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아마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아마이드는 아미드 결합을 반복적으로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로, 주쇄의 구성에 따라 지방족, 반방향족,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로 분류된다. 지방족 폴리아마이드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등이 있으며, 반방향족 폴리아마이드는 폴리프탈아마이드가 있다.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는 아라미드라고도 불리며, 케블라, 노멕스 등이 대표적이다. 폴리아마이드는 축합 중합, 개환 중합, 리터 반응 등 다양한 중합 반응을 통해 생성되며, 나일론은 탄소 원자 수에 따라 n-나일론과 n,m-나일론으로, 아라미드는 파라계와 메타계로 세분화된다. 나일론은 흡수성, 강인성,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아라미드는 고강도, 고내열성을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성섬유 - 케블라
    케블라는 듀폰이 개발한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로, 강철보다 강하고 내열성, 내화학성이 뛰어나 방탄복 등에 사용되지만 자외선에 약하고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테이진, 코오롱 등의 경쟁 제품이 있다.
  • 합성섬유 - 유리섬유
    유리섬유는 실리카 기반 유리를 압출하여 제조되며 단열재, 전기 절연체,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에 사용되는 재료이다.
  • 유전체 - 절연체
    절연체는 전기 전도성을 막아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하며, 밴드 이론에 따라 큰 띠틈을 가져 외부 전압이 띠틈을 넘어서면 절연 파괴가 발생하며, 유리에서 세라믹, 고분자 복합 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전선, 케이블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 유전체 -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중합으로 만들어진 열가소성 폴리머로, 내화학성, 내열성, 가벼움 등의 장점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지만, 폐기물과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라는 과제도 안고 있다.
  • 열가소성 플라스틱 -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중합으로 만들어진 열가소성 폴리머로, 내화학성, 내열성, 가벼움 등의 장점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지만, 폐기물과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라는 과제도 안고 있다.
  • 열가소성 플라스틱 - ETFE
    ETFE는 강도가 높고 자외선에 강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불소 기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건축, 항공 우주, 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폴리아마이드
개요
나일론 중합 반응
나일론 중합 반응
유형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구조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반복 단위
특성강도
탄성
내마모성
내열성
내화학성
정의
정의아미드 결합(-CO-NH-)으로 연결된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역사
최초 개발1935년, 듀폰사의 월리스 캐러더스
최초 상업화1939년, 나일론 6,6 섬유
종류
주요 종류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11
나일론 12
아라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제조
제조 방법축합 중합
개환 중합
용도
섬유의류
타이어 코드
로프
플라스틱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포장재
기타접착제
코팅제
특징
특징높은 강도와 탄성
우수한 내마모성
내열성
내화학성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 가능
주의사항
주의사항강산, 강알칼리에 약함
일부 유기 용제에 용해됨
참고 자료
참고 자료폴리아미드 - 네이버 지식백과

2. 분류

아미노산의 중합체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주쇄의 구성에 따라 합성 폴리아마이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계열주쇄예시상업용 제품
지방족 폴리아마이드지방족나일론, PA 6 및 PA 66듀폰의 자이텔(Zytel), 솔베이의 테크닐(Technyl), 아르케마(Arkema)의 릴산(Rilsan) 및 릴사미드(Rilsamid), 라디치 그룹(Radici Group)의 라디폴(Radipol)
폴리프탈아마이드반방향족PA 6T = 헥사메틸렌디아민 + 테레프탈산에보닉(Evonik) 인더스트리의 트로가미드 T(Trogamid T), 솔베이의 아모델(Amodel)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또는 아라미드방향족파라페닐렌디아민 + 테레프탈산듀폰케블라와 노멕스, 테이진의 테이진코넥스(Teijinconex), 트와론(Twaron) 및 테크노라(Technora), 케르멜(Kermel)의 케르멜(Kermel).



