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드로이틴 황화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갈락토사민의 반복 구조를 갖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일종으로, 황산기의 위치와 수에 따라 A, C, D, E, K형 등으로 분류된다. 연골, 피부, 뇌 등 다양한 조직에서 프로테오글리칸 형태로 존재하며, 연골의 쿠션 작용, 콜라겐 섬유 형성 조절, 신경 섬유 재생 억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골관절염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으로 사용되지만,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국가별로 규제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리코사미노글리칸 - 헤파린
헤파린은 1916년 개의 간에서 발견된 항응고제로, 혈전 생성 예방과 성장을 억제하며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심장수술 등에 사용되지만,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과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었고, 최근에는 다양한 질병 치료 연구와 저분자량 헤파린 등의 유도체가 개발되고 있다. - 글리코사미노글리칸 -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은 글루쿠론산과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반복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진 세포 외 기질의 주요 성분으로, 관절 윤활, 피부 수분 유지, 조직 복구 등 다양한 생체 역할 수행하며, 의학 및 미용 분야에 활용된다. - 식이 보충제 - 글루타민
글루타민은 인체 내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으로 단백질 합성, 에너지 생산, 질소 대사 등 생화학적 과정에 필수적이며 암세포 성장과 관련이 있고, 주로 근육에서 생성되며 의약품 및 건강 보조제로 사용되지만 일부 암 환자에게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 식이 보충제 - 단백질 보충제
단백질 보충제는 근력 훈련과 함께 섭취 시 근육량 증가 및 근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과체중인 사람의 체중 및 지방 감소, 노인의 단백질 섭취 요구량 충족에도 기여할 수 있다.
| 콘드로이틴 황화염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콘드로이틴 황산 |
| 다른 이름 |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Chondroitin sulfate コンドロイチン硫酸 |
| 분자식 | (C12H19NO11S)n |
| CAS 등록 번호 | 9007-28-7 |
| 화학적 특성 | |
| 분자량 | 400~800 kDa (평균) |
| 밀도 | 1.634 g/cm3 |
| 의학적 정보 | |
| 효능 | 골관절염 증상 완화 관절 건강 증진 피부 보습 |
| 복용 방법 | 경구 투여, 국소 도포 |
| 부작용 | 드물게 위장 장애, 알레르기 반응 |
| 생물학적 정보 | |
| 기능 | 세포외기질 구성 성분, 연골 보호, 염증 억제 |
| 분포 | 연골, 뼈, 피부, 혈관 등 |
| 관련 정보 | |
| 관련 질병 | 골관절염, 관절염 |
| 관련 성분 | 글루코사민, 히알루론산 |
| 주의 사항 | |
| 임산부 및 수유부 | 전문가와 상담 후 복용 |
| 항응고제 복용자 | 출혈 위험 증가 가능성 |
2. 화학적 구조 및 성질
콘드로이틴 황산은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의 일종으로, 글루쿠론산(GlcA)과 N-아세틸갈락토사민(GalNAc)이 반복되는 이당류 구조를 가진다. 이 두 단당류는 번갈아 연결되어 가지가 없는 긴 사슬을 형성한다.[20] 콘드로이틴 황산은 물에 매우 잘 녹는다.[23]
콘드로이틴 황산은 황(S) 결합 당류 물질로, 황산기가 결합하는 위치에 따라 A, C, D, E, K 형으로 나뉜다. 초기 연구자들은 황산화 위치에 따라 콘드로이틴 황산을 문자로 구분하였다.
콘드로이틴 황산 사슬은 특정 단백질의 세린 잔기에 붙어있다.[22]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 사슬의 부착은 자일로스(Xyl) – 갈락토스(Gal) – Gal – GlcA의 고정된 패턴으로 4개의 단당류로 시작된다.[22] 자일로스는 소포체에서 단백질에 부착되기 시작하고, 나머지 당은 골지체에서 부착된다.[22] 단백질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부착에 어떻게 선택되는지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글리코실화된 세린은 종종 글리신이 뒤따르며 인접한 산성 잔기를 갖지만, 항상 글리코실화를 예측하는 것은 아니다.
