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르크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르크섬은 크로아티아의 섬으로, 아드리아해에 위치해 있다. 기원전 10세기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크리크타(Curicta)로 불렸다. 중세 시대에는 프랑코판 가문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트리아 제국,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1980년 크로아티아 본토와 연결되는 다리가 건설되었다. 섬은 역사적으로 크로아티아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언어와 방언이 사용되었다. 현재 관광, LNG 터미널, 리예카 공항 등을 통해 경제적 활동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리모레고르스키코타르주의 지형 - 로신섬 (크로아티아)
로신섬은 아드리아해 북부의 크레스-로신 제도에 속하며 산악 지형과 지중해성 기후를 가진 섬으로, 다양한 역사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에 속하며 관광지로 발전했고 '아폭시메노스' 청동 조각상 발견으로도 알려져 있다. - 프리모레고르스키코타르주의 지형 - 우니예섬
- 크로아티아의 섬 - 코르나트섬
- 크로아티아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 아드리아해의 섬 - 코르나트섬
- 아드리아해의 섬 - 비셰보섬
비셰보섬은 아드리아해의 크로아티아 섬으로, 석회암 지형과 모드리 드보르, 포르투흐, 푸른 동굴, 승려 물범 동굴 등 다양한 동굴, 그리고 과거 베네딕토회 수도원이 있었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크르크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 | |
위치 | 아드리아해 |
면적 | 405.80 km2 |
최고봉 | 오브조바 |
높이 | 568 m |
위치 | 크로아티아 |
현 | 프리모례고르스키코타르주 |
최대 도시 | 크르크 |
최대 도시 인구 | 6,816명 |
인구 | 19,916명 (2021년) |
인구 밀도 | 44명/km2 |
명칭 | |
크로아티아어 | Krčki |
이탈리아어 | Veglia |
독일어 | Vegl |
라틴어 | Curicta |
기타 | IPA: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Vegliot Dalmatian: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
2. 역사
크르크섬은 기원전 10세기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크리크타(Curicta)라고 불렸다.[3] 카이사르 내전 때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 함선 사이에 해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는 기독교 교구가 설치되었고, 이후 크로아티아 귀족 가문인 프란코판 가의 지배를 받았다.[5]
베네치아 공화국 (중세), 오스트리아 제국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 이후), 이탈리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지배를 순차적으로 받았다. 1980년에는 크로아티아 본토와 크르크섬을 잇는 길이 1430m의 다리가 개통되었다.
2. 1. 선사 시대
기원전 10세기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크리크타(Curicta)라고 불렀다.[3] 카이사르 내전에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끄는 함선들과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함선들 사이에서 해전이 일어났다.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이 섬은 신석기 시대부터 지속적으로 거주해 왔지만, 초기 주민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후기에는 그리스 및 라틴 자료에서 Κύριστα|퀴리스타grc (고대 그리스어) 또는 Curicta|쿠릭타la (라틴어)를 리부르니아인으로 알려진 사람들이 소유한 앱시르티디안 또는 일렉트리디안 섬 중 하나로 언급한다. 리부르니아인들은 이 섬을 "쿠리쿰"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원래 거주민들이 이 섬에 붙인 이름으로 추정된다.[3]
