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RNA 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NA 바이러스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는 바이러스로, RNA 가닥의 극성에 따라 양성 가닥과 음성 가닥으로 나뉜다. 이들은 DNA 바이러스보다 돌연변이율이 높고, 유전적 다양성이 커서 백신 개발이 어렵다. RNA 바이러스는 복제 방식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되며, 이중 가닥 RNA 바이러스, 양성 가닥 ssRNA 바이러스, 음성 가닥 ssRNA 바이러스가 있다. RNA 바이러스는 유전자 재조합을 통해 유전적 변이를 일으킬 수 있으며, 분류는 유전자형과 유전자 수, 조직을 기반으로 한다. 주요 RNA 바이러스로는 레트로바이러스, 보르나바이러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RNA - RNA 간섭
    RNA 간섭은 이중가닥 RNA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과정으로, 다이서 효소에 의해 생성된 작은 간섭 RNA가 RNA 유도 침묵 복합체와 결합하여 표적 mRNA를 분해하거나 번역을 억제하며, 바이러스 방어, 발생 조절, 유전체 안정성 유지 등 다양한 기능과 응용 분야를 가진다.
  • RNA - 방향성 (분자생물학)
    DNA 또는 RNA 가닥의 방향성은 5' 말단(5번 탄소에 인산기)과 3' 말단(3번 탄소에 수산기)로 구별되며, 이는 유전자 발현 조절, 폴리아데닐화, DNA 염기서열 분석 등 DNA와 RNA의 합성, 안정성, 번역 과정에 필수적이다.
  • 바이러스학 - 코로나19 백신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백신 접근성 불평등, 허위 정보, 법적 책임 문제 등 논란과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인한 효과 감소, 부작용 등의 문제도 존재한다.
  • 바이러스학 - 백신
    백신은 약화된 병원체나 일부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계를 활성화,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감염병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과 효과의 다양성, 백신 거부와 오해로 인한 접종률 저하 및 감염병 확산의 위험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이 향상되고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다.
  • 미생물학 - GFAJ-1
    GFAJ-1은 고농도 비소 환경에서 생장하며 비소를 이용하여 생장할 수 있다는 논란이 있었던 박테리아이다.
  • 미생물학 - 발효
    발효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 과정으로, 다양한 유기물을 이용하여 에탄올, 젖산 등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성하며, 식품 보존, 발효식품 제조, 바이오에탄올 생산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산소의 유무와 관계없는 이화 작용이다.
RNA 바이러스
바이러스 분류
리보비리아
생물
미정
미정
미정
아과미정
미정
미정
특징
유전체RNA
볼티모어 분류그룹 III, 그룹 IV, 그룹 V

2. RNA 바이러스의 특징

RNA 바이러스는 게놈으로 데옥시리보핵산(DNA) 대신 리보핵산(RNA)을 사용하는 바이러스이다. RNA 바이러스는 DNA 바이러스에 비해 돌연변이율이 매우 높은데, 이는 바이러스의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가 교정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8][9] 이러한 높은 돌연변이율은 RNA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어렵게 만든다.[10]

2. 1.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와 RNA 극성

RNA 바이러스는 RNA 가닥의 극성(sense)에 따라 양성 가닥과 음성 가닥으로 나눌 수 있다. 양성 가닥 바이러스 RNA는 mRNA와 유사하여 숙주 세포에서 즉시 번역될 수 있다. 반면 음성 가닥 바이러스 RNA는 mRNA에 상보적이므로 번역 전에 RNA 의존성 RNA 중합 효소에 의해 양성 가닥 RNA로 변환되어야 한다.[5]

앰비센스 RNA 바이러스는 음성 및 양성 가닥에서 유전자를 번역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음성 가닥 RNA 바이러스와 유사하다.[5]

레트로바이러스는 단일 가닥 RNA 게놈을 가지지만, 복제를 위해 DNA 중간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RNA 바이러스로 다루지 않는다. 역전사 효소는 바이러스성 RNA를 상보적인 DNA 가닥으로 변환한다.

2. 1. 1. 양성 가닥 RNA 바이러스

양성 가닥 RNA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RNA가 mRNA와 유사하므로 숙주 세포에 의해 즉시 번역될 수 있다. 양성 가닥 바이러스의 정제된 RNA는 직접 감염을 일으킬 수 있지만 전체 바이러스 입자보다 감염성이 떨어질 수 있다.[5] 양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게놈 RNA가 그대로 번역되어 바이러스 단백질이 만들어진다.[38] 단일 가닥 +가닥 RNA 바이러스는 게놈 자체가 mRNA로 기능할 수 있다. SARS의 원인인 코로나바이러스가 여기에 포함된다.

