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렬은 족보에서 같은 세대에 속하는 사람들의 이름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글자를 의미한다. 문중에서 정하며, 촌수와 관계없이 같은 세대에 속하면 같은 항렬자를 사용한다. 항렬자는 문중에서 정한 위치에 따라 이름의 가운데 또는 끝에 위치하며, 한 번 사용된 항렬자는 그 위치에 다시 사용되지 않는다. 항렬을 나타내는 글자를 항렬자 또는 돌림자라고 부르며, 세대 이름의 순서는 가문의 세대 시에 의해 규정된다.
항렬자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오행상생법, 천간법, 지지법, 수교법 등이 있으며,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항렬 문화가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항렬자를 사용해 왔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핵가족화, 개인주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많은 가문에서 족보를 통해 가문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계보학 - 미국 의회도서관
미국 의회도서관은 1800년 설립되어 정치 자료를 주로 소장했으나, 토마스 제퍼슨 도서관 인수를 통해 확장되었고, 현재 1억 6천만 점 이상의 자료를 소장하며 연구 지원, 저작권 등록, 디지털 자료 공개, 문화 프로그램 운영 등 국제적 협력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계보학 - 씨족
씨족은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된 정치적 단위로, 지도자를 가지며 씨족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 시스템을 의미하며, 전 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나타난다. - 언어학에 관한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 한국의 문화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한국의 문화 - 본관
본관은 한국 씨족의 발상지를 나타내는 지명으로,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형성되어 문벌 귀족의 권력 유지에 기여했으나 조선 시대 이후 관념적 혈연 의식으로 변화하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성씨와 함께 존재하나 사회적 중요성은 감소하고 있다.
항렬 | |
---|---|
개요 | |
유형 | 친족 용어 |
설명 | 형제자매의 이름이 음절을 공유하는 중국 관행 |
용어 | 돌림자 (한자) |
언어별 명칭 | 중국어: 字輩 (쯔베이) 또는 班次 (반츠) |
2. 정의 및 특징
항렬자는 족보 상에서 같은 세대에 속하는 사람들의 이름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글자이다. 문중에서 정하며, 형제자매는 물론 촌수와 관계없이 같은 세대에 속하면 같은 항렬자를 쓴다.[1] 한글 발음이 같아도 한자가 다르면 항렬자를 쓴 것이 아니다. 항렬자의 위치(이름의 가운데 또는 끝)는 문중의 규칙을 따른다. 한번 사용된 항렬자는 그 위치에 다시 사용되지 않는다.[1]
항렬자는 문중(종친회)에서 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형제자매의 이름에서 가운데나 마지막 글자가 같다고 해도 문중에서 정한 글자가 아니면 항렬자를 쓴 것이 아니며, 한글 발음은 같으나 한자가 다르면 항렬자를 쓴 것이 아니다.[1] 항렬자를 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 천간법(天干法), 지지법(地支法), 수교법(數交法) 등이 있다.
예를 들어 김해 김씨에서 이름 가운데가 '영(榮)' 항렬이면, 그 이후 세대에서는 가운데에 '영(榮)' 자를 쓰지 않는다.[1]
3. 항렬자 결정 방법
이름을 지을 때 항렬자의 위치는 문중에서 정한 위치를 따라야 하며, 한번 사용한 항렬자는 그 위치에 다시 사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김해 김씨에서 가운데 글자가 '영(榮)'인 항렬을 사용했다면, 그 이후 세대에서는 가운데 글자로 '영(榮)'을 다시 사용하지 않는다.[1]
태어난 아이의 항렬자를 기휘(忌諱) 등의 이유로 쓸 수 없을 경우에는 본인의 항렬을 무시하거나, 대체 항렬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안동 권씨 36대손의 항렬은 '혁(赫)'이지만, 예비 항렬자로 기(奇), 경(景), 영(英)을 두었다.[1]
3. 1.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
五行相生法중국어에 따라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 순서로 글자를 정한다. 김해 김씨 삼현파, 태원 선우씨 등에서 사용한다.[19][20]
세대(世代) | 69세 | 70세 | 71세 | 72세 | 73세 | 74세 | 75세 | 76세 | 77세 | 78세 |
---|---|---|---|---|---|---|---|---|---|---|
항렬(行列) | 용(容)○ | ○곤(坤) | 종(鍾)○ | ○수(洙) | 상(相)○ | ○환(煥) | 재(在)○ | ○호(鎬) | 영(永)○ | ○근(根) |
오행(五行)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 | 목(木) |
세대(世代)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
항렬(行列) | (木)변 | (火)변 | (土)변 | (金)변 | (水)변 | (木)변 | (火)변 | (土)변 | (金)변 | (水)변 |
류큐 왕국의 당명에서도 항렬자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채온의 형은 채연(蔡淵)이며, 같은 수(氵)를 부수로 이름에 사용하고 있다. 그의 부친은 채탁(蔡鐸)이며, 금(金) 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항렬자가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라는 오행상생의 순서에 따르기 때문이다.
