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할지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지 왕조는 1290년부터 1320년까지 델리 술탄국을 통치한 왕조이다. 튀르크-아프간계 할지족은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아프가니스탄을 거쳐 델리 술탄국을 장악했다. 할지 왕조는 잘랄 웃 딘 할지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알라 웃 딘 할지 시대에 영토를 확장하고 몽골의 침입을 격퇴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알라 웃 딘 할지는 잔혹한 통치를 하였으며, 가혹한 세금 정책과 시장 통제로 인해 백성들의 고통을 가중시켰다. 알라 웃 딘 할지 사후 왕조는 혼란에 빠졌고, 쿠데타를 거쳐 투글루크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할지 왕조는 건축, 특히 쿠트브 복합단지의 알라이 다르와자를 남겼으며, 세입 개혁은 이후 인도의 국정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세기 인도 - 레디 왕국
    14세기 초 안드라 지방에서 텔루구족 레디 가문이 세운 레디 왕국은 카카티야 왕조 멸망 후 프롤라야 베마 레디가 델리 술탄 왕조에 맞서 독립을 쟁취하여 건설되었으며, 요새 건축 기술과 힌두교 문화 후원, 그리고 텔루구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인도의 무슬림 왕조 - 수르 제국
    수르 제국은 1539년 셰르 샤 수리가 건국하여 토지세 개혁과 화폐 제도 개혁을 추진했지만, 1555년 후마윤에 의해 멸망한 북인도의 왕조이다.
  • 인도의 무슬림 왕조 - 무굴 왕조
    무굴 왕조는 위키백과에 등재된 문서가 아니므로 개요를 기반으로 요약할 수 없다.
할지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국가명할지 왕조
로마자 표기Khalji Wangjo
페르시아어 표기سلسله خلجی
영어 표기Sulṭanat Khalji (할지 술탄국)
역사
건국1290년 6월 13일
멸망1320년 5월 1일
이전 국가노예 왕조
이후 국가투글루크 왕조
통치
정치 체제술탄국
수도델리
수도 (교외)킬로크리
주요 언어힌두스타니어 (링구아 프랑카)
페르시아어 (공식어)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지도자
칭호술탄
초대 술탄잘랄 웃딘 피루즈 할지 (1290년 ~ 1296년)
주요 술탄알라 웃딘 할지 (1296년 ~ 1316년)
마지막 술탄쿠트브 웃딘 무바라크 샤 (1316년 ~ 1320년)
영토
1320년경 할지 왕조의 영역
1320년경 할지 왕조의 영역
현재 국가인도
파키스탄

2. 기원

할지 왕조는 투르크-아프간[10][11][12] 출신으로, 그들의 조상인 칼라지족은 투르크족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훈족에프탈과 함께 중앙아시아에서 이주하여[13] 서기 660년경 오늘날 아프가니스탄 남부 및 동부 지역으로 이동, 카불 지역을 불교 투르크 샤히로 통치했다고 전해진다.[14] 델리 술탄국의 투르크 귀족들은 잘랄 웃 딘 할지가 델리 왕위에 오르는 것을 반대했다.[15][16][17]

13세기에 칼지족은 투르크족과 구별되는 별개의 민족으로 여겨졌으며, "칼지 혁명"은 투르크 지배 엘리트에서 비투르크 지배 엘리트로의 권력 이전을 의미했다.[18] 동시대 역사가들은 칼지족을 투르크족이나 몽골족으로 인식하지 않고 명확히 구분했다.[19][20]

2. 1. 할지족의 기원에 대한 여러 주장

할지족은 튀르크-아프간계 부족으로, 원래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했다.[77][78][79] 기원후 6세기경 에프탈후나족이 북인도를 침입하자[80] 그들과 함께 오늘날 아프가니스탄 남부와 동부로 이주했고, 불교를 신봉하는 튀르크 샤히를 설립하여 카불 지역을 통치했다고 한다.[81]

R.S. 차우라시아에 따르면 할지족은 점진적으로 아프가니스탄의 수많은 관습과 풍습을 받아들였고, 델리 술탄국의 튀르크계 귀족들에게는 아프간인으로 취급되었다. 당시 델리 술탄국에는 튀르크계 우대 풍조가 만연해 있었는데, 할지 혁명 이후 델리 술탄국의 일부 튀르크계 귀족들이 잘랄 웃 딘의 델리 술탄 즉위에 반대할 정도였다.[82][83][84]

2010년에 출판된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중 13세기를 다룬 부분에 따르면 할지족은 튀르크족과 구별되는 별개의 민족으로 여겨졌으며, 이른바 '할지 혁명'은 튀르크계 지배 엘리트층에서 비튀르크계 민족으로 권력이 이양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안드레 윙크(André Wink)는 할지족이 튀르크화된 집단이며, 이전에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했던 사카, 쿠샨, 에프탈과 같은 초기 인도-유럽계 유목민의 잔재라고 주장했다.

확실한 것은, 당시 할지족들이 적어도 튀르크인이나 몽골인으로 인식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동시대의 역사가들은 할지족과 튀르크족들을 분명하게 구별했다. 도어퍼(Doerfer)에 따르면 할지인들은 아마도 튀르크화된 소그드인이었을 것이다. 이들은 나중에 아프간화되었으며, 좀 더 나중에는 길자이 파슈툰족의 조상이 되었을 지도 모른다.

