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원시의 시내버스는 수원시 관내에서 운행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운임은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적용받으며, 차량 내 안내방송이 이루어진다. 2022년 1월 기준 경진여객, 대원고속, 삼경운수, 성우운수, 수원여객, 용남고속, 용남버스가 운행하며, 경기, 성남, 안산, 오산, 의정부, 용인, 화성 등 다른 시/군의 면허를 가진 업체들도 수원시를 경유한다.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며, 일반 시내버스, 일반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수원시의 교통 - 지방도 제309호선
지방도 제309호선은 평택시, 화성시, 수원시, 의왕시, 과천시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도로, 2005년 신규 지정되었으며, 서수원 ~ 의왕 간 고속화도로 구간 확장 등의 변화가 있었고, 포승읍, 향남읍, 정남면, 봉담읍, 매송면, 권선구, 부곡동, 고천동, 오전동, 청계동, 문원동, 과천동 등을 경유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수원시의 시내버스 | |
---|---|
버스 정보 | |
지역 | 수원시 |
구분 | 시내버스 |
![]() | |
관리 기관 | 수원시청 대중교통과 |
차적지 | 경기도 수원시 |
운행 지역 | 경기도 수원시 전역, 용인시, 안산시, 평택시, 화성시, 오산시, 성남시, 의왕시, 군포시, 안양시, 과천시, 서울특별시 일부 |
노선 수 | 130 |
인가 대수 | 1,220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사이트 | 수원시 버스노선 |
2. 운임
2. 1. 운임 체계
수원시 관내에서 운행되는 시내버스의 운임에 대한 정보는 마을버스 운임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2. 2. 환승 할인
수원시의 시내버스도 수도권 통합운임제를 적용받는다. 수도권 통합운임제는 서울 - 경기 - 인천 대중교통수단간 환승시 총 이동거리에 따라 운임을 부과되는 운임 체계다. 시내일반 노선의 경우 이동거리 10km 이하까지의 운임은 1,450원이며, 초과시 매 5km마다 100원이 추가로 부과된다.3. 차량 안내방송
현재 수원 면허의 모든 노선에서는 차량 안내방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양진텔레콤으로 대부분 안내방송 담당 회사가 통일되어 있는 서울 면허의 차량과는 달리, 운행업체에 따라 서로 다른 안내방송 제작업체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서울 시내버스에서 발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수원시 연장 개통되면 보이스웨어 유미는 녹음을 사용한다.
수원, 성남 지역의 버스 노선 중에는 본시스템 업체의 안내방송을 사용하는 노선들이 있는데, GPS방식의 안내방송이어서 GPS 음영지역에서 방송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외에도 일부 노선에서 실시되는 안내방송의 경우,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는데도 운행업체마다 다른 회사의 안내방송을 사용해 노선들 간의 정류소 명칭이 다르게 방송된다.
3. 1. GPS 음영지역 문제
3. 2. 정류소 명칭 상이 문제
4. 운행업체
4. 1. 시내버스 운행업체
2022년 1월 기준 수원시 면허 시내버스 운행업체는 다음과 같다.[1]
4. 2. 다른 시, 군 면허 운행업체
광주 면허인 경기고속, 대원고속, 성남 면허인 성남시내버스, 대원버스, 안산 면허인 경원여객, 태화상운, 오산 면허인 오산교통, 의정부 면허인 경기고속, 용인 면허인 경남여객(본사는 수원시에 있지만 용인시 면허이다.), 화성 면허인 화성여객, 제부여객, 경진여객, 남양여객 등이 수원시를 경유한다.5. 수원 시내 운행 노선
수원시내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의 일람이다. 비고란에 별다른 지역 언급이 없는 것은 수원시 면허 버스를 뜻한다.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는 2-1번 버스는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천천푸르지오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수원역, 화서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5분이다. 3번 버스는 수원여객에서 운행하며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구운동 삼환아파트까지 운행하고,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화서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분이다.
수원여객의 5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와 경희대학교 사이를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망포역, 영통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15분이다. 5-2번 버스는 수원역환승센터에서 아이원.자이 파밀리에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며, 남양여객과 제부여객이 공동 운행한다. 5-3번 버스는 남양여객에서 운행하며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아이원.자이파밀리에까지 운행하고, 상현역, 광교역, 광교중앙역, 망포역, 동탄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60분이다.
7-1번 버스는 수원여객에서 운행하며 동탄차고지에서 경기대학교까지 운행하고,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을 경유하며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8~13분이다. 7-1A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조원동(조원뉴타운)까지 운행하며, 동탄역, 망포역, 수원버스터미널, 수원역, 장안문,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25분이다. 7-2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상현동)에서 망포역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성복역, 광교중앙역, 수원역, 수원터미널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6~20분이다.