3. 2. 천간법(天干法)
天干|천간중국어의 순서에 따라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 순서로 글자를 정한다. 풍양 조씨 전직공파에서 사용한다.[2]세대(世代)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
항렬(行列) | 동(東)○ | ○구(九) | 남(南)○ | ○연(衍) | 성(誠)○ | ○희(熙) | 용(鏞)○ | ○신(新) | 중(重)○ | ○규(揆) |
천간(天干) | 갑 | 을 | 병 | 정 | 무 | 기 | 경 | 신 | 임 | 계 |
3. 3. 지지법(地支法)
지지(地支)의 순서에 따라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 순서로 글자를 정한다. 전주 이씨 효령대군파 등에서 사용한다.[3]세대(世代)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
항렬(行列) | ○존(存)○학(學) | 병(秉)○용(庸)○ | 연(演)○ | ○경(卿) | 진(振)○ | ○범(範) | ○년(年) | ○래(來) | 중(重)○ | 유(楢)○ | ○성(成) | ○원(遠) |
지지(地支)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3. 4. 수교법(數交法)
세대(世代)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항렬(行列) | 병(丙)○ | 중(重)○ | 태(泰)○ | 영(寧)○ | 오(五)○ | 혁(赫)○ | 순(純)○ | 용(容)○ | 구(九)○ | 승(升)○ |
숫자(數字) | 一 | 二 | 三 | 四 | 五 | 六 | 七 | 八 | 九 | 十 |
분류:항렬
4. 한국의 항렬자 문화
한국에서는 항렬자를 '돌림자'라고도 부른다.[18] 항렬자는 기본적으로 중국의 것과 같지만, 이름의 첫 번째 글자와 두 번째 글자 중 어느 것을 항렬자로 할 것인지가 미리 정해져 있다. 또한 어떤 법칙으로 글자를 선택할지가 종족에 따라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김해 김씨에서는 파에 따라 사용하는 글자가 다르지만, 모두 오행상생의 순서에 따라 木·火·土·金·水 부의 글자가 차례로 사용된다(기둥<木>→병<火>→규<土>→석<金>→수<水>→동<木> 등).[19][20] 안동 권씨에서는 1에서 10까지의 한자 숫자 순서로(태<三>→녕<四>→오→혁<六>→순<七>→용<八> 등)[21], 한양 조씨에서는 십간의 글자가 사용된다(종○<甲>→○원<乙>→병○<丙>→○행<丁>→성○<戊>→○희<己> 등).[22]
같은 항렬자가 들어간 이름은 글자 하나만 다르기 때문에, 많이 나타나면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4. 1. 조선시대의 항렬자
조선 시대에는 항렬자를 통해 가문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신분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교 사회에서는 세대의 존비, 즉 윗사람과 아랫사람의 구분이 중요했으므로, 항렬은 이러한 위계질서를 반영하는 장치였다. 항렬자는 종족 회합에서 결정되어 족보에 기록되었으며, 남성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여성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12]왕실에서도 항렬자를 사용했는데, 왕족의 이름을 통해 권위를 강화하고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확보했다. 명나라 주원장은 홍무 22년(1389년)에 24명의 아들과 형의 아들에게 20대까지의 항렬자를 부여하고, 항렬자 이외의 글자는 오행상생의 순서에 따라 목부·화부·토부·금부·수부의 부수를 붙이도록 했다.[16]
명나라 황실의 항렬자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주'''체''' - 주'''고'''치 - 주'''첨'''기 - 주'''기'''진・주'''기'''옥 - 주'''견'''심 - 주'''우'''탱 - 주'''후'''조・주'''후'''총 - 주'''재'''계 - 주'''익'''균 - 주'''상'''락 - 주'''유'''교・주'''유'''검
