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팽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팽성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시대에 초나라의 수도였으며, 이후 초국, 초군, 팽성국 등으로 불리며 존속했다. 전한 시대에는 팽성현 등 7개의 현을 관할했고, 후한 시대에는 초군, 팽성국으로 개칭되며 서주 지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이후 서진, 남북조 시대, 수, 당나라 시대에도 팽성군 또는 서주로 불리며 존재했으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다.

2. 전한

진나라에서는 사천군(사수군)의 일부였다. 초한전쟁기에는 서초의 땅이었다. 사천군은 서초가 멸망한 후 전한이 세운 제후왕국 초나라에 속해 군이 폐지되고 내사의 관할을 받는 내사지가 됐다. 이는 초나라의 서울이 옛 사천군에 있었기 때문이다. 기원전 154년, 초왕 유무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기 때문에 난이 평정된 후 한 조정에서는 초나라를 축소해 내사지의 대부분을 패군으로 떼어내 한나라의 직할령으로 두었다. 이후 초나라의 남은 내사지만이 초국이나 팽성군으로 불리게 된다.[22]

서주자사부에 속했다.[22]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14,738호, 497,804명이 있었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7현이었다.[23][22]

기원전 201년 (전한 고제 6년), 유교가 초왕이 되어 팽성군·동해군·설군의 36현을 봉령으로 하는 '''초국'''이 설치되었다[8]. 기원전 69년 (지절 원년), 초왕 유연수가 자살하자 초국이 폐지되어 팽성군이 설치되었다[9]. 기원전 51년 (감로 3년), 정도왕 유교가 초왕으로 옮겨 봉해져 다시 초국이 세워졌다. 초국은 서주에 속했으며, 팽성··오·부양·려·무원·재구의 7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화락군으로 개칭되었다[10].

2. 1. 오초칠국의 난

전한 초기에 팽성은 초나라에 속한 군으로, 고조의 형제 유교와 그의 후손이 다스리는 반독립 왕국이었다. 칠국의 난 때 초나라가 반란을 일으켜 패배한 후, 팽성의 일부는 유교의 아들인 유례(劉禮)에게 주어졌고, "초나라"라는 이름을 유지했다. 기원전 69년, 초왕 유연수(劉延壽)가 한 조정에 대한 음모에 가담하여 자살하면서 팽성은 중앙 정부가 직접 통치하는 군이 되었다.[1] 기원전 51년에는 초나라가 다시 세워져 당시 황제인 선제의 아들 유소(劉囂)에게 주어졌다. 유소의 후손들은 왕망의 찬탈 때까지 초나라를 소유했다.[2]

2. 2. 전한의 행정 구역

진나라에서는 사천군(사수군)의 일부였다. 초한전쟁기에는 서초의 땅이었다. 사천군은 서초가 멸망한 후 전한이 세운 제후왕국 초나라에 속해 군이 폐지되고 내사의 관할을 받는 내사지가 됐다. 이는 초나라의 서울이 옛 사천군에 있었기 때문이다. 기원전 154년, 초왕 유무오초칠국의 난에 가담했기 때문에 난이 평정된 후 한 조정에서는 초나라를 축소해 내사지의 대부분을 패군으로 떼어내 한나라의 직할령으로 두었다. 이후 초나라의 남은 내사지만이 초국이나 팽성군으로 불리게 된다.[22]

서주자사부에 속했다.[22]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14,738호, 497,804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23][22]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7현이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팽성현彭城縣쉬저우시옛 팽조(彭祖)의 나라다. 40,196호가 있다. 철관이 있다.
유현留縣쉬저우시 페이현 동남 웨이산호(微山湖) 서쪽 연안 유령촌(劉嶺村) 서
오현梧縣화이베이시 두지구 석태진(石台鎭) 동남 오남촌(梧南村) 일대
부양현傅陽縣짜오좡시 타이얼좡구 후맹촌(候孟村) 동남옛 복양(偪陽)나라다.
여현呂縣쉬저우시 퉁산구 여량촌(呂梁村)
무원현武原縣쉬저우시 피저우시 가구촌(泇口村)
치구현甾丘縣쑤저우시 융차오구 지하향(支河鄕) 일대