오산교통의 8번 버스는 오산교통 갈곶차고지에서 서천지구까지 운행하며, 오산역, 병점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번 버스는 경희대학교에서 금곡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수원역 등을 경유하고 경희대학교 캠퍼스에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13~20분이다. 9-1번 버스(용남고속)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공세지구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영통역, 경희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는 10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백암터미널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기흥역, 용인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10-2번 버스(경남여객)는 흥덕지구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21~30분이다. 10-5번 버스(경남여객)는 용인터미널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남양여객의 11번 버스는 광교차고지에서 원시역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환승센터, 수원역, 상록수역, 안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9~12분이다. 11-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역 환승센터까지 운행하며, 수원시청역, 아주대학교(병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다.
13번 버스(수원여객)는 광교산에서 금곡동(엘지빌리지)까지 운행하며, 경기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8분이다. 13-1번 버스(수원여객)는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금곡동 강남아파트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수원시청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9분이다. 13-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능실마을 15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7~20분이다. 13-5번 버스(용남고속)는 동탄차고지에서 당수동 삼정아파트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40분이다.
제부여객에서 운행하는 15-1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2차고지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50분이다.16-2번 버스(수원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수원역을 13회 왕복 운행하며, 화서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용남고속의 19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상현역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광교중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수원여객의 20번 버스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운암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병원), 매교역, 병점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20분이다. 20-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운암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병원), 매교역, 병점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5분이다. 20-2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신영통 현대타운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5분이다.
수원여객의 25번 버스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정남(덕신상가)까지 운행하며, 매교역, 세류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22분이다. 25-2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정남면 귀래리까지 6회 운행하며, 25번 차량으로 운행된다. 25-5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귀래산업단지까지 2회 운행하며, 출근 시간대에 25번 차량으로 운행된다. 27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지(풍덕천동)까지 운행하며, 보정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25분이다.
30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2분이다. 30-1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2분이다. 32-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향남18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80분이다.
용남고속의 34번 버스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왕림휴게소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0분이다. 34-1번 버스(용남고속)는 34번과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18~20분이다.
수원여객의 35번 버스는 경기대학교에서 향남택지지구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13~18분이다. 37번 버스(수원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한국민속촌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청명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8~20분이다.
제부여객의 39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향남환승터미널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60~90분이다.
수원여객의 42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에서 봉담2택지지구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오산교통의 46번 버스는 오산교통차고지에서 팔달문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200분이다.
남양여객의 50-2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삼화리, 남전리까지 6회 운행한다. 50-3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덕고개까지 3회, 50-4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쌍학리까지 3회 운행한다. 50-5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창곡리·청요리까지 5회, 50-6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원리까지 3회 운행한다.
경남여객의 55번 버스는 상현역에서 강남대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40분이다.
대원고속의 60번 버스는 광주시 송정동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광주터미널, 오리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2분이다.
수원여객의 61번 버스는 서부차고지(수원여대)에서 망포역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25분이다. 62-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엘지빌리지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성균관대역, 서수원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8분이다. 6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터미널, 매교역, 명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대원고속의 65번 버스는 광교차고지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명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0분이다.
경남여객의 66번 버스는 에버랜드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다. 66-4번 버스(경남여객)는 에버랜드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8분이다.
수원여객의 80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광교호수마을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아주대학교, 상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5분이다. 8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병점(신창미션힐.송화초교)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병원),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16분이다. 82-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여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세류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3분이다. 83-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여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6~15분이다.
용남고속의 88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조원주공아파트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아주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2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매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다. 92-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역, 동남보건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4분이다.
수원여객의 98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에서 동탄신도시 나루마을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9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2신도시 예솔초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아주대학교,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2분이다. 99-2번 버스(용남고속)는 오목천동에서 곡반정동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학교, 아주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30분이다.
수원여객의 112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서수원레이크푸르지오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12분이다.
화성여객의 116-2번 버스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갈곶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60분이다. 116-5번 버스(화성여객)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갈곶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오산시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오산교통의 201번 버스는 오산 갈곶동에서 광교테크노밸리까지 운행하며, 오산역, 병점역, 매교역, 광교중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75분이다. 202번 버스(오산교통)는 오산교통 탑동차고지에서 수원지방법원까지 운행하며, 오산대학교, 병점역, 세류역, 수원시청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1분이다.
화성여객에서 운행하는 202번 버스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반도2차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0~50분이다. 203번 버스(화성여객)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장지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50분이다.