4. 2. 현대 사회의 항렬자
현대 사회에서는 핵가족화, 개인주의 확산 등으로 항렬자의 사용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가문에서 항렬자를 사용하며, 족보를 통해 가문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정치인, 연예인 등 유명 인사들의 이름에서 항렬자가 발견되기도 하며, 이는 한국 사회에서 항렬자가 여전히 일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23][24]예를 들어 남양 홍씨의 어떤 세대는 "杓" 항렬자를 사용하는데, 2018년 시점의 대한민국 정계에서 "홍◯杓"라는 이름을 가진 정치인은 홍준표, 홍영표, 홍문표, 홍일표, 홍익표, 홍장표가 있었기 때문에 형제라고 오해받기도 했다.[23][24]
5. 다른 국가의 항렬자 문화
세대 이름은 각 가문에 특정하게 전해지는 '세대 시'(班次聯|bāncì lián중국어 또는 派字歌|pàizì gē중국어)에 의해 규정된다.[1] 이 시들은 연상 기능을 할 수 있으며, 대략 12자에서 수백 자에 이르기까지 길이가 다양하다. 각 글자는 연속적인 세대의 세대 이름이 된다.[1] 시의 마지막 글자에 도달하면, 시는 보통 재활용되거나, 가끔은 연장되기도 한다.
세대 시는 새로운 가계가 지리적 이주나 사회적 승진을 통해 설립될 때마다 가족 어른들의 위원회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공통의 세대 시를 공유하는 가족들은 공통의 조상을 공유하고 공통의 지리적 위치에서 기원한 것으로 여겨진다.
세대명은 이름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글자가 될 수 있으며, 관련 계보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일부 계보는 세대마다 위치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한국 이름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때로는 계보가 세대명이 아닌 부분에서 동일한 부수를 공유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된 관습으로, 공통 단어의 글자를 따서 두 자녀의 이름을 짓는 관행이 있다. 예를 들어, 'jiàn-kāng' (健康|건강중국어)이라는 단어를 분해하여 왕씨 가문은 한 아들의 이름을 왕젠(王健)으로, 다른 아들의 이름을 왕캉(王康)으로 지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měi-lì' (美丽|아름다운중국어)가 있는데, 저우씨 가문의 딸들은 저우메이(周美)와 저우리(周丽)로 이름 지을 수 있다.
한족 외에도, 무슬림 후이족 또한 세대명을 널리 사용해 왔으며, 이를 ''lunzi paibie''라고 불렀다.[8] 예를 들어, 나씨 가문에서는 가장 최근 다섯 세대가 완(Wan), 위(Yu), 장(Zhang), 뎬(Dian), 훙(Hong) 문자를 사용했다.[8]
광둥성의 야오족도 중국식 이름 체계를 채택했으며, 분파를 나타내는 "하위 가문명"으로 확장되었다.[9]
5. 1. 중국
중국은 항렬자 문화의 기원지로, 여러 왕조와 가문에서 항렬자를 사용해왔다. 세대 이름의 순서는 각 가문에 특정하게 전해지는 '''세대 시''' (班次聯|bāncì lián중국어 또는 派字歌|pàizì gē중국어)에 의해 규정되고 기록되었다.[1] 이러한 시들은 대략 12자에서 수백 자에 이르기까지 길이가 다양하며, 각 글자는 연속적인 세대의 항렬자가 된다.[1] 시의 마지막 글자에 도달하면, 시는 보통 재활용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세대 시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가계가 지리적 이주 또는 사회적 승진을 통해 설립될 때마다 가족 어른들의 위원회에 의해 구성되었다. 따라서 공통의 세대 시를 공유하는 가족들은 공통의 조상을 공유하고 공통의 지리적 위치에서 기원한 것으로 간주된다.
