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단 구동방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단 구동 방식은 스프링하 질량을 줄여 고속 주행에 적합하고, 소음과 진동을 줄여 승차감을 개선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부품 수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높고, 추가 부품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원추 톱니바퀴, 하이포이드 기어, 웜 기어 등을 사용하며, 직각 카르단, 중공축 평행 카르단, WN 구동 방식, TD 평행 카르단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1910년대 독일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미국, 스위스 등에서 발전하여 전동차 구동 방식의 주류를 이루었다. 한국에서는 1950년대부터 도입되어 1960년대 이후 대부분의 전동차에 채택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 VVVF 인버터 제어와 유도 전동기의 조합과 함께 WN 구동 방식과 TD 이음매 방식이 주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도차량공학 - 자동 열차 운전 장치
    자동 열차 운전 장치는 열차 운행을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국제 표준에 따라 자동화 수준이 GoA0(수동 운전)부터 GoA4(무인 운전)까지 분류되며, 안전성 및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지만 오류 및 인적 실수 가능성도 존재하여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 철도차량공학 - 가공 전차선
    가공 전차선은 전기 철도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부 전선 시스템으로, 트롤리선, 조가선, 행어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가선 방식과 장력 조절 장치가 존재하고 외부 요인에 의한 고장 위험과 시각 공해 등의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카르단 구동방식
카르단 구동 방식
카르단 조인트
카르단 조인트의 작동 원리
개요
종류전륜구동 (FF)
후륜구동 (FR)
4륜구동 (4WD)
특징엔진의 회전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방식
회전축의 각도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동력 전달 가능
구조
주요 구성 요소추진축 (프로펠러 샤프트)
카르단 조인트 (유니버설 조인트)
등속 조인트
작동 원리엔진의 회전력을 추진축을 통해 전달
카르단 조인트가 각도 변화를 허용하며 동력 전달
장단점
장점각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서스펜션 움직임에 따른 변화에 강건
단점진동 및 소음 발생 가능성
등속성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장치 필요
활용 분야
주요 사용 분야자동차 (FR, 4WD)
철도 차량
산업 기계
참고
관련 기술등속 조인트
프로펠러 샤프트

2. 장단점

카르단 구동 방식은 조괘식 구동 방식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가지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는 단점도 있다.[1][2]

"카르단 조인트"는 이 원형을 고안한 이탈리아의 수학자 제롤라모 카르다노(Gerolamo Cardano|제로라모 카르다노it)의 이름에서 유래했다.[2] 카르단 조인트는 입출력 축 사이에 각도차가 있으면 각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비등속" 조인트(등속 조인트 참조)이지만, 2개의 조인트를 90도 위상 차이를 두어 사용하면 상당히 완화된다.[2] 철도 차량은 자동차의 전륜 구동 기구와 달리 큰 각도로 운용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점이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2]

주전동기를 축스프링 위에 고정하려면 주전동기 축과 차륜의 상대 위치 변화를 흡수하는 자재 이음매가 필요한데, 카르단 조인트가 그중 하나이다.[2] 동력 전달 축의 각도 변화뿐 아니라, 스플라인 등을 사용하여 축 방향 길이 변화도 가능해야 한다.[2]