모든 폴리아마이드는 아마이드 작용기의 형성을 통해 두 개의 단량체 분자를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단량체는 스스로 아마이드일 수 있으며(일반적으로 카프로락탐과 같은 고리형 락탐 형태), α,ω-아미노산 또는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의 화학량론적 혼합물일 수 있다. 이 두 가지 종류의 전구체는 모두 호모폴리머를 생성한다. 폴리아마이드는 쉽게 공중합되므로 많은 단량체 혼합물이 가능하며, 이는 많은 공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나일론 중합체는 서로 혼합 가능하여 블렌드를 생성할 수 있다.

2. 1. 지방족 폴리아마이드

아미노산의 중합체는 폴리펩타이드 또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다.

주쇄의 구성에 따라 합성 폴리아마이드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계열주쇄예시상업용 제품
지방족 폴리아마이드지방족나일론, PA 6 및 PA 66듀폰의 자이텔(Zytel), 솔베이의 테크닐(Technyl), 아르케마(Arkema)의 릴산(Rilsan) 및 릴사미드(Rilsamid), 라디치 그룹(Radici Group)의 라디폴(Radipol)
폴리프탈아마이드반방향족PA 6T = 헥사메틸렌디아민 + 테레프탈산에보닉(Evonik) 인더스트리의 트로가미드 T(Trogamid T), 솔베이의 아모델(Amodel)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또는 아라미드방향족파라페닐렌디아민 + 테레프탈산듀폰케블라와 노멕스, 테이진의 테이진코넥스(Teijinconex), 트와론(Twaron) 및 테크노라(Technora), 케르멜(Kermel)의 케르멜(Kermel).



모든 폴리아마이드는 아마이드 작용기의 형성을 통해 두 개의 단량체 분자를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단량체는 스스로 아마이드일 수 있으며(일반적으로 카프로락탐과 같은 고리형 락탐 형태), α,ω-아미노산 또는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의 화학량론적 혼합물일 수 있다. 이 두 가지 종류의 전구체는 모두 호모폴리머를 생성한다. 폴리아마이드는 쉽게 공중합되므로 많은 단량체 혼합물이 가능하며, 이는 많은 공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많은 나일론 중합체는 서로 혼합 가능하여 블렌드를 생성할 수 있다.

2. 2. 반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반방향족 폴리아마이드는 일부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폴리프탈아마이드는 헥사메틸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의 중합체이다.

주쇄예시상업용 제품
반방향족PA 6T = 헥사메틸렌디아민 + 테레프탈산에보닉(Evonik) 인더스트리의 트로가미드 T(Trogamid T), 솔베이의 아모델(Amodel)


2. 3.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아라미드)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는 방향족 화합물로만 구성되며, 아라미드라고도 불린다. 듀폰케블라와 노멕스, 테이진의 테이진코넥스(Teijinconex), 트와론(Twaron) 및 테크노라(Technora), 케르멜(Kermel)의 케르멜(Kermel)이 그 예시이다.

모든 방향족 폴리아미드(보통 아라미드라고도 함)는 고내열성·고강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이러한 특성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가 분자 수준에서 직쇄상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화학 구조에 따라 파라계 아라미드와 메타계 아라미드로 크게 나뉜다.

3. 중합 반응 (Polymerization chemistry)

폴리아마이드는 아민기와 카르복실산기(또는 산염화물기)의 축합 반응 또는 락탐의 개환 중합 반응을 통해 생성된다.

'''축합 중합'''

폴리아마이드 생산은 두 개의 작용기가 반복적으로 결합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3] 이 경우 특히 아마이드 결합이 포함되며, 관련된 두 개의 작용기는 아민 작용기와 작용기의 말단 카르보닐 성분이다.[3] 이들은 반응하여 탄소-질소 결합을 생성하고, 단일 아마이드 결합을 생성한다.[3] 카르보닐 성분은 카르복실산 작용기 또는 더 반응성이 높은 아실 할라이드 유도체의 일부일 수 있다.[3] 아민 작용기와 카르복실산 작용기는 동일한 단량체에 있을 수도 있고, 폴리머는 두 개의 다른 이작용성 단량체(하나는 두 개의 아민 작용기를 가지고, 다른 하나는 두 개의 카르복실산 또는 산염화물 작용기를 가짐)로 구성될 수도 있다.[3]