명나라 시대에는 건문제가 공자와 맹자를 존경하여 그들의 가문(각각 공씨, 맹씨)에 세대 시를 하사했다. 이 세대 시는 명나라 숭정제, 청나라 동치제, 그리고 북양 정부의 내무부의 허가를 받아 연장되었다.[2][3]
송나라 조씨 가문이 사용한 세대 시는 "若夫,元德允克、令德宜崇、師古希孟、時順光宗、良友彥士、登汝必公、不惟世子、與善之從、伯仲叔季、承嗣由同。"이었다.[4][5][6] 42개의 글자는 송태조와 그의 두 형제의 후손들을 위해 14개씩 세 그룹으로 나뉘었다.[7]
응우옌 왕조의 ''Đế hệ thi''(帝係詩 '황실 가문의 세대 시')는 민망 황제에 의해 창작되었다.
세대명은 이름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글자가 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위치는 관련 계보에서 일관성을 유지한다. 때로는 계보가 세대마다 위치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기도 한다.
한족 외에도, 무슬림 후이족 또한 세대명을 널리 사용해 왔으며, 이를 ''lunzi paibie''라고 불렀다.[8] 예를 들어, 나씨 가문에서는 가장 최근 다섯 세대가 완(Wan), 위(Yu), 장(Zhang), 뎬(Dian), 훙(Hong) 문자를 사용했다.[8]
광둥성의 야오족도 중국식 이름 체계를 채택했으며, 분파를 나타내는 "하위 가문명"으로 확장되었다.[9]
유교 사회에서는 세대의 존비가 중요하며, 연하라도 자신보다 윗세대의 인간에게는 경의를 표해야 하고, 부르는 명칭도 달라진다. 자신이 속한 세대(배분·배행)를 나타내는 배행자는 세대를 명확히 나타내는 의미가 있다.
명나라 주원장은 홍무 22년(1389년)에 24명의 아들 각각과 형인 정강왕 주수겸의 아들에게 20대까지의 배행자를 부여하고, 더 나아가 배행자 이외의 다른 글자는 오행상생의 순서에 따라 목부・화부・토부・금부・수부의 부수를 붙여야 한다고 했다.[16]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많은 족보가 소실되고 항렬자 사용이 약화되었으나,[17] 최근에는 전통문화 부흥과 함께 항렬자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5. 2. 일본
일본에서도 헤이안 시대 전반에 형제끼리 이름에 같은 글자를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사가 천황의 자식들은 '良(량)'을, 다이고 천황의 자식들은 '明(명)'을, 이치조 천황의 자식들은 '敦(돈)'을 각각 공유했다. 그러나 후에는 오히려 세대를 넘어 동일한 한자를 공유하는 것이 행해졌다(황족 남자의 '仁(인)', 여자의 '子(자)', 오다 씨 남자의 '信(신)', 도쿠가와 씨 남자의 '家(가)'). 이것을 '''통자''' 또는 '계자(系字)'라고 부른다.[1]5. 3.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황족은 본래 성인 "응우옌(阮)" 외에 통용되는 글자인 "푹(福)"을 성처럼 취급하여 "응우옌 푹(阮福)"으로 칭했으며, 이름의 첫 글자에 항렬자를 사용했다(따라서 이름이 4글자가 되었다).6. 참고: 주요 성씨별 항렬자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주요 성씨별 항렬자 예시
|-
! 성씨 !! 항렬 기준 !! 세대 및 항렬자
|-
| 김해 김씨 (삼현파) || 오행상생법[1] ||
세대(世代) | 69세 | 70세 | 71세 | 72세 | 73세 | 74세 | 75세 | 76세 | 77세 | 78세 |
---|---|---|---|---|---|---|---|---|---|---|
항렬(行列) | 용(容)○ | ○곤(坤) | 종(鍾)○ | ○수(洙) | 상(相)○ | ○환(煥) | 재(在)○ | ○호(鎬) | 영(永)○ | ○근(根) |
오행(五行) | 火 | 土 | 金 | 水 | 木 | 火 | 土 | 金 | 水 | 木 |
|-
| 태원 선우씨 || 오행상생법[1] (이름을 외자로 지음) ||
세대(世代)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
항렬(行列) | (木)변 | (火)변 | (土)변 | (金)변 | (水)변 | (木)변 | (火)변 | (土)변 | (金)변 | (水)변 |
세대(世代)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
항렬(行列) | 동(東)○ | ○구(九) | 남(南)○ | ○연(衍) | 성(誠)○ | ○희(熙) | 용(鏞)○ | ○신(新) | 중(重)○ | ○규(揆) |
천간(天干)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