전한 초기에 팽성은 초나라에 속한 군으로, 유교, 즉 고조의 형제와 그의 후손이 다스리는 반독립 왕국이었다. 칠국의 난 때 초나라가 반란을 일으켜 패배한 후, 팽성의 일부는 유교의 아들인 유례(劉禮)에게 주어졌고, "초나라"라는 이름을 유지했다. 팽성은 기원전 69년, 초왕 유연수(劉延壽)가 한 조정에 대한 음모에 가담하여 자살하면서 중앙 정부가 직접 통치하는 군이 되었다.[1] 기원전 51년에는 초나라가 다시 세워져 당시 황제인 선제의 아들 유소(劉囂)에게 주어졌다. 유소의 후손들은 왕망의 찬탈 때까지 초나라를 소유했다.[2]

3. 신

전한
오치(吾治)
부양보양(輔陽)
무원화락정(和樂亭)
치구선구(善丘)


4. 후한

후한 시대 팽성군은 초군(楚郡)으로 불리다가, 39년(후한 광무제 건무 15년) 유영이 초공(楚公)으로 봉해지고, 41년 초왕으로 승격되면서 초국(楚國)이 되었다. 54년 임회군의 취려현과 수창현이 초국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70년(후한 명제 영평 13년) 유영이 역모 혐의로 유배되면서 초국은 다시 초군으로 격하되었고, 취려현과 수창현은 임회군으로 돌아갔다.[24]

88년(후한 장제 장화 2년) 육안국왕 유공이 팽성왕으로 책봉되면서 초군은 팽성국(彭城國)으로 승격되었다.[25]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팽성군은 8개 현, 86,170호, 493,027명을 거느렸다.[26]

184년(후한 영제 중평 원년) 도겸이 서주의 황건적을 토벌한 뒤 팽성군에 자리잡고 서주를 통치했다. 193년(후한 헌제 초평 4년) 조조의 서주 침공 때 조조가 팽성에서 도겸을 격파했으나, 연주에서 여포, 진궁이 반란을 일으켜 조조는 팽성을 점령하지 못했다.

이후 여포가 서주를 정복하면서 팽성군은 여포의 세력권에 들어갔지만, 여포가 하비군에 수도를 두면서 서주의 중심지에서 벗어났다. 조조가 여포를 격파한 후에는 조조의 세력권에 편입되었고, 조거가 팽성왕으로 봉해지면서 팽성국의 지위가 유지되었다.[29]

4. 1. 초국과 팽성국

39년(후한 광무제 건무 15년) 광무제의 아들 유영이 초공(楚公)으로 봉해졌고, 2년 후인 41년(후한 광무제 17년) 초왕으로 승격되면서 '''초국(楚國)'''이 되었다. 54년(후한 광무제 건무 30년) 임회군의 취려, 수창 2현이 초국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70년(후한 명제 영평 13년) 유영이 역모죄로 조사를 받고 경현으로 유배되면서 초국에서 '''초군(楚郡)'''으로 격하되었고, 초국 시절 편입된 임회군의 취려현, 수창현은 임회군으로 돌아갔다.[24]

88년(후한 장제 장화 2년), 장제가 죽었을 무렵, 육안국왕 유공이 팽성왕으로 책봉되면서 초군에서 '''팽성국(彭城國)'''으로 승격되었다.[25]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팽성군은 8현 86,170호 493,027명을 거느렸다.[26]

184년(후한 영제 중평 원년), 서주자사 도겸이 서주의 황건적을 토벌한 뒤 본군에 자리잡고 서주를 통치했다. 193년(후한 헌제 초평 4년), 조조의 서주 침공 시기 조조가 팽성에서 도겸을 격파했다.[27] 그러나 서주 침공 당시 조조의 세력권이었던 연주에서 여포, 진궁이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조조가 팽성을 점령하지는 못했다.

이후 여포가 서주를 정복하면서 여포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지만, 여포가 하비군에 수도를 두었기 때문에 서주의 중심지에서 벗어났다. 조조가 여포를 격파하면서 조조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다.[28] 조조의 세력권에 편입된 이후, 조거가 팽성왕으로 봉해지면서 팽성국의 지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29]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기준 팽성군의 속현은 다음과 같다.

