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쟁이 (가운데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쟁이는 J.R.R. 톨킨의 소설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종족으로, 아울레가 요정 및 인간이 깨어나기 전에 자신의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창조했다. 완고하고 근면하며, 뛰어난 대장장이 기술과 금속 가공 능력을 지닌 종족으로 묘사된다. 난쟁이는 250년 정도의 수명을 가지며, 자신들만의 언어인 쿠즈둘어를 사용한다. 톨킨은 난쟁이의 설정에 북유럽 신화와 유대인의 역사 및 문화를 반영했다. 톨킨의 작품이 인기를 얻으면서 'dwarves'라는 용어가 판타지 문학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매체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데땅의 난쟁이 - 발린 (가운데땅)
발린은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두린 가문의 드워프이며, 소린 오큰실드 일행으로서 에레보 탐험에 참여했고, 이후 모리아 재건을 시도했으나 고블린과 발로그에 의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가운데땅의 종족 - 호빗
호빗은 J. R. R. 톨킨의 소설에 등장하는 키 작고 발에 털이 많은 종족으로, 평화로운 생활을 즐기며 샤이어에 주로 거주하고, 흡연과 식사를 즐기는 특징을 보인다. - 가운데땅의 종족 - 엔트
엔트는 톨킨의 판타지 세계관 중간계에 등장하는 나무 모습을 한 종족으로, 나무의 목자라 불리며 긴 수명과 강력한 힘을 지녔으나 배우자인 엔트 부인과의 이별과 실종으로 번성하지 못하고,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에서 영감을 받아 창조되어 다양한 매체에 등장한다.
난쟁이 (가운데땅) | |
---|---|
종족 정보 | |
이름 | 드워프 |
다른 이름 | 코사드 (Khazâd, 드워프어) 카사린 (Casarhin, 신다린) 돌 (Naugrim, 신다린) 곰블링 (Gomblin, 인간) 스톤풋 (Stonefoot, 인간) 스타운팅 (Stounting, 인간) 델가트 (Delgath, 북부인) |
창조주 | 아울레 |
언어 | 코사드어 신다린 서부어 |
수명 | 250년 이상 |
외형 및 특징 | |
평균 신장 | 약 120 ~ 150cm |
특징 | 키가 작고 튼튼한 체격 뛰어난 광물 및 금속 가공 기술 긴 수염 과묵하고 보수적인 성격 뛰어난 손재주 돌과 암석에 대한 애정 뛰어난 전사 |
거주지 | |
주요 거주지 | 모리아 아이언 힐스 에레보르 회색 산맥 청색 산맥 |
문화 | |
사회 구조 | 부계 사회, 폐쇄적인 공동체 |
기술 | 뛰어난 광업, 금속 가공, 건축 기술 |
신앙 | 아울레 숭배 |
역사 | |
기원 | 발라 아울레에 의해 창조됨 |
깨어남 | 벨레고스트와 노그로드에서 깨어남 |
반지 전쟁 | 에레보르 전투 참전 모리아 재건 시도 |
주요 인물 | |
왕 | 두린 1세 토린 2세 다인 2세 |
기타 | 김리 발린 |
2. 역사
난쟁이는 가운데땅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요정이나 인간과 달리, 난쟁이는 일루바타르의 자녀들이 아니다. 난쟁이는 대장장이 아울레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러나 아울레는 자신의 작품에 독립적인 생명을 주는 힘이 없었다. 그 힘은 일루바타르만이 가지고 있었다. 아울레는 이를 유감스럽게 생각해, 일루바타르에게 난쟁이를 만들어 낸 것을 고백했다. 일루바타르는 아르다의 창조 계획에 난쟁이를 추가할 것을 약속해, 난쟁이에게 생명을 주었다. 이 때문에 난쟁이는 '''일루바타르의 양자'''로 불린다. 아울레는 일곱 명의 난쟁이 아버지들을 만들었고, 모든 난쟁이는 그들의 후손이다. 그들은 요정이 창조될 때까지 잠들게 되었다.