콘드로이틴 황산은 "황산염"이라는 명칭과 달리 황산 음이온을 가진 염이 아니다. 황산은 당에 공유 결합되어 있으며, 생리적 pH에서 여러 개의 음전하를 띠기 때문에 콘드로이틴 황산의 염에는 양이온이 존재한다. 상업적 콘드로이틴 황산 제제는 일반적으로 나트륨염이다.
2. 1. 황산화 패턴
Chondroitin sulfate영어 사슬은 가변 길이의 가지가 없는 다당류로, D-글루쿠론산 (GlcA)과 ''N''-아세틸-D-갈락토사민 (GalNAc)의 두 가지 단당류가 번갈아 나타난다. 황산기는 주로 GalNAc의 4번 또는 6번 탄소에 결합하며, 이에 따라 콘드로이틴 4-황산(A형), 콘드로이틴 6-황산(C형) 등으로 분류된다.[42] 글루쿠론산의 2번 탄소와 GalNAc의 6번 탄소에 모두 황산기가 결합된 콘드로이틴 황산 D형,[42] GalNAc의 4번과 6번 탄소에 모두 황산기가 결합된 콘드로이틴 황산 E형도 존재한다.[42]| 문자 식별 | 황산화 부위 | 체계적인 명칭 |
|---|---|---|
| 콘드로이틴 황산염 A | N-아세틸갈락토사민(GalNAc) 당의 탄소 4 | 콘드로이틴-4-황산염 |
| 콘드로이틴 황산염 C | GalNAc 당의 탄소 6 | 콘드로이틴-6-황산염 |
| 콘드로이틴 황산염 D | 글루쿠론산의 탄소 2와 GalNAc 당의 탄소 6 | 콘드로이틴-2,6-황산염 |
| 콘드로이틴 황산염 E | GalNAc 당의 탄소 4와 6 | 콘드로이틴-4,6-황산염 |
생체 내에서 발견되는 긴 콘드로이틴 황산 사슬에서 모든 이당 단위가 동일한 구조(예: 콘드로이틴 6-황산 구조)를 가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2. 2. 에피머화
D-글루쿠론산 (GlcA) 잔기 중 일부는 에피머화되어 L-아이두론산 (IdoA)으로 바뀔 수 있다.[20] 이때 생성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은 데르마탄 황산염으로 지칭되며, 이전에는 콘드로이틴 황산 B라고 불렸다.[20] 데르마탄 황산(dermatan sulfate, 콘드로이틴 황산 B)은 콘드로이틴 황산의 GlcA가 에피머화되어 아이두론산이 된 것이다.[42]
2. 3. 사슬 길이 및 다양성
콘드로이틴 황산염 사슬은 D-글루쿠론산 (GlcA)과 ''N''-아세틸-D-갈락토사민 (GalNAc)의 두 가지 단당류가 번갈아 나타나는 가변 길이의 가지가 없는 다당류이다.[20][21] GlcA 잔기 중 일부는 에피머화되어 L-아이두론산 (IdoA)으로 바뀔 수 있으며, 이때 생성된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은 데르마탄 황산염으로 불린다.콘드로이틴 황산염은 천연물에서 추출되며, 사슬 길이와 황산화 패턴에서 높은 다양성을 보인다. 이러한 다양성은 육상 및 해양 기원의 콘드로이틴 황산염을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육상 동물 유래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비황산화(O) 및 단일 황산화(A 및 C) 단위로 구성되는 반면, 해양 종에서는 이중 황산화(D, E 및 B) 단위의 비율이 더 높다. 또한, 해양 콘드로이틴 황산염 사슬은 더 긴 경향이 있어 상어의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분자량이 최대 70kDa인 반면, 육상 동물에서는 분자량이 일반적으로 45kDa 미만이다.[20][21]
"GlcA-GalNAc" 2당 단위 내에서 황산기의 부가나 에피머화 (GlcA에서 아이두론산)로 구조의 현저한 다양성이 있다. 콘드로이틴 황산 사슬에는 하나의 사슬에서 모든 2당 단위가 동일한 구조를 가진 경우는 거의 없다.
