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빗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빗은 J. R. R. 톨킨의 소설에 등장하는 종족으로, 키가 작고 발에 털이 많으며, 평화롭고 소박한 생활을 즐기는 존재로 묘사된다. 톨킨은 호빗의 기원을 명확히 밝히지 않았지만, 인간의 한 갈래로 보았다. 호빗은 주로 샤이어에 거주하며, 하풋, 팔로하이드, 스투어의 세 종류로 나뉜다. 그들은 모험보다는 안락한 삶을 선호하지만, 필요할 때는 용감하게 행동하며, 흡연과 식사를 즐기는 특징을 보인다. '호빗'이라는 용어는 톨킨 이전에도 존재했으며, 톨킨은 자신의 취향을 호빗과 동일시하기도 했다. 호빗은 현대 사회와의 연결성을 가지며,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데땅의 호빗 - 빌보 배긴스
빌보 배긴스는 톨킨의 소설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호빗으로, 에레보르 탈환 모험 중 절대반지를 얻고 프로도에게 물려준 후 발리노르로 떠나는 인물이며, 그의 모험은 다양한 대중매체에서 재해석되었다. - 가운데땅의 호빗 - 프로도 배긴스
프로도 배긴스는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서 절대반지 파괴를 위한 여정을 떠나는 호빗 주인공으로, 빌보 배긴스의 양자이며, 반지 원정대를 이끌고 모르도르로 향하지만 반지의 유혹과 상처 속에서 샘와이즈 갬지와의 우정과 희생으로 반지를 파괴하고 발리노르로 떠난다. - 가운데땅의 종족 - 엔트
엔트는 톨킨의 판타지 세계관 중간계에 등장하는 나무 모습을 한 종족으로, 나무의 목자라 불리며 긴 수명과 강력한 힘을 지녔으나 배우자인 엔트 부인과의 이별과 실종으로 번성하지 못하고,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에서 영감을 받아 창조되어 다양한 매체에 등장한다. - 가운데땅의 종족 - 난쟁이 (가운데땅)
난쟁이는 톨킨의 소설에 등장하는 종족으로, 아울레에 의해 창조되었고 요정과 인간보다 먼저 깨어났으며, 뛰어난 손재주와 전투력, 지하 도시 건설 능력, 귀금속을 다루는 솜씨를 지니고 독자적인 문화와 언어를 유지하며 여러 씨족을 이루어 살아간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호빗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할플링 홀빝란 페리안나스 |
첫 등장 | 호빗 |
창조자 | J. R. R. 톨킨 |
고향 세계 | 중간계 |
수도 | 미첼 델빙 |
주요 거주지 | 샤이어 브리 |
하위 종족 | 하푸트 팔로하이드 스투어 |
언어 | 웨스트론 |
지도자 | 세인 샤이어 시장 버클랜드 영주 |
구성원 | 빌보 배긴스 프로도 배긴스 샘와이즈 갬지 메리아독 브랜디벅 페레그린 툭 골룸 |
추가 정보 | |
호빗의 로마자 표기 | hobit |
2. 명칭의 기원
톨킨은 1930년이나 1931년에 학생 에세이 시험 채점을 하던 중 빈 종이에 "땅속 굴에 호빗이 살고 있었다"라는 유명한 첫 문장을 쓰면서 《호빗》을 시작했다고 한다.[1]
톨킨은 '호빗'이라는 단어의 허구적 어원을 로한의 테오덴 왕이 언급한 "홀비틀란(Holbytlan)"이라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 이는 "구멍을 만드는 자"를 의미하며, 톨킨이 고대 영어 'hol'("구멍이나 움푹 들어간 곳")과 'bytlan'("짓다")을 조합하여 만든 단어이다.[6][7]
톰 시피는 "호빗"과 "토끼"의 유사점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특징 | 호빗 | 토끼 |
---|---|---|
신조어 여부 | 톨킨, 1937년 | 1398년 (OED) |
어원 | 불확실, 본문 참조 | 중세 영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음 |
친숙한 시대착오 | "파이프위드"를 피우지만 담배는 16세기까지 도착하지 않음 | 도입된 종 하지만 토착종으로 받아들여짐 |
외형 | 작고 통통함 (그리고 먹을 수도 있음) | |
이름 | 트롤인 버트, 독수리가 "토끼"라고 부름; 베오른이 "작은 토끼"라고 부름 | (둘 다 일반적인 이름임) |
2. 1. 영문학에서의 등장
"호빗"이라는 용어는 톨킨 이전에도 현대 영어에서 사용된 사례가 있다. 톨킨이 인정한 사례 중 하나는 신클레어 루이스의 1922년 소설 ''바빗''으로, 자기 발견 여정을 거치며 "거의 불명예"에 직면하는 "자기만족적인 미국 사업가"에 대한 이야기이다.[3] 톨킨 학자 톰 쉽피는 빌보의 여정과 이 소설 사이에 몇 가지 유사점이 있다고 지적한다.[3]톨킨이 W. H. 오든에게 보낸 편지에 따르면, "무의식적인" 영감 중 하나는 에드워드 와이크 스미스의 1927년 아동 도서 ''스너그의 놀라운 땅''이었다.[4] 톨킨은 스너그를 "평균적인 탁자보다 약간 더 큰 키에 어깨가 넓고 열 명의 남자의 힘을 가진 종족"으로 묘사했다.[4]

1977년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톨킨이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출처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제임스 하디는 1895년 그의 ''덴햄 논문, 2권''에서 "온 세상이 유령, 도깨비... 호빗, 홉고블린으로 가득 차 있었다"고 썼다. 쉽피는 그 목록이 몸이 없는 유령 같은 생물들에 대한 것이었고, 톨킨의 혈육이 있는 단단한 호빗과는 전혀 다르다고 썼다.[3] 톨킨 학자들은 톨킨이 그 목록을 보았을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한다.[3]
2. 2. 토끼와의 연관성
J.R.R. 톨킨은 《호빗》과 토끼의 연관성을 강하게 부정했지만, 작품 속 여러 등장인물들이 빌보를 토끼에 비유하는 장면이 나온다.[5] 빌보는 독수리와 함께 있을 때 스스로를 토끼에 비유하고, 독수리 또한 빌보에게 "토끼처럼" 겁먹지 말라고 한다. 거대한 곰인간인 베오른은 빌보를 놀리며 "작은 토끼가 다시 살이 찌고 있군"이라고 농담하고, 드워프인 소린은 빌보를 "토끼처럼" 흔든다.톰 시피는 토끼가 영국 토종이 아니며 13세기에 의도적으로 도입되어 토착 야생동물로 받아들여졌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시대착오적 친숙함"을 호빗의 생활 방식과 비교한다.
