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유니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로, 2006년 출시된 대한민국의 대형 버스이다. 현대자동차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되었으며, 모노코크 바디를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높이고 차체를 경량화했다. 2019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현대 상용차 섀시를 사용하는 최초의 코치 모델이 되었고, 2020년부터 기아 그랜버드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대한민국, 일본, 필리핀 등에서 운행되며, 특히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프로 스포츠 구단 버스로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버스 - 자일대우 FX
자일대우 FX는 자일대우버스에서 2004년부터 생산한 BH 시리즈의 후속 버스 차종으로, 스탠더드 데크 모델인 FX115 크루저, FX116 크루징 애로우, FX120 크루징 스타와 하이데크 모델인 FX212 슈퍼 크루저, FX212 슈퍼스타 등으로 구성되어 현대 유니버스, 기아 그랜버드 등과 경쟁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모델 체계를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버스 - 현대 에어로시티
현대 에어로시티는 현대자동차가 1991년부터 생산한 버스 모델로,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자가용, 시외, 시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플러그인 방식의 순수 전기버스와 수소연료전지버스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디자인에 일부 변경이 있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그린시티
현대 그린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2010년부터 생산한 중형 버스로,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의 단축형 모델이며 여러 차례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디젤 및 CNG 엔진 모델로 판매되었으나, 2024년 1월 저상버스 출고 의무화로 고상버스 생산이 중단되었다. - 2006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R8
아우디 R8은 2006년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된 아우디의 고성능 스포츠카로, 람보르기니 가야르도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르망 24시 우승 레이스카의 이름을 따왔고, 영화 아이언맨 시리즈에 등장하기도 했다. - 2006년 도입된 자동차 - 폭스바겐 이오스
폭스바겐 이오스는 골프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하드탑 컨버터블 차량으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생산되었으며 통합형 유리 선루프를 갖춘 5피스 접이식 루프가 특징이다.
현대 유니버스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현대자동차 |
다른 이름 | 프레스티지 프레스티지EX 노블 노블EX 프라임 프라임EX 럭셔리 엘레강스 |
생산 기간 | 2006년 – 현재 |
차종 | 대형 버스 |
선행 차량 | 현대 에어로버스 2세대 |
관련 차량 | 기아 그랜버드 (2세대) 현대 에어로 |
설계 | 현대자동차 디자인 센터 |
생산 | |
조립 공장 | 대한민국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완주산단5로 163 (용암리 800) 전주공장 |
차체 및 플랫폼 | |
플랫폼 | 현대 버스 섀시 |
차체 형태 | 단층 코치 |
차대 | 프레임, FRP |
구동 방식 | 뒷바퀴 구동 |
엔진 및 변속기 | |
엔진 | D6AB (300 PS) D6AC (340 PS) D6AV (235 PS) D6HA (유로 4) (380 PS) D6CB-38 (380 PS) D6CB-41 (410 PS) D6CC (유로 4) (425 PS) D6CD (유로 5) (425 PS) D6CG (유로 6) (440 PS) |
최고 출력 | 440 마력 |
연료 | 디젤 압축천연가스 수소전기 |
변속기 | 5/6단 수동 (현대 또는 ZF) 6단 자동 (ZF) 12단 AMT (ZF) |
크기 | |
길이 | 11650 mm 11780 mm 12020 mm 12520 mm (프라임 EX/노블 EX) |
너비 | 2495 mm |
높이 | 3340 mm 3385 mm 3535 mm |
축간거리 | 5850 mm 6020 mm 6120 mm 6625 mm (프라임 EX/노블 Ex) |
전비 중량 | 알 수 없음 |
문 | |
문 개수 | 1 (승객 버스) 2 (시내 버스) |
2. 역사적 배경
2006년 11월 9일 에어로 2세대 모델의 후속 차량으로 출시되었으며, 에어로와는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중에서는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된 차종이며,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자일대우 BX에 이어 2번째로 일본에 수출되었다. 고급좌석버스 및 관광용으로 유니버스의 CNG천연가스버스 모델도 판매되고 있다.[15]
기존 동급 기종의 버스들이 6매 창문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다르게 5매 창문 배열[16]로 되어 있어 좌석에서의 시야가 넓어졌다.
2008년 12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에 전중비형 직행좌석버스가 추가되었고, 2010년 10월에 출시된 2011년식부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럭셔리 이상급은 측면 화물칸 하단에 램프가 추가되었으며, 콜부저의 '''딩동''' 음향이 기본사양이 되었다. 또한 후진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2011년 말 럭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으며, 엘레강스 이하급은 현행대로 생산되고 있다. 출입문이 폴딩도어로 적용된 럭셔리 모델은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를 적용하였다. 2013년 초 2013년식부터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CNG''' 로고가 무색 바탕/주황색 로고에서 흰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바탕/흰색로고로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2014년식부터는 콜부저의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는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가는 윤고딕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 크기도 약간 축소되었다.
2015년 배기가스 규제가 유로6 기준으로 강화됨을 대비하여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가 추가되었으며,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된 유로6 모델이 출시되고 컴포트 모델과 클래식 모델은 수요 저조로 단종되었다. 럭셔리에 출입문이 폴딩도어에만 적용되었던 전면부 크롬 가니쉬가 삭제되고 프라임 모델에 폴딩도어가 추가되었다. 노블 기반의 21인승 프리미엄 사양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공개되었다. 2016년식부터 엘레강스 전중문에 한해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디젤 전 모델에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연료명과 요소수를 각각 표기하였으며, 머플러가 땅을 바라보는 형태의 비노출 타입으로 바뀌었다. 노블 기반에 비행기의 퍼스트클래스석 시트를 적용한 프리미엄 좌석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출시되었다. CD타입 오디오에는 USB 포트가 추가되었으며,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사양), 긴급제동 시스템(AEBS) 등이 추가되었다. 2017년부터 전면부 순정 스포일러 검은 데칼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2018년에는 사제 스포일러가 약간 변경되었다. 그 해 하반기에는 H엔진 한정 옵션이었던 ZF 아스트로닉 12단 AMT를 삭제하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교체했다. 파워텍 엔진에도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적용하며, 기어박스에 달린 버튼식이다. 단, 똑같은 ZF 6단 자동변속기여도 파워모드가 없는 현대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와 달리, 파워모드 스위치가 기어박스 하단에 따로 있다.
