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왕립 연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나다 왕립 연대는 1883년 창설된 캐나다 정규군 보병 연대이다. 노스웨스트 반란, 남아프리카 전쟁, 두 차례의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 여러 분쟁에 참전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독일 주둔 및 유엔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했다. 냉전 이후에는 유고슬라비아, 보스니아, 코소보, 아프가니스탄, 아이티 등지에서 평화 유지 및 안정화 임무를 수행했다. 현재 3개의 정규군 대대와 1개의 예비군 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투 서훈 61개를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3년 설립된 단체 - 노동해방단
- 캐나다의 보병연대 -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연대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연대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현재 기계화 보병 및 경보병 임무를 수행하는 캐나다 육군 부대이다. - 캐나다의 보병연대 - 왕립 제22연대
왕립 제22연대는 1812년 전쟁부터 아프가니스탄 전쟁까지 다양한 전투에 참전하여 서훈을 받았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계 캐나다인 부대로 창설되어 현재 정규군과 예비군으로 6개 대대를 운영한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연대 -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연대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연대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현재 기계화 보병 및 경보병 임무를 수행하는 캐나다 육군 부대이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연대 - 왕립 제22연대
왕립 제22연대는 1812년 전쟁부터 아프가니스탄 전쟁까지 다양한 전투에 참전하여 서훈을 받았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계 캐나다인 부대로 창설되어 현재 정규군과 예비군으로 6개 대대를 운영한다.
캐나다 왕립 연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국가 | 캐나다 |
소속 | 캐나다 육군 |
종류 | 전열보병 |
역할 | 기계화 보병 (2개 대대) 경보병/공수부대 (1개 대대) 경보병/예비군 (1개 대대) |
규모 | 4개 대대 |
군단 | 캐나다 왕립 보병 군단 |
현재 지휘관 | 공석 |
주둔지 | RHQ – 페타와와 1대대 – 페타와와 2대대 – 게이지타운 3대대 – 페타와와 4대대 – 런던 |
총 사령관 | 공석 |
연대장 | MGen (ret’d) 데니스 W. 톰슨 |
후원자 | 주디스 어빙, 마이크 홈즈 |
별칭 | 공식적으로 "로열 캐나디안", 비공식적으로 "주니어 로열스" |
2대대 관악대 상징 | 단풍잎 |
관악대 상징 (타탄) | RCR |
약칭 | RCR |
행진곡 | 쾌속 행진곡 – "캐나다 왕립 연대" (일명 "세인트 캐서린스") 완속 행진곡 – "" |
마스코트 | 해당사항 없음 |
전투 | 페니언 습격 노스웨스트 반란 제2차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
주목할 만한 지휘관 | 윌리엄 딜런 오터 |
기념일 | 연대 창설일 – 12월 21일 파르데베르크 데이 – 2월 27일 파치노 데이 – 7월 10일 몽스 데이 – 11월 10일 고왕산 데이 – 10월 23일 |
훈장 | 총사령관 부대 표창 – 1대대: 아프가니스탄, 2006년 |
전투 훈장 | 참조 |
2. 역사
캐나다 왕립 연대는 1883년 12월 21일, '보병 학교 군단(Infantry School Corps)'이라는 이름으로 창설되었다.[3] 이는 캐나다 민병대를 훈련시키기 위한 정규 부대의 필요성에 따른 것이었다. 보병 학교 군단은 1885년 노스웨스트 반란에서 바토슈 전투와 컷 나이프 전투에 참전하며 첫 전투 명예를 얻었다.[3] 이후 연대는 골드러시 동안 유콘에서 노스웨스트 마운티드 경찰을 지원하기 위해 유콘 야전군(1898–1900)에 인력을 제공했다. 또한, 이 연대는 남아프리카 (보어) 전쟁(1899–1903)에 참전했다.[3]
연대는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다.
- 1883년 12월 21일, 보병 학교 군단으로 창설
- 1892년 5월 14일, 캐나다 보병 연대로 재지정
- 1893년 5월 24일, 캐나다 왕립 보병 연대로 재지정
- 1899년 4월 1일, 왕립 캐나다 보병 연대로 재지정
- 1901년 11월 1일, 왕립 캐나다 연대로 재지정
- 1958년 4월 25일, 런던 및 옥스퍼드 퓨질리어스(제3 대대, 왕립 캐나다 연대)와 통합되어 명칭 유지.