황산기의 위치는 GalNAc의 4위에 황산이 붙은 '''콘드로이틴 4-황산''' (콘드로이틴 황산 A), '''콘드로이틴 6-황산''' (콘드로이틴 황산 C)이 주요하다. GalNAc 4위의 황산화가 관찰되는 데르마탄 황산 (콘드로이틴 황산 B)은 콘드로이틴 황산의 GlcA가 에피머화되어 아이두론산이 된것이다. 콘드로이틴 황산 중에는 4위, 6위 모두가 황산화된 '''콘드로이틴 황산 E'''나, 글루쿠론산 또는 아이두론산의 히드록실기가 황산화된 과황산화된 구조도 종종 관찰된다. 이러한 구조의 변화나 존재비는 프로테오글리칸의 종류, 동물 종, 조직, 발생 단계, 질병에 따라 달라진다.
| 콘드로이틴 황산 | 반복 이당 구조 | 유래 |
|---|---|---|
| A | 글루쿠론산 - 아세틸갈락토사민 4-황산 | 연골 |
| B | 아이두론산 2-황산 - 아세틸갈락토사민 4-황산 | 데르마탄 황산, 피부 |
| C | 글루쿠론산 - 아세틸갈락토사민 6-황산 | 연골 |
| D | 글루쿠론산 2-황산 - 아세틸갈락토사민 6-황산 | 데르마탄 황산 |
| E | 글루쿠론산 - 아세틸갈락토사민 4,6-이황산 | 오징어 |
2. 4. 코어 단백질 결합
콘드로이틴 황산 사슬은 특정 단백질의 세린 잔기에 연결된다.[22] 단백질이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부착에 어떻게 선택되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글리코실화된 세린은 종종 글리신이 뒤따르며 인접한 산성 잔기를 갖지만, 이러한 모티프가 항상 글리코실화를 예측하는 것은 아니다.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 사슬의 부착은 자일로스(Xyl) – 갈락토스(Gal) – Gal – GlcA의 고정된 패턴으로 4개의 단당류로 시작된다.[22] 각 당은 특정 효소에 의해 부착되어 GAG 합성에 대한 여러 수준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자일로스는 소포체에서 단백질에 부착되기 시작하는 반면, 나머지 당은 골지체에서 부착된다.[22]
3. 생체 내 기능
콘드로이틴 황산은 대부분 프로테오글리칸 형태로 세포 외 기질과 세포 표면에 존재하며, 세포 부착, 이동, 분화, 증식 등 세포 형질을 제어한다고 여겨진다. 연골에서는 아그리칸, 히알루론산, 링크 단백질과 함께 초고분자 복합체를 형성하여 쿠션 작용을 한다. 피부에서는 데코린이 콜라겐 섬유에 결합하여 세포 외 기질 형성을 조절한다. 뇌에서는 신경 섬유 재생을 저해하고, perineuronal net의 주요 성분으로서 뇌 기능 가소성에 관여한다. 비만 세포나 자연 살해 세포의 세포 내 과립에도 존재한다.[1]
3. 1. 연골
콘드로이틴 황산은 연골에서 주로 아그레칸이라는 프로테오글리칸 형태로 존재한다. 아그레칸은 히알루론산, 링크 단백질과 함께 거대한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복합체는 연골 특유의 II형 콜라겐과 함께 연골의 세포 외 기질을 구성하여, 연골이 압력을 견디고 탄력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4]3. 2. 피부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피부에 많이 존재하며, 세포 외 기질 형성을 조절하는 데코린과 결합하여 콜라겐 섬유 형성에 영향을 준다.[1] 또한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프로테오글리칸으로서 세포 외 기질 형성에 관여하고, 세포 부착, 이동, 분화, 증식 등 세포 형질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1]3. 3. 뇌
뇌에서는 신경 섬유 재생을 억제하는 인자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신경 세포 주위를 둘러싸는 구조인 perineuronal net의 주요 성분으로서 뇌 기능의 가소성에 관여한다고 여겨진다.3. 4. 기타 조직
비만 세포나 자연 살해 세포의 세포 내 과립에 존재하는 콘드로이틴 황산은 다소 특수한 기능을 한다.[1]4. 의학적 이용 및 연구 동향
콘드로이틴 황산은 골관절염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4][5][6]
의료용 의약품으로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은 주사액(요통, 관절통, 견관절 주위염(오십견) 등 치료) 및 점안액(각막 표층 보호)으로 사용된다. 일반 의약품으로는 경구약(관절통, 신경통) 및 점안약(각막 표층 보호)으로 사용된다.
