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서트 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서트 밴드는 관악기와 타악기로 구성된 대규모 앙상블로, 프랑스 혁명 시기 애국적인 행사에서 유래했다. 19세기에는 주로 군악대 형태로 존재했으며, 20세기 초 구스타프 홀스트, 랄프 본 윌리엄스 등 작곡가들이 콘서트 밴드를 위한 작품을 쓰기 시작하면서 발전했다. 현대에는 군악대, 전문 밴드, 지역 밴드, 학교 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악기 편성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20세기 초중반 로버트 러셀 베넷, 애런 코플랜드 등 많은 작곡가들이 콘서트 밴드를 위한 문학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밴드 연구 단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콘서트 밴드
개요
종류악기 앙상블
악기 구성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특징다양한 음색과 표현력
목적연주회, 교육, 행사 등
관련 용어관악 합주, 윈드 앙상블
역사
기원군악대
발전19세기 후반, 미국 대학 중심으로 발전
현대다양한 레퍼토리와 연주 기법 개발
악기 구성
목관악기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색소폰
금관악기트럼펫
호른
트롬본
튜바
유포니움
타악기팀파니
스네어 드럼
베이스 드럼
심벌즈
그 외 다양한 타악기
레퍼토리
종류오리지널 관악곡
편곡곡 (오케스트라, 영화 음악 등)
행진곡
팝 음악
재즈
작곡가구스타프 홀스트
랠프 본 윌리엄스
퍼시 그레인저
알프레드 리드
데이비드 마스랑카
연주 형태
규모소규모 앙상블부터 대규모 합주단까지 다양
장소콘서트홀, 학교 강당, 야외 무대 등
특징다양한 연주 기회와 교육적 효과
교육적 가치
음악 교육협동심 함양
책임감 향상
음악적 이해 증진
사회성 발달공동체 의식 함양
리더십 개발
의사소통 능력 향상
참고 자료
관련 링크Dawkes Music - Concert Band 가이드
Your Classical - Concert Band 101
Your Classical - Concert Band 악기 구성

2. 역사

콘서트 밴드는 프랑스 혁명 시기에 기원을 두고 있다. 당시 애국적인 축제와 기념 행사를 위해 대규모 밴드가 자주 모였으며, 이들은 대중의 관심을 끄는 음악을 연주했다. 그러나 악기 편성의 문제와 당시 관악기의 조율 및 음높이, 리듬 전환의 어려움 때문에 작곡가들은 밴드를 위한 음악 작곡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4] 콘서트 밴드는 악기 종류와 수에 있어 표준화되지 않아 작곡에 어려움이 있었다.

19세기 동안 초기 영국 대중음악과 미국 음악 전통에서 관악기와 타악기로 구성된 대규모 앙상블은 주로 군악대 형태로 의식 및 축제 행사에서 행진곡을 연주했다. 교향악단과 비교될 만한 콘서트 환경에서 관악 밴드가 사용된 경우는 오케스트라나 오페라 곡을 편곡하여 연주했을 때뿐이었고, 대규모 관악 앙상블을 위한 독창적인 콘서트 작품은 비교적 적었다.

20세기 초, 작곡가들은 콘서트 밴드를 위한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 이들은 밴드를 위한 양질의 음악이 부족하다는 것에 좌절감을 느껴 이를 해결하고자 작품을 쓰고 연주했다. 구스타프 홀스트의 군악을 위한 제1 모음곡(1909년)은 콘서트 밴드를 위한 최초의 중요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시대의 다른 작곡가로는 랄프 본 윌리엄스, 리하르트 바그너, 애런 코플랜드 등이 있다.[5]