톨킨의 작품에 등장하는 난쟁이의 대부분은 두린의 백성이다. 두린의 백성은 크하잣둠의 두린 1세에서 시작된 부족이며, 긴 수염족이라고도 불린다.
그들은 가운데땅의 산들로부터 귀금속을 채굴해 가공했다. 가장 유명한 난쟁이의 귀금속은 미스릴이다. 난쟁이는 250년 이상의 수명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인간보다 타락하기 어려운 종족이지만, 욕심에 휩싸여 성급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
난쟁이의 언어는 쿠즈둘로 불리며, 비밀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인간이나 요정에게는 친숙하지 않았다. 다만, "바룩 카자드! 카자드 아이-메누!" ("Baruk Khazâd! Khazâd ai-mênu!")라는 유명한 난쟁이 말이 있는데, "난쟁이의 도끼다! 난쟁이가 너희를 칠 것이다!"라는 뜻이다.
소린은 『호빗』에서 12명의 난쟁이를 이끌고 빌보와 함께 외로운 산의 보물을 되찾는 여정을 떠났고, 김리는 『반지의 제왕』에서 반지원정대에 참가하여 레골라스와 친구가 되었다.
2. 1. 기원
난쟁이는 아울레가 창조했다. 일루바타르의 아이들 (\[\[엘프 (중간계)|요정]]과 인간)이 깨어나기를 기다리지 못한 아울레는 자신의 기술을 가르칠 자녀를 원하여 비밀리에 일곱 난쟁이 아버지들을 창조했다.[7] 그는 그들에게 자신이 고안한 언어인 쿠즈둘을 가르쳤다. 일루바타르는 난쟁이의 창조를 알고 그들을 성화하여 생명을 부여했으며,[7] 난쟁이는 '일루바타르의 양자'로 불리게 되었다. 아울레는 난쟁이의 일곱 아버지를 가운데땅의 외딴 지역의 돌 방에 봉인하여 그들의 각성을 기다리게 했다.[29][8]일곱 난쟁이 아버지들은 각각 일곱 난쟁이 씨족을 세웠다. 두린 1세는 가장 나이가 많으며 가운데땅에서 처음으로 깨어난 존재이다. 그는 북쪽 안개산맥의 군다바드 산에서 깨어나, 긴수염(Longbeards) 씨족, 즉 두린의 백성을 세웠다.[4]
2. 2. 가운데땅에서의 역사

난쟁이는 요정보다 먼저, 태양과 달이 창조되기 전인 나무의 시대에 인간 이전에 깨어난 고대 민족으로 묘사된다. 발라 아울레는 일루바타르의 자녀들이 나타나기를 기다리지 못하고, 비밀리에 일곱 명의 난쟁이 아버지를 창조하여 자신의 기술을 가르칠 자녀로 삼으려 했다. 그는 그들에게 자신이 고안한 언어인 쿠즈둘을 가르쳤다. 아르다의 창조주인 일루바타르는 난쟁이의 창조를 알고 그들을 성화했다. 발라가 만들었기 때문에 일루바타르가 영혼을 부여할 때까지 그들에게는 영혼이 없었다.[7] 아울레는 일곱 난쟁이 아버지를 중간계의 외딴 지역에 있는 돌 방에 봉인하여 그들이 깨어나기를 기다리게 했다.[29][8]
일곱 난쟁이 아버지들은 각각 일곱 난쟁이 씨족 중 하나를 세웠다. 두린 1세는 가장 나이가 많으며 중간계에서 처음으로 깨어난 존재이다. 그는 북쪽 안개산맥의 군다바드 산에서 깨어나 긴수염(두린의 백성) 씨족을 세웠고, 그들은 안개산맥 아래 카자드-둠 도시를 건설했으며, 나중에는 회색 산맥과 에레보르(외로운 산)에 왕국을 건설했다. 다른 두 명은 에레드 루인(푸른 산)의 북쪽에 잠들어 있었고, 넓은들보와 불수염 계열을 세웠다. 나머지 네 씨족인 철주먹, 뻣뻣한수염, 검은머리, 돌발은 동쪽에서 왔다.[4] 제1시대가 끝난 후, 언급된 난쟁이는 거의 두린의 혈통 출신이다.[9]
더 짧은 소인 난쟁이는 실마릴리온[10][11]과 후린의 아이들[12]에 등장한다. 모슬리는 마지막으로 알려진 소인 난쟁이인 Mîm을 니벨룽의 노래에 나오는 같은 이름의 마임과 유사하다고 보았다.[13]
3. 특징
난쟁이는 요정이나 인간과 달리 일루바타의 아이들이 아니다. 이들은 대장장이 아울레에 의해 만들어졌으나, 아울레는 자신의 창조물에 독립적인 생명을 부여할 수 없었다. 그 힘은 오직 에루 일루바타만이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울레는 이를 뉘우치고 일루바타에게 자신이 난쟁이를 만든 것을 고백했고, 일루바타는 난쟁이를 아르다의 창조 계획에 포함시켜 '일루바타의 양자'로 불리게 되었다. 아울레는 일곱 명의 난쟁이의 조상을 만들었고, 모든 난쟁이는 그들의 후손이다. 그들은 요정이 창조될 때까지 잠들게 되었다.
