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보물 (2000년대 후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지정된 보물에 대한 내용이다. 2005년에는 수월관음도, 화성행행도 병풍, 백자 달항아리 등 다양한 문화재가 지정되었으며, 2006년에는 박문수 초상, 여러 초상화, 도자기, 전적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7년에는 불교 유물, 지도, 서적, 초상화, 건축물 등이 지정되었고, 2008년에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관련 유물, 불교 조각상, 회화, 건축물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9년에는 불교 유물과 함께 대한제국 왕실 유물이 다수 지정되었다.

2. 2005년 지정 보물

2005년에는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 고려 시대 불화수월관음도2005년 1월 22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수월관음도
  • 통일신라 시대 석상인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일괄이 2005년 1월 22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 조선시대 회화인 화성행행도 병풍이 2005년 4월 15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그중 봉수당진찬도는 2015년 9월 2일에 보물 제1430-2호로 추가 지정되었다.
    봉수당진찬도
  • 조선시대 도자기인 백자 달항아리는 여러 점이 보물로 지정되었는데, 백자 달항아리, 백자 달항아리, 백자 달항아리, 백자 달항아리 등이 2005년 8월 12일에 지정되었다. 백자 달항아리는 2005년 8월 12일 보물 제1440호로 지정되었다가 2007년 12월 17일 국보 제310호로 승격되면서 보물 지정이 해제되었다.
  • 분청사기 상감‘정통 13년’명 묘지 및 분청사기 일괄,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 정사신 참석 계회도 일괄, 적천사괘불탱및지주,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이원익 초상, 거창 농산리 석조여래입상, 일월반도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은입사귀면문철퇴, 예천용문사영산회괘불탱, 남해용문사괘불탱 등이 2005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2. 1. 회화

2. 2. 조각

2. 3. 공예

2. 4. 초상화

3. 2006년 지정 보물

2006년에는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초상화와 불교 유물, 도자기, 지도 등이 이에 포함된다.

회화 분야에서는 박문수초상, 채제공 초상 일괄, 조씨삼형제 초상, 유숙 초상 및 관련 교지, 심환지 초상, 김유 초상, 이시방 초상, 이채 초상, 남구만 초상, 강이오 초상, 이광사 초상, 서직수 초상, 심득경 초상, 박유명초상, 이성윤 초상, 연잉군 초상, 철종 어진, 오재순 초상, 황현 초상 및 사진, 윤증 초상 일괄, 윤급 초상, 김시습 초상, 조선후기 문인초상, 이하응 초상 일괄, 김이안초상,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전 윤효전 초상, 임장 초상, 유언호 초상 등 여러 초상화가 지정되었다. 불교 회화로는 대구 동화사 사명당 유정 진영, 순천 선암사 선각국사 도선 진영, 통도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등이 있다.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흥천사명 동종


부산 범어사 조계문


인조 별서 유기비


도자기로는 청자 상감화조문 도판,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 청자 기린모양 연적, 분청사기 상감사각묘지 및 분청사기 인화문 사각편병,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청자 상감‘덕천’명 연화양류문 매병, 청자 주전자, 청자 음각연화문 팔각장경병, 분청사기 상감파도어문 병, 분청사기 박지태극문 편병, 백자 사각발형 제기, 백자 청화철화‘시’명나비문 팔각연적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적 분야에서는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근사록, 신찬벽온방, 해동조계복암화상잡저, 용비어천가 권8, 9, 10, 용비어천가 권3, 4, 용비어천가 권1~2, 용비어천가 권1~2, 7~8, 사마방목, 도은선생집, 진일유고, 마천목좌명공신녹권,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 이지대 왕지,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유물 등이 있다.

불교 조각 및 공예품으로는 순천송광사소조사천왕상,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 복장유물,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흥천사명 동종,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등이 지정되었다. 건축물로는 부산 범어사 조계문,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이, 석비로는 서울 인조별서 유기비가 지정되었다.