- 1970년, 제3 대대, 왕립 캐나다 연대(런던 및 옥스퍼드 퓨질리어스)가 제4 대대, 왕립 캐나다 연대(런던 및 옥스퍼드 퓨질리어스)로 재지정됨
- 1990년 5월 22일, 제4 대대, 왕립 캐나다 연대(런던 및 옥스퍼드 퓨질리어스)가 제4 대대, 왕립 캐나다 연대로 지정됨.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은 1914년 9월부터 1915년 8월까지 버뮤다 주둔 임무로 인해 지연되었다. 이후, 이 연대 구성원들은 캐나다 원정군(CEF)과 함께 해외 복무를 맹세하고, 1915년 10월 프랑스에 도착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도 참전하였다.[3]
냉전 시기에는 독일에 주둔하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임무를 수행했고, 유엔 평화 유지 활동에도 참여했다. 특히 키프로스에서 순환 근무를 수행했다.[14]
냉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사라예보 공항의 안전 확보 임무를 수행했으며,[1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코소보에서 평화 유지군으로 복무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아프가니스탄과 아이티에 파병되어 임무를 수행했다.[5]
2. 1. 창설 초기
캐나다 왕립 연대는 1883년 12월 21일 보병 학교 군단으로 창설되었으며, 캐나다 민병대를 훈련할 정규 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3] 1883년 프레데릭턴(뉴브런즈윅 주), 생장쉬르리슐리외(퀘벡 주), 토론토(온타리오 주)에 첫 중대들이 창설되었고, 이후 런던(온타리오 주)에 네 번째 중대가 창설되었다.보병 학교 군단은 1885년 노스웨스트 반란에 참전하여 바토슈 전투와 컷 나이프 전투에서 첫 전투 명예를 획득하였다.[3] 이후 골드러시 기간에는 유콘에서 노스웨스트 마운티드 경찰을 지원하기 위해 유콘 야전군(1898–1900)에 인력을 제공하기도 했다.
2. 2. 남아프리카 전쟁 (제2차 보어 전쟁)
1899년 남아프리카 전쟁(제2차 보어 전쟁) 발발에 따라 캐나다 첫 파병 부대인 '제2 (특별 근무) 대대'가 창설되었고, 윌리엄 딜론 오터 중령이 지휘를 맡았다.[7] 1900년 파아데베르그 드리프트 전투에서 캐나다군은 적진을 향해 야간 진격을 감행, 보어군 선에서 65야드 떨어진 고지대에 참호를 파고 공격을 개시했다. 1900년 2월 27일, 캐나다군과 영국군의 총구 앞에 보어족은 항복했고, 이는 영국 제국에 전쟁의 첫 번째 무조건적인 좋은 소식이었다.[3] 이 승리로 오렌지 자유국의 블룸폰테인으로 가는 길이 열렸으며, 연대는 북쪽으로 행군하여 프리토리아의 문에 가장 먼저 도착했다. 이 날은 연대에서 '파아데베르그 데이'로 기념되고 있다.[3]남아프리카 전쟁 기간 동안, 사병 리차드 롤랜드 톰슨[8]은 빅토리아 여왕이 손수 짠 스카프 중 하나인 여왕의 스카프를 받았다.[8] 앙드레 고티에(조각가)의 작은 조각상(1999)은 보어 전쟁 중 왕립 캐나다 연대의 파아데베르그 전투 100주년을 기념한다.
2. 3. 제1차 세계 대전
캐나다 왕립 연대는 1914년 대영 제국 해외 영토 버뮤다에 배치되어 버뮤다 주둔지 임무를 수행하다가,[10] 1915년 10월 프랑스에 도착하여 신설된 제3 캐나다 사단에 합류했다.[10][11] 제3 캐나다 사단에서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와 제42 및 제49 캐나다 보병 대대와 함께 제7 캐나다 보병 여단을 구성했다.[11]연대는 솜 전투,[3][11] 비미 능선 전투,[3] 파스샹달 전투[3][11]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3] 1918년에는 아미앵 전투와[3] 몽스 추격에도 참여하였다.[3]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대 구성원들이 받은 훈장 및 포상 중에는 밀턴 그레그 중위가 획득한 빅토리아 십자 훈장 (VC)이 있었다. 또한 캐나다 파견군의 제1 (웨스턴 온타리오) 대대 장교였던 프레데릭 윌리엄 캠벨 중위가 획득한 VC도 인정한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 왕립 연대는 1883년에 창설되었다. 