2019년 3월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고 뉴그랜버드 실크로드와 같은 경쟁급인 노블 EX, 프레스티지 EX 모델이 추가되었다. HD급은 신규 외장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실내 온도계와 승객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SD급은 전면부 기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에 적용되었던 그릴로 약간 변경하였으며, 스포일러와 운전석 대시보드 외에는 HD급과 달리 많이 변경되지 않았다. 승용차처럼 스마트키가 추가되었으며, 선택사양이다.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올라갔으며,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에서 엑시언트와 동일한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단, 위아래로 레인지를 변경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어 끄트머리에 있는 스위치를 돌려서 레인지를 바꾸는 방식이며, 파워모드 ON/OFF 스위치가 변속기 끄트머리에 따로 있다. 이 방식은 기아 그랜버드도 슈퍼 프리미엄으로 모델 체인지하면서 적용했으며, 승용 라인업에서는 EV인 아이오닉 5가 이 방식을 이용한다. 2020년 6월 1일 비상문이 적용되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와 동일한 삼각램프로 변경되었다. 럭셔리 모델이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되어 단종되고 유니버스 노블 EX, 프레스티지 EX에 저가형인 프라임 EX가 추가되었다. 2023년 6월식부터는 깜박이등과 방향지시등을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되어 같이 점등되도록 변경되었다.
현대자동차가 유일하게 일본 시장에 수출하는 차종이었다. 현대자동차가 판매 부진으로 2009년 11월에 일본 승용 시장에서 철수한 후 2022년에 아이오닉 5와 넥쏘를 앞세워 일본 승용시장에 재진출할 때까지 13년이 걸리는 동안에도, 유니버스는 연료효율과 내구성을 인정받아 일본의 버스 시장에서 인기를 얻어 2010년 이후에도 판매되고 있다.[17] 이후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5와 넥쏘로 일본 승용 시장에 재상륙한 후, 일렉시티 타운 등으로 서서히 일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8년 (헤이세이 20년)에 한국 현대자동차와 토요 에스.이.에 의해 처음으로 선행 프로토타입으로 일본에 수입되었으며, 2009년 (헤이세이 21년) 2월 5일에 현대자동차의 일본 법인인 현대자동차재팬(현대 모빌리티 재팬)에서 정식으로 발매되었다.
2. 1. 개발 과정
현대자동차는 유니버스를 세계 전략 차종으로 간주하여[1], 우측 핸들로 배출 가스 규제와 보안 기준이 다른 국가와 크게 다른 일본에 투입하는 것이 성공하면 품질 면에서 다른 국가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오세아니아 등 우측 핸들을 채택하는 지역에도 투입이 쉬워진다는 판단이 있었다[2].일본 내 버스 사업자로서는 최근의 경기 침체로 수송 수요가 늘지 않고, 새로운 배출 가스 규제에 대응할 때마다 상승하는 차량 가격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에서 양산 효과로 비교적 저렴한 수입차에 관심이 쏠리고 있었다[3][4].
차체는 조립의 용이성과 비용, 그리고 경량화를 고려하여 고강성 모노코크를 채용하고 있지만, 모노코크 차체로 불리해지는 승차감과 정숙성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5]. 또한 룸미러는 국산 버스와 달리, 전면 유리 접착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스타일링은 현대자동차 전주 디자인 센터이며, 미쓰비시 계통에서 벗어난 오리지널 "파워텍 엔진" (12.3 L 직렬 6기통 SOHC 인터쿨러 터보 24 밸브)에 DePM 시스템으로 명명된 세라믹DPF와 냉각 EGR을 조합한 시스템으로, 신 장기 규제·유로 5를 클리어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2009년 (헤이세이 21년)에는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클리어하는 유니버스를 발매했다. DePM 시스템 대신, DPF + SCR로 수입차로서는 처음으로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클리어했다.
일본 사양은 엔진을 파워텍 425 (D6CC)형 (425PS (312kW) /1800rpm, 1891N-m/1200rpm)으로 하여, 일본제 관광 버스에 필적하는 출력을 발휘하며[6], 최대 토크는 그것들을 능가한다[7].
변속기는 ZF 제 6단 MT[8], 서스펜션은 전후륜 모두 차축 현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일본제 관광 버스와 같은 전륜 독립 현가 방식도 검토되었지만, 승차감, 비용, 정비성, 내구성을 고려한 결과 차축식으로 했다. 보조 브레이크 장치로 파워 터드와 유체식 리타더를 장착한다. 에어컨은 덴소의 한국 법인인 덴소 풍성이 제조한 직결식 에어컨을 채용한다.
한국에서는 전면 창 좌우 2분할 사양 설정, 스탠다드 데커 설정 등 다채로운 사양이 존재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하이 데커의 최상위 사양 "익스프레스 노블" 단일 등급으로 전개되었지만, 후에 2열+1열 3열 시트 차량 추가, 보조석 시트, 12열 시트 차량 등 일본 내 니즈에 맞춘 다양한 전개를 확대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국제적으로 일반적인 고정 창 외에, 보조석이 있는 보안 기준에 적합한 측면 창 상부 고정·하부 미닫이 방식 채용, 보조석 설정, 우측 핸들 사양에 더해, 스티어링 컬럼의 컴비네이션 레버 배치를 일본차와 같이 오른쪽 턴 시그널으로 하는 등 대응을 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의 보안 기준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타국 사양에는 없는 비상구를 후부 오른쪽에 설치하고 있다.