도널드 오브라이언은 아라곤이 프로도의 미스릴 갑옷을 묘사한 "엘프 왕자를 감쌀 예쁜 호빗 가죽이 여기 있네"라는 대사가 영어 자장가 "아가야, 아가야, 예쁜 토끼 가죽으로 아가를 감싸주마(Bye, baby Bunting)"를 연상시킨다고 언급한다.[5]
특징 | "호빗" | "토끼" |
---|---|---|
신조어 | 톨킨, 1937년 | 1398년 (OED) |
어원 | 불확실, 본문 참조 | 중세 영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음 |
친숙한 시대착오 | "파이프위드"를 피우지만 담배는 16세기까지 도착하지 않음 | 도입된 종 하지만 토착종으로 받아들여짐 |
외형 | 작고 통통함 (그리고 먹을 수도 있음) | |
이름 | 트롤인 버트, 독수리가 "토끼"라고 부름; 베오른이 "작은 토끼"라고 부름 | (둘 다 일반적인 이름임) |
2. 3. 톨킨의 허구적 어원
톨킨은 《반지의 제왕》 부록에서 "호빗"이라는 단어의 허구적인 어원을 제시했는데, 그것은 "구멍을 만드는 자"를 의미하는 ''holbytla''(복수형 ''holbytlan'')에서 유래했다고 한다.[7] 이는 톨킨이 고대 영어 ''hol''("구멍이나 움푹 들어간 곳")과 ''bytlan''("짓다")에서 새롭게 만든 단어이다.[6] 로한의 테오덴 왕은 "호빗, 우리 중 일부는 홀비틀란이라고 부르는 자들"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7]3. 특징
J. R. R. 톨킨은 호빗을 인류의 친척, 인류의 다양함, 또는 별도의 가지로 제시하였다. 톨킨의 가운데땅에서 다른 종족들은 인간과 호빗의 유사점을 알고 있지만, 호빗은 스스로 인간이 아닌 별도의 종족이라고 여긴다.
호빗들은 독특한 달력을 가지고 있었다. 매년 토요일에 시작하여 금요일에 끝나며, 12개월은 각각 30일로 구성되었다. 특별한 날은 어떤 달에도 속하지 않았는데, 율(Yule) 1일과 2일(섣달 그믐날과 새해 첫날)과 여름 중순의 리스데이(Lithedays) 3일이었다. 4년마다 추가적인 리스데이가 있었는데, 이는 윤년과 유사하게 달력이 계절과 시간을 맞추도록 하기 위한 적응일 가능성이 높다.[21]
샤이어의 호빗들은 생일 선물을 받는 대신 주는 관습을 발전시켰지만, 이 관습은 다른 호빗 문화권에서는 보편적이지 않았다. "마섬(mathom)"은 오래되고 쓸모없는 물건이지만 호빗들이 버리기를 꺼리는 물건을 의미한다. "마섬"은 여러 번 선물로 주어지고, 때로는 원래 주인에게 돌아가거나 박물관("마섬-하우스")에 보관된다.[14]
호빗들은 전통적으로 언덕, 구릉, 제방에서 발견되는 "호빗굴" 또는 "스미얼" 즉, 지하 주택에 살았지만, 다른 곳에 사는 호빗들도 있었다. 호빗 건축은 둥근 문과 창문을 선호한다.
호빗은 중간계 북서부에 있는, 전통적인 영국 시골을 연상시키는 샤이어(호빗 마을)에 산다. 톨킨이 중간계에서 호빗들이 사는 지역의 이름으로 선택한 "the Shire"(호빗 마을)라는 이름은 영국의 "주(Shire)"를 분명하게 연상시킨다.(잉글랜드의 주 참조)
3. 1. 외형 및 성격
J. R. R. 톨킨은 호빗의 키가 0.61~1.22m이며, 평균 키는 107cm이라고 말했다. 호빗은 녹색과 노란색 등 밝은 옷을 선호하며, 일반적으로 수줍음이 많지만 적절한 상황에서는 큰 용기와 놀라운 위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돌을 던지는 데 능숙하며, 수염을 기르지 못하지만 일부는 수염을 기르기도 한다. 발은 머리와 같이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발바닥이 가죽과 비슷해 신발은 신지 않는다.[8]호빗은 난쟁이보다 땅딸막하지 않다. 귀가 뾰족하며, 톨킨은 1983년 미국 출판사에 보낸 편지에서 호빗의 생김새를 다음과 같이 명확히 하였다.
나는 일종의 '요정', 토끼가 아니라 상당히 인간적인 모습을 그립니다. 배는 뚱뚱하고 다리는 짧습니다. 둥글고 쾌활한 얼굴, 귀는 약간 뾰족하고 '엘프적'입니다. 머리카락은 짧고 갈색입니다. 발목에서 아래로 발은 갈색 털로 덮여 있습니다. 옷은 녹색 벨벳 바지, 빨간색 또는 노란색 조끼, 갈색 또는 녹색 재킷, 금(또는 황동) 단추, 짙은 녹색 후드와 망토입니다.영어
톨킨은 호빗을 인류의 친척, 인류의 다양함[60], 또는 별도의 가지로 제시하였다. 톨킨의 가운데땅에서 다른 종족들은 인간과 호빗의 유사점을 알고 있지만, 호빗은 스스로 인간이 아닌 별도의 종족이라고 여긴다.[13] 호빗의 수명은 100세까지이다. 호빗에서 빌보의 33번째 생일에 성인이 되었으므로, 50세는 중년에 접어든 것으로 간주된다.[14]
톨킨은 서로 다른 신체적 특징과 기질을 가진 세 종류의 호빗에 대한 허구적인 역사를 고안했다. 하풋, 팔로하이드, 스투어가 바로 그들이다. 빌보와 프로도 시대에 이 종류들은 수 세기 동안 섞였지만, 일부 가족과 지역에서는 세 집단 중 하나에서 내려온 혈통이 더 많았다.[8][15]
종류 | 특징 | 기타 |
---|---|---|
하풋 | 키가 가장 작고, 피부색이 "갈색"에 가까움, 굴이나 스미알에 삶, 드워프와 가까움, 완만한 언덕 지대에 살며 주로 농업에 종사 | 에리아도르에 처음으로 들어옴 |
팔로하이드 | 금발, 다른 호빗보다 키가 크고 마르며 날씬함, 모험심이 강하고, 숲에서 사냥꾼으로 뛰어남, 원거리 무기 사용에 능숙, 엘프와 가까움, 문자를 가장 먼저 배움 | 에리아도르에 두 번째로 들어옴 |
스투어 | 다른 호빗보다 다부짐, 수염을 기를 수 있는 유일한 집단, 물과 친숙, 강가에 살며, 배를 사용하고 수영을 함, 손과 발이 튼튼함, 부츠를 신는 경우가 많음, 인간을 덜 꺼림 | 에리아도르에 가장 늦게 들어옴 |
톨킨은 자신의 저술에서 호빗을 모험심 없고 목가적이며 소박한 삶을 영위하는 농부, 식도락가, 사교적인 존재로 묘사했지만, 필요하다면 용감하게 자신의 집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도 있다고 묘사했다. 하루에 여섯 끼를 먹을 수 있다면 먹었을 것이다.[14] 파이프 담배를 발명했다고 주장했다.[18]
호빗은 매우 "씨족 중심적"이었고 "계보학에 대한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었다.[19]
호빗은 전통적으로 언덕, 구릉, 제방에서 발견되는 "호빗굴" 또는 "스미얼" 즉, 지하 주택에 살았지만, 다른 곳에 사는 호빗도 있었다.[14] 호빗 건축은 둥근 문과 창문을 선호한다.[14]
톨킨은 1958년 편지에서 자신의 취향을 호빗의 취향에 비유했다.