2. 1. 기원

콘서트 밴드의 기원은 프랑스 혁명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 시기에는 애국적인 축제와 기념 행사를 위해 대규모 밴드가 자주 모였다. 이 밴드들은 대중의 관심을 즉각적으로 사로잡는 대중적인 음악을 연주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악기 편성 문제로 진지한 작곡가들이 밴드를 위한 음악을 작곡하는 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콘서트 밴드는 (그리고 현재도) 필요한 악기의 종류와 수에 있어 표준화되지 않아, 올바른 종류의 악기를 위해 정확한 수의 파트를 쓰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악기의 질 또한 작곡가들이 콘서트 밴드를 위한 음악을 작곡하는 것을 꺼리게 만드는 요인이었다. 당시의 관악기들은 조율하기가 어려웠고, 음높이와 리듬을 충분히 빠르게 전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4] 이는 결국 밴드가 오케스트라 악장과 편곡을 전조한 곡에 머무르게 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현대까지 이어졌다.

2. 2. 19세기

19세기 동안, 초기 영국 대중음악과 미국 음악 전통에서 관악기와 타악기로 구성된 대규모 앙상블은 주로 의식 및 축제 행사를 위한 군악대 형태로 존재했으며, 연주되는 작품은 대부분 행진곡이었다. 교향악단과 비교할 만한 콘서트 환경에서 관악 밴드가 사용된 유일한 경우는 오케스트라 또는 오페라 곡의 편곡이 이루어져 연주되었을 때였는데, 대규모 관악 앙상블을 위한 독창적인 콘서트 작품이 비교적 적었기 때문이다.

2. 3. 20세기

20세기 초, 작곡가들이 콘서트 밴드를 위한 작품을 쓰기 시작했다. 이 시대의 콘서트 밴드 작곡가들은 밴드를 위한 양질의 음악이 부족하다는 것에 좌절감을 느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품을 쓰고 연주하기 시작했다. 콘서트 밴드를 위한 최초의 중요 작품 중 하나는 1909년에 작곡된 구스타프 홀스트의 군악을 위한 제1 모음곡이다. 이 시대의 다른 작곡가로는 랄프 본 윌리엄스, 리하르트 바그너, 애런 코플랜드 등이 있다.[5]

3. 현대의 밴드

심포닉 밴드가 80~100명 이상의 대규모 편성인 반면, 콘서트 밴드는 60명 정도의 편성으로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다.[43] 클라리넷이나 플루트 등의 파트를 담당하는 연주자가 심포닉 밴드에 비해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43] 또한, 콘서트 밴드는 마칭 밴드와 달리 무대 연주를 주로 하는 악단을 의미하기도 한다.[43]

현대에 이르러 콘서트 밴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 '''군악대''': 군대에 소속되어 군사적 목적을 위해 음악을 연주하는 단체이다. 오스만 군악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군악대로 알려져 있다.[7] 현대에는 의례적인 역할, 군인 및 지역 사회를 위한 연주를 하며, 드럼 앤 버글 군단과 콘서트 밴드 개념 확산에 기여했다.
  • '''전문 밴드''': 댈러스 윈드 심포니, 도쿄 코세이 윈드 오케스트라, 오사카 시온 윈드 오케스트라, 로열 하와이안 밴드 등이 대표적인 전문 콘서트 밴드이다.
  • '''지역 밴드''': 특정 지역의 아마추어 음악가들로 구성된 밴드로, 지역 정부의 후원을 받거나 자립적으로 운영된다. 미국 남북 전쟁 이후 군악대원들이 지역 밴드를 결성하면서 "밴드의 황금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 '''학교 밴드''': 학생들로 구성된 밴드로,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등으로 구성된다. 학교에 따라 수준별로 밴드를 운영하기도 한다.