성우운수의 300-1번 버스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병점동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60분이다. 301번 버스(성우운수)는 하북리(견산리)에서 범계역까지 운행하며, 진위역, 오산역, 병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7분이다. 310번 버스(성우운수)는 망포역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경희대학교, 영통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남양여객의 400번 버스는 경기대학교에서 궁평항까지 운행하며, 광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30분이다. 400A번 버스(남양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사강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다.
경남여객의 670번 버스는 에버랜드에서 광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구성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5분이다.
경기고속의 700-2번 버스는 오리역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경기대후문,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20분이다. 720-1번 버스(경기고속)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서현역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아주대학교, 성복역, 미금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720-2번 버스(경기고속)는 수원대학교에서 백현동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아주대학교, 성복역, 죽전역, 미금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5분이다. 720-3번 버스(화성여객)는 단국대학교에서 서동탄역파크자이까지 운행하며, 죽전역, 성복역, 상현역,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분이다.
화성여객의 721번 버스는 영통(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서희스타힐스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0분이다.
용남고속의 777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하며,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성우운수의 900번 버스는 경희대학교에서 보라매공원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1분이다.
남양여객의 999번 버스는 연화장에서 현대기아연구소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다.
5. 1. 일반시내버스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는 2-1번 버스는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천천푸르지오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수원역, 화서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5분이다. 3번 버스는 수원여객에서 운행하며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구운동 삼환아파트까지 운행하고,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화서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분이다.수원여객의 5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와 경희대학교 사이를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망포역, 영통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15분이다. 5-2번 버스는 수원역환승센터에서 아이원.자이 파밀리에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며, 남양여객과 제부여객이 공동 운행한다. 5-3번 버스는 남양여객에서 운행하며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아이원.자이파밀리에까지 운행하고, 상현역, 광교역, 광교중앙역, 망포역, 동탄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60분이다.
7-1번 버스는 수원여객에서 운행하며 동탄차고지에서 경기대학교까지 운행하고,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을 경유하며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8~13분이다. 7-1A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조원동(조원뉴타운)까지 운행하며, 동탄역, 망포역, 수원버스터미널, 수원역, 장안문,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2~25분이다. 7-2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상현동)에서 망포역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성복역, 광교중앙역, 수원역, 수원터미널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6~20분이다.
오산교통의 8번 버스는 오산교통 갈곶차고지에서 서천지구까지 운행하며, 오산역, 병점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번 버스는 경희대학교에서 금곡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수원역 등을 경유하고 경희대학교 캠퍼스에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13~20분이다. 9-1번 버스(용남고속)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공세지구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영통역, 경희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는 10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백암터미널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기흥역, 용인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10-2번 버스(경남여객)는 흥덕지구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21~30분이다. 10-5번 버스(경남여객)는 용인터미널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남양여객의 11번 버스는 광교차고지에서 원시역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환승센터, 수원역, 상록수역, 안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9~12분이다. 11-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역 환승센터까지 운행하며, 수원시청역, 아주대학교(병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0분이다.
13번 버스(수원여객)는 광교산에서 금곡동(엘지빌리지)까지 운행하며, 경기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8분이다. 13-1번 버스(수원여객)는 남부차고지(망포역)에서 금곡동 강남아파트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영통역, 청명역, 수원시청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9분이다. 13-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능실마을 15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7~20분이다. 13-5번 버스(용남고속)는 동탄차고지에서 당수동 삼정아파트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40분이다.
제부여객에서 운행하는 15-1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2차고지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50분이다.16-2번 버스(수원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수원역을 13회 왕복 운행하며, 화서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용남고속의 19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상현역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광교중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수원여객의 20번 버스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운암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병원), 매교역, 병점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20분이다. 20-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운암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아주대학교(병원), 매교역, 병점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5분이다. 20-2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신영통 현대타운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5분이다.
수원여객의 25번 버스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정남(덕신상가)까지 운행하며, 매교역, 세류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22분이다. 25-2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정남면 귀래리까지 6회 운행하며, 25번 차량으로 운행된다. 25-5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귀래산업단지까지 2회 운행하며, 출근 시간대에 25번 차량으로 운행된다. 27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지(풍덕천동)까지 운행하며, 보정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4~25분이다.
30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2분이다. 30-1번 버스(수원여객)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2분이다. 32-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향남18단지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80분이다.
용남고속의 34번 버스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왕림휴게소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20분이다. 34-1번 버스(용남고속)는 34번과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18~20분이다.
수원여객의 35번 버스는 경기대학교에서 향남택지지구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13~18분이다. 37번 버스(수원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한국민속촌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청명역 등을 경유하고 경기대학교 교내로 진입한다. 배차 간격은 8~20분이다.
