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폴레프 Tu-1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폴레프 Tu-16은 1950년대 소련에서 개발된 장거리 전략 폭격기이다. Tu-4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미쿨린 AM-3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하여 최대 9,000kg의 폭탄 또는 핵무기를 탑재하고 최대 4,800km의 항속 거리를 가졌다. 다양한 파생형으로 개발되어 정찰, 해상 감시, 전자전 등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었으며, 총 1,507대가 생산되었다. 중국은 Tu-16을 라이선스 생산하여 H-6으로 명명하고 현재까지 운용하고 있다. Tu-16은 소련, 러시아, 중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으며, 주요 사건으로는 1968년 노르웨이 해상에서의 미 해군 항공모함 저공 비행, 1978년 스발바르 제도 추락 사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 및 러시아의 폭격기 - 일류신 Il-28
일류신 Il-28은 소련의 일류신 설계국에서 개발한 제트 추진 전술 폭격기로, 1950년대부터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운용되었으며 중국에서는 H-5라는 이름으로 면허 생산되기도 했다. - 소련 및 러시아의 폭격기 - 투폴레프 Tu-95
투폴레프 Tu-95는 안드레이 투폴레프 설계국이 개발한 소련의 대륙간 전략 폭격기로,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임무 수행을 위해 개조되어 현재 러시아 항공우주군에서 운용된다. - 1952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보잉 B-52 스트래토포트리스는 미국 보잉사가 개발한 장거리 전략 폭격기로, 냉전 시기 핵 억지력의 핵심 전력이었으며, 현재까지 개량을 거쳐 2050년까지 운용될 예정이다. - 1952년 첫 비행한 항공기 - 투폴레프 Tu-95
투폴레프 Tu-95는 안드레이 투폴레프 설계국이 개발한 소련의 대륙간 전략 폭격기로,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임무 수행을 위해 개조되어 현재 러시아 항공우주군에서 운용된다. - 투폴레프 항공기 - 투폴레프 Tu-95
투폴레프 Tu-95는 안드레이 투폴레프 설계국이 개발한 소련의 대륙간 전략 폭격기로,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임무 수행을 위해 개조되어 현재 러시아 항공우주군에서 운용된다. - 투폴레프 항공기 - 투폴레프 Tu-22M
투폴레프 Tu-22M은 소련 해군 항공모함 전단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초음속 순항 미사일 탑재 폭격기이며, 가변익 설계를 통해 다양한 분쟁에 투입되었고 현재 러시아 공군에서 주력 폭격기로 운용된다.
| 투폴레프 Tu-16 | |
|---|---|
| 개요 | |
![]() | |
| 유형 | 전략 폭격기 |
| 제작 국가 | 소련 |
| 제작사 | 보로네시 항공기 생산 협회 |
| 설계 | 투폴레프 |
| 최초 비행 | 1952년 4월 27일 |
| 도입 시기 | 1954년 |
| 생산 기간 | 1952년–1962년 |
| 생산 대수 | 1,509대 |
| 현황 | 단종, 제한적 운용 중 |
| 대당 가격 | 4,500만 미국 달러 (현재 가치 약 4억 9,000만 미국 달러) |
| 주요 운용국 | 러시아 공군 |
| 기타 운용국 | 이집트 공군(과거) 이라크 공군(과거) 인도네시아 공군(과거) |
| 개발 기반 | 해당사항 없음 |
| 파생형 | 투폴레프 Tu-104 투폴레프 Tu-124 시안 H-6 투폴레프 Tu-107 |
| 명칭 | |
| 러시아어 | Ту-16 |
| 영어 | Badger (배저) |
| 운용 | |
| 운용국 | 소련 공군 소련 해군 항공대 중국인민해방군 공군 중국인민해방군 해군 이집트 공군 인도네시아 공군 이라크 공군 |
| 퇴역 시기 | 1993년 |
| 현재 운용 대수 | 중국에서만 57대 (H-6) 운용 중 (2020년 11월 16일 기준) |
2. 개발
1940년대 후반, 소련은 미국의 전략 폭격기 능력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했다. 당시 소련의 유일한 장거리 폭격기는 미국의 B-29를 역설계한 투폴레프 Tu-4였다. 미쿨린 AM-3 터보젯 엔진의 개발로 대형 폭격기 개발이 가능해졌다.