축합 반응은 산업에서 나일론 폴리머를 합성적으로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3] 나일론은 반드시 직선형(지방족) 단량체를 포함해야 한다.[3] 아마이드 결합은 아민 작용기(아미노 작용기라고도 함)와 카르복실산 작용기로부터 생성된다.[3] 카르복실산의 히드록시기는 아민의 수소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는데, 이는 반응의 명칭이 된 제거 부산물이다.[3]

생물체에서 아미노산은 효소에 의해 서로 축합되어 아마이드 결합(펩타이드)을 형성한다.[3] 생성된 폴리아마이드는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로 알려져 있다.[3]

완전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또는 ''아라미드''(예: 케블라)의 경우, 더 반응성이 높은 산염화물이 단량체로 사용된다.[3] 아민 작용기와의 중합 반응은 염화수소를 제거한다.[3]

'''개환 중합'''

아마이드 결합은 아민 작용기와 카르복실산 작용기로부터 생성된다. 카르복실산의 히드록시기는 아민의 수소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한다.[3]

'''기타 중합 반응'''

폴리아마이드는 또한 리터 반응의 적용을 통해 산 촉매를 사용하여 디니트릴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4] 이 방법은 아디포니트릴, 포름알데히드 및 물로부터 나일론 1,6을 제조하는 데 적용 가능하다.[4][5] 또한, 폴리아마이드는 이 방법을 사용하여 글리콜과 디니트릴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5]

황산을 촉매로 사용하여 아디포니트릴, 포름알데히드 및 물로부터 나일론 1,6을 합성한다

3. 1. 축합 중합 (Condensation polymerization)

폴리아마이드 생산은 두 개의 작용기가 반복적으로 결합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3] 이 경우 특히 아마이드 결합이 포함되며, 관련된 두 개의 작용기는 아민 작용기와 작용기의 말단 카르보닐 성분이다.[3] 이들은 반응하여 탄소-질소 결합을 생성하고, 단일 아마이드 결합을 생성한다.[3] 카르보닐 성분은 카르복실산 작용기 또는 더 반응성이 높은 아실 할라이드 유도체의 일부일 수 있다.[3] 아민 작용기와 카르복실산 작용기는 동일한 단량체에 있을 수도 있고, 폴리머는 두 개의 다른 이작용성 단량체(하나는 두 개의 아민 작용기를 가지고, 다른 하나는 두 개의 카르복실산 또는 산염화물 작용기를 가짐)로 구성될 수도 있다.[3]

축합 반응은 산업에서 나일론 폴리머를 합성적으로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3] 나일론은 반드시 직선형(지방족) 단량체를 포함해야 한다.[3] 아마이드 결합은 아민 작용기(아미노 작용기라고도 함)와 카르복실산 작용기로부터 생성된다.[3] 카르복실산의 히드록시기는 아민의 수소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는데, 이는 반응의 명칭이 된 제거 부산물이다.[3]

생물체에서 아미노산은 효소에 의해 서로 축합되어 아마이드 결합(펩타이드)을 형성한다.[3] 생성된 폴리아마이드는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로 알려져 있다.[3]

완전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또는 ''아라미드''(예: 케블라)의 경우, 더 반응성이 높은 산염화물이 단량체로 사용된다.[3] 아민 작용기와의 중합 반응은 염화수소를 제거한다.[3]

가운데

폴리아마이드는 또한 리터 반응의 적용을 통해 산 촉매를 사용하여 디니트릴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4] 이 방법은 아디포니트릴, 포름알데히드 및 물로부터 나일론 1,6을 제조하는 데 적용 가능하다.[4][5] 또한, 폴리아마이드는 이 방법을 사용하여 글리콜과 디니트릴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5]

|가운데|섬네일|700px|황산을 촉매로 사용하여 아디포니트릴, 포름알데히드 및 물로부터 나일론 1,6을 합성한다]]