2. 1. 장점


  • 고속 주행에 적합하다. 주행 장치의 스프링하 질량이 작기 때문에, 고속 주행 시에도 선로와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이 작다. 소음이나 승차감도 개선된다.[1]
  • 전동기 자체에 가해지는 충격도 작기 때문에 굳이 과도하게 튼튼한 대형 모터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소형에 고속 회전이 가능한 전동기를 사용할 수 있어 효율이 높다.[1]
  • 점검이 용이하다. 조괘식 구동 방식에 비해 마모 부분이 적고, 충격에 의한 소모도 적다. 카르단 구동 전동차의 점검 주기는 조괘식 구동 전동차의 3배나 되는 경우도 있다.[1]
  • 카르단 구동 방식을 채택한 전차에서는 주전동기의 무게가 모두 대차의 축스프링을 통해 차륜에 걸려있기 때문에, 주전동기 무게의 대부분이 차륜에 직접 걸리는 견인 장치 구동 방식에 비해 스프링 아래 질량이 작다.[2] 이로 인해 선로의 요철(피칭)이나 비틀림(롤링)과 같은 변화에 대한 차륜의 추종성이 높고, 보다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얻을 수 있다.[2] 레일의 이음새를 통과할 때 등에 발생하는 충격에 대해서도, 충격을 직접 받는 무게가 작기 때문에 소음이나 승차감도 개선된다.[2] 주전동기가 충격이나 진동을 직접 받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주전동기의 내성을 낮게 설계하여 소형화하거나, 동일한 크기로 보다 동력 성능이 높은 주전동기를 이용할 수 있다.[2] 또한, 견인 장치 구동 방식처럼 차륜으로부터의 충격·동요가 직접 감속 기어에 전달되어 기어의 파손이 발생하는 일도 없고, 손모되는 부분이 적다.[2] 감속 기어도 작기 때문에 경량화할 수 있으며, 급지량도 적게 든다.[2]

2. 2. 단점


  •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아 제조 비용이 높다.[1]
  • 차축의 상하 움직임(피칭이나 롤링)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 부품이 필요하다.[1]
  • 대출력 모터를 사용할 때 카르단 조인트의 강도 한계를 고려해야 한다.[1]
  • 공진에 의한 진동을 피하도록 설계해야 한다.[1]
  • 조인트와 톱니바퀴 부품 가공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1]
  • 견인 장치 구동 방식에 비해 카르단 구동 방식은 대차의 축스프링을 통해 주전동기의 무게가 모두 차륜에 걸리므로, 스프링 아래 질량이 작다. 따라서 선로의 요철이나 비틀림에 대한 차륜의 추종성이 높아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얻을 수 있다.
  • 레일 이음새 통과 시 발생하는 충격이 작아 소음이나 승차감이 개선된다. 주전동기가 충격이나 진동을 직접 받지 않아 내성을 낮게 설계하여 소형화하거나, 같은 크기로 더 높은 동력 성능을 가진 주전동기를 사용할 수 있다.
  • 견인 장치 구동 방식과 달리 차륜의 충격·동요가 감속 기어에 직접 전달되지 않아 기어 파손이 적고, 닳아 없어지는 부분이 적다. 감속 기어가 작아 경량화가 가능하고, 급지량도 적다.
  • 주전동기를 축스프링 위에 고정하기 위해 주전동기 축과 차륜의 상대 위치 변화를 흡수하는 장치(자재 이음매)가 필요하며, 카르단 조인트가 그 중 하나이다. 동력 전달 축의 각도 변화뿐 아니라, 스플라인 등을 사용하여 축 방향 길이 변화가 가능한 축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 카르단 조인트는 이탈리아의 수학자 제롤라모 카르다노(Gerolamo Cardano|제로라모 카르다노it)가 고안했다. 카르단 조인트는 입출력 축 사이에 각도차가 있으면 각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비등속" 조인트(등속 조인트 참조)이지만, 2개의 조인트를 90도 위상 차이를 두어 사용하면 완화된다. 철도 차량 구동 시스템은 자동차의 전륜 구동 기구와 달리 큰 각도가 되지 않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용하지 않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3. 종류

카르단 구동 방식은 전동기 배치와 동력 전달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직각 카르단 구동 방식''': 주 전동기를 대차에 장착하고, 구동축이 레일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한다. 원추 톱니바퀴, 하이포이드 기어, 웜 기어 등을 사용한다.
  • '''중공축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 회전축을 중공으로 만들어 차축과 전기자의 변위량을 크게 허용한다. 도요 전기 제작소가 자체 개발했다.
  • '''WN 구동 방식''': 일본 제철에서 대부분 제조하는 WN 이음매를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대출력 전동기에 대한 내구성이 높다.
  • '''TD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 도요 전기 제작소가 개발한 TD 이음매를 사용한다. WN 구동 방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소음이 적다.
  • '''기타 방식'''
  • '''차체 장착 카르단 구동 방식''': 전동기를 차량 차체 바닥에 고정하고, 프로펠러 샤프트로 차축을 구동한다.
  • '''수직 카르단 구동 방식''': 신코 전기가 개발한 방식으로, 전동기를 수직으로 세워 대차에 장착한다.
  • '''TGV 트리포드 카르단 구동 방식''': 모터와 동륜 사이에 2개의 감속 장치를 두고, 트리포드 조인트로 연결한다.

