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래식 기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래식 기타는 기원전 4500년 수메르의 판두라에서 유래된 현악기로, 류트를 거쳐 16세기 스페인에서 비우엘라가 발전하며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20세기에는 미구엘 요베트, 안드레스 세고비아, 줄리안 브림 등의 연주자들이 클래식 기타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구조는 헤드, 넥, 바디로 구성된다. 음향, 등급, 부속품, 관리, 수명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품질을 평가하며, 클래식 음악, 보사노바, 탱고, 재즈, 플라멩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클래식 기타
악기 개요
이름클래식 기타
다른 이름스패니시 기타
현대 클래식 기타의 앞면 및 옆면 모습
현대 클래식 기타의 앞면 및 옆면 모습
악기 분류현악기 (발현악기)
호른보스텔-작스 분류321.322-5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설명손가락 또는 손톱으로 뜯어서 소리 내는 복합 현명악기
개발 시기19세기 후반
개발 국가스페인
음역[[파일:Range guitar.svg|130px|center]]
관련 악기기타 종류 (스틸-스트링 어쿠스틱 기타, 전기 기타, 플라멩코 기타, 베이스 기타)
류트 (먼 친척)
바로크 기타
플라멩코 기타와 유사
연주자분류:클래식 기타 연주자
역사
개발 시기1790년경

2. 역사

클래식 기타는 류트, 비우엘라, 바로크 기타 등 다양한 악기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다. 악기와 그 레퍼토리는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다.


  • '''역사적''' 관점
  • 바로크 기타: 1600년 ~ 1750년
  • 초기 낭만주의 기타: 1750년 ~ 1850년 (\고전 시대 음악 및 낭만주의 음악 시대)
  • 현대 클래식 기타
  • '''지리적''' 관점
  • 스페인 기타 (\토레스)
  • 프랑스 기타 (\르네 라코테)
  • 독일 기타 (\헤르만 하우저)
  • '''문화적''' 관점
  • 바로크 궁정 음악
  • 19세기 오페라와 그 영향
  • 19세기 민요
  • 라틴 아메리카 음악


현대 기타의 기원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대 이집트, 수메르, 바빌론 문명의 조각과 조상에서 기타와 유사한 악기가 등장한다.[33][34] 이는 탄부르와 세타르와 같은 현대 이란 악기가 모두 궁극적으로 동일한 고대 기원에서 유래되었지만, 유럽 기타와는 다른 역사적 경로와 영향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2. 1. 초기 기타

클래식 기타는 기원전 4500년 전 수메르 왕국의 판두라라는 악기에서 유래한다.[34] 기원전 2500년경 하프와 비슷하게 생긴 악기가 나타났고, 이집트 시대에는 네페르, 그리스에서는 기타라가 사용되었다. '기타라'라는 이름은 현재 악기 이름의 어원이 되었다. 중세 시대의 류트는 클래식 기타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여겨진다.[33]

13세기부터 "기타"라고 불리는 기턴이 이미 사용되었지만, 그 구조와 조율은 현대 기타와 달랐다. 기타에 가장 많은 변화가 일어난 시기는 1500년대에서 1800년대이다.[35]

16세기 초 스페인에서 비우엘라가 발전하면서 클래식 기타의 기록된 역사가 시작되었다. 류트는 당시 유럽 다른 지역에서 인기를 얻고 있었지만, 스페인 사람들은 류트가 무어인과 연관되어 있다는 이유로 이를 선호하지 않았다.[38] 대신, 류트와 유사한 비우엘라가 등장했는데, 두 개의 현이 더해져 더 넓은 음역과 복잡성을 갖게 되었다. 가장 발전된 형태의 비우엘라는 거트(gut)로 만들어진 여섯 개의 겹현을 가지고 있었으며, 세 번째 현을 반음 낮게 조율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현대 클래식 기타와 같은 방식으로 조율되었다. 비우엘라는 고음의 소리를 내며, 잡기에 다소 컸다. 현재까지 살아남은 비우엘라는 거의 없으며, 오늘날 알려진 대부분의 정보는 그림과 도면에서 비롯된다.

2. 2. 바로크 기타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기타 연주자''에 등장하는 바로크 기타는 17세기에서 18세기 중반까지 유행한 악기로, 5쌍의 복현을 가지고 있었다. 가스파르 산스, 로베르 드 비제, 프란체스코 코르베타 등이 바로크 기타를 위한 음악을 작곡했다.[8] 비올라, 르네상스 기타와 같이 바로크 기타는 밝고 배음이 풍부하며, 코스(복현)가 소리에 매우 독특한 질감을 부여한다.

