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훈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고학은 고대 언어를 해석하는 학문으로, 주로 한나라 시대에 경전 해석을 둘러싼 학파 간의 논쟁을 통해 발전했다. 한당훈고학은 한나라, 당나라, 송나라 초기에 번성했으며, 송명리학과 대비된다. 훈고학은 경전의 주석서를 집필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오경정의, 십삼경주소 등이 주요 주석서에 해당한다. 훈고학 관련 서적으로는 어야, 광아, 방언, 석명 등이 있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고증학의 발달과 함께 훈고서를 연구하는 서적들이 다수 저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훈고학 - 남곤
    남곤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수학하고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중종반정 이후 요직을 역임하고 영의정을 지냈으나, 조광조 등 사림파의 급진적인 개혁에 반대하여 기묘사화에 가담하기도 한 인물이다.
  • 훈고학 - 이아
    《이아》는 고대 중국의 사전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중국 고전 연구와 한국어 사전 편찬에 영향을 미쳤다.
  • 유학의 학파 - 고증학
    고증학은 명나라 말 양명학 비판에서 시작되어 객관적 실증과 경전 연구로 국가 붕괴 원인 분석 및 해결책 모색을 추구한 중국 학문으로, 청나라 시대 전성기를 거쳐 일본 국학에 영향을 주었으나, 방법론적 한계와 정치적 혼란으로 쇠퇴하였다.
  • 유학의 학파 - 공양학
    공양학은 청대 고증학의 비정치적 성격을 비판하며 등장한 경세치용의 학문으로, 장존여, 유봉록, 위원 등을 거쳐 발전하며 청말 변법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형성했고, 고문과 금문 논쟁, 실사구시 정신, 경세치용 사상 등을 특징으로 한다.
훈고학
훈고학
정의경서의 글자나 구절의 의미를 해석하는 학문
역사
발생 시기전한 시대
발전 시기후한 시대
주요 학자가규
허신
정현
왕숙
마융
특징
연구 대상오경 등의 고전
연구 방법글자 뜻을 풀이하고, 옛날의 발음을 참고하여 경전의 뜻을 명확히 함
주요 목적고전의 정확한 의미를 밝히고, 그것을 통해 유교적 가치를 이해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것
영향
학문 분야경학, 고증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
후대 학문주석, 해석, 주해, 소등 다양한 형태의 학문 발전
사회적 역할고전 교육을 통해 유교적 가치를 사회에 전파
참고
관련 학문경학, 고증학, 음운학
중요 저서설문해자 등
관련 문서
관련 문서경전
경학
고증학
음운학
언어별 명칭
한자訓詁學
중국어 간체训诂学
중국어 정체訓詁學
병음xùngǔxué
일본어訓詁学 (くんこがく)
로마자 표기법hunguhak

2. 한나라의 훈고학

한나라 시대에는 금문파(今文派: 한나라 시대의 문자로 쓰여진 경전을 텍스트로 한다)와 고문파(古文派: 한나라 시대 이전의 옛 자체(字體)로 쓰여진 경전을 텍스트로 한다)의 두 학파가 경전의 해석을 둘러싸고 대립 논쟁했는데, 그 논의를 통하여 훈고학은 발달했다.[4] 정현은 고문파에 속하면서도 금문파의 학설을 받아들여 《논어》를 비롯하여 많은 경전에 주석(註釋)을 달았다.[4] 그의 주석은 후세까지 경전 연구상의 기초가 되었다.[4]

3. 당나라의 훈고학

당나라 시대에는 유교의 근본 경전인 《역경》(易經|역경중국어)·《시경》(詩經|시경중국어)·《서경》(書經|서경중국어)·《예기》(禮記|예기중국어)·《춘추》(春秋|춘추중국어) 등 5경의 해석을 중심으로, 한나라 이래의 고전 해석학을 집대성한 《5경정의》가 편찬되었다.[5] 《5경정의》는 5경의 주(注)나 해석의 혼란을 피하고 표준적인 것을 만들기 위해 공영달(574-648) 등이 칙명에 따라 종래의 주석을 취사선택한 것이다.[5] 이는 한나라 시대 이래의 훈고학(訓誥學)의 총결산이라 할 만하다.[5] 그러나 5경의 해석은 통일되었으나, 학문적인 고정화를 초래했다.[5]