난쟁이들은 가운데땅의 산에서 귀금속을 채굴하고 가공하는 데 능숙했다. 그들이 채굴한 가장 유명한 귀금속은 미스릴이다. 여러 면에서 난쟁이는 요정과 인간의 중간에 위치한다. 불사는 아니지만 250년 이상의 수명을 지녔으며, 대체로 인간보다 타락하기 어려운 종족이지만, 욕심 때문에 성급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
난쟁이의 언어는 아울레가 창조한 쿠즈둘이며, 이 언어는 다른 종족에게는 비밀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바룩 카자드! 카자드 아이-메누!" (Baruk Khazâd! Khazâd ai-mênu!|바룩 카자드! 카자드 아이-메누!khd)라는 유명한 함성은 예외적으로 알려져 있는데, "난쟁이의 도끼다! 난쟁이가 너희를 칠 것이다!"라는 뜻이다.
소린 오켄쉴드는 『호빗』에서 12명의 난쟁이를 이끌고 빌보 배긴스와 함께 보물을 되찾는 여정을 떠났으며, 김리는 『반지의 제왕』에서 반지원정대에 합류하여 레골라스와 친구가 되었다.
톨킨은 난쟁이를 "대부분 완고하고 고집 센 종족이며 비밀스럽고 근면하며 상처(와 은혜)에 대한 기억력이 뛰어나며 돌, 보석, 살아있는 것보다 장인의 손에서 형태를 갖는 것을 좋아한다"라고 묘사했다.[3]
3. 1. 외모 및 수명
난쟁이는 키가 작고 땅딸막하며 튼튼한 체격을 가지고 있다. 인간보다 타락하기 어려운 종족이지만, 욕심에 휩싸여 성급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3] 수명은 약 250년 이상이며[3], 90세 이후에 자녀를 갖는다.[3]난쟁이 여성은 전체의 3분의 1 정도이며, 모두가 결혼하는 것은 아니다.[1] 『반지의 제왕』과 『호빗』에는 드워프 여성이 등장하지 않지만, 『반지의 제왕』 추보편의 「두린의 일족」에는 드워프 여성은 남성과 구별이 불가능하다는 기술이 있어, 여성도 수염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3. 2. 성격
난쟁이는 완고하고 고집이 세며 비밀스럽고 근면하다. 상처와 은혜를 잘 기억하며, 복수심이 강하다.[3] 돌, 보석, 그리고 장인의 손으로 만든 것을 좋아한다.[3] 그러나 본질적으로 사악하지 않으며, 인간의 이야기에 나오는 것과 달리 자유 의지로 사우론을 섬긴 사람은 거의 없다.[3] 옛날 인간들은 난쟁이의 부와 그들이 만든 작품을 탐냈고, 그 때문에 종족 간의 적대감이 있었다.[3]난쟁이는 무기와 갑옷 제작에 매우 능숙하며, 주요 무기는 배틀 액스였지만, 활, 검, 방패, 곡괭이도 사용했으며, 갑옷을 입었다.[5]
사우론은 일곱 개의 힘의 반지를 난쟁이 군주에게 주었으나, 반지는 그들을 분노하게 만들고 금에 대한 탐욕을 불러일으켰을 뿐, 그들을 지배하지는 못했다.[6] 난쟁이들은 사우론의 지배를 받지 않을 정도로 강한 정신력을 가지고 있었다.[6]
3. 3. 문화
난쟁이는 일루바타의 아이들이 아니며, 대장장이 아울레가 만들었다. 아울레는 일루바타에게 이 사실을 고백했고, 일루바타는 난쟁이를 아르다 창조 계획에 포함시켜 '일루바타의 양자'로 불리게 되었다.[20] 아울레는 일곱 명의 난쟁이의 조상을 만들었고, 모든 난쟁이는 그들의 후손이다.난쟁이는 귀금속을 채굴하고 가공하는 능력이 뛰어났으며, 미스릴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불사는 아니지만 250년 이상의 수명을 지녔다. 대체로 타락하기 어려운 종족이지만, 욕심 때문에 성급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20]