2. 3. 고전 및 낭만주의 시대

18세기 후반, 가에타노 비나치아가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제작한 것으로 여겨지는 초기 6현 기타가 등장하면서, 클래식 기타는 현대적인 형태에 가까워지기 시작했다.[39][40][41] 비나치아 가문은 만돌린을 개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42] 1790년대 이전에 제작되었다고 알려진 기타의 진위 여부는 종종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2. 4. 현대 클래식 기타

현대 클래식 기타는 19세기에 안토니오 데 토레스 후라도, 이그나시오 플레타, 헤르만 하우저 시니어, 로베르 부셰에 의해 개발되었다. 스페인 악기 제작자이자 연주자인 안토니오 데 토레스는 몸체를 넓히고 허리 곡선을 증가시키고, 배를 얇게 만들고, 내부 브레이싱을 개선하여 현대 클래식 기타의 최종 형태를 완성했다.[43] 현대 클래식 기타는 플라멩코라고 불리는 노래와 춤 반주를 위한 구형 기타를 대체했으며, 플라멩코 기타로 알려진 변형된 버전이 제작되었다.

3. 구조

클래식 기타는 크게 헤드, 넥, 바디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헤드: 줄을 감거나 풀어 소리를 조율하는 부분으로, 헤드머신이 있다. 헤드에 문제가 있으면 줄의 음높이가 매번 바뀔 수 있다.
  • : 왼손으로 줄을 누르는 부분이다. 넥이 휘거나 프렛의 높이에 문제가 있으면 소리에 잡음이 섞일 수 있다. 장기간 보관 시에는 줄을 풀어 넥이 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 바디: 울림통이라고도 하며, 기타줄의 소리를 증폭시킨다. 기타 제작에서 가장 까다로운 부분으로, 재료 선택과 처리가 중요하며, 바디 제작 방식에 따라 기타의 음색, 음량, 여운 등이 달라진다.


오늘날 클래식 기타는 대개 6, 5, 4번 줄은 쇠줄, 나머지는 나일론 줄을 사용한다. 현은 6개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7개 이상의 현을 가진 기타도 있다. 6개의 현은 모두 나일론으로 만들어지거나 금속으로 감싸져 있으며, 장력이 낮아 넥은 강철 트러스 로드 없이 나무로만 만들 수 있다. 내부 브레이싱도 가볍게 할 수 있다.

일반적인 현대식 6현 클래식 기타는 너트에서 48–54 mm 너비인 반면, 일렉트릭 기타는 약 42 mm이다. 클래식 지판은 평평하며 프렛 마커가 없거나 넥 측면에 점 인레이만 있는 경우가 많다. 반면 스틸 현 지판은 약간의 반경과 인레이가 있다.

클래식 기타 연주자는 오른손으로 현을 뜯으며, 더 밝은 음색과 현에 대한 느낌을 위해 손톱 모양을 다듬기도 한다. 스트러밍은 덜 일반적인 기술이며, 스페인어 용어 "라스게오" 또는 스트러밍 패턴 "라스게아도"로 언급되며, 손톱 뒷면을 사용한다. 라스게아도는 플라멩코 기타에 필수적이다. 머신 헤드는 헤드스톡에서 뒤쪽을 향한다.

고전 기타의 외부 부품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고전 기타의 외부 부품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일반적인 클래식 기타의 부품은 다음과 같다.[50]

  • 헤드스톡
  • 너트
  • 머신 헤드 (또는 페그 헤드, 튜닝 키, 튜닝 머신, 튜너)
  • 프렛
  • 바디
  • 브릿지
  • 하단 데크
  • 사운드보드
  • 바디 측면
  • 사운드 홀, 로제트 인레이 포함
  • 새들 (브릿지 너트)
  • 지판

3. 1. 헤드

일반적인 클래식 기타의 헤드스톡


클래식 기타의 헤드는 줄을 감거나 풀어 음높이를 조절하는 헤드머신이 위치하는 부분이다. 헤드에 문제가 있으면 줄의 음높이가 매번 바뀔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쪽에 3개의 슬롯 헤드가 있는 형태가 사용된다. 고급 모델의 경우, 헤드머신에 정교한 예술적 세공이 이루어지기도 한다.[9]

3. 2. 넥

넥은 왼손으로 줄을 눌러 음높이를 조절하는 부분이다. 지판은 흑단이나 자단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트러스 로드는 없으며, 넥 폭이 넓은 편이다.[51]

지판(fingerboard, 핑거보드)은 넥 상단에 위치하며 금속 프렛이 박혀있는 나무 조각이다. 평평하거나 약간 곡선으로 되어 있다. 지판의 곡률은 지판 반경으로 측정되며, 이는 지판 표면이 한 segment를 구성하는 가상 원의 반경이다. 지판 반경이 작을수록 지판의 곡률이 더 두드러진다. 지판은 가장 일반적으로 흑단으로 만들어지지만, 장미목, 기타 다른 경재 또는 페놀 복합재(micarta)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클래식 기타의 프렛, 지판, 튜너, 헤드는 길고 나무로 된 연장 부분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을 통틀어 넥이라고 한다. 지판에 사용되는 나무는 일반적으로 넥의 나머지 부분에 사용되는 나무와 다르다. 넥에 가해지는 굽힘 응력은 상당하며, 특히 더 두꺼운 게이지의 줄을 사용할 때 더욱 그렇다. 클래식 기타의 가장 일반적인 스케일 길이는 650mm이다(너트 끝에서 12번째 프렛의 중앙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두 배로 하여 계산). 그러나 스케일 길이는 635-664mm 또는 그 이상으로 다양할 수 있다.[51]

표준적으로는 6개의 현과 19개의 프렛을 가지며, 일반적으로는 6현 쪽부터 E2·A2·D3·G3·B3·E4로 조현되어, 음역은 E2~B5가 된다. 다만, 현의 개수나 프렛의 수는 다종다양하며, 저음 현을 1개 더해 최저음을 B1으로 하는 7현 기타, 또는 더 현의 개수를 늘린 10현 기타, 프렛의 수를 20개로 하여 최고음을 C6으로 한 것 등이 있다.