4. 송나라의 성리학과 훈고학

북송(960년~1126년) 주돈이(1017년~1073년), 장재(1020년~1077년), 정호(1032년~1085년)·정이(1033년~1107년) 형제 등의 새로운 학풍을 받아 남송(1127년~1279년) 주희(1130년~1200년)가 집대성한 주자학(성리학)에서는 이전의 훈고학을 부정하고 새로운 주석을 만들었는데, 이를 신주(新注)라 불렀다.[6] 주자는 유교의 근본정신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으로 4서를 존중하여 《사서집주》를 저술하였고, 이에 따라 5경 중심에서 4서 중심의 경학이 일어났다.[6]

성리학(송명리학)에서도 경전 해석은 이루어졌지만, 한나라, 당나라 시대와는 달리 단순한 해석이 아닌 독자적인 사상 체계에 맞춰 경전을 해석하였다.

5. 훈고학의 방법론

한나라 시대에는 금문파(今文派: 한나라 시대의 문자로 쓰여진 경전을 텍스트로 한다)와 고문파(古文派: 한나라 시대 이전의 옛 자체(字體)로 쓰여진 경전을 텍스트로 한다)가 경전의 해석을 둘러싸고 대립 논쟁했는데, 그 논의를 통하여 훈고학은 발달했다.[4] 정현은 고문파에 속하면서도 금문파의 학설을 받아들여 《논어》를 비롯하여 많은 경전에 주석(註釋)을 달았다.[4] 그의 주석은 후세까지 경전 연구상의 기초가 되었다.[4]

당나라 시대에는 유교의 근본적 경서인 《역경》, 《시경》, 《서경》, 《예기》, 《춘추》 등 5경의 해석을 중심으로 해서 한(漢) 이래의 고전 해석학을 집대성한 《5경정의》가 편찬되었다.[5] 《5경정의》는 5경의 주(注)나 해석의 혼란을 피하고, 표준적인 것을 만들기 위해서 공영달(574-648) 등이 칙명에 의하여 종래의 주석을 취사선택한 것이다.[5] 이것은 한나라 시대 이래의 훈고학의 총결산이라고 할 만한 것이다.[5] 하지만 5경의 해석은 통일되었으나, 학문적인 고정화를 초래했다.[5]

북송(960-1126)의 주돈이(1017-1073), 장재(1020-1077), 정호(1032-1085)와 정이(1033-1107)의 2정자(程子) 등의 새로운 학풍을 받아 남송(1127-1279)의 주자(1130-1200)에 의하여 집대성된 주자학 또는 성리학에서는 종래의 훈고학을 물리치고 새로운 주석(註釋)을 만들어 이것을 신주(新注)라 하였다.[6] 주자는 유교의 근본 정신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으로서 4서를 존중하여 《사서집주》를 저술하였고, 이에 따라 5경 중심에서 4서 중심의 경학(經學)이 일어났다.[6]

훈고(訓詁)라는 행위는 고대 언어를 해석하는 것이다. 본래는 “훈(訓)”이나 “고(詁)”, “고(故)”만으로 사용되었으나, 후에 “훈고(訓詁)”, “훈고(訓故)”, “고훈(詁訓)”, “고훈(故訓)” 등으로 사용되었다. 일본어 한자의 훈독(訓讀)의 “훈(訓)”도 여기에 유래한다.

전형적으로는 “A, B야(也)”, “A자(者) B야(也)”(A는 B라는 의미이다)라는 형태를 취한다. 또 일치하는 음성(音声)으로 해석하는 것을 “성훈(聲訓)”이라고 부르며, 옛날부터 행해져 왔다. “덕(德), 득(得)야(也)”, “정(政), 정(正)야(也)”, “인(仁), 인(人)야(也)” 등이 그것이다.

