 관련된 프로모터로 전달될 때 상향 조절된다. 프로모터 DNA 서열에는 CpG 섬(프로모터의 약 70%에 존재), TATA 상자(프로모터의 약 24%에 존재), 개시자(Inr)(프로모터의 약 49%에 존재), 상류 및 하류 TFIIB 인식 요소(BREu 및 BREd)(프로모터의 약 22%에 존재), 하류 핵심 프로모터 요소(DPE)(프로모터의 약 12%에 존재)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23] 프로모터의 CpG 섬에 여러 개의 DNA 메틸화된 CpG 부위가 존재하면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침묵된다.[24] TATA 상자와 Inr 서열은 발현을 증가시키지만, BREu 및 BREd 요소는 발현을 감소시킨다. DPE 요소는 발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25]유전자 프로모터로부터 먼 DNA 영역에 있는 시스 조절 요소는 유전자 발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부 유전자는 이러한 요소로 인해 발현이 최대 100배까지 증가한다.[26] 이러한 시스 조절 요소에는 인핸서, 억제자, 절연체 및 테더링 요소가 포함된다.[27] 이 중 인핸서와 관련된 전사 인자가 유전자 발현 조절에 주요 역할을 한다.[28]
인핸서는 주요 유전자 조절 요소인 게놈 영역이다. 인핸서는 세포 유형별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을 제어하며, 대부분 긴 거리를 통해 루프를 형성하여 표적 유전자의 프로모터와 물리적으로 근접하게 함으로써 제어한다.[29] 뇌 피질 뉴런 연구에서 24,937개의 루프가 발견되었다.[26] 각 유전자에서 수만 또는 수십만 뉴클레오타이드 떨어진 여러 개의 인핸서가 표적 유전자 프로모터로 루프를 형성하고 서로 협력하여 공통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제어한다.[29]
루프는 연결 단백질 이량체(예: CTCF 또는 YY1의 이량체)에 의해 안정화되며, 이량체의 한 구성원은 인핸서의 결합 모티프에 고정되고 다른 구성원은 프로모터의 결합 모티프에 고정된다.[30] 여러 세포 기능 특정 전사 인자(인간 세포에는 약 1,600개의 전사 인자가 있음[31])는 일반적으로 인핸서의 특정 모티프에 결합하며,[32] 이러한 인핸서 결합 전사 인자의 작은 조합이 DNA 루프에 의해 프로모터로 가져와지면 표적 유전자의 전사 수준을 제어한다. 중재자(공동 활성제)(상호 작용 구조로 일반적으로 약 26개의 단백질로 구성된 복합체)는 인핸서 DNA 결합 전사 인자로부터 프로모터에 결합된 RNA 중합 효소 II(pol II) 효소로 직접 조절 신호를 전달한다.[33]
인핸서가 활성화되면, 일반적으로 RNA 중합 효소에 의해 DNA의 두 가닥에서 모두 전사되어 두 개의 eRNA를 생성한다.[34] 비활성 인핸서는 비활성 전사 인자에 결합될 수 있다. 전사 인자의 인산화는 이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전사 인자는 결합된 인핸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35] 활성화된 인핸서는 표적 유전자에서 메신저 RNA의 전사를 시작하기 위해 프로모터를 활성화하기 전에 RNA의 전사를 시작한다.[36]
3. 4. 1. 양방향 프로모터 (포유류)
쌍방향 프로모터는 포유류 게놈에서 흔히 발견되는 특징이다.[40] 인간 유전자의 약 11%가 쌍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37] 쌍방향 유전자 쌍은 서로 반대 가닥에 암호화되고 5' 말단이 서로를 향하는 두 개의 인접한 유전자를 의미하며, 이들 사이의 짧은(1kbp 미만) DNA 영역이 쌍방향 프로모터이다.[37][38] 두 유전자는 종종 기능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공유 프로모터 영역을 수정하면 공동 조절되어 함께 발현될 수 있다.[39]유전자 온톨로지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쌍방향으로 배열된 유전자는 파트너 유전자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범주를 47%의 확률로 공유한다.[41]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결과, 쌍방향으로 배열된 유전자는 무작위 유전자나 인접한 단방향 유전자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함께 발현되는 경향을 보였다.[37] 쌍방향 프로모터 영역의 메틸화는 두 유전자 모두를 억제하고, 탈메틸화는 두 유전자 모두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2] 하지만 예외적으로, 어떤 경우에는(약 11%) 쌍방향 쌍의 유전자 중 하나만 발현되기도 한다.[37] 이때 프로모터는 발현되지 않는 유전자의 억제와 관련될 수 있는데, 이는 염색질 수정이나 동일한 중합 효소에 대한 경쟁 때문일 수 있다.[43]
특정 기능을 가진 유전자들이 쌍방향으로 배열되는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 DNA 복구 관련 유전자는 단방향 프로모터보다 쌍방향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될 가능성이 5배 더 높다. 샤페론 단백질은 3배,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는 2배 이상 더 높게 나타난다. 많은 기본적인 하우스키핑 및 세포 대사 유전자도 쌍방향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된다.[37] 쌍방향으로 배열된 DNA 복구 유전자의 과발현은 암과 연관되기도 한다. 인간 체세포 종양 유전자의 45%가 쌍방향 프로모터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암을 유발하지 않는 유전자보다 훨씬 높은 비율이다.[42]
쌍방향 프로모터에는 TATA 박스가 없고, CpG 섬이 풍부하며, 한쪽에는 C와 A, 다른 쪽에는 G와 T가 많은 대칭 구조 등 특정한 서열 특징이 관찰된다. CGCG 요소라고도 불리는 TCTCGCGAGA의 컨센서스 서열을 가진 모티프는 CpG 섬에서 PolII로 구동되는 쌍방향 전사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44] CCAAT 박스는 TATA 박스가 없는 많은 프로모터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이다. 또한, 모티프 NRF-1, GABPA, YY1, ACTACAnnTCCC는 쌍방향 프로모터에서 단방향 프로모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45]
4. 서브게놈 프로모터
일부 바이러스는 서브게놈 프로모터를 사용하여 특정 유전자의 mRNA를 생성한다. 서브게놈 프로모터는 특정 이종 유전자를 위해 바이러스에 추가된 프로모터로, 해당 유전자만의 mRNA를 형성한다. 많은 양성 가닥 RNA 바이러스는 이러한 서브게놈 mRNA(sgRNA)를 생성하며, 이는 이러한 바이러스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감염 기술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후기 바이러스 유전자를 전사한다. 서브게놈 프로모터는 24개의 뉴클레오티드(신드비스 바이러스)에서 100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사탕무 괴저 황맥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전사 시작 지점 상류에서 발견된다.[46]
