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르트 레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르트 레빈은 1890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독일에서 교육받은 심리학자이다. 게슈탈트 심리학을 사회 심리학에 적용하여 위상 심리학을 주창했으며, "사회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나치 독일의 권력 장악으로 미국으로 망명하여, 집단 역학, 리더십 유형, 실천 연구, 변화 과정 모델, 감수성 훈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이론들은 조직 관리, 사회 갈등 해결, 교육 등 한국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듀크 대학교 - 프레더릭 브룩스
    IBM 시스템/360 개발을 이끌고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의 고전 《맨먼스 미신》을 저술한 미국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자 컴퓨터 과학자인 프레더릭 브룩스는 브룩스의 법칙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며 튜링상 수상 및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컴퓨터 과학과 설립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듀크 대학교 - 월레 소잉카
    나이지리아 출신의 요루바족 작가 월레 소잉카는 극작가, 시인, 소설가, 에세이스트로서 아프리카의 정치, 문화, 사회 문제를 비판하며 저항했고, 198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최초의 아프리카인이다.
  • 코넬 대학교 - 베네딕트 앤더슨
    베네딕트 앤더슨은 민족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준 아일랜드계 영국인 학자이자 저술가로, 그의 저서 『상상된 공동체』에서 제시한 '상상된 공동체' 개념은 민족주의를 인쇄 자본주의와 연결하여 분석하며 널리 인용되고, 동남아시아 정치와 문화를 연구하며 반제국주의적 시각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저술 활동을 했다.
  • 코넬 대학교 - 한스 베테
    한스 베테는 독일계 미국인 이론 물리학자로, 항성 내부 핵융합 반응을 규명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핵무기 개발에 참여한 후 평화적인 원자력 이용을 옹호하며 현대 물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 독일의 심리학자 - 프란츠 브렌타노
    프란츠 브렌타노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를 바탕으로 심적 현상의 의도성 개념을 도입하고 현상학, 분석철학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드문트 후설, 지그문트 프로이트 등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 독일의 심리학자 - 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
    에른스트 하인리히 베버는 독일의 해부학자이자 생리학자로, 촉각 연구를 통해 감각적 차이의 지각이 자극의 상대적 변화에 비례한다는 '베버의 법칙'을 정립하고 베버 기관 발견 및 감각 측정 기법 개발 등 실험 심리학과 정신물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쿠르트 레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쿠르트 레빈 사진
쿠르트 레빈
출생일1890년 9월 9일
출생지모길노, 포젠 주, 독일 제국 (현재 폴란드)
사망일1947년 2월 12일
사망지뉴턴빌, 매사추세츠 주, 미국
국적독일 제국, 미국
민족독일인
학문 분야
분야심리학
근무 기관사회 연구소
그룹 다이내믹스 센터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국립 훈련 연구소
코넬 대학교
듀크 대학교
모교베를린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카를 슈툼프, 쿠르트 코프카, 막스 베르트하이머
박사 학위 논문 제목의지 과정의 억제와 연합의 기본 법칙에 따른 정신 활동
박사 학위 논문 연도1916년
박사 학위 논문 URL박사 학위 논문
주요 제자도윈 카트라이트
레온 페스팅거
주목할 만한 학생루돌프 아른하임
모턴 도이치
주요 업적집단 역학
실천 연구
힘-장 분석
T-그룹
개인 정보
배우자마리아 란츠베르크(1917년 결혼, 1927년 이혼)
게르트루트 바이스(1929년 결혼)
자녀4명

2. 생애

쿠르트 레빈은 1890년 9월 9일 당시 프로이센 영토였던 폴란드 모길노의 유대인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1909년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의예과에 입학하였으나 뮌헨 대학교를 거쳐 베를린 대학교에서 카를 슈툼프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으로 참전하였다.[30]

졸업 이후 막스 베르트하이머, 볼프강 쾰러게슈탈트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심리학 연구를 시작하여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가담하였다. 1933년 히틀러가 집권하자 홀로코스트를 피해 영국을 거쳐 미국으로 망명하였다.[30]

미국에서 레빈은 코넬 대학교, 아이오와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등에서 일하였고[31] 1946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은퇴하였다. 1947년 2월 12일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30]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쿠르트 레빈은 1890년 9월 9일 폴란드 모길노에서 태어났다. 당시 모길노는 프로이센의 영토였다. 그의 가족은 중류층 유대인이었으며, 아버지는 상점을 운영하고 농장을 소유했다.[30] 1905년 가족은 베를린으로 이주했다.[3] 레빈은 카이저린 아우구스타 김나지움에서 고전 인문 교육을 받았다.[3]