Tu-16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 파생형으로 개발되었다. 주요 파생형은 다음과 같다.
투폴레프는 1950년에 Tu-88 시제기를 제작했고, 1952년 4월 27일 초도비행을 했다. 일류신 Il-46과의 경쟁에서 승리하여 소련의 폭격기로 채택되었고, 1952년 12월 생산이 승인되었다. 양산 1호기는 Tu-16이라는 이름으로 1954년에 전선 항공대에 실전 배치되었다.[5]
3. 파생형
이 외에도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특히 미사일 탑재기의 경우 개조를 통해 여러 명칭으로 불렸다.
3. 1. 폭격기
'''Tu-16A''':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개조된 Tu-16의 주요 개량형으로, 453대가 생산되었다.
'''Tu-16V''': 수소폭탄을 운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체로, 3대가 제작되었다.
'''Tu-16B''': 엔진을 M-16-15(RD-16-15)로 교체한 중거리 폭격기형이다.
3. 2. 공격기/미사일 탑재기

3. 3. 정찰기
Tu-16R(Badger E)은 주로 해상 정찰을 위해 고안된 ELINT(전자 정보 수집) 장비를 갖춘 정찰기 버전이다.[5] KS 미사일을 유도할 수 있었다.
1987년 12월 9일, 소련 공군 Tu-16 정찰기가 오키나와 본섬 부근 상공을 영공 침범하여 가데나 공군기지·항공자위대 기지 상공도 통과했다. 이에 대해 항공자위대 나하 기지 제302비행대(당시), F-4EJ 전투기가 항공자위대 사상 최초로 경고 사격을 실시했다(대소련군 영공 침범기 경고 사격 사건).[22]
3. 4. 전자전기
Tu-16Ye는 대형 전자전 및 ELINT 장비를 갖춘 전자전기이다.[5] Tu-16 Elka (Badger H)는 전자전기이며, Tu-16P Buket (Badger J)도 전자전기이다. Tu-16SPS는 전자전기로 사용되었다. Tu-16Ye (Badger K)는 ELINT 정찰기이다.
3. 5. 공중급유기
Tu-16Z는 중형 폭격기 역할을 유지하면서 공중급유기(날개 간 급유 방식)로 사용된 초기 특수 버전이다.[5] Tu-16N은 Tu-22/Tu-22M 폭격기를 위한 전용 급유기 버전으로, 1963년에 실전 배치되었다.[5] Tu-16Z에서 개조된 유사 항공기로 Tu-16NN이 있다.[5]
3. 6. 기타
4. 중국의 파생형 (H-6)
중국은 1958년 Tu-16을 도입하여 시안 항공 산업 공사(시안비행기공업공사)에서 H-6(폭격 6형)라는 이름으로 라이선스 생산했다.[22] H-6는 반세기 가까이 중국인민해방군 공군·해군에서 현역으로 활동했다. 다음은 H-6의 주요 파생형이다.
| 형식 | 설명 |
|---|---|
| H-6A | 1968년 12월 초비행. 양산형. |
| H-6B | 정찰기형. |
| H-6C | 전자전 장비 등 아비오닉스를 강화한 개량형. |
| H-6D | 1981년 8월 초비행. 대함 미사일 운용이 가능한 해군형. |
| H-6E | H-6A를 개조한 핵 공격 전용. |
| H-6F | H-6A/C의 현대화 개조형. |
| H-6H | 1998년 12월 초비행. 순항 미사일 탑재형. |
| H-6I | 엔진을 영국 롤스로이스사의 스페이 512-5W × 4로 교체한 기체. 엔진 조달 난항으로 시제작. |
| H-6M | 2002년 주하이 무기 전시회에서 개발이 공개. 날개 아래에 대함 미사일 4발 탑재 가능. 현재 소수가 해군 항공대에 배치. |
| H-6K | 2007년 1월 5일 초비행. 현재 개발 중인 순항 미사일 탑재형. 날개 아래에 6발의 DH-10 순항 미사일 탑재 가능. 엔진은 기존의 WP-8에서 러시아제 D-30KP 터보팬 엔진으로 교체되어 항속거리가 연장. 기체 구조와 아비오닉스도 개량. |
| H-6U | 1990년 초비행. 공중급유기형. |
5. 운용 국가

소련은 공군과 해군 항공대에서 Tu-16을 운용했으며, 인도네시아, 이집트, 이라크 등 여러 국가에 수출했다. Tu-16은 1993년까지 소련과 그 이후 러시아의 공군 및 해군 항공대에서 사용되었다. 대부분 퇴역했지만,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시안 H-6 계열 기체를 여전히 운용 중이다. 1958년 중화인민공화국에 Tu-16이 인도되었고, 시안비행기공업공사에서 H-6이라는 이름으로 라이선스 생산되어 중국인민해방군(공군, 해군)에서 반세기 가까이 현역으로 활동했다. 러시아 연방군에서는 1990년대에 퇴역했다.