관상 동맥 질환 치료에도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1973년 연구에서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그룹에서 치명적 심장 마비가 감소했다는 결과가 나왔다.[7]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당뇨병 관리 및 장염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8][9][10]
4. 1. 골관절염 치료
콘드로이틴은 골관절염 치료에 식이 보충제로 사용되는 대체의학의 일종이다. 유럽 등 일부 국가에서는 골관절염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SYSADOA)로 승인 및 규제되며, 일반적으로 글루코사민과 함께 판매된다.[4][5] 2015년 코크란의 임상 시험 검토에서는 대부분의 시험 질이 낮았지만, 단기적 통증 개선에 대한 일부 증거와 적은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영향을 받은 관절의 건강 개선이나 유지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5]일반적으로 글루코사민과 함께 사용되는 콘드로이틴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 치료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증거가 있다.[6]
2007년 Reichenbach 등은 20건의 임상 시험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대규모의 방법론적으로 타당한 임상 시험에 따르면 콘드로이틴의 증상 완화 효과는 미미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상적인 임상 진료에서 콘드로이틴의 사용은 권장하지 않아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반면, 같은 해 Bruyere 등은 "글루코사민 황산염과 콘드로이틴 황산염이 골관절염의 진행을 방해할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고 주장했다.
2015년 현재, 가장 큰 임상 시험은 2006년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에 게재된 미국 국립 보건원 후원의 GAIT(글루코사민 및 콘드로이틴 관절염 중재 시험)이다. 1,583명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 맹검, 무작위, 다기관 임상 시험에서 글루코사민 염산염, 콘드로이틴 황산염,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 병용, 세레콕시브, 위약 5가지 경구 투여 치료법을 24주간 비교했으나 위약과 차이가 없었다.[5][31]
2010년 Sawitzke A 등은 GAIT 임상 시험의 연장선에서 2년간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 황산염 단독 또는 병용 투여, 세레콕시브, 위약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했다. 662명의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24개월간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연구를 진행한 결과, 2년 동안 어떤 치료법도(세레콕시브 포함) 위약과 비교하여 임상적으로 중요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작용은 치료군 간에 유사했으며 심각한 부작용은 드물었다.[5][32]
골관절염에 대한 건강 식품을 메타분석한 결과, 콘드로이틴은 효과 크기 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그 효과는 임상적으로는 미미했다.
의료용 의약품으로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은 주사액(요통, 관절통, 견관절 주위염(오십견) 등 치료) 및 점안액(각막 표층 보호)으로 사용된다. 일반 의약품으로는 경구약(관절통, 신경통) 및 점안약(각막 표층 보호)으로 사용된다.
4. 2. 기타 질환 연구
콘드로이틴은 관상 동맥 질환 치료에 유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73년에 발표된 6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6년간의 이중 맹검 위약 대조 연구에서 콘드로이틴 황산염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치명적인 심장 마비가 350% 감소했다. 비치명적 심혈관 사건에서는 대조군에서 16%의 비치명적 심장 마비가 발생한 반면, 콘드로이틴 황산염 치료 그룹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7]2021년 연구에 따르면 고위험 심혈관 질환 하위 그룹에서 콘드로이틴 황산염을 현재 복용하는 환자에게서 급성 심근 경색 위험이 현저하게 (약 4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3]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당뇨병 관리를 위한 식이 보충제로 사용된다.[8] 이는 항염증 특성을 나타내어 장염 치료를 위한 코르티솔의 잠재적인 대안이 된다.[9][10]
4. 3. 안전성 및 부작용
임상 연구에서 콘드로이틴 황산염의 유의미한 부작용이나 과다 복용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는 장기적인 안전성을 시사한다.[11] 2003년 유럽 류마티즘 연맹(EULAR)의 실무 위원회는 콘드로이틴 황산염의 독성 수준을 0~100점 척도에서 6점으로 평가했다.[12]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시토크롬 P450에 의해 대사되지 않는다.[13]5. 법적 규제 및 제조