1939년 9월 1일,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에 따라 캐나다 활동 지원 부대의 일환으로 동원되었으며, 제1 캐나다 보병 사단의 구성요소로서 1939년 12월 영국으로 이동하여 4년 가까이 훈련을 받았다.[3]1943년 7월 10일,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의 첫 파도에 참여하여 파치노에 상륙했다.[3] 이후 시칠리아 상륙 작전, 레조 상륙 작전 등 여러 상륙 작전에 참여했다. 특히, 1943년 12월 오르토나 전투와 1944년 몬테카시노 전투, 히틀러 선과 고딕 선 공격 등 이탈리아 전역 (제2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투에서 활약하였다.[3][12]
1945년 2월 골드플레이크 작전을 통해 북서부 유럽으로 이동하여 아펠도른 해방에 참여하는 등 서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활약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참전으로 28개의 전투 명예 훈장을 받았으며,[12] 1945년 캐나다로 귀환했다.[3]
참전한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3]
전투 |
---|
시칠리아 상륙 작전 |
발구아르네라 |
아지라 |
아드라노영어 |
레갈부토 |
시칠리아, 1943년영어 |
레조 상륙 작전 |
모타 몬테코르비노 |
캄포바소 |
토렐라 |
산 레오나르도 |
계곡 |
오르토나 |
카시노 2차 전투영어 |
구스타프 선 |
리리 계곡영어 |
히틀러 선 |
고딕 선영어 |
라모네 도하영어 |
미사노 능선 |
리미니 선영어 |
산 마르티노-산 로렌초 |
피시아텔로 |
포소 베키오 |
이탈리아, 1943년–1945년영어 |
아펠도른 |
북서유럽, 1945년영어 |
2. 5. 한국 전쟁
1950년, 한국 전쟁 발발에 따라 캐나다 왕립 연대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는 캐나다군에 기여하라는 요청을 받았다.[3] 새로운 현역 부대(특수 부대)가 창설되었고, 연대는 2개 대대, 이후 3개 대대 조직으로 확장되었다.[3] 제2대대가 한국에서 복무했으며, 제1대대와 제3대대가 뒤를 이었다.[3] 제2대대는 38선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차일리 지역에서 두드러졌다.[3] 1952년 10월, 제1대대는 고왕산 전투(고지 355 – 작은 지브롤터)에서 중공군과 교전했다.[3] 제1대대는 제3대대로 교체되었고, 제3대대는 1953년 휴전 전에 마지막 교전 중 하나를 벌인 고지 187의 제임스타운 선을 인수했다.[3] 한국 전쟁 종전 후, 연대는 1954년 7월 제3대대가 해산되면서 2개 대대로 축소되었다.[3]2. 6. 냉전 시기
1954년, 런던 앤 옥스퍼드 퓨질리어스(London and Oxford Fusiliers)와 통합되어 제3대대가 창설되었으며, 1958년에 제3대대, 캐나다 왕립 연대(런던 앤 옥스퍼드 퓨질리어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후 예비 대대의 명칭은 1989년에 제4대대로 축약되었다.[13] 1970년, 캐나다 근위대의 제2대대가 해산되면서, 해당 병력이 캐나다 왕립 연대로 흡수되어 제3대대가 재창설되었다.[3]1950년대와 1960년대 동안, 캐나다 왕립 연대의 대대는 독일 4 캐나다 기갑 여단의 일부로 포트 요크에 주둔했다. 이러한 배치는 1RCR(1955–57 및 1962–65)과 2RCR(1953–55 및 1965–70)에 의해 수행되었다. 제3대대는 나중에 독일로 배치되어 1977–84년과 1988–93년 바덴-쑈링겐에 주둔했다.
냉전 기간 동안, 캐나다 왕립 연대는 유엔 평화 유지에 대한 캐나다의 기여에 참여했다. 연대 대대의 경우, 이는 키프로스 섬에서 순환 근무를 의미했다. 이 임무(작전 스노우구스)의 6개월 순환 근무는 1966년에서 1992년 사이에 연대의 구성 요소에 의해 13번[14] 수행되었다.
1977년 제3대대는 독일 CFB 바덴-쑈링겐에 배치되었다. 1984년, 대대는 위니펙으로 순환 배치되었다. 1988년, 대대는 바덴으로 다시 순환 배치되었고, 기지가 1993년 폐쇄될 때까지 유지되었으며, 그 때 독일에서 해체된 후 온타리오주 CFB 보든에서 "10/90" 대대로 재편되었다. 1991년, 제3대대 M 중대 및 P 중대의 한 소대와 1RCR의 C 중대[15]는 페르시아 만에서 걸프 전쟁인 사막의 방패 작전과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전했다.