1909년, 레빈은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의예과에 입학했으나, 뮌헨 대학교 생물학과로 전학했다. 뮌헨 대학교에서 그는 사회주의 운동과 여성의 권리 신장 운동에 참여했다.[5][30] 1910년, 베를린 대학교로 옮겨 철학과 심리학을 공부했다. 베를린 대학교에서 레빈은 카를 슈툼프의 강의를 14개나 수강했다.[3]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독일 제국 육군에 복무했으며, 전쟁에서 부상을 입고 베를린 대학교로 돌아와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레빈은 슈툼프를 지도교수로 하여 논문을 완성했다.[3]

2. 2. 베를린 시기 (1920년대 - 1933년)

막스 베르트하이머, 볼프강 쾰러게슈탈트 심리학자들과 교류하며 심리학 연구를 시작했다.[30] 프랑크푸르트 학파와도 관계를 맺으며 사회 연구에 참여했다. 이 때문에 종종 마르크스주의자로 평가되기도 한다.[30] 베를린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긴장, 욕구, 동기 부여, 학습에 대한 실험을 수행했다.[4]

2. 3. 미국 망명과 활동 (1933년 - 1947년)

1933년 히틀러가 집권하자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해산되었고, 레빈은 홀로코스트를 피해 영국으로 건너가 에릭 트리스트와 함께 조직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30]

1933년 8월, 레빈은 미국으로 이주하였으며 1940년에 미국 국적을 취득하였다.[30] 미국에서 레빈은 코넬 대학교,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하였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의 집단 역학 센터 수석으로 취임했다.[31] 1944년경 레빈은 '실천 연구'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이는 1946년 그의 논문 "실천 연구와 소수 집단의 문제"에 처음 등장한다.[12] 그 논문에서 그는 실천 연구를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행동의 조건과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이자, 사회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연구"로 묘사했으며, 이는 "계획, 행동, 그리고 행동의 결과에 대한 사실 발견의 고리로 구성된 일련의 단계"를 사용한다 (이것은 때때로 '레빈의 나선'이라고 불린다).

1947년 2월 12일, 레빈은 매사추세츠주 뉴턴빌에서 심장 발작으로 사망했으며,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마운트 오번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의 아내는 1987년에 사망했다.[30]

3. 주요 이론 및 업적

쿠르트 레빈은 게슈탈트 심리학을 사회 심리학에 응용하여 위상 심리학을 주창했다. 그는 개인의 행동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해야 하며, 개인의 심리적 장(field) 내에서 발생하는 힘들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사회 과학, 심리학, 사회 심리학, 조직 개발, 프로세스 관리, 변화 관리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1]

레빈의 주요 이론 및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장 이론: 개인의 행동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함수로 설명하는 레빈의 방정식 'B = f(P, E)'를 제시했다.
  • 집단 역학: 집단 역학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집단과 개인이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행동하고 반응하는 방식을 연구했다.
  • 리더십 유형 연구: 권위주의, 민주주의, 자유방임적인 리더십 유형을 정의하고, 각 유형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 실천 연구: '실천 연구'라는 용어를 만들고,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방법을 제시했다.
  • 변화 과정 모델: 변화 관리에 있어 "해동-변화-재동결" 모델을 고안했다.
  • 감수성 훈련: 그룹 다이내믹스에 의한 훈련 방법(특히 T 그룹)을 개발했다.


나치당의 권력 장악으로 인해 미국으로 망명한 레빈은 코넬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에 집단 역학 연구소를 창설했다. 그는 "사회 심리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레온 페스팅거 등을 지도했다.

3. 1. 장 이론 (Field Theory)

레빈은 개인의 행동을 개인적 특성(P)과 환경적 특성(E)의 함수(f)로 나타내는 'B = f(P, E)' 방정식을 제시했다.[19] 이 방정식은 레빈의 방정식으로 불리며, 행동이 개인과 그 사람이 처한 사회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정식은 1936년에 출판된 레빈의 저서 ''위상 심리학의 원리''에서 처음으로 제시되었다.[20]

레빈은 게슈탈트 심리학을 사회 심리학에 응용하여 위상 심리학을 주장했다. 그는 개인의 행동을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해야 하며, 개인의 심리적 장(field) 내에서 발생하는 힘들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사회 과학, 심리학, 사회 심리학, 조직 개발, 프로세스 관리, 변화 관리 분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1]

레빈은 변화를 "해빙", "변화", "재동결"의 3단계 과정으로 묘사하는 초기 변화 모델을 제시하기도 했다.[15] 그러나 현재 레빈이 실제로 그러한 모델을 개발한 적이 없으며, 1947년 사망 이후에 이 형태를 갖추었다는 증거가 있다.[16]