5. 1. 현재 운용국
5. 2. 과거 운용국
- 소련 공군
- 소련 해군 항공대
- 러시아 공군
- 러시아 해군 항공대
- 아르메니아 공군: 소련으로부터 30대의 항공기를 인계받았으나, 1995년까지 운용이 중단됨.[6]
- 아제르바이잔 공군: 소련으로부터 10대의 항공기를 인계받았으나, 1995년까지 운용이 중단됨.[7]
- 벨라루스 공군: 소련 붕괴 시 18대의 항공기를 인계받았으나,[8] 1995년까지 운용이 중단됨.[9]
- 조지아 공군: 소련으로부터 20대의 항공기를 인계받았으나, 1995년까지 운용이 중단됨.[12]
- 우크라이나 공군: 소련으로부터 121대의 항공기를 인계받았다.[8]
- 이집트 공군: Tu-16KS, Tu-16T, Tu-16KSR-2-11, Tu-16R을 운용했으며 H-6도 운용했다. 2000년에 운용이 종료됨.[10]
- 인도네시아 공군 (TNI-AU): 1961년에 26대의 Tu-16KS-1을 인수했다. 1962년 트리코라 작전(네덜란드령 서뉴기니(현 파푸아와 파푸아 바루아트) 점령) 준비 중에 사용되었으며, 1970년에 퇴역했다.[10]

6. 주요 사건
- 1968년 5월 25일, 안드레이 플리예프 대령이 조종하던 소련 공군 Tu-16기가 노르웨이 해상에서 미 해군 항공모함 USS 에섹스(CV-9)를 저공 비행 중 추락했다. 이 사고로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14][15][16][17]
- 1971년 2월 1일, 개조된 Tu-16 비행 시험기가 새로운 제트 엔진 시험 중 추락하여 시험 조종사 아메트칸 술탄을 포함한 모든 승무원이 사망했다.[18]
- 1978년 8월 28일, 초기형 Tu-16기가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의 호펜 섬에 추락하여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했다. 소련은 노르웨이가 승무원 시신을 인도할 때까지 항공기 손실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노르웨이는 소련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항공기 블랙박스 내용을 복사했다.[19][20][21]
- 1980년 6월 27일, 소련 공군 Tu-16기가 일본 이시카와현 고마쓰 공군기지 부근 동해상에 추락했다. 해상자위대 네무로이 세 명의 승무원 유해를 수습했다.[20]
6. 1. 소련-일본 관계
1980년 6월 27일, 도쿄 익스프레스 항로를 비행하던 소련 공군 Tu-16 배저기가 일본 이시카와현 고마쓰 공군기지 부근 동해상에 추락했다. 생존자는 없었으며, 해상자위대 네무로(JDS Nemuro (LST-4103))이 세 명의 승무원 유해를 수습했다.[20]6. 2. 기타
- 1968년 5월 25일, 안드레이 플리예프 대령이 조종하는 소련 공군 Tu-16 배저-F기가 노르웨이해에서 미 해군 항공모함 USS 에섹스(CV-9)를 저공 비행했다.[14] Tu-16기는 네 차례 저공 비행을 했고, 마지막 비행에서 날개가 바다에 닿아 추락하여 탑승자 전원이 사망했다. 미군은 세 구의 시신 일부를 수습했다.[15][16][17]
- 1978년 8월 28일, 초기형 Tu-16기가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의 호펜 섬(Hopen island)에 추락했다. 이 사고로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했다. 사고기는 노르웨이 4인 기상 예보팀에 의해 발견되었다. 소련은 승무원 시신이 인도될 때까지 항공기 손실을 인정하지 않았다. 노르웨이는 소련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항공기 블랙박스 내용을 복사했다.[19][20][21]
7. 제원 (Tu-16)
| 항목 | 내용 |
|---|---|
| 승무원 | 4-7명 |
| 길이 | 34.8m |
| 날개폭 | 33m |
| 높이 | 10.36m |
| 날개 면적 | 165m2 |
| 공허 중량 | 37200kg |
| 최대 이륙 중량 | 79000kg |
| 엔진 | 미쿨린 AM-3 터보제트 엔진 2기 (각 93.2kN 추력) |
| 최대 속도 | 1050km/h |
| 항속 거리 | 6000km (최대 7200km) |
| 실용 상승 한계 | 12800m |
| 무장 |
참조
[1]
웹사이트
Предприятие
http://www.vaso.ru/?[...]