드라가 바슈찬스카 근처에는 선사 시대 정착지의 유적이 있으며,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토루는 말린스카, 도브리니, 르브니크 및 바슈카 근처에 있다.[4]
2. 2. 로마 시대
기원전 10세기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크리크타섬(Cricta)이라고 불렸다. 카이사르 내전에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끄는 함선들과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함선들 사이에서 해전이 일어났다.[5]크르크섬은 로마인들이 리부르니아족을 격파한 후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크르크 시](Curicum)]는
2. 3. 중세 시대
기원전 10세기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크리크타섬(Cricta)이라고 불렀다. 카이사르 내전에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끄는 함선들과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함선들 사이에서 해전이 일어났다. 중세 시대에 기독교 교구가 설치된 이후에는 크로아티아의 대표적인 귀족 가문이었던 프란코판 가(Frankopan)의 지배를 받았다.[5]
크르크 시의 성벽은 아바르족의 공격(7세기)을 견디지 못했지만, 살로나, 스카르도나 및 아이오나와 달리 크르크에서는 삶이 빠르게 정상으로 돌아왔고, 크르크는 달마티아 도시 국가 중 하나로 기능했다. 크로아티아인들은 여러 차례 이 도시에 진입했다. 그들은 그곳에서 발견한 많은 로마식 지명을 유지했고, 그래서 크르크는 "모자이크 방언"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아헨 조약 (812년)에 따라 섬 전체가 비잔틴 제국에 양도되었고, 제국의 규범에 따라 통치되었다. 콘스탄티누스 7세 황제(10세기) 통치 기간 동안, 크르크는 ''베클라''로 알려졌으며, 베네치아인들도 사용한 로마화된 변형은 ''베글리아''였다.[5]
크르크섬이 언제 크로아티아에 속하게 되었는지 보여주는 현존하는 문서는 없다. 875년경부터 비잔틴 타운은 크로아티아 통치자들에게 그곳에서 평화롭게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연간 110개의 금화를 지불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크로아티아 국가가 수립되는 동안 크르크섬은 베네치아의 지중해로 가는 경로에 놓이게 되었다. 베네치아는 1001년에 처음으로 이 도시를 정복했고, 이후 7세기 동안 크르크섬의 역사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크로아티아의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통치 기간 동안 크로아티아 통치자들은 권력을 되찾았지만, 베네치아는 1118년에 두 번째로 크르크섬을 점령했다.[5]
베네치아 공화국이 1118년 크르크를 두 번째로 정복했을 때, 알려지지 않은 지역 귀족 가문인 두얌스[11]가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조약의 일부로 크르크를 받았고, 백작이 되었다. 두얌이 1163년에 사망하자 베네치아는 그의 아들들이 세습 지위를 갖도록 허락했으며, 세금으로 350비잔틴 금화를 지불하도록 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크르크 백작들은 매우 강력해져서 1244년부터 1260년까지 베네치아는 그들의 권한을 철회했다. 하지만 이는 그들의 성장을 방해하지 못했다. 그들은 경제적 착취를 강화했지만, 다양한 법령(1288년 비노돌 법전과 1388년 르브르니크 법령)을 통해 오래된 전통과 권리를 강화하려고 노력했다. 1209년에 사망한 두얌의 막내아들은 본토로 자신의 권한을 확장하는 데 성공했고, 크로아티아-헝가리 왕을 섬기기 시작했으며, 모드루시 지역을 받았다. 그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 때문에 그의 반대자들은 그의 호의를 얻기 위해 서로 다투었다. 백작들은 너무 강해져서 어떤 세력도 그들을 위협할 수 없었다(투르크 이전까지). 그의 가족 구성원들은 스플리트, 트로기르, 세니에서 지도자였으며, 1392년부터 그들 중 한 명(이반 V)은 크로아티아-달마티아의 반이 되었다. 1430년 그들은 로마 기원을 주장하며 성씨를 프랑코판(Frangipane)으로 바꿨다. 그 해 그들은 빵 조각을 부수는 두 마리의 사자를 묘사한 문장을 채택했다(라틴어: frangere panem, 빵을 부수다). 1449년부터 니콜라 IV의 후손들은 그의 가문의 여덟 지파를 세웠고, 즈린스키 백작과 함께 1671년까지 크로아티아 전역에서 지배적인 봉건 가문이었다.[5] 프랑코판 가문은 일곱 명의 크로아티아 반을 배출했으며, 그들 중 많은 이들이 크로아티아 예술가들의 후원자였다.