난쟁이들은 자신들만의 고유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고유한 언어인 쿠즈둘어를 사용하며, 이 언어는 다른 종족에게는 비밀로 유지되었다. 또한 키르스(Cirth)라는 룬 문자를 사용했는데, 이는 원래 벨레리안드의 엘프들이 만든 것이다. 난쟁이들은 외부 종족과의 소통을 위해 신다린어, 퀘냐어 등을 사용하기도 했다.
난쟁이들은 자신들의 종족을 '''카자드'''(''Khazad'')라고 불렀으며, 신다린으로는 '''하조드림'''(''Hadhodrim''), 꿰냐로는 '''카사리'''(''Casari'')로 번역되었다. 신다르는 이들을 '''나우그림'''(''Naugrim'') 혹은 '''노고스림'''(''Nogothrim''), 즉 "성장이 저해된 사람"이라고 불렀다.[20]
3. 3. 1. 언어와 문자
난쟁이는 아울레가 창조한 쿠즈둘어(Khuzdul)라는 비밀 언어를 사용한다.[20] 이 언어는 셈어에서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자음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 난쟁이는 자신들의 언어를 비밀로 유지하며, 다른 종족에게 가르치지 않는다.[15][22] 외부와의 소통을 위해 신다린어, 퀘냐어, 웨스트론어(공용어) 등을 사용한다.[15][22]키르스(Cirth)는 난쟁이들이 사용하는 룬 문자인데, 원래 벨레리안드의 엘프가 만든 것이다.[21]
제1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고대의 함성으로, "바룩 카자드! 카자드 아이-메누!" ("Baruk Khazâd! Khazâd ai-mênu!")가 있다. 이는 "난쟁이의 도끼다! 난쟁이가 너희를 칠 것이다!"라는 뜻이다.
3. 3. 2. 이름
난쟁이는 쿠즈둘로 된 비밀스러운 "내부" 이름과, 다른 종족과의 소통을 위한 "외부" 이름을 가지고 있다. 각 난쟁이는 두 개의 개인적인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쿠즈둘어로 된 비밀 이름으로, 다른 난쟁이 사이에서만 사용되며 외부인에게는 절대 공개되지 않는다. 다른 하나는 난쟁이가 사는 민족의 언어에서 따온 공개적인 "외부" 이름이다.[20] 예를 들어, 모리아와 외로운 산의 난쟁이들은 그들이 살았던 북부 인간의 언어에서 따온 외부 이름을 사용한다.[20]톨킨은 발린을 제외한 13명의 난쟁이 중 12명의 이름을 쿠즈둘어의 아이디어가 생기기 훨씬 전인 고대 노르드어 ''볼룬스파''에서 따왔다.[29][23] 그가 《반지의 제왕》을 쓸 때, 드워프들이 왜 노르드 이름을 가지게 되었는지 설명하기 위해 그는 책에서 사용된 많은 언어가 독자들을 위해 실제 언어로 "번역"되어 언어 간의 관계를 대략적으로 유지한다는 정교한 허구를 만들었다. 따라서 웨스트론어는 영어로, 로히림의 관련되어 있지만 더 고풍스러운 언어는 앵글로색슨어(고대 영어)로, 그리고 그보다 더 멀리 관련된 데일의 언어는 노르드어로 번역되었다. 드워프의 노르드 이름을 설명하는 문제가 "번역"이라는 허구와 함께 중간계의 인간 언어 전체 구조의 기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24]