나는 사실 크기만 빼고는 호빗입니다. 나는 정원, 나무, 기계화되지 않은 농지들을 좋아합니다. 나는 파이프를 피우고, 간단하고 평범한 음식(냉장되지 않은)을 좋아하지만 프랑스 요리는 싫어합니다. 나는 장식용 조끼를 좋아하고 이러한 지루한 날에도 감히 입습니다. 나는 (들에서 난) 버섯을 좋아합니다. 매우 단순한 유머 감각을 가지고 있습니다(심지어 나를 높이 평가하는 비평가들조차도 지겹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늦게 잠자리에 들고 늦게 일어납니다(가능하면). 나는 많이 여행하지 않습니다.영어
호빗은 키가 60~121cm(2~4피트)이며, 약간 뾰족한 귀를 가지고 있다. 발바닥의 피부가 두껍고 털로 덮여 있어 신발을 신지 않는다. 모험적이지 않고 목가적인 삶, 즉 농업, 식사, 사회생활을 좋아한다. 인간보다 약간 수명이 길어 종종 120세까지 살았다(평균 수명 100세). 33세에 성인이 되고 50세에 중년이 된다. 톨킨의 영감의 원천인 영국의 시골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선술집에서 에일을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평화와 음식을 무엇보다 사랑하며, 대개 뚱뚱하다. 선물을 주고받는 것을 좋아하며, 음식을 비유로 사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상황이 되면 놀라울 정도의 강인함을 보여준다. 눈이 좋아서 돌팔매질과 활과 화살을 잘 다룬다. 일부 종족을 제외하고는 수염을 기르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배를 타는 것을 좋아하지 않지만, 브랜디벅 가문은 예외이다.
3. 2. 종류
톨킨은 서로 다른 신체적 특징과 기질을 가진 세 종류의 호빗에 대한 역사를 고안했다. 하풋, 팔로하이드, 스투어가 바로 그들이다. 빌보와 프로도 시대에 이 종류들은 수 세기 동안 섞였지만, 일부 가족과 지역에서는 세 집단 중 하나의 혈통이 더 많았다.[8][15]- '''하풋'''은 가장 수가 많은 호빗 집단으로, 에리아도르에 처음으로 들어왔다. 키가 가장 작고, 피부색이 "갈색"에 가까웠으며, ''호빗''에 묘사된 가장 전형적인 종족이었다. 굴이나 '스미알'에 살았고, 드워프와 더 가까운 관계를 맺었다. 완만한 언덕 지대에 살았으며 주로 농업에 종사했다. 안개산맥을 처음으로 넘어온 집단으로, 제3시대 1050년에 브리 주변 지역에 정착했다. 톨킨은 "털발"과 유사한 의미로 "하풋"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8][15]
- '''팔로하이드'''는 가장 수가 적었고, 에리아도르에 두 번째로 들어왔다. 금발이었고, 다른 호빗들보다 키가 크고 마르며 날씬했다. 모험심이 강했고, 숲에서 사냥꾼으로서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원거리 무기 사용에 능숙했다. 엘프와 더 가까운 관계를 맺었는데, 엘프들 또한 숲에 사는 경향이 있었다. 엘프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팔로하이드는 문자를 가장 먼저 배우게 된 호빗이었고, 안개산맥을 넘기 전 시대의 과거에 대한 희미한 지식조차도 보존한 유일한 집단이었다. 하풋보다 약 1세기 후에 에리아도르로 건너와 브리랜드에 이미 존재하던 하풋 마을에 정착했다. 수가 많지 않았던 팔로하이드는 이 기간 동안 하풋과 혼합되어 대부분 흡수되었지만, 툭 가문이나 버클랜드의 지배자들과 같이 많은 사람들을 이끌었던 여러 저명한 가문들은 상당한 팔로하이드 혈통을 가지고 있었다. 약 4세기 후, 마르코와 블랑코라는 팔로하이드 형제가 이끄는 대규모 호빗 원정대가 브리랜드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제3시대 1601년에 샤이어를 건설하고 정착했다.[8][15] ''반지의 제왕''의 네 명의 주요 호빗 등장인물 중 세 명( 빌보, 프로도, 피핀, 메리)은 옛 툭을 통해 팔로하이드 혈통을 가지고 있었다. 톨킨은 "창백한 피부"를 의미하는 고어의 의미인 영어 단어 "fallow"와 "hide"를 결합하여 이름을 만들었다.[8][15]
- '''스투어'''는 두 번째로 많은 수의 호빗 집단이었으며 에리아도르에 가장 늦게 들어왔다. 다른 호빗들보다 다부졌지만 약간 키가 작았고, 수염을 기를 수 있는 유일한 집단이었다. 물과 친숙했으며 대부분 강가에 살았고, 배를 사용하고 수영을 한 유일한 호빗이었는데, 다른 호빗들은 이러한 활동을 위험하고 무서운 것으로 여겼다. 톨킨은 그들이 "인간을 덜 꺼렸다"고 말한다. 스투어는 팔로하이드보다 2세기 후에 에리아도르로 이주했지만, 브리랜드에 정착하는 대신 제3시대 1300년까지 더 남쪽으로 던랜드로 향했고, 마지막으로 제3시대 1630년에 새로 건설된 샤이어로 이주했다. 스투어는 대부분 샤이어 동쪽의 브랜디와인 강둑에 정착했기 때문에 버클랜드와 마리쉬의 많은 호빗들이 스투어 혈통이었다. 스투어가 샤이어로 이주하기 전 던랜드에서 살았던 시간 때문에 그들의 이름에는 약간의 켈트어 영향이 있다.[8][15] 소수의 스투어는 던랜드만큼 남쪽으로 가지 않고 던랜드와 브리 사이에 있는 남쪽 루다우어의 앵글 습지에 정착했다. 북쪽의 앙마르의 사악한 세력이 일어났을 때 이들 중 많은 수가 던랜드에 있는 친척들과 합류했지만, 일부는 산을 넘어 동쪽으로 도망쳐 글래든 필드의 습지에 정착했다. 데아골과 스미골/골룸은 모두 이 집단에 속했다.[17] 톨킨은 "강한"을 의미하는 고대 영어 단어 ''stor'' 또는 ''stoor''를 사용했다.[8][15]
역사적으로 호빗은 미스티 마운틴과 둠 숲 사이의 안두인 강 계곡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의 제왕』에 따르면, 호빗이 인류의 일부와 어떻게 관련되었는지에 대한 계보학적 세부 사항은 상실되었다. 당시 세 가지 서로 다른 기질을 가진 호빗의 세 종족이 있었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할프링족은 반지의 제왕에 묘사된 호빗들과 거의 동일하다. 스투어족은 배나 수영 등 물에 친근감을 가지고 있었고, 페러하이드족은 모험심이 강한 사람들이었다. 스투어족과 페러하이드족의 특징은 후에는 매우 드물어졌지만, 세 종족 간에는 결혼을 포함한 인적 교류가 계속되었기 때문인지, 때때로 괴짜나 변종으로 여겨지면서도 할프링족 내에서도 스투어족이나 페러하이드족의 특징을 가진 사람들이 드물게 나타났다.
제3시대 (톨킨) 초기에,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마도 모르도르의 세력에 의해, 그들은 험난한 미스티 마운틴 횡단을 시작했다. 그러나 스투어족의 일부는 남아,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이들로부터 고클이 탄생했다. 호빗들은 서쪽으로 향하는 여정에서 각기 다른 경로를 택했지만, 결국 (그들에 의해 브랜디와인 강으로 개명된) 바란두인 강과 배킹엄 사이의 땅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많은 마을을 만들었고, 호빗 종족 간의 구분은 모호해지기 시작했다. 제3시대 1600년경, 두 명의 페러하이드 형제는 바란두인 강을 건너 맞은편에 마을을 세웠다. 많은 호빗들이 그들을 따라갔고, 이전의 그들의 영토 대부분에서 인구가 급감했다. 제3시대 말까지 브리와 주변의 몇몇 마을이 남아 있었다. 브랜디와인 강 서쪽 제방에 그들이 세운 새로운 영토는 샤이어라고 불린다.