기본적으로는 마호가니 등의 목재를 사용한다. 일렉트릭 기타나 스틸(강철) 현 어쿠스틱 기타와는 달리, 대부분의 경우 트러스 로드는 들어 있지 않다. 클래식 기타는 스틸 현보다 텐션이 약한 나일론 현을 사용하기 때문에, 넥 휨 자체가 적다는 이유도 있다. 지판은 흑단이나 자단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렛 수는 다른 기타에 비해 적으며, 19프렛까지인 것이 대부분이다. 커터웨이(cutaway)라고 불리는, 탑 바디 상부 오른쪽이 파인 타입은, 그 이상의 프렛을 장착한 타입도 있다. 바디와의 접합은 12 프렛 위치가 대부분이지만, 근래의 대중음악용 모델에서는 스틸 현 어쿠스틱 기타에서 일반적인 14 프렛 위치 접합을 채용한 것도 보인다.

넥 폭은 스틸 현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에 비해 훨씬 넓으며, 기타 중에서도 가장 폭이 넓다. 이는 클래식 기타에 장착된 나일론 현이 어쿠스틱 기타나 일렉트릭 기타보다 장력이 약하고, 현끼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 3. 바디

바디(Body영어)는 울림통이라고도 불리며, 기타줄의 소리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타 제작에서 가장 까다로운 부분으로, 재료 선택과 처리가 쉽지 않다. 바디 제작 방식에 따라 기타의 음색, 음량, 여운의 길이 등이 달라진다.

바디는 상판, 측판, 후판으로 구성된다. 상판은 주로 가문비나무나 시더와 같은 원목으로 만들어지며, 측후판은 로즈우드, 마호가니, 자카란다 등으로 만들어진다. 특히 상판의 구조는 기타 소리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마티아스 다만이 개발한 더블탑, 그렉 스몰맨이 개발한 래티스 등의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클래식 기타의 몸체는 사운드 홀을 통해 몸체의 진동을 울리는 공명실로, 앰프없이 기타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준다. 사운드 홀은 일반적으로 기타 상판(현 아래)에 있는 단일 둥근 구멍이지만, 구멍의 위치, 모양 또는 개수가 다른 경우도 있다. 악기가 얼마나 많은 공기를 움직일 수 있는지에 따라 최대 볼륨이 결정된다.

클래식 기타 몸체의 앞판, 뒷판 및 옆판은 매우 얇기 때문에, 측판이 앞판과 뒷판을 만나는 모서리에 "커핑"이라고 불리는 유연한 나무 조각을 접착한다. 이 내부 보강은 이러한 모서리 접합부에 5~20mm의 견고한 접착 영역을 제공한다.

최종 제작 과정에서 바깥쪽 모서리의 작은 부분이 조각되거나 라우팅되어 제거되고 바깥쪽 모서리에는 바인딩 재료가 채워지며, 바인딩 옆에는 "퍼플링"이라고 불리는 장식용 재료 스트립이 채워진다. 이 바인딩은 앞판과 뒷판의 목리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바인딩 및 퍼플링 재료는 일반적으로 나무 또는 고품질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클래식 기타의 브릿지는 현의 진동을 사운드보드로 전달하여 기타 내부의 공기를 진동시켜 현에서 생성된 소리를 증폭시킨다. 또한 브릿지는 몸체에 현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브릿지에서 현을 지지하는 뼈나 플라스틱 조각인 새들의 위치는 너트(지판 상단)까지의 거리를 결정한다.

3. 3. 1. 상판

상판은 일반적으로 원목으로 만들어진다. 기타줄의 소리를 받아 울림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초저가형 악기를 제외하고는 원목을 사용한다. 주로 가문비나무나 시더를 사용한다.

  • 더블탑: 얇은 두 판 사이에 벌집 모양 Nomex 판을 끼워넣고 붙여 가볍고 튼튼한 상판을 만드는 방식이다. 마티아스 다만(Matthias Dammann)이 개발했으며, 소리가 커지고 원달력이 향상되며, 구조상 변형과 파손에 강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한 번 파손되면 상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 수리하기 어렵고, 제작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55] 게르노트 바그너(Gernot Wagner)는 노맥스 판을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55]
  • 래티스: 그렉 스몰맨(:en:Greg Smallman)이 개발하였다. 앞판을 극단적으로 얇게 만들고 측후판을 두텁게 만들어 기타를 일종의 스피커처럼 만드는 방식이다. 앞판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격자형 버팀목을 설치하여 래티스라 불린다. 음량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2013년 게르노트 바그너(Gernot Wagner)가 제작하여 제이슨 비오(Jason Vieaux)가 소유한 현대식 "더블 탑" 구조 기타.