2011년 (헤이세이 23년) 도쿄 모터쇼에서, 전면부 및 스포일러 등 외관을 모델 체인지한[9] 유니버스를 발표, 2012년 (헤이세이 24년) 4월부터 정식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발매 이후, 제조사가 사양 설정을 하고 있는 투어 버스, 인바운드 대상 관광 버스 회사에 투입이 눈에 띄며, 광교 관광, 중국 버스, 후지 급행 등 일부 고속 노선 버스에서도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사키 버스 네트워크의 키리시마호와 빈고 라이너, 중국 버스의 메이플 하버와 드림 슬리퍼[10]). 2011년 (헤이세이 23년)에는 일본 버스 협회 회장사이기도 한 후지 급행이 산하의 후지큐 시즈오카 버스에서 주간 고속편 (도쿄~후지노미야), 관광차에서도 후지큐 관광에 관광 12열 격납식 보조석 버전을 투입. 니시테츠(니시테츠 버스)에서도 고속 버스 사양의 차량을 투입하고 있다. 니시테츠의 도입에 이어, 규슈에서는 큐슈 산코 버스, 쇼와 버스가 여러 대를 도입하여 급속하게 보급이 진행되고 있으며, 2016년 (헤이세이 28년)에 다이신토가 후쿠오카현 진출에 맞춰 20대 가까이를 신차 도입하는 등 급속하게 대수가 증가하여, 같은 해에는 과거 최고인 163대가 일본 내에 도입되었다. 한편, 2018년에는 반대로 판매 대수 12대로 급감했으며, 주요 수요 대상인 중국인 관광객의 동향이 반영된 데다, 2020년 이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버스 이용자 감소로, 전국 버스 사업자에서 신차 구매가 줄어들어 연간 도입 대수가 대폭 감소하고 있다.
- 2006년 (헤이세이 18년)
- * 12월 - 한국 국내 및 수출용으로 판매 시작 (좌측 핸들만). 연간 판매 대수는 한국 국내 약 4000대, 수출 약 200대의 대량 판매 차종. 2009년에는 국내 수출을 포함하여 4000대를 판매하여, 단일 차종의 하이데커 타입으로는 최다 생산인 1만 대를 넘어섰다.
- 2007년 (헤이세이 19년)
- * 7월 - 버스 잡지인 "버스 라마 인터내셔널"을 발행하는 포르토 출판이 기획하는 "클럽 버스 라마 투어"의 한국 투어에서 현지 시승회에 사용. 동시에 현대 전주 공장에서 일본인 버스 사업자 드라이버에 의한 테스트 코스에서의 시운전·시승을 실시. 유니버스에 대한 첫 일본인 버스 사업 종사자로서의 운전성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11]。
- * 11월 - 제40회 도쿄 모터쇼에 우측 핸들의 일본 사양차를 참고 출품. 클럽 버스 라마에서의 일본인 직업 드라이버의 의견이 반영. 모터쇼는 일본 버스 협회 기술 위원회에서 안내 배포, DM에 의한 버스 사업자 초대가 이루어졌으며, 더욱 상품에 대한 의견이 수집되었다. 이 차량은 시모노세키까지 자력으로 주행하여 주행 시험 데이터를 수집, 한국·현대자동차 전주 공장에서 충돌 실험을 실시하여 역할을 마쳤다.
- 2008년 (헤이세이 20년)
- * 7월 - 선행 시험차로 현대자동차 컴퍼니·토요 에스·이가, 우측 핸들 선행 양산 초호차 3대를 수입. 이 차량은 스기사키 관광 버스에 2대와 가고시마현의 이와사키 버스 네트워크가 1대 도입하여, 실제 운행되고 있다.
- * 9월 - 수입업체를 "현대자동차 재팬 주식회사"로 하여 국토교통성에 의한 형식 (수입차 특별 취급 제도 = PHP)에 의해 신 장기 규제 적합차로 형식 ('''ADG-RD00''')을 취득. 같은 달, 이와사키 코퍼레이션 (그룹 모회사인 이와사키 산업도 규슈와 간토 지방에서의 본 차종 판매 대리점 업무에 참여)에 납입하는 3호차 (PHP 형식차의 1호차 중 한 대)를 이용하여, 규슈에서 홋카이도까지의 주행 시험을 실시, 후지산, 고후 - 고우미의 2000m 도로, 이로하자카의 상하 주행 등을 클리어하고, 약 5000km에 달하는 시험을 종료.
- * 10월 30일 - 일본 버스 협회 중앙 기술 위원회에서, 일본 법인·수입업체로서의 현대자동차 재팬이 선행 판매 고지와 일본 사양차 정식판의 카탈로그 배포를 실시.
- 2009년 (헤이세이 21년)
- * 1월 22일 - 한국·현대자동차의 일본 법인인 현대자동차 재팬이 2월 5일에 정식 발표·판매를 자사 홈페이지에서 예고.
- * 2월 5일 - 현대자동차 재팬이 정식적인 정규 수입업체로서, 유니버스를 정식으로 발표·판매. 이에 따라 일반 수입차와 마찬가지로 메이커 직계의 수입업체가 총수입 대리점이 됨과 동시에, PHP (수입차 특별 취급 제도) 이면서 수입 버스 최초의 신 장기 규제 적합차가 된다. 도쿄·호텔 뉴 오타니에서의 신차 발표회에는 버스 사업자 160명 이상이 모였다.
- :: 정규 딜러 십여 개 회사 외에, 야마토 운수의 그룹 회사 "야마토 오토웍스"가 현대차를 회원으로 유니버스의 유지 보수를 담당하고, 야나세의 그룹 회사 "야나세 오토파츠"는 수리용 부품 공급을, 레커차 로드 서비스 업체의 전국 체인 "로드 레스큐 21"이 긴급 대응을 담당하게 되었다. 일반 버스가 보증을 1년 10만 킬로미터로 하는 가운데, 파워트레인 (엔진 포함)을 2년 20만 킬로미터 보증하는 것을 발표했다. 2011년에는 로터스 트랙 네트워크와의 협업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 * 8월 28일 - 후지큐 시즈오카 버스가 대형 버스 사업자로는 처음으로 유니버스를 도입. 종래 불가능했던 "측면 LED 방향막" (메이커 강도 설계·국내 가공)과 "좌측 화장실" (납품 딜러인 이와사키 산업과 이즈미 차체의 기획·설계)을 장착하여, 도쿄 - 후지노미야선과 후지노미야·신후지 - 요코하마·하네다 노선에 투입. 2011년에는, 관광차의 테스트 케이스로서 후지큐 관광도 "관광 사양 57인승"을 도입. 동시기 국산차의 정원이 53명인 가운데, 57명, 게다가 후지큐 측의 요청 (격납식 보조석·운전석 후부 승무원 휴게 공간 등)으로 관광차를 성립시켰다.
- * 9월 - 일본 버스 협회에 메이커 찬조 회원으로 가입. 중앙 기술 위원회지에도 광고를 게재.