3. 2. 집단 역학 (Group Dynamics)

레빈은 1947년 논문에서 "집단 역학"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그는 이 개념을 집단과 개인이 변화하는 환경에 따라 행동하고 반응하는 방식으로 묘사했다. 이 분야는 집단의 본질, 그 법칙, 설립, 발전, 그리고 다른 집단, 개인, 기관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지식 향상에 전념하는 개념으로 등장했다.[21] 초기 연구에서 많은 심리학자들은 집단 현상의 현실을 부정했다. 비평가들은 집단이 과학적으로 유효한 실체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공유했으며, 회의론자들은 집단의 행동은 개별 구성원들의 행동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레빈은 ''B'' = ''ƒ''(''P'', ''E'')라는 상호작용주의 공식을 적용하여 집단 현상을 설명했는데, 여기서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P'')은 집단의 환경적 요인(''E''), 구성원, 그리고 상황과 상호 작용하여 행동(''B'')을 유발한다. 게슈탈트 심리학 배경을 가진 레빈은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라는 격언을 사용하여 집단의 존재를 정당화했다. 그는 집단이 형성될 때 개별 구성원을 평가하여 이해할 수 없는 우월한 특성을 가진 통일된 시스템이 된다고 이론화했다. 이 개념은 사회학자와 심리학자들로부터 빠르게 지지를 얻었으며, 많은 선구자들은 대부분의 집단 현상이 레빈의 방정식과 통찰력에 따라 설명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반대 견해는 잠잠해졌다. 집단 역학 연구는 오늘날 사회에서 비즈니스 및 산업, 임상/상담 심리학,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등 광범위한 직업이 그 메커니즘에 의존하여 번창함에 따라 여전히 관련성을 유지하고 있다.[21]

레빈의 가장 주목할 만한 공헌은 집단 의사소통과 집단 역학을 의사소통 분야의 주요 측면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레빈과 그의 동료 연구자들은 기존의 개인주의 심리학 경향에서 벗어나 "소집단 의사소통의 사회 심리학"에 초점을 맞춘 매크로 렌즈를 통합하기 위해 연구를 확장했다.[9] 그는 베를린 연구에서 "연구에서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해 집단 토론"을 활용했다. 집단 토론 외에도 그는 집단 구성원에 점점 더 관심을 갖게 되었고, 집단과 관련된 개인의 관점이 어떻게 굳어지거나 약화되는지에 대해 궁금해했다. 그는 관점과 시각에서 정체성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내려고 노력했으며, 이는 "집단 사고"로 발전하게 된 것의 시작이었다. 레빈은 아이디어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집단의 사고방식에 의해 영속되는지에 대해 매우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22]

3. 3. 리더십 유형 연구

쿠르트 레빈은 조직의 경영 스타일과 문화리더십 분위기라는 용어로 특징지었다. 그는 리더십 유형을 권위주의, 민주주의, 자유방임적인 작업 환경으로 정의했다.[13]

  • 권위주의적 환경: 리더가 분업에서 기술과 작업 단계를 지시하며 정책을 결정한다. 리더는 작업 참여에서 벗어나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행된 작업에 대해 개인적인 칭찬과 비판을 한다.[14]
  • 민주적인 환경: 리더의 지원을 받아 정책이 집단적 과정을 통해 결정된다.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집단 토론을 통해 관점을 얻고 리더로부터 기술적인 조언을 받는다. 구성원에게는 선택권이 주어지고, 집단적으로 분업을 결정한다. 이러한 환경에서의 칭찬비판은 객관적이며 사실에 입각한다.[14]
  • 자유방임 환경: 리더의 참여 없이 집단에게 정책 결정을 위한 자유를 제공한다. 리더는 요청이 없는 한 작업 결정에 관여하지 않으며, 분업에 참여하지 않고, 칭찬을 매우 드물게 한다.[14]

3. 4. 실천 연구 (Action Research)

레빈은 1944년경 '실천 연구'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었으며, 이 용어는 1946년 그의 논문 "실천 연구와 소수 집단의 문제"에 처음 등장한다.[12] 그는 실천 연구를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행동의 조건과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이자, 사회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연구"라고 묘사했으며, 이는 "계획, 실행, 그리고 행동의 결과에 대한 사실 발견의 고리로 구성된 일련의 단계"를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이것은 '레빈의 나선'이라고도 불린다.

3. 5. 변화 과정 모델

레빈은 변화 관리에 있어 "해동-변화-재동결" 모델을 고안했다.[11] 이는 조직 변화 과정을 '해빙(Unfreezing)', '변화(Changing)', '재동결(Refreezing)'의 3단계로 설명하는 모델이다.