2. 7. 냉전 이후
1992년, 독일 바덴-쇠링겐의 제3 로열 캐나디안 연대 (제3대대) N 중대 병사들은 로열 22e 연대에 배속되어 유고슬라비아 전쟁 동안 사라예보 공항의 안전 확보 임무를 수행했다.[16] 이 작전은 루이스 매켄지 장군의 지휘 하에 진행되었으며, 캐나다 여왕 엘리자베스 2세는 캐나다 건국 125주년 기념 연설에서 이들의 헌신을 치하했다. 이후 캐나다 총독은 N 중대에게 총사령관 부대 표창을 수여했다.[16]1998년과 1999년에는 안정화 부대인 SFOR과 함께 보스니아에서 순찰 임무를 재개했다. 정규군 세 개 대대는 모두 시나이 반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평화 유지군으로 복무했으며, 제1대대는 1999년 12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코소보에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작전인 키네틱 작전에 참여했다. 2000년에는 제2대대가 버킹엄 궁전에서 여왕 근위병을 서는 기회를 가졌고, 같은 해 제2대대 H 중대 그룹은 동아프리카에 배치되었다.
2003년, 미국이 이라크에 대한 군사 행동을 준비하면서 제2 RCR은 임시 전투단을 구성하여 배치될 준비를 했으나, 정부는 아프가니스탄으로 복귀하기로 결정했다. I 중대 그룹은 2003년 5월 카불에 배치되어 기지 건설을 지원했고, 제3 대대 그룹이 국제안보지원군(ISAF) 작전을 맡은 후 8월에 캐나다로 복귀했다. 제3 대대는 2003년 8월부터 6개월 동안 아프가니스탄 카불에 배치되어 작전명 아테나의 일환으로 임무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전쟁 이후 최초로 캐나다 연대 규모의 반군 기습 작전을 수행하고, 적의 공격으로 인한 최초의 캐나다군 사상자를 냈다.[5]
2004년 3월, 같은 중대는 아이티의 포르토프랭스에 배치되어 보안 작전을 수행했고, 6월에 H 중대 그룹과 교대했다. H 중대는 고나이브로 재배치되어 9월까지 임무를 수행했다.
2006년 8월, 제1 대대는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어 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PPCLI) 제1 대대를 대체했다.[5] 2007년 2월에는 제2 대대가, 2008년 9월에는 제3 대대가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어 임무를 수행했다.[5] 2010년 4월에는 제1 대대가, 2012년 2월에는 제2 대대가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
2018년, 4개 대대에서 파견된 병력과 왕립 캐나다 포병대 밴드 소속 대원들이 버킹엄 궁전 등에서 여왕 호위병을 수행했다. 캐나다 왕립 연대는 2014년부터 캐나다군 합동 태스크 포스-우크라이나에 인력을 지원하고 있다.
3. 부대 구성
캐나다 왕립 연대는 3개의 정규군 대대로 구성되어 있다.[2]
대대 | 주둔지 | 여단 | 비고 |
---|---|---|---|
제1대대 | CFB 페타와와 (온타리오주) | 제2 캐나다 기계화 여단 | 기계화 보병 |
제2대대 | CFB 게이지타운 (뉴브런즈윅주) | 제2 캐나다 기계화 여단 | 기계화 보병 |
제3대대 | CFB 페타와와 (온타리오 주) | 제2 캐나다 기계화 여단 | 경보병 (공수부대 중대 포함) |
캐나다 군사 전문 저널에서는 연대의 제3대대를 개조하여 공수 보병 및 해병대 중대 그룹을 배치하여 북극 지역에서 캐나다의 주권 보호를 지원할 수 있는 특수 경보병 대대로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41]
== 예비군 ==
제4대대는 경보병으로, 온타리오주의 월슬리 병영 및 스트랫퍼드 주둔지에 주둔하고 있으며, 제31 캐나다 여단 소속이다.[2]
== 중대 편성 ==
캐나다 왕립 연대(The RCR) 대대의 중대는 연대 전체에 걸쳐 순차적으로 표기된다.[24]
정규군 대대에서 처음 네 개의 중대는 소총 중대이고, 나머지 두 중대는 전투 지원(무기) 중대와 행정 중대(전투 지원)이다.[24]
열병식 때 중대는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한다. 중대는 일반적으로 해당 지정 문자에 대한 NATO 음성 문자를 사용하여 지칭하며,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24]
- 제1RCR의 A 중대는 "에든버러 공작 중대"(Duke of Edinburgh's Company) 또는 구어체로 "공작 중대"(Duke's Company)로 지정되고 항상 그렇게 불린다.[24]