제부여객의 39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향남환승터미널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60~90분이다.
수원여객의 42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에서 봉담2택지지구까지 운행하며, 화서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오산교통의 46번 버스는 오산교통차고지에서 팔달문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200분이다.
남양여객의 50-2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삼화리, 남전리까지 6회 운행한다. 50-3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덕고개까지 3회, 50-4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쌍학리까지 3회 운행한다. 50-5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창곡리·청요리까지 5회, 50-6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원리까지 3회 운행한다.
경남여객의 55번 버스는 상현역에서 강남대역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40분이다.
대원고속의 60번 버스는 광주시 송정동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광주터미널, 오리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22분이다.
수원여객의 61번 버스는 서부차고지(수원여대)에서 망포역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25분이다. 62-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엘지빌리지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성균관대역, 서수원터미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8분이다. 64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터미널, 매교역, 명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5분이다.
대원고속의 65번 버스는 광교차고지에서 안양역까지 운행하며, 명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0분이다.
경남여객의 66번 버스는 에버랜드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다. 66-4번 버스(경남여객)는 에버랜드에서 수원역까지 운행하며, 청명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8분이다.
수원여객의 80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광교호수마을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아주대학교, 상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5분이다. 8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부차고지(광교신도시)에서 병점(신창미션힐.송화초교)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병원),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3~16분이다. 82-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여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세류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3분이다. 83-1번 버스(수원여객)는 곡반정동에서 수원여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배차 간격은 6~15분이다.
용남고속의 88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조원주공아파트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수원터미널, 아주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2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매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6~10분이다. 92-1번 버스(수원여객)는 동탄차고지에서 성균관대역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수원역, 동남보건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4분이다.
수원여객의 98번 버스는 북부차고지(이목동)에서 동탄신도시 나루마을까지 운행하며,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용남고속의 99번 버스는 수원여자대학교에서 동탄2신도시 예솔초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아주대학교,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22분이다. 99-2번 버스(용남고속)는 오목천동에서 곡반정동까지 운행하며, 서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동남보건대학교, 아주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30분이다.
수원여객의 112번 버스는 곡반정동에서 서수원레이크푸르지오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성균관대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7~12분이다.
화성여객의 116-2번 버스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갈곶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60분이다. 116-5번 버스(화성여객)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갈곶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오산시청, 오산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오산교통의 201번 버스는 오산 갈곶동에서 광교테크노밸리까지 운행하며, 오산역, 병점역, 매교역, 광교중앙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0~75분이다. 202번 버스(오산교통)는 오산교통 탑동차고지에서 수원지방법원까지 운행하며, 오산대학교, 병점역, 세류역, 수원시청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1분이다.
화성여객에서 운행하는 202번 버스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반도2차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0~50분이다. 203번 버스(화성여객)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장지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동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50분이다.
성우운수의 300-1번 버스는 북부차고지(파장동)에서 병점동까지 운행하며, 수원터미널, 병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60분이다. 301번 버스(성우운수)는 하북리(견산리)에서 범계역까지 운행하며, 진위역, 오산역, 병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7분이다. 310번 버스(성우운수)는 망포역에서 동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경희대학교, 영통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0~15분이다.
남양여객의 400번 버스는 경기대학교에서 궁평항까지 운행하며, 광교역,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8~30분이다. 400A번 버스(남양여객)는 경기대학교에서 사강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다.
경남여객의 670번 버스는 에버랜드에서 광교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구성역, 죽전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5분이다.
경기고속의 700-2번 버스는 오리역에서 수원대학교까지 운행하며, 경기대후문,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20분이다. 720-1번 버스(경기고속)는 영통 지역난방공사에서 서현역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아주대학교, 성복역, 미금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15~30분이다. 720-2번 버스(경기고속)는 수원대학교에서 백현동까지 운행하며, 수원역, 아주대학교, 성복역, 죽전역, 미금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5~15분이다. 720-3번 버스(화성여객)는 단국대학교에서 서동탄역파크자이까지 운행하며, 죽전역, 성복역, 상현역,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30분이다.
화성여객의 721번 버스는 영통(지역난방공사)에서 동탄2신도시 서희스타힐스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40분이다.
용남고속의 777번 버스는 수원역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하며,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0~40분이다.
성우운수의 900번 버스는 경희대학교에서 보라매공원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망포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8~11분이다.
남양여객의 999번 버스는 연화장에서 현대기아연구소까지 운행하며, 상현역,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 수원역 등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25~30분이다.
5. 2. 일반좌석버스
번호간격
(분)
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