3. 2. 개환 중합 (Ring-opening polymerization)

아마이드 결합은 아민 작용기와 카르복실산 작용기로부터 생성된다. 카르복실산의 히드록시기는 아민의 수소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한다.[3] 고리형 락탐이 열리면서 아마이드 결합을 형성하며 중합된다. 예를 들어 카프로락탐은 개환 중합을 통해 나일론 6를 생성한다.

3. 3. 기타 중합 반응

리터 반응(Ritter reaction)은 산 촉매 하에 디니트릴과 글리콜 또는 물을 반응시켜 폴리아마이드를 합성하는 방법이다.[4][5] 이 방법은 아디포니트릴, 포름알데히드 및 물로부터 나일론 1,6을 제조하는 데 적용 가능하다.[4]

4. 명칭 (Nomenclature)

나일론은 ω-아미노산의 중축합 반응으로 합성되는 "n-나일론"과,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의 축중합 반응으로 합성되는 "n,m-나일론"이 있다. 두 경우 모두 명칭 중 n 또는 m 부분의 숫자는 모노머 성분의 탄소 원자 수에 기인하는 지수이다.

; n-나일론

: n-나일론은 ω-아미노산의 중축합 반응으로 합성된다. 나일론 6은 ε-카프로락탐(탄소 원자 수 6개)을 원료로 하며, 나일론 11은 운데칸락탐(탄소 원자 수 11개)을, 나일론 12는 라우릴락탐(탄소 원자 수 12개)을 원료로 하여 합성된다.

; n,m-나일론

: n,m-나일론은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의 축중합 반응으로 합성된다. 예를 들어, 나일론 66은 헥사메틸렌디아민(탄소 6개)과 아디프산(탄소 6개)을 반응시켜 만든다. 이 외에도 나일론 610은 헥사메틸렌디아민(탄소수 6)과 세바스산(탄소수 10)으로, 나일론 6T는 헥사메틸렌디아민(탄소수 6)과 테레프탈산으로, 나일론 6I는 헥사메틸렌디아민(탄소수 6)과 이소프탈산으로, 나일론 9T는 노난디아민(탄소수 9)과 테레프탈산으로, 나일론 M5T는 메틸펜타디아민(메틸기+탄소수 5)과 테레프탈산으로 합성한다.

; 아라미드

: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는 일반적으로 상표명으로 불린다. 파라계 아라미드에는 듀폰사의 케블라(Kevlar, ''p''-페닐렌디아민 + 테레프탈산)와 테이진의 테크노라(HM-50)가 있다. 메타계 아라미드에는 듀폰사의 노멕스(Nomex, ''m''-페닐렌디아민 + 이소프탈산)와 테이진의 코네크스가 있다.

4. 1. n-나일론

n-나일론은 ω-아미노산의 중축합 반응으로 합성된다. 나일론 6은 ε-카프로락탐(탄소 원자 수 6개)을 원료로 하며, 나일론 11은 운데칸락탐(탄소 원자 수 11개)을, 나일론 12는 라우릴락탐(탄소 원자 수 12개)을 원료로 하여 합성된다.

4. 2. n,m-나일론

n,m-나일론은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의 축중합 반응으로 합성된다. 예를 들어, 나일론 66은 헥사메틸렌디아민(탄소 6개)과 아디프산(탄소 6개)을 반응시켜 만든다. 이 외에도 나일론 610은 헥사메틸렌디아민(탄소수 6)과 세바스산(탄소수 10)으로, 나일론 6T는 헥사메틸렌디아민(탄소수 6)과 테레프탈산으로, 나일론 6I는 헥사메틸렌디아민(탄소수 6)과 이소프탈산으로, 나일론 9T는 노난디아민(탄소수 9)과 테레프탈산으로, 나일론 M5T는 메틸펜타디아민(메틸기+탄소수 5)과 테레프탈산으로 합성한다.