양성 가닥 RNA 바이러스에는 다음이 포함된다.[43]

  • 피코르나바이러스목 (Picornavirales)
  • * Dicistroviridae
  • * Iflaviridae
  • * Marnaviridae
  • * 피코르나바이러스과 (Picornaviridae)
  • * Secoviridae - 아과 Comovirinae 포함
  • * ''Bacillariornavirus''
  • * ''Labyrnavirus''

  • Tymovirales
  • * Alphaflexiviridae
  • * Betaflexiviridae
  • * Gammaflexiviridae
  • * Tymoviridae

  • 미할당
  • * Alphatetraviridae
  • * Alvernaviridae
  • * Astroviridae
  • * Barnaviridae
  • * Bromoviridae
  • * Caliciviridae
  • * Carmotetraviridae
  • * Closteroviridae
  • * 플라비바이러스과 (Flaviviridae)
  • * Leviviridae
  • * Luteoviridae
  • * Narnaviridae
  • * Nodaviridae
  • * Permutotetraviridae
  • * Potyviridae
  • * Togaviridae
  • * Tombusviridae
  • * Virgaviridae

  • * 미할당 속
  • ** Benyvirus
  • ** Cilevirus
  • ** Hepevirus
  • ** Idaeovirus
  • ** Ourmiavirus
  • ** Polemovirus
  • ** Sobemovirus
  • ** Umbravirus

  • * 미할당 종
  • ** Botrytis virus F
  • ** Canine picodicistrovirus
  • ** Chronic bee paralysis associated satellite virus
  • ** Extra small virus
  • ** Heterocapsa circularisquama RNA virus
  • ** Le Blanc virus
  • ** Orsay virus
  • ** Santeuil virus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2. 1. 2. 음성 가닥 RNA 바이러스

음성 가닥 바이러스 RNA는 mRNA에 상보적이므로 번역 전에 RNA 의존성 RNA 중합 효소에 의해 양성 가닥 RNA로 변환되어야 한다.[5] 음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에서는 바이러스 유래의 RNA 중합 효소 (RNA를 합성하는 효소)에 의해 상보적인 RNA가 합성된다.[38] −가닥 RNA 바이러스 게놈은 mRNA와 상보적인 염기 서열이기 때문에 그대로는 mRNA로 기능할 수 없다. 이것을 RNA 의존성 RNA 중합 효소에 의해 +가닥으로 전사하여 기능한다.

음성 가닥 RNA 바이러스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38]
  • 센다이 바이러스[38]
  • 뉴캐슬병 바이러스[38]
  • 모노네가바이러스목
  • 파라믹소바이러스과: 볼거리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RS 바이러스, 센다이 바이러스, 니파 바이러스, 헨드라 바이러스
  • 라브도바이러스과: 광견병 바이러스, 리사 바이러스,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38]
  • 볼나바이러스과 볼나바이러스속: 볼나병 바이러스, 조류 볼나바이러스, 파충류 볼나바이러스
  • 필로바이러스과: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 부니야바이러스과: 크리미아-콩고 출혈열 바이러스, SFTS 바이러스, 한타바이러스
  • 아레나바이러스과 (2분절(S-RNA와 L-RNA)의 1가닥(-)가닥 RNA를 게놈으로 갖는 외피 바이러스[40]): 라싸 바이러스, 마추포 바이러스, 푸닌 바이러스

2. 2. 이중 가닥 RNA 바이러스

이중 가닥(ds)RNA 바이러스는 숙주 범위(인간, 동물, 식물, 균류, 세균)와 유전체 분절 수(1~12개), 비리온 구조(삼각수, 캡시드 층, 스파이크, 포탑 등)가 매우 다양한 바이러스 그룹이다. 이 그룹에는 어린 아이들에게 가장 흔한 위장염의 원인인 로타바이러스와 설사 증상의 유무와 관계없이 인간과 동물의 대변 샘플에서 가장 흔한 바이러스인 피코비르나바이러스가 포함된다. 블루텅 바이러스는 소와 양을 감염시키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병원체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dsRNA 바이러스의 주요 바이러스 단백질 및 비리온 캡시드의 원자 및 서브나노미터 해상도 구조를 결정하는 데 진전이 있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의 구조와 복제 과정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강조했다.[7]

이중 가닥 RNA 바이러스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레오바이러스 비리온의 구조

2. 3. 돌연변이율

RNA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DNA 바이러스에 비해 돌연변이율이 매우 높다.[8] 이는 바이러스의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가 교정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9] RNA 바이러스의 유전적 다양성은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을 만들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이다.[10] 레트로바이러스는 DNA 중간체가 숙주 게놈에 통합되어 숙주 DNA 교정을 받더라도, 역전사 과정에서의 오류가 통합 전에 DNA의 두 가닥에 모두 포함되기 때문에 높은 돌연변이율을 갖는다.[11] RNA 바이러스의 일부 유전자는 바이러스 복제 주기에 중요하며 돌연변이가 허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형 간염 바이러스 게놈의 코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영역은 보존 서열이 매우 높으며,[12] 이는 내부 리보솜 진입 부위와 관련된 RNA 구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13]

