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는 경상북도 내에 소재한 문화재로, 1호부터 600호까지 지정되어 있다. 불교, 유교, 인물 및 기록 유산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탑, 불상, 서원, 향교, 고문서, 초상화, 비석 등이 포함된다. 경상북도 전역에 분포하며, 안동, 경주, 영천 등지에 특히 많은 수가 있다. 이 문화재들은 보존 관리와 함께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며,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향교로, 고려시대 공자묘에서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의 기능과 건축적 특징을 보여준다.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 자계서원
자계서원은 조선 시대 문신 김일손을 기리기 위해 1518년에 창건되었으며, 사액을 받아 국가의 지원을 받았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복원되었고, 현재는 제사만 지내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유형문화유산 -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
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는 건축물, 서적, 회화, 조각, 공예품 등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며, 동래부 동헌, 충렬사, 범어사 대웅전, 장안사 대웅전 등이 주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유형문화유산 -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는 충청북도에 있는 유형문화재를 지정 번호순으로 목록화한 것으로, 시대, 종류, 지역별로 분류되며, 경종대왕태실, 순조대왕태실,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 금남루, 가학루, 오층석탑, 마애불 등을 포함한다.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 |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 |
2. 지정 현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는 지정 번호 순서에 따라 관리되며, 현재 1호부터 600호까지 지정되어 있다. 상세 목록은 하위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목록 (1호 ~ 600호)
번호 | 지정명칭 | 소재지 | 소유자 |
---|---|---|---|
제001호 | |||
제002호 | |||
제003호 | 예천군 | 명봉사 | |
제004호 |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 영주시 | 비로사 |
제005호 | 한천사삼층석탑 | 예천군 | 한천사 |
제006호 | 상주 복룡동 당간지주 | 상주시 | 상주시 |
제007호 | 영주 삼가동 석조당간지주 | 영주시 | 비로사 |
제008호 | 용화동 삼층석탑 | 영양군 | 영양군 |
제009호 | 영양군 | 국유 | |
제010호 | 영양군 | 국유 | |
제011호 | 영양군 | 영양군 | |
제012호 | 현이동 모전오층석탑 | 영양군 | 영양군 |
제013호 | 적개공신논상록권 | 경주시 | 개인 |