5. 프로모터 관련 질병
전사인자나 프로모터의 변이는 여러 질병과 관련될 수 있다.[59]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천식[56][57]
- 베타 지중해 빈혈[58]
- 루빈스타인-타이비 증후군[59]
암 발생 과정에서 프로모터 CpG 섬의 과메틸화/저메틸화는 유전자 발현 변화를 초래하는 중요한 기작이다.
6. 표준 염기 서열과 야생형
전사 인자 결합 부위의 경우, 특정 세포 조건에서 단백질과 가장 강력하게 결합하는 단일 염기 서열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을 표준 염기 서열이라고 부를 수 있다.[6]
그러나 자연 선택은 전사 산출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덜 에너지가 소모되는 결합을 선호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체군에서 가장 흔한 염기 서열을 야생형 염기 서열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것은 지배적인 조건에서 가장 유리한 염기 서열이 아닐 수도 있다.[6]
7. 합성 프로모터 설계 및 공학
합성 생물학에서는 합성 프로모터를 사용하여 유전자 회로 및 대사 네트워크를 조절하고, 유전자 발현을 최적화한다.[55][2]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유전자를 과발현하여 목표 단백질의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합성 생물학자들은 촉진유전자를 설계하여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상향 조절한다. 자동화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하위 서열의 유전자 발현을 유발하지 않는 중성 DNA 또는 절연체를 설계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alysis of Biological Networks: Transcriptional Networks – Promoter Sequence Analysis
http://www.cs.tau.ac[...]
Tel Aviv University
2012-12-30
[2]
논문
Automated model-predictive design of synthetic promoters to control transcriptional profiles in bacteria
2022-09
[3]
논문
The evolution, evolvability and engineering of gene regulatory DNA
2022-03
[4]
논문
Chromatin remodeling: from transcription to cancer
2014-09
[5]
논문
Promoter organization of the interferon-A genes differentially affects virus-induced expression and responsiveness to TBK1 and IKKepsilon
2006-02
[6]
논문
Random sequences rapidly evolve into de novo promoters
2018-04
[7]
논문
A third recognition element in bacterial promoters: DNA binding by the alpha subunit of RNA polymerase
1993-11
[8]
논문
Bacterial promoter architecture: subsite structure of UP elements and interactions with the carboxy-terminal domain of the RNA polymerase alpha subunit
1999-08
[9]
논문
Bidirectional gene organization: a common architectural feature of the human genome
2002-06
[10]
논문
Overlapping promoters and their control in Escherichia coli: the gal case
1986-05
[11]
논문
Analysis of genomic context: prediction of functional associations from conserved bidirectionally transcribed gene pairs
2004-07
[12]
논문
A mathematical model for transcriptional interference by RNA polymerase traffic in Escherichia coli
2005-02
[13]
논문
Dynamics of transcription of closely spaced promoters in Escherichia coli, one event at a time
2012-05
[14]
논문
Transcription closed and open complex formation coordinate expression of genes with a shared promoter region
2019-12
[15]
논문
Transcriptional Interference in Convergent Promoters as a Means for Tunable Gene Expression
2016-12
[16]
논문
Analytical kinetic model of native tandem promoters in E. coli
2022-01
[17]
논문
Synergy of human Pol II core promoter elements revealed by statistical sequence analysis
2005-04
[18]
논문
New core promoter element in RNA polymerase II-dependent transcription: sequence-specific DNA binding by transcription factor IIB
1998-01
[19]
논문
Transcription regulation and animal diversity
2003-07
[20]
논문
The oxidative demethylase ALKBH3 marks hyperactive gene promoters in human cancer cells
2015-06
[21]
논문
The RNA polymerase II core promoter
[22]
논문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via the core promoter and the basal transcriptional machinery
2010-03
[23]
논문
Prevalence of the initiator over the TATA box in human and yeast genes and identification of DNA motifs enriched in human TATA-less core promoters
2007-03
[24]
논문
DNA methylation patterns and epigenetic memory
2002-01
[25]
논문
Systematic interrogation of human promoters
2019-02