3. 1. 회화

3. 2. 조각

3. 3. 공예

3. 4. 전적 및 서적

3. 5. 고문서

3. 6. 건축

3. 7. 초상화

4. 2007년 지정 보물

2007년에는 다양한 종류의 보물이 지정되었다. 불교 관련 유물로는 부산 범어사 주범망경(보물 제894-2호), 불조삼경(보물 제1224-2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보물 제1514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2, 10(보물 제1515호), 김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 제1516호), 남원 선국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517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1(보물 제1518호), 묘법연화경삼매참법 권상(보물 제1519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권1(보물 제1520호), 부산 동아대학교 영산회상도(보물 제1522호), 금장요집경 권1~2(보물 제1525호),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526호),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보물 제1527호), 초조본 사두간진일태자이십팔수경(보물 제1528호), 초조본 잡아비담심론 권9(보물 제1529호), 초조본 수용삼수요행법(보물 제1530호) 등이 있다.

조선시대 지도 및 서적으로는 국조정토록(보물 제1511호), 20공신회맹축 - 영국공신녹훈후(보물 제1512호),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보물 제1513호), 경국대전 권3(보물 제1521호), 해동팔도봉화산악지도(보물 제1533호), 서궐도안(보물 제1534호), 숙빈최씨 소령원도(보물 제1535호), 월중도(보물 제1536호),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보물 제1537-1호, 보물 제1537-2호), 동국대지도(보물 제1538호) 등이 지정되었다.

이 외에도 안중근 의사 유묵 - 임적선진위장의무(보물 제569-26호), 허목초상(보물 제1509호), 최익현초상(보물 제1510호), 영조 기로연·수작연도 병풍(보물 제1531호), 여주 효종 영릉재실(보물 제1532호), 경주 불국사 석조(보물 제1523호),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보물 제1524호), 봉래유묵(보물 제1539호), 청자 표주박모양 주전자(보물 제1540호), 분청사기 상감모란양류문 병(보물 제1541호)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주 불국사 석조


서울 이윤탁 한글영비


서궐도안


월중도


허목초상


최익현초상


여주 효종 영릉재실


부산 범어사 주범망경


국조정토록


20공신회맹축 - 영국공신녹훈후


20공신회맹축 - 보사공신녹훈후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


부산 동아대학교 영산회상도

4. 1. 불교 유물

4. 2. 지도 및 서적

4. 3. 공예

4. 4. 기타

5. 2008년 지정 보물

2008년에는 김정호대동여지도와 관련된 유물들이 대거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고, 불교 조각상과 회화, 건축물 등도 포함되었다.


