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공은 도로, 철도, 댐, 제방, 운하 등을 건설하거나 부지의 지형을 변경하고 사면을 안정화하기 위해 흙을 파고 쌓는 작업을 의미한다. 토공은 재료의 종류(표토, 토사, 암반 등)와 목적(박토, 도로 굴착, 기초 굴착 등)에 따라 분류되며, 중장비를 사용하여 토량 계산 및 계획을 통해 진행된다. 또한 군사적 목적으로도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간척 및 매립을 통해 토지를 조성하는 데 기여해왔다. 조경에서는 지형을 조성하여 공간의 쾌적성과 매력을 높이는 데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공 - 마사토
    마사토는 화강암 풍화토로 석영, 장석, 운모 등 다양한 광물 입자가 섞여 있고 입자 크기가 불균일하며 약산성을 띠는 서일본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흙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토사 재해나 액상화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토공 - 시추 (토공)
    시추는 토목 공학에서 암석이나 토양을 뚫는 기술이며, 지층에 따라 드릴 비트를 선택하여 굴착하고, 시료를 채취하여 암석의 특성을 파악한다.
  • 방어용 건축의장 - 망루
    망루는 감시 및 경계를 위해 사용되는 탑 형태의 건축물로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시대와 지역에서 군사적, 비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 방어용 건축의장 - 성곽
    성곽은 요새화된 장소의 방어를 위해 구축된 구조물로, 시대에 따라 흙, 돌, 벽돌, 두꺼운 벽 등의 재료와 형태를 달리하며 군사 기술과 건축 양식의 발전을 보여준다.
  • 토목공학 - 마추 픽추
    페루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마추픽추는 15세기 잉카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80년간 사용된 후 버려진 유적으로, 1911년 하이럼 빙엄 3세에 의해 세상에 알려진 후 "잉카의 잃어버린 도시"라 불리며 세계적인 관광 명소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토목공학 - 환경공학
    환경공학은 인류가 환경 조건을 수정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하수도 시스템에서 비롯되어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와 함께 독립된 학문 분야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계되어 있다.
토공
개요
정의토공은 지표면의 형태를 바꾸는 공학 작업이다. 이는 흙이나 암석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도로, 철도, , 제방, 운하 등의 건설에 사용된다.
과정토공은 채굴, 매립, 압축, 경사 등의 다양한 기술을 포함한다.
목적토공의 주요 목적은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필요한 지형을 조성하며, 배수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다.
종류
절토절토는 지면을 깎아내는 작업으로, 도로 건설 시 언덕이나 경사면을 평탄하게 만드는 데 사용된다.
성토성토는 흙을 쌓아 지면을 높이는 작업으로, 낮은 지대에 도로를 건설하거나 제방을 쌓는 데 사용된다.
운반운반은 깎아낸 흙이나 쌓을 흙을 다른 장소로 옮기는 작업으로, 덤프트럭, 굴삭기 등의 장비가 사용된다.
다짐다짐은 흙을 단단하게 압축하는 작업으로, 지반의 안정성을 높이고 침하를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지반 개량지반 개량은 연약한 지반의 강도를 높이는 작업으로, 치환, 압밀, 고결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시공
계획토공 계획은 지형 조사, 지반 조사, 토량 계산 등을 포함한다.
장비토공에는 굴삭기, 불도저, 덤프트럭, 롤러 등의 다양한 건설 장비가 사용된다.
안전토공 작업은 붕괴, 낙하, 장비 사고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 관리가 중요하다.
환경토공 작업은 먼지, 소음, 진동 등의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환경 보호 대책이 필요하다.
다른 공학 분야와의 관계
지반 공학토공은 지반 공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지반의 특성을 파악하고 적절한 공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리학토공은 수리학과도 관련이 있으며, 배수 시설을 설계하고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조 공학토공은 구조 공학과도 관련이 있으며, 옹벽, 사면 안정 등의 구조물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용어
토공의 주요 재료
암석토공의 재료 또는 제거 대상
지반토공의 대상이 되는 땅
사면흙이나 암석으로 이루어진 경사면
옹벽사면의 붕괴를 막기 위해 설치하는 구조물
제방홍수를 막기 위해 쌓는 둑
맺음말
중요성토공은 사회 기반 시설 건설에 필수적인 작업이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공을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2. 토목용

일반적인 토공 작업에는 도로, 철도 부지, , 제방, 운하, 사면 அமைத்தல்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부지의 지형을 재구성하거나 경사면을 안정화하기 위한 부지 정지 작업도 토공사에 포함된다.

