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평 길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평 길씨는 송나라에서 고려로 건너온 길당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해평길씨세보》에 따르면 길당은 고려 문종 때 해평백에 봉해졌으나, 실제로는 고려 후기 길시우를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길시우의 증손인 길재는 조선 사림 학맥의 근원이 되었으며, 주요 인물로는 길재, 길재의 아들 길사순, 길재의 6대손 길겸, 길회, 길인화 등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6명, 무과 급제자 14명을 배출했으며, 경기도 여주시, 파주시, 강원도 화천군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2015년에는 해평 길씨와 선산 길씨를 합하여 총 35,823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해평 길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해평 길씨 |
한자 표기 | 海平 吉氏 |
이칭 | 선산 길씨 (善山 吉氏) |
관향 |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
시조 | (길당, 吉唐) |
중시조 | 길시우 (吉時遇) |
주요 거주지 | 충청남도 금산군 평안북도 선천군 평안북도 영변군 평안남도 맹산군 경기도 여주시 전라남도 장성군 강원도 화천군 |
연결 인물 | Kil Chae (길재) Gil Seon-ju (길선주) Gil Yong-woo (길용우) Gil Young-ah (길영아) Gill (musician) (길 (음악가)) |
웹사이트 | Academy of Korean Studies 해평길씨 海平吉氏 |
역사 | |
창성 | (길당) |
창성 배경 | (팔학사) |
통계 | |
2015년 인구 | 35,823명 |
인구 순위 | 76위 |
2. 역사
《해평길씨세보(海平吉氏世譜)》에 따르면, 해평 길씨의 시조는 송나라에서 온 8학사 중 한 명인 '''길당'''(吉唐)이다. 길당은 고려 문종 때 은청광록대부 참지정당문학에 오르고 해평백에 봉해져 해평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길당의 선계는 불분명하여 고려 후기 성균관생원을 지낸 '''길시우'''(吉時遇)를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길시우의 증손자인 야은 길재는 고려 우왕 12년(1386년) 문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박사, 문하주서 등을 지냈으며, 조선 사림 학맥의 근원이 되었다.[5]
2. 1. 시조 및 유래
《해평길씨세보(海平吉氏世譜)》에 따르면, 시조는 송나라에서 동래(東萊)한 8학사의 한 명인 '''길당'''(吉唐)이라고 한다. 길당은 고려 문종 조에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 참지정당문학(參知政堂文學)에 오르고, 해평백(海平伯)에 봉해져서 해평(海平)으로 관적(貫籍)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선계(先系)가 불명확하여 고려 후기에 성균관생원(成均館生員)을 지낸 '''길시우'''(吉時遇)를 1세조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 오고 있다.길시우의 증손인 야은(冶隱) 길재는 1386년(고려 우왕 12년) 문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박사(成均館博士), 문하주서(門下注書) 등을 지냈고, 조선 사림(士林) 학맥(學脈)의 근원이 된다.[5]
2. 2. 중시조 길재
길재는 1386년(고려 우왕 12년) 문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박사, 문하주서 등을 지냈고, 조선 사림 학맥의 근원이 된다.[5]3. 주요 인물
- '''길재'''(吉再, 1353년 ~ 1419년) : 이색, 정몽주와 함께 고려 삼은(三隱)으로 불린다. 1374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386년 진사시에 급제하여 성균학정, 성균박사 등을 역임하였다. 1389년 문하주서가 되었으나,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선산으로 돌아왔다. 1400년 세자 방원이 봉상박사에 임명했으나 두 왕을 섬기지 않는다는 뜻을 펴고 거절하였다. 학자들을 모아 경전을 토론하고 성리학을 강해하였으며, 그의 문하에서 김숙자 등 많은 학자가 배출되어, 김종직,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로 그 학통이 이어졌다. 저서로는 《야은집》이 있다.[1]
- '''길사순(吉師舜)''' : 길재의 아들로서 1441년(세종 23년) 경주 판관에 제수되었다.[1]
- '''길겸(吉謙)''' : 길재의 6대손. 1546년(명종 1) 생원이 되었고, 1548년(명종 3)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정랑, 청홍도평사, 당진현감, 도총관 등을 지냈다.[1]
- '''길회(吉誨, 1549년 ~ 1593년)''' : 1570년(선조 3) 생원시에 합격하고, 1577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 신창현감을 지냈다. 1592년 병조정랑으로서 임진왜란을 맞아 선조를 호종하였고, 이후 승문원교리, 헌납, 직강 등을 역임하였다. 사후 1603년 원종공신 1등에 추록되었다.[1]
- '''길인화(吉仁和)''' : 생원시에 합격하여 제용감봉사·상서원직장·사축서별제, 통례원인의를 역임하고, 동지중추에 올랐다.[1]
4. 항렬자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
口식(植) | 병(炳) | 口배(培) | 종(鍾) | 口순(淳) | 상(相) | 口열(烈) | 재(在) | 口현(鉉) | 원(源) | 口림(林) | 형(炯) | 口규(奎) | 호(鎬) | 口식(湜) | 근(根) | 口환(煥) |
5. 과거 급제자
해평 길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6명, 무과 급제자 14명을 배출하였다.
구분 | 이름 |
---|---|
고려 문과 | 길재 |
고려 사마 | 길재 |
문과 | 길겸, 길경조, 길이원, 길진국, 길현범, 길회 |
무과 | 길기해, 길명래, 길봉기, 길상의, 길서, 길세방, 길영정, 길은춘, 길의척, 길의현, 길치덕, 길필형, 길형, 길흥방 |
생원시 | 길남, 길면지, 길숙, 길이형, 길인화, 길진기, 길찬, 길회, 길휘조 |
진사시 | 길난상, 길성천, 길원모, 길준렬, 길흥범 |
음관 | 길이원, 길진국, 길진오, 길현범 |
6. 집성촌
지역 |
---|
경기도 여주시 |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송촌리 |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 간동면, 하남면) |
강원도 춘천시 |
평안북도 선천군 |
평안북도 영변군 |
평안남도 맹산군 |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
경상남도 사천시 |
경상남도 하동군 |
경상남도 함양군 |
경상남도 거창군 |
전라북도 정읍시 |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
전라북도 무주군[4] |
전라남도 장성군 |
전라남도 순천시 |
전라남도 구례군 |
7. 인구
연도 | 해평 길씨 | 선산 길씨 | 합계 |
---|---|---|---|
1985년 | 5,450가구 23,059명 | 1,477가구 5,913명 | 28,972명 |
2000년 | 6,563가구 20,338명 | 2,004가구 6,384명 | 26,722명 |
2015년 | 22,187명 | 13,636명 | 35,823명 |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해평길씨 海平吉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4]
웹사이트
길씨(吉氏) 본관(本貫) 해평(海平)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5]
인물
길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