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부터 2009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지정된 보물에 대한 내용이다. 2005년에는 수월관음도, 화성행행도 병풍, 백자 달항아리 등 다양한 문화재가 지정되었으며, 2006년에는 박문수 초상, 여러 초상화, 도자기, 전적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7년에는 불교 유물, 지도, 서적, 초상화, 건축물 등이 지정되었고, 2008년에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관련 유물, 불교 조각상, 회화, 건축물 등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2009년에는 불교 유물과 함께 대한제국 왕실 유물이 다수 지정되었다.
통일신라 시대 석상인 경주 원성왕릉 석상 및 석주일괄이 2005년1월 22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회화인 화성행행도 병풍이 2005년 4월 15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그중 봉수당진찬도는 2015년 9월 2일에 보물 제1430-2호로 추가 지정되었다. 봉수당진찬도
조선시대 도자기인 백자 달항아리는 여러 점이 보물로 지정되었는데, 백자 달항아리, 백자 달항아리, 백자 달항아리, 백자 달항아리 등이 2005년 8월 12일에 지정되었다. 백자 달항아리는 2005년 8월 12일 보물 제1440호로 지정되었다가 2007년 12월 17일 국보 제310호로 승격되면서 보물 지정이 해제되었다.
분청사기 상감‘정통 13년’명 묘지 및 분청사기 일괄,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 정사신 참석 계회도 일괄, 적천사괘불탱및지주,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 완주 안심사 금강계단, 이원익 초상, 거창 농산리 석조여래입상, 일월반도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은입사귀면문철퇴, 예천용문사영산회괘불탱, 남해용문사괘불탱 등이 2005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2. 1. 회화
2. 2. 조각
2. 3. 공예
2. 4. 초상화
3. 2006년 지정 보물
2006년에는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초상화와 불교 유물, 도자기, 지도 등이 이에 포함된다.
전적 분야에서는 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 근사록, 신찬벽온방, 해동조계복암화상잡저, 용비어천가 권8, 9, 10, 용비어천가 권3, 4, 용비어천가 권1~2, 용비어천가 권1~2, 7~8, 사마방목, 도은선생집, 진일유고, 마천목좌명공신녹권,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 여주이씨 옥산문중 고문서,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경주이씨 양월문중 고문서 및 향안 - 이지대 왕지,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유물 등이 있다.
불교 조각 및 공예품으로는 순천송광사소조사천왕상,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 복장유물, 광주 자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흥천사명 동종, 안압지 출토 금동판 불상 일괄 등이 지정되었다. 건축물로는 부산 범어사 조계문,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이, 석비로는 서울 인조별서 유기비가 지정되었다.
담양 용흥사동종(보물 제1555호)은 용흥사에, 여수 흥국사 동종(보물 제1556호)은 흥국사에, 고흥 능가사 동종(보물 제1557호)은 능가사에, 순천 선암사 동종(보물 제1558호, 제1561호)은 선암사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고흥 능가사 동종은 고흥 능가사 동종 그림과 같다.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보물 제1559호)은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도성도(보물 제1560호)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도성도는 도성도 그림과 같다.
영주 부석사 오불회 괘불탱(보물 제1562호)은 부석사에 소장되어 있다.
대구 동화사 대웅전(보물 제1563호)은 동화사에 있다. 대구 동화사 대웅전은 대구 동화사 대웅전 그림과 같다.
이순신 관련 유물(보물 제1564호)은 여러 세부 유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현충사 및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중 이순신 증직교지(보물 제1564-10호)와 이순신 사패교지(보물 제1564-11호)는 이순신 증직교지, 이순신 사패교지 그림과 같다.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565호)은 무량사에,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보물 제1566호)은 흥국사에, 상주 양진당(보물 제1568호)은 풍양조씨 장천파 문중에,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보물 제1569호)은 돈암서원에, 청송 대전사 보광전(보물 제1570호)은 대전사에,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571호)은 보광사에,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보물 제1572호)은 수덕사 성보박물관에,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보물 제1573호)는 해강도자 미술관에, 문경 봉암사 극락전(보물 제1574호)은 봉암사에,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보물 제1575호)은 성주향교에, 김천 직지사 대웅전(보물 제1576호)은 직지사에, 증급유방(보물 제1577호)은 경기도박물관에, 전주 경기전 정전(보물 제1578호)은 전주시에, 초조본성지세다라니경(보물 제1579호)은 경기도박물관에, 서울 수국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580호)은 수국사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상주 양진당은 상주 양진당 과 같다.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은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 과 같다.
청송 대전사 보광전은 청송 대전사 보광전 과 같다.
문경 봉암사 극락전은 문경 봉암사 극락전 과 같다.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은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과 같다.
김천 직지사 대웅전은 김천 직지사 대웅전 과 같다.
전주 경기전 정전은 전주 경기전 정전 과 같다.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은 과 같다.
청구관해방총도(보물 제1582호), 함경도전도(보물 제1583호), 해서지도(보물 제1584호), 영남지도(보물 제1585호), 전주지도(보물 제1586호), 조선지도(보물 제1587호), 호남지도(보물 제1588호), 호서지도(보물 제1589호), 화동고지도(보물 제1590호), 해동지도(보물 제1591호), 여지도(보물 제1592호)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해동여지도(보물 제1593호)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전주지도는 전주지도와 같다. 청구관해방총도는 청구관해방총도 와 같다.
청구도(보물 제1594호)는 국립중앙도서관, 영남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목장지도(보물 제1595호)는 국립중앙도서관과 부산대학교 도서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목장지도중 하나인 진헌마정색도는 진헌마정색도와 같다.
동여비고(보물 제1596호)는 김찬호가, 아국여지도(보물 제1597호)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이, 함경도·경기도·강원도 지도(보물 제1598호)는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이, 경상총여도(보물 제1599호)는 신성수가, 진주성도(보물 제1600호)는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이, 천하여지도(보물 제1601호)와 조선팔도고금총람도(보물 제1602호)는 서울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조선팔도고금총람도는 조선팔도고금총람도와 같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