3. 3. 3. 달력
난쟁이의 달력은 늦가을에 시작되며, '두린의 날'은 가을의 마지막 초승달이 뜨는 날이다.[25] 책의 초고에서 두린의 날은 가을의 ''첫 번째'' 초승달이었다. 톨킨은 책을 다 쓰고 나서 날짜가 실제 세계의 켈트 달력과 더 일치하도록 모든 날짜를 마지막 초승달로 변경했지만, 4장에서 첫 번째 초승달로 날짜가 명시된 부분을 하나 간과했다.[26] 톨킨은 이 불일치를 알아차리지 못했고, 1995년 판본에서야 수정되었다.[27] 천문학자 브래들리 E. 섀퍼는 두린의 날의 천문학적 결정 요인을 분석했다. 그는 많은 실제 음력과 마찬가지로 두린의 날짜는 관측에 의존하며, 처음 보이는 초승달에 따라 달라진다고 결론지었다.[28]3. 4. 기술
난쟁이는 아울레의 영향을 받아 뛰어난 광부, 석공, 대장장이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가운데땅의 산에서 귀금속을 채굴하고 가공했으며, 요정과 인간의 중간에 위치했다.3. 4. 1. 광업 및 금속 가공
난쟁이들은 가운데땅의 산에서 귀금속을 채굴하고 가공하는 데 능숙했다. 난쟁이들이 채굴한 가장 유명한 귀금속은 미스릴이다.[14] 난쟁이들은 엘프도 따라갈 수 없는 뛰어난 대장장이 기술, 금속 가공 및 석공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14] 그중에서도 텔카르는 가장 명성이 높은 대장장이었다.[14] 난쟁이들이 제작한 수많은 보물 중에는 나르실, 엘렌딜의 검, 도르-로민의 용 투구, 나우글라미르 목걸이 등이 있었는데, 나우글라미르는 나르고스론드에서 가장 귀중한 보물이자 제1시대의 가장 유명한 난쟁이 작품이었다.[16] 호빗에서 토린은 빌보에게 미스릴 갑옷을 선물했는데, 이는 사슬 갑옷 고리들로 만들어졌다.[17]3. 4. 2. 건축
난쟁이는 산 아래에 거대한 홀을 짓고 도시를 건설한다. 메네그로스, 카자드-둠, 에레보르를 포함한 많은 유명한 홀을 건설했다.[15] 이들은 엘프조차도 따라갈 수 없는 뛰어난 대장장이 기술, 금속 가공 및 석공 기술을 가지고 있다.[14]3. 4. 3. 무기와 갑옷
난쟁이들은 뛰어난 대장장이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엘프도 따라갈 수 없을 정도이다.[14] 금속 가공 및 석공 기술 또한 뛰어나다. 가장 유명한 난쟁이 대장장이는 텔카르이다.[14]난쟁이들은 나르실, 엘렌딜의 검, 도르-로민의 용 투구, 나우글라미르 목걸이 등 많은 보물을 제작했다.[16] 나우글라미르는 나르고스론드의 가장 귀중한 보물이자 제1시대의 가장 유명한 난쟁이 작품이다.[16] 호빗에서 토린은 빌보에게 미스릴 갑옷을 선물했는데, 이는 사슬 갑옷으로 연결된 고리들로 만들어졌다.[17]
4. 주요 인물
난쟁이는 톨킨의 소설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소린 2세: 『호빗』에서 빌보 배긴스와 함께 에레보르를 되찾기 위한 원정대를 이끈 난쟁이 왕족이다.
- 김리: 『반지의 제왕』에서 반지원정대의 일원으로, 엘프 레골라스와 우정을 쌓은 난쟁이 전사이다.