특히 이반 VII 프랑코판은 반독립적인 크르크 공국의 유일한 군주였다. 그는 또한 더 많은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모를라흐와 블라흐 (원래 루마니아인이었으나 나중에 이스트로-루마니아인으로 분리됨)를 섬에 정착하도록 장려했다(특히 두바스니차, 폴리차, 도브리니와 오미살 성 사이의 지역). 따라서, 이 이스트로-루마니아인들은 크르크에 공동체를 형성하여 지역 크로아티아 방언에 영향을 미치고 섬에 여러 지명을 남겼다. 크르크의 이스트로-루마니아인은 마지막 지역 이스트로-루마니아어 방언 사용자가 사망한 1875년에 사라졌으며, 일부 크로아티아 학자들은 이를 "크르코-루마니아어"라고 명명했다. 현재 이 민족 집단은 이스트라에만 거주한다.[12]
2. 4. 베네치아 통치 시대 (1480–1797)
크르크섬은 베네치아 공화국에 마지막으로 편입된 아드리아해 섬이었다. 센(Senj)의 우스코크족과 가까워 망루 역할을 했으며, 우스코크족에 대한 1차 방어선 역할도 했다.[5] 그 이후 통치자는 베네치아 귀족이었지만, 소의회와 대의회는 모두 어느 정도 자치권을 가졌다.[5] 도시 법은 라틴어로 작성되었고, 1500년 이후에는 이탈리아어로 작성되었다.[5] 이탈리아어는 출생, 결혼, 사망에 대한 교회 기록에도 사용되었으며, 다른 공문서는 다른 곳보다 이곳에서 더 널리 사용된 글라골 문자로 작성되었다.[5] 16세기 초, 내륙 크로아티아 주민들은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피해 크르크섬에 정착하기 시작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르크섬은 다른 모든 베네치아 영토와 마찬가지로 쇠퇴했다.[5] 1527년에는 10,461명의 주민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었지만, 같은 해에는 8,000명으로 줄었다.[5]2. 5. 오스트리아 통치 시대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령이 되었다. 오스트리아의 크르크섬 지배는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한 1797년에 시작되었으며, 나폴레옹의 일리리아 지방이 존재했던 기간(1806–1813년) 동안 잠시 중단되었다.[1] 1822년 오스트리아는 크르크섬을 달마티아에서 분리하여 이스트라에 연결했고, 이로써 크르크, 크레스, 로신 섬을 비엔나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두었다.[1] 이러한 변화는 크로아티아 민족 부흥의 출현에 기여했으며, 인근 해안 도시 카스타브와 함께 크르크시는 이 지역의 크로아티아 교육과 문화를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 6. 20세기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크르크섬은 이탈리아의 지배를 받았다가 라팔로 조약에 의해 유고슬라비아에 속한 크로아티아로 넘어갔다. 제2차 세계 대전 (1941–1943) 때 이탈리아가 다시 크르크섬을 점령했고, 1943년부터 1945년까지는 독일의 점령이 이어졌다.크르크섬의 전후 개발은 관광 산업이 주도했다. 공항 건설과 본토로 연결되는 다리 건설은 이 섬의 관광 산업 발전을 보장했다. 오미샬에서는 산업 개발도 이루어졌다. 1980년에는 크로아티아 본토와 크르크섬을 연결하는 길이 1,430m의 다리가 개통되었다. 다리는 크르크섬 북쪽에 위치하며, 중간 지지대로 작은 섬인 스베티 마르코섬(성 마르코 섬)을 사용한다.
3. 지리
크르크섬은 크로아티아의 많은 섬들과 같이 바위가 많고 언덕이 많은 지형이다. 대부분 카르스트 지형이며, 섬의 남동쪽은 보라 바람의 영향으로 황량하다.
섬의 주요 지형은 다음과 같다.
크르크섬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이 지정한 중요 조류 지역(IBA)인 크바르너 제도의 일부로, 다양한 조류 종과 맹금류 번식 개체군을 지원한다.[23] 특히 유라시아수리 집단은 Kuntrep이라는 보호 구역에 서식하며,[4][24] 낮은 고도(일부 둥지는 10m 높이)에서 번식하여 사람들과의 접촉이 잦다.
2021년 기준 인구는 19,916명으로 아드리아해 섬 중 가장 많다. 가장 큰 도시는 크르크(인구 6,816명)이며, 그 외 여러 마을이 있다.

1980년 건설된 길이 1430m의 크르크 다리(Krčki most)는 크로아티아 본토와 섬을 연결하며, 남부 독일 및 동유럽 관광객들이 주로 찾는다. 다리 건설 후 40년 이상 지나 해풍에 의한 열화가 진행되어, 관광 성수기 교통 체증 해소를 위해 4차선 도로와 철도 선로를 갖춘 새로운 다리를 건설 중이다. 새 다리는 리예카 공항(Rijeka Airport)이 있는 오미샤리(Omišalj)와 연결될 예정이며, 2030년 개통을 목표로 한다.[36]
4. 문화 및 종교
크르크섬은 역사적으로 크로아티아 문화의 중심지였다. 다양한 글라골 문자 문학이 크르크섬에서 창작되었고 일부 보존되었는데, 특히 바슈카 석판은 크로아티아어로 보존된 가장 오래된 텍스트 중 하나이다. 수도원은 크르크섬 해안에서 떨어진 만에 있는 작은 코슈룬섬에 위치해 있다.[25]
크르크섬은 중세 시대의 대부분 동안 베네치아 공화국에 속해 있다가 해체될 때까지 달마티아의 운명을 따랐다. 1920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나중에 유고슬라비아로 불림)의 일부가 되었다.[26] 그 이후로, 베글리아/크르크 마을은 유고슬라비아에서 유일하게 이탈리아어를 주로 사용하는 지자체로 남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부분의 이탈리아인들이 떠났다.