3. 1. 군악대

군악대는 군사적 기능을 위해 음악적 임무를 수행하는 단체로, 일반적으로 군대를 위해 존재한다. 전형적인 군악대는 대부분 관악기와 타악기로 구성된다. 밴드의 지휘자는 일반적으로 반장 또는 음악 감독이라는 직함을 갖는다. 오스만 군악대는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군악대 종류로 여겨진다.[7]

군악대—미국 육군 군악대


군악대는 원래 전장에서 병력을 통제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드럼, 나팔, 피리 등의 악기를 사용했다. 전쟁 중 통신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신호 장치로서의 악기 사용은 점차 사라졌다. 그 이후 군악대는 의례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군인들을 즐겁게 하고 지역 사회를 위한 연주를 했다. 역할이 바뀌면서 악기 편성도 바뀌었다. 오케스트라 작품을 편곡하여 연주하기 위해 더 넓은 범위의 악기들이 사용되었으며, 초기 관악대 레퍼토리의 대부분을 차지했다.[8] 이러한 군악대는 현대의 드럼 앤 버글 군단으로 발전했으며, 콘서트 밴드의 개념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현대 군대는 종종 여러 유형의 밴드를 보유하고 있다(예: 미국 해병대는 드럼 앤 버글 군단과 관악 앙상블을 모두 가지고 있다).

3. 2. 전문 밴드

전 세계적으로 전문 콘서트 밴드가 활동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댈러스 윈드 심포니 : 지휘자는 제리 젱킨이다.
  • 도쿄 코세이 윈드 오케스트라 : 수년 동안 프레데릭 페넬이 지휘했으며, 현재는 오오이 타케시가 지휘한다.
  • 오사카 시온 윈드 오케스트라
  • 로열 하와이안 밴드 : 1836년 카메하메하 3세 국왕의 왕령으로 창설되었다.


이러한 콘서트 밴드에 들어가기 위한 경쟁은 매우 치열하며, 입단 경쟁률은 매우 낮다.

3. 3. 지역 밴드

지역 밴드는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아마추어 음악가들로 구성된 콘서트 밴드 또는 브라스 밴드 앙상블이다. 이들은 지역(시) 정부의 후원을 받거나 자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정기적인 연습과 공연을 한다. 일부 밴드는 마칭 밴드로 활동하며 퍼레이드와 같은 야외 행사에도 참여한다. 자원 봉사 단체임에도 불구하고, 지역 밴드는 예술 감독(지휘자)이나 운영 직원을 고용하기도 한다.

지역 밴드의 등장은 산업화로 인해 악기 제조가 쉬워지고, 악기 보급이 확대되면서 가능해졌다.[9] 많은 아마추어들이 시립 밴드를 결성하게 되었고, 이들의 연주곡은 주로 애국가, 행진곡, 대중 음악 등으로 구성되었다. 미국 남북 전쟁은 미국 지역 밴드의 전환점이 되었는데, 전쟁 후 많은 군악대원들이 지역 밴드를 만들고자 했다.[10] 존 필립 수자패트릭 길모어와 같은 지휘자들이 이끌던 이 시기는 "밴드의 황금기"로 불린다.[11][12] 20세기에는 라디오축음기 등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인먼트가 등장하면서 지역 밴드가 쇠퇴하였다.[13] 그러나 학교 음악 프로그램이 확장되면서 졸업생들이 다시 밴드 활동을 하며 지역 밴드에 대한 관심이 회복되었다.

세계 각국에는 다양한 지역 밴드가 존재한다. 다음은 주목할 만한 지역 밴드들이다.