2. 4. 서열 복잡성

평균적으로 이중 가닥 RNA(dsRNA) 바이러스는 단일 가닥 RNA(ssRNA) 바이러스에 비해 낮은 서열 중복성을 보인다.[14] 반대로, 이중 가닥 DNA(dsDNA) 바이러스는 가장 중복된 게놈 서열을 포함하는 반면, 단일 가닥 DNA(ssDNA) 바이러스는 가장 적게 포함한다.[14] 바이러스의 서열 복잡성은 정확한 참조가 필요 없는 바이러스 분류의 핵심 특성으로 나타났다.[14]

3. RNA 바이러스의 복제

RNA 바이러스는 유전체와 복제 방식에 따라 세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 이중 가닥 RNA 바이러스 (그룹 III): 하나에서 수십 개의 서로 다른 RNA 분자를 포함하며, 각 분자는 하나 이상의 바이러스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 양성 가닥 ssRNA 바이러스 (그룹 IV): 유전체를 mRNA로 직접 활용하며, 숙주 리보솜이 이를 번역하여 복제에 필요한 다양한 단백질을 형성한다. 이 과정에는 RNA 의존성 RNA 중합 효소(RNA 복제 효소)가 관여하며, 이 효소는 바이러스 RNA를 복사하여 이중 가닥 복제 형태를 만든 후 다시 새로운 바이러스 RNA를 합성한다.
  • 음성 가닥 ssRNA 바이러스 (그룹 V): 유전체가 RNA 복제 효소에 의해 복사되어 양성 가닥 RNA를 형성해야 한다. 즉, 바이러스는 RNA 복제 효소를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한다. 양성 가닥 RNA 분자는 바이러스 mRNA 역할을 하며, 숙주 리보솜에 의해 단백질로 번역된다.


레트로바이러스 (그룹 VI)는 단일 가닥 RNA 유전체를 가지지만, DNA 중간체를 이용해 복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RNA 바이러스로 분류하지 않는다. 역전사 효소는 바이러스 RNA를 상보적인 DNA 가닥으로 변환하고, 이를 복사하여 이중 가닥 바이러스 DNA를 생성한다. 이 DNA는 인테그라제를 통해 숙주 유전체에 통합되며, 이후 유전자 발현을 통해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비리온)를 형성한다.[38]

3. 1. 이중 가닥 RNA 바이러스 (그룹 III)

이 그룹에는 9개의 과와 여러 미할당 속과 종이 있다.

  • Birnaviridae과
  • Chrysoviridae과
  • Cystoviridae과
  • Endornaviridae과
  • Hypoviridae과
  • Megabirnaviridae과
  • Partitiviridae과
  • Picobirnaviridae과
  • 레오바이러스과
  • Totiviridae과

  • 미할당 속
  • * Endornavirus
  • * Varicosavirus

  • 미할당 종
  • * Sclerotinia sclerotiorum debilitation-associated virus
  • * Botrytis porri RNA virus 1


이중 가닥(ds)RNA 바이러스는 숙주 범위(인간, 동물, 식물, 균류,fungi|균류영어세균), 유전체 분절 수(1~12개), 비리온 구조(삼각수, 캡시드 층, 스파이크, 포탑 등)가 매우 다양한 바이러스 그룹을 나타낸다. 이 그룹의 구성원에는 어린 아이들에게 가장 흔한 위장염의 원인인 로타바이러스와 설사 증상의 유무에 관계없이 인간과 동물의 대변 샘플에서 가장 흔한 바이러스인 피코비르나바이러스가 포함된다. 블루텅 바이러스는 소와 양을 감염시키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병원체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dsRNA 바이러스의 주요 바이러스 단백질 및 비리온 캡시드의 원자 및 서브나노미터 해상도 구조를 결정하는 데 진전이 있었으며, 이러한 바이러스의 구조와 복제 과정에서 상당한 유사성을 강조했다.[7]

3. 2. 양성 가닥 ssRNA 바이러스 (그룹 IV)

니도바이러스목(Nidovirales)

:* Arteriviridae

:* 코로나바이러스과 (Coronaviridae)

:* Roniviridae

피코르나바이러스목 (Picornavirales)

:* Dicistroviridae

:* Iflaviridae

:* Marnaviridae

:* 피코르나바이러스과 (Picornaviridae)

:* Secoviridae - 아과 Comovirinae 포함

:* ''Bacillariornavirus''

:* ''Labyrnavirus''

Tymovirales

:* Alphaflexiviridae

:* Betaflexiviridae

:* Gammaflexiviridae

:* Tymoviridae

미할당

:* Alphatetraviridae

:* Alvernaviridae

:* Astroviridae

:* Barnaviridae

:* Bromoviridae

:* Caliciviridae

:* Carmotetraviridae

:* Closteroviridae

:* 플라비바이러스과 (Flaviviridae)

:* Leviviridae

:* Luteoviridae

:* Narnaviridae

:* Nodaviridae

:* Permutotetraviridae

:* Potyviridae

:* Togaviridae

:* Tombusviridae

:* Virgaviridae[43]

미할당 속

:* Benyvirus

:* Cilevirus

:* Hepevirus

:* Idaeovirus

:* Ourmiavirus

:* Polemovirus

:* Sobemovirus

:* Umbravirus

미할당 종

:* Botrytis virus F

:* Canine picodicistrovirus

:* Chronic bee paralysis associated satellite virus

:* Extra small virus

:* Heterocapsa circularisquama RNA virus

:* Le Blanc virus

:* Orsay virus

:* Santeuil virus

양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게놈 RNA가 그대로 번역되어 바이러스 단백질이 만들어진다[38]。단일 가닥 +가닥 RNA 바이러스는 게놈 자체가 mRNA로 기능할 수 있다. SARS의 원인인 코로나바이러스가 여기에 포함된다.