2018-05-06
[2]
서적
Jane's All the World's Aircraft
[3]
웹사이트
Designations of Soviet and Russian Military Aircraft and Missiles
http://www.designati[...]
2018-05-06
[4]
웹사이트
The Chinese Air Force Sure Is Buying A Lot Of Bombers
https://www.forbes.c[...]
2020-11-16
[5]
웹사이트
Tu-16 bomber carried out nuclear bomb test in China, 1965
http://www.airforcew[...]
2011-07-15
[6]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http://www.worldairf[...]
2007-01-12
[7]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http://www.worldairf[...]
2007-01-12
[8]
간행물
Aircraft Profile:Tupolev Tu-16 ''Badger''
2006-08-00
[9]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http://www.worldairf[...]
2007-01-12
[10]
웹사이트
VectorSite
http://www.vectorsit[...]
2007-01-12
[11]
웹사이트
Did you know the former President of Egypt Hosni Mubarak was a good military pilot? Part 2 Nocturnal Il-28 reconnaissance sorties over Israel
https://theaviationg[...]
2020-04-18
[12]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http://www.worldairf[...]
2007-01-12
[13]
웹사이트
Tupolev Tu-16 Versatile Badger
https://www.key.aero[...]
2021-03-08
[14]
웹사이트
That time a Soviet bomber crashed into the sea after buzzing a U.S. aircraft carrier
https://theaviationi[...]
2016-04-14
[15]
뉴스
Russ bomber falls in sea near U.S. ship
http://archives.chic[...]
Chicago Tribune
1968-05-26
[16]
뉴스
The Games Pilots Play Over the Mediterranea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81-08-23
[17]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27-May-1968 Tupolev Tu-16 Badger
https://aviation-saf[...]
Aviation Safety Network
1968-05-27
[18]
서적
Боевые лётчики — дважды и трижды Герои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Russian Knights Foundation and Vadim Zadorozhny Museum of Technology
[19]
뉴스
Soviet Union Military Plane Crashes in Norway
https://web.stanford[...]
Facts On File World News Digest
1978-10-27
[20]
뉴스
Svalbard Arctic out post at strategic crossroads
https://www.csmonito[...]
Christian Science Monitor
1980-09-09
[21]
서적
Bradt Svalbard: Spitzbergen with Frank Josef Land & Jan Mayen
https://books.google[...]
[22]
웹사이트
Tu-16 bomber carried out nuclear bomb test in China, 1965
http://www.airforcew[...]
2019-07-28
[23]
서적
世界の傑作機 NO.126 ツポレフTu-16"バジャー"
文林堂
2008-05-05
[24]
웹인용
VectorSite
http://www.vectorsit[...]
2007-01-12
[25]
웹사이트
Designations of Soviet and Russian Military Aircraft and Missiles
http://www.designati[...]
[26]
웹인용
Hong-6 Bomber
http://www.sinodefen[...]
Sinodefence.com
2009-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