팽성국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팽성현彭城縣쉬저우시옛 대팽읍(大彭邑)이다. 《북정기(北征記)》에 따르면, 현 서쪽 20리 거리에 초 원왕 유교의 묘가 있다고 한다. 철광석이 생산되었다. 후한말 서주자사 도겸에 의해 서주의 중심지가 되었다.[27]
무원현武原縣쉬저우시 피저우시 가구촌(泇口村)
부양현傅陽縣짜오좡시 타이얼좡구 후맹촌(候孟村) 동남
여현呂縣쉬저우시 퉁산구 여량촌(呂梁村)
유현留縣쉬저우시 페이현 동남 웨이산호(微山湖) 서쪽 연안 유령촌(劉嶺村) 서《서정기(西征記)》에 따르면 현 성내에 장량의 사당이 있었다고 한다.
오현梧縣화이베이시 두지구 석태진(石台鎭) 동남 오남촌(梧南村) 일대
치구현甾丘縣쑤저우시 융차오구 지하향(支河鄕) 일대
광척현廣戚縣쉬저우시 페이현 동 오루(吳樓) 부근본래 패군의 속현이었다.
취려현取慮縣쉬저우시 쑤이닝현 위와촌(魏洼村) 남부 일대54년(후한 광무제 건무 30년) 임회군에서 편입되었다. 70년(후한 명제 영평 13년) 임회군으로 돌아갔다.
수창현須昌縣54년(후한 광무제 건무 30년) 임회군에서 편입되었다. 70년(후한 명제 영평 13년) 임회군으로 돌아갔다.


4. 2. 후한 말의 혼란

88년(후한 장제 장화 2년), 장제가 죽었을 무렵, 육안국왕 유공이 팽성왕으로 책봉되면서 초군에서 '''팽성국(彭城國)'''으로 승격되었다.[25]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당시 팽성군은 8현 86,170호 493,027명을 거느렸다.[26]

184년(후한 영제 중평 원년), 서주자사 도겸이 서주의 황건적을 토벌한 뒤 본군에 자리잡고 서주를 통치했다. 193년(후한 헌제 초평 4년), 조조의 서주 침공 시기 조조가 팽성에서 도겸을 격파했다.[27] 그러나 서주 침공 당시 조조의 세력권이었던 연주에서 여포, 진궁이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조조가 팽성을 점령하지는 못했다.

이후 여포가 서주를 정복하면서 여포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지만, 여포가 하비군에 수도를 두었기 때문에 서주의 중심지에서 벗어났다. 조조가 여포를 격파하면서 조조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다.[28] 조조의 세력권에 편입된 이후, 조거가 팽성왕으로 봉해지면서 팽성국의 지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29]

140년 당시 팽성군의 현황은 다음과 같았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팽성현彭城縣쉬저우시옛 대팽읍(大彭邑)이다. 《북정기(北征記)》에 따르면, 현 서쪽 20리 거리에 초 원왕 유교의 묘가 있다고 한다. 철광석이 생산되었다. 후한말 서주자사 도겸에 의해 서주의 중심지가 되었다.[27]
무원현武原縣쉬저우시 피저우시 가구촌(泇口村)
부양현傅陽縣짜오좡시 타이얼좡구 후맹촌(候孟村) 동남
여현呂縣쉬저우시 퉁산구 여량촌(呂梁村)
유현留縣쉬저우시 페이현 동남 웨이산호(微山湖) 서쪽 연안 유령촌(劉嶺村) 서《서정기(西征記)》에 따르면 현 성내에 장량의 사당이 있었다고 한다.
오현梧縣화이베이시 두지구 석태진(石台鎭) 동남 오남촌(梧南村) 일대
치구현甾丘縣쑤저우시 융차오구 지하향(支河鄕) 일대
광척현廣戚縣쉬저우시 페이현 동 오루(吳樓) 부근본래 패군의 속현이었다.


4. 3. 후한의 행정 구역

39년(후한 광무제 건무 15년) 광무제의 아들인 유영이 초공(楚公)으로 봉해졌고, 2년 후인 41년(후한 광무제 17년) 초왕으로 승격되면서 '''초국(楚國)'''이 설치되었다.[24] 54년(후한 광무제 건무 30년) 임회군의 취려, 수창 2현이 초국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70년(후한 명제 영평 13년) 유영이 역모죄로 조사를 받고 경현으로 유배되면서 초국은 '''초군(楚郡)'''으로 격하되었고, 초국 시절 편입된 임회군의 취려현, 수창현은 임회군으로 돌아갔다.[24]

88년(후한 장제 장화 2년), 장제가 죽었을 무렵 육안국왕 유공이 팽성왕으로 책봉되면서 초군은 '''팽성국(彭城國)'''으로 승격되었다.[25]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팽성군은 8현 86,170호 493,027명을 거느렸다.[26]

184년(후한 영제 중평 원년), 서주자사 도겸이 서주의 황건적을 토벌한 뒤 팽성군에 자리 잡고 서주를 통치했다. 193년(후한 헌제 초평 4년), 조조의 서주 침공 시기 조조가 팽성에서 도겸을 격파했다.[27] 그러나 서주 침공 당시 조조의 세력권이었던 연주에서 여포, 진궁이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조조가 팽성을 점령하지는 못했다.