제014호 | 손소 선생 분재기 | 경주시 | 개인 |
제015호 | 경주시 | 개인 | |
제016호 | 예천군 | 한천사 | |
제017호 |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안동시 | 안동시 |
제018호 | |||
제019호 |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 경주시 | 경주시 |
제020호 | |||
제021호 |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 경주시 | 경주시 |
제022호 | 월영대 | 안동시 | 안동시 |
제023호 | 고성이씨재사 | 안동시 | 고성이씨종중 |
제024호 | 고성이씨신도비 | 안동시 | 고성이씨종중 |
제025호 | 금이당 사당 및 종가 | 안동시 | 개인 |
제026호 | 탁청정 종가 | 안동시 | 개인 |
제027호 | 광산김씨 재사 및 사당 | 안동시 | 개인 |
제028호 | 예안향교 | 안동시 | 예안향교 |
제029호 | 선성현객사 | 안동시 | 안동시 |
제030호 | 역동유허비 | 안동시 | 개인 |
제031호 | 농암사당 | 안동시 | 개인 |
제032호 | 긍구당 | 안동시 | 개인 |
제033호 | 시사단 | 안동시 | 안동시 |
제034호 | 애일당 | 안동시 | 개인 |
제035호 | 호계서원 | 안동시 | 호계서원 |
제036호 | 은곡서당 | 안동시 | 개인 |
제037호 | 추원재 | 안동시 | 개인 |
제038호 | 효자비 | 안동시 | 개인 |
제039호 | 부라원루 | 안동시 | 안동시 |
제040호 | 침락정 | 안동시 | 개인 |
제041호 | 용암정 | 안동시 | 개인 |
제042호 | 어은정 및 재사 | 안동시 | 고성이씨문중 |
제043호 | 농암각자 | 안동시 | 개인 |
제044호 | 안정사 석조여래좌상 | 안동시 | 개인 |
제045호 | 나소동 삼층석탑 | 안동시 | 개인 |
제046호 | 방초정 | 김천시 | 개인 |
제047호 | 청량사 유리보전 | 봉화군 | 청량사 |
제048호 | 만남재 | 고령군 | 개인 |
제049호 | 대구광역시 | 개인 | |
제050호 | |||
제051호 | 회연서원 | 성주군 | 청주 정씨문목공파종중 |
제052호 | 월담헌 및 사월종택 | 영양군 | 개인 |
제053호 | 생육신 이경은선생 불초묘 | 예천시 | 벽진 이씨경은파종중 |
제054호 | 생육신 이경은선생 제단 | 예천시 | 벽진 이씨경은파종중 |
제055호 | 용계서원 | 예천시 | 벽진 이씨경은파종중 |
제056호 | 비안면 자락동 석조여래좌상 | 의성군 | 석불사 |
제057호 | 상주시 | 남장사 | |
제058호 | 상주시 | 남장사 | |
제059호 | |||
제060호 | 동방사지 칠층석탑 | 성주군 | 성주군 |
제061호 | 쌍충사적비 | 성주군 | 성주군 |
제062호 | |||
제063호 | 농암영정후사본 및 금서대 | 안동시 | 개인 |
제064호 | 후조당 유물 | 안동시 | 개인 |
제065호 | 가례증해판목 | 김천시 | 개인 |
제066호 | |||
제067호 | |||
제068호 | 박로계집판목 | 예천시 | 개인 |
제069호 | 이숭기 초상화 | 김천시 | 연안 이씨문중 |
제070호 | 대구광역시 | 달성 서씨현감공파문중 | |
제071호 | 강호정 | 영천시 | 개인 |
제072호 | 오회공 종택 | 영천시 | 개인 |
제073호 | 하천재 | 영천시 | 개인 |
제074호 | 사의당 | 영천시 | 개인 |
제075호 | 삼휴정 | 영천시 | 개인 |
제076호 | 오회당 | 영천시 | 개인 |
제077호 | 동린각 | 영천시 | 개인 |
제078호 | 자양서당 | 영천시 | 개인 |
제079호 | 선암서원 | 청도군 | 밀양 박씨선암문중 |
제080호 | 난포고택 | 경산시 | 개인 |