- * 10월 22일 - 신 타입 추가 발표회로서, 새롭게 12열 61인승·가로 2+1열 30인승을 도쿄·포시즌스 호텔 쓰바키야마장에서 발표. 차량 형식으로는 양산을 고려하면서 시트 배열·장비 사양을 대폭 증가시켰다.
- :: 이 시점에서는, 야마토 오토웍스 외에 유력 딜러 톱 3사 (이와사키 산업<현대 유니버스 이와사키>·영스틸<현대 유니버스 영스틸>·토요 에스이<현대 유니버스 토요 에스이>) 각사는 독자적으로 전국 네트워크의 서비스망을 각각 계약하여 전개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 * 12월 1일 - 일본 법인의 현대자동차 재팬은, 판매 부진으로 승용차 판매를 일시 중단한다고 발표.
- 2010년 (헤이세이 22년)
- * 10월 28일 - 일본 버스 협회 제59회 중앙 기술 위원회에서, 규슈 버스 협회 기술 위원회의 가고시마 교통의 총괄 회사인 이와사키 코퍼레이션이 "외국산 상용차의 도입에 대해·버스 사업자로서의 차량 선택"으로서 국산차를 대신하는 세 번째 선택지로서 21대의 유니버스의 도입 경위·운행 상황을 보고. 또한 중앙 기술 위원회지에도 현대차가 "100대 도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광고를 게재했다. 2010년부터 일본 국내에서 시행된 헤이세이 21년 배출 가스 규제 (포스트 신 장기 규제)에 대해서도, 요소 SCR 시스템의 채용으로 적합시킨다[12]。
- * 12월 1일 - 수입 대형 버스로는 최초로 포스트 신 장기 배출 가스 규제 대응의 유니버스를 발매. 국토교통성에 의한 형식 (수입차 특별 취급 제도 = PHP)에 의해 포스트 신 장기 규제 (유로5 이상) 적합차로 형식 ('''LDG-RD00''')을 취득.
- 2011년 (헤이세이 23년)
- * 9월 - 후지큐 관광에 납차. 누계 납차 대수 180대를 돌파. 같은 달, 주고쿠 버스가 야간 노선 "메이플 하버"에 기간 한정으로 2대 도입. 정기 야간 노선에 도입은 서일본 최초. 같은 해 12월까지 운행된 후, 차량은 다른 노선으로 전용되었다.
- * 11월 - 규슈 산코 버스, 니시테쓰 버스에 납차. 누계 납차 대수 200대는 료비 그룹의 주고쿠 버스가 되었다.
- :: 200대를 넘는 것으로, 과거의 수입 버스 최고 기록 (볼보 쓰쿠바 박람회용 연절 버스·베어 섀시·후지 중공업 가공 100대, 네오플랜<주오 교통>의 200대)을 넘어서게 되었다. 같은 달, 본국에서 페이스리프트를 실시하여, 신형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발표.
- * 11월 30일 - 제42회 도쿄 모터쇼에서 페이스리프트 후의 신형 유니버스를 참고 출품.
- 2012년 (헤이세이 24년)
- * 4월 - 도쿄 모터쇼 발표의 신형 2012년 모델을 정식 발표·발매. 클래스 최초의 ECE 시트 대응·국내 유일의 전 좌석 삼점식 안전 벨트·LED 실내등을 설정했다.
- * 8월 - 후지큐 그룹이 시즈오카선·후지큐 관광의 실적을 바탕으로 메인 노선인 중앙 고속 버스에 7대를 투입 (후지큐 야마나시 1대, 후지큐 평화 2대, 후지 익스프레스 도쿄 4대) 한다. 같은 달, 주고쿠 버스가 야간 노선 "드림 슬리퍼"에 2대를 도입. 개인실 타입 2열 시트·파우더룸·전원 콘센트·이온 발생기·아로마 발생 장치 장착의 특주 사양으로 도입되었다.
- * 9월 - 후지큐 시즈오카 버스가 첫 번째 초호기에 이어, 중앙 고속선과 동형차를 투입 (후지노미야 영업소). 후지큐 그룹에서 유일하게 신·구 동거가 되었다.
- 2014년 (헤이세이 26년)
- * 6월 - 주고쿠 버스가 야간 노선 "메이플 하버"용으로 2대 도입. 야간 노선에서 사용하기 위해, 프라이빗 커튼·파우더룸·승무원 임시 휴게실이 설치되었다.
- 2018년 (헤이세이 30년)
- * 3월 - ZF제 6단 AT차를 추가[13]。
- 2019년 (헤이세이 31년)
- * 4월 - 한국 국내에서 대폭적인 마이너 체인지를 실시한 모델의 판매가 시작되었다. 동시에 12.5m 차도 추가되었다. 현 시점에서 일본 국내에서의 판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2021년 (레이와 3년)
- * 4월 - 리무진 버스·도시 간 노선에서의 사용을 상정한 염가 사양차가 발매. 전후 스포일러가 미장착이 되는 것 외에, 전면 창은 좌우 분할 타입이 채용되었다.
2. 2. 디자인 및 성능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로 출시된 유니버스는 PY라는 프로젝트명으로 3년간 개발되었다. 현대자동차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되었으며, 모노코크 바디를 장착하여 구조적 강성을 강화하고 차체를 경량화했다. 이는 진동 감소와 전복 시 안전성 향상에 기여한다. 디스크 브레이크가 장착된 모델은 ABS 및 ASR을 포함한 전자식 주행 안정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또한, 현대적인 역동적인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선택 사양인 스포일러를 통해 매끄러운 공기역학적 외관을 강조한다. 운전 인체 공학도 개선되었으며, 내구성이 향상되어 서비스 수명이 연장되었다.현대자동차의 235~340마력 Q-엔진과 5단 수동 변속기의 조합으로 우수한 출력과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더욱 깨끗하고 경제적인 유로-III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도 제공된다. 410마력의 새로운 전자 제어식 Powertec D6CB 엔진은 6단 ZF6S1600 자동 변속기를 표준으로 장착했지만, 380마력 버전도 5단 수동 변속기와 함께 제공된다. 2008년에는 새로운 D6HA 및 Powertec D6CC 엔진 개발에 따라 유로-IV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이 추가되었으며, 출력은 380~425마력 범위였다. 탄소 발자국을 의식하는 운영자는 340마력의 CNG 구동 Q-엔진과 같은 대체 연료 엔진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본 사양은 엔진을 파워텍 425 (D6CC)형 (425PS (312kW) /1800rpm, 1891N-m/1200rpm)으로 하여, 일본제 관광 버스에 필적하는 출력을 발휘하며[6], 최대 토크는 그것들을 능가한다[7].