3. 3. 음성 가닥 ssRNA 바이러스 (그룹 V)

음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유래의 RNA 중합 효소(RNA를 합성하는 효소)에 의해 상보적인 RNA가 합성된다[38]。-가닥 RNA 바이러스 게놈은 mRNA와 상보적인 염기 서열이기 때문에 그대로는 mRNA로 기능할 수 없다. 이것을 RNA 의존성 RNA 중합 효소에 의해 +가닥으로 전사하여 기능한다.

분류속/종
모노네가바이러스목 (Mononegavirales)Bornaviridae과Borna disease virus
필로바이러스과 (Filoviridae)
Paramyxoviridae과
랍도바이러스과 (Rhabdoviridae)
미할당 과Arenaviridae과
Bunyaviridae과
Ophioviridae과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
미할당 속Deltavirus속
Emaravirus속
Nyavirus속[44]
Tenuivirus속
미할당 종Orchid fleck virus
Taastrup virus



구체적인 바이러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38]
  • 센다이 바이러스[38]
  • 뉴캐슬병 바이러스[38]
  • 모노네가바이러스목
  • 파라믹소바이러스과: 볼거리 바이러스, 홍역 바이러스, RS 바이러스, 센다이 바이러스, 니파 바이러스, 헨드라 바이러스
  • 라브도바이러스과: 광견병 바이러스, 리사 바이러스, 수포성 구내염 바이러스[38]
  • 볼나바이러스과 볼나바이러스속: 볼나병 바이러스, 조류 볼나바이러스, 파충류 볼나바이러스
  • 필로바이러스과: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에볼라 바이러스
  • 부니야바이러스과: 크리미아-콩고 출혈열 바이러스, SFTS 바이러스, 한타바이러스
  • 아레나바이러스과 (2분절(S-RNA와 L-RNA)의 1가닥(-)가닥 RNA를 게놈으로 갖는 외피 바이러스[40]): 라싸 바이러스, 마추포 바이러스, 푸닌 바이러스

3. 4. 레트로바이러스 (그룹 VI)

레트로바이러스 (그룹 VI)는 외가닥 RNA 게놈을 가지고 있지만, 복제를 위해 DNA 중간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RNA 바이러스로 다루어지지는 않는다.[38] 역전사 효소는 바이러스성 RNA를 상보적인 가닥의 DNA로 변환한다. 즉, 게놈 RNA를 역전사 효소에 의해 DNA로 복사하고 그 DNA로부터 유전 정보를 읽어내는 방식으로, 이들을 레트로바이러스라고 부른다.[38]

4. RNA 바이러스의 재조합

다수의 RNA 바이러스는 두 개 이상의 바이러스 게놈이 동일한 숙주 세포 내에 존재할 때 유전자 재조합을 할 수 있다.[15] 매우 드물게 바이러스 RNA는 숙주 RNA와 재조합될 수 있다.[16] RNA 재조합은 ''피코르나바이러스과'' ((+)ssRNA)와 같은 바이러스(예: 폴리오바이러스)에서 게놈 구조와 바이러스 진화 과정을 결정하는 주요 원동력인 것으로 보인다.[17] ''레트로바이러스과'' ((+)ssRNA)(예: HIV)에서 RNA 게놈 손상은 재조합의 한 형태인 가닥 전환에 의해 역전사 과정에서 피하는 것으로 보인다.[18][19][20] 재조합은 ''레오바이러스과''(dsRNA)(예: 레오바이러스),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ssRNA)(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1], ''코로나바이러스과''((+)ssRNA)(예: SARS)에서도 발생한다.[21] RNA 바이러스의 재조합은 게놈 손상에 대처하기 위한 적응으로 보인다.[1] 재조합은 동일 종이지만 계통이 다른 동물 바이러스 간에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생성된 재조합 바이러스는 때때로 인간에게 감염 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1]

5. RNA 바이러스의 분류

RNA 바이러스는 유전자형(이중 가닥, 음성 또는 양성 단일 가닥), 유전자 수 및 조직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현재 RNA 바이러스는 5개의 목(order)과 47개의 과(family)로 분류되며, 분류되지 않은 많은 종(species)과 속(genera)도 존재한다.[22]

국제 바이러스 분류 위원회의 2005년 보고서에 따르면, 제1군과 제2군은 DNA 바이러스, 제3군부터 제7군은 RNA 바이러스이다.[39]

비로이드와 RNA 위성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지만 구별되며, 현재 RNA 바이러스로 분류되지 않는다.