콘드로이틴 황산은 국가별로 규제 방식이 다르다. 22개 국가에서는 처방약 또는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되지만, 미국에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건강보조식품으로 규제된다.[35] 유럽에서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제제가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을 통해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의약품으로 승인되었다.[36] 2000년에 Adebowale 등이 분석한 32개의 콘드로이틴 보충제 중 5개만이 올바르게 라벨링되었으며, 절반 이상이 라벨에 표시된 양의 40% 미만을 함유하고 있었다.[37]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FDA가 식품의 구성 성분으로 인식하고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하므로, 식품 첨가물에 대한 FDA 규정은 없다.[38] FDA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건강보조식품을 관절 퇴행 예방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제안을 검토했으나, 관련 연구가 관절 악화 예방 효과를 뒷받침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결론짓고 보충제 라벨링 허가를 거부했다. 또한, FDA는 인간 대상 임상 시험이 수행되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동물 실험만으로는 건강보조식품 승인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했다.[38]
5.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콘드로이틴 황산나트륨은 전문의약품 및 일반의약품으로 사용된다. 전문의약품으로는 주사액(요통증, 관절통, 견관절 주위염(오십견) 등의 치료) 및 점안액(각막 표층의 보호)이 있다.[1] 일반의약품으로는 경구약(관절통, 신경통) 및 점안약(각막 표층의 보호)이 있다.[1]골관절염에 대한 건강 식품을 메타분석한 결과, 콘드로이틴은 효과 크기 0.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그 효과는 임상적으로는 미미했다.[1]
5. 2. 미국
미국에서 콘드로이틴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건강보조식품으로 규제된다.[35] 2004년, 콘드로이틴 황산염의 식이 보충제가 골관절염 등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라벨을 부착하도록 FDA에 청원했으나, FDA는 회사가 실시한 실험이 해당 주장의 효과를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다며 요청을 거부했다.[38]2008년 우수 제조 관리 기준(GMP) 규정이 건강보조식품에 도입됨에 따라, 미국에서 콘드로이틴 황산염 제제는 식별, 순도, 강도 및 구성에 대한 시험 요구 사항뿐만 아니라 필수 라벨링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미국 약전(USP)은 콘드로이틴의 식별 및 정량화를 위한 시험 기준을 잘 확립해두었다.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FDA가 식품의 구성 성분으로 인식하고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하므로, 식품 첨가물에 대한 FDA 규정은 없다.[38] 그러나 FDA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건강보조식품을 관절 퇴행 예방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제안에 대해 면밀히 검토했으며, FDA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건강보조식품 형태에 대한 연구가 관절 악화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결론짓고, 해당 보충제에 대한 라벨링 허가를 거부했다. 또한, FDA는 인간 대상 임상 시험이 수행되지 않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동물 실험만으로는 건강보조식품 승인에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해당 제품의 안전성을 마케팅하려는 요청도 거부했다.[38]
5. 3. 유럽
유럽에서는 콘드로이틴 황산염 제제가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을 통해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되어 의약품으로 승인되었다.[36]5. 4. 제조
콘드로이틴 황산염은 주로 소와 돼지의 연골 조직(소의 기관과 돼지 귀, 코) 추출물로 만들어지지만, 상어, 어류, 조류 연골과 같은 다른 공급원도 사용된다.[27] 콘드로이틴은 균일한 물질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자연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 보충제의 정확한 조성은 다를 수 있다.[27]참조
[1]
논문
Chapter One – Emerging Roles for Hyaluronidase in Cancer Metastasis and Therapy
Academic Press
2014-01-01
[2]
서적
Chapter 13 – Matrix Chemistry Controlling Stem Cell Behavior
Academic Press
2017-01-01
[3]
논문
Effect of the counterion behavior on the frictional–compressive properties of chondroitin sulfate solutions
[4]
서적
4.40 – Analytical Methods – Functional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Academic Press
2011-01-01
[5]
논문
Chondroitin for osteoarthritis.