이후 여포가 서주를 정복하면서 여포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지만, 여포가 하비군에 수도를 두었기 때문에 서주의 중심지에서 벗어났다. 조조가 여포를 격파하면서 조조의 세력권으로 편입되었다.[28] 조조의 세력권에 편입된 이후, 조거가 팽성왕으로 봉해지면서 팽성국의 지위가 그대로 유지되었다.[29]

후한 시대 팽성군의 행정 구역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팽성현彭城縣쉬저우시옛 대팽읍(大彭邑)이다. 《북정기(北征記)》에 따르면, 현 서쪽 20리에 초 원왕 유교의 묘가 있다고 한다. 철광석이 생산되었다. 후한말 서주자사 도겸에 의해 서주의 중심지가 되었다.[27]
무원현武原縣쉬저우시 피저우시 가구촌(泇口村)
부양현傅陽縣짜오좡시 타이얼좡구 후맹촌(候孟村) 동남
여현呂縣쉬저우시 퉁산구 여량촌(呂梁村)
유현留縣쉬저우시 페이현 동남 웨이산호(微山湖) 서쪽 연안 유령촌(劉嶺村) 서《서정기(西征記)》에 따르면 현 성내에 장량의 사당이 있었다고 한다.
오현梧縣화이베이시 두지구 석태진(石台鎭) 동남 오남촌(梧南村) 일대
치구현甾丘縣쑤저우시 융차오구 지하향(支河鄕) 일대
광척현廣戚縣쉬저우시 페이현 동 오루(吳樓) 부근본래 패군의 속현이었다.
취려현取慮縣쉬저우시 쑤이닝현 위와촌(魏洼村) 남부 일대54년 임회군에서 편입되었다. 70년 임회군으로 돌아갔다.
수창현須昌縣54년 임회군에서 편입되었다. 70년 임회군으로 돌아갔다.


5. 서진

서진 시대에 팽성국은 7개 현과 4,121호의 주민을 거느렸다.[30]

서진 시대 팽성국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팽성현彭城縣쉬저우시
유현留縣쉬저우시 페이현 동남 웨이산호(微山湖) 서쪽 연안 유령촌(劉嶺村) 서
광척현廣戚縣쉬저우시 페이현 동 오루(吳樓) 부근
부양현傅陽縣짜오좡시 타이얼좡구 후맹촌(候孟村) 동남
무원현武原縣쉬저우시 피저우시 가구촌(泇口村)
여현呂縣쉬저우시 퉁산구 여량촌(呂梁村)
오현梧縣화이베이시 두지구 석태진(石台鎭) 동남 오남촌(梧南村) 일대
번현蕃縣짜오좡시 텅저우시본래 노군의 속현이었지만 원강 연간에 본군으로 편입되었다.[31]
설현薛縣짜오좡시 텅저우시 관교진(官橋鎭) 서남



조위와 서진 시대에 팽성은 여러 황족들의 봉토로 계속 사용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팽성왕 작위가 사마의의 조카인 사마권과 그의 후손들에게 주어졌다.[4] 280년, 팽성국의 인구는 4,121 가구였다.[5]

6. 남북조 시대

남북조 유송은 5세기 초에 팽성군 지역을 정복했지만, 이후 송 명제 통치 기간 동안 북위에 빼앗겼다. 유송 시기 팽성군은 팽성, 려, 번, 설, 유의 5현을, 북위 시기에는 팽성, 려, 설, 유, , 수릉의 6현을 관할했다.[18][19] 583년(개황 3년), 수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팽성군은 폐지되어 서주에 편입되었다.

6. 1. 유송

명제 태시 연간 북위의 침공으로 유송이 회수 이북 전역을 상실하면서 팽성군은 북위가 통치하게 되었다. 북위가 점령하기 이전까지 팽성군은 5현 8,627호 41,231명을 거느렸다.[31]

유송 시기 팽성군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팽성현彭城縣쉬저우시령(令)
여현呂縣쉬저우시 퉁산구 여량촌(呂梁村)
번현蕃縣짜오좡시 텅저우시
설현薛縣짜오좡시 텅저우시 관교진(官橋鎭) 서남
유현留縣쉬저우시 페이현 동남 웨이산호(微山湖) 서쪽 연안 유령촌(劉嶺村) 서