수천 개의 RNA 바이러스 연구를 통해 최소 5개의 주요 분류군이 밝혀졌다.


  • 레비바이러스(levivirus) 및 관련 그룹
  • 피코르나바이러스(picornavirus) 상위 그룹
  • 알파바이러스(alphavirus) 상위 그룹과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 상위 그룹
  • dsRNA 바이러스
  • -ve 가닥 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그룹은 나머지 모든 RNA 바이러스의 기저로 보이며, 다음 주요 구분은 피코르나상위그룹(picornasupragroup)과 나머지 바이러스 사이에 있다. dsRNA 바이러스는 +ve RNA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ve RNA 바이러스는 dsRNA 바이러스 내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ve 가닥 RNA 바이러스와 가장 가까운 관계는 레오바이러스과(Reoviridae)이다.[22]

5. 1. 그룹 III - dsRNA 바이러스

이 그룹에는 9개의 과와 여러 미할당 속과 종이 있다.

  • Birnaviridae과
  • Chrysoviridae과
  • Cystoviridae과
  • Endornaviridae과
  • Hypoviridae과
  • Megabirnaviridae과
  • Partitiviridae과
  • Picobirnaviridae과
  • 레오바이러스과
  • Totiviridae과

  • 미할당 속
  • * Endornavirus
  • * Varicosavirus

  • 미할당 종
  • * Sclerotinia sclerotiorum debilitation-associated virus
  • * Botrytis porri RNA virus 1


이중 가닥(ds)RNA 바이러스는 숙주 범위(인간, 동물, 식물, 균류)와 유전체 분절 수(1~12개), 비리온 구조가 매우 다양한 바이러스 그룹을 나타낸다. 이 그룹에는 어린 아이들에게 가장 흔한 위장염의 원인인 로타바이러스와 설사 증상의 유무에 관계없이 인간과 동물의 대변 샘플에서 가장 흔한 바이러스인 피코비르나바이러스가 포함된다. 블루텅 바이러스는 소와 양을 감염시키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병원체이다.[7]

5. 2. 그룹 IV - 양성 극성 ssRNA 바이러스

그룹 IV - 양성-극성 ssRNA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 중 가장 큰 그룹으로, ICTV에 의해 ''키트리노비리코타'', ''레나르비리코타'', ''피수비리코타'' 문으로 분류되었으며, ''오르토르나비라에'' 강과 영역 ''리보비리아''에 속한다.

양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게놈 RNA가 그대로 번역되어 바이러스 단백질이 만들어진다.[38] 단일 가닥 +가닥 RNA 바이러스는 게놈 자체가 mRNA로 기능할 수 있다.

이 그룹에는 3개의 목과 34개의 과가 있다. 또한 분류되지 않은 종과 속도 다수 존재한다.

  • 니도바이러스목
  • * 과 아테리바이러스과
  • * 과 코로나바이러스과 – 사람 코로나바이러스 (HCoV-229E, HCoV-HKU1, HCoV-NL63, HCoV-OC43), MERS-CoV, SARS-CoV-1 및 SARS-CoV-2 포함
  • * 과 메소니바이러스과
  • * 과 로니바이러스과
  • 목 피코르나바이러스목
  • * 과 디시스트로바이러스과
  • * 과 이플라바이러스과
  • * 과 마르나바이러스과
  • * 과 피코르나바이러스과 – 소아마비 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감기 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포함
  • * 과 세코바이러스과 코모바이러스아과 포함
  • * 속 바실라리오르나바이러스
  • * 종 켈프 파리 바이러스
  • 목 티모바이러스목
  • * 과 알파플렉시바이러스과
  • * 과 베타플렉시바이러스과
  • * 과 감마플렉시바이러스과
  • * 과 티모바이러스과
  • 미분류
  • * 과 알파테트라바이러스과
  • * 과 알베르나바이러스과
  • * 과 아스트로바이러스과
  • * 과 바르나바이러스과
  • * 과 베니바이러스과
  • * 과 보투르미아바이러스과
  • * 과 브로모바이러스과
  • * 과 칼리시바이러스과 – 노로바이러스 포함
  • * 과 카르모테트라바이러스과
  • * 과 클로스테로바이러스과
  • * 과 플라비바이러스과 – 황열병 바이러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뎅기열 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 포함
  • * 과 퓨사리바이러스과
  • * 과 헤페바이러스과
  • * 과 하이포바이러스과
  • * 과 레비바이러스과
  • * 과 루테오바이러스과 – 보리 황색 왜소 바이러스 포함
  • * 과 폴리시피바이러스과
  • * 과 나르나바이러스과
  • * 과 노다바이러스과
  • * 과 페르무토테트라바이러스과
  • * 과 포티바이러스과
  • * 과 사트로바이러스과
  • * 과 스타토바이러스
  • * 과 토가바이러스과 – 풍진 바이러스, 로스강 바이러스, 신드비스 바이러스,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포함
  • * 과 톰부스바이러스과
  • * 과 비르가바이러스과[34]
  • * 미분류 속
  • ** 속 ''블루네르바이러스''
  • ** 속 ''실레바이러스''
  • ** 속 ''히그레바이러스''
  • ** 속 ''이다에오바이러스''
  • ** 속 ''네게바이러스''
  • ** 속 ''우르미아바이러스''
  • ** 속 ''폴레모바이러스''
  • ** 속 ''시나이바이러스''
  • ** 속 ''소베모바이러스''
  • * 미분류 종
  • ** 아피드 바구미 바이러스
  • ** 바스트로바이러스
  • ** 블랙포드 바이러스
  • ** 블루베리 괴사 링 반점 바이러스
  • ** 카디시스트로바이러스
  • ** 차라 오스트랄리스 바이러스
  • ** 엑스트라 스몰 바이러스
  • ** 구기 베리 엽록증 바이러스
  • ** 하모니아 억시리디스 바이러스 1
  • ** 헤펠리바이러스
  • ** 징먼 진드기 바이러스
  • ** 르 블랑 바이러스
  • ** 네디시스트로바이러스
  • ** 네시디오코리스 테누이스 바이러스 1
  • ** 니플라바이러스
  • ** 닐란데리아 풀바 바이러스 1
  • ** 오르세이 바이러스
  • ** 오세닥스 자포니쿠스 RNA 바이러스 1
  • ** 피칼리바이러스
  • ** 플라나리아 분비 세포 니도바이러스
  • ** 플라스모파라 할스테디 바이러스
  • ** 로셀리니아 네카트릭스 퓨사리바이러스 1
  • ** 상퇴유 바이러스
  • ** 세칼리바이러스
  • ** 솔레놉시스 인빅타 바이러스 3
  • ** 우한 큰 돼지 회충 바이러스