3. 6.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

1946년 MIT에서 일하던 레빈은 코네티컷 주 종교간 인종 위원회 국장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17] 그는 종교적, 인종적 편견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을 요청받았다. 그는 "변화"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워크숍을 열었고, 이것이 현재 감수성 훈련으로 알려진 것의 기초가 되었다.[18] 1947년, 이는 메인주 베델에 국립훈련소 설립으로 이어졌다. 칼 로저스는 감수성 훈련을 "아마도 이 세기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적 발명품"이라고 믿었다.[18] 그의 업적 중에는 그룹 다이내믹스에 의한 훈련 방법(특히 T 그룹)이 있다.

4.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쿠르트 레빈의 이론과 연구 방법은 한국 사회의 여러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논문 In an empirical study by Haggbloom et al. using six criteria such as citations and recognition, Lewin was found to be the 18th-most eminent psychologist of the 20th century. Haggbloom, S.J. et al. (2002). The 100 Most Eminent Psychologists of the 20th Centur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Vol. 6, No. 2, 139–152. Haggbloom et al. combined three quantitative variables: citations in professional journals, citations in textbooks, and nominations in a survey given to members of the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with three qualitative variables (converted to quantitative scor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NAS) membership,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A) President and/or recipient of the APA Distinguished Scientific Contributions Award, and surname used as an eponym. Then the list was rank ordered.
[2] 논문 The 100 most eminent psychologists of the 20th century http://www.apa.org/m[...]
[3] 논문 The Impact of Kurt Lewin's Life on the Place of Social Issues in His Work 1992
[4] 논문 Kurt Lewin and the First Attempts to Establish a Department of Psychology at the Hebrew University 1998
[5] 간행물 Kurt Lewin, groups, experiential learning and action research http://www.infed.org[...] 2010-08-16
[6] 문서 Refugee Scholars At Duke University http://www.phy.duke.[...] W. King
[7] 문서 Der Begriff der Genese in Physik, Biologie und Entwicklungsgeschichte Lewin, K. 1922
[8] 서적 Terrence Malick's Unseeing Cinema: Memory, Time and Audibility Springer 2018
[9] 서적 A History of Communication Study: A Biological Approach The Free Press 1994
[10] 서적 The Handbook of Group Research and Practice SAGE 2005
[11] 논문 Defining the "Field at a Given Time." Psychological Review Lewin K. 1943
[12] 논문 Action research and minority problems Lewin, K. 1946
[13] 논문 Patterns of aggressive behavior in experimentally created social climates https://tu-dresden.d[...]
[14] 서적 Organizational Behavior 1: Essential Theories of Motivation and Leadership M.E. Sharpe
[15] 논문 Frontiers in Group Dynamics: Concept, Method and Reality in Social Science; Social Equilibria and Social Change 1947-06
[16] 논문 Unfreezing change as three steps: Rethinking Kurt Lewin's legacy for change management
[17] 서적 Race Experts: How Racial Etiquette, Sensitivity Training, and New Age Therapy Hijacked the Civil Rights Revolu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5-27
[18] 서적 Race Experts: How Racial Etiquette, Sensitivity Training, and New Age Therapy Hijacked the Civil Rights Revolution Lasch-Quinn, E. 2001
[19] 서적 The Sage Handbook of Methods in Social Psychology https://books.google[...] Sage
[20] 서적 Natural Intelligence in Artificial Creatures http://www.lucs.lu.s[...] Lund University Cognitive Studies, 37
[21] 서적 Group Dynamics Forsyth, D.R. 2010
[22] 서적 Groupthink Janis, I.L. 1982
[23] 웹사이트 A peach among coconuts, or a coconut among the peaches? https://today.rtl.lu[...] 2023-04-23
[24] 뉴스 This column will change your life: are you wasting your warmth? https://www.theguard[...] 2023-04-23
[25] 서적 The Cambridge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26] 논문 The Impact of Kurt Lewin's Life on the Place of Social Issues in His Work 1992
[27] 간행물 Kurt Lewin, groups, experiential learning and action research http://www.infed.org[...] 2010-08-16
[28] 논문 Kurt Lewin and the First Attempts to Establish a Department of Psychology at the Hebrew University 1998
[29] 논문 The 100 Most Eminent Psychologists of the 20th Century Haggbloom, S.J. et al. 2002
[30] 간행물 Kurt Lewin, groups, experiential learning and action research http://www.infed.org[...] Smith, MK. 2010-08-16
[31] 서적 Race Experts: How Racial Etiquette, Sensitivity Training, and New Age Therapy Hijacked the Civil Rights Revolution Lasch-Quinn, E.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