3. 3. 생활 양식 및 문화
호빗은 키가 0.6~1.2m(2~4피트) 사이이며, 평균 키는 약 1.07m(3피트 6인치)이다. 이들은 밝은 색깔의 옷, 특히 노란색과 녹색을 선호한다. 보통 수줍음이 많지만, 필요할 때 큰 용기와 놀라운 능력을 보여준다. 돌 던지기에 능숙하며, 대부분 수염이 없지만 일부 스투어 호빗들은 수염이 있다. 발에는 곱슬거리는 털(주로 갈색)이 나 있고, 발바닥은 가죽처럼 단단해서 신발을 거의 신지 않는다.[8] 호빗은 드워프만큼 땅딸막하지는 않지만, 다부지고 귀가 약간 뾰족한 경향이 있다. 톨킨은 1938년 미국 출판사에 보낸 편지에서 호빗의 외모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9]호빗은 인류의 친척,[8] "변종",[10][11] 또는 별개의 "가지"[12]로 묘사된다.[11] 톨킨의 허구 세계에서 호빗과 다른 종족들은 인간과 호빗 사이의 유사성을 인지하고 서로를 "큰 사람들"과 "작은 사람들"이라고 부른다. 그럼에도 호빗들은 자신들을 별개의 민족으로 여긴다.[13]
호빗의 평균 수명은 100년이지만, 빌보 배긴스와 오래된 툭은 130세 이상 살았다. 빌보의 긴 수명은 절대반지 소유에 크게 기인한다. 호빗은 33번째 생일을 "성년"으로 여기며, 50세 호빗은 중년으로 간주된다.[14]
톨킨은 호빗을 모험심 없고 목가적이며 소박한 삶을 영위하는 농부, 식도락가, 사교적인 존재로 묘사했지만, 필요하다면 용감하게 자신의 집을 방어할 수 있다고 묘사했다. 그들은 하루에 여섯 끼를 먹을 수 있다면 먹었을 것이며,[14] 파이프 담배를 발명했다고 주장했다.[18]
호빗은 "씨족 중심적"이며 "계보학에 대한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었다. 톨킨은 ''반지의 제왕''에 여러 개의 호빗 가계도를 포함시켰다.[19] 대부분의 호빗들은 결혼하여 대가족을 이루었지만, 빌보와 프로도는 예외였다.
샤이어의 호빗들은 생일 선물을 받는 대신 주는 관습을 발전시켰지만, 이 관습은 다른 호빗 문화권에서는 보편적이지 않았다. "마섬(mathom)"은 오래되고 쓸모없는 물건이지만 호빗들이 버리기를 꺼리는 물건을 의미한다. "마섬"은 여러 번 선물로 주어지고, 때로는 원래 주인에게 돌아가거나 박물관("마섬-하우스")에 보관된다.[14]
호빗들은 독특한 달력을 가지고 있었다. 매년 토요일에 시작하여 금요일에 끝나며, 12개월 각각은 30일로 구성되었다. 특별한 날은 어떤 달에도 속하지 않았는데, 율(Yule) 1일과 2일(섣달 그믐날과 새해 첫날)과 여름 중순의 리스데이(Lithedays) 3일이었다. 4년마다 추가적인 리스데이가 있었는데, 이는 윤년과 유사하게 달력이 계절과 시간을 맞추도록 하기 위한 적응일 가능성이 높다.[21]
호빗들은 전통적으로 언덕, 구릉, 제방에서 발견되는 "호빗굴" 또는 "스미얼" 즉, 지하 주택에 살았지만, 다른 곳에 사는 호빗들도 있었다.[14] 호빗 건축은 둥근 문과 창문을 선호한다.[14]
톨킨은 1958년 편지에서 자신의 취향을 호빗의 취향에 비유했다.[25]
호빗은 키가 60~121cm(2~4피트)이며, 약간 뾰족한 귀를 가지고 있다. 발바닥의 피부가 두껍고 털로 덮여 있어 신발을 신지 않는다. 그들은 모험적이지 않고 목가적인 삶, 즉 농업, 식사, 사회생활을 좋아한다. 인간보다 약간 수명이 길어 종종 120세까지 살았다(평균 수명 100세). 33세에 성인이 되고 50세에 중년이 된다. 호빗들은 톨킨의 영감의 원천인 영국의 시골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선술집에서 에일을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중간계에서 호빗들이 사는 지역의 이름으로 톨킨이 선택한 "the Shire"(호빗 마을)라는 이름은 영국의 "주(Shire)"를 분명하게 연상시킨다.(잉글랜드의 주 참조)
평화와 음식을 무엇보다 사랑하며, 대개 뚱뚱하다. 선물을 주고받는 것을 좋아하며, 음식을 비유로 사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하지만 일단 상황이 되면 놀라울 정도의 강인함을 보여준다. 눈이 좋아서 돌팔매질과 활과 화살을 잘 다룬다. 일부 종족을 제외하고는 수염을 기르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일반적으로 배를 타는 것을 좋아하지 않지만, 브랜디벅 가문은 예외이다.
4. 역사
미스티 마운틴(안개산맥)과 둠 숲(어둠숲) 사이 안두인(안두인 강) 계곡에서 기원한 호빗은 반지의 제왕에 따르면 인류와의 계보학적 세부 사항은 전해지지 않는다. 당시 호빗은 세 가지 종족으로 나뉘었다.
종족 | 특징 | 기타 |
---|---|---|
할프링 | 반지의 제왕에 묘사된 호빗들과 거의 동일하며, 가장 수가 많았다. | |
스투어 | 배나 수영 등 물에 친근감을 가지고 있었다. |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이들로부터 골룸이 탄생했다. |
페러하이드 | 모험심이 강했다. | 제3시대 1600년경, 두 명의 페러하이드 형제가 바란두인 강(브랜디와인 강)을 건너 마을을 세웠고, 많은 호빗들이 그들을 따라 이전 영토를 떠났다. |
세 종족 간에는 결혼을 포함한 인적 교류가 계속되어, 할프링족 내에서도 스투어족이나 페러하이드족의 특징을 가진 이들이 드물게 나타났다.
제3시대 초, 모르도르(모르도르)의 세력 때문으로 추정되는 이유로 호빗들은 미스티 마운틴을 넘는 험난한 여정을 시작했다. 일부 스투어족은 남아 오랜 세월 후 골룸을 탄생시켰다. 호빗들은 서쪽으로 이동하며 각기 다른 경로를 택했지만, 결국 바란두인 강(브랜디와인 강)과 배킹엄(바람산) 사이 땅에 도착하여 많은 마을을 세웠고, 종족 간 구분은 모호해지기 시작했다. 제3시대 1600년경, 두 페러하이드 형제가 바란두인 강 건너편에 마을을 세우자 많은 호빗들이 그들을 따라 이전 영토를 떠났다. 브리(브리)와 주변 몇몇 마을을 제외한, 브랜디와인 강 서쪽 제방에 세워진 새 영토는 샤이어(호빗골)로 불린다.
제4시대에는 에레사르 왕 아래 통일 왕국으로 재편되었지만, 왕은 샤이어(호빗골)를 보호하고 인간의 출입을 금지했다. 그 이후 호빗 역사는 전해지지 않지만, 일설에 따르면 인간 증가로 살 곳을 빼앗긴 호빗들은 산야를 헤매며 숨어 사는 가난한 종족이 되었다고 한다.