2015-01-28
[6]
간행물
Five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www.choosingw[...]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13-02
[7]
논문
Coronary heart disease: reduction of death rate by chondroitin sulfate A
1973-05
[8]
논문
Chondroitin Sulfate Alleviates Diabetic Osteoporosis and Repairs Bone Microstructure via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Regulating Bone Metabolism
[9]
웹사이트
Chondroitin Sulfate
https://www.stanford[...]
2024-07-26
[10]
논문
Effect of Oral Chondroitin Sulfate Supplementation on Acute Brain Injury in a Murine Necrotizing Enterocolitis Model
2024
[11]
논문
Risk assessment for glucosamine and chondroitin sulfate
[12]
논문
an evidence based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knee osteoarthritis: Report of a Task Force of the Standing Committee for International Clinical Studies Including Therapeutic Trials (ESCISIT)
[13]
논문
The influence of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n the bioavailability of an endogenous macromolecule: chondroitin sulfate (CSA)
[14]
논문
Biochemical basis of the effect of chondroitin sulphate on osteoarthritis articular tissues
2008-06
[15]
논문
Metabolic fate of partially depolymerized chondroitin sulfate administered to the rat
[16]
논문
Metabolic fate of exogenous chondroitin sulfate in man
[17]
논문
Biochemical and pharmacokinetic aspects of oral treatment with chondroitin sulfate
[18]
논문
Metabolic fate of exogenous chondroitin sulfate in the experimental animal"
[19]
논문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hondroitin sulfate"
[20]
논문
Glycosaminoglycans from marine sources as therapeutic agents Authors
2017
[21]
논문
Marine chondroitin sulfate of defined molecular weight by enzymatic depolymerization
[22]
논문
Biosynthesis of chondroitin/dermatan sulfate
[23]
서적
Chapter 4 – Natural Polymers: Polysaccharides and Their Derivativ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Elsevier
2014-01-01
[24]
논문
On Chondroitin Sulphuric Acid
[25]
문서
Chondroitin+sulfates
[26]
논문
Chondroitin, a new mucopolysaccharide
[27]
논문
Chondroitin product selection for the glucosamine/chondroitin arthritis intervention trial
[28]
웹사이트
FDA Media Briefing on Heparin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03-19
[29]
논문
Oversulfated chondroitin sulfate is a contaminant in heparin associated with adverse clinical events
2008-06
[30]
논문
Contaminated heparin associated with adverse clinical events and activation of the contact system
2008-06-05
[31]
논문
Glucosamine, chondroitin sulfate, and the two in combination for painful knee osteoarthritis
http://www.escholars[...]
[32]
논문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glucosamine, chondroitin sulphate, their combination, celecoxib or placebo taken to treat osteoarthritis of the knee: 2-year results from GAIT
2010-06-04
[33]
논문
Risk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ong new users of chondroitin sulfate: A nested case-control study
2021-07-12
[34]
논문
Chondroitin product selection for the glucosamine/chondroitin arthritis intervention trial.
2006
[35]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NIH Glucosamine/Chondroitin Arthritis Intervention Trial Primary Study
http://nccih.nih.gov[...]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Medicine
2006-01-02
[36]
간행물
On the bioavailability of oral chondroitin sulfate formulations: proposed criteria for bioequivalence studies
[37]
논문
Analysis of glucosamine and chondroitin sulfate content in marketed products and the Caco-2 permeability of chondroitin sulfate raw materials
http://www.americanu[...]
[38]
웹사이트
Letter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of Glucosamine and/or Chondroitin Sulfate and a Reduced Risk of: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related Joint Pain, Joint Tenderness, and Joint Swelling; Joint Degeneration; and Cartilage Deterioration(Docket No. 2004P-0059). Addressed to John W. Emford, Esq. William K. Hubbard. Oct. 7, 2004.
https://www.fda.gov/[...]
2004-10-07
[39]
논문
Glucosamine and chondroitin use in canines for osteoarthritis: A review
2017
[40]
논문
Osteoarthritis in the cat: 2. how should it be managed and treated?
2012-01
[41]
논문
Medical treatment of osteoarthritis in the horse – a review
2006-01
[42]
서적
コールドスプリングハーバー糖鎖生物学
丸善
2003-09
[43]
논문
Dietary supplements for treating osteoarthr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