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흑마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마법은 일반적으로 백마법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고대 의례, 샤머니즘, 르네상스 시대의 마법적 관행에서 기원한다. 중세 유럽에서는 강령술, 풍수술, 수점술, 공점술, 화점술, 수상술, 골복술 등이 흑마법으로 여겨졌다. 현대에는 흑마법과 백마법의 구분이 술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되며, 블랙 샤머니즘, 부두교 등 다른 문화권에서도 흑마법과 관련된 요소가 나타난다. 흑마법은 대중문화에서 흔히 다루어지는 소재이며,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도밀교 - 아르스 게티아
    아르스 게티아는 《솔로몬의 작은 열쇠》의 첫 번째 책으로, 악마를 소환하고 제어하는 방법과 72명의 악마 목록, 능력, 소환 의식을 담고 있으며, 마법적 전통과 솔로몬 왕 전설에 기반하여 현대 의례 마법, 오컬트, 서구 신비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 좌도밀교 - 좌도와 우도
    좌도와 우도는 인도에서 유래하여 서양 밀교에서 선악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정신과 육체의 분리를 중시하며 도덕률을 따르는 우도와 사회적 관습을 거부하고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좌도로 구분된다.
  • 마법 - 마법사
    마법사는 민담, 동화, 판타지 등에서 마법을 사용하는 인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선악의 역할과 다양한 능력을 지닌 존재로 묘사되며, 현실에서는 마술사나 역사 속 인물, 동아시아 신화 속 인물들과 연관되기도 한다.
  • 마법 - 아풀레이우스
    아풀레이우스는 로마 제국 시대 북아프리카 출신의 작가이자 철학자, 웅변가로, 『황금 당나귀』라는 소설과 뛰어난 변론 능력으로 유명하며, 플라톤 철학 연구와 신플라톤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흑마법
개요
다른 이름마법 (악의적이거나 자기 중심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때)
설명악의적이고 이기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마법
정의 및 분류
관련 용어저주
흑마술
사술
악마 숭배
악마학
기원 및 역사
기원고대 문화의 애니미즘 및 주술적 신앙
역사적 연관성마녀 재판 (유럽)
부두교 (아이티)
산테리아 (쿠바)
종교적 관점
기독교죄악으로 간주되며 신의 권위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짐
이슬람금지되며, 신의 뜻에 거스르는 행위로 간주됨
유대교엄격히 금지되며, 우상 숭배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짐
대중 문화
등장판타지 소설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예시해리 포터 시리즈
반지의 제왕
기타 다양한 작품
윤리적 문제
윤리적 고려 사항타인에게 해를 끼치거나 자유 의지를 침해할 가능성
논쟁흑마법의 실재 여부
흑마법의 잠재적 위험성
같이 보기
관련 주제마법 (초자연적)
백마법
그리모어
비밀주의
오컬트
주술
신비주의
참고 문헌
참고 도서Melton, J. Gordon (2001).
Summers, Montague (2013).
Waite, Arthur Edward (2011).
Heiduk, Sarah; Herbers, Klaus; Lehner, Andreas (2020).
Petersen, William (2009).

2. 역사

로버트 M. 플레이스의 2009년 저서 ''마법과 연금술''은 흑마법의 기원을 그 상대인 백마법과 마찬가지로 원시적이고 의례적인 정령 숭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묘사한다.[3] 플레이스는 백마법에서 영적인 존재와의 친밀함을 이루려는 원시적인 샤머니즘의 노력과 유사성을 보지만, 현대 흑마법으로 발전한 의례는 실천자에게 유익한 결과를 얻기 위해 같은 정령을 소환하도록 고안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많은 마법적 관행과 의례가 악하거나 불경스러운 것으로 간주되었고, 더 나아가 광범위한 의미에서 흑마법으로 간주되었다. 마녀술과 주류가 아닌 서양의 신비주의 연구는 금지되었고 종교 재판의 대상이 되었다.[4] 그 결과, 자연 마법은 마르실리오 피치노, 수도원장 요하네스 트리에테미우스 및 하인리히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와 같은 사상가 및 지식인들이 (비록 종종 비밀리에) 상당한 박해 없이 신비주의적이고 의례적인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발전했다.[4]

|thumb|''마녀의 망치'', 1669년 판]]

"자연 마법"이 16세기와 17세기의 교육받은 계층과 상류층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지만, 의례 마법과 민간 마법은 여전히 박해를 받았다.

2. 1. 중세 유럽의 흑마법

존 디와 에드워드 켈리는 마법진 의식을 사용하여 교회 묘지에서 영혼을 불러온다.