- 제1RCR의 C 중대는 "찰스"(Charles) 중대로 알려져 있다. 이 독특한 명칭은 한국 전쟁 당시 채택되었으며, 이 중대가 복장과 행동에 매우 높은 기준을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24]
- 제3RCR의 M 중대는 지휘관의 재량에 따라 "낙하산 중대"(Para Company)라고도 불린다.[24]
3. 1. 정규군
캐나다 왕립 연대는 3개의 정규군 대대로 구성되어 있다.[2]대대 | 주둔지 | 여단 | 비고 |
---|---|---|---|
제1대대 | CFB 페타와와 (온타리오주) | 제2 캐나다 기계화 여단 | 기계화 보병 |
제2대대 | CFB 게이지타운 (뉴브런즈윅주) | 제2 캐나다 기계화 여단 | 기계화 보병 |
제3대대 | CFB 페타와와 (온타리오 주) | 제2 캐나다 기계화 여단 | 경보병 (공수부대 중대 포함) |
캐나다 군사 전문 저널에서는 연대의 제3대대를 개조하여 공수 보병 및 해병대 중대 그룹을 배치하여 북극 지역에서 캐나다의 주권 보호를 지원할 수 있는 특수 경보병 대대로 만들 수 있다고 제안했다.[41]
3. 2. 예비군
제4대대는 경보병으로, 온타리오주의 월슬리 병영 및 스트랫퍼드 주둔지에 주둔하고 있으며, 제31 캐나다 여단 소속이다.[2]3. 3. 중대 편성
캐나다 왕립 연대(The RCR) 대대의 중대는 연대 전체에 걸쳐 순차적으로 표기된다.[24]정규군 대대에서 처음 네 개의 중대는 소총 중대이고, 나머지 두 중대는 전투 지원(무기) 중대와 행정 중대(전투 지원)이다.[24]
열병식 때 중대는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한다. 중대는 일반적으로 해당 지정 문자에 대한 NATO 음성 문자를 사용하여 지칭하며,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24]
4. 계통
캐나다 왕립 연대는 다음과 같은 부대들의 역사를 계승하고 있다.
- 제1차 세계 대전:
- * 캐나다 원정군(CEF)
- ** 제1 캐나다 보병 대대, CEF[4]
- ** 제33 캐나다 보병 대대, CEF[3]
- ** 제71 캐나다 보병 대대, CEF[3]
- ** 제142 캐나다 보병 대대, CEF[3]
- ** 제168 캐나다 보병 대대, CEF[3]
- ** 제2 기계화 부대, 캐나다 기관총 군단/Canadian Machine Gun Corps영어, CEF (제4, 5, 6, 14 캐나다 기계화 중대)[3]
- * 캐나다 민병대
- ** 런던 앤 옥스포드 퓨질리어스 (London and Oxford Fusiliers, 제3대대, 캐나다 왕립 연대):[3]
캐나다 퓨질리어스 (Canadian Fusiliers, 런던 시 연대): 1866년 제7 보병 대대, "아서 왕자 친위대"로 시작.[3]
옥스퍼드 라이플 (Oxford Rifles): 1863년 "제22 대대 자원 민병대 소총병, 캐나다"로 시작.[3]
4. 1. 1812년 전쟁
캐나다 왕립 연대는 1812년 전쟁 당시 로열 런던 의용군(Royal London Volunteers), 제1 미들섹스 민병대 연대(1812-15), 제1 옥스퍼드 민병대 연대(1812-15)를 계승한다.[3]4. 2. 제1차 세계 대전
캐나다 왕립 연대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캐나다 원정군(CEF)의 여러 부대를 계승한다.[39] 1914년 제1 , , 제71 "해외" , 이 현역 복무를 개시했다.[4] 1915년에는 제168 "해외" , 과 제142 "해외" , 이 추가로 현역 복무를 시작했다.[4]제1 보병대대 (온타리오 연대), CEF는 1914년에 현역 복무를 시작했다.[4] 제33 보병대대, CEF, 제71 보병대대, CEF, 제142 보병대대 (런던의 부대), CEF, 제168 보병대대 (옥스포드), CEF 역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3] 1918년, 제2 , , 이 현역 복무를 시작했다. 제2 기계화 부대, CMGC는 1919년 6월 1일 온타리오주 런던에서 제2 기계화 포병 여단, CMGC로 창설되었으며, 1924년 9월 15일 제2 기계화 포병 대대, CMGC로 재지정되었다.[3] 제2 기계화 부대, 캐나다 기계화 군단, CEF는 제4, 5, 6, 14 캐나다 기계화 중대로 구성되었다.[3]
4. 3. 기타
런던 앤 옥스퍼드 퓨질리어스(London and Oxford Fusiliers)는 1954년 10월 1일에 옥스포드 라이플 연대(Oxford Rifles)와 캐나다 퓨질리어스(Canadian Fusiliers, 런던 시 연대)가 통합되어 런던 앤드 옥스포드 퓨질리어스(제3대대, 캐나다 왕립 연대)로 개칭되었다.[3] 이들은 1958년 4월 25일에 캐나다 왕립 연대와 통합되어 제3대대, 캐나다 왕립 연대(런던 앤드 옥스포드 퓨질리어스)가 되었다.[3]캐나다 퓨질리어 연대(런던 시 연대)는 1866년 온타리오 주 런던에서 제7 보병대대 "아서 왕자 친위대"로 창설되었다.[3] 1936년 12월 15일, 제2 기계화 부대대, CMGC 본부 및 A 중대와 통합되어 캐나다 퓨질리어 연대(런던 시 연대)(기계화 부대)로 개칭되었다.[3]