3. 1. 직각 카르단 구동 방식

원추 톱니바퀴나 하이포이드 기어 혹은 웜 기어 단독 또는 헬리컬 기어와의 조합으로, 구동축이 레일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주 전동기를 대차에 장착한 방식이다. 주 전동기의 전기자 축 방향 길이가 차륜의 백 게이지에 제약받지 않으므로 협궤용이라도 비교적 대출력의 주 전동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동기의 앞뒤로 전기자축을 내어 1대차당 1주 전동기로 2축 구동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스파이럴 베벨 기어를 사용함으로써, 평행 카르단에 비해 훨씬 뛰어난 정숙성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2] 한편, 톱니바퀴의 정비가 어렵고, 구동 장치 자체의 무게와 부피가 크며, 축거가 길어져 대차의 무게가 증가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일본에서는 특히 1950년대 초기 협궤 사철용 고성능 전차나 노면 전차에서 많이 사용되었지만, 1960년대 이후에는 각종 평행 구동 방식의 성능 향상으로 주류에서 벗어났다. 큰 힘이 걸리는 톱니바퀴 전반, 특히 스파이럴 베벨 기어는 표면의 내마모성과 내부의 인성의 양립 외에도 고정밀 절삭 처리가 요구되므로 재료 선정과 가공이 어려웠다. 일본에서 처음 이 방식을 시도한 도시바에서는 재료가 되는 합금강의 제조·표면 처리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러한 노하우가 확립되고 고정밀 가공이 가능한 미국제 전용 공구가 도입된 1954년까지 충분히 실용에 견딜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할 수 없었다고 한다.

도시바 외에도 히타치 제작소도 이 방식을 제조했으며, 히타치의 대량 납품처 중 하나였던 사겡 철도의 기술진이 이 방식에 고집하여 21세기에 들어와 인버터 구동 3상 유도 전동기와 결합하기 전까지 제조가 계속되었다. 21세기 초에는 히로시마 전철 5100형 전차처럼 좌우 차륜을 별도로 구동해야 하는 초저상 노면 전차에서 1대차의 전후 차륜을 좌우 별도로, 그리고 1대차당 2기의 주 전동기로 구동하는 수단으로 이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3. 2. 중공축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

제한된 공간 내에서 차축과 전기자의 변위량을 크게 허용하기 위해 회전축을 중공으로 하고, 전동기의 양쪽에 배치된 두 개의 플렉시블 플레이트 이음매를 직결하는 회전축을 중공축 안으로 통과시킨 방식이다. 원형은 스위스의 BBC 디스크 드라이브이며, 일본에서는 도요 전기 제작소가 자체 개발로 실용화에 성공했다. 차축 위치의 편차량이 크더라도 대응 가능하며, 게다가 이음매의 축 방향 길이를 거의 무시할 수 있어, 국철의 신성능 전차를 시작으로, 주로 차륜 간의 백 게이지 관계 때문에 장축 치수의 제약이 특히 엄격한 일본의 협궤 전철화 철도 각 노선에서 당초 널리 채택되었다.

3. 3. WN 구동 방식

WN 구동 방식은 전동기와 톱니바퀴 사이에 원통형의 안쪽 톱니바퀴(내치 톱니바퀴)와 바깥쪽 톱니바퀴(외치 톱니바퀴)를 조합한 WN 이음매를 배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미쓰비시 전기는 제휴 관계에 있던 웨스팅하우스(WH사)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아 이 방식을 도입했다. WN 이음매는 대부분 일본 제철(구 스미토모 금속 공업)에서 제조한다.