1456년 요하네스 하틀리브가 설명한 바와 같이 교회법에 의해 금지된 7개의 흑마법은 다음과 같다:

# 강령술

# 풍수술

# 수점술

# 공점술

# 화점술

# 수상술

# 골복술

네 가지 "원소" 분야(즉, 풍수술, 수점술, 공점술, 화점술) 사이의 구분은 다소 인위적이다. 수상술은 롬인(최근 유럽에 도착한 당시)이 수행하는 대상의 손바닥에서 점을 치고 골복술은 농민 미신에서 행해진 것처럼 동물의 뼈, 특히 어깨뼈에서 점을 친다. 흑점술은 피카트릭스나 리베라시엘리스와 같은 고대 중세의 마도서에서 파생된 학문적인 "고급 마법"으로 이것과 대조된다.

대부분의 마도서의 내용이 라틴어로 작성 되었기 때문에 중세 후기에 강령술 또는 악마술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교육받은 엘리트에 속했다. 악마술은 일반적으로 강령술 책을 소유한 영적 지도자를 둘러싼 그룹에서 수행되었다. 1444년에 그러한 사례 중 하나가 종교재판관 가스파레 시기첼리가 볼로냐에서 활동하는 한 집단에 대해 조치를 취한 것이다. 게소의 마르코 마테이와 비테르보의 야코포 수사는 마법 수행에 참여했다고 고백했다.

풍수술은 르네상스 시대에 사람들이 행한 가장 대중적인 마술 중 하나였다. 풍수술은 사람이 땅에 모래, 돌 또는 흙을 던지고 그 모양을 읽는 점술의 한 형태였다. 그런 다음 풍수적 수치는 모양에서 읽는데 사용된 풍수 차트를 기반으로 "무엇이든" 알려준다.

물을 이용한 점술의 한 형태인 수점술은 일반적으로 수정점술과 함께 사용된다. 물은 개업의가 그 안의 환영 그림을 볼 수 있도록 점술의 매개체로 사용된다. 수점술은 바빌로니아에서 시작되었으며 비잔틴 시대에 인기가 있었지만, 중세 유럽에서는 마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공점술은 모래, 흙 또는 씨앗을 공중에 던지고 먼지 구름의 패턴이나 씨앗의 침전을 연구하고 해석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는 천둥, 혜성, 별똥별, 구름 모양에서 오는 점술도 포함된다.

화점술은 화염의 기호와 패턴으로 구성된 점술의 기술이다. 불에 던져진 재료에 따라 많은 종류의 화점술이 있으며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데 사용되며 전달된 징조를 해석하는 사제와 함께 신이 화염 속에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수상술은 점성술에 연결된 일부 기호와 함께 손바닥을 읽고 직관과 상징에 기반한 점술의 한 형태이다. 사각형과 유사한 사람의 손에서 나온 선은 나쁜 징조로 간주되는 반면 삼각형은 좋은 징조이다. 이 아이디어는 점성술의 각에서 삼위일체와 사각형 측면에서 비롯된다.

골복술(骨卜術)은 동물의 뼈, 특히 견갑골을 사용하여 점을 치는 방법이다. 견갑골이 부러지는 형태를 보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일반적으로 뜨거운 석탄 위에 올려놓고 가열하여 뼈가 깨질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 1. 1. 강령술

대부분의 마도서 내용이 라틴어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중세 후기에 강령술 또는 악마술을 수행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교육받은 엘리트에 속했다. 악마술은 일반적으로 강령술 책을 소유한 영적 지도자를 둘러싼 그룹에서 수행되었다. 1444년에 그러한 사례 중 하나가 종교재판관 가스파레 시기첼리가 볼로냐에서 활동하는 한 집단에 대해 조치를 취한 것이다. 게소의 마르코 마테이와 비테르보의 야코포 수사는 마법 수행에 참여했다고 고백했다.

2. 1. 2. 풍수술

풍수술은 르네상스 시대에 사람들이 행한 가장 대중적인 마술 중 하나였다. 풍수술은 사람이 땅에 모래, 돌 또는 흙을 던지고 그 모양을 읽는 점술의 한 형태였다. 그런 다음 풍수적 수치는 모양에서 읽는데 사용된 풍수 차트를 기반으로 "무엇이든" 알려준다.

2. 1. 3. 수점술

수점술은 물을 이용한 점술의 한 형태로, 일반적으로 수정점술과 함께 사용된다. 점술가는 물을 매개체로 하여 그 안의 환영 그림을 볼 수 있다. 수점술은 바빌로니아에서 시작되었으며 비잔틴 시대에 인기가 있었지만, 중세 유럽에서는 마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2. 1. 4. 공점술

공점술은 모래, 흙 또는 씨앗을 공중에 던지고 먼지 구름의 패턴이나 씨앗의 침전을 연구하고 해석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는 천둥, 혜성, 별똥별, 구름 모양에서 오는 점술도 포함된다.