기타 상판, 즉 사운드 보드는 정교하게 제작되고 설계된 요소로, 종종 가문비나무 또는 레드 시더로 만들어진다. 기타의 음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토레스, 하우저, 라미레즈, 플레타, C.F. 마틴 등 여러 악기 제작자들이 다양한 나무 브레이싱 패턴을 사용해 왔다. 일부 현대 기타 제작자는 "더블 탑"과 같은 새로운 구조 개념을 도입하기도 한다.

안토니오 데 토레스 후라도는 1862년에 기타의 소리를 내는 것은 악기의 뒷면과 측면이 아니라 상판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뒷면과 측면이 종이 반죽으로 만들어진 기타를 만들기도 했다.

3. 3. 2. 측후판

측후판에는 다양한 나무가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로즈우드 계열, 특히 북인도황단이 주로 사용된다. 저가형에는 동남아산 마호가니로 만든 합판이 사용된다. 브라질흑황단(하카란다), 온두라스황단 등이 최고급 재료로 꼽히지만, 오랫동안 벌목되어 매우 희귀해졌고 규제도 강하다.[55] 브라질흑황단은 웅장하고 단단한 소리를 내며, 잘 다루면 최상의 소리를 들려주지만 사용하기 까다롭다. 대부분의 공방은 하카란다의 잠재력을 제대로 끌어내지 못하므로, 하카란다를 잘 다루는지 모른다면 인디언 로즈우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북인도황단은 브라질흑황단보다 다소 무르고 부드러운 소리를 내며, 측후판 재료로 가장 널리 쓰인다. 품질이 좋지 않은 브라질흑황단을 사용하거나 어설프게 다루는 것보다는 북인도황단을 사용하는 것이 낫다. 게다가 오늘날 하카란다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철도 침목, 통나무집, 침대, 테이블 등에 쓰였던 하카란다를 재가공하여 기타 재료로 사용하는 실정이어서 고품질 하카란다를 구하기는 매우 어렵다.[55]

  • 더블백: 후판은 전판의 울림을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데, 후판 뒤에 다른 후판을 덧대어 후판의 음향 반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이다. 뒤쪽 후판은 음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합판을 주로 사용한다. 마누엘 콘트레라스가 1970년대에 처음 선보였으며, '더블타파(doble tappa)'라고 불렀다.[55]
  • 더블사이드: 얇은 측판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앞판 울림에 대한 측판 자체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구조이다.[55]

4. 품질

클래식 기타의 품질은 음향, 재료, 제작 기술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기타의 음향은 다니엘 프레드리히(Daniel Friedrich)와 같은 명장이 제시한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재료(원목, 합판)와 제작 방식(수제, 폴리우레탄/셸락 코팅)에 따라서도 품질이 달라진다.

4. 1. 음향

프랑스의 명장급 제작가 다니엘 프레드리히(Daniel Friedrich)가 꼽은 좋은 클래식 기타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음량, 원달력
  • 여운의 길이
  • 음량, 음색의 균일성
  • 음색 (소리의 품질과 특색)
  • 베이스와 트레블 사이의 균형
  • 연주의 편의성
  • 음질의 균일성
  • 반응성, 민감성의 정도
  • 소리의 어택의 정도
  • Contrast (하프시코드에 가까운지 피아노에 가까운지), 음량 범위
  • 배음 공명의 정도
  • 소리의 선명함, 둔탁함
  • 버징의 존재 유무
  • 음 높낮이의 정확함

4. 2. 등급

클래식 기타의 등급은 원목, 합판의 사용 비율에 따라 나뉜다. 앞판, 옆판, 뒷판 모두 원목을 사용하면 올솔리드(올솔), 앞판만 원목을 사용하면 탑솔리드(탑솔)라고 부르며, 저가형 제품은 합판만을 사용한다. 원목 비중이 높을수록 소리는 좋아지지만 관리가 어려워진다.

수제 기타는 제작 방식과 재료에 따라 콘서트급과 중저가형으로 나눌 수 있다. 중저가형은 폴리우레탄 코팅을, 고가형은 주로 쉘락(:en:Shellac) 코팅을 사용한다. 폴리우레탄 코팅은 튼튼하고 흠집이 잘 나지 않으며 기타의 갈라짐을 방지하지만, 쉘락보다 두껍고 소리를 흡수하여 소리 품질이 떨어진다. 쉘락은 얇게 칠하면 울림이 좋지만, 두껍게 칠하면 갈라질 위험이 있고,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나이트로셀룰로스 래커 코팅은 클래식 기타에서는 콘서트급 기타에 드물게 사용된다.

5. 부속품

클래식 기타 연주에는 다음과 같은 부속품들이 사용된다.