제081호 | 우금촌 두암고택 | 영주시 | 개인 |
제082호 | 화수루 | 영덕군 | 개인 |
제083호 | 자계서원 | 청도군 | 개인 |
제084호 | 환성사 심검당 | 경산시 | 환성사 |
제085호 | 상주시 | 개인 | |
제086호 | 성주군 | 성주군 | |
제087호 | 법수사지 당간지주 | 성주군 | 성주군 |
제088호 | 성주군 | 성주군 | |
제089호 | 이운룡장군 영정 | 청도군 | 개인 |
제090호 | 호수종택 | 예천시 | 개인 |
제091호 | 구미시 | 구미시 | |
제092호 | 대구광역시 | 남지장사 | |
제093호 | |||
제094호 | 경주 남산골 석불두 | 경주시 | 경주시 |
제095호 | 경주 동천동 사방불탑신석 | 경주시 | 경주시 |
제096호 | 성덕왕 용구부 | 경산시 | 경산시 |
제097호 | 분황사 화쟁국사비부 | 경산시 | 분황사 |
제098호 | 경주시 | 불국사 | |
제099호 | 안동 내천동 삼층석탑 | 안동시 | 안동시 |
제100호 | 안동 운흥동 당간지주 | 안동시 | 안동보선사무소 |
제101호 | |||
제102호 | 대구광역시 | 달성군 | |
제103호 | 군위 하곡리 석조여래입상 | 군위군 | 군위군 |
제104호 | 군위군 | 대율사 | |
제105호 |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 안동시 | 안동시 |
제106호 | 안동 임하동 십이지삼층석탑 | 안동시 | 안동시 |
제107호 | 안동 하리동 모전삼층석탑 | 안동시 | 안동시 |
제108호 | 안동 하리동 삼층석탑 | 안동시 | 안동시 |
제109호 | 안동 죽전동 삼층석탑 | 안동시 | 안동시 |
제110호 | 안동 막골동 삼층석탑 | 안동시 | 안동시 |
제111호 | 영양 연당동 석불좌상 | 영양군 | 립암국민학교 |
제112호 | 경주 침식골 석불좌상 | 경주시 | 경주시 |
제113호 | 경주 렬암골 석불좌상 | 경주시 | 경주시 |
제114호 | 경주 약수계곡 마애입좌상 | 경주시 | 경주시 |
제115호 | 선본암 삼층석탑 | 경산시 | 선본암 |
제116호 | 청도 덕양동 삼층석탑 | 청도군 | 청도군 |
제117호 | 반룡사 다층석탑 | 고령군 | 고령군 |
제118호 | 고령 개포동 석조관음보살좌상 | 고령군 | 고령군 |
제119호 | 성주 보월동 삼층석탑 | 성주군 | 성주군 |
제120호 | 선산 궁기동 석불상 | 구미시 | 구미시 |
제121호 |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 문경시 | 봉암사 |
제122호 | 홍귀달 선생 신도비 | 문경시 | 개인 |
제123호 | 황방촌 유물 | 문경시 | 개인 |
제124호 | 예천 흥효리 석조여래입상 | 예천군 | 예천군 |
제125호 | 영주 읍내리 석불입상 | 영주시 | 영주시 |
제126호 | 초암사 삼층석탑 | 영주시 | 초암사 |
제127호 | 부석사 원융국사비 | 영주시 | 부석사 |
제128호 | 초암사 동부도 | 영주시 | 초암사 |
제129호 | 초암사 서부도 | 영주시 | 초암사 |
제130호 | 부석사 삼층석탑 | 영주시 | 부석사 |
제131호 | 봉화 의양리 석조여래입상 | 봉화군 | 봉화군 |
제132호 | 봉화 봉성리 석조여래입상 | 봉화군 | 봉화군 |
제133호 | 천성사 석조여래입상 | 봉화군 | 천성사 |
제134호 | 천성사 삼층석탑 | 봉화군 | 천성사 |
제135호 | 법영사 삼층석탑 | 울진군 | 불영사 |
제136호 | 의성 관덕동 석조보살좌상 | 의성군 | 의성군 |
제137호 | 거동사 대웅전 | 영천시 | 거동사 |
제138호 | 장륙사 대웅전 | 영덕군 | 장륙사 |
제139호 | 수다사 명부전 | 구미시 | 수다사 |
제140호 | |||
제141호 | 봉황사 대웅전 | 안동시 | 황산사 |