위성 바이러스

  • 과 사트로바이러스과
  • 속 알베토바이러스
  • 속 오마이바이러스
  • 속 파파니바이러스
  • 속 비르토바이러스
  • 만성 벌 마비 바이러스


플러스 가닥 RNA 바이러스는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를 기반으로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 피코르나 유사 그룹 (피코르나비라타): 바이모바이러스, 코모바이러스, 네포바이러스, 노다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포티바이러스, 소베모바이러스 및 루테오바이러스의 일부 (비트 서부 황색 바이러스 및 감자 잎말림 바이러스)

# 플라비 유사 그룹 (플라비라타): 카모바이러스, 디안토바이러스, 플라비바이러스, 페스티바이러스, 스타토바이러스, 톰부스바이러스, 단일 가닥 RNA 박테리오파지, C형 간염 바이러스 및 루테오바이러스의 일부 (보리 황색 왜소 바이러스)

# 알파 유사 그룹 (루비라타): 알파바이러스, 카를라바이러스, 푸로바이러스, 호르데이바이러스, 포텍스바이러스, 루비바이러스, 토브라바이러스, 트리코르나바이러스, 티모바이러스, 사과 엽록반점 바이러스, 비트 황색 바이러스 및 E형 간염 바이러스

알파 유사 상위 그룹은 루비 유사 바이러스, 토바모 유사 바이러스 및 티모 유사 바이러스의 세 클레이드로 더 나눌 수 있다.

5. 2. 1. 양성 가닥 RNA 바이러스의 진화

피코르나바이러스목의 진화는 RNA 중합효소와 헬리카아제 분석을 기반으로 진핵생물 분화 시점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29] 이들의 추정 조상에는 세균 그룹 II 역전이 요소, HtrA 프로테아제 계열 및 DNA 박테리오파지가 포함된다.

파티티바이러스는 토티바이러스 조상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부터 진화했을 수 있다.[30]

하이포바이러스와 바나바이러스는 각각 포티바이러스와 소베모바이러스 계통과 조상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30]

5. 3. 그룹 V - 음성 극성 ssRNA 바이러스

모노네가바이러스목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 등이 이 그룹에 속한다. 이 바이러스들은 하나의 RNA 분자에서 최대 8개의 분절에 이르는 다양한 유형의 게놈을 가지고 있으며, 절지동물에서 기원하여 분화된 것으로 보인다.[32]

D형 간염 바이러스를 제외하고, 이 바이러스 그룹은 네가르나비리코타라는 단일 문(phylum)으로 분류되며, 이 문은 다시 하플로비리코티나와 폴리플로비리코티나의 두 아문(subphyla)으로 나뉜다. 하플로비리코티나 아문에는 춘치우비리세테스, 밀네비리세테스, 몬지비리세테스, 윤창비리세테스의 네 강(class)이 있고, 폴리플로비리코티나 아문에는 엘리오비리세테스와 인스토비리세테스의 두 강이 있다.