4. 3. 아라미드

방향족 폴리아마이드는 일반적으로 상표명으로 불린다. 파라계 아라미드에는 듀폰사의 케블라(Kevlar, ''p''-페닐렌디아민 + 테레프탈산)와 테이진의 테크노라(HM-50)가 있다. 메타계 아라미드에는 듀폰사의 노멕스(Nomex, ''m''-페닐렌디아민 + 이소프탈산)와 테이진의 코네크스가 있다.

5. 종류 및 특성

5. 1. 나일론 (Nylon)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폴리아마이드로는 지방족 나일론이 유명하다. 나일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아미드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흡수성이 높다.
  • 결정성이 높은 수지로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 아미드기의 수소 결합에 의해 우수한 강인성, 내충격성, 유연성을 나타낸다.
  • 모노머를 변경함으로써 폴리머 블렌드화나 공중합에 의한 개질이 용이하며, 유리섬유 등 복합재료와의 친화성도 높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취급하기 쉽다.


'''나일론 6'''(Nylon 6)은 카프로락탐의 개환 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아마이드이며, 약호는 '''PA6'''이다. 융점은 225℃, 유리 전이 온도는 48℃, 비중은 1.14이다.

'''나일론 11'''(PA11)은 운데칸락탐(undecanlactam)의 개환중합(開環重縮合)으로 생성된 폴리아마이드이다. 융점은 187℃, 유리전이온도는 37℃, 비중은 1.04이다. 나일론 6 및 66에 비해 융점(187℃)이 높고, 흡수성이 낮으며, 내충격성(耐寒衝撃性)이 우수하다.

'''나일론 12'''는 라우릴락탐(lauryl lactam)의 개환 중합에 의해 생성된 폴리아마이드이며, 약호는 '''PA12'''이다. 융점은 176℃, 유리전이온도는 50℃, 비중은 1.02이다. 나일론 6 및 66에 비해 융점과 흡수율이 낮고, 내충격성(내한 충격성)이 우수하다. 폴리아미드 중에서는 가장 밀도가 낮다.

'''나일론 66'''(Nylon 66)은 미국의 듀폰(DuPont)사의 월리스 캐러더스가 발명한 완전 인공 합성 합성섬유로, 기존의 천연 섬유를 화학적으로 변환하여 용해시킨 후 섬유로 재생하는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 약칭은 '''PA66'''이며, 녹는점은 265℃, 유리 전이 온도는 50℃, 비중은 1.14이다. 초기에는 '''Nylon®'''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었지만, "나일론"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방족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를 총칭하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다른 나일론과 구분하기 위해 나일론 66이라고 부른다.

"석탄과 물, 그리고 공기로 만들어지며, 강철보다 강하고 거미줄보다 가늘다"라는 듀폰사의 광고 문구가 보여주듯이, 흡습성과 강도 등 섬유로서의 특성은 폴리에스터 섬유보다 우수하며, 천연 섬유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으므로, 오늘날에도 의류용 섬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나일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5. 1. 1. 나일론 6 (Nylon 6)

'''나일론 6'''(Nylon 6)은 카프로락탐의 개환 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아마이드이며, 약호는 '''PA6'''이다. 융점은 225℃, 유리 전이 온도는 48℃, 비중은 1.14이다.

5. 1. 2. 나일론 11 (Nylon 11)

'''나일론 11'''(PA11)은 운데칸락탐(undecanlactam)의 개환중합(開環重縮合)으로 생성된 폴리아마이드이다. 융점은 187℃, 유리전이온도는 37℃, 비중은 1.04이다. 나일론 6 및 66에 비해 융점(187℃)이 높고, 흡수성이 낮으며, 내충격성(耐寒衝撃性)이 우수하다.