옥스퍼드 소총 연대는 1863년 8월 14일 온타리오주 우드스톡에서 캐나다 제22 의용 민병 소총대대 또는 옥스퍼드 소총대로 창설되었다.[3] 1954년 10월 1일, 캐나다 퓨질리어스(런던 시 연대) (기관총)와 합병하여 런던 및 옥스퍼드 퓨질리어스(제3대대, 왕립 캐나다 연대)가 되었다.[3]
캐나다 왕립 연대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캐나다 민병대와 캐나다 원정군(CEF)의 여러 부대를 계승한다.[39] 여기에는 제1 캐나다 보병 대대, CEF, 제33 캐나다 보병 대대, CEF, 제71 캐나다 보병 대대, CEF, 제142 캐나다 보병 대대, CEF, 제168 캐나다 보병 대대, CEF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제2 기계화 부대, 캐나다 기계화 군단, CEF는 제4, 5, 6, 14 캐나다 기계화 중대로 구성되었다.
1812년 전쟁에서 캐나다 왕립 연대는 제1 미들섹스 민병대 연대(1812-15)와 제1 옥스퍼드 민병대 연대(1812-15)를 계승한다.
5. 전투 서훈
캐나다 왕립 연대는 수많은 전투에서 용맹을 떨친 공로를 인정받아 총 61개의 전투 서훈을 수여받았다.[3] 대문자로 표시된 전투 서훈은 대규모 작전 및 캠페인 참가를 위해 수여되었으며, 소문자로 표시된 서훈은 보다 구체적인 전투에 대해 수여되었다. 굵은 글씨체로 표시된 전투 서훈은 연대 기에 수놓아져 있다.[3]
- '''디트로이트'''
- '''나이아가라'''
- ''캐나다 방어 - 1812-1815 - Défense du Canada프랑스어''[3]
- '''서스캐처원'''
- '''1885년 노스웨스트 캐나다'''[3]
- '''파아데베르그'''
- '''남아프리카, 1899–1900'''[3]
- '''이프르, 1915, 1917'''
- 페스튀베르, 1915
- '''마운트 소렐'''
- '''솜, 1916'''
- '''앙크르 고지'''
- '''아라스, 1917, 18'''
- '''비미, 1917'''
- '''힐 70'''
- '''파스샹달'''
- '''아미앵, 1918'''
- '''힌덴부르크 선'''
- '''몽스 추격'''
- 프랑스와 플랑드르, 1915–18[3]
- '''시칠리아 상륙 작전'''
- '''모타 몬테코르비노'''
- 캄포바소
- '''산 레오나르도'''
- 계곡
- '''오르토나'''
- 리리 계곡
- '''히틀러 선'''
- '''고딕 선'''
- '''라모네 도하'''
- 미사노 능선
- '''리미니 선'''
- 북서유럽, 1945년[3]
- '''1951년~1953년 한국'''[3]
- 아프가니스탄[5]
5. 1. 주요 전투 서훈 (일부)
캐나다 왕립 연대는 총 61개의 전투 서훈을 수여받았다. 대문자로 표시된 전투 서훈은 대규모 작전 및 캠페인 참가를 위해 수여되었으며, 소문자로 표시된 서훈은 보다 구체적인 전투에 대해 수여되었다. 굵은 글씨체로 표시된 전투 서훈은 연대 기에 수놓아져 있다.[3]- '''디트로이트'''
- '''나이아가라'''
- ''캐나다 방어 - 1812-1815 - Défense du Canada프랑스어''[3]
- '''서스캐처원'''
- '''1885년 노스웨스트 캐나다'''[3]
- '''파아데베르그'''
- '''남아프리카, 1899–1900'''[3]
- '''이프르, 1915, 1917'''
- 페스튀베르, 1915
- '''마운트 소렐'''
- '''솜, 1916'''
- '''앙크르 고지'''
- '''아라스, 1917, 18'''
- '''비미, 1917'''
- '''힐 70'''
- '''파스샹달'''
- '''아미앵, 1918'''
- '''힌덴부르크 선'''
- '''몽스 추격'''
- 프랑스와 플랑드르, 1915–18[3]
- '''시칠리아 상륙 작전'''
- '''모타 몬테코르비노'''
- 캄포바소
- '''산 레오나르도'''
- 계곡
- '''오르토나'''
- 리리 계곡
- '''히틀러 선'''
- '''고딕 선'''
- '''라모네 도하'''
- 미사노 능선
- '''리미니 선'''
- 북서유럽, 1945년[3]
- '''1951년~1953년 한국'''[3]
- 아프가니스탄[5]
6. 연대 관련 정보
연대의 모토는 "Pro Patria" (나의 조국을 위해)이다.[40] 별은 19세기의 관례적인 보병 배지 모양이며, 조지 5세 국왕은 연대가 창설되었고 대전에서 연대가 수행한 공로를 기리기 위해 연대에 빅토리아 여왕의 암호(VRI)를 영구적으로 착용할 권한을 부여했다.[40]
연대의 전투 서훈은 연대 깃발에 수놓아져 있다.