이 그룹에는 현재 여섯 개의 강, 일곱 개의 목(order), 그리고 스물네 개의 과(family)가 인식되어 있으며, 아직 분류되지 않은 다수의 종과 속이 있다.[9]

음성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에서는 바이러스 유래의 RNA 중합 효소에 의해 상보적인 RNA가 합성된다.[38] −가닥 RNA 바이러스 게놈은 mRNA와 상보적인 염기 서열이기 때문에 그대로는 mRNA로 기능할 수 없다. 이것을 RNA 의존성 RNA 중합 효소에 의해 +가닥으로 전사하여 기능한다.

  • 네가르나비리코타 문[36]
  • 하플로비리코티나 아문
  • 춘치우비리세테스 강
  • 무비랄레스 목
  • 퀸비리데 과
  • 밀네비리세테스 강
  • 세르펜토비랄레스 목
  • 아스피비리데 과
  • 몬지비리세테스 강
  • 징추비랄레스 목
  • 추비리데 과
  • 모노네가비랄레스 목
  • 보르나비리데 과 – 보르나병 바이러스
  • 필로바이리데 과 – 에볼라 바이러스, 마르부르크 바이러스 포함
  • 미모나비리데 과
  • 냐미비리데 과[37]
  • 파라믹소비리데 과 –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니파 바이러스, 헨드라 바이러스, NDV 포함
  • 뉴모비리데 과 – RSV 및 메타뉴모바이러스 포함
  • 라브도비리데 과 – 광견병 바이러스 포함
  • 선비리데 과
  • 안페바이러스 속
  • 알리바이러스 속
  • 쳉티바이러스 속
  • 크루스타바이러스 속
  • 와스트리바이러스 속
  • 윤창비리세테스 강
  • 고우지안비랄레스 목
  • 위에비리데 과
  • 폴리플로비리코티나 아문
  • 엘리오비리세테스 강
  • 분야비랄레스 목
  • 아레나비리데 과 – 라사열 바이러스 포함
  • 크루리비리데 과
  • 페라비리데 과
  • 피모비리데 과
  • 한타비리데 과
  • 존비리데 과
  • 나이로비리데 과
  • 페리분야비리데 과
  • 파스마비리데 과
  • 페누이비리데 과
  • 토스포비리데 과
  • 틸라피네비리데 속
  • 인스토비리세테스 강
  • 아티큘라비랄레스 목
  • 암눈비리데 과 – 타스트루프 바이러스 포함
  • 오르토믹소비리데 과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포함
  • 미분류 속:
  • 델타바이러스 속 – D형 간염 바이러스(진정한 바이러스가 아닌 준 바이러스 입자) 포함

5. 4. 그룹 VI - ssRNA-RT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과는 외가닥 RNA-RT 바이러스로, 게놈 RNA를 역전사 효소를 통해 DNA로 복사한 후 유전 정보를 읽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인간 T 림프구 친화성 바이러스, 원숭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 등이 있다.[38]

6. 주요 RNA 바이러스

다음은 주요 RNA 바이러스 목록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6. 1. 레트로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는 게놈 RNA를 역전사 효소에 의해 DNA로 복사하고 그 DNA로부터 유전 정보를 읽어내는 유형의 바이러스이다.[38] 대표적인 레트로바이러스로는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인간 T 림프구 친화성 바이러스, 원숭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 등이 있다.

RNA 바이러스와 숙주인 인류는 공진화해 왔다. 바이러스가 생물의 게놈에 내재화된 흔적인 "바이러스 화석"으로는 지금까지 레트로바이러스가 알려져 있다.[41] 생물은 레트로바이러스의 유전자를 게놈에 통합하여 내재성 레트로바이러스(Endogenous retrovirus, ERV)로 유전시키고, 게놈의 다양성을 넓혀왔다.[41]

6. 2. 보르나바이러스

인류와 RNA 바이러스는 공진화해 왔다. 지금까지 레트로바이러스가 바이러스가 생물의 게놈에 내재화된 흔적인 "바이러스 화석"으로 알려져 있다.[41] 생물은 레트로바이러스의 유전자를 게놈에 통합하여 내재성 레트로바이러스로 유전시키고, 게놈의 다양성을 넓혀왔다.[41]

2010년, 오사카 대학 미생물 병연구소는 인간, 비인간 영장류, 설치류, 주머니고양이의 게놈 내에서 염기 서열 "내재성 보르나 유사 N 엘리먼트(Endogenous Borna-like N, EBLN)"를 발견했다.[41] 또한 보르나병의 원인인 보르나바이러스를 감염시킨 세포에서 유전자가 역전사되어 세포의 게놈에 삽입된다는 것, 역전사 효소를 가지고 있지 않은 RNA 바이러스가 숙주의 레트로트랜스포존을 이용하여 게놈에 삽입된다는 것을 나타냈다.[41]

이 발견으로 인해 레트로바이러스 외에도 RNA 바이러스 중 하나인 보르나바이러스의 유전자가 흡수되었으며, 바이러스 감염이 400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41]