4. 1. 로바니온에서의 기원
호빗은 인간과 관련이 있으며, 인간의 한 갈래로 여겨진다. 그들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제3시대에는 브라운랜드의 안두인강 계곡에 살았다.호빗은 작은 체구 때문에 '''작은 사람'''(''Halfling'', 싱달린어로 단수형은 perian, 복수형은 periannath)이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호빗들은 자신들은 어떤 "반(half)"도 아니라고 말하며, 이 단어를 다소 불쾌하게 여겼고, 스스로는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 확실하다.
곤도르에서는 작은 사람이라고 불렸고, 로한의 언어(고대영어식으로 번역됨)에서는 홀비트라(Holbytlaang 또는 Holbytlanang)라고 불린다.[57]
초기 전설에 따르면 호빗들은 로바니온의 안두인강 계곡, 미르크우드와 안개산맥 사이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반지의 제왕》에 따르면, 그들은 인간과의 혈통 관계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잃어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톨킨은 "호빗에 관하여"에서 호빗은 엘프나 드워프처럼 인간과는 별개의 종족이 아니며, 먼 옛날 제1시대의 다른 인간들로부터 갈라져 나왔다고 명확히 밝히고 있다. 수많은 세월이 흐른 후, 제3시대 초기에 고대 호빗들은 안두인강 계곡에 살았는데, 로히림의 조상인 에오테오드와 가까이 있었다. 이로 인해 두 종족 간에 어느 정도 접촉이 있었고, 그 결과 "호빗어"의 많은 고어와 이름이 로히릭어(톨킨은 이를 고대 영어로 번역하여 그의 글에 제시했다)에서 유래되었다.[14]
제3시대에 호빗들은 안개산맥을 넘는 힘든 여정을 떠났는데, 이 시기를 그들은 "방랑의 시대"라고 부르며, 이는 그들의 역사상 가장 오래된 기억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이동의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근처 그린우드(나중에 미르크우드로 알려지게 됨)에서 사우론의 권력이 커지고 있었던 것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사우론은 이 숲에서 절대반지를 찾기 위해 그늘을 드리웠다. 호빗들은 서쪽으로 향하는 여정에서 서로 다른 경로를 이용했지만, 브리랜드, 던랜드, 그리고 미트헤이텔 강과 브루이넨 강이 이루는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호빗 종족 간의 구분은 모호해지기 시작했다.
역사적으로 호빗은 안개산맥과 미르크우드 사이의 안두인강 계곡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지의 제왕』에 따르면, 그들이 어떻게 인류의 일부와 관련되었는지에 대한 계보학적 세부 사항은 상실되었다. 당시, 세 가지 서로 다른 기질을 가진 '''호빗의 세 가지 종족'''이 있었다.
종족 | 특징 | 기타 |
---|---|---|
할프링 | 반지의 제왕에 묘사된 호빗들과 거의 동일하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 | |
스투어 | 배나 수영 등 물에 친근감을 가지고 있었다. |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이들로부터 골룸이 탄생했다. |
페러하이드 | 모험심이 강한 사람들이었다. | 제3시대 1600년경, 두 명의 페러하이드 형제가 바란두인 강(브랜디와인 강으로 개명됨)을 건너 맞은편에 마을을 세웠다. 많은 호빗들이 그들을 따라갔고, 이전의 그들의 영토 대부분에서 인구가 급감했다. |
스투어족과 페러하이드족의 특징은 후에는 매우 드물어졌지만, 세 종족 간에는 결혼을 포함한 인적 교류가 계속되었기 때문인지, 때때로 괴짜나 변종으로 여겨지면서도 할프링족 내에서도 스투어족이나 페러하이드족의 특징을 가진 사람들이 드물게 나타났다.
톨킨은 서로 다른 신체적 특징과 기질을 가진 세 종류의 호빗에 대한 허구적인 역사를 고안했는데, 하풋, 팔로하이드, 스투어가 바로 그들이다.
종족 | 특징 | 기타 |
---|---|---|
하풋 |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호빗 집단이었으며, 에리아도르(샤이어와 브리가 있는 지역)에 처음으로 들어온 집단이었다. 키가 가장 작고, 피부색이 "갈색"에 가까웠으며, 호빗에 묘사된 대로 가장 전형적인 종족이었다. 굴이나 스미알에 살았고, 다른 호빗들보다 드워프와 더 가까운 관계를 맺었다. 대체로 완만한 언덕 지대에 살았으며 주로 농업에 종사했다. | 안개산맥을 처음으로 넘어온 집단으로, 제3시대 1050년(빌보와 프로도 시대보다 약 2,000년 전, 그리고 샤이어가 제3시대 1601년에 건설되기 5세기 반 전)에 브리 주변 지역에 정착했다. 톨킨은 "털발"과 유사한 의미로 "하풋"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8][15] |
팔로하이드 | 가장 수가 적었고, 에리아도르에 두 번째로 들어온 집단이었다. 일반적으로 금발이었고, 다른 호빗들보다 키가 크고 마르며 날씬했다. 다른 두 종류의 호빗의 평균 키가 약 3.5피트였던 반면, 팔로하이드의 평균 키는 4피트에 가까웠다. 다른 종류의 호빗들보다 모험심이 강했고, 숲에서 사냥꾼으로서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며 원거리 무기 사용에 능숙했다. 엘프와 더 가까운 관계를 맺었는데, 엘프들 또한 숲에 사는 경향이 있었다. 엘프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팔로하이드는 문자를 가장 먼저 배우게 된 호빗이었고, 따라서 안개산맥을 넘기 전 시대의 과거에 대한 희미한 지식조차도 보존한 유일한 집단이었다. | 하풋보다 약 1세기 후에 에리아도르로 건너와 브리랜드에 이미 존재하던 하풋 마을에 정착했다. 수가 많지 않았던 팔로하이드는 이 기간 동안 하풋과 혼합되어 대부분 흡수되었지만, 툭 가문이나 버클랜드의 지배자들과 같이 많은 사람들을 이끌었던 여러 저명한 가문들은 많은 사람들과 달리 상당한 팔로하이드 혈통을 가지고 있었다. 약 4세기 후, 마르코와 블랑코라는 팔로하이드 형제가 이끄는 대규모 호빗 원정대가 브리랜드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제3시대 1601년에 샤이어를 건설하고 정착했다.[8][15] |