국가밴드명활동 지역지휘자 또는 음악 감독
미국아메리칸 밴드(The American Band)로드아일랜드 주 프로비던스브라이언 카다니
미국앨런타운 밴드(Allentown Band)펜실베이니아 주 앨런타운로널드 뎀키
미국브루클린 윈드 심포니(Brooklyn Wind Symphony)뉴욕 주 브루클린제프 W. 볼
미국레즈비언 & 게이 빅 애플 코어(Lesbian & Gay Big Apple Corps)뉴욕 주 뉴욕켈리 왓킨스
미국노스쇼어 콘서트 밴드(Northshore Concert Band)일리노이 주 에반스턴말로리 톰슨
미국솔트레이크 심포닉 윈즈(Salt Lake Symphonic Winds)유타 주 솔트레이크 시티토마스 P. 로러
미국트라이배터리 팝스(The TriBattery Pops Tom Goodkind Conductor)뉴욕 주 뉴욕톰 굿카인드
미국이스트 윈즈 심포닉 밴드(East Winds Symphonic Band)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수잔 샌즈
영국버밍엄 심포닉 윈즈(Birmingham Symphonic Winds)키스 앨런
영국뉴어크 앤 셔우드 콘서트 밴드(Newark and Sherwood Concert Band)노팅엄셔 주 뉴어크콜럼 J 오셔
영국노스 체셔 윈드 오케스트라(North Cheshire Wind Orchestra)체셔 주 워링턴캐서린 택클리
영국노팅엄 콘서트 밴드(Nottingham Concert Band)로버트 파커
영국영국 국립 청소년 윈드 오케스트라(National Youth Wind Orchestra of Great Britain)다양한 지휘자
캐나다퍼시픽 심포닉 윈드 앙상블(Pacific Symphonic Wind Ensemble)밴쿠버데이비드 브랜터
호주노스 웨스트 윈드 앙상블(North West Wind Ensemble)시드니제임스 브라이스
호주시드니 윈드 심포니(Sydney Wind Symphony)마크 브라운
호주퀸즐랜드 윈드 오케스트라(Queensland Wind Orchestra)데이비드 로
노르웨이드라게피엘레츠 무지크코르프스(Dragefjellets Musikkorps) (베르겐 심포닉 밴드)
노르웨이산드비켄스 유고므스코르프스(Sandvikens Ungdomskorps)베르겐토르모드 플라텐, 비외른 브레이스틴
포르투갈유니앙 필라르모니카 도 트로비스칼(União Filarmónica do Troviscal)트로비스칼—아베이루앙드레 그란조
핀란드티쿠릴란 소이토콘타(Tikkurilan Soittokunta)반타킴모 누르미



심포닉 밴드가 80~100명 이상의 대규모 편성인 반면, 콘서트 밴드는 60명 정도의 편성으로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다.[43] 클라리넷이나 플루트 등의 파트를 담당하는 연주자가 심포닉 밴드에 비해 적은 것이 일반적이다.[43] 또한, 콘서트 밴드는 마칭 밴드와 달리 무대 연주를 주로 하는 악단을 의미하기도 한다.[43]

3. 4. 학교 밴드

학교 밴드는 함께 악기 음악을 연습하고 연주하는 학생 음악가 그룹이다. 학교 밴드는 일반적으로 한 명 이상의 지휘자(밴드 디렉터)의 지휘를 받는다.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로 구성되지만, 상위 레벨 밴드에는 더블 베이스 또는 베이스 기타가 포함될 수도 있다.[14]

고등학교 콘서트 밴드 - 2013년 공연 중인 BHS 밴드


많은 미국의 전통적인 고등학교에는 기술 수준이나 기타 요인에 따라 구분되는 여러 밴드 레벨이 있다. 이러한 학교에서는 더 높은 밴드 레벨로 진급하기 위해 오디션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레벨은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미국의 고등학교에서 "콘서트 밴드"는 초급 밴드를, "심포닉 밴드"는 중급 밴드를, "윈드 앙상블"은 고급 밴드를 지칭한다.

심포닉 밴드가 80명에서 100명을 넘는 대규모 편성의 악단인 것에 비해, 콘서트 밴드는 이에 비해 규모가 작아 60명 정도의 편성인 경우가 많다.[43] 이 경우, 심포닉 밴드에 비해 클라리넷이나 플루트 등의 파트를 담당하는 연주자가 적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43] 또한, 행진을 목적으로 하는 마칭 밴드에 대해, 단순히 "무대 연주를 주로 하는 악단"의 의미로도 사용된다.[43]

4. 악기 편성

콘서트 밴드의 악기 편성은 완전히 표준화되어 있지는 않지만, 작곡가들은 종종 파트를 추가하거나 생략하기도 한다. 괄호 안에 있는 악기나 파트는 덜 일반적이지만 여전히 자주 사용된다. 일부 밴드에는 이러한 악기가 없는 경우가 있어, 해당 악기들을 위한 중요한 라인은 종종 다른 파트로 큐잉된다.