- 스로르: 소린의 할아버지이자 에레보르의 왕이었다.[1]
- 스라인 2세: 소린의 아버지이다.[1]
- 다인 2세: 소린의 사촌이자 에레보르의 왕이었다. 모리아 전투에서 오크 우두머리 아조그를 죽였다.[1]
4. 1. 《호빗》
참나무방패 소린(소린 2세)은 에레보르를 되찾기 위한 원정대를 이끈 난쟁이 왕족이다. 발린, 드왈린, 오인, 글로인, 도리, 노리, 오리, 필리, 킬리, 비푸르, 보푸르, 봄부르는 소린과 함께 원정을 떠난 12명의 난쟁이들이다. 이들 중 비푸르, 보푸르, 봄부르는 두린의 가계는 아니다.랭킨 배스의 1977년 애니메이션 영화 각색작에서 배역은 다음과 같다.
피터 잭슨의 세 편의 영화 각색작 ''호빗''에서 배역은 다음과 같다.
- 토린: 리처드 아미티지
- 발린: 켄 스톳
- 드왈린: 그레이엄 맥타비시
- 킬리: 에이단 터너
- 필리: 딘 오고먼
- 도리: 마크 해들로
- 노리: 제드 브로피
- 오리: 아담 브라운
- 오인: 존 칼렌
- 글로인: 피터 햄블턴
- 비푸르: 윌리엄 키처
- 보푸르는: 제임스 네스빗
- 밤부르: 스티븐 헌터
잭슨의 영화에서는 원작 소설에는 없는 킬리와 엘프 타우리엘(영화용으로 창작된 캐릭터)의 사랑 이야기가 추가되었다.[51]
4. 2. 《반지의 제왕》
글로인의 아들이자 반지원정대의 일원인 김리는 엘프 레골라스와 우정을 쌓은 난쟁이 전사이다.[48][49]
랄프 박시의 1978년 애니메이션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 김리 역은 데이비드 벅이 맡았다.[47]
피터 잭슨의 ''반지의 제왕'' 영화 삼부작에서 김리는 존 라이스 데이비스가 연기했으며, 키에 대한 농담이나 엘프 레골라스와의 경쟁 등 코믹한 장면을 연출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48][49] 존 라이스 데이비스는 김리 캐릭터에 "웨일스식" 억양을 부여했다.[50]
4. 3. 기타
5. 다른 종족과의 관계
요정이나 인간과 달리, 난쟁이는 일루바타의 아이들이 아니다. 난쟁이는 대장장이 아울레에 의해 만들어졌으나, 아울레는 자신의 작품에 독립적인 생명을 줄 수 없었다. 그 힘은 에루 일루바타만이 가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아울레는 이를 유감스럽게 여겨 일루바타에게 이 사실을 고백했고, 일루바타는 아르다 창조 계획에 난쟁이를 포함시켜 그들에게 생명을 주었다. 이로 인해 난쟁이는 '''일루바타의 양자'''로 불린다.
난쟁이는 요정과 인간의 중간에 위치한다. 불사는 아니지만 250년 이상 장수하며, 대체로 인간보다 타락하기 어렵지만 욕심에 휩싸여 성급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
난쟁이의 언어는 아울레가 창조한 쿠즈두르이다. 난쟁이는 이 언어를 비밀로 했기에 인간이나 요정에게는 익숙하지 않았다. 다만, "바르크카자드! 카자드 아이-메이누!"(영어 발음 표기, "난쟁이의 도끼다! 난쟁이가 이놈들을 토벌할거야!"라는 뜻)라는 함성은 널리 알려졌다.
소린 오켄쉴드는 <호빗>에서 12명의 난쟁이와 함께 막다른 골목 저택을 방문하여 보물을 되찾는 여정에 빌보를 합류시켰다.
김리는 반지의 제왕에서 반지의 동료에 참가하여 요정 레골라스와 친구가 되었다.