변속기는 ZF 제 6단 MT[8], 서스펜션은 전후륜 모두 차축 현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일본제 관광 버스와 같은 전륜 독립 현가 방식도 검토되었지만, 승차감, 비용, 정비성, 내구성을 고려한 결과 차축식으로 했다. 보조 브레이크 장치로 파워 터드와 유체식 리타더를 장착한다. 에어컨은 덴소의 한국 법인인 덴소 풍성이 제조한 직결식 에어컨을 채용한다.
3. 주요 특징
현대 유니버스는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발전해왔다.
- 5매 창문 배열: 기존 동급 버스 차종의 6매 창문과 달리, 5매 창문 배열[16]을 적용하여 좌석에서 넓은 시야를 확보했다.
- 편의 기능:
- 2010년 10월식: 오디오를 테이프 타입에서 CD/MP3 플레이어 타입으로 변경했다.
- 럭셔리 이상급: 측면 화물칸 하단 램프, 콜부저 '딩동' 음향, 후진 경고음을 기본 사양으로 적용했다.
- 2014년식: 콜부저 색상을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했다.
- 2016년식: CD 타입 오디오에 USB 포트를 추가하고,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 사양), 긴급 제동 시스템(AEBS)을 추가했다.
- 2019년 3월 2차 페이스리프트: 실내 온도계, 승객 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을 추가하고, 스마트키를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다.
- 안전 기능:
- 2015년 유로6 모델: 사이드 마커램프를 적용했다.
- 2016년식: 긴급 제동 시스템(AEBS)을 추가했다.
- 2020년 6월 1일: 비상문을 적용했다.
- 2023년 6월식: 깜박이등 및 방향지시등과 측면 사이드램프를 연동했다.
- 친환경 모델: 340마력 CNG 구동 Q-엔진 등 대체 연료 엔진을 선택할 수 있다.
- 일본 시장: 현대자동차가 일본 승용 시장에서 철수한 후에도, 유니버스는 연료 효율과 내구성을 인정받아 일본 버스 시장에서 판매되었다.[17]
3. 1. 디자인
2006년 11월 9일 에어로 2세대 모델의 후속 차량으로 출시되었으며, 에어로와는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중에서는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된 차종이며,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자일대우 BX에 이어 2번째로 일본에 수출되었다. 또한 고급좌석버스용 및 관광용으로 유니버스의 CNG천연가스버스 모델도 판매되고 있다.[15]이 차량의 특징은 기존의 동급 기종의 버스들이 6개의 창문으로 구성된 것과는 다르게 5개의 창문 배열[16]로 되어 있어 좌석에서의 시야가 넓어진 특징이 있다.
2008년 12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에 전중비형 직행좌석버스가 추가되었고, 2010년 10월에 출시된 2011년식부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럭셔리 이상급은 측면 화물칸 하단에 램프가 추가되었으며, 콜부저의 '''딩동''' 음향이 기본 사양이 되었다. 아울러 후진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2011년 말 럭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으며, 엘레강스 이하급은 현행대로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출입문이 폴딩도어로 적용된 럭셔리 모델은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를 적용하였다. 2013년 초에 선보인 2013년식부터는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CNG''' 로고가 무색 바탕/주황색 로고에서 흰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바탕/흰색 로고로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11월에 선보인 2014년식부터는 콜부저의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고,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가는 윤고딕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 크기도 약간 축소되었다.
2015년에 배기가스 규제가 유로6 기준으로 강화됨에 따라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가 추가되었다.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된 유로6 모델이 출시되고 컴포트 모델과 클래식 모델이 수요 저조로 단종되었다. 그리고 럭셔리에 출입문이 폴딩도어에만 적용되었던 전면부 크롬 가니쉬가 삭제되고 프라임 모델에 폴딩도어가 추가되었다. 노블 기반의 21인승 프리미엄 사양인 프레스티지라는 모델이 공개되었다. 2016년식부터 엘레강스 전중문에 한해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디젤 전 모델에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연료명과 요소수를 각각 표기하였으며, 머플러가 땅을 바라보는 형태의 비노출 타입으로 바뀌었다. 노블 기반에 비행기의 퍼스트클래스석 시트를 적용한 프리미엄 좌석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본격적으로 출시되었다. 그리고 CD타입의 오디오에는 USB 포트가 추가되었으며,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 사양), 긴급 제동 시스템인 AEBS 등이 추가되었다. 2017년부터는 전면부 순정 스포일러 검은 데칼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2018년에는 사제 스포일러가 약간 변경되었다. 그 해 하반기에는 H엔진 한정 옵션이었던 ZF 아스트로닉 12단 AMT를 삭제하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교체했다. 또한 파워텍 엔진에도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적용하며, 기어박스에 달린 버튼식이다. 단, 똑같은 ZF 6단 자동변속기여도 파워모드가 없는 현대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와 달리, 파워모드 스위치가 기어박스 하단에 따로 있다.
2019년 3월에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고 뉴그랜버드 실크로드와 같은 경쟁급인 노블 EX, 프레스티지 EX 모델이 추가되었다. HD급은 신규 외장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실내 온도계와 승객 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SD급은 전면부 기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에 적용되었던 그릴로 약간 변경되었으며, 스포일러와 운전석 대시보드 외에는 HD급과 달리 많이 변경되지 않았다. 아울러 승용차처럼 스마트키가 추가되었으며, 선택 사양이다.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올라갔으며,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에서 엑시언트와 동일한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단, 위아래로 레인지를 변경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어 끄트머리에 있는 스위치를 돌려서 레인지를 바꾸는 방식이며, 파워모드 ON/OFF 스위치가 변속기 끄트머리에 따로 있다. 이 방식은 기아 그랜버드도 슈퍼 프리미엄으로 모델 체인지하면서 적용했으며, 승용 라인업에서는 EV인 아이오닉 5가 이 방식을 이용한다. 2020년 6월 1일에는 비상문이 적용되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와 동일한 삼각 램프로 변경되었다. 아울러 럭셔리 모델이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되어 단종되고 유니버스 노블 EX, 프레스티지 EX에 저가형인 프라임 EX가 추가되었다. 제작 날짜 2023년 6월식부터는 깜빡이등과 방향지시등을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되어 같이 점등되도록 변경되었다.