악기 편성은 앙상블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중학교 및 고등학교 밴드는 종종 더 제한적인 악기 편성과 더 적은 파트를 가진다. (예: 이중 리드 없음 또는 4개 대신 2개의 호른 파트만 있음). 이는 미숙한 연주자의 난이도를 제한하고 학교에서 덜 일반적인 악기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표준 콘서트 밴드는 사용 가능한 인원과 지휘자의 선호도에 따라 각 파트에 여러 명의 연주자가 있다. 콘서트 밴드는 이론적으로 35개의 파트로 구성된 세트에서 최대 200명의 멤버를 가질 수 있다. 반면에 윈드 앙상블은 거의 이중 연주를 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클라리넷 또는 플루트는 특히 ''divisi'' 악절을 처리하기 위해 이중으로 연주될 수 있으며, 다른 악기는 특정 작곡의 요구 사항에 따라 파트당 한 명의 연주자가 있다. 또한 윈드 앙상블에서 두 대의 튜바와 두 대의 유포니움 또는 바리톤이 같은 파트를 연주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콘서트 밴드 곡에서는 복잡한 타악기 파트가 흔하며, 종종 많은 타악기 연주자가 필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이를 오케스트라(일반적으로 대규모 타악기 세트가 없음)와 콘서트 밴드의 주요 차이점이라고 생각한다.

현대 클래식 작곡은 종종 연주자에게 특이한 악기나 효과를 사용하도록 요구한다. 예를 들어, 여러 곡에서 사이렌의 사용을 요구하는 반면, 다른 곡에서는 연주자에게 리코더, whirly tube를 사용하거나 노래, 콧노래, 손가락 튕기기, 박수 또는 심지어 구겨진 종이(종이를 구기는 소리)를 내도록 요구한다. 윈드 밴드의 다양한 악기 편성과 많은 수의 연주자는 매우 유연한 앙상블을 만들며, 다양한 음향 효과를 낼 수 있다.

악기 편성은 행진 밴드가 연주해야 하는 조건에 더 효율적으로 되도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했다. 예를 들어, 클라리넷은 이전의 오보에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밝혀져 18세기에 더 널리 사용되었다. 더 무겁고 부피가 큰 악기는 트롬본코넷으로 대체되었다. 19세기에는 밴드 악기가 특정 음역 및 음표를 더 쉽게 탐색하고 연주할 수 있도록 키와 밸브를 추가하기 시작하면서 고도로 발전하여 모든 음악가에게 큰 변혁을 가져왔다.[4]

심포닉 밴드가 80명에서 100명을 넘는 대규모 편성의 악단인 것에 비해, 콘서트 밴드는 이에 비해 규모가 작아 60명 정도의 편성인 경우가 많다.[43]。 이 경우, 심포닉 밴드에 비해 클라리넷이나 플루트 등의 파트를 담당하는 연주자가 적어진다.[43]。 또한, 행진을 목적으로 하는 마칭 밴드에 대해, 단순히 "무대 연주를 주로 하는 악단"의 의미로도 사용된다.[43]

4. 1. 목관 악기

악기파트비고
피콜로1 ( , 2)
플루트1, 2 ( , 3)
알토 플루트[19]
베이스 플루트[20]
오보에1, 2
잉글리시 호른[21]
바순1, 2
콘트라바순[22]
E♭ 소프라니노 클라리넷
B♭ 소프라노 클라리넷1, 2, 3 (, 4, 5)[23]
알토 클라리넷
베이스 클라리넷1 (, 2)
콘트라알토 클라리넷/콘트라베이스 클라리넷둘 중 하나, 둘 다는 드문 경우[24]
소프라노 색소폰[25]
알토 색소폰1, 2[26]
테너 색소폰
바리톤 색소폰
베이스 색소폰