C.E. 보즈워스에 따르면 오늘날 아프가니스탄 파슈툰족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길자이 부족은 할지족이 파슈툰족으로 동화된 현대적 결과라고 한다. 10~13세기 사이의 몇몇 사료들은 튀르크어를 기준으로 할지족을 언급하지만, 또 다른 사료들은 그렇지 않다. 미노르스키는 할지족의 초기 역사가 모호하다는 것을 근거로, '할지'라는 이름의 정체성은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11세기의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오구즈 튀르크 부족 목록에 할지족을 포함하지 않고, 오구즈-투르크만(투르크만은 '튀르크처럼'을 의미한다) 부족 목록에 할지족을 포함시켰다. 카슈가리는 할지족이 본래 튀르크 부족의 주류에 속하지 않고, 단지 그들과 연관만 되어 있었기 때문에 언어와 복장에서 종종 '튀르크처럼' 나타났다고 생각했다. 무함마드 이븐 나지브 바크란의 『자한나마』는 그들을 튀르크족이라고 명시적으로 묘사하지만, 그들의 피부색이 튀르크인에 비해 더 어둡고 그들의 언어가 뚜렷한 방언으로 인식될 만큼 변형된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3. 역사

노예 왕조가 쇠퇴하면서, 잘랄 웃 딘 할지는 쿠데타를 일으켜 노예 왕조의 마지막 술탄인 17세의 무이즈 웃 딘 카이카바드를 살해하고 정권을 잡았다.[85]

잘랄 웃 딘 할지는 1290년 1월 델리의 술탄으로 즉위하여 할지 왕조를 열었다. 그는 아프간인이나 다른 인도계 무슬림에게 높은 관직을 주는 등, 노예 왕조보다 관용적인 정책을 펼쳐 민심을 얻었다. 튀르크계 귀족들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잘랄 웃 딘은 이를 진압하고 몇몇 주동자들을 처형했다. 이후 란탐보르 요새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기도 했다.

잘랄 웃 딘 할지의 주화. 델리 조폐창. AH 691년(서기 1291-2년)에 발행. 칼리프 알 무스타심을 언급하는 전설


잘랄 웃 딘 할지는 인도에 대한 몽골 침략을 여러 차례 막아냈다. 1292년 차가타이 칸의 증손자인 압둘라가 약 15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쳐들어왔으나,[86] 신드 강 유역에서 그의 조카 주나 칸과 함께 이들을 물리쳤다.[54] 그러나 1296년, 잘랄 웃 딘은 조카 알라 웃 딘 할지의 음모로 사마나의 무하마드 살림에게 암살당했다.[26][27]

알라 웃 딘 할지는 잘랄 웃 딘 할지의 조카이자 사위였다. 그는 데칸 고원 서부를 지배하던 야다바 왕조의 수도 데바기리를 급습하여 약탈하는 등 공을 세웠다. 1296년, 알라 웃 딘은 델리로 돌아와 잘랄 웃 딘을 살해하고 권력을 장악했다. 그는 자파르 칸(군사 지휘관), 누스라트 칸(재상), 아인 알 물타니, 말리크 카푸르 등 튀르크계가 아닌 토착 인도계 출신 무슬림들을 고위 관료로 임명했다.[87]

알라 웃 딘 치하 할지 왕조의 최대 영역. 알라 웃 딘의 시기에 중부~남부 인도 대부분의 힌두 왕조들이 정복되었다.


알라 웃 딘은 구자라트의 무역항로를 확보하기 위해 아인 알 물타니를 말와 총독으로 임명하고 파라마라 왕국을 정복하게 했다. 1299년에는 누스라트 칸이 솔란키 왕조를 물리치고 구자라트 전역을 정복했다. 누스라트 칸은 구자라트의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고 솜나트 사원 등을 약탈했다. 알라 웃 딘은 말리크 카푸르와 쿠스라우 칸 같은 장군들의 도움으로 델리 술탄국의 영토를 남쪽으로 계속 넓혔으며, 패배한 인도인들로부터 많은 전리품을 거둬들였다.

알라 웃 딘 시기(AD 1296~1316)에 발행된 금화.


알라 웃딘 할지는 20년 동안 통치하면서 라지푸타나, 자이살메르(1299), 란탐보르(1301), 치토르(1303), 말와(1305년) 등을 델리 술탄국의 영토로 추가하였으며, 구자라트를 정복하고 야다바 왕조의 수도 데바기리를 약탈했다.

알라 웃딘은 내정 면에서는 귀족 통제를 위해 밀고를 장려하고, 힌두교도 지방 영주를 억압하여 통제력을 높였다. 또한 엄격한 물가 통제와 검지를 통한 경제와 세수의 안정화를 꾀하는 등 강압적인 정책을 시행했다.[68]

알라 웃 딘 할지는 차가타이 칸국의 침입을 여러 차례 막아냈다. 1297년 겨울, 차가타이 칸국의 노얀 카다르가 이끄는 몽골군이 인도를 침공하여 펀자브 지역을 황폐화시키고 카수르까지 진격했을 때, 자란 만주르 전투(1298)에서 몽골 군대를 물리쳤다.[87] 아프가니스탄 산악 지대에 주둔하며 자주 인도에 침입해 온 몽골 제국차가타이 칸국 군대를, 할지 왕조에 속한 지방 총독 기야스 웃딘 투글루크 등의 활약으로 격퇴하여, 인도의 자립을 유지했다(몽골의 인도 침공).[66]

알라 웃 딘 할지는 말리크 카푸르에게 데칸, 남인도 원정을 명령했다. 이에 따라 야다바 왕조, 카카티야 왕조, 호이살라 왕조와 같은 힌두 왕조들이 복속되었고, 판디아 왕조의 수도 마두라이가 함락되었다. 1310년까지 데칸과 남인도 대부분이 점령되어 델리 술탄 왕조는 광대한 영토를 가지게 되었다.[67]

알라 웃 딘 할지는 잔혹한 방법으로 힌두 왕국들을 정복했다. 역사학자들은 그를 폭군으로 평가하는데, 자신의 권력에 위협이 된다고 의심되는 사람은 물론 그 가족들(여성과 아이 포함)까지 모두 살해했기 때문이다.[44] 1311년 알라 웃 딘은 델리 술탄국 내부의 몽골인들이 자신에 대한 봉기를 꾸몄다고 의심하여 이들을 제거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이에 따라 최근 이슬람으로 개종한 15,000~30,000명 사이의 몽골인 정착민들이 모조리 학살되었다.[44][45]

쿠스라우 칸의 주화


1316년 알라 웃 딘 할지가 사망한 후, 할지 술탄국은 혼란에 빠졌다. 알라 웃 딘의 측근이었던 환관 말리크 카푸르가 실권을 장악했으나,[67][69] 아미르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몇 달 만에 살해당했다.