  • '''기타줄''': 가죽으로 만든 거트현과 나일론현이 주로 사용된다. 탄소섬유를 섞은 카본현이나 티타늄을 섞은 티타늄현도 사용된다.
  • '''발판, 받침대''': 클래식 기타는 넥을 치켜세우는 자세로 연주하기 때문에 발판, 무릎 받침대, 무릎 방석 등을 사용하여 넥의 각도를 조절한다.
  • '''케이스''': 클래식 기타는 구조적으로 약하고 습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하드 케이스나 폼 케이스에 보관하여 보호한다.
  • '''댐핏''': 기타 울림통에 장착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로, 기타 목재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5. 1. 기타줄

클래식 기타의 줄은 크게 가죽으로 만든 거트현과 나일론현으로 나뉜다. 과거에는 거트현이 쓰였는데, 고전음악에 어울리며 지두탄현에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 거트현과 유사한 특성을 재현하기 위해 나일론현의 겉을 거칠게 처리한 렉티파이드현이라는 제품이 있고, 나일론현의 겉부분을 고운 사포로 갈아도 비슷한 느낌을 재현할 수 있다. 카본현은 나일론현에 탄소섬유를 섞은 것으로, 나일론현에 비해 장력이 세고 얇으며 약간 불투명하고 여운이 길다. 나일론 3번 줄은 두께가 유난히 두꺼워 연주자의 취향에 따라 3번 줄에 카본을 쓰거나 2, 3번 줄에 카본을 쓰기도 하며 티타늄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티타늄현은 나일론현에 티타늄을 섞은 것으로, 순수 나일론현과 카본현의 중간 특성을 갖는다. 약간 보라색을 띤다.[49]

5. 2. 발판, 받침대

클래식 기타는 통기타와는 달리 연주 시에 넥을 치켜세우는 자세로 연주한다. 이를 위해 발판, 무릎 받침대, 무릎 방석 따위를 이용하여 넥의 각도를 맞춘다.

5. 3. 케이스

클래식 기타는 구조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쓰러지면 헤드에 금이 가고, 부딪히면 바디가 손상된다. 특히 합판을 쓴 중저가형 악기보다 원목을 쓴 고가형 악기가 더더욱 취약하다. 또한 고가형일수록 적정 습도를 유지해야 기타가 상하지 않는데, 밀폐가 잘 되는 하드 케이스에 보관하면 방 전체의 습도를 맞추지 않아도 기타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강도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하드 케이스는 폼 케이스라고 부르는데, 일상적인 상황의 가벼운 부딪힘은 충분히 방어할 수 있으면서도 무게는 훨씬 가볍다.

5. 4. 댐핏

기타의 울림통에 장착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내부에서 습기를 발산하는 재질에 물을 공급한 다음에는 물기를 전부 제거해야, 물이 기타 목재에 들어가서 기타 소리를 안 좋게 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6. 관리 및 수리

클래식 기타는 충격과 습도에 특히 취약하므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저가형 합판 기타는 약간의 습도 관리로도 충분하지만, 원목 비중이 높을수록, 고급 제품일수록 더 섬세하게 관리해야 한다.[32]

소프트 케이스보다는 하드 케이스가 좋으며, 부득이하게 소프트 케이스를 사용해야 한다면 얇은 천 케이스보다는 충격 흡수재가 두텁게 보강된 긱백이 충격 보호에 더 유리하다. 습도 관리에는 지퍼로 잠그는 폼 케이스보다는 꽉 맞물려 잠기는 하드 케이스가 유리하다. 하드 케이스 중에는 멜빵이나 손잡이가 없는 경우도 있으니 구매 시 확인하는 것이 좋다.

습도 관리는 습할 때와 건조할 때로 나눌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여름, 특히 장마철에는 습하고 겨울에는 건조하므로 두 경우 모두 대비해야 한다. 제습을 위해 실리카 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제습 능력이 아주 강력하지는 않으므로 장마철에는 케이스 안에 150g 이상을 넣고 습도계를 통해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염화칼슘 제습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물이 흘러나와 기타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고 특유의 냄새가 기타에 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진한 향기가 중요한 하카란다 측후판을 사용한 악기에는 염화칼슘 제습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겨울철에는 댐핏을 사용하면 좋은데, 가습 물질에 물을 첨가한 후에는 외부 물기를 철저히 제거해야 기타가 물에 닿아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가습기나 제습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가격 부담이 있을 수 있다. 난방을 약하게 하면 습도 유지에 도움이 된다.

쉘락 코팅은 땀과 체온에도 변질될 수 있으므로, 연주 후에는 기타용 수건으로 닦아주어야 한다. 맨살이 닿으면 고온으로 인해 하얗게 변색될 수 있어 미관상 좋지 않다.

줄을 교체할 때마다 지판에 기름칠을 해주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레몬 오일을 많이 사용하지만 미네랄 오일도 괜찮다. 단, 클렌징 오일처럼 세척 목적의 첨가물이 들어있는 오일은 기타에 해로울 수 있다. 지판에 때가 끼어있다면 기름칠 전에 줄을 풀고 칫솔 등으로 깨끗하게 제거해야 한다. 때는 장마철 등 습도가 높을 때 습기를 머금어 기타에 해롭다.