후한(後漢)의 고문학(古文學)에서 특히 발전하여, 한(漢)에서 위진남북조 시대(魏晋南北朝時代), 당(唐), 송(宋) 초에 번성하였기에 '''한당훈고학(漢唐訓詁學)'''이라는 이름이 있다.[1] 한당훈고학은 송명리학(宋明理學)과 대비된다.[1] 송명리학에서도 해석은 행해졌지만, 한당까지와는 달리 단순한 해석이 아닌 독자적인 사상 체계에 맞춰 해석하였다. 청대(清代)의 고증학(考證學)은 그러한 송명리학을 부정하고 한당훈고학의 부흥을 목표로 했다.

훈고학은 경학(經學)·소학(小学)의 하위 영역에 속한다.

6. 훈고학과 관련된 서적

한나라 시대에는 경전 해석을 둘러싸고 금문파와 고문파가 대립, 논쟁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훈고학이 발달했다.[4] 정현은 고문파에 속하면서도 금문파의 학설을 수용하여 《논어》 등 여러 경전에 주석을 달았고, 그의 주석은 후세 경전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4]

당나라 시대에는 공영달 등이 황제의 명으로 5경의 표준 해석을 집대성한 《오경정의》를 편찬하였다.[5] 이는 한나라 이래 훈고학의 총결산이라 할 수 있지만, 학문적 고정화를 초래하기도 했다.[5]

주자는 4서를 중시하여 《사서집주》를 저술하였고, 이에 따라 5경 중심에서 4서 중심으로 경학의 흐름이 바뀌었다.[6]

6. 1. 주석서

훈고는 주로 경서의 주석서(주소)를 집필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주요 주석서에는 『오경정의』, 『십삼경주소』와 같은 것이 있다.

6. 2. 훈고서 (의서)

하노 로쿠로(河野六郎)는 훈고학 사전을 “의서(義書)”라고 칭할 것을 제창했다.[2] 주요 의서로는 한대(漢代) 전후에 편찬된 『어야(爾雅)』, 『광아(広雅)』, 『방언(方言)』, 『석명(釈名)』 등이 있다.

청대(清代) 고증학(考證學)에서는 이러한 의서를 중요하게 여겼으며, 의서를 연구하는 서적이 다수 저술되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소진함(邵晋涵): 『어야정의(爾雅正義)』
  • 각의행(郝懿行): 『어야의소(爾雅義疏)』
  • 왕념손(王念孫): 『광아소증(広雅疏證)』
  • 대진(戴震): 『방언소증(方言疏證)』
  • 필원(畢沅): 『석명소증(釈名疏證)』
  • 왕선겸(王先謙): 『석명소증보(釈名疏證補)』

7. 청나라의 고증학과 훈고학

청나라(清) 시대의 고증학(考證學)은 송명리학(宋明理學)을 부정하고 한(漢)에서 위진남북조 시대(魏晋南北朝時代), 당(唐), 북송(北宋) 초에 번성했던 한당훈고학(漢唐訓詁學)의 부흥을 목표로 했다.[1] 한당훈고학은 송명리학과 대비되는데, 송명리학에서도 경전 해석은 이루어졌지만 한당 시기와는 달리 단순한 해석이 아닌 독자적인 사상 체계에 맞춰 경전을 해석했다.[1]

참조

[1] 간행물 鄭玄学の展開 https://spc.jst.go.j[...] 三国志学会 2012
[2] 간행물 中学校・高等学校国語科教育における漢和辞典活用の指導法(字形・字音) : 新学習指導要領「伝統的な言語文化と国語の特質に関する事項」の観点から https://www.shitenno[...] 四天王寺大学 2012
[3] 논문 경상도의 초기 서원건축: 소수서원과 도산서원 https://www.koreasci[...] 2018-11
[4] 백과사전 정현의 훈고학
[5] 백과사전 5경정의
[6] 백과사전 주자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