말리크 카푸르 사후 3년 동안, 세 명의 술탄이 권력을 잡았다가 쿠데타로 살해당하는 일이 반복되었다. 아미르들은 알라 웃 딘의 여섯 살 난 아들 쉬하브 앗 딘 우마르를 술탄으로, 그의 십 대 형제인 쿠트브 웃 딘 무바라크 샤를 섭정으로 옹립했다. 그러나 무바라크 샤는 동생을 죽이고 스스로 술탄이 되었다. 무바라크 샤는 1320년에 아미르 중 한 명이었던 쿠스라우 칸에게 암살당했다.[71]

아미르들은 가지 말리크에게 쿠데타를 일으키도록 종용했다. 가지 말리크는 군대를 이끌고 델리로 진군, 쿠스라우 칸을 참수하고 술탄으로 즉위했다. 이후 가지 말리크는 자신의 이름을 기야스 앗 딘 투글루크로 개명하고 투글루크 왕조를 개창하여 할지 왕조는 멸망했다.[71][72]

3. 1. 잘랄 웃 딘 할지 시대 (1290-1296)

잘랄 웃 딘은 인도에 대한 몽골 침략을 여러 차례 격퇴했다. 1292년에는 차가타이 칸의 증손자인 압둘라가 약 15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쳐들어왔으나,[86] 신드 강 유역에서 그의 조카 주나 칸과 함께 이들을 패배시켰다.[54] 1296년, 잘랄 웃 딘은 조카 알라 웃 딘 할지의 음모로 사마나의 무하마드 살림에게 암살당했다.[26][27]

3. 1. 1. 할지 혁명

할지족은 델리 술탄국 노예 왕조의 봉신으로서 당시 델리 술탄인 기야스 웃 딘 발반을 섬겼다. 발반은 철권통치를 실시하여 차할가니를 해체했고, 튀르크 귀족들의 힘을 제한하는 조치들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이는 비튀르크계 민족들을 억누르던 튀르크계 귀족들에게 큰 타격을 주었고, 결과적으로 암살을 통해 권력을 장악한 할지족에게 취약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85] 맘루크 장군들은 한 명씩 살해되었고, 잘랄 웃 딘 할지가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마지막 노예 왕조 술탄인 17세의 무이즈 웃 딘 카이카바드는 쿠데타 도중 살해되었다.

즉위 당시 70세였던 잘랄 웃 딘은 온화하고 겸손하며 친절한 군주로 알려졌다.

잘랄 웃 딘은 튀르크 귀족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290년 1월 델리의 술탄으로 즉위함으로써 할지 왕조를 개창했다. 그는 아프간인이나 타 인도계 무슬림들에게 높은 관직을 제공하는 등, 노예 왕조보다 비교적 관용적인 정책을 내세워 민심을 얻었다. 튀르크계 귀족들이 발반의 조카였던 말리크를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잘랄 웃 딘은 이를 진압하고 몇몇 인물들을 처형하는 선에서 마무리했다. 이후 그는 란탐보르 요새에 대한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기도 했다.

그는 또한 몽골인들의 침입을 여러 차례 격퇴했다. 1292년, 차가타이 칸의 증손자인 압둘라가 약 15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쳐들어왔으나,[86] 잘랄 웃딘은 그의 조카인 주나 칸과 함께 신드 강에서 이들을 패배시켰다.

1296년, 잘랄 웃 딘은 그의 조카 알라 웃 딘 할지의 음모로 암살당했다.

3. 2. 알라 웃 딘 할지 시대 (1296-1316)

알라이 다르와자 이슬람 사원은 할지 왕조 시기인 1311년에 완공되었다.


알라 웃 딘 할지는 잘랄 웃 딘 할지의 조카이자 사위였다. 그는 데칸 고원 서부를 지배하던 야다바 왕조의 수도 데바기리를 급습하여 약탈하는 등 전공을 세웠다. 1296년, 알라 웃 딘은 델리로 돌아와 잘랄 웃 딘을 살해하고 권력을 잡았다. 그는 자파르 칸(군사 지휘관), 누스라트 칸(재상), 아인 알 물타니, 말리크 카푸르 등을 고위 관료에 임명했는데, 이들은 모두 튀르크계가 아닌 토착 인도계 출신 무슬림들이었다.[87]

알라 웃 딘은 구자라트의 무역항으로 가는 항로를 확보하기 위해 아인 알 물타니를 말와 총독으로 임명하고 파라마라 왕국을 정복하도록 했다. 그는 라지푸트 군대와 함께 대항하던 그곳의 통치자를 격파한 뒤, 말와 일대를 술탄국의 영토에 추가하였다. 1299년에는 누스라트 칸이 솔란키 왕조를 물리치고 구자라트 전역을 정복했다. 누스라트 칸은 구자라트의 주요 도시들을 점령하고 솜나트 사원과 같은 사원을 약탈했다. 알라 웃 딘은 말리크 카푸르와 쿠스라우 칸과 같은 장군들의 도움으로 델리 술탄국의 영토를 남쪽으로 계속 확장했으며, 패배한 인도인들로부터 대규모 전리품을 수집했다. 그의 휘하 지휘관들은 술탄국의 재정에 전리품의 5분의 1을 지불했는데, 이는 할지 왕조의 통치권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알라 웃딘 할지는 20년 동안 통치하면서 라지푸타나, 자이살메르(1299), 란탐보르(1301), 치토르(1303), 말와(1305년) 등의 지역을 델리 술탄국의 영토로 추가하였으며, 구자라트를 정복하고 야다바 왕조의 수도 데바기리를 약탈했다.