버징은 프렛을 잡고 소리낼 때 다른 프렛에 닿아 '즈즈즈'하는 소리가 나는 현상이다. 습도 관리 문제로 넥이 휘거나 상현주, 하현주의 높이가 맞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지만, 프렛이 불규칙하거나 너무 높을 때도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프렛을 교체해야 하는데, 일반인이 직접 하기에는 어려우므로 악기 공방이나 전문 수리점에 맡기는 것이 좋다.

클래식 기타 수리에는 과거에 아교가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성능이 좋은 목공 본드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쉘락 코팅이 손상된 경우에는 코팅을 다시 하거나, 우레탄 코팅을 쉘락 코팅으로 교체하여 소리 향상을 꾀하기도 한다. 보통 악기 수리 업체나 클래식 기타 공방에 수리를 의뢰한다.

7. 수명

클래식 기타는 현악기 중에서 수명이 짧은 편이다. 바이올린 등에 비해 구조가 취약하고 복잡하며, 판이 얇기 때문이다. 드물게 100년 이상을 버티기도 하지만, 콘서트급 기타는 적절히 관리해도 보통 20~40년이면 수명이 다한다. 하지만 수명이 다하지 않았다면 에이징이 충분히 되어 신품보다 좋은 소리를 들려주기도 한다. 전문 연주자에게 혹사당한 기타는 수명이 빨리 다하는 경향이 있어, 최고급 클래식 기타를 중고로 구매할 때 주의해야 한다.[32]

특히 앞판의 두께가 수명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앞판이 얇으면 적은 힘으로도 소리가 잘 나고 에이징이 빠르며, 앞판이 두꺼우면 충분한 힘이 가해져야 소리가 잘 나고 에이징이 느리다. 그리고 시더가 스프러스보다 수명이 짧은 편이다.

기타의 수명이 다한다는 것은 기타가 부러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에이징이 지나치게 되어 소리가 너무 커져 통제 불능이 되거나, 음색의 퀄리티가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습도가 나쁜 환경에서 기타를 보관하면 수명이 빠르게 줄어든다. 나무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며 접착 상태가 나빠지기 때문이다. 부적절한 습도는 전판 갈라짐, 지판 깨짐, 전판 부풀어오름, 넥 휨 등 눈에 보이는 파손이 없더라도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전문 연주자에게 혹사당하지 않은 기타는 주로 좋지 않은 습도 환경 때문에 수명이 줄어든다.

8. 연주 분야

클래식 기타는 클래식 음악 외에도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보사노바에서는 조앙 질베르투, 바덴 파월 등이 클래식 기타를 사용하여 특유의 음색을 만들었다. 탱고에서는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작품들이 클래식 기타로 연주되며, 특유의 리듬 연주 방식이 특징이다.

재즈에서는 팻 메시니, 와타나베 카즈미 등 많은 기타리스트가 클래식 기타를 사용하며, 플라멩코에서는 파코 데 루시아 등이 특유의 주법으로 클래식 기타를 연주한다.

컨트리 음악에서는 윌리 넬슨 등이 클래식 기타를 사용했으며, 고가 마사오의 곡을 클래식 기타로 연주하는 것이 유행하기도 했다. 랜디 로즈, 스티브 하우 등 대중 음악 연주가들도 클래식 기타의 영향을 받았다.

8. 1. 클래식 음악

바로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클래식 기타 작품이 작곡되었다. 18세기 후반, 클래식 기타를 위해 특별히 작곡된 음악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페르난도 소르와 마우로 줄리아니와 같은 초기 작곡가들은 빈 고전주의의 영향을 받은 스타일로 작곡했다. 19세기에는 요한 카스파르 메르츠와 같은 작곡가들이 피아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19세기 말, 프란시스코 타레가를 중심으로 기타는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하기 시작했으며, 그는 플라멩코의 무어적 영향을 낭만적인 소품에 통합하기도 했다.

20세기에는 아구스틴 바리오스 망고레와 에이토르 빌라-로보스가 라틴 아메리카 음악의 특징을 주류로 가져왔다. 안드레스 세고비아페데리코 모레노 토로바, 호아킨 로드리고, 마누엘 폰세 등 여러 작곡가에게 작품을 위촉했다. 줄리안 브림은 윌리엄 월튼, 벤자민 브리튼 등 영국 작곡가들이 기타를 위한 중요한 작품을 쓰도록 했다.

뉴 플라멩코 분야에서는 파코 데 루치아의 작품과 공연이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호아킨 로드리고의 ''아랑후에스 협주곡''과 ''신사를 위한 환상곡''을 포함하여 여러 클래식 기타 협주곡이 널리 알려져 있다.

8. 2. 보사노바

클래식 기타는 보사노바에서 많이 사용된다.[47] 바덴 파월과 조앙 질베르투가 대표적인 보사노바 연주자이다.[47] 보사노바에서는 현이 지판에 부딪히며 떨리는 특유의 소리를 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그래서 일부 보사노바 기타는 일부러 현의 높이를 낮게 조정하여 이 소리가 나도록 만들기도 한다.[47]

8. 3. 탱고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작품인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봄·여름·가을·겨울은 오늘날 클래식 기타의 주요 레퍼토리 중 하나가 되었다. 천사의 밀롱가, 천사의 죽음 등도 인기곡이다. 탱고 특유의 저음현 리듬 연주 방식이 특징적이다.