참조

[1] 서적 Basic virology https://archive.org/[...] Blackwell Science, Inc. 2020-03-30
[2] 논문 The new scope of virus taxonomy: partitioning the virosphere into 15 hierarchical ranks 2020-05
[3] 간행물 TaxoProp https://ictv.global/[...]
[4] 간행물 TaxoProp https://ictv.global/[...]
[5] 논문 Expression strategies of ambisense viruses 2003-06
[6] 논문 Evidence for negative-strand RNA virus infection in fungi 2013-01
[7] 서적 Segmented Double-stranded RNA Viruses: Structure and Molecular Biology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8] 논문 Viral mutation rates 2010-10
[9] 서적 Microbiology Wm. C. Brown
[10] 논문 Rapid evolution of RNA viruses
[11] 논문 Viral evolution and escape during acute HIV-1 infection 2010-10
[12] 논문 Sequence analysis of the core gene of 14 hepatitis C virus genotypes 1994-08
[13] 논문 Detailed mapping of RNA secondary structures in core and NS5B-encoding region sequences of hepatitis C virus by RNase cleavage and novel bioinformatic prediction methods 2004-10
[14] 논문 The complexity landscape of viral genomes 2022-08
[15] 논문 How RNA viruses maintain their genome integrity 2010-06
[16] 논문 Deep Recombination: RNA and ssDNA Virus Genes in DNA Virus and Host Genomes 2015
[17] 논문 Recombination in Enteroviruses, a Multi-Step Modular Evolutionary Process 2019-09
[18] 논문 Retroviral recombination and reverse transcription 1990-11
[19] 논문 Recombination is required for efficient HIV-1 replication and the maintenance of viral genome integrity 2018-11
[20] 논문 Sex in microbial pathogens 2018-01
[21] 논문 Epidemiology, Genetic Recombination, and Pathogenesis of Coronaviruses 2016-06
[22] 논문 Origins and Evolution of the Global RNA Virome 2018-11
[23] 서적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viruses. Fifth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Archives of Virology (Suppl. 2) Springer 1991
[24] 웹사이트 Current ICTV Taxonomy Release https://ictv.global/[...] 2023-04-03
[25] 논문 The phylogeny of RNA-dependent RNA polymerases of positive-strand RNA viruses 1991-09
[26] 논문 Conservation of the putative methyltransferase domain: a hallmark of the 'Sindbis-like' supergroup of positive-strand RNA viruses 1992-08
[27] 논문 Evolution and taxonomy of positive-strand RNA viruses: implications of comparative analysis of amino acid sequences
[28] 논문 Progress towards a higher taxonomy of viruses
[29] 논문 The Big Bang of picorna-like virus evolution antedates the radiation of eukaryotic supergroups 2008-12
[30] 논문 Origin, adaptation and evolutionary pathways of fungal viruses
[31] 논문 Analyses of the radiation of birnaviruses from diverse host phyla and of their evolutionary affinities with other double-stranded RNA and positive strand RNA viruses using robust structure-based multiple sequence alignments and advanced phylogenetic methods 2013-07
[32] 논문 Unprecedented genomic diversity of RNA viruses in arthropods reveals the ancestry of negative-sense RNA viruses 2015-01
[33] 논문 A classification system for virophages and satellite viruses 2016-01
[34] 논문 Virgaviridae: a new family of rod-shaped plant viruses
[35] 문서 Pankovics P, Boros Á, Kiss T, Engelmann P, Reuter G (2019) Genetically highly divergent RNA virus with astrovirus-like (5'-end) and hepevirus-like (3'-end) genome organization in carnivorous birds, European roller (''Coracias garrulus''). Infect Genet Evol
[36] 웹사이트 Virus Taxonomy: 2018 Release https://ictv.global/[...]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2018-11-13
[37] 논문 Nyamanini and midway viruses define a novel taxon of RNA viruses in the order Mononegavirales 2009-05
[38] 간행물 科学技術振興機構報第279号平成18年4月10日 [[科学技術振興機構]]「語句説明」
[39]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ICTV https://talk.ictvonl[...]
[40] 논문 「アレナウイルス感染症」谷 英樹, 福士 秀悦, 吉河 智城, 西條 政幸, 森川 茂、ウイルス / (2012) 62 巻 2 号, 日本ウイルス学会, p. 229-238.
[41] 간행물 堀江 真行, 朝長 啓造「哺乳類ゲノムに内在する非レトロウイルス型RNAウイルス」2010 年 60 巻 2 号 p. 143-154、[[科学技術振興機構]]「ヒトのゲノムにRNAウイルス遺伝子を発見
[42] 웹사이트 MeSH http://www.nlm.nih.g[...] 2008-04-12
[43] 저널 Virgaviridae: a new family of rod-shaped plant viruses
[44] 문서 Mihindukulasuriya K.A., Nguyen N.L., Wu G., Huang H.V., Travassos da Rosa A.P., Popov V.L., Tesh R.B., Wang D. (2009) Nyamanini and Midway viruses define a novel taxon of RNA viruses in the order Mononegavirales. J. Viro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