스투어 | 두 번째로 많은 수의 호빗 집단이었으며 에리아도르에 가장 늦게 들어온 집단이었다. 다른 두 집단과 상당히 달랐다. 다른 호빗들보다 다부졌지만 약간 키가 작았고, 수염을 기를 수 있는 유일한 집단이기도 했다. 물과 친숙했으며 대부분 강가에 살았고, 배를 사용하고 수영을 한 유일한 호빗이었는데, 다른 호빗들은 이러한 활동을 위험하고 무서운 것으로 여겼다. 그들의 손과 발도 다른 호빗들보다 더 튼튼했다. 다른 호빗들은 일반적으로 발걸음을 쿠션하기 위해 신발을 신지 않았지만, 스투어는 진흙투성이 강둑 근처에 사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발을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부츠를 신는 경우가 많았으며, 따라서 어떤 종류의 신발을 사용하는 유일한 호빗이었다. | |
4. 2. 서쪽으로의 이동
제3시대에 호빗들은 안개산맥을 넘는 힘든 여정을 떠났는데, 이 시기를 그들은 "방랑의 시대"라고 부르며, 이는 그들의 역사상 가장 오래된 기억으로 남아 있다.[8][15] 이러한 이동의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근처 그린우드(나중에 미르크우드로 알려지게 됨)에서 사우론의 권력이 커지고 있었던 것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사우론은 이 숲에서 절대반지를 찾기 위해 그늘을 드리웠다. 호빗들은 서쪽으로 향하는 여정에서 서로 다른 경로를 이용했지만, 브리랜드, 던랜드, 그리고 미트헤이텔 강과 브루이넨 강이 이루는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호빗 종족 간의 구분은 모호해지기 시작했다.[8][15]톰 쉽피는 "안글레(Angle)"라는 이름이 특별한 공명을 지닌다고 설명한다. "잉글랜드"라는 이름이 독일 북부 덴마크 옆, 플렌스부르크 피오르와 슐라이 사이의 안글리아(Anglia)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이곳은 영국을 건국한 앵글족이 속한 앵글로색슨족의 기원이다. 게다가 세 종류의 호빗의 이동은 영국의 건국자들의 이동을 반영한다.[8][15]
4. 3. 샤이어 건국
제3시대 1601년(샤이어력 1년), 팔로하이드 형제인 마르코와 블랑코가 브리(브리랜드)에서 서쪽으로 이동하여 포르노스트의 아르노르 왕으로부터 브랜디와인 강 서쪽 기슭에 정착할 허락을 받았다. 이들이 브랜디와인 강 서쪽 기슭에 세운 새로운 땅이 바로 샤이어이다.[14] 많은 호빗들이 그들을 따라 샤이어로 이주했다.원래 샤이어의 호빗들은 아르노르의 마지막 왕들에게 명목상의 충성을 맹세했으며, 왕은 호빗들에게 사자를 빨리 보내고 다리와 도로를 수리하는 것만을 요구했다. 포르노스트 전투에서 앙마르에 대항한 최종 전투에서 호빗들은 궁수들을 파견하여 도왔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다른 곳에서는 기록되지 않았다. 전투 후 아르노르 왕국은 멸망했고, 왕이 없는 상황에서 호빗들은 자신들 중에서 샤이어의 샤인을 선출했다.[14]
샤이어의 첫 번째 샤인은 마리쉬의 부카였으며, 그는 올드벅 가문을 세웠다. 그러나 올드벅 가문은 나중에 브랜디와인 강을 건너 버클랜드라는 별개의 땅을 만들었고, 가문의 이름은 "브랜디벅 가문"으로 바뀌었다. 그들의 족장은 그 후 버클랜드의 영주가 되었다. 올드벅/브랜디벅 가문이 떠난 후, 툭 가문이 샤인이 되는 가문으로 선택되었다 (피핀 툭은 샤인의 아들이었으며 나중에 스스로 샤인이 된다). 샤인은 샤이어 회의와 소집, 그리고 무장한 호빗들을 담당했지만, 샤이어의 호빗들은 일반적으로 매우 평화롭고 조용한 삶을 살았기 때문에 샤인의 직책은 형식적인 것으로 여겨졌다.[14]
4. 4. 제4시대 이후
제4시대에는 에레사르 왕 아래 통일된 왕국으로 재편되었지만, 왕에 의해 샤이어(호빗庄)는 보호되었고 인간의 출입은 금지되었다. 그 이후 호빗의 역사는 전혀 전해지지 않는다. 일설에 따르면, 인간이 증가함에 따라 호빗들은 살 곳을 빼앗기고, 단지 살아남기 위해 산야를 헤매며 숨어 사는 가난한 종족이 되었다고 한다.5. 작품 속 등장인물
6. 흡연 문화
호빗들은 흡연을 즐기는 경향이 있으며, 담배 재배도 하고, 특히 고급 담배를 생산한다.
호빗족은 자신들이 흡연을 발명했다고 여기며, 브리 마을을 흡연의 발상지로 보기도 한다. 메리아독 브랜디벅에 따르면, 흡연은 안두인 강 하류에서 브리 마을로 전해졌고, 더 나아가 서쪽 바다를 건너 전래되었다고 한다. 작중에서는 호빗족 외에 아라곤과 간달프가 흡연을 즐기며, 사루만은 아이젠가드에 고급 담배 잎을 비축하고 있었다.
호빗들은 반지의 제왕 시대에 파이프로 흡연을 했으며, 도자기나 나무로 만든 파이프를 사용했다.[58]
7. 분석
폴 H. 코처(Paul H. Kocher)는 톨킨의 문학 기법이 독자들이 호빗을 인간과 같은 존재로 보도록 이끈다고 지적한다. 특히 전쟁과 같이 도덕적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 호빗은 더욱 인간적인 면모를 보인다.[27] 반지의 제왕 집필 초기에 톨킨이 쓴 〈니글의 잎〉(Leaf by Niggle)에는 프로도 배긴스(Frodo Baggins)가 호빗의 양심을 상징하는 존재로 나타난다.[27]
J. R. R. 톨킨은 호빗들이 사는 샤이어를 자신이 직접 경험한 사회, 즉 "다이아몬드 주빌리(1897년) 무렵의 워릭셔 마을과 거의 같은" 사회에 위치시켰다.[28][29] 톰 쉽피는 담배와 감자를 포함한 호빗 문화가 톨킨의 "창의적인 시대착오"이며, 이는 현대 독자와 중간계의 고대 세계 사이의 "격차를 메우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28]
디미트라 피미는 호빗의 언어 스타일과 물질 문화에 시대착오적인 요소가 적용된다고 말한다. 샘와이즈 갬지가 모르도르로 가는 여정에서 생각하는 피시 앤드 칩스가 그 예시이다.[28] 빌보의 파티에서 "급행 열차처럼" 돌진하는 용 모양 불꽃놀이, 배긴스 홀에 있는 시계와 기압계, 우편 서비스 등도 마찬가지이다.[28][30][31] 쉽피와 피미는 이러한 시대착오가 독자를 편안하게 고대 세계로 인도한다는 데 동의한다.[28]
물건 | 최초 등장 시기 | 참고 |
---|---|---|
담배 | 1492년 이후 | 콜럼버스 교환을 통해 유럽에 전래[32] |
감자 | 1492년 이후 | 담배와 마찬가지[32] |
우산 | 18세기 | 접는 우산, 파리[33] |
캠핑용 주전자 | 1880년대 이후 | 템스 강에서의 캠핑 여행;[34] 19세기 말의 켈리 케틀[35] |
안전 성냥 | 1850년대 | 스웨덴의 룬드스트롬 형제[36] |
시계 | 13세기 | 교회 탑의 최초의 시계[37] |
손수건 | 19세기 | 투피스 정장 주머니 속에[38] |
불꽃놀이 | 10세기 | 14세기 유럽에서 제작[39] |
급행 열차 | 19세기 | "중간계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것"[28] |
피시 앤드 칩스 | 1860년대 | 영국의 최초의 피시 앤드 칩스 가게[40] |
우편 서비스 | 1840년 | 균일 페니 우편[41] |
7. 1. 도덕적 중요성