4. 2. 금관 악기


  • 트럼펫 또는 코넷 (B♭) 1, 2, 3 (4, 5, 6)[27]
  • (''피콜로 트럼펫''[28])
  • (''플루겔호른 (B♭) 1'', 2)
  • (''E♭ 알토/테너 호른 1, 2'' (3, 4)[29])
  • F 호른 1, 2, 3, 4
  • 테너 트롬본 1, 2 (3)[30]
  • 베이스 트롬본
  • (''콘트라베이스 트롬본'')
  • (''알토 트롬본'')[31]
  • 유포니움[32] 또는 바리톤[33] 1 (2)
  • 튜바

4. 3. 건반 악기

4. 4. 타악기

콘서트 밴드의 타악기는 크게 무율 타악기와 유율 타악기로 나뉜다.[34]

무율 타악기유율 타악기



과거에는 팀파니가 별도의 섹션으로 취급되었지만, 오늘날에는 타악기 섹션의 일부로 간주된다.[34] 따라서 팀파니 연주자는 종종 다른 타악기를 함께 연주하기도 한다.

4. 5. 현악기

콘서트 밴드에서는 더블 베이스, 하프(1, 2), 첼로,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와 같은 현악기가 편곡에 따라 포함될 수 있다.[36] 존 필립 수자와 Edwin Franko Goldman의 전문 밴드와 군악대에 하프가 포함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다.[16] 수자 밴드와 함께 투어한 최초의 여성 연주자 중 한 명인 Winifred Bambrick와 미 해군 밴드에서 연주한 Victor Salvi와 같은 최고 하피스트들이 이러한 밴드에 포함되었다.[17] 미 공군 밴드는 첼로 악보를 사용하는데, 이는 감독 George S. Howard 재임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앙상블에 고유한 관행이다.[18]

5. 레퍼토리

20세기 초까지 관악 밴드를 위해 특별히 작곡된 음악은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오케스트라 작품을 편곡하거나 다른 출처에서 편곡한 방대한 레퍼토리가 생겨났다. 그러나 관악 밴드가 군악대만의 영역에서 벗어나 콘서트홀로 진출하면서 작곡가들의 호감을 얻게 되었다. 현재는 콘서트 밴드와 윈드 앙상블을 위해 특별히 작곡된 많은 작품들이 나오고 있다. 오늘날 밴드만을 위해 작곡하는 작곡가들도 있지만, 다른 장르에서 명성을 얻은 많은 작곡가들도 관악 밴드를 위한 작곡에 재능을 쏟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전일본 밴드 협회의 위촉과 도쿄 코세이 윈드 오케스트라, 오사카 시립 심포닉 밴드과 같은 주요 전문 앙상블의 위촉, 그리고 카파 카파 사이와 타우 베타 시그마의 위촉 프로그램(미국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관악 밴드 위촉 시리즈) 덕분에 관악 밴드 작곡을 위한 엄청난 시장이 존재한다.

5. 1. 레퍼토리의 발전

20세기 초까지 관악 밴드를 위해 특별히 작곡된 음악은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오케스트라 작품을 편곡하거나 다른 출처에서 편곡한 방대한 레퍼토리가 생겨났다. 그러나 관악 밴드가 군악대만의 영역에서 벗어나 콘서트홀로 진출하면서 작곡가들의 호감을 얻게 되었다. 현재는 콘서트 밴드와 윈드 앙상블을 위해 특별히 작곡된 많은 작품들이 나오고 있다. 오늘날 밴드만을 위해 작곡하는 작곡가들도 있지만, 다른 장르에서 명성을 얻은 많은 작곡가들도 관악 밴드를 위한 작곡에 재능을 쏟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관악 밴드 작곡을 위한 엄청난 시장이 존재하는데, 이는 주로 전일본 밴드 협회의 위촉과 도쿄 코세이 윈드 오케스트라 및 오사카 시립 심포닉 밴드과 같은 주요 전문 앙상블의 위촉, 그리고 카파 카파 사이와 타우 베타 시그마 위촉 프로그램(미국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관악 밴드 위촉 시리즈) 덕분이다.