크르크섬은 2020년 유럽 문화 수도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27개 지역" 프로그램을 통해 크르크 시, 말린스카 및 르브르니크는 1년 내내 다양한 행사에 참여할 것이다.[27] 이들과 함께, 바슈카 시는 전통적인 건식 벽돌 건축물을 강조하는 영구적인 예술 설치물 "방울"을 기반으로 한 "룽고마레 아트" 프로그램에 참여했다.[28]
5. 언어
크르크섬은 역사적인 언어 다양성으로 잘 알려져 있다. 크로아티아어의 중세 차카비아 방언이 섬에서 사용되는 주요 방언이다. 과거에는 섬에서 베네치아어, 이탈리아어, 크로아티아어, 달마티아어, 이스트로-루마니아어의 5개 언어가 사용되었지만, 마지막 두 언어는 섬에서 (달마티아어의 경우 다른 모든 곳에서도) 사멸되었다.[29][12] 크르크섬의 크로아티아어 방언은 이스트로-루마니아어의 영향을 받았다.[12]
6. 경제 및 기반 시설
크르크섬은 리부르니아인 시대부터 조선업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Mala Luka 항구 근처에서 리부르니아 시대의 조선소 유적이 발견되었다.[13][14] 두바슈니차 지방 자치체의 이름은 떡갈나무를 뜻하는 고대 슬라브어 "Dub"에서 유래되었으며,[15] 떡갈나무 숲은 리부르니아인 시대부터 조선업자들에게 섬을 매력적으로 만들었다.[16]
말린스카 항구는 보라 바람으로부터의 보호와 깊은 수심으로 인해 항구로 사용되었다.[17] Vrbnik 항구는 13세기에 조선업에 사용되었다.[18]
크르크섬은 육지와 매우 가까우며, 1980년부터 1430m의 2개의 아치형 콘크리트 다리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다리는 세계에서 가장 긴 콘크리트 다리 중 하나이다. 리예카시와 가깝기 때문에, 오미샬에는 리예카 국제공항과 리예카 항의 일부를 차지하는 원유 터미널, 석유화학 공장이 있다.[19][20][21] 2021년 1월부터, 크르크섬 북쪽 오미샬에는 대형 LNG 운반선을 수용하여 유럽 횡단 파이프라인에 가스를 펌핑할 수 있는 활성 크르크 LNG 터미널 저장 및 재기화 선박이 계류되어 있다.
크르크섬은 슬로베니아, 남부 독일, 오스트리아, 북부 이탈리아와 가깝기 때문에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 동구권 붕괴 이후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및 기타 구 동구권 국가에서 많은 관광객이 유입되었다. 1980년에 건설된 길이 1430m의 크르크 다리(Krčki most)를 통해 크로아티아 본토와 연결되어 있으며, 남부 독일 및 동유럽에서 관광객이 방문한다. 40년 이상 지나면서 해풍에 의한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관광 성수기의 교통 체증을 해소하기 위해 4차선 도로와 철도 선로를 갖춘 새로운 다리를 건설 중이다. 철도는 오미샤리(Omišalj)의 리예카 공항(Rijeka Airport)과 연결될 예정이다. 2030년에 개통될 예정이다.[36]
7. 행정 구역
크르크섬의 지방 자치 단체 및 주요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
정착지 | 이탈리아어 명칭 | 독일어 명칭 | 인구 (2011년 기준) |
---|---|---|---|
크르크 | 베글리아it | 6,243명 | |
오미샬 | 카스텔무스키오it | link=no|모샤우de | 2,987명 |
말린스카-두바슈니차 | 말린스카it | link=no|두리샬de | 3,142명 |
푸나트 | 폰테it | link=no|장크트 마리아de | 1,953명 |
도브리니 | 도브리뇨it | link=no|도브라우엔de | 2,023명 |
바슈카 | 베스카it | link=no|베슈케de | 1,668명 |
르브니크 | 베르베니코it | link=no|푈르브니크de | 1,270명 |
- 가보니진
- 크라시차
- 안톤
- 피네지치
- 글라보토크
- 발비스카
- 니비체
- 폴리체
- 네나디치
- 스베티 비드 미홀리체
8. 기타
북위 45도는 크르크섬을 지나며, 이는 크르크섬이 적도와 북극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45도 평행선의 교차점은 표지판으로 표시되어 있다.