일본에서는 2008년 (헤이세이 20년)에 한국 현대자동차와 토요 에스.이.에 의해 처음으로 선행 프로토타입으로 일본에 수입되었으며, 2009년 (헤이세이 21년) 2월 5일에 현대자동차의 일본 법인인 현대자동차재팬(현대 모빌리티 재팬)에서 정식으로 발매되었다.
스타일링은 현대자동차 전주 디자인 센터이며, 미쓰비시 계통에서 벗어난 오리지널 "파워텍 엔진" (12.3 L 직렬 6기통 SOHC 인터쿨러 터보 24 밸브)에 DePM 시스템으로 명명된 세라믹DPF와 냉각 EGR을 조합한 시스템으로, 신 장기 규제·유로 5를 만족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2009년 (헤이세이 21년)에는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만족하는 유니버스를 발매했다. DePM 시스템 대신, DPF + SCR로 수입차로서는 처음으로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만족시켰다.
일본 사양은 엔진을 파워텍 425 (D6CC)형 (425PS (312kW) /1800rpm, 1891N-m/1200rpm)으로 하여, 일본제 관광 버스에 필적하는 출력을 발휘하며[6], 최대 토크는 그것들을 능가한다[7].
변속기는 ZF 제 6단 MT[8], 서스펜션은 전후륜 모두 차축 현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일본제 관광 버스와 같은 전륜 독립 현가 방식도 검토되었지만, 승차감, 비용, 정비성, 내구성을 고려한 결과 차축식으로 했다.
보조 브레이크 장치로 파워 터드와 유체식 리타더를 장착한다. 에어컨은 덴소의 한국 법인인 덴소 풍성이 제조한 직결식 에어컨을 채용한다.
한국에서는 전면 창 좌우 2분할 사양 설정, 스탠다드 데커 설정 등 다채로운 사양이 존재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하이 데커의 최상위 사양 "익스프레스 노블" 단일 등급으로 전개되었지만, 후에 2열+1열 3열 시트 차량 추가, 보조석 시트, 12열 시트 차량 등 일본 내 수요에 맞춘 다양한 전개를 확대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국제적으로 일반적인 고정 창 외에, 보조석이 있는 보안 기준에 적합한 측면 창 상부 고정·하부 미닫이 방식 채용, 보조석 설정, 우측 핸들 사양에 더해, 스티어링 컬럼의 컴비네이션 레버 배치를 일본차와 같이 오른쪽 턴 시그널으로 하는 등 대응을 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의 보안 기준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타국 사양에는 없는 비상구를 후부 오른쪽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2011년 (헤이세이 23년) 도쿄 모터쇼에서, 전면부 및 스포일러 등 외관을 모델 체인지한[9] 유니버스를 발표, 2012년 (헤이세이 24년) 4월부터 정식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3. 2. 성능
현대 유니버스는 2006년 11월 9일 에어로 2세대 모델의 후속으로 출시되었다.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중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자일대우 BX에 이어 두 번째로 일본에 수출되었다.[15]이 차량은 기존 동급 버스들이 6매 창문으로 구성된 것과 달리, 5매 창문 배열[16]을 통해 좌석에서의 시야를 넓혔다.
2008년 12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에 전중비형 직행좌석버스가 추가되었다. 2010년 10월에 출시된 2011년식부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되었고,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럭셔리 이상급 모델에는 측면 화물칸 하단 램프와 콜부저의 '''딩동''' 음향이 기본 사양으로, 후진 경고음도 추가되었다. 2011년 말 럭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고, 엘레강스 이하급은 현행대로 생산되었다. 럭셔리 모델은 출입문이 폴딩도어이며,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가 적용되었다.
2013년 초 2013년식부터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부착된 '''CNG''' 로고가 변경되었다. 2014년식부터는 콜부저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고,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변경됨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 크기도 약간 축소되었다.
2015년에는 배기가스 규제 강화(유로6 기준)에 따라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다.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내/외관 변경을 거친 유로6 모델이 출시되었고, 컴포트 및 클래식 모델은 수요 저조로 단종되었다. 럭셔리 모델에 적용되었던 전면부 크롬 가니쉬는 삭제되었고, 프라임 모델에 폴딩도어가 추가되었다. 노블 기반의 21인승 프리미엄 사양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공개되었다.
2016년식부터 엘레강스 전중문에 한해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다. 디젤 전 모델에는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각각 연료명과 요소수를 표기하였으며, 머플러가 비노출 타입으로 변경되었다. 노블 기반에 비행기의 퍼스트클래스석 시트를 적용한 프리미엄 좌석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본격적으로 출시되었다. CD타입 오디오에는 USB 포트가 추가되었으며,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사양), 긴급제동 시스템(AEBS) 등이 추가되었다.
2017년부터 전면부 순정 스포일러 검은 데칼이 변경되었으며, 2018년에는 사제 스포일러가 변경되었다. 그 해 하반기에는 H엔진 한정 옵션이었던 ZF 아스트로닉 12단 AMT를 삭제하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교체했다. 파워텍 엔진에도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적용했으며, 기어박스에 달린 버튼식이다. 현대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와 달리 파워모드 스위치가 기어박스 하단에 있다.
2019년 3월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었고, 뉴그랜버드 실크로드와 경쟁하는 노블 EX, 프레스티지 EX 모델이 추가되었다. HD급은 신규 외장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실내 온도계와 승객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SD급은 전면부 그릴이 변경되었으며, 스포일러와 운전석 대시보드를 제외하고 HD급과 달리 큰 변화는 없었다. 스마트키가 선택 사양으로 추가되었으며,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엑시언트와 동일한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파워모드 ON/OFF 스위치는 변속기 끝에 있다. 이 방식은 기아 그랜버드도 슈퍼 프리미엄으로 모델 체인지하면서 적용했으며, 아이오닉 5도 이 방식을 이용한다.