5. 1. 엘프
엘프나 인간과 달리 난쟁이는 일루바타르의 자녀들에 포함되지 않는다. 난쟁이는 대장장이 아울레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아울레는 자신의 작품에 독립적인 생명을 부여할 힘이 없었다. 일루바타르는 아르다 창조 계획에 난쟁이를 추가하여 생명을 주었고, 이 때문에 난쟁이는 '''일루바타르의 양자'''로 불린다.여러 면에서 난쟁이는 엘프와 인간의 중간에 위치한다. 난쟁이들은 불사는 아니지만 250년 이상 장수하며, 일반적으로 인간보다 타락하기 어렵지만, 욕심에 휩싸여 성급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 특히 유명한 것은 엘 싱골의 살해와 아르켄스톤을 둘러싼 갈등이다.
반지의 제왕에서 김리는 반지원정대에 합류하여 엘프 레골라스와 친구가 되었다.
5. 2. 인간
난쟁이는 인간과 비교적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이들은 인간에게 금속 세공 기술을 전수해주기도 하고, 함께 오크와 싸우기도 했다. 난쟁이의 언어는 아울레에 의해 창조된 쿠즈둘이라고 불리는데, 이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비밀로 했기 때문에 인간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언어였다. 그러나 "바룩 카자드! 카자드 아이-메누!" (영어 발음 표기)라는, "드워프의 도끼다! 드워프가 너희를 칠 것이다!"라는 뜻의 함성은 널리 알려졌다.하지만 인간의 탐욕으로 인해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 특히 엘 싱골의 살해와 아르켄스톤을 둘러싼 언쟁은 유명한 사건이다.
5. 3. 오크
오크와 난쟁이는 오랜 세월 동안 적대적인 관계였다. 난쟁이는 오크와 수많은 전투를 벌였으며, 모리아를 되찾기 위한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6. 톨킨의 창작 배경
톨킨은 노르드 신화와 그림 형제와 같은 게르만 민속에서 난쟁이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34][35]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에서도 영감을 받았는데,[36] 난쟁이들이 고향을 잃고 다른 집단 사이에서 살면서도 자신들의 문화를 지키는 모습은 디아스포라를 겪은 유대인과 유사하다.[36] 반지의 제왕에서 톨킨은 난쟁이에게 그들만의 언어인 쿠즈둘어를 부여했다. 톨킨은 히브리어 음운론의 영향을 받은 셈어와 유사한 언어를 만들고자 했다.
6. 1. 북유럽 신화
톨킨은 노르드 신화와 그림 형제와 같은 게르만 민속에서 난쟁이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34][35] 노르드 신화의 드워프(''드베르가탈'' in ''Völuspá'')는 땅속에 살며, 채광, 금속 가공, 제작에 능숙한 존재로 묘사된다.[29]6. 2. 유대인의 역사
톨킨은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난쟁이를 설정했다.[36] 난쟁이들이 고향을 잃고 다른 집단 사이에서 살면서도 자신들의 문화를 지키는 모습은 디아스포라를 겪은 유대인과 유사하다.[36] 톨킨 학자 존 D. 래틀리프에 따르면, 난쟁이의 호전적인 성격은 히브리 성경의 기록에서 비롯되었다.[36] 난쟁이의 비밀 언어인 쿠즈둘은 셈어의 영향을 받았는데,[40] 이는 유대인들이 히브리어 파생 언어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39]측면 | 역사적 요소 | 난쟁이에 적용 |
---|---|---|
고향 상실 | 유대인 디아스포라 | 모리아와 에레보르에서 추방되어 살며 자신들만의 문화 유지 |
호전적인 성격 | 유대인에 대한 중세적 이미지 | 호전적인 난쟁이 |
기술 | 유대인에 대한 중세적 이미지 | 잘 만들어진 아름다운 물건을 만드는 경향 (노르드 난쟁이와도 유사) |
유대력 | 로쉬 하샤나, 유대인의 새해 (9월/10월) | 난쟁이의 새해는 늦가을 |
사적인 언어 | 중세 유대인은 현지 언어와 함께 히브리어 파생 언어를 사용 | 난쟁이는 서로 "셈어"[40] 쿠즈둘을 사용하고, 다른 사람들과는 공용어(웨스트론)를 사용[39] |
반지의 제왕에서 톨킨은 호빗의 주제를 이어, 난쟁이에게 그들만의 언어인 쿠즈둘어를 부여했다. 톨킨은 히브리어 음운론의 영향을 받은 셈어와 유사한 언어를 만들고자 했다. 중세 유대인 공동체처럼, 난쟁이들은 그들끼리만 고유 언어를 사용했고, 대부분 그들이 함께 사는 사람들의 언어를 채택했다. 예를 들어, 공적인 이름은 그들이 속한 문화에서 가져왔지만, 그들의 "진정한 이름"과 진정한 언어는 비밀로 유지했다.[36] 톨킨은 편지에서 드워프에 대한 유대교의 영향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나는 '드워프'를 유대인처럼 생각합니다. 그들의 거주지에서 토착적이면서 동시에 이방인이고, 그 나라의 언어를 사용하지만, 그들만의 개인적인 언어 때문에 억양이 있습니다..."[39] 그는 죽기 전 마지막 인터뷰에서 "드워프는 물론, 여러 면에서 유대인을 연상시킨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그들의 단어는 명백히 셈어이며, 셈어로 구성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40]