알라 웃딘은 내정 면에서는 귀족 통제를 위해 밀고를 장려하고, 힌두교도 지방 영주를 억압하여 통제력을 높였다. 또한 엄격한 물가 통제와 검지를 통한 경제와 세수의 안정화를 꾀하는 등 강압적인 시책을 시행했다.[68]

3. 2. 1. 몽골의 침입 격퇴

알라 웃딘 할지는 1297년 겨울, 차가타이 칸국의 노얀 카다르가 이끄는 몽골군이 인도를 침공하여 펀자브 지역을 황폐화시키고 카수르까지 진격했을 때, 자란 만주르 전투(1298)에서 몽골 군대를 물리쳤다.[87] 이 승리는 찬탈로 즉위하여 크게 흔들리고 있던 알라 웃 딘의 권력과 위신을 공고히 해주었다. 알라 웃딘은 기야스 웃딘 발반이 이끈 노예 왕조에 격퇴된 이후 몽골 제국이 품었던 인도 침략을 다시 좌절시키는 데 성공했고,[66] 이러한 무훈으로 스스로를 '제2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시칸다르 사니 또는 스칸다르 사니)'라고 칭했다.

아프가니스탄의 산악 지대에 주둔하며 자주 인도에 침입해 온 몽골 제국차가타이 칸국 군대를, 할지 왕조에 속한 지방 총독 기야스 웃딘 투글루크 등의 활약으로 격퇴하여, 인도의 자립을 유지했다(몽골의 인도 침공).[66]

3. 2. 2. 남인도 원정

알라 웃딘 할지는 말리크 카푸르에게 명하여 데칸, 남인도 원정을 감행하였다. 이에 따라 야다바 왕조, 카카티야 왕조, 호이살라 왕조와 같은 힌두 왕조들이 복속되었고, 판디아 왕조의 수도 마두라이가 함락되었다. 1310년까지 데칸과 남인도 대부분이 점령되어 델리 술탄 왕조는 광대한 판도를 가지게 되었다.[67]

1308년, 알라 웃 딘의 부관 말리크 카푸르와랑갈을 점령하고 크리슈나 강 남안의 호이살라 왕국을 멸망시켰으며, 타밀나두의 마두라이를 습격했다.[42] 그는 정복한 왕국들의 수도와 창고에 있는 재물들을 약탈했는데, 그 중에는 인류 역사상 가장 큰 다이아몬드 중 하나인 코이누르가 포함되어 있었다. 말리크 카푸르는 1311년 델리로 귀환했고, 전리품들을 알라 웃딘에게 헌상하였다. 이것은 힌두교 집안에서 태어나 이슬람으로 개종한 뒤 델리 술탄국의 군대 사령관이 된 말리크 카푸르를 알라 웃 딘 할지가 총애하는 계기가 되었다.[54]

3. 2. 3. 잔혹한 통치

알라 웃딘 할지는 20년 동안 통치하면서 잔혹한 방법으로 힌두 왕국들을 정복했다. 역사학자들은 그를 폭군으로 간주하는데, 자신의 권력에 위협이 된다고 의심되는 사람은 물론 그 가족들(여성과 아이 포함)까지 모두 살해했기 때문이다.[44]

1298년 델리 인근에서는 봉기 우려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15,000~30,000명 가량의 사람들이 하루 만에 학살당했다. 그는 또한 1299~1300년 사이에 자신의 가족들과 조카들을 살해했는데, 눈을 뽑아내고 참수하는 등 그 방법이 매우 잔혹했다.[28]

1311년 알라 웃 딘은 델리 술탄국 내부의 몽골인들이 자신에 대한 봉기를 꾸몄다고 의심하여 이들을 제거하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이에 따라 최근 이슬람으로 개종한 15,000~30,000명 사이의 몽골인 정착민들이 모조리 학살되었다.[44][45]

3. 3. 마지막 할지 술탄들과 왕조의 멸망 (1316-1320)

1316년 알라 웃 딘 할지가 사망한 후, 할지 술탄국은 혼란에 빠졌다. 알라 웃 딘의 측근이었던 환관 말리크 카푸르가 실권을 장악했으나,[67][69] 아미르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몇 달 만에 살해당했다.

말리크 카푸르 사후 3년 동안, 세 명의 술탄이 권력을 잡았다가 쿠데타로 살해당하는 일이 반복되었다. 아미르들은 알라 웃 딘의 여섯 살 난 아들 쉬하브 앗 딘 우마르를 술탄으로, 그의 십 대 형제인 쿠트브 웃 딘 무바라크 샤를 섭정으로 옹립했다. 그러나 무바라크 샤는 동생을 죽이고 스스로 술탄이 되었다. 무바라크 샤는 유력 튀르크계 귀족 가문 출신의 가지 말리크를 펀자브의 군사령관에 봉하는 등 아미르들의 환심을 사려 노력했지만, 1320년에 아미르 중 한 명이었던 쿠스라우 칸에게 암살당했다.[71]

아미르들은 가지 말리크에게 쿠데타를 일으키도록 종용했다. 가지 말리크는 군대를 이끌고 델리로 진군, 쿠스라우 칸을 참수하고 술탄으로 즉위했다. 이후 가지 말리크는 자신의 이름을 기야스 앗 딘 투글루크로 개명하고 투글루크 왕조를 개창하여 할지 왕조는 멸망했다.[71][72]

4. 행정 및 경제 정책

알라 웃 딘 할지는 술탄국의 군대를 유지하고 팽창 정책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재정 분야를 강화하는 정책을 펼쳤다. 그는 농업세를 20%에서 50%로 인상하고, 곡물이나 농산물(또는 현금)로 납부하게 했다.[49][50] 지방 족장들의 세금 징수 관련 특권을 없애고, 관리들의 사교 모임과 귀족 가문 간의 결혼을 금지했으며, 관리, 시인, 학자들의 급여를 삭감했다.