2020년 6월 1일 비상문이 적용되었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와 동일한 삼각램프로 변경되었다. 럭셔리 모델은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되어 단종되었고, 유니버스 노블 EX, 프레스티지 EX에 저가형인 프라임 EX가 추가되었다. 2023년 6월부터는 깜박이등과 방향지시등이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되어 점등되도록 변경되었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일본 시장에 수출했던 유일한 차종이었다. 현대자동차가 2009년 11월 일본 승용 시장에서 철수한 후, 2022년 아이오닉 5와 넥쏘로 재진출하기 전까지 13년간 유니버스는 연료 효율과 내구성을 인정받아 일본 버스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다.[17] 이후 현대자동차는 일렉시티 타운 등으로 일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11.8M급 미만의 SD 차량은 주로 자가용, 시외버스, 공항버스,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등에 사용된다.
- 컴포트 (Comfort)《'''LR-B'''》: 11.65M 스텐더드 데크 등급, 롱 테이퍼 서스펜션 장착.
- 클래식 (Classic)《'''LR-B'''》: 11.65M 스텐더드 데크 등급, 롱 테이퍼 서스펜션 장착.
- 엘레강스 (Elegance)《'''LR-B'''》: 11.78M 스텐더드 데크 등급, 에어 서스펜션 사용.
- 럭셔리 (Luxury)《'''LR-B'''(일반), '''LR-F'''(장애인용)》: 11.78M 스텐더드 데크 등급, 에어 서스펜션 사용.
구분 | 세부 항목 | 사양 |
---|---|---|
외장 | 전장 | 11,750mm |
전폭 | 2,495mm | |
전고 | 3,740mm | |
축거 | 5,850mm | |
모터 최고 출력 | 335kW | |
모터 최대 토크 | 1,200N∙m | |
수소연료전지 최고 출력 | 180kW (Gross 기준) | |
배터리 용량 | 48.2kWh | |
100% 수소 완충 기준 주행거리 | 635km (광역모드, 간절기 기준) | |
수소 탱크 용량 | 875L(34kg) |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인 유니버스는 PY라는 프로젝트명으로 3년의 개발 기간을 거쳤다.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되었으며, 모노코크 바디를 장착하여 구조적 강성을 강화하고 차체를 경량화했다. 이는 진동 감소와 전복 보호에 기여한다. 디스크 브레이크 장착 모델은 ABS 및 ASR을 포함한 전자식 주행 안정 프로그램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유니버스는 또한 현대적인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선택 사양인 스포일러로 강조된 매끄러운 공기역학적 외관을 자랑한다. 운전 인체 공학도 개선되었으며, 내구성이 향상되었다.
현대자동차의 235~340마력 Q-엔진과 5단 수동 변속기의 조합으로 우수한 출력과 성능을 제공한다. 유로-III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도 제공된다. 410마력의 새로운 전자 제어식 Powertec D6CB 엔진은 6단 ZF6S1600 자동 변속기를 표준으로 장착했지만, 380마력 버전도 5단 수동 변속기와 함께 제공된다. 2008년에는 D6HA 및 Powertec D6CC 엔진 개발에 따라 유로-IV 기준을 충족하는 엔진이 추가되었으며, 출력은 380~425마력 범위였다. 340마력의 CNG 구동 Q-엔진과 같은 대체 연료 엔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모델 라인업은 표준 데크 "스페이스" 변형("클래식", "럭셔리" 트림 레벨)과 하이 데크 "익스프레스" 변형("노블" 트림 레벨)으로 구성된다. 한국 내수 모델은 스페이스 변형의 "컴포트", "엘레강스"와 익스프레스 변형의 "프라임", "노블 퀸" 트림 레벨이 추가된다. VIP 클래스를 위한 "리무진" 트림 레벨은 럭셔리와 편안함을 강조한다. 각 트림 레벨은 미학, 엔진 출력, 서스펜션 유형, 승객 정원, 내부 구성 등 적용 분야에 따라 기능이 다르다. 유니버스는 우측 운전대 형태로 제공되며, 차내 화장실, 휠체어 리프트, 비상문을 장착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2008년 현대자동차와 토요 에스.이에 의해 프로토타입으로 수입되었으며, 2009년 2월 5일 현대자동차재팬(현대 모빌리티 재팬)에서 정식 발매되었다.
현대자동차는 유니버스를 세계 전략 차종으로 간주하여[1], 우측 핸들로 배출 가스 규제와 보안 기준이 다른 일본에 투입하는 것이 성공하면 품질 면에서 다른 국가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오세아니아 등 우측 핸들을 채택하는 지역에도 투입이 쉬워진다는 판단이 있었다.[2]
일본 내 버스 사업자는 경기 침체로 수송 수요가 늘지 않고, 새로운 배출 가스 규제에 대응할 때마다 상승하는 차량 가격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양산 효과로 비교적 저렴한 수입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3][4]
차체는 조립 용이성, 비용, 경량화를 위해 고강성 모노코크를 채용했지만, 승차감과 정숙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5] 룸미러는 국산 버스와 달리 전면 유리 접착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스타일링은 현대자동차 전주 디자인 센터이며, 미쓰비시 계통에서 벗어난 오리지널 "파워텍 엔진" (12.3 L 직렬 6기통 SOHC 인터쿨러 터보 24 밸브)에 DePM 시스템(세라믹DPF와 냉각 EGR 조합)으로 신 장기 규제·유로 5를 만족한다. 2009년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만족하는 유니버스를 발매했다. DePM 시스템 대신 DPF + SCR로 수입차 최초로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만족했다.
일본 사양은 엔진을 파워텍 425 (D6CC)형 (425PS (312kW) /1800rpm, 1891N-m/1200rpm)으로 하여, 일본제 관광 버스에 필적하는 출력을 발휘하며[6], 최대 토크는 그것들을 능가한다.[7]
변속기는 ZF 제 6단 MT[8], 서스펜션은 전후륜 모두 차축 현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전륜 독립 현가 방식도 검토되었지만, 승차감, 비용, 정비성, 내구성을 고려하여 차축식으로 했다.
보조 브레이크 장치로 파워 터드와 유체식 리타더를 장착한다. 에어컨은 덴소의 한국 법인인 덴소 풍성이 제조한 직결식 에어컨을 채용한다.