2. 1. 5. 화점술

화점술은 화염의 기호와 패턴으로 구성된 점술의 기술이다. 불에 던져진 재료에 따라 많은 종류의 화점술이 있으며 신에게 제물을 바치는 데 사용되며 전달된 징조를 해석하는 사제와 함께 신이 화염 속에 존재한다고 생각된다.

2. 1. 6. 수상술

수상술은 점성술에 연결된 일부 기호와 함께 손바닥을 읽고 직관과 상징에 기반한 점술의 한 형태이다. 사각형과 유사한 사람의 손에서 나온 선은 나쁜 징조로 간주되는 반면 삼각형은 좋은 징조이다. 이 아이디어는 점성술의 각에서 삼위일체와 사각형 측면에서 비롯된다.

2. 1. 7. 골복술

골복술(骨卜術)은 동물의 뼈, 특히 견갑골을 사용하여 점을 치는 방법이다. 견갑골이 부러지는 형태를 보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일반적으로 뜨거운 석탄 위에 올려놓고 가열하여 뼈가 깨질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 현대의 흑마법

흑마법과 백마법의 구분은 주로 사용하는 술자의 의도에 따라 결정된다. 일부 위카 및 위치크래프트 수행자들은 흑마법과의 연관성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인도파푸아뉴기니 등의 점술가나 마법사는 2010년대에도 결과를 마녀에 의한 흑마법으로 구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아, 매년 마녀사냥에 의한 희생자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3. 1. 다른 문화권의 흑마법

3. 1. 1. 블랙 샤머니즘

블랙 샤머니즘은 몽골시베리아에서 행해지는 샤머니즘의 일종이다. 특히 불교의 의례와 전통을 접목한 황색 샤머니즘에 반대한다.[18][19] 블랙 샤먼은 일반적으로 악령과 함께 일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반면, 황색 샤먼은 상위 세계의 영혼과 함께 작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2. 부두교

부두 인형


부두교는 현대 흑마술과 관련이 있다. 대중문화와 픽션이 하나로 합쳐진다. 그러나 주술이나 저주가 흑마술 관행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부두교에는 고유한 역사와 전통이 있다.[20]

부두교 전통은 흑마법과 백마법을 구분하며, 보코르와 같은 마법사는 마법과 의식을 모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저주, 독, 좀비와 관련된 마법에 대한 그들의 성향은 그들과 일반적으로 부두교가 정기적으로 특히 흑마법과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4. 대중문화 속 흑마법

흑마법과 관련된 개념이나 흑마법으로 묘사되는 내용은 책, 영화 및 기타 대중문화의 단골 소재이다.


  • 악마는 여기 있다''(1934) – 데니스 위틀리의 소설로, 1968년 해머 필름 프로덕션에서 영화로 제작되어 유명해졌다.
  • 로즈메리의 아기''(1968) – 흑마법이 주요 테마인 공포 소설.
  • 크래프트(1996) – 네 명의 친구가 백마법에 연루되지만 개인적인 이득을 위해 흑마법 의식을 사용하는 공포 영화.
  • 해리 포터 시리즈(1997–2007) – 흑마법 주문과 저주는 학생들이 스스로를 방어하도록 가르치는 "어둠의 마법"으로 불린다. 해리 포터 영화 시리즈 (2001–2011)로 제작되었다.
  • 셜록 홈즈(2009) – 가이 리치가 감독한 세 편의 셜록 홈즈 영화 중 첫 번째 영화에는 흑마법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만, 나중에 거짓으로 밝혀진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러시아 관영 매체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군을 막기 위해 흑마법을 사용했다고 비난했으며, 특히 알렉세이 아레스토비치가 마법사와 마녀를 고용하고 우크라이나 군인들이 "피 마법으로 무기를 성화"했다고 비난했다.

5. 비판적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black magic,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https://www.oed.com/[...]
[2] 웹사이트 The Faerie Queene: Book 3: Canto XI https://sacred-texts[...] 2024-10-20
[3] 간행물
[4] 간행물
[5] 간행물
[6] 간행물
[7] 문서 ある宗教・宗派において神として崇敬されているものも、対立側においては悪魔・悪霊と扱われることに注意されたし。
[8] 서적 悪魔の呪法全書 二見書房
[9] 뉴스 "魔女狩り"で母子5人殺害、男6人を逮捕 インド東部 https://www.cnn.co.j[...] CNN 2019-01-30
[10] 웹사이트 環境の変化を黒魔術のせいに、多発する現代の魔女狩り パプアニューギニア https://www.afpbb.co[...] AFP 2019-02-02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간행물
[18] 간행물
[19] 간행물
[20]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