제142호 | 거영일기 및 계본등록 | 청도군 | 개인 |
제143호 | 성주 성산관 | 성주군 | 성주군 |
제144호 | 영천 조양각 | 영천시 | 영천시 |
제145호 | 신길원 현감 충렬비 | 문경시 | 문경시 |
제146호 | 안동 숭실재 | 안동시 | 개인 |
제147호 | 봉화 한수정 | 봉화군 | 안동 권씨충정공파문중 |
제148호 | 녕해난고종가문서 | 영덕군 | 개인 |
제149호 | 오미동 도림강당 | 안동시 | 개인 |
제150호 | 의성향교 | 의성군 | 의성향교 |
제151호 | 고운사 가운루 | 의성군 | 고운사 |
제152호 | 청도군 | 척천사 | |
제153호 | 척천사 목조사천왕의좌상 | 청도군 | 척천사 |
제154호 | 봉화 오전리 석조아미타여래좌상 | 봉화군 | 봉화군 |
제155호 | 상주향교 대성전 | 상주시 | 상주향교 |
제156호 | 대산루부계정 | 상주시 | 진주 정씨종중 |
제157호 | 상주 상산관 | 상주시 | 상주시 |
제158호 |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 경주시 | 경주시 |
제159호 | 삼릉계곡 선각여래좌상 | 경주시 | 경주시 |
제160호 | 대곡사 대웅전 | 의성군 | 대곡사 |
제161호 | 대곡사 범종각 | 의성군 | 대곡사 |
제162호 | 대율사 대웅전 | 구미시 | 대율사 |
제163호 | 성주 백세각 | 성주군 | 개인 |
제164호 | 안동 삼산정 | 안동시 | 개인 |
제165호 | 성주군 | 성주향교 | |
제166호 | 고운 영정 | 청도군 | 경주 최씨종중 |
제167호 | 도주중류비 | 구미시 | 해평 길씨문중 |
제168호 | 신녕향교 명륜당 | 영천시 | 신녕향교 |
제169호 | 의성 만취당 | 의성군 | 안동 김씨만취당파문중 |
제170호 | 예천권씨 종가문적 | 예천군 | 개인 |
제171호 | 목은 영정 | 안동시 | 개인 |
제172호 | 월록서당 | 영양군 | 개인 |
제173호 | 대지재사 | 예천군 | 개인 |
제174호 | 칠성루 및 휴계재사 | 영주시 | 옥천 전씨영주파종중 |
제175호 | 정안당 석조여래입상 | 의성군 | 의성군 |
제176호 | 월넘당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의성군 | 의성군 |
제177호 | 의성 안사동 석조여래좌상 | 의성군 | 의성군 |
제178호 | 대구광역시 | 개인 | |
제179호 | 명고 영정 | 영천시 | 개인 |
제180호 | 안동 임하동 오층석탑 | 안동시 | 안동시 |
제181호 | 옥산사 마애약사여래좌상 | 안동시 | 옥산사 |
제182호 | 봉황정사 삼층석탑 | 안동시 | 봉정사 |
제183호 | 찬경루 | 청송군 | 청송 심씨대종회 |
제184호 | 보광사 극락전 | 청송군 | 보광사 |
제185호 | 문경 갈평리 오층석탑 | 문경시 | 문경시 |
제186호 | 보문사 삼층석탑 | 예천군 | 보문사 |
제187호 | 명봉사 문종대왕태실비 | 예천군 | 명봉사 |
제188호 | 예천 간방동 삼층석탑 | 예천군 | 예천군 |
제189호 | 각화사 구부 | 봉화군 | 각화사 |
제190호 | 감원당 문적 | 봉화군 | 개인 |
제191호 | 경주향교 | 경주시 | 경주향교 |
제192호 | 경주 구황당 당간지주 | 경주시 | 경주시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는 크게 불교, 유교, 인물/기록유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유형별 문화재
보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3. 1. 불교 문화재
경상북도에는 탑, 불상, 사찰 건물, 부도 등 다양한 불교 문화재가 있다.