  • 대동여지도 신유본(보물 제850-3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동여도(보물 제1358-2호)와 요계관방지도(보물 제1542호)도 같은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대동여지도목판(보물 제1581호)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 묘법연화경 권1~2(보물 제1147-2호)와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보물 제1543-1호)은 수덕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권하3의1~3의2(보물 제1219-2호)와 지장보살본원경(보물 제1567호)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나주 심향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보물 제1544호)은 심향사에, 나주불회사건칠비로자나불좌상(보물 제1545호)은 불회사에, 구례 천은사 금동불감(보물 제1546호)은 천은사에, 해남 대흥사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 제1547호)은 대흥사에 각각 봉안되어 있다.
  •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보물 제1548호)은 2021년 6월 23일 국보 제336호로 승격되면서 보물 지정이 해제되었다.
  • 순천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16나한상 일괄(보물 제1549호)은 송광사에,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제1550호)은 흥국사에,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보물 제1551호)은 영수사에, 해남 대흥사 영산회괘불탱(보물 제1552호)은 대흥사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해남 대흥사 영산회괘불탱
    해남 대흥사 영산회괘불탱
    그림과 같다.
  • 순천 선암사 서부도암감로왕도(보물 제1553호)와 순천 선암사 33조사도(보물 제1554호)는 선암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담양 용흥사동종(보물 제1555호)은 용흥사에, 여수 흥국사 동종(보물 제1556호)은 흥국사에, 고흥 능가사 동종(보물 제1557호)은 능가사에, 순천 선암사 동종(보물 제1558호, 제1561호)은 선암사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고흥 능가사 동종은
    고흥 능가사 동종
    그림과 같다.
  •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보물 제1559호)은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도성도(보물 제1560호)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도성도는
    도성도
    그림과 같다.
  •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보물 제1562호)은 부석사에 소장되어 있다.
  • 대구 동화사 대웅전(보물 제1563호)은 동화사에 있다. 대구 동화사 대웅전은
    대구 동화사 대웅전
    그림과 같다.
  • 이순신 관련 유물(보물 제1564호)은 여러 세부 유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현충사 및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중 이순신 증직교지(보물 제1564-10호)와 이순신 사패교지(보물 제1564-11호)는
    이순신 증직교지
    ,
    이순신 사패교지
    그림과 같다.
  •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565호)은 무량사에,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보물 제1566호)은 흥국사에, 상주 양진당(보물 제1568호)은 풍양조씨 장천파 문중에,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보물 제1569호)은 돈암서원에, 청송 대전사 보광전(보물 제1570호)은 대전사에,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571호)은 보광사에,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보물 제1572호)은 수덕사 성보박물관에,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보물 제1573호)는 해강도자 미술관에, 문경 봉암사 극락전(보물 제1574호)은 봉암사에,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보물 제1575호)은 성주향교에, 김천 직지사 대웅전(보물 제1576호)은 직지사에, 증급유방(보물 제1577호)은 경기도박물관에, 전주 경기전 정전(보물 제1578호)은 전주시에, 초조본성지세다라니경(보물 제1579호)은 경기도박물관에,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580호)은 수국사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 상주 양진당은
    상주 양진당
    과 같다.
  •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은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과 같다.
  • 청송 대전사 보광전은
    청송 대전사 보광전
    과 같다.
  • 문경 봉암사 극락전은
    문경 봉암사 극락전
    과 같다.
  •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은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과 같다.
  • 김천 직지사 대웅전은
    김천 직지사 대웅전
    과 같다.
  • 전주 경기전 정전은
    전주 경기전 정전
    과 같다.
  •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은 과 같다.
  • 청구관해방총도(보물 제1582호), 함경도전도(보물 제1583호), 해서지도(보물 제1584호), 영남지도(보물 제1585호), 전주지도(보물 제1586호), 조선지도(보물 제1587호), 호남지도(보물 제1588호), 호서지도(보물 제1589호), 화동고지도(보물 제1590호), 해동지도(보물 제1591호), 여지도(보물 제1592호)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해동여지도(보물 제1593호)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전주지도는
    전주지도
    와 같다. 청구관해방총도는
    청구관해방총도
    와 같다.
  • 청구도(보물 제1594호)는 국립중앙도서관, 영남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 목장지도(보물 제1595호)는 국립중앙도서관과 부산대학교 도서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목장지도중 하나인 진헌마정색도는
    진헌마정색도
    와 같다.
  • 동여비고(보물 제1596호)는 김찬호가, 아국여지도(보물 제1597호)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함경도·경기도·강원도 지도(보물 제1598호)는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이, 경상총여도(보물 제1599호)는 신성수가, 진주성도(보물 제1600호)는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이, 천하여지도(보물 제1601호)와 조선팔도고금총람도(보물 제1602호)는 서울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조선팔도고금총람도는
    조선팔도고금총람도
    와 같다.

5. 1. 지도

5. 2. 불교 조각 및 회화

5. 3. 건축

5. 4. 기타

6. 2009년 지정 보물

2009년에는 불교 관련 유물이 다수 지정되었으며, 대한제국 왕실 유물도 포함되어 있다. 불교 유물로는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보물 제1603호), 영천 은해사 청동북 및 북걸이, 칠곡 송림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칠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대구 동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복장전적, 성주 선석사 영산회 괘불탱, 포항 보경사 괘불탱, 대구 동화사 아미타회상도, 경주 기림사 비로자나삼불회도, 영천 봉림사 영산회상도 및 복장유물, 청도 운문사 비로자나삼신불회도, 안동봉정사영산회상벽화,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안동 봉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서울 지장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다.

조선시대 유물로는 예안김씨가전계회도일괄, 이헌국 호성공신교서가, 대한제국 시기 유물로는 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를 비롯한 각종 국새들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6. 1. 불교 유물

6. 2. 왕실 유물

6. 3. 기타

7. 각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