2. 1. 굴착

토공 장비 (1922년경)


평탄화 및 수평 조정된 건설 현장. 배경의 로드 롤러


굴착은 재료나 목적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8][1]

일반적인 토공사는 도로 건설, 철도 노반, 둑길, 댐, 제방, 운하 및 둔덕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반적인 토공사는 현장의 지형을 재구성하거나 경사를 안정화하기 위한 토지 정지 작업이다.

2. 1. 1. 재료에 따른 분류

토공은 재료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

  • 표토 굴착
  • 토사 굴착
  • 암반 굴착
  • 뻘 굴착 - 일반적으로 과도한 물과 부적합한 토양을 포함한다.
  • 분류되지 않은 굴착 - 여러 재료 유형이 섞여 있는 경우이다.

2. 1. 2. 목적에 따른 분류

토공은 그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1][8]

  • 박토
  • 도로 굴착
  • 배수 또는 구조물 굴착
  • 교량 굴착
  • 수로 굴착
  • 기초 굴착
  • 토취장 굴착
  • 준설 굴착
  • 지하 굴착

2. 2. 성토

전형적인 토공에는 도로, 철도 부지, , 제방, 운하, 견치차도 등이 포함된다. 그 외 일반적인 토공은 토지의 지형을 재구성하거나 사면을 안정시키기 위한 토지 채취 등이 있다.

지오폼은 몬트리올 인근 연약 지반 위에 교량 고가도로를 건설하는 데 사용되는 새로운 경량 토공 기술이다.

2. 3. 지반 공사 구조물

기계적 토질 안정 공법

어스 앵커

절벽 안정화

그라우트 커튼

옹벽

슬러리 월

소일 네일링

타이백

트렌치 쏘링

케이슨



돌망태

지반 동결

그라우트 커튼

3. 군사용

군사공학에서 토공사는 흙으로 건설된 요새 유형이다. 흙은 강하지 않지만, 엄청난 양을 사용할 수 있을 만큼 가격이 저렴하여 강력한 구조물을 만들어낸다. 오래된 토공사 요새의 예로는 해자, 잔디 벽, 모트 앤 베일리 성, 언덕 요새 등이 있다. 현대의 예로는 참호전의 참호와 보루가 있다.

3. 1. 역사적 요새

군사공학에서 토공사는 흙으로 축조된 요새의 한 유형이다. 흙은 강도가 높지 않지만, 막대한 양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저렴하여 강력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오래된 토공 요새의 예로는 해자, 잔디 방어벽, 토루와 성벽이 있는 성, 언덕 요새 등이 있다. 현대의 예로는 참호전의 참호와 보루가 있다.

독일의 인공 해자와 성벽 - 기원전 300년 이전의 선사 시대

3. 2. 현대적 요새

현대의 토공 요새로는 참호전의 참호와 보루가 있다.

4. 장비

일반적으로 토공사에는 수백만 입방 미터에 달하는 대량의 자재를 옮겨야 하기 때문에 중장비가 사용된다. 토공 건설은 (프레즈노) 스크레이퍼와 로더, 덤프트럭, 그레이더, 불도저, 백호, 드래그라인 굴착기와 같은 토공 기계의 개발로 혁신을 이루었다.[1]

5. 토공량 산출 및 계획

일반적인 토공사는 도로, 철도 노반, 둑길, 댐, 제방, 운하 및 둔덕 건설 등을 포함한다. 현장 지형을 재구성하거나 경사면을 안정화하기 위한 토지 정지 작업도 토공사에 해당한다.[1]

1907년경 촬영된 파나마 운하 건설 사진, 7,600만 입방 미터 이상의 토사 굴착(토사 붕괴로 인해 계획에 2,300만 입방 미터 추가)이 굴착되었다.