5. 1. 3. 나일론 12 (Nylon 12)

'''나일론 12'''는 라우릴락탐(lauryl lactam)의 개환 중합에 의해 생성된 폴리아마이드이며, 약호는 '''PA12'''이다. 융점은 176℃, 유리전이온도는 50℃, 비중은 1.02이다. 나일론 6 및 66에 비해 융점과 흡수율이 낮고, 내충격성(내한 충격성)이 우수하다. 폴리아미드 중에서는 가장 밀도가 낮다.

5. 1. 4. 나일론 66 (Nylon 66)

'''나일론 66'''(Nylon 66)은 미국의 듀폰(DuPont)사의 월리스 캐러더스가 발명한 완전 인공 합성 합성섬유로, 기존의 천연 섬유를 화학적으로 변환하여 용해시킨 후 섬유로 재생하는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 약칭은 '''PA66'''이며, 녹는점은 265℃, 유리 전이 온도는 50℃, 비중은 1.14이다. 초기에는 '''Nylon®'''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었지만, "나일론"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방족 골격을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를 총칭하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다른 나일론과 구분하기 위해 나일론 66이라고 부른다.

"석탄과 물, 그리고 공기로 만들어지며, 강철보다 강하고 거미줄보다 가늘다"라는 듀폰사의 광고 문구가 보여주듯이, 흡습성과 강도 등 섬유로서의 특성은 폴리에스터 섬유보다 우수하며, 천연 섬유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으므로, 오늘날에도 의류용 섬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나일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5. 2. 아라미드 (Aramid)

모든 방향족 폴리아미드(보통 '''아라미드'''라고도 함)는 고내열성·고강도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이러한 특성은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분자 수준에서 직쇄상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화학 구조에 따라 파라계 아라미드와 메타계 아라미드로 크게 나뉜다.[6][7][8][9][10][11][12][13]

5. 2. 1. 파라계 아라미드

케블라(Kevlar®) (듀폰·도레이)·트와론(Twaron®) (帝人(테이진))는 폴리-''p''-페닐렌테레프탈아마이드라고도 불리는 p-페닐렌디아민과 테레프탈산 클로라이드로부터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이다. Kevlar®는 듀폰사의 상표이다. 듀폰사는 황산에 녹여 방사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고중합도 섬유의 제품화를 가능하게 했다(1974년). 강철의 5배[6]인장강도와 내열·내마찰성이 높고, 절단 및 충격에도 강하기 때문에, 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스틸 와이어, 유리섬유, 석면 등에 대체되어 사용된다.

다음은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의 주요 용도를 나타낸다.

  • 라디알 타이어의 타이어 코드
  • 광섬유 케이블의 시스선
  • 작업용 피혁 장갑의 봉제 (피혁이 마모되어 찢어지기 전에 봉제실이 끊어져 분해된 경우 언제든지 보증 대상이 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
  • 방탄복
  • 헬멧
  • 봉고 - 전통적인 목재로는 살사 연주자가 봉고를 바닥에 떨어뜨려 연주하는 스타일이나 현지 클럽 및 최대 규모의 경기장에서의 연주 강도를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사가 케블라를 사용한 봉고를 제조하고 있다.[7] LP사는 케블라를 "강철의 두 배 강도"(which is twice as strong as steel.)[8]라고 언급하고 있다. LP사는 같은 디자인의 콩가에는 케블라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봉고 특유의 고부하 사용 조건 때문이다.


또한, 이 케블라, 트와론의 성분에, 디아미노페닐렌테레프탈아마이드를 공중합한 것이 테크노라 (Technora®)이며, 帝人(테이진)이 개발하여 제조·판매하고 있다.

케블라와 트와론은 액정 폴리머이기 때문에, 제조 시 특히 연신 공정은 필요 없지만, 테크노라는 액정이 아니므로, 제조 시에는 연신 공정, 열처리 공정이 필수적이다.