영가 시대에 팽성군은 오호 십육국 시대의 일부가 되었다. 유송은 5세기 초에 이 지역을 정복했지만, 이후 송 명제 통치 기간 동안 이 군을 북위에 빼앗겼다. 464년, 팽성군은 5개의 현(팽성, 여(呂), 번(蕃), 설(薛), 유)을 관할했으며, 인구는 41,231명(8,627호)이었다.[6]

6. 2. 북위

북위 시대 팽성군은 유송과 같이 서주의 중심지가 되었다. 북위 시대 팽성군은 6개 현, 6,339호, 23,841명을 거느렸다.[32]

북위 시대 팽성군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팽성현彭城縣쉬저우시현 경내에 한산(寒山), 호산(孤山), 귀산(龜山), 황산(黃山), 구리산(九里山), 환퇴총(桓魋冢), 아부의 묘(亞父冢), 초원왕 유교의 묘(楚元王冢), 공승의 무덤(龔勝冢)이 있었다.
여현呂縣쉬저우시 퉁산구 여량촌(呂梁村)현 경내에 여량성(呂梁城), 수유산(茱萸山), 핍양성(偪陽城), 명황피(明星陂), 용천당(龍泉塘), 석두산(石頭山), 항우산(項羽山)이 있었다.
설현薛縣짜오좡시 텅저우시 관교진(官橋鎭) 서남현 경내에 해공산(奚公山), 설나라 왕 해중의 사당(奚仲廟), 설성(薛城), 맹상군의 무덤(孟嘗君冢)이 있었다.
용성현龍城縣쑤저우시 샤오현 위루촌(魏樓村) 부근초왕의 무덤(楚王墓)이 현 경내에 있었다. 북위가 유송으로부터 서주를 획득한 이후 신설된 현으로 보인다.[33]
유현留縣쉬저우시 페이현 동남 웨이산호(微山湖) 서쪽 연안 유령촌(劉嶺村) 서현내에 미산(微山), 유성(留城), 미자의 무덤(微子冢), 장량의 무덤(張良冢), 사당(祠), 광척성(廣戚城), 설성(薛城), 척부인 사당(戚夫人廟), 황산사(黃山祠)가 있었다.
수릉현睢陵縣쉬저우시 쑤이닝현547년(동위 효정제 무정 5년) 제음군에서 본군으로 편입되었다. 현 경내에 수릉성(睢陵城), 구자산(九子山), 형산(荊山)이 있었다.


7. 수

수나라당나라 시기에 팽성은 쉬(徐) 현의 별칭이었다.[7]

7. 1. 수의 행정구역

쉬(徐) 현은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팽성의 별칭이었다. 741년에는 팽성, 샤오, 펑, 페이, 텅, 쑤첸 및 샤피 등 7개 현을 관할했다.[7]

583년(개황 3년), 나라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팽성군은 폐지되어 서주에 편입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서주는 팽성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당시 팽성군은 팽성, 기, 곡양, 패, 류, 풍, 소, , 란릉, 부리, 방여의 11개 현을 관할했다.[20]

621년(무덕 4년), 당나라가 왕세충에게 항복을 받자 팽성군은 서주로 바뀌었고, 서주총관부가 설치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서주는 팽성군으로 다시 이름이 바뀌었다. 758년(건원 원년), 팽성군은 서주로 또다시 바뀌면서 팽성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21]

8. 당

시대에 팽성은 쉬(徐) 현의 별칭이었다. 741년에는 팽성, 샤오, 펑, 페이, 텅, 쑤첸 및 샤피 등 7개 현을 관할했다.[7]

621년(무덕 4년), 당이 왕세충을 항복시키자 팽성군은 서주로 개칭되었고, 서주총관부가 설치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서주는 팽성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팽성군은 서주로 개칭되어 팽성군의 명칭은 사라졌다.[21]

참조

[1]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2]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3]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4]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5]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6] 서적 Book of Song https://zh.wikisourc[...]
[7]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8] 서적 漢書
[9] 서적 漢書
[10] 서적 漢書
[11] 서적 後漢書
[12] 서적 後漢書
[13] 서적 後漢書
[14] 서적 後漢書
[15] 서적 三国志
[16] 서적 晋書
[17] 서적 晋書
[18] 서적 宋書
[19] 서적 魏書
[20] 서적 隋書
[21] 서적 旧唐書
[22]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00
[23] 서적 한서
[24]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6]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7]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28]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29] 서적 삼국지 https://zh.wikisourc[...]
[30]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31] 서적 송서 https://zh.wikisourc[...]
[32]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33]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