엔지니어는 토질역학 문제(토양 밀도 및 강도 등)와 절토의 토양 부피가 성토의 토양 부피와 일치하도록 하면서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량 추정에 신경 써야 한다. 과거에는 계산자와 심슨 공식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계산했지만, 현재는 컴퓨터와 특수 토목 공학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운반 거리뿐만 아니라 운반 비용에 대한 최적화까지 수행할 수 있다. (운반 비용은 운반 거리에 비례하지 않기 때문이다.)[2][9] 토공 비용은 운반량 x 운반 거리의 함수이며, 매스 홀 계획의 목표는 이러한 양을 결정하는 것이고 매스 홀 최적화의 목표는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토공사에서의 토량 계산에는 제방 등과 같은 선상 조성에 사용되는 "평균 단면법"과 면적 조성 토지에 사용되는 "점고법"(주상법, 메쉬법)이 있다.

평균 단면법은 종횡 단면도에 시공 전 기면 및 시공 기면을 그리고, 종횡 단면도에서 해당 공사의 절토 및 성토의 단면적을 플래니미터 등으로 계측하여, 인접하는 2측점의 평균 단면적에, 인접하는 2측점의 거리를 곱한 산출 결과의 총합 토량을 계산하는 수법이다. 특별한 소프트웨어 없이 간단한 작도로 절토량 및 성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인접하는 2측점의 횡단 단면적을 각각 A1, A2, ..., Am, An으로 하고, 그 단면 간의 거리를 각각 ℓ1, ℓ2, ..., ℓn으로 하면, 체적 V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과거에는 조성 공사에도 평균 단면법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컴퓨터·표 계산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경제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점고법이 주로 사용된다.

점고법은 성토 또는 절토할 부지를 정방형, 장방형, 또는 삼각형으로 분할하고, 각 교점의 높이를 계측하여 계획고와의 고저차를 산출하여 필요한 토량을 구하는 방법이다. 비교적 넓은 구역에서의 굴착 토량(절토량)이나 성토량을 산정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장방형 공식은 통상 20미터 이하의 일정 간격의 장방형으로 구분하여, 각 모서리의 높이를 측정하고, 구분된 사각 기둥의 체적을 네 모서리가 한 평면상에 있도록 하여 저면에 중심축의 높이, 즉 네 모서리의 높이 평균값을 곱하여 구하고, 전체 체적을 구한다. 각 모서리의 높이는 수준 측량을 통해 각 모서리의 표고(지반고)를 관측하고, 그 값에서 절취면(시공 계획고)의 표고를 빼는 방법으로 얻어진다.

장방형의 각주가 한 변의 길이를 각각 a, b로 하고, 1개, 2개, 3개, 4개가 공유하는 모서리의 높이를 각각 h1, h2, h3, h4로 하면, 전체 체적 V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여기서 ab는 1개의 각주 저면적이며, Σ1부터 Σ4는 각각 각 모서리의 공통하는 수치의 총합을 나타낸다.[16][17]

이 외에, 등고선이 있어 높이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등고선법을 이용하여 토량을 구할 수 있다. 등고선법은 절취 또는 굴착 계획면 위의 토량을 구하는 경우, 먼저 각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플래니미터 등으로 측정하여, 평균 단면법 등의 수법으로 계산한다.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마다 단면적이 되고, 등고마다의 높이가 인접하는 2측점의 거리가 된다.

이러한 토량 계산은 측량 분야에서는 응용 측량에 해당한다.

5. 1. 토공량 계산 소프트웨어

토공 소프트웨어는 CAD 소프트웨어의 하위 집합으로, 주로 절토 및 성토 부피를 계산하여 자재 및 시간 견적을 산출하는 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제품은 평면도에서 지형 고도를 추출하고, 음영 처리된 절토 및 성토 지도를 생성하며, 단면도를 생성하고 3D로 지형을 시각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3][4]

소프트웨어마다 부피 계산 방식은 다를 수 있으며, 동일한 입력 데이터로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많은 소프트웨어는 삼각 불규칙 네트워크(TIN) 및 삼각 기둥 부피 알고리즘을 사용하지만, 고밀도 격자 또는 단면을 기반으로 하는 다른 계산 방법도 사용된다.[5][6][7]

일부 프로그램은 토공 운송 최적화 및 건설 작업 계획에 특화되어 있다.