알라 웃 딘은 비무슬림에게 지즈야(인두세), 하라지(토지세), 카리(가옥세), 차리(목초세)를 부과했다.[49] 델리의 수입 관리들은 현지 무슬림 자력가들의 도움을 받아 농부들이 생산하는 농산물의 절반을 강제로 징수하여 술탄국의 곡창을 채웠다.[50] 농촌 세금 징수 담당 중개인들을 구타하여 세금 납부를 강요했고, 평민들을 억압하고 빈곤하게 만들어 반란을 일으킬 재산을 박탈하는 정책을 시행했다.[49] 궁정 신하와 관리들의 토지 재산을 몰수하고, 무슬림 자력가에 대한 수입 할당도 취소하여 중앙에서 직접 징수했다.[49][51]

알라 웃 딘의 과세 정책은 농업 생산량을 감소시켰고, 술탄국은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그는 관리와 군인들의 급여를 삭감하고 고정했기 때문에, 농산물, 상품, 가축, 노예에 대한 가격 통제를 도입하고 '샤하나이만디'라는 시장을 만들어 무슬림 상인에게 독점권을 부여했다.[51] '문히얀'(스파이, 비밀 경찰)을 배치하여 시장을 감시하고, 규칙 위반자는 가혹하게 처벌했다.[52] 압수된 작물과 곡물은 술탄국의 곡창에 저장되었다.[53] 농부들은 수입을 위한 농사 대신 자급자족 농업으로 전환했고, 북인도의 식량 공급은 악화되었으며, 델리 술탄국은 심각한 기근을 겪었다.[54][55] 알라 웃 딘은 개인의 식량 저장을 금지하고, 귀족과 군대를 제외한 가구별 식량 배급제를 도입했다.[55] 가격 통제는 물가를 낮췄지만 임금도 낮춰 일반 사람들은 혜택을 보지 못했고, 알라 웃 딘 사후 가격 통제 시스템은 붕괴되었다.

역사가들은 할지 왕조 시대 술탄국의 상비군이 30만~40만 명의 기병과 2,500~3,000마리의 전쟁 코끼리로 구성되었다고 평가한다.[46][47][48]

4. 1. 세입 개혁

알라 웃 딘 할지는 성장하는 술탄국의 군대 유지비를 감당하고, 팽창 정책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대대적인 세입 개혁을 실시했다.

알라 웃 딘 이전에는 델리 술탄국이 농민들로부터 직접 세금을 징수하지 않고, 촌락의 족장이나 지주 같은 중간 계층을 통해 세금을 거두었다. 이들은 농민에게서 거둔 세금 중 일부만 술탄국에 납부했고, 국가는 이들이 농민을 어떻게 대하는지 신경 쓰지 않았다.[99][100][101]

알라 웃 딘은 중간 계층들이 부와 사치를 과시하며 세금을 제대로 내지 않는 것을 보고, 바야나 총독의 조언을 받아들여 직접 징수 방식으로 세금 정책을 전환했다.[102] 이제 촌장, 지주, 소작농 모두 생산량의 절반을 국가에 납부해야 했고, 중간 계층은 모든 특권을 잃었다.[103]

알라 웃 딘 정부는 현금과 현물로만 세금을 받았다. 델리 근처 비옥한 지역에서는 현물로 받는 것을 선호했고, 거둔 곡물은 주의 곡물 창고에 저장했다. 농민들은 잉여 곡물을 집에 보관하지 못하고 시장이나 운송업자에게 싼 값에 팔아야 했다.[104][105]

알라 웃 딘 이전에는 각 영토의 토지 수익을 중개인이 대표하여 경작 면적과 상관없이 고정된 비율로 납부했다.[106] 알라 웃 딘은 이를 바꿔 작물 재배 면적과 비스와(최소 632.2m2에서 최대 6771m2까지 측정되는 인도의 전통적인 토지 단위) 당 생산량을 기준으로 세금을 결정했다.

알라 웃 딘은 북인도 대부분 지역에 농산물의 50%에 달하는 토지세를 부과했는데, 이는 당시 델리에서 지배적이었던 이슬람 하나피파가 허용한 최대 세금이었다.[109]

알라 웃 딘 행정부는 촌장들에게도 다른 사람들과 같은 세금을 내게 하고, 농민에게 불법적인 세금을 부과하는 것을 금지했다.[110] 토지 면적에 비례하는 세금은 땅이 더 많고 부유한 마을이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111]

바라니에 따르면, 50%의 토지세는 농업 분야에서 지배적이었던 힌두교도들의 부를 크게 감소시켰다.[113] 알라 웃 딘은 반란을 막기 위해 마을 우두머리들에게서 부, 말, 무기를 빼앗았다. 바라니는 힌두교도들이 고개를 들 수 없을 정도로 두려움에 떨었고, 세금 징수 관리가 20명의 촌장 목을 묶고 발로 차고 때릴 정도였다고 기록했다.[114]

카라즈(토지세) 외에도 알라 웃 딘 정부는 카리(거주세)와 차리(가축 방목세)를 부과했다. 이 세금들은 이슬람 율법의 제재를 받지 않았다.[117] 유제품 관련 가축을 기르는 농민들을 위해 목초지를 고정하고 할당했다.[118]

비이슬람교도에게는 지즈야(종교세)를 부과했고,[119] 여성, 어린이, 정신장애 및 지적장애를 가진 사람은 면제했다.[120] 무슬림은 자카트를 낼 의무가 있었다.[121]

알라 웃 딘은 병사들에게 전쟁 전리품의 5/4를 요구했다.[122] 코이누르 다이아몬드는 1310년 할지 군대가 와랑갈카카티야 왕조에서 탈취했다.

코이누르


알라 웃 딘의 과세 방식과 세금 인상은 농업 생산을 감소시켰고, 술탄국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알라 웃 딘은 무슬림 관리와 군인 월급을 조정하고 고정했으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농산물, 상품, 가축, 노예에 대한 가격 통제와 판매 방식 통제 시스템을 도입했다. '샤하나이만디(Shahana-i-mandi)'라는 시장을 만들어,[126][127][128] 무슬림 상인에게만 독점권을 부여하고 다른 사람들은 농부와 거래하는 것을 금지했다.