톨킨 비평가 폴 H. 코처(Paul H. Kocher)는 톨킨의 문학 기법은 독자들이, 특히 그들의 땅을 황폐화할 위협이 되는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도덕적 압박을 받을 때 호빗을 인간과 같은 존재로 보도록 요구한다고 지적한다.[27] 프로도 배긴스(Frodo Baggins)는 어떤 면에서 호빗들의 양심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존재가 되는데, 이는 톨킨이 《반지의 제왕》의 처음 아홉 장을 쓰던 시기에 함께 쓴 〈니글의 잎〉(Leaf by Niggle) 이야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된다.[27] 니글은 죽음의 부름에도 불구하고 그의 위대한 그림, 숲과 먼 산을 배경으로 한 나무 그림을 완성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화가이다. 그는 불완전하게 관대한 그의 마음 때문에 작품을 미완성으로 남긴 채 죽는다. "그것은 그가 무언가를 하도록 만들기보다는 그를 더 불편하게 만들었다."[27] 그러나 연옥(Purgatory)에서의 수련 후, 니글은 자신이 그린 풍경 속에 자신을 발견하고, 이제 생전에 자신을 방해했던 이웃의 도움으로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그림이 완성되자, 니글은 그의 영적 발전의 가장 높은 단계를 나타내는 먼 산으로 여행을 떠날 자유를 얻는다.[27] 따라서 웨더탑(Weathertop)에서 앙마르의 마법사왕(Witch-King of Angmar)이 입힌 상처에서 회복된 후, 간달프(Gandalf)는 호빗 프로도가 "눈이 볼 수 있는 맑은 빛으로 가득 찬 잔과 같이 될 수도 있다"고 추측한다.[27] 마찬가지로, 프로도가 운명의 산(Mount Doom)에 가까워짐에 따라 그는 무기를 버리고 육체적인 힘으로 다른 사람들과 싸우는 것을 거부한다. "그에게 있어서 정의를 위한 투쟁은 이후로 도덕적 차원에서만 벌어져야 한다."[27]7. 2. 현대 세계와의 연결
J. R. R. 톨킨의 소설 속 등장인물인 호빗은 곤도르나 로한과 같은 중간계의 영웅적인 문화와는 어울리지 않는 존재로 묘사된다. 고대 로마나 앵글로색슨족과 같은 고대 사회에 기반을 둔 영웅적인 문화와 달리, 톨킨은 호빗들이 사는 샤이어를 자신이 직접 경험한 사회, 즉 "다이아몬드 주빌리(1897년) 무렵의 워릭셔 마을과 거의 같은" 사회에 위치시켰다.[28][29]톰 쉽피는 담배와 감자를 포함한 호빗 문화가 톨킨의 "창의적인 시대착오"라고 묘사했다. 그는 시대착오가 호빗의 "본질적인 기능"이며, 톨킨이 현대 세계 독자들의 삶과 위험한 중간계의 고대 세계 사이의 "격차를 메우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디미트라 피미는 호빗들이 사용하는 언어 스타일과 "우산, 캠핑용 주전자, 성냥, 시계, 손수건, 불꽃놀이"와 같은 물질 문화 모두에 시대착오적인 요소가 적용된다고 말한다. 샘와이즈 갬지가 모르도르로 가는 여정에서 생각하는 피시 앤드 칩스 역시 마찬가지이다.[28] 피미는 빌보의 파티에서 머리 위로 "급행 열차처럼" 돌진하는 거대한 용 모양의 불꽃놀이에 대한 톨킨의 묘사가 가장 두드러진다고 보았다.[28] 빌보의 집인 배긴스 홀의 홀을 그린 톨킨의 그림에는 시계와 기압계가 모두 보이며, 그는 벽난로 선반에 또 다른 시계를 가지고 있었다.[30][31] 호빗들은 파티를 준비하기 위해 매일 우편 서비스에 의존한다. 쉽피와 피미는 이러한 시대착오적인 요소들이 독자를 편안하게 고대 영웅 세계로 인도한다는 데 동의한다.[28]
물건 | 최초 등장 시기 | 참고 |
---|---|---|
담배 | 1492년 이후 | 콜럼버스 교환을 통해 유럽에 전래[32] |
감자 | 1492년 이후 | 담배와 마찬가지[32] |
우산 | 18세기 | 접는 우산, 파리[33] |
캠핑용 주전자 | 1880년대 이후 | 템스 강에서의 캠핑 여행;[34] 19세기 말의 켈리 케틀[35] |
안전 성냥 | 1850년대 | 스웨덴의 룬드스트롬 형제[36] |
시계 | 13세기 | 교회 탑의 최초의 시계[37] |
손수건 | 19세기 | 투피스 정장 주머니 속에[38] |
불꽃놀이 | 10세기 | 14세기 유럽에서 제작[39] |
급행 열차 | 19세기 | "중간계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것"[28] |
피시 앤드 칩스 | 1860년대 | 영국의 최초의 피시 앤드 칩스 가게[40] |
우편 서비스 | 1840년 | 균일 페니 우편[41] |
8. 대중문화 속 호빗
코믹 호러 록 밴드 로즈메리의 빌리 고트(Rosemary's Billygoat)는 술집에서 여자를 집으로 데려온 남자가 그녀의 끔찍한 "호빗 발"을 발견하는 내용의 노래와 뮤직비디오 "호빗 발(Hobbit Feet)"을 제작했다. 리드 싱어 마이크 오드(Mike Odd)에 따르면, 이 밴드는 격분한 톨킨 팬들로부터 100통이 넘는 증오 편지를 받았다.[52]
8. 1. 판타지 문학과 게임
던전 앤 드래곤은 법적 이유로 호빗 대신 하플링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42][43] 테리 브룩스, 잭 밴스, 클리포드 D. 시맥을 포함한 판타지 작가들은 하플링 종족을 사용한다.[44][45][46]피터 잭슨의 반지의 제왕 영화 시리즈와 호빗 영화 시리즈는 의수족을 광범위하게 사용했다. 웨타 워크숍은 배우들이 신을 수 있는 신발이면서 동시에 크고 털이 많은 호빗 발을 만드는 데 1년을 보냈다. 총 1,800켤레가 제작 기간 동안 주연 호빗 배우 4명이 착용했다. 게다가 배우들은 뾰족한 귀와 가짜 코를 만들기 위해 얼굴 본을 뜨기도 했다.[47]
2022년부터 방영된 ''반지의 제왕: 힘의 반지''는 인종 묘사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48] 하풋족을 연기한 배우들을 향한 인종차별적인 행위가 있었다.[49] 판타지 작가 닐 게이먼은 캐스팅을 옹호하며 "톨킨은 하풋족을 다른 호빗들보다 '피부색이 더 검다'고 묘사했습니다. 그러므로 불평하는 사람들은 인종차별주의자이거나 톨킨의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입니다."라고 말했다.[50] 해설가들은 호빗과 비슷한 하풋족이 아일랜드 억양으로 말하고, 친절한 농민처럼 행동하며, 켈트 음악을 동반하며, 19세기 풍자 만화가 존 리치가 펀치 잡지에 그린 아일랜드인에 대한 "매우 불쾌한" 묘사와 닮았다는 점을 지적했다.[51]

호빗은 『반지의 제왕』에서의 활약으로 현실 세계에서도 잘 알려지게 되었고, 컴퓨터 게임 등에서 RPG 분야에서 자주 등장하는 종족이 되었다. 톨킨이 세세하게 묘사한 점과 현대 판타지 문학의 기반으로 『반지의 제왕』이 군림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종족의 묘사와 비교하여 호빗의 이미지 변화는 적다.
『던전 앤 드래곤』에서는 권리 문제로 "호빗"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하플링(작은 사람)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드래곤 랜스』에서는 켄더 ).