6. 한국의 토지 조성

조성·토지 조성이란, 어떤 토지를 이용할 목적을 가지고, 아직 이용하지 않거나 적게 이용하는 토지의 형질이나 형상에 기술적인 가공을 하는 행위이다. 가용 토지 면적이 적은 나라에서는 특히 농지나 주택지로 이용하기 위해, 옛날부터 수면의 간척이나 매립과 같은 토지 조성이 이루어져 왔다.


  • 매립지
  • 개척
  • 토지 개량구
  • 주택 조성지
  • 택지 조성
  • 택지 조성 및 특정 성토 등 규제법
  • 랜드 아트

6. 1. 역사

간척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일본에서는 규슈 북서부 시마바라만 만 안쪽에 위치한 아리아케해에서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간척이 시작되었다고 한다.[1] 에도 시대에는 신전 개발 정책에 따라 각지에서 간척이 진행되었으며, 성하 도시 오사카의 상인지를 비롯해 저습지 간척에 의한 성하 도시의 상인지 형성도 진행되었다.[1]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서양의 근대 기술 도입으로 제방을 비롯한 간척 기술도 발달하여, 오카야마현 남부의 고지마만 간척에서 볼 수 있듯이 간척 규모가 대형화되었다.[1] 전후에는 식량 증산의 일환으로 하치로가타를 비롯하여 국영 사업에 의한 대규모 간척이 진행되었다.[1]

매립의 역사 또한 오래되었으며, 이미 나라 시대에는 승려 교기가 축조했다고 하는 5개의 항구 중 하나인 오와다노토마리(현 고베항)에서 후나세라고 불리는 배의 정박지를 축조하기 위해 해면을 매립한 모습이 엿보이지만, 근세에 들어와서는 임해부에서의 성하 도시 건설에 따라 주택지를 확보하기 위한 매립이 진전되었다.[1] 그 후 메이지 시대에 들어서면서 항만 관련 용지 및 공업 용지로서의 매립이 진행되었고, 다이쇼 10년(1921년)에 공유 수면 매립법이 제정된 이후, 임해부의 매립이 본격화되었다.[1]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4대 공업 지대를 비롯한 공업 용지로서의 임해부 매립이 진행되어 중화학 공업이 집적하게 되었다.[1] 게이힌 공업 지대에 위치한 도쿄항에서는 이러한 근세 이래의 매립의 변천을 볼 수 있다.[1]

6. 2. 현대적 토지 조성

현대적 토지 조성은 미이용 또는 저이용 상태의 토지를 특정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술적인 가공을 하는 행위이다. 가용 토지가 부족한 나라에서는 농지나 주택지 확보를 위해 예로부터 수면의 간척이나 매립과 같은 토지 조성이 이루어져 왔다.

일본에서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아리아케해에서 간척이 시작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신전 개발 정책에 따라 각지에서 간척이 진행되었고, 성하 도시 오사카의 상인지를 비롯해 저습지 간척으로 성하 도시의 상인지가 형성되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서양의 근대 기술 도입으로 제방을 비롯한 간척 기술이 발달하여 고지마만 간척과 같이 대규모 간척이 이루어졌다. 전후에는 식량 증산의 일환으로 하치로가타 등 국영 사업에 의한 대규모 간척이 진행되었다.

매립 또한 오래되었는데, 나라 시대에 승려 교기가 오와다노토마리(현 고베항)에 후나세라는 배의 정박지를 만들기 위해 해면을 매립했다. 근세에는 임해부 성하 도시 건설에 따라 주택지 확보를 위한 매립이 이루어졌다. 메이지 시대에는 항만 및 공업 용지 매립이 진행되었고, 1921년 공유 수면 매립법 제정 이후 임해부 매립이 본격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4대 공업 지대를 비롯한 공업 용지로서 임해부 매립이 진행되어 중화학 공업이 집적되었다. 게이힌 공업 지대의 도쿄항에서는 이러한 매립의 변천을 볼 수 있다.