종류 | 세부 내용 |
---|---|
탑 | 비로사진공대사포법탑비(毘盧寺真空大師普法塔碑), 한천사삼층석탑(寒天寺三層石塔), 용화동삼층석탑(龍化洞三層石塔), 현이동모전오층석탑(県ニ洞模塼五層石塔), 나소동삼층석탑(羅所洞三層石塔), 청량사유리보전(清涼寺琉璃宝殿), 동방사지칠층석탑(東方寺址七層石塔), 법수사지삼층석탑(法水寺址三層石塔), 안동내천동삼층석탑(安東泥川洞三層石塔), 안동임하동동삼층석탑(安東臨河洞東三層石塔), 안동임하동십이지삼층석탑(安東臨下洞十二支三層石塔), 안동하리동모전삼층석탑(安東下里洞模塼三層石塔), 안동하리동삼층석탑(安東下里洞三層石塔), 안동죽전동삼층석탑(安東竹田洞三層石塔), 안동막골동삼층석탑(安東幕谷洞三層石塔), 선본암삼층석탑(禅本庵三層石塔), 청도덕양동삼층석탑(清道徳陽洞三層石塔), 반룡사다층석탑(盤龍寺多層石塔), 성주보월동삼층석탑(星州甫月洞三層石塔), 초암사삼층석탑(草庵寺三層石塔), 부석사삼층석탑(浮石寺三層石塔), 천성사삼층석탑(千聖寺三層石塔), 법영사삼층석탑(法影寺三層石塔), 안동임하동오층석탑(安東臨下洞五層石塔), 봉황정사삼층석탑(鳳凰停寺三層石塔), 문경갈평리오층석탑(聞慶葛坪里五層石塔), 보문사삼층석탑(普門寺三層石塔), 예천간방동삼층석탑(醴泉澗芳洞三層石塔) |
불상 | 마애석조비로자나불좌상(摩崖石造毘盧遮那仏坐像), 삼릉계곡마애관음보살상(三陵渓谷摩崖観音菩薩像), 삼릉계곡선각육존불(三陵渓谷線刻六尊仏), 안정사석조여래좌상(安定寺石造如来坐像), 비안면자락동석조여래좌상(比安面自楽洞石造如来坐像), 경주남산골석불두(慶州南山谷石仏頭), 경주동천동사방불탑신석(慶州東川洞四方仏塔身石), 군위하곡리석조여래입상(軍威下谷里石造如来立像), 영양연당동석불좌상(英陽蓮塘洞石仏坐像), 경주침식골석불좌상(慶州寝息谷石仏坐像), 경주렬암골석불좌상(慶州列岩谷石仏坐像), 경주약수계곡마애입좌상(慶州薬水渓谷摩崖立坐像), 고령개포동석조관음보살좌상(高霊開浦洞石造観音菩薩坐像), 선산궁기동석불상(善山宮基洞石仏像), 봉암사마애보살좌상(鳳巖寺摩崖菩薩坐像), 예천흥효리석조여래입상(醴泉欣孝里石造如来立像), 영주읍내리석불입상(栄州邑内里石仏立像), 봉화의양리석조여래입상(奉化宜陽里石造如来立像), 봉화봉성리석조여래입상(奉化鳳城里石造如来立像), 천성사석조여래입상(千聖寺石造如来立像), 의성관덕동석조보살좌상(義城觀徳洞石造菩薩坐像), 봉화오전리석조아미타여래좌상(奉化梧田里石造阿弥陀如来坐像), 삼릉계곡마애석가여래좌상(三陵渓谷摩崖釈迦如来坐像), 삼릉계곡선각여래좌상(三陵渓谷線刻如来坐像), 정안당석조여래입상(井安堂石造如来立像), 월넘당석조비로자나불좌상(月沼堂石造毘盧遮那仏坐像), 의성안사동석조여래좌상(義城安寺洞石造如来坐像), 옥산사마애약사여래좌상(玉山寺摩崖薬師如来坐像) |
사찰 건물 | 환성사심검당(環城寺尋剣堂), 거동사대웅전(巨洞寺大雄殿), 장륙사대웅전(荘陸寺大雄殿), 수다사명부전(水多寺冥府殿), 봉황사대웅전(鳳凰寺大雄殿), 고운사가운루(孤雲寺駕雲樓), 척천사목조사천왕의좌상(磧川寺木造四天王椅坐像), 대곡사대웅전(大谷寺大雄殿), 대곡사범종각(大谷寺梵鐘閣), 대율사대웅전(大芚寺大雄殿), 보광사극락전(普光寺極楽殿) |
부도 | 명봉대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鳴鳳僿境清禅院慈寂禅師凌雲塔碑), 성덕왕용구부(聖徳王龍龜趺), 분황사화쟁국사비부(芬皇寺和諍国師碑趺), 부석사원융국사비(浮石寺圓融国師碑), 초암사동부도(草庵寺東浮屠), 초암사서부도(草庵寺西浮屠), 각화사구부(覚華寺龜趺), 명봉사문종대왕태실비(鳴鳳寺文宗大王胎室碑) |