알라 웃 딘은 '문히얀(Munhiyan)'이라는 감시 네트워크를 설치해 만디를 감시하고, 위반자는 현장에서 체포해 처벌했다.[129][130]

압류된 농작물과 곡물은 술탄국 곡창지대에 보관되었다.[132] 농부들은 상품 작물 재배 대신 생계형 농업으로 전환했고, 인도 북부 식량 공급 상황이 악화되어 기아가 만연했다. 델리 술탄국은 장기적인 기근에 직면했다.[133][134]

알라 웃 딘은 사적인 잉여 음식 저장을 금지하고, 1가구 당 4/1 할당량의 식량 배급제를 도입했다.[135] 지방 식량곡물 창고, 가격 통제 도매 시스템인 만디 등 정책으로 델리 도시민에게 식량을 보장했지만,[136][137] 가격 통제로 일부 서민은 낮은 물가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부작용도 있었다. 알라 웃 딘 사망 후 가격 통제 시스템이 붕괴되면서 농산물 가격과 노동자 임금이 몇 년 사이 2배로 급상승했다.[138]

4. 2. 시장 개혁



알라 웃 딘은 농업 생산량을 대폭 감소시킨 과세 방식과 세금 인상을 시행했고, 이는 술탄국 정부의 엄청난 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 알라 웃 딘은 무슬림 관리와 군인들의 급여를 조정하고 고정시키는 한편, 술탄국 내 모든 농산물, 상품, 가축, 노예에 대한 가격 통제와 판매 방식(어디서, 어떻게, 누구에 의해)을 규제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샤하나이만디(Shahana-i-mandi)'라는 시장을 만들어,[126][127][128] 무슬림 상인들에게는 공식 가격으로 물품을 사고 팔 수 있는 독점권(만디)을 부여했다. 이들 외에는 도시에서 농부들과 물건을 거래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알라 웃 딘은 만디 감시를 위해 광범위한 감시 네트워크 부서인 '문히얀(Munhiyan)'을 설립·배치하여, 실제 가격과 다른 가격으로 물건을 사거나 판매하는 사람들을 현장에서 체포할 권한을 부여했다.[129][130] 만디를 어긴 사람들은 살이 도려내지는 등 엄중한 처벌을 받았다.[131]

제국 전역에서 압류된 농작물과 곡물 형태의 세금은 술탄국의 곡창지대에 보관되었다.[132] 시간이 지나면서 농부들은 상품 작물 재배 대신 생계형 농업으로 전환했다. 인도 북부에서는 일반 식량 공급이 크게 악화되어 서민들 사이에 기아가 만연했고, 델리 술탄국은 장기적인 기근에 직면했다.[133][134]

알라 웃 딘은 사적인 잉여 음식 저장을 금지하고 1가구 당 4/1 할당량의 식량 배급제를 도입했다.[135] 지방의 식량곡물 창고, 가격 통제가 가능한 도매 시스템인 만디 등 여러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여 군대, 관료 등 델리 도시민들에게 충분한 식량을 보장했다.[136][137] 그러나 가격 통제는 일부 서민들의 임금을 낮춰 낮은 물가 혜택을 받지 못하게 하는 부작용도 낳았다. 알라 웃 딘 사후 가격 통제 시스템이 붕괴되면서 농산물 가격과 노동자 임금은 몇 년 새 2배 가량 급상승했다.[138]

4. 3. 평가

알라 웃 딘의 토지 개혁 중 일부는 그의 후계자들에게 계승되었고, 셰르 샤 수리악바르와 같은 후대의 훌륭한 통치자들이 도입한 농업 개혁의 기반이 되었다. 할지 왕조 때 도입된 조세 제도는 이후 인도의 국정 운영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142]

알라웃딘 할지는 술탄국에서 비무슬림에게 ''지즈야''(인두세), ''하라지''(토지세), ''카리''(가옥세), ''차리''(목초세)의 4가지 세금을 부과했다.[49] 그는 델리의 수입 관리들이 현지 무슬림 ''자기르다르'' 등의 지원을 받아 모든 농부들이 생산하는 농산물의 절반을 강제로 압수하여 술탄국의 곡창을 채우도록 했다. 이는 작물에 대한 세금이었다.[50] 그의 관리들은 농촌 세금 징수를 담당하는 중개인들을 구타하여 세금 납부를 강요했다. 또한 알라웃딘 할지는 "평민들을 억압하여 비참한 빈곤에 빠뜨리고 반란을 일으킬 수 있는 부와 잉여 재산을 박탈하기 위한 규칙과 규정을 만들도록" 요구했다.[49] 그는 궁정 신하들과 관리들로부터 모든 토지 재산을 몰수했고,[49] 무슬림 ''자기르다르''에 대한 수입 할당도 취소하여 수입은 중앙 행정부에서 징수했다.[51]

알라웃딘 할지의 과세 방식과 세금 인상은 농업 생산량을 감소시켰고, 술탄국은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그는 무슬림 관리와 군인들의 급여를 삭감하고 고정했기 때문에, 왕국 내 모든 농산물, 상품, 가축 및 노예에 대한 가격 통제를 도입했으며, ''샤하나-이-만디''라고 불리는 시장을 만들어 무슬림 상인들에게 독점권을 부여했다.[51] 알라웃딘은 ''문히얀''(스파이, 비밀 경찰)을 배치하여 ''만디''를 감시하고, 규칙을 위반한 사람들은 심한 처벌을 받았다.[52] 압수된 작물과 곡물은 술탄국의 곡창에 저장되었다.[53]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농부들은 수입을 위해 농사를 짓는 것을 그만두고 자급자족 농업으로 전환했으며, 북인도의 일반적인 식량 공급이 악화되고, 부족 현상이 증가했으며, 델리 술탄국은 더욱 심각하고 장기간의 기근을 겪었다.[54][55] 술탄은 개인적인 식량 저장을 금지했고, 귀족과 군대를 제외한 가구별 할당량 기반의 식량 배급 시스템을 도입했다.[55] 할지가 시행한 가격 통제는 가격을 낮췄지만 임금도 낮춰서 일반 사람들은 낮은 가격의 혜택을 받지 못했다. 가격 통제 시스템은 알라웃딘 할지 사망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붕괴되었다.