6. 3. 조경에서의 토공

조경에서 수경(修景, :en:Landscaping)은 해당 토지의 가시적인 상황이나 특징을 변경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생태 요소와 같은 식물상이나 동물상, 예술이나 공예품과 같이 작품화를 목적으로 하는 식물을 성장시키는 경관으로서 아름다운 환경, 일반적으로 가드닝이라고 불리는 행위가 포함된다. 또한 지형, 지형의 형태나 고저차, 유역 등 자연적인 요소와 기후나 조명 조건과 같은 추상적인 요소도 포함된다. 조경은 원예, 예술적인 디자인과 같은 전문 지식부터 건설 시공에 관한 토목공학적인 것까지 다양한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한다.[10]

조경 설계는 조경 공간이라는 특징적인 대상을 다루기 때문에 다른 물리적 계획과는 다른 공간 시설에 대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자연과의 공존을 기반으로 한 공간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지방성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공간 평가와 시간적 추이에 따른 성장 등의 변화를 전제로 한 시간 계수를 넣은 계획을 필요로 한다.

조경 설계에서는 시간까지 포함한 종합적인 공간 평가와 공간 조성 (보전·정비·육성) 기술이 항상 요구된다. 또한, 토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사업이기 때문에, 조경 설계에서는 항상 토지를 읽는 기술이 요구되며, 그 조사가 선행될 것이 요구된다. 부지 분석·평가와 토지 이용의 선택은 조경 공간의 특징적인 기술에 의한 계획 전개이며, 부지 분석 등을 사용하여 토지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한 계획은 농업용 토지 이용 계획 등의 생산을 목적으로 한 계획뿐만 아니라, 자연 공원 계획 등의 레크리에이션 계획에서도 그 타당성을 증명해 왔다.

조경에서는 자연의 영력에 인간이 힘을 더하여 공간을 조성하고, 숙성시키는 기법의 개발과 실행이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조경 공사의 기초적 분야인 부지 조성 등에서 그 전형을 볼 수 있다. 토지의 조성 및 건설에는 연구와 관찰이 필요하며, 조경 수경 행위는 지역에 따라 변화한다.[11] 따라서 초기 단계에는 일반적으로 해당 지역의 자연에 대해 잘 아는 전문가의 참여가 권장된다. 조경 수경 사업 성공의 필수 조건 중 하나는 장소에 대한 이해이다. 지형, 토양의 질, 탁월풍, 짙은 안개의 상황, 원생 동식물계와 같은 다양한 자연적 특징을 고려해야 하지만, 때로는 토지가 조경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그러한 상황에서 조경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토지를 재형성해야 하는데, 이를 등급이라고 한다.[12] 경사면 상태로 대지를 파고 깎는 것은 굴착이라고 하며, 토양이 경사면에 추가되면 이를 채움이라고 한다.

조경업자는 우선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해당 토지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러프 디자인 및 레이아웃과 보고서를 작성하고, 다양한 연필로 그림 및 그래픽을 제작해야 한다.

조경 분야도 상당한 프로젝트에서는 자연 형성보다는 불도저, 잔디깎이, 또는 체인톱과 같은 기계 기술적 측면의 관심으로 향하고 있으며, 이들 없이 시작하는 프로젝트는 거의 없기 때문에 조경은 자연보다는 기술적이 되어가고 있다.[11][14] 다른 영역은 식물의 다른 자질을 가지고 있다. 과도한 양의 비료는 자연 경관으로 보이도록 그 목적을 위해 필요하다. 조경 사업에서는 어느 정도 대면적에 대한 관심을 끌기 위해 자갈과 다양한 크기의 바위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15]

6. 3. 1. 지형 조성

조경에서 지형 조성은 해당 토지의 가시적인 특징을 변경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이는 단순한 토목공사를 넘어선다. 여기에는 도로 건설, 철도 노반, 댐, 제방, 운하 등의 건설뿐만 아니라, 지형을 재구성하거나 경사를 안정화하는 토지 정지 작업도 포함된다.[10]

