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학교괴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학교괴담은 학교를 배경으로 한 초자연적인 이야기로, 한국과 일본에서 각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한국의 학교괴담은 일제강점기 학교 제도와 융합되어 발생했으며, 초등학교에서는 화장실, 교실, 운동장, 동상 등을 배경으로 하며, 중·고등학교에서는 경쟁, 대학교에서는 죽음을 주제로 한다. 일본의 학교괴담은 구전 문화를 통해 전해지며, 1990년대 오컬트 붐과 함께 영화, 드라마, 소설,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매체로 제작되었다. 학교괴담은 아이들의 소통 도구이자 사회 현상으로, 학교의 7대 불가사의와 같은 형태로 정형화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학교괴담 - 화장실의 하나코상
    화장실의 하나코상은 일본 학교 괴담에 등장하는 요괴 또는 유령으로, 주로 학교 화장실, 특히 3층 여자 화장실 세 번째 칸에 나타나는 어린 소녀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1950년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로 일본 대중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 학교괴담 - 빨간 종이, 파란 종이
    "빨간 종이, 파란 종이"는 화장실에서 특정한 질문을 받고 선택에 따라 끔찍한 결말을 맞이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도시 괴담으로, 사회 현실을 반영하며 대중문화 콘텐츠에도 영향을 미쳤다.
  • 괴담 - 교고쿠 나쓰히코
    교고쿠 나쓰히코는 1963년 홋카이도 출생의 일본 소설가이자 그래픽 디자이너로, 『우부메의 여름』으로 데뷔하여 '백귀야행' 시리즈, '항설백물어' 시리즈 등 독특한 추리 스타일과 직접 디자인한 책으로 유명하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하고 소설 외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괴담 - 유령
    유령은 고대 영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죽은 자의 영혼이나 정신을 의미하며, 중세 시대부터 가시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죽은 자의 영혼을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쓰였고, 현재는 추상적인 개념이나 실체가 없는 이미지에 비유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학교괴담

2. 대한민국의 학교괴담

대한민국의 학교괴담은 일제 강점기 때 정비된 근대 학교와 제도가 접목되어 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2. 1. 초등학교

초등학교 괴담은 주로 화장실, 교실, 운동장, 동상 등을 배경으로 한다. 화장실 괴담은 전형적인 일본식 괴담이 유입된 것으로 보여 큰 차이점을 찾기 어렵다. 하지만 교실 괴담의 경우, 일본에서는 음악실이나 미술실 같은 특수 교실 관련 내용이 주를 이루는 반면, 대한민국에서는 컴퓨터실 관련 내용이 등장하는 등 차이를 보인다. 동상 관련 괴담 역시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일본에서는 주로 니노미야 긴지로 동상이 언급되지만,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에는 주로 세종대왕, 이순신, 유관순 열사의 동상이 세워져 있어 이들과 관련된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다.

2. 2. 중·고등학교

중학교 시기에는 여러 이유로 괴담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어 특별한 특징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고등학교 시기에는 성적 경쟁이 치열한 1등과 2등 학생 사이의 갈등을 다루지만, 누가 가해자이고 누가 피해자인지 관계가 모호하게 그려지는 《'''통통귀신'''》 이야기나, 야간자습시간과 관련된 《'''야간자습시간에 발생한 방송사고'''》 같은 괴담이 존재한다.[2]

2. 3. 대학교

대학교 괴담은 죽음과 관련된 것이 많으며, 그 배경은 대부분 학교이다. 죽음의 방식은 여러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초창기 괴담에서는 귀신과 관련된 이야기가 주류였지만, 1990년대에는 남녀 간의 사랑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취업이나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 등이 괴담의 주제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3]

3. 일본의 학교괴담

'학교괴담'은 구전 문화의 하나로, '알 수 없음'이라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꾸준히 이어져 왔다.[1]

제2차 오컬트 붐이 일었던 1990년대에는 '학교의 7대 불가사의'와 같은 이야기들과 함께 영화, 드라마, 소설, 만화, TV 게임 등 다양한 매체의 소재로 활용되면서 그 형태가 정형화되었다.

'학교괴담'은 때로 "아이들의 시시한 농담"으로 치부되기도 하지만, 기존의 "무서운 이야기"에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현실감을 더하는 경우도 많다. 이는 빠른 정보 전파 속도와 맞물려 특정 지역에서 사회 현상으로 번지기도 한다.