8. 4. 재즈

팻 메시니, 와타나베 카즈미 등 많은 재즈 기타리스트들이 클래식 기타를 사용한다.[50] 와타나베 카즈미는 클래식 기타리스트 후쿠다 신이치와 듀오를 결성한 적도 있다. 릿토 뮤직, 도레미 악보 등 대형 출판사에서 클래식 기타용으로 편곡된 재즈 솔로 악보가 다수 출시되고 있으며, 이 경우 전통적인 오선보 외에도 타브 악보가 병기되는 경우가 많다.

8. 5. 플라멩코

플라멩코는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의 민족 음악 및 무용으로, 플라멩코 기타는 흰색(사이드백이 시프러스)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44] 플라멩코 테크닉은 라스게아도를 연주할 때 네 손가락의 업 스트로크와 엄지의 다운 스트로크를 사용한다. 현은 손가락 끝의 안쪽 살뿐만 아니라 바깥쪽 손톱 면으로도 긁는다.[45]

NHK에서 방송된 "오늘 밤 플라멩코를 극복하다!(2002년 방송)"에서는 알함브라 궁전 근교에 있는 안토니오 마린 공방이 등장하는데, 여기서 플라멩코 기타리스트 안토니오 곤잘레스는 흰색 플라멩코 기타를 사용하여 플라멩코 기타 주법을 소개했다. 파코 데 루시아, 비센테 아미고, 토마티토 등은 대중 음악 연주가로서 레코딩 활동을 하는 플라멩코 기타리스트들이다.

8. 6. 그 외

컨트리 음악에서는 윌리 넬슨이나 체트 앳킨스 등이 클래식 기타를 빈번하게 사용했다. 윌리 넬슨은 플랫 픽을 사용한 주법으로, 애용하는 악기의 사운드 홀 아래쪽은 피킹으로 깎여서 바디 탑에 관통공이 생겼다.[47]

여성 기타리스트로는 뮤리엘 앤더슨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클래식 기타를 주로 사용하지만, 때때로 더블 넥 기타를 사용하는 등 혁신적인 연주도 한다.[47]

1950년대에는 고가 마사오의 곡을 클래식 기타로 연주하는 것이 유행했다. 또한, 당시 엔카를 연주하는 거리의 악사가 사용하던 기타도 클래식 기타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그 당시 일본에서는 아직 클래식 기타 제작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양질의 기타는 적었다.[47]

클래식 음악으로서의 클래식 기타에 영향을 받은 대중 음악 연주가도 많다. 대표적인 예로 랜디 로즈, 스티브 하우 등이 있다.[47]

B'z마츠모토 타카히로는 「모 한번 키스하고 싶었어」의 마지막 부분에서 거트 기타의 다중 녹음을 시도하고 있다.[47]

또한, 1980년대에 활약한 록 밴드 BOØWY의 「JUSTY」의 기타 솔로 파트에서도 클래식 기타가 채용되고 있다(라이브 연주에서는 호테이 토모야스가 일렉트릭 기타 한 대로 편곡했다).[47]

9. 한국의 클래식 기타

1950년대에는 고가 마사오의 곡을 클래식 기타로 연주하는 것이 유행했다. 또한, 당시 엔카를 연주하는 거리의 악사들이 사용하던 기타도 클래식 기타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그 당시 일본에서는 아직 클래식 기타 제작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양질의 기타는 적었다.[51]