[26]
논문
Three-dimensional genome restructuring across timescales of activity-induced neuronal gene expression
2020-06
[27]
논문
The Why of YY1: Mechanisms of Transcriptional Regulation by Yin Yang 1
2020
[28]
논문
Transcription factors: from enhancer binding to developmental control
2012-09
[29]
논문
Long-range enhancer-promoter contacts in gene expression control
2019-08
[30]
논문
YY1 Is a Structural Regulator of Enhancer-Promoter Loops
2017-12
[31]
논문
The Human Transcription Factors
2018-02
[32]
논문
Positional specificity of different transcription factor classes within enhancers
2018-07
[33]
논문
The Mediator complex: a central integrator of transcription
2015-03
[34]
논문
The degree of enhancer or promoter activity is reflected by the levels and directionality of eRNA transcription
2018-01
[35]
논문
MAP kinase phosphorylation-dependent activation of Elk-1 leads to activation of the co-activator p300
2003-01
[36]
논문
Enhancer RNAs predict enhancer-gene regulatory links and are critical for enhancer function in neuronal systems
2020-09
[37]
논문
An abundance of bidirectional promoters in the human genome
2004-01
[38]
논문
Comprehensive annotation of bidirectional promoters identifies co-regulation among breast and ovarian cancer genes
2007-04
[39]
논문
Bidirectional gene organization: a common architectural feature of the human genome
2002-06
[40]
논문
Comparative genomics of bidirectional gene pair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a transcriptional regulation system
2005-07
[41]
논문
Genome-wide analysis of the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preference of human bi-directional promoters and functional annotation of related gene pairs
2011-05
[42]
논문
Silencing of bidirectional promoters by DNA methylation in tumorigenesis
2006-05
[43]
논문
Functional consequences of bidirectional promoters
2011-07
[44]
논문
A methyl-sensitive element induces bidirectional transcription in TATA-less CpG island-associated promoters
2018-10-17
[45]
논문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and modified histones in human bidirectional promoters
2007-06
[46]
논문
A positive-strand RNA virus with three very different subgenomic RNA promoters
2000-07
[47]
논문
RNA polymerase-promoter interactions: the comings and goings of RNA polymerase
1998-06
[48]
논문
Promoter search by Escherichia coli RNA polymerase on a circular DNA template
1987-10
[49]
논문
RNA polymerase holoenzyme: structure, function and biological implications
2003-04
[50]
논문
Sex steroid receptors in skeletal differentiation and epithelial neoplasia: is tissue-specific intervention possible?
2009-06
[51]
논문
The role of ATF-2 in oncogenesis
2008-04
[52]
논문
A genome-wide analysis of CpG dinucleotides in the human genome distinguishes two distinct classes of promoters
2006-01
[53]
논문
CpG islands and the regulation of transcription
2011-05
[54]
논문
Role of ERCC1 promoter hypermethylation in drug resistance to cisplatin in human gliomas
2010-04
[55]
논문
Automated design of thousands of nonrepetitive parts for engineering stable genetic systems
https://scholarspher[...]
2020-12
[56]
논문
Interleukin-10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promoter polymorphisms in allergies and asthma
1998-12
[57]
논문
Association between a sequence variant in the IL-4 gene promoter and FEV(1) in asthma
1999-09
[58]
논문
Thalassemia intermedia: moderate reduction of beta globin gene transcriptional activity by a novel mutation of the proximal CACCC promoter element
1991-05
[59]
논문
Rubinstein-Taybi syndrome caused by mutations in the transcriptional co-activator CBP
1995-07
[60]
웹사이트
Expression vectors
http://www.sci.sdsu.[...]
[61]
서적
2006
[62]
서적
2008
[63]
서적
2010
[64]
서적
2006
[65]
서적
2010
[66]
서적
2008
[67]
서적
2008
[68]
서적
2006
[69]
서적
2006
[70]
서적
2010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86]
문서
[87]
문서
[88]
문서
[8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