『소드 월드』에는 "글래스러너"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작고, 재빠르며, 운이 좋고, 명랑한 종족으로 묘사되었다. 이처럼 "호빗"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이 종족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되는 소박하고 키가 작은 사람들이 등장하는 작품은 다른 곳에도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향은 판타지 분야뿐만 아니라, SF 분야에서도 볼 수 있다.
『반지의 제왕』 이외의 영화에서 호빗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로는 『윌로우』가 있다.
8. 2. 영화
피터 잭슨의 반지의 제왕 영화 시리즈와 호빗 영화 시리즈에서는 의수족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웨타 워크숍은 배우들이 신을 수 있는 신발이면서 동시에 크고 털이 많은 호빗 발을 만드는 데 1년을 보냈다. 주연 호빗 배우 4명이 착용한 의수족은 총 1,800켤레가 제작되었다. 배우들은 뾰족한 귀와 가짜 코를 만들기 위해 얼굴 본을 뜨기도 했다.[47]2022년부터 방영된 ''반지의 제왕: 힘의 반지''는 인종 묘사에 대한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48] 하풋족을 연기한 배우들을 향한 인종차별적인 행위가 있었다.[49] 판타지 작가 닐 게이먼은 "톨킨은 하풋족을 다른 호빗들보다 '피부색이 더 검다'고 묘사했습니다. 그러므로 불평하는 사람들은 인종차별주의자이거나 톨킨의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입니다."라며 캐스팅을 옹호했다.[50] 해설가들은 호빗과 비슷한 하풋족이 아일랜드 억양으로 말하고, 친절한 농민처럼 행동하며, 켈트 음악을 동반하며, 19세기 풍자 만화가 존 리치가 펀치 잡지에 그린 아일랜드인에 대한 "매우 불쾌한" 묘사와 닮았다는 점을 지적했다.[51]
반지의 제왕 이외의 영화에서 호빗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로는 윌로우가 있다.
8. 3. 화석 인류
2004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에서 발견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호빗"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59]참조
[1]
뉴스
The Hobbit at 80: What were JRR Tolkien's inspirations behind his first fantasy tale of Middle Earth?
https://www.independ[...]
2017-10-02
[2]
서적
The Ring of Words: Tolkien and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7-23
[3]
문서
Letter to Harry C. Bauer, 24 November 1966
[4]
문서
Letter 163 to W. H. Auden, 7 June 1955
[5]
저널
On the Origin of the Name "Hobbit"
https://dc.swosu.edu[...]
1989-12-15
[6]
문서
book 3, ch. 8 "The Road to Isengard"
[7]
문서
Appendix F, 2. "On Translation", "Note on three names: ''Hobbit'', ''Gamgee'', and ''Brandywine''"
[8]
문서
Prologue
[9]
문서
letter 27 to Houghton Mifflin Company, probably March or April 1938, specifically about Bilbo Baggins
[10]
문서
Firstborn
[11]
웹사이트
J.R.R. Tolkien and the OED
https://public.oed.c[...]
2012-08-14
[12]
문서
Letter 131 to Milton Waldman, late 1951
[13]
문서
Book II, Chapter 1 "Many Meetings". "If you can't distinguish between a Man and a Hobbit, your judgement is poorer than I imagined. They're as different as peas and apples."
[14]
문서
Prologue, 1. "Concerning Hobbits"
[15]
문서
[16]
문서
book 1, ch. 10, "Strider"
[17]
문서
part 3, ch. 4 "The Hunt for the Ring", note 9
[18]
문서
Prologue, 2. "Concerning Pipe-weed"
[19]
백과사전
J.R.R. Tolkie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20]
문서
ch. 5 "Riddles in the Dark"
[21]
문서
Appendix D
[22]
저널
Hobbit holes as loess dwellings and the Shire as a loess region
https://www.scribd.c[...]
[23]
저널
Up the Cut to Paddington: The West Middlesex brick industry and the Grand Junction Canal
2004-02
[24]
저널
Bricks and brickmaking in the Shire
[25]
문서
Letter 213 to Deborah Webster, 25 October 1958
[26]
문서
At the Sign of ''The Prancing Pony''
[27]
저널
[Review:] Tolkien, J. R. R. ''Leaf by Niggle''
[28]
문서
10 "Visualizing Middle-earth" "Victorian countryside and relic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material culture of the Shire, pp. 179–188"
[29]
문서
#178 to Allen & Unwin, 12 December 1955
[30]
문서
Chapter 2. Roast Mutton. "If you had dusted the mantelpiece you would have found this just under the clock,' said Gandalf, handing Bilbo a note" [from Thorin].
[31]
문서
Bilbo's last Song
https://archive.org/[...]
[32]
웹사이트
The Columbian Exchange Should Be Called The Columbian Extraction
https://daily.jstor.[...]
JSTOR Daily
2019-10-14
[33]
서적
Histoire et dictionnaire de Paris
Robert Laffont
[34]
저널
The River Thames and the Popularisation of Camping, 1860–1980
https://www.oxoniens[...]
2015
[35]
웹사이트
Product Review - Ghillie Kettle
https://www.crossaxl[...]
Crossaxle.com Magazine
2015-02-14
[36]
논문
A history of the match industry. Part 5
http://www.jce.divch[...]
[37]
서적
Medieval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3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Pocket Square
https://www.rampleya[...]
Rampley & Co
2024-01-20
[39]
간행물
Pyrotechnics
[40]
뉴스
Enduring Love
https://www.theguard[...]
2005-11-03
[41]
웹사이트
History of Postal Services
http://brlsi.org/pro[...]
Postal Museum
[42]
서적
The Ashgate Encyclopedia of Literary and Cinematic Monster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43]
서적
The Sex Column and Other Misprints
https://books.google[...]
Wildside Press
[44]
서적
Lyonesse: Book I: Suldrun's Garden
Grafton Books
[45]
서적
The Encyclopedia of Fantasy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1999
[46]
서적
Clifford Donald Simak – An Affectionate Appreciation
https://books.google[...]
Paragon Publishing
[47]
비디오
The Lord of the Rings: The Fellowship of the Ring Appendices
New Line Cinema
[48]
뉴스
'The history of fantasy is racialized': ''Lord of the Rings'' series sparks debate over race
https://www.theguard[...]
2022-02-20
[49]
뉴스
Lord of the Rings stars speak out against racist 'threats, harassment and abuse'
https://www.theguard[...]
2022-09-08
[50]
뉴스
'Neil Gaiman Gives Tolkien Lesson to 'Rings of Power' Racists
https://www.lamag.co[...]
2022-09-06
[51]
뉴스
The backlash to rule them all? Every controversy about The Rings of Power so far
https://www.theguard[...]
2022-09-05
[52]
웹사이트
Rosemary's Billygoat: A big hairy kick in the behind from ''Hobbit'' fans
http://larecord.com/[...]
2013-01-16
[53]
논문
Archaeology and age of a new hominin from Flores in eastern Indonesia
2004-10-28
[54]
뉴스
Are Hobbits real?
https://www.nytimes.[...]
2016-06-20
[55]
논문
A new small-bodied hominin from the late Pleistocene of Flores, Indonesia
http://doc.rero.ch/r[...]
[56]
뉴스
How a hobbit is rewriting the history of the human race
https://www.theguard[...]
2010-02-21
[57]
문서
호빗(Hobbit)
[58]
문서
19세기 유럽의 파이프 흡연
[59]
웹사이트
파라오 고대인 호빗이나 드워프가 아니었다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協会
2008-08-27
[60]
웹사이트
J.R.R. Tolkien and the OED
https://public.oed.c[...]
2012-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