| 전주 이씨 (효령대군파) || 지지법[1] ||
세대(世代)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
항렬(行列) | ○존(存)○학(學) | 병(秉)○용(庸)○ | 연(演)○ | ○경(卿) | 진(振)○ | ○범(範) | ○년(年) | ○래(來) | 중(重)○ | 유(楢)○ | ○성(成) | ○원(遠) |
지지(地支) | 子 | 丑 |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
| 안동 권씨 || 수교법(數交法)[1] ||
세대(世代)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항렬(行列) | 병(丙)○ | 중(重)○ | 태(泰)○ | 영(寧)○ | 오(五)○ | 혁(赫)○ | 순(純)○ | 용(容)○ | 구(九)○ | 승(升)○ |
숫자(數字) | 一 | 二 | 三 | 四 | 五 | 六 | 七 | 八 | 九 | 十 |
|-
| 한산 이씨 || 삼행법(三行法)[1] ||
세대(世代)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
항렬(行列) | ○재(在) | 승(承)○ | ○직(稙) | ○규(珪) | ○구(求) | ○복(馥) | ○원(遠) | ○준(濬) ○수(洙) ○식(湜) | ○석(䄷) ○화(禾) ○선(秈) |
삼행(三行) | 土 | 水 | 穀 | 土 | 水 | 穀 | 土 | 水 | 穀 |
|}
참조
[1]
서적
Hawaii
Ballantine Books
[2]
웹사이트
孔姓 (The Kong family, descendants of Confucius)
http://www.ndcnc.gov[...]
2011-09-03
[3]
웹사이트
孟姓 (The Meng family, descendants of Mencius)
http://www.ndcnc.gov[...]
2006-01-16
[4]
웹사이트
浙江趙建飛_新浪博客
http://blog.sina.com[...]
[5]
서적
八爪魚家長──孩子愛玩不是罪
https://books.google[...]
明窗
2014-07-01
[6]
서적
Branches of Heaven: A History of the Imperial Clan of Sung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7]
서적
The New and the Multiple: Sung Senses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Press
2004-01
[8]
서적
China off center: mapping the margins of the middle kingdo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1-04-09
[9]
웹사이트
瑶族的汉式姓氏和字辈制度
https://www.chinafol[...]
2011-08-10
[10]
문서
William Edward Soothill & Lewis Hodous, 1937,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11]
문서
A. Charles Muller,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12]
문서
田仲(1989) p.30
[13]
서적
湖南省志
五洲播出版社
[14]
웹사이트
解読《韶山毛氏族譜》
http://www.library.h[...]
湖南図書館
2006-04-05
[15]
서적
日知録
https://archive.org/[...]
[16]
서적
大明会典
https://archive.org/[...]
[17]
문서
張(2006) p.27
[18]
웹사이트
아기 이름 지을 때 돌림자, 꼭 써야 하나
https://www.ohmynews[...]
2023-11-29
[19]
웹사이트
김해김씨 항렬표
http://www.surname.i[...]
[20]
웹사이트
김씨(金氏) 본관(本貫) 김해(金海)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21]
웹사이트
권씨(權氏) 본관(本貫) 안동(安東)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22]
웹사이트
漢陽趙氏 ― 朝鮮人の姓名
http://www.tufs.ac.j[...]
2022-07-26
[23]
뉴스
"[비하인드 뉴스] 혹시 둘은 형제입니까…홍○표 시대"
https://news.jtbc.co[...]
2018-05-11
[24]
뉴스
홍준표, 홍영표, 홍장표, 홍문표, 홍익표...'홍O표' 시대
https://m.khan.co.kr[...]
2018-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