'''Twaron'''(트와론)은 테이진의 파라계 아라미드 섬유 브랜드이다. 내열성이 있는 강력한 합성섬유로 1970년대 초에 네덜란드악조노벨 ENKA 부문이 개발한 섬유이다. 연구명은 '''Fiber X'''였지만 곧 '''Arenka'''로 불리게 되었다. 네덜란드의 아라미드 섬유 개발은 듀폰사의 케블러보다 약간 늦었을 뿐이지만, 1970년대 악조사의 재정적 문제로 케블러보다 대량 생산이 상당히 늦어졌다.

Twaron의 역사:[9]:

  • 1960년대에 Fiber X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 1972년에 ENKA 연구소에서 '''Arenka'''라는 이름의 파라아라미드가 개발되었다.
  • 1973년에 아크조(Akzo)는 방사용 용매로 황산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 1976년에 파일럿 플랜트가 건설되었고 1977년에 생산을 시작했다.
  • 1984년에 이름을 '''Twaron'''으로 변경했다.
  • 1986년에 3곳에서 9기의 플랜트가 가동을 시작했다.
  • 1987년 '''Twaron'''이 상품으로 출시되었다.
  • 1989년 아크조(Akzo Nobel)사의 아라미드 섬유 사업부가 Twaron BV로 독립했다.
  • 2000년부터 Twaron BV는 테이진(Teijin)이 소유하게 되었고, 현재는 테이진 Twaron BV로 불리며 네덜란드 아른험을 거점으로 한다. Twaron의 주요 생산 거점은 네덜란드 델프자일(Delfzijl)이다.

  • 2007년, 테이진 Twaron은 6년 만에 4배로 확장하여 사명을 변경하여 테이진 아라미드(Teijin Aramid)가 되었다.[10]
[11][12][13]

5. 2. 2. 메타계 아라미드

'''노멕스®''' (Nomex®) (듀퐁/도레이) 또는 '''코네크스®''' (Teijinconex®) (테이진)는 poly-''m''-phenyleneisophthalamide라고도 불리는 m-페닐렌디아민과 이소프탈산 클로라이드로부터 축중합하여 얻어지는 메타계 아라미드 섬유이다. 노멕스®는 듀폰 사의 상표이며, 코네크스®는 테이진에서도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듀폰 사가 개발한 내열성 섬유로, 배기가스 필터나 수지 보강제로 사용되었고, 우주복 등에도 응용되었다. 이후 안료를 첨가하는 안료 염색이 가능해짐에 따라 일상 용품의 용도가 확대되어, 그 방염성을 살려 소방복, 커튼, 카펫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노멕스는 소방관 등 특수 직업군의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소재로, 진보 진영에서는 이러한 첨단 소재 개발과 보급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참조

[1] 논문 Polyamides, Plastics
[2] 보고서 Market Study Engineering Plastics http://www.ceresana.[...] Ceresana 2013-09-01
[3] 웹사이트 Making nylon: The "nylon rope trick" http://www.rsc.org/l[...]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5-04-19
[4] 논문 Acid-catalyzed Reactions of Nitriles. I. The Reaction of Nitriles with Formaldehyde1 1951-03-01
[5] 논문 Synthesis of polyamides from p-Xylylene glycol and dinitriles 2009-02-20
[6] 문서 後述のLP社は二倍の強度と言っている。
[7] 웹사이트 LP社の正規代理店であるモリダイラ楽器の説明。 https://moridaira.jp[...] モリダイラ楽器
[8] 웹사이트 LP社による説明 https://www.lpmusic.[...] LP社
[9] 논문 Twaron - A history of innovation http://www.teijinara[...] 2010-03-01 # 링크 끊김 날짜를 date로 사용
[10] 논문 Teijin Launches Fourth Production Expansion in Six Years https://www.ifj.com/[...]
[11] 서적 High-performance fibres Woodhead Publishing Ltd., Abington, UK - The Textile Institute
[12] 논문 Manmade fibers one hundred years: Polymers and polymer design
[13] 특허 US Patent 43083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