할지 왕조 시대에 도입된 세금 제도는 인도 조세 제도와 국가 행정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쳤다. 알라웃딘 할지의 조세 제도는 19세기, 심지어 20세기까지 살아남아 토지세(''카라지'' 또는 ''말'')는 통치 계급이 농민의 잉여를 수탈하는 주요 형태가 되었다.

5. 노예제

알라 웃 딘의 통치 기간 동안 술탄국의 수도 델리 인구의 적어도 절반은 무슬림 귀족들의 하인, 첩, 경비원으로 일하는 노예들이었으며, 나머지는 아미르들과 궁정 관리, 그리고 군대 지휘관이었다.[143] 할지 왕조와 이후의 인도 이슬람 왕조의 지배 동안에 인도의 노예는 크게 2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 하나는 전쟁 중에 사로잡힌 포로들이고, 나머지 하나는 세금을 내지 않은 사람들이었다.[144][145] 노예와 종속 노동 등의 제도는 할지 왕조 시기에 널리 퍼져 나갔다. 남성 노예는 반다, 카이드, 굴람 또는 부르다라고 불렸고, 여성 노예는 반디, 카니즈 또는 라운디라고 불렸다.

6. 건축

투글루크 왕조 시기에 번영했던 초기 인도-모하마단 건축 양식은 사실 할지 왕조의 것을 기반으로 한다. 할지 왕조 통치 동안 완성된 건축물 중에는 쿠트브 복합단지 성곽의 남쪽 관문인 알라이 다르와자, 리프리의 이드가, 델리의 자마트 카나 마스지드 등이 있다.[60] 1311년에 완공된 알라이 다르와자는 노예 왕조 시기의 쿠트브 미나르와 함께 193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는 영광을 누렸다.[61]