WN 구동 방식은 중공축 평행 카르단 방식에 비해 WN 이음매의 길이만큼 주 전동기의 전기자 축 방향 크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전동기 출력을 확보하기 위한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다.[3] 이러한 이유로 초기에는 표준궤 철도에서 먼저 보급되었으나, 전동기 및 WN 이음매 소형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협궤의 사철에서도 사용하게 되었다.

WN 이음매는 항상 톱니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대출력 전동기에 대한 내구성이 높다. 또한 플렉시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중공축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이나 TD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보다 물리적인 내구성이 뛰어나 700계 C19 편성 이후 및 N700계 Z·N 편성의 그린샤를 제외한 신칸센, 그리고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의 표준 구동 시스템으로 채택되었다.

3. 4. TD 평행 카르단 구동 방식

도요 전기 제작소가 개발·제조한 "TD (Twin Disc) 이음매"를 중실축의 전동기와 톱니바퀴 사이에 설치한 방식이다. TD 이음매는 중공축 평행 카르단의 플렉시블 플레이트 이음매를 2개 조합하여 소형화한 형태이다. WN 구동 방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소음도 적고 보수성도 높아,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를 제외한 JR 각 사 및 기존에 중공축 평행 카르단을 채용하던 철도 사업자를 중심으로 보급되고 있다.[1] 또한, 최근에는 내구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정숙성을 중시하는 그린샤 등, 신칸센에 채용된 사례도 나오고 있다.[1]

3. 5. 기타 방식

차체 장착 카르단 구동 방식은 차량의 차체 바닥에 전동기를 고정하고, 카르단 조인트를 갖춘 프로펠러 샤프트로 차축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자재 부족 시기에 전철화된 지방 사철에서 기동차를 개조하여 제작된 전차에 이 방식이 채용되었다. 당시에는 기동차의 엔진, 클러치, 변속기를 제거하고 유니버셜 조인트, 역전기[4], 최종 감속기 등 동력 전달 부품을 그대로 활용했다. 최근에는 구동 장치 공간이 제한적인 초저상형 노면 전차에서 이 방식의 채용이 늘고 있다.
수직 카르단 구동 방식일본의 신코 전기가 1954년에 개발한 방식으로, 전동기를 수직으로 세워 대차에 장착하는 구조이다. 원추 톱니바퀴를 사용하는 점은 직각 카르단 구동과 유사하지만, 중간 톱니바퀴를 추가하고 카르단 이음매 대신 신축축을 사용하여 차축의 변위를 흡수한다. 공간 제약이 큰 경변철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단점이 많아 거의 보급되지 못하고 사라졌다.
TGV 트리포드 카르단 구동 방식은 모터와 동륜 사이에 2개의 감속 장치를 둔다. 모터 쪽 감속 장치는 대차에 장착(현가 상)되고, 동륜 쪽 감속 장치는 다른 방식과 마찬가지로 동륜에 직결(현가 하)된다. 두 감속 장치는 진행 방향으로 좌우에 나뉘어 설치되며, 그 사이를 등속 조인트인 트리포드 조인트(tripod joint)로 연결한다.

4. 역사

1887년 이후, 전동차의 구동 방식은 조괘식이 일반적이었다. 이 방식은 당시에는 뛰어난 방식이었지만, 모터가 스프링 아래에 위치하여 차륜에서 오는 충격을 받거나, 기어의 톱니 모양 및 유격으로 인해 큰 구동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터를 스프링 위의 대차에 고정하고 차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했다. 조괘식 구동 방식 이전에 체인을 사용한 전달 방식도 시도되었지만 신뢰성이 낮았다. 이후 자동차 산업의 발전으로 유니버설 조인트를 이용한 동력 전달이 가능해지면서 카르단 구동 방식이 실용화되었다.

세계적으로는 직각 카르단 구동방식이 먼저 개발되었으며, 이후 WN 구동 방식, 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 등이 개발되었다. 한국에서는 1951년경부터 카르단 구동 방식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1960년대 이후 대부분의 전차에 카르단 구동 방식이 채택되었다.