연대 박물관은 온타리오 주 런던의 월슬리 병영에 위치하고 있다.
6. 1. 명예 직책
에든버러 공작 필립 공은 1953년 12월 8일 RCR의 명예 연대장으로 임명되어 2021년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20] 필립 공의 전임자는 1929년부터 1942년까지 재임한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이었다.연대장은 연대 업무 수행에서 최고의 지위를 가지며, 연대 평의회의 선임 멤버이자 캐나다 왕립 연대 협회 이사회 및 RCR 신탁 기금의 고문이다.[20] 2018년 8월 4일에는 전 캐나다 총독 데이비드 존스턴이 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
제4대대의 명예 중령은 연대 전체에 대한 연대 대령과 마찬가지로 제4대대 고문이자 멘토 역할을 수행한다. 명예 중령은 RCR 상원의 일원이며, RCR 협회 이사회 및 RCR 신탁 기금의 고문 역할을 한다.[20] 현재 제4대대의 명예 중령은 온타리오주 일더턴 출신의 브루스 W. 번햄 대령이다.
2012년 6월 5일, 주디스 어빙이 연대의 첫 번째 후원자로 공식 임명되었고,[21] 2013년 12월에는 마이크 홈스가 연대의 후원자로 공식 임명되었다.[22]
6. 2. 연대 군악대
캐나다 왕립 연대(The Royal Canadian Regiment)의 군악대는 여러 형태로 존재해 왔다. 최초의 군악대는 1894년 크넬러 홀 음악 대학 졸업생인 찰스 헤이즈 하사가 입대하면서 창설되었다.[25] 1901년까지 음악가들은 연대 군악대로 통합되었다.[26]연대는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군악대를 운영했으며, 1990년대까지 드럼 & 뷰글 군악대를 유지했다.[27] 1970년 정규 육군 검토 결과, 캐나다 근위대와 캐나다의 블랙 워치(로열 하이랜드 연대)의 정규 대대가 해산되면서, 이들의 파이프 앤 드럼스는 제2대대 로열 캐나다 연대에 배속되었다.[28] 현재 제2대대는 캐나다 정규군에서 유일하게 파이프 앤 드럼스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글렌게리나 페더 보닛에 독특한 모자 배지를 착용한다.[30]
과거에는 전문적인 금관 및 목관 악기로 구성된 RCR 밴드(RCR Band)도 존재했다. 이 밴드는 1947년 울즐리 병영에서 창설되어 1968년 CFB 게이타운으로 이동했다.[33] 1967년 캐나다 건국 10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열린 캐나다 군대 타투를 비롯하여, 1980년 프레데릭턴에서 열린 실버 브룸 컬링 선수권 대회, 1984년 뉴브런즈윅 방문 행사, 1985년 네덜란드 해방 40주년 기념 행사 등 다양한 행사에서 연주했다.[33] 밴드의 활동은 1935년의 ''캐나다 왕립 연대 상설 명령''(Standing Orders of The Royal Canadian Regiment)의 지침을 받았다.[34]
참조
[1]
웹사이트
The Royal Canadian Regiment > Past Events
https://thercrmuseum[...]
2022-11-23
[2]
웹사이트
2 RCR
https://web.archive.[...]