참조

[1]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2] Citation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3] 웹사이트 Arabic and Persian Epigraphical Studies -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http://asi.nic.in/as[...] Asi.nic.in 2010-11-14
[4] 웹사이트 Khalji Dynast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4-11-13
[5] 문서 Dynastic Chart https://dsal.uchicag[...] The Imperial Gazetteer of India
[6]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7] 학술지 The Foundation of Muslim Rule in India. (1206-1290 A.d.) Indian History Congress 1939
[8] 웹사이트 The Countenance of the other (The Coins of the Huns and Western Turks in Central Asia and India) 2012-2013 exhibit: Chorasan Tegin Shah http://pro.geo.univi[...] Kunsthistorisches Museum Vienna 2012–2013
[9] 학술지 From the Sasanians to the Huns New Numismatic Evidence from the Hindu Kush https://www.jstor.or[...] 2014
[10] 서적 Indo-Muslim Polity (Turko-Afghan Period) https://books.google[...] Indian Institute of Advanced Study
[11] 서적 An Environmental History of India: From Earliest Times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0-18
[12]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800-1700 https://books.google[...] Orient Longman
[13] 웹사이트 ḴALAJ i. TRIBE – Encyclopaedia Iranica https://iranicaonlin[...] 2021-01-15
[14] 서적 ReOrienting the Sasanians: East Iran in Late Antiquity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03-15
[15] 문서
[16] 서적 The Age of Wrath: A History of the Delhi Sultanat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17]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from 1000 A.D. to 1707 A.D. https://books.google[...] Atlantic
[18]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sla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C.700-1800 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Al-Hind,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E.J. Brill
[21] 서적 Verb-Verb Complexes in As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Turks, Iran and the Caucasus in the Middle Ages Variorum Reprints
[23] encyclopedia ḴALAJ i. TRIBE http://www.iranicaon[...] 2010-12-15
[24] 학술지 The Foundation of Muslim Rule in India. (1206-1290 A.d.) Indian History Congress
[25] 서적 The Delhi Sultanat (A.D. 1206-1526) https://books.google[...] The Indian History Congress / People's Publishing House
[26] 서적 New Indian Antiquary:Volume 2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1939
[27] 서적 Journal of the University of Bombay: Volumes 17-1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ombay 1948
[28] Google books The Indian Empire: Its Peoples, History, and Products WH Allen & Co.
[29] 서적 Medieval India: From Sultanate to the Mughals-Delhi Sultanat (1206-1526) https://books.google[...] Har-Anand Publications
[30] 학술지 the Kotwals under the Sultans of Delhi Indian History Congress
[31] 서적 The Life and Works of Sultan Alauddin Khalji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
[32] 학술지 The Indian Elements in the Bureaucracy of the Delhi Sultanate Indian History Congress
[33] 서적 Muslim Rule in Medieval India: Power and Religion in the Delhi Sultanat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6-09-27
[34] 서적 Warfare in Pre-British India - 1500BCE to 1740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5] 서적 Medieval India: From Sultanat to the Mughals-Delhi Sultanat (1206-1526) = Part One https://books.google[...] Har-Anand Publications 2004
[36]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1000-1740 A.D.) https://books.google[...] TKonark Publishers 1987
[37] 서적 Old NCERT History Medieval India by Satish Chandra (Class 11) https://books.google[...] Mocktime Publications
[38] 간행물 Muslim society in Tamil Nadu (India): an historical perspective 1989
[39] 서적 Antiquities from San Thomé and Mylapore https://archive.org/[...] 1936
[40] 학술지 On the Timurid flag https://www.academia[...] 2010
[41] 서적 The worlds of the Indian Ocean: a global history: a revised and updated transl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42] 문서 1955
[43] 웹사이트 Khalji Dynast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4-11-13
[4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1911 Oxford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The Life and Works of Sultan Alauddin Khalji- By Ghulam Sarwar Khan Niazi https://books.google[...]
[46] 서적 History of Kanauj To the Moslem Conquest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24-04-14
[47] 서적 War-horse and Elephant in the Dehli Sultanate https://books.google[...] Orient Monographs 2024-04-14
[48] 서적 Warfare in Pre-British India – 1500BCE to 1740C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4-04-14
[49] 서적 A History of India Routledge 1998
[50] 서적 Economic History of India: Ancient to Present Day Atlantic Publishers 2008
[51] 학술지 The Economic Policies of Ala-ud-Din Khalji 1963
[52] 서적 The economic policy of the Sultans of Delhi Konark publishers 1991
[53] 학술지 The price regulations of Alauddin Khalji - a defense of Zia Barani 1984
[54]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1911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History of the Khaljis Asian Publishing House 1967
[56]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57] 서적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India: c. 1200-1750 Orient Longman 1982
[58] 학술지 Economic History of the Delhi Sultanate - An Essay in Interpretation 1978-01
[59] 학술지 Hindus beyond the Hindu Kush: Indians in the Central Asian Slave Trade 2002-11
[60] 문서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Report for the year 1871-72 1873
[61] 웹사이트 Qutb Minar and its Monuments, Delhi https://whc.unesco.o[...] UNESCO
[62] 학술지 "Barani's theory of the history of the Delhi Sultanate" 1981
[63]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64]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65]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66]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67]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68]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69]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70]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71]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72] 서적 中世インドの歴史
[73] 웹사이트 Khalji Dynasty 2014-11-13
[74] 간행물 Dynastic Chart The Imperial Gazetteer of India
[75] 서적 A Textbook of Medieval Indian History Primus Books 2013
[76] 논문 The Foundation of Muslim Rule in India. (1206-1290 A.d.) Indian History Congress 1939
[77] 서적 Indo-Muslim Polity (Turko-Afghan Period) Indian Institute of Advanced Study 1971
[78] 서적 An Environmental History of India: From Earliest Times to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10-18
[79]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800-1700 Orient Longman 2007
[80] 웹사이트 "ḴALAJ i. TRIBE – Encyclopaedia Iranica" 2021-01-15
[81] 서적 ReOrienting the Sasanians: East Iran in Late Antiquit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03-15
[82] 기타 1966
[83] 서적 The Age of Wrath: A History of the Delhi Sultanate Penguin Books 2015
[84]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from 1000 A.D. to 1707 A.D Atlantic 2002
[85] 논문 The Foundation of Muslim Rule in India. (1206-1290 A.d.) Indian History Congress 1939
[86] 논문 M ONGOL -AFGHAN CONFLICT DURING THE DELHI S ULTANS https://www.jrsp.com[...] Research Society of Pakistan 2024-03-13
[87] 문서 이미 알라 웃 딘의 능력 중심 인사 덕분에 노예 왕조 시기부터 주류를 차지하던 튀르크계 귀족들은 완전히 정치에서 밀려났고, 그 자리에 토착 인도계 귀족들이 등장함에 따라 할지 왕조는 보다 다양한 배경 출신의 신하들을 기용할 수 있게 되었다.
[88] 서적 Antiquities from San Thomé and Mylapore https://archive.org/[...] 1936
[89] 저널 On the Timurid flag https://www.academia[...] 2010
[90] 서적 The worlds of the Indian Ocean : a global history : a revised and updated translation 978-11084246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91] 서적 Interpreting Medieval India: Early medieval, Delhi Sultanate, and regions (circa 750-1550) Macmillan 2009
[92] 서적 Interpreting Medieval India: Early medieval, Delhi Sultanate, and regions (circa 750-1550) Macmillan 2009
[93] 서적 Interpreting Medieval India: Early medieval, Delhi Sultanate, and regions (circa 750-1550) Macmillan 2009
[94] 서적 Interpreting Medieval India: Early medieval, Delhi Sultanate, and regions (circa 750-1550) Macmillan 2009
[95] 기타 1992
[96] 기타 2003
[97] 기타 1992
[98] 기타 2003
[99] 기타 1992
[100] 기타 1950
[101] 기타 1992
[102] 기타 1992
[103] 기타 1992
[104] 기타 1992
[105] 기타 1950
[106] 서적 1992
[107] 서적 1992
[108] 서적 1950
[109] 서적 2003
[110] 서적 2007
[111] 서적 2007
[112] 서적 1992
[113] 서적 1950
[114] 서적 1992
[115] 서적 1992
[116] 서적 1950
[117] 서적 2003
[118] 서적 1992
[119] 서적 1950
[120] 서적 1950
[121] 서적 1950
[122] 서적 1950
[123] 서적 1977
[124] 서적 A History of India Routledge 1998
[125] 서적 A History of India Routledge 1998
[126] 논문 The Economic Policies of Ala-ud-Din Khalji 1963
[127] 서적 1953
[128] 서적 2003
[129] 서적 2003
[130] 서적 The economic policy of the Sultans of Delhi Konark publishers 1991
[13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1911 Oxford University Press
[132] 논문 The price regulations of Alauddin Khalji - a defense of Zia Barani 1984
[133]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1911 Oxford University Press
[134] 서적 History of the Khaljis Asian Publishing House 1967
[135] 서적 History of the Khaljis Asian Publishing House 1967
[136] 서적 1977
[13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138] 서적 1982
[139] 서적 History of Kanauj To the Moslem Conquest Motilal Banarsidass 1989
[140] 서적 War-horse and Elephant in the Dehli Sultanate Orient Monographs 1971
[141] 서적 Warfare in Pre-British India – 1500BCE to 1740CE Taylor & Francis 2024-04-14
[142] 서적 1982
[143] 서적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India: c. 1200-1750 Orient Longman 1982
[144] 논문 Economic History of the Delhi Sultanate - An Essay in Interpretation 1978-01
[145] 논문 Hindus beyond the Hindu Kush: Indians in the Central Asian Slave Trade 20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