모계 이형질 집단 I의 빈도는 크로아티아 및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드물지만, 크르크섬 인구 사이에서는 높게 나타난다.[30] 이러한 특징은 폴란드 남부,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 출신의 루신인에게서도 발견된다.[31], [32][33][34]
오퍼레이션 플래시포인트: 콜드 워 크라이시스''의 배경이 된 가상의 섬 에버론은 크르크섬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 ''더 위쳐''의 세 번째 시즌은 2022년 4월 크르크섬에서 촬영되었다.
참조
[1]
간행물
Croatia Yearbook 2015
[2]
학술지
Coastline lengths and areas of islands in the Croatian part of the Adriatic Sea determined from the topographic maps at the scale of 1 : 25 000
https://hrcak.srce.h[...]
2004-06
[3]
서적
Krk
Graficki zavod Hrvatske
[4]
서적
Grad i otok
http://www.trinajsti[...]
2002
[5]
서적
The Croatian Adriatic Tourist Guide
https://openlibrary.[...]
Naklada Naprijed
[6]
웹사이트
The Roman city Fulfinum
http://www.visitkrk.[...]
2020-05-11
[7]
학술지
Pottery from the Forum of Municipium Flavium Fulfinum (Krk island, Croatia) - research between 2007 and 2013
https://www.research[...]
2015-12
[8]
학술지
O antičkom i srednjevjekovnom imenu grada i otoka Krka
https://hrcak.srce.h[...]
2021-02-04
[9]
웹사이트
Temples of Venus
https://www.tz-krk.h[...]
[10]
웹사이트
Ancient sites & remains
https://experiencekr[...]
Krk Tourist Board
[11]
문서
[12]
학술지
Vlachs from the Island Krk in the Primary Historical and Literature Sources
https://www.research[...]
[13]
웹사이트
Gradina Corinthia
https://darkoantolko[...]
2016-05-25
[14]
웹사이트
Archaeological zone Korintija, Bosar - Sokol —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http://www.iarh.hr/e[...]
[15]
웹사이트
DUBOak Exhibition
https://duboak.org/e[...]
[16]
웹사이트
The Island of Krk
https://www.kvarner-[...]
[17]
웹사이트
DubOak
https://duboak.org/e[...]
[18]
학술지
Arrivals and Departures
https://static1.squa[...]
2008
[19]
웹사이트
Terminals – Liquid Cargo Terminal
http://www.portautho[...]
Port of Rijeka Authority
2011-08-26
[20]
웹사이트
DINA – Petrokemija d.d., Omišalj
http://www.dioki.hr/[...]
DIOKI d.d.
2011-08-26
[21]
웹사이트
The Omišalj Port and Terminal
http://www.janaf.hr/[...]
Jadranski naftovod
2011-08-26
[22]
웹사이트
Island of KRK, legend and reality
http://www.krk.hr/en[...]
2018-10-25
[23]
웹사이트
Kvarner islands
https://datazone.bir[...]
BirdLife International
2024
[24]
웹사이트
Croatian Flora Fauna clear list
http://web.hamradio.[...]
[25]
웹사이트
Franciscan monastery – Košljun
https://visitkrk.hr/[...]
2023-12-20
[26]
웹사이트
https://history.stat[...]
[27]
웹사이트
The island of Krk - neighbourhood of European culture capital of 2020
https://www.visitkrk[...]
Visit Krk
2020-06-06
[28]
웹사이트
Lungomare Art • Rijeka 2020
https://rijeka2020.e[...]
2021-04-26
[29]
서적
Notable Last Facts: A Compendium of Endings, Conclusions, Terminations and Final Events throughout History
https://books.google[...]
Reference Desk Press
[30]
학술지
Maternal Genetic Legacy of the Eastern Adriatic Island of Krk - An Interplay of Evolutionary Forces and Island's Historical Events in Shaping the Genetic Structure of Contemporary Island Population
https://www.research[...]
2012
[31]
학술지
Mitochondrial DNA Sequence Variation in the Boyko, Hutsul, and Lemko Populations of the Carpathian Highlands
https://lemko.org/sc[...]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2009-01-19
[32]
웹사이트
Rusyn Genetics: Abstracts and Summaries
http://www.khazaria.[...]
[33]
문서
[34]
문서
[35]
웹사이트
Croatian island in new season of 'The Witcher' just released on Netflix
https://www.croatiaw[...]
Croatia Week
2023-06-29
[36]
웹사이트
Croatia: new Krk bridge coming in 2029
https://www.sea-help[...]
2024-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