2022-11-23
[3]
간행물
Canadian Forces Publication A-DH-267-003 Insignia and Lineages of the Canadian Forces. Volume 3: Combat Arms Regiments.
[4]
웹사이트
The Royal Canadian Regiment
https://www.canada.c[...]
2023-04-28
[5]
웹사이트
South-West Asia Theatre Honours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of Canada
2014-05-11
[6]
웹사이트
First World War Veterans of Guysborough County: The 25th Battalion - Nova Scotia Rifles
http://guysboroughgr[...]
2012-12-19
[7]
웹사이트
Canada & The South African War, 1899–1902 – 2nd (Special Service) Battalion, Royal Canadian Regiment of Infantry
http://www.warmuseum[...]
Canadian War Museum
2009-07-13
[8]
웹사이트
The Queen's Scarf
http://thercr.ca/hon[...]
[9]
뉴스
The Royal tour
The Times
1901-10-21
[10]
서적
The Naval Service of Canada: its Official History, Volume I: Origins and Early Years
Published by the King's Printer, Ottawa under the authority of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Government of Canada)
1952
[11]
문서
Canadian Army General Order 110 of 1929
[12]
문서
Canadian Army Orders, Issue No. 597, 26 May 1958
[13]
웹사이트
4RCR History
https://web.archive.[...]
2006-08-10
[14]
웹사이트
The Royal Canadian Regiment – Operations Since 1945
http://thercr.ca/his[...]
2022-11-23
[15]
웹사이트
"Charles" Company
http://thercr.ca/cus[...]
[16]
웹사이트
DH&R – Canadian Honours Chart
http://www.cmp-cpm.f[...]
2022-11-23
[17]
웹사이트
Welcome to The Royal Canadian Regiment
https://www.theroyal[...]
2022-11-23
[18]
웹사이트
Freedom of the City
https://web.archive.[...]
2022-11-23
[19]
웹사이트
Canada Post stamp
https://archive.toda[...]
2018-11-10
[20]
웹사이트
Regimental Publications – Regimental Standing Orders
http://thercr.ca/rcr[...]
2022-11-23
[21]
웹사이트
Welcome to The Royal Canadian Regiment
https://www.theroyal[...]
2022-11-23
[22]
웹사이트
MIKE HOLMES NAMED PATRON OF THE ROYAL CANADIAN REGIMENT
https://web.archive.[...]
2015-07-16
[23]
웹사이트
Welcome to The Royal Canadian Regiment
https://www.theroyal[...]
2022-11-23
[24]
웹사이트
Welcome to The Royal Canadian Regiment
https://www.theroyal[...]
2022-11-23
[25]
문서
The Royal Canadian Regiment; 1883–1933, by Fetherstonagh
[26]
웹사이트
The Royal Canadian Regiment – Establishments 1899 and 1901
https://web.archive.[...]
2022-11-23
[27]
웹사이트
Canadian Military Drum Bugle Corps
http://www.dcxmuseum[...]
[28]
웹사이트
2RCR Pipes and Drums
https://web.archive.[...]
2022-11-23
[29]
문서
Pipers of the Canadian Regular Army 1950–2000, by Pipe Major Hugh MacPherson CD, BA (Privately Published)
[30]
웹사이트
The Regiment of Canadian Guards
https://pipesforfree[...]
2024-05-13
[31]
웹사이트
Badges of The Royal Canadian Regiment - Pipers' Badges
http://www.regimenta[...]
2022-11-23
[32]
웹사이트
Pipers & Pipe Bands
http://kilby.sac.on.[...]
[33]
웹사이트
Armed Forces Bands in Canada
https://www.thecanad[...]
2023-03-30
[34]
웹사이트
Standing Orders of the Royal Canadian Regiment (1935) - the Band
http://regimentalrog[...]
[35]
웹사이트
Hall of Honour
https://kenner.kprds[...]
2022-11-23
[36]
웹사이트
Hurrah for our boys in khaki
http://amicus.collec[...]
2012-01-09
[37]
웹사이트
The Regimental March of the Royal Canadian Regiment
http://amicus.collec[...]
2012-01-09
[38]
웹사이트
March, The Royal Canadian Regiment
http://amicus.collec[...]
2012-01-09
[39]
웹사이트
The Royal Canadian Regiment - Perpetuated Units
https://web.archive.[...]
2022-11-23
[40]
웹사이트
Confirmation of the blazon of a Badge
https://www.gg.ca/en[...]
Official website of the Governor General
2022-02-05
[41]
간행물
3rd Special Service Force: A Paratroop/Marine Infantry Arctic Contingency Force For Canada?
https://www.army.g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