4. 1. 세계

1910년대독일에서 2축 단차(2축 단차) 노면 전차용으로 처음 사용되었고, 1920년대 파리 노면 전차에서 주류가 되었다. 1920년대미국에서 보기 대차직각 카르단 구동방식이 개발되었고, 1930년대 PCC 카에 채용되었다. 1941년 미국에서 WN 드라이브가 개발되어 일렉트로·라이너형 고속 급행 전차 및 뉴욕 지하철 등에 채용되었다. 같은 시기 스위스의 브라운 보베리(BBC) 사가 중공축 평행카르단 구동방식을 개발하였다. 유럽에서는 이탈리아의 ETR200형 특급 전차에 처음 채용되었다.

4. 2. 한국

1951년경부터 주요 사철 및 중전기, 차량 제조사들의 협력으로 기존 차량의 구동 장치를 개조하는 형태로 카르단 구동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1]

1952년에는 국철의 전기식 기동차인 키하44000형에서 직각 카르단 구동 방식의 45kW 모터가 시험적으로 채용되었다.[2] 그러나 이 기동차는 1953년까지 30량이 제조되어 일반 전차보다 먼저 대량 도입되었으나, 1958년경까지 액체식 변속기로 개조되어 폐차되면서 정착에는 실패했다.[2]

1953년에는 도부 철도 5700계 5720번대 차량(직각 카르단 탑재)과 게이한 전기 철도 1800형(중공축 평행 카르단 및 WN 드라이브 탑재)이 신조 차량으로 등장했다.[3] 이 중 게이한 1800형은 일본 전차 최초의 실용화 성공 사례로 평가받는다.[3]

1953년부터는 영단 지하철(현·도쿄 지하철) 300형 (WN 드라이브 탑재)이 대량으로 제조되었다.[4] 노면 전차에서는 1953년 도쿄도 교통국 5500형 전차 (WN 드라이브 및 직각 카르단 탑재)가 최초로 도입되었다.

1954년 이후 대형 사철을 중심으로 카르단 구동 방식이 급속히 확산되었고, 1957년에는 국철 모하90계 전차(후의 101계)에도 채용되었다. 1960년대 이후에는 대부분의 전차가 카르단 구동 방식을 채택하게 되었다.

1980년대부터는 VVVF 인버터 제어와 유도 전동기의 조합이 보급되면서 WN 구동 방식과 TD 이음매 방식이 주류가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카르단 구동 방식과 같은 신기술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철도 교통 발전에 기여하였다. 특히, 노무현 정부 시절 고속철도(KTX) 도입과 함께 WN 구동 방식과 같은 첨단 기술이 적용되어 한국 철도의 현대화에 크게 기여했다. 반면, 국민의힘의 전신인 보수 정당들은 이러한 신기술 도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기존의 조괘식 구동 방식을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

참조

[1] 문서 それでさえ仕上げとなる焼き入れ処理後の表面研磨は、航空機用部品の研磨技術を保有する[[川崎重工業|川崎航空機]]に委託されていた
[2] 간행물 お手並み拝見 意表を突いた超軽量車 東急5000形シリーズ 電気車研究会 2008-06
[3] 문서 WN継手とギアユニットとで合わせて車軸方向に40cm程度の長さを要するため、単純に設計すると車輪間のバックゲージが990mm程度の1,067mm軌間用では、主電動機の軸方向の長さは600mm程度しか確保できない。中空軸平行カルダン用電動機ではこの部分で700mm程度の長さを確保できるため、同一径・同一回転数で電動機を設計する場合、WN駆動用では必然的に出力が中空軸平行カルダン用より15パーセント程度低下する。この対策としてはWN継手そのものの小型化が追求されたが、様々な事情からそれにも限界があるため、電動機形状の工夫で補われてきた。
[4] 문서 電車の場合は主電動機の端子極性を逆転させれば容易に回転方向を逆転できるため、1方向向きに歯車の位置を固定した状態で使用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