기타 | 상주복룡동당간지주(尚州伏龍洞幢竿支柱), 영주삼가동석조당간지주(栄州三街洞石造幢竿支柱), 법수사지당간지주(法水寺址幢竿支柱), 안동운흥동당간지주(安東雲興洞幢竿支柱), 경주구황당당간지주(慶州九黄堂幢竿 |
3. 2. 유교 문화재
경상북도 안동시는 유교 문화재가 많이 분포된 지역이다. 예안향교(禮安郷校), 호계서원(虎渓書院), 고성이씨재사(固城李氏斎舎), 금이당사당및종가(琴易堂祠堂及び宗家), 탁청정종가(濯清亭宗家), 광산김씨재사및사당(光山金氏斎舎及び祠堂) 등 다양한 형태의 유교 건축물들이 있다.예안향교는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 유교 이념을 전파하고 인재를 양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호계서원은 조선 중기 사림 세력이 학문 연구와 교육을 위해 설립한 사설 교육기관으로, 안동 지역 유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이 외에도 재사, 정자 등 다양한 형태의 유교 건축물들이 안동 지역에 남아있어, 조선시대 유교 문화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번호 | 등록명 | 소유자 |
---|---|---|
제22호 | 월영대(月映台) | 안동시 |
제23호 | 고성이씨재사(固城李氏斎舎) | 고성이씨(固城李氏) 종중 |
제24호 | 고성이씨신도비(固城李氏神道碑) | 고성이씨(固城李氏) 종중 |
제25호 | 금이당사당및종가(琴易堂祠堂及び宗家) | 개인 |
제26호 | 탁청정종가(濯清亭宗家) | 개인 |
제27호 | 광산김씨재사및사당(光山金氏斎舎及び祠堂) | 개인 |
제28호 | 예안향교(禮安郷校) | 예안향교 |
제29호 | 선성현객사(宣城県客舎) | 안동시 |
제30호 | 역동유허비(易東遺墟碑) | 개인 |
제31호 | 농암사당(聾巖祠堂) | 개인 |
제32호 | 긍구당(肯構堂) | 개인 |
제33호 | 시사단(試士壇) | 안동시 |
제34호 | 애일당(愛日堂) | 개인 |
제35호 | 호계서원(虎渓書院) | 호계서원 |
제36호 | 은곡서당(隠谷書堂) | 개인 |
제37호 | 추원재(追遠斎) | 개인 |
제38호 | 효자비(孝子碑) | 개인 |
제39호 | 부라원루(浮羅院楼) | 안동시 |
제40호 | 침락정(枕洛亭) | 개인 |
제41호 | 용암정(龍岩亭) | 개인 |
제42호 | 어은정및재사(漁隠亭及び斎舎) | 고성이씨(固城李氏) 문중 |
제43호 | 농암각자(聾巖刻字) | 개인 |
제63호 | 농암영정후사본및금서대(聾巖影幀後写本及び金犀帯) | 개인 |
제64호 | 후조당유물(後彫堂遺物) | 개인 |
제146호 | 안동숭실재(安東崇室斎) | 개인 |
제149호 | 오미동도림강당(五美洞道林講堂) | 개인 |
제164호 | 안동삼산정(安東三山亭) | 개인 |
제171호 | 목은영정(牧隠影幀) | 개인 |
다른 지역의 주요 유교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 성주군(星州郡): 회연서원(檜淵書院), 쌍충사적비(雙忠事跡碑), 성주성산관(星州星山館), 성주백세각(星州百世閣)