5. 2. 주요 작곡가

20세기 초중반 콘서트 밴드를 위해 특별히 작곡된 문헌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주요 작곡가들은 다음과 같다.

20세기 초중반



지난 50년 동안 많은 작곡가들이 관악 합주단을 위해 주요 작품을 썼으며, 그들 중 일부는 콘서트 밴드 발전에 기여하여 명성을 얻었다.

20세기 후반 ~ 현재


6. 밴드 연구 및 관련 단체

미국 밴드마스터 협회와 관련된 ''Journal of Band Research''를 통해 1964년 관악대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37]

21세기 초, IGEB(1974년 설립),[38] 세계 심포닉 밴드 및 앙상블 협회(WASBE, 1983년 설립),[39] 역사적 금관악기 협회(1988년 설립),[40] 전미 밴드 협회(NBA, 1960년 설립),[41] 대학 밴드 디렉터 전국 협회(CBDNA, 1941년 설립)[42] 등 여러 단체에서 밴드 연구를 장려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주목할 만한 관악대 연구자로는 뱅상 뒤부아(프랑스 밴드), 폴 니미스토(핀란드 밴드), 프레데릭 해리스(관악대 지휘자), 질 M. 설리번(미국 여성 밴드), 프랭크 바티스티(미국 밴드), 데이비드 허버트(일본 및 폴리네시아 밴드), 패트릭 M. 존스(미국 군악대), 데이비드 휘트웰(유럽 밴드 및 레퍼토리) 등이 있다.

주목할 만한 밴드 관련 단체는 다음과 같다.


  • 미국 밴드 마스터 협회
  • 영국 심포닉 밴드 및 윈드 앙상블 협회
  • 전일본 밴드 협회
  • 콘서트 밴드 협회
  • 레즈비언 및 게이 밴드 협회
  • 호주 전국 밴드 위원회