7. 영향
톨킨의 난쟁이는 판타지 문학과 게임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던전 앤 드래곤 등 많은 판타지 작품에서 난쟁이는 톨킨의 설정을 바탕으로 묘사된다. 톨킨 이전에는 dwarfs영어라는 철자가 일반적이었으나, 톨킨의 작품 이후 dwarves영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55] 톨킨은 dwarves영어를 "개인적인 문법적 오류"라고 언급하기도 했다.[56] 그러나, ''Elf''의 복수형 ''Elves''에 대응하는 Dwarves영어를 사용하여, 의미를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Reading Tolkien in Chinese: Religion, Fantasy, and Translation
Bloomsbury Academic
2024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J. R. R. Tolkien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The Road to Middle-Earth]]"
Grafton (publisher)|Grafton
1982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The Languages of Tolkien's Middle-earth
Houghton Mifflin Harcourt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간행물
The Hobbit and Durin's Day
Griffith Observatory
[29]
백과사전
Dwarves
Routledge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J.R.R. Tolkien: Author of the Century]]"
HarperCollins
[33]
서적
Tolkien and the Invention of Myth: A Reader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34]
웹사이트
Grimm Brothers' Home Page
http://www.pitt.edu/[...]
University of Pittsburgh
[35]
웹사이트
Dwarves
https://norse-mythol[...]
[36]
서적
[37]
서적
Poetic Edda
[38]
서적
The Hobbit and Tolkien's Mythology: Essays on Revisions and Influenc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39]
서적
[40]
뉴스
Are Tolkien's dwarves an allegory for the Jews?
https://www.timesofi[...]
2023-03-13
[41]
간행물
"Dwarves are Not Heroes": Antisemitism and the Dwarves in J.R.R. Tolkien's Writing
https://dc.swosu.edu[...]
Mythopoeic Society
2010
[42]
서적
[43]
웹사이트
Dwarf
http://www.etymonlin[...]
2018-04-06
[44]
서적
[45]
서적
[46]
웹사이트
The Hobbit (1977 Movie)
https://www.behindth[...]
2022-06-17
[47]
서적
The Animated Movie Guide
https://books.google[...]
Chicago Review Press
[48]
서적
Picturing Tolkien
McFarland
[49]
웹사이트
The Mines of Moria: 'Anticipation' and 'Flattening' in Peter Jackson's ''The Fellowship of the Ring''
http://faculty-staff[...]
University of Oklahoma
2003-02
[50]
서적
The Hobbit: The Desolation of Smaug Official Movie Guide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13
[51]
웹사이트
'The Hobbit: The Desolation of Smaug': First look at Evangeline Lilly as new character Tauriel
http://www.hypable.c[...]
2013-08-20
[52]
서적
Lords of Middle-earth
Berkley Publishing
[53]
서적
The Lord of the rings roleplaying game: core book
Decipher
[54]
웹사이트
Battle for Middle-earth II - The Dwarves
https://www.ign.com/[...]
IGN
2020-07-26
[55]
서적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56]
서적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57]
서적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58]
서적
The Letters of J. R. R. Tolki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