- 영천시(永川市): 강호정(江湖亭), 오회공종택(五懐公宗宅), 영천조양각(永川朝陽閣), 신녕향교명륜당(新寧郷校明倫堂)
- 예천군(醴泉郡): 생육신이경은선생불초묘(生六臣李耕隠先生不祧廟), 용계서원(龍渓書院), 호수종택(湖水宗宅), 예천권씨종가문적(醴泉権氏宗家文籍), 대지재사(大枝斎舎)
- 김천시(金泉市): 방초정(芳草亭), 가례증해판목(家禮増解板木), 이숭기초상화(李崇基肖像画)
- 경주시(慶州市): 경주향교(慶州郷校)
- 상주시(尚州市): 상주향교대성전(尚州郷校大成殿), 대산루부계정(対山樓附渓亭), 상주상산관(尚州商山館)
- 청도군(清道郡): 선암서원(仙巌書院), 고운영정(孤雲影幀)
- 영양군(英陽郡): 월담헌및사월종택(月潭軒及び沙月宗宅), 월록서당(月麓書堂)
- 고령군(高霊郡): 만남재(萬南斎)
- 영덕군(盈徳郡): 화수루(花樹樓)
- 청송군(青松郡): 찬경루(讃慶樓)
- 의성군(義城郡): 의성향교(義城郷校), 의성만취당(義城晩翠堂)
- 구미시(亀尾市): 도주중류비(砥柱中流碑)
- 문경시(聞慶市): 홍귀달선생신도비(洪貴達先生神道碑), 황방촌유물(黄厖村遺物), 신길원현감충렬비(申吉元県監忠烈碑)
- 봉화군(奉化郡): 봉화한수정(奉化寒水亭)
- 영주시(栄州市): 칠성루및휴계재사(七星樓及び休渓斎舎)
3. 3. 인물 및 기록유산
wikitext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중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영정, 고문서, 유물 등은 다음과 같다.
번호 | 등록명 | 소재지 | 소유자 |
---|---|---|---|
제13호 | 적개공신론상록권(敵愾功臣論賞録券) | 경주시 | 개인 |
제14호 | 손소선생분재기(孫昭先生分財記) | 경주시 | 개인 |
제30호 | 역동유허비(易東遺墟碑) | 안동시 | 개인 |
제63호 | 농암영정후사본및금서대(聾巖影幀後写本及び金犀帯) | 안동시 | 개인 |
제64호 | 후조당유물(後彫堂遺物) | 안동시 | 개인 |
제65호 | 가례증해판목(家禮増解板木) | 김천시 | 개인 |
제68호 | 박로계집판목(朴蘆渓集板木) | 예천시 | 개인 |
제69호 | 이숭기초상화(李崇基肖像画) | 김천시 | 연안이씨(延安李氏) 문중 |
제89호 | 이운룡장군영정(李雲龍将軍影幀) | 청도군 | 개인 |
제122호 | 홍귀달선생신도비(洪貴達先生神道碑) | 문경시 | 개인 |
제123호 | 황방촌유물(黄厖村遺物) | 문경시 | 개인 |
제142호 | 거영일기및계본등록(居営日記及び啓本謄録) | 청도군 | 개인 |
제148호 | 녕해난고종가문서(寧海蘭皐宗家文書) | 영덕군 | 개인 |
제166호 | 고운영정(孤雲影幀) | 청도군 | 경주최씨(慶州崔氏) 종중 |
제170호 | 예천권씨종가문적(醴泉権氏宗家文籍) | 예천군 | 개인 |
제171호 | 목은영정(牧隠影幀) | 안동시 | 개인 |
제179호 | 명고영정(鳴皐影幀) | 영천시 | 개인 |
제190호 | 감원당문적(感願堂文籍) | 봉화군 | 개인 |
4. 지역별 분포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는 경상북도 전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안동시, 경주시, 영천시 등에 많이 분포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