참조

[1] 웹사이트 "The term Spanish guitar has been used differently across the centuries in different countries. Today it is often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classical guitar and is certainly not limited to instruments made in Spain" https://www.metmuseu[...] Daniel Wheeldon. Department of Musical Instruments,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 웹사이트 Classical vs. Flamenco Guitar Construction http://www.fernandez[...]
[3] 웹사이트 FAQ about Classical Guitars and Flamenco Guitars http://www.zavaletas[...] Zavaleta's La Casa de Guitarras 2008-12-25
[4] 웹사이트 Les guitares classiques du Musée de la musique (almost 200 classical guitars) http://mediatheque.c[...]
[5] 웹사이트 SEGOVIA, Andres: 1950s American Recordings, Vol. 4 http://www.naxos.com[...] Graham Wade 2010-05-30
[6] 웹사이트 Early Romantic Guitar Period Technique http://www.earlyroma[...]
[7] 웹사이트 Early Classical Guitar and Early Romantic Guitar Time Period http://www.earlyroma[...]
[8] 웹사이트 Function, Construction and Quality of the Guitar http://www.speech.kt[...] 1983
[9] 웹사이트 Museum of Fine Arts, Boston: Collection Search Results http://www.mfa.org/c[...] 2018-04-15
[10] 웹사이트 ref Guitar {{!}} Matteo Sellas{{!}}All{{!}}Musical Instruments http://www.metmuseum[...]
[11] 웹사이트 The Hector Berlioz Website – La Côte Saint-André Berlioz's birthplace http://www.hberlioz.[...] 2018-04-15
[12] 웹사이트 The myth of Schubert and the Guitar, An article seeking to clarify what relationship Schubert may – or may not – have had with the guitar http://www.jacaranda[...] 2018-04-15
[13] 웹사이트 The Romance of the Guitar http://digitalguitar[...] A. Segovia 1930-05
[14] 웹사이트 PAGANINI: Guitar Music http://www.naxos.com[...] 2018-04-15
[15] 서적 The Guitar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Day) Batsford 1978
[16] 서적 The Guitar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Day) Batsford 1978
[17] 서적 Secrets From The Masters GPI Books
[18] 웹사이트 Changes by Elliott Carter http://www.boosey.co[...] Boosey & Hawkes
[19] 웹사이트 Codex I by Cristóbal Halffter http://www.universal[...] Universal Edition
[20] 웹사이트 Sequenza XI by Luciano Berio http://www.universal[...] Universal Edition
[21] 웹사이트 Sette Studi by Maurizio Pisati http://www.ricordi.i[...] Ricordi
[22] 웹사이트 Si Le Jour Paraît by Maurice Ohana http://www.billaudot[...] Billaudot
[23] 웹사이트 Ricordi http://www.ricordi.i[...] 2018-04-15
[24] 웹사이트 Suite für Guitarre, Op. 164 by Ernst Krenek http://www.doblinger[...] Doblinger Musikverlag
[25] 웹사이트 Algo: Due pezzi per chitarra by Franco Donatoni http://www.esz.mgsdc[...] Edizioni Suvini Zerboni
[26] 웹사이트 Variazioni notturne - Paolo Coggiola - 2016 - Partiture Cartacee - vari - PreludioMusic - Shop on-line http://www.preludiom[...] 2019-02-14
[27] 웹사이트 Kurze Schatten II by Brian Ferneyhough http://www.edition-p[...] Edition Peters
[28] 웹사이트 away from by Sven-David Sandström http://www.gehrmans.[...] Gehrmans Musikförlag
[29] 웹사이트 Sheer Pluck http://www.sheerpluc[...]
[30] 웹사이트 Sound and Music http://soundandmusic[...] 2018-04-15
[31] 웹사이트 Australian Music Center http://www.australia[...]
[3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Bernard Hebb http://www.v4m.net/G[...]
[33] 웹사이트 The Guitar {{!}} Essay {{!}} Heilbrunn Timeline of Art History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http://www.metmuseum[...] 2017-04-08
[34] 웹사이트 The Guitar's History https://guitarsumo.c[...] 2019-07-28
[35]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al Instruments Macmillan Press Limited 1984
[36] 서적 Libro de música de vihuela de mano intitulado El maestro
[37] 웹사이트 The Royal College Dias – guitar or vihuela? http://www.vihuelade[...] 2006-04-20
[38] 서적 Encyclopaedic Dictionary of World Musical Instruments https://books.google[...] Global Vision Pub House
[39] 서적 The Classical Mandolin
[40] 웹사이트 Gallery of Dated Instruments http://www.earlyroma[...] 2018-04-15
[41] 웹사이트 Gaetano Vinaccia Biography http://www.guitarhis[...] 2019-04-26
[42] 웹사이트 Stalking http://www3.uakron.e[...] 2018-04-15
[43] 문서 The guitars built by Antonio de Torres still had friction pegs
[44] 웹사이트 Mastering the Dedillo http://www.ralphmaie[...] 2018-04-15
[45] 웹사이트 A 1992 interview of Štěpán Rak by Graham Wade http://www.egta.co.u[...] 2013-05-30
[46] 웹사이트 Classical Guitar Lessons https://nationalguit[...] 2018-04-15
[47] 문서 The little finger whose use is not completely standardized in classical guitar technique can also be found designated by e or x. There are several words in Spanish for the little finger: dedo meñique, dedo auricular, dedo pequeño, but their initials conflict with the initials of the other fingers. C is said to be the initial of the dedo chiquito which is not the most common name for the little finger. E and X are not initials, but letters that were picked, each with its own rationale, by people who didn't know what else to pick
[48] 웹사이트 Mertz — Bardenklänge books 1-13 https://s9.imslp.org[...] Vienna: Haslinger 2022-02-02
[49] 웹사이트 Guitar acoustics http://www.phys.unsw[...] 2018-04-15
[50] 웹사이트 Fretted instrument terminology: An Illustrated Glossary http://www.frets.com[...] 2018-04-15
[51] 웹사이트 Parts of the Classical Guitar (Names, Descriptions, & Images) https://richterguita[...] 2022-01-14
[52] 서적 Handbook of Materials for String Musical Instrumen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08-03
[53] 웹사이트 Guitar scale length http://www.hago.org.[...]
[54] 문서 Richard Chapman, "The New Complete Guitarist", p. 10 left
[55] 웹인용 The origin of the double top guitar design {{!}} Classic Guitars International https://www.classicg[...] 2020-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