3. 1. 학교의 7대 불가사의

학교에서 전해지는 여러 학교 괴담 중에서 7개를 묶어 '학교의 7대 불가사의' 또는 '학원 7대 불가사의'라고 부른다. 이 7가지 불가사의를 모두 알게 되거나, 때로는 숨겨진 8번째 이야기를 알게 되면 불행한 일이 생긴다는 미신이 흔히 따라붙는다. 하지만 실제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의 개수가 반드시 7개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다.

3. 2. 학교괴담을 소재로 한 작품

다음 작품 외에도 학원물 등 학교를 주요 무대로 한 작품에서는 에피소드 중 하나로 학교괴담을 다루는 경우가 많다.

3. 2. 1. 서적


  • 학교괴담 1 - 9권 · 신 1 - 5권 · A - E권: 고단샤 KK문고 (저자: 토코미츠 토오루… 영화 "학교괴담"의 원작자)
  • 학교괴담 일본 민화의 회 편: 학교괴담 편집위원회 그림: 마에지마 아키토 (포플러사)
  • 학교의 무서운 소문 하나코 씨가 왔다!!: 원작: 모리 쿄시히메 (다케쇼보)
  • 학교의 무서운 소문 신·하나코 씨가 왔다!!: 원작: 모리 쿄시히메 (다케쇼보)
  • 학교괴담 1 - 15권: 소년 챔피언 코믹스 (1 - 8권: 아키타 문고판), 저자: 타카하시 요스케 (아키타 쇼텐)

3. 2. 2. 영화

학교뿐만 아니라, 동굴, 시내, 등대 등 다양한 장소를 무대로 한 5편의 작품이 제작되었다.

3. 2. 3. 드라마

간사이 TV 계열에서 연속 시리즈 1편과 스페셜판 6편, 총 7편이 제작·방송되었다.

  • 학교괴담 (1994년 1월 ~ 3월)
  • 학교괴담 R (1996년 7월)
  • 학교괴담 f (1997년 7월)
  • 학교괴담 G (1998년 7월)
  • 학교괴담 봄의 저주 스페셜 (1999년 3월)
  • 학교괴담 봄의 저주 스페셜 (2000년 3월)
  • 학교괴담 봄의 요괴 스페셜 (2001년 3월)


또한 BeeTV에서 2012년 7월부터 9월까지 드라마가 제작되었다. SKE48 멤버들이 주연을 맡았으며, 총 15화로 구성되었다.

: 학교괴담 (2012년 7월 ~ 9월)

3. 2. 4. 게임

연도제목제작사플랫폼
1995년학교괴담반프레스토슈퍼 패미콤
1995년학교의 괴담세가세가 새턴
1995년학교의 무서운 소문 하나코 씨가 왔다!!캡콤세가 새턴, 플레이스테이션
1995년동상반다이 비주얼Mac, Win
1995년동상아뮤즈3DO
1996년학교에서 있었던 무서운 이야기S반프레스토플레이스테이션
1999년저녁 어스름 거리 탐험대스파이크플레이스테이션
2004년학교의 괴담 백요 상자의 봉인티디케이 코어게임보이 어드밴스
2008년학교의 괴담 DS컴파일 하트닌텐도 DS


3. 2. 5. 애니메이션


  • 학교의 무서운 소문 하나코가 왔다!! (1994년 ~ 1995년, 후지 TV 계열 『퐁키키즈』 내 방영)
  • 학교의 무서운 소문 신・하나코가 왔다!! (2010년, TwellV, 키즈 스테이션)
  • 학교괴담 (2000년 ~ 2001년, 후지 TV 계열)
  • 학교괴담 (2005년 ~ 2008년, 월간 프레 코믹 번번 특별 부록 OVA)

4. 학교괴담의 사회문화적 의미

학교괴담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구전 문화의 하나로, '알 수 없는' 무언가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꾸준히 이어져 왔다.[1]

특히 제2차 오컬트 붐이 일었던 1990년대에는 '학교의 7대 불가사의'와 같은 이야기들과 함께 영화, 드라마, 소설, 만화, TV 게임 등 다양한 매체의 소재로 활용되면서 그 형태가 정형화되었다.

학교괴담이 때로는 '아이들의 시시한 농담'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무서운 이야기'에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여 현실감을 더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빠른 정보 전파 속도와 맞물려 특정 지역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현상'으로 번지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消えた?学校の七不思議 記者、怪談探し25年ぶり母校へ(京都新聞)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11-12-03
[2] 학위논문 學校怪談을 통해본 傳統文化의 受容과 變化에 대한 일고찰 우리문학연구
[3] 학위논문 대학생이 전승시키는 怪談의 유형과 그 존재양상 구비문학연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