조경 설계는 자연과의 공존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토지 이용은 자연 시스템과 무관하게 성립될 수 없으며, 지방성과 시간적 변화를 고려한 계획이 필요하다. 조경 설계에서는 항상 토지를 읽는 기술이 요구되며, 부지 분석을 통해 토지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한다.[10]

토지 조성 및 건설에는 연구와 관찰이 필요하며, 각 지역의 자연적 특징(지형, 토양의 질, 탁월풍, 짙은 안개의 상황, 원생 동식물계 등)을 고려해야 한다.[11] 때로는 토지가 조경에 적합하지 않아 재형성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를 등급(grading)이라고 한다.[12] 등급 조정 단계에서는 폐기물 (매립지 제거를 포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토양과 암석을 설계 단계에서 고려해야 한다.[13]

조경에서 지형 조성은 원로, 광장, 놀이터, 식재 등 시설의 기반이 되는 토지를 형성하는 기능적 측면과 더불어, 쾌적하고 매력적인 공간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지형은 이용 목적에 따라 평탄하거나 완만한 경사를 이루기도 하고, 경관과 환경적 측면에서 변화를 주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조경에서의 지형 디자인은 직선적인 사면 대신 완만한 곡선을 기본으로 하며, 불룩하거나 오목한 지형을 조합하여 자연스러운 풍경을 만든다.

그레이딩(Grading)은 자연 지형과 유사하게 조성하는 조경 토공 기술이다. 이는 지형의 개변을 최소화하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더 나은 지형을 창조하는 적극적인 수단이기도 하다. 그레이딩을 통해 지표면은 의도된 목적에 맞게 조성되며, 생태적 균형과 자연 배수 시스템을 유지하고 토양 단면을 보전한다.

6. 3. 2. 라운딩

유럽과 미국에서는 도로 등과 관련된 지형 조성에서 "둥근 형태"를 만드는 지형 조성을 해왔는데, 이를 라운딩(rounding)이라고 한다. 토목 경관 항목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라운딩은 일본에 독일에서 도입된 기술이며, 최근 일본의 도로 조성 등에서도 절토의 법면 어깨를 중심으로 라운딩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10]

참조

[1] 서적 Standard Handbook for Civil Engineers, Fourth Edition McGraw-Hill Book Company 1995
[2] 웹사이트 Earthworks cost optimization through mass haul planning https://web.archive.[...] www.topconplanning.com 2015-06-07
[3] 웹사이트 Taking the Measure of Methods for Estimating Earthwork Volumes - Forester Network http://foresternetwo[...] 2016-02-09
[4] 웹사이트 Vertigraph, Inc. -- Automating the Takeoff & Estimating Process https://web.archive.[...] 2016-02-09
[5] 웹사이트 How to Estimate Cut and Fill Volumes for Earthworks Projects {{!}} Grid Method, Cross Section Method, Earthworks Software https://www.kublasof[...] 2016-02-09
[6] 웹사이트 Vertigraph, Inc. -- Calculating Cut and Fill Quantities : Modern Techniques and Best Practices https://web.archive.[...] 2016-02-10
[7] 논문 Accuracy Comparison of Roadway Earthwork Computation between 3D and 2D Methods 2013-11-06
[8] 서적 Standard Handbook for Civil Engineers, Fourth Edition McGraw-Hill Book Company 1995
[9] 웹사이트 Earthworks cost optimization through mass haul planning http://topconplannin[...] www.topconplanning.com 2015-06-07
[10] 문서 木村
[11] 서적 Natural Landscaping: Designing With Native Plant Communities 2013-04-10
[12] 서적 Landscaping Principles and Practices 2013-04-10
[13] 서적 Landscaping, Taylor's Master Guide to Landscaping 2013-04-10
[14] 간행물 能力開発研究センター 1998
[15] 웹사이트 How to Landscape Gravel - Page 2 2013-04-10
[16] 문서 村山, 環境省 1986, 2005
[17] PDF http://www.bulld.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