참조

[1] 웹사이트 Ultimate Guide: What is a Concert Band? https://www.dawkes.c[...] 2019-01-23
[2] 웹사이트 Concert Band 101: An introduction to wind ensembles https://www.yourclas[...] 2019-09-03
[3] 웹사이트 No strings attached: get to know the instruments in a concert band https://www.yourclas[...] 2019-08-26
[4] 서적 A Parent's Guide to Band OpenStax CNX null
[5] 웹사이트 Learning to Listen: Back to School https://www.yourclas[...] 2013-09-09
[6] 뉴스 Frederick Fennell, 90, Innovative Band Conductor, Dies https://www.nytimes.[...] 2004-12-09
[7] 웹사이트 Military (mehter) http://www.turkishcu[...] null
[8] 웹사이트 History of Bands in World War 1 Part 1 https://www.tapsbugl[...] 2019-08-01
[9] 학술지 Research on Community Bands: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www.jstor.or[...] 2016
[10] 논문 The American Community Band: History and Development https://mds.marshall[...] Marshall College 2003
[11] 웹사이트 Band concert to feature the 'Golden Age of Bands' http://www.statecoll[...] State College, Pennsylvania null
[12]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Wind Band: The Nineteenth-Century American Wind Band https://ww2.lipscomb[...] null
[13] 웹사이트 School bands in the United States https://music.allpur[...] 2019-09-02
[14] 서적 Band Orchestration https://www.worldcat[...]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6
[15] 서적 The Incredible Band of John Philip Sous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6
[16] 학술지 The String Bass in a Wind Group http://journals.sage[...] 1988-05
[17] 서적 Nineteenth- and Twentieth-century Harpists: A Bio-critical Sourcebook Greenwood Press 1995
[18] 서적 A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Band and Its Relationship to Music Education: The Foundational Years, 1941-1945 https://www.proquest[...] Boston University 2017
[19] 문서 If called for, sometimes doubled by flute 2 or 3.
[20] 문서 If called for, sometimes doubled by flute 2 or 3.
[21] 문서 If called for, sometimes doubled by oboe 2.
[22] 문서 If called for, sometimes doubled by bassoon 2.
[23] 문서 Clarinets in A are sometimes used in professional concert bands, generally with a similar intent as symphonic orchestras for which B♭ or A clarinets are substituted to simplify a part's key signature.
[24] 문서 The contrabass clarinet part is usually provided in both B♭ and E♭ (contra-alto).
[25] 문서 In most cases, if a soprano saxophone is called for, it will replace the first alto saxophone part.
[26] 문서 In very rare cases, only a single alto saxophone will be called for (e.g., Holst Band Suites). However, this practice has generally been discontinued with two alto saxophones almost always called for.
[27] 문서 Trumpet and cornet parts have often been considered interchangeable and are sometimes separated into 3 or 4 cornet parts and two trumpet parts; however, this practice is no longer used and is usually only seen in older (e.g. pre-1950) works and transcriptions. Trumpets are almost always in B♭ though models in E♭, D, and C were used commonly in the heyday of professional concert bands.
[28] 문서 If called for, sometimes doubled by trumpet 1.
[29] 문서 In older works, there was often a middle brass part that could be played on either alto/tenor horn in E♭, French horn, or mellophone in F or E♭. There were usually copies of the parts in both F and E♭, for players to read off of based on the key of their instrument. Some modern publishers still include E♭ horn parts, which are merely duplicates of the F horn parts transposed to E♭. Alto/tenor horns are especially common in Britain, where they are often referred to as tenor horns.
[30] 문서 Trombone parts will usually be divided into three parts with the first two parts (trombones 1, 2) played by tenor trombones and the third played by a bass trombone. However, in rare cases where a fourth part is required, either trombone 3 is a tenor and trombone 4 is a bass, or trombones 3 and 4 are both Bass. Scores will typically notate which one is preferred.
[31] 문서 If called for, sometimes doubled by trombone 1.
[32] 문서 The baritone/euphonium part is usually provided in both bass clef (concert pitch) and treble clef (in B♭, sounding a major 9th below written).
[33] 문서 Baritones and euphoniums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though some works have distinct parts for the two instruments. Most of the time when a composer writes for "baritone", they are actually thinking of the larger-bore euphonium.
[34] 문서 Percussion ensembles in concert bands can range from 2 to over 14 players. The type of percussion instruments used varies with the piece of music being played. Many percussion instruments from different cultures are used in a lot of contemporary concert band literature, especially in high school and college bands.
[35] 문서 Timpani are always included in percussion parts; they have their own stave, notated in bass clef.
[36] 문서 String bass parts are typically included in more advanced band pieces and larger ensemble instrumentation.
[37] 웹사이트 JBR Home http://www.journalof[...] 2021-04-22
[38] 웹사이트 IGEB: International Society for Research and Promotion of Wind Music https://www.igeb.net[...]
[39] 웹사이트 WASBE Journal https://wasbe.org/wa[...]
[40] 웹사이트 Historic Brass Society – ''Historic Brass Society Journal'' https://web.archive.[...] 2020-07-05
[41] 웹사이트 NBA Journal https://nationalband[...] 2021-04-22
[42] 웹사이트 CBDNA Journal https://us.sagepub.c[...]
[43] 문서 JBCバンドスタディ(2005)p.89
[44] 문서 コンサート・バンド、シンフォニック・バンドに対し、打楽器と金管楽器のみで編成されるのを基本とする楽団がブラス・バンド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