한국에서는 전면 창 2분할, 스탠다드 데커 등 다채로운 사양이 존재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하이 데커 최상위 사양 "익스프레스 노블" 단일 등급으로 전개되었다. 후에 2열+1열 3열 시트, 보조석 시트, 12열 시트 차량 등 일본 내 요구에 맞춘 전개를 확대하고 있다. 고정 창 외에 보조석이 있는 보안 기준에 적합한 측면 창 상부 고정·하부 미닫이 방식, 보조석 설정, 우측 핸들 사양, 스티어링 컬럼 컴비네이션 레버 배치를 일본차와 같이 오른쪽 턴 시그널로 하는 등 대응을 하고 있다. 보안 기준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타국 사양에는 없는 비상구를 후부 오른쪽에 설치하고 있다.
2011년 도쿄 모터쇼에서 전면부 및 스포일러 등 외관을 모델 체인지한[9] 유니버스를 발표, 2012년 4월부터 정식 판매를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발매 이후, 제조사가 사양 설정을 하고 있는 투어 버스, 인바운드 대상 관광 버스 회사에 투입이 눈에 띈다. 광교 관광, 중국 버스, 후지 급행 등 일부 고속 노선 버스에서도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사키 버스 네트워크의 키리시마호와 빈고 라이너, 중국 버스의 메이플 하버와 드림 슬리퍼[10]). 2011년 일본 버스 협회 회장인 후지 급행이 산하 후지큐 시즈오카 버스에서 주간 고속편 (도쿄~후지노미야), 관광차에서도 후지큐 관광에 관광 12열 격납식 보조석 버전을 투입했다. 니시테츠(니시테츠 버스)에서도 고속 버스 사양의 차량을 투입하고 있다. 규슈에서는 큐슈 산코 버스, 쇼와 버스가 여러 대를 도입하여 보급이 진행되고 있으며, 2016년 다이신토가 후쿠오카현 진출에 맞춰 20대 가까이를 신차 도입하는 등 대수가 증가하여, 같은 해 과거 최고인 163대가 일본에 도입되었다. 2018년에는 판매 대수 12대로 급감했으며, 주요 수요 대상인 중국인 관광객의 동향이 반영되었다. 2020년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버스 이용자 감소로 신차 구매가 줄어들어 연간 도입 대수가 감소하고 있다.
3. 3. 안전 및 편의 기능
2006년 11월 9일 에어로 2세대 모델의 후속 차량으로 출시된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 에어로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15]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중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자일대우 BX에 이어 두 번째로 일본에 수출되었다.[15]기존 동급 기종 버스들이 6매 창문으로 구성된 것과 달리, 5매 창문 배열[16]로 좌석에서의 시야를 넓혔다.
2008년 12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에 전중비형 직행좌석버스가 추가되었다. 2010년 10월에 출시된 2011년식부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되었고,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럭셔리 이상급은 측면 화물칸 하단에 램프가 추가되었고, 콜부저의 '딩동' 음향이 기본 사양이 되었으며, 후진 경고음도 추가되었다.
2011년 말 럭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고, 엘레강스 이하급은 현행대로 생산되었다. 폴딩도어가 적용된 럭셔리 모델은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가 적용되었다. 2013년 초에 선보인 2013년식부터 CNG 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의 'CNG' 로고가 변경되었고, 같은 해 11월에 선보인 2014년식부터는 콜부저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CNG 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변경되었고,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 크기도 약간 축소되었다.
2015년 배기가스 규제 강화에 따라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다.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된 유로6 모델이 출시되었고, 컴포트 모델과 클래식 모델은 단종되었다. 럭셔리에 적용되었던 전면부 크롬 가니쉬가 삭제되었고, 프라임 모델에 폴딩도어가 추가되었다. 노블 기반의 21인승 프리미엄 사양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공개되었다.
2016년식부터 엘레강스 전중문에 한해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및 두께가 변경되었고, 디젤 전 모델에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각각 연료명과 요소수를 표기했으며, 머플러가 비노출 타입으로 바뀌었다. 노블 기반에 비행기 퍼스트클래스석 시트를 적용한 프리미엄 좌석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출시되었다. CD타입 오디오에는 USB 포트가 추가되었고,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사양), 긴급제동 시스템(AEBS) 등이 추가되었다.
2017년부터 전면부 순정 스포일러 검은 데칼이 변경되었고, 2018년 사제 스포일러가 변경되었다. 그 해 하반기 H엔진 한정 옵션이었던 ZF 아스트로닉 12단 AMT를 삭제하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교체했다. 파워텍 엔진에도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적용했으며, 기어박스에 달린 버튼식이다.
2019년 3월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고,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었다. HD급은 신규 외장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실내 온도계와 승객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SD급은 전면부가 변경되었고, 스포일러와 운전석 대시보드 외에는 HD급과 달리 큰 변화가 없었다. 스마트키가 선택 사양으로 추가되었고,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올라갔으며,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 6월 1일 비상문이 적용되었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럭셔리 모델이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되어 단종되었고, 유니버스 노블 EX, 프레스티지 EX에 저가형인 프라임 EX가 추가되었다. 2023년 6월식부터는 깜박이등과 방향지시등을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되어 점등되도록 변경되었다.
3. 4. 친환경 모델
현대 유니버스는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모델도 제공한다. 340마력의 CNG 구동 Q-엔진과 같은 대체 연료 엔진을 선택할 수 있다.4. 모델
현대 유니버스는 2006년 11월 9일 현대 에어로 2세대 모델의 후속으로 출시되었으며, 에어로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중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자일대우 BX에 이어 두 번째로 일본에 수출되었다.[15] 고급 좌석버스 및 관광용으로 유니버스의 CNG 천연가스 버스 모델도 판매되고 있다.
기존 동급 기종 버스들이 6개의 창문으로 구성된 것과 달리, 유니버스는 5개의 창문 배열[16]을 채택하여 좌석에서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2011년 말 럭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으며, 2015년에는 유로6 배기가스 규제 기준에 맞춰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다. 2019년 3월에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고 뉴 그랜버드 실크로드와 경쟁하는 노블 EX, 프레스티지 EX 모델이 추가되었다.
12M급 SD (프라임)/HD (노블, 프레스티지) 차량. 주로 자가용, 관광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고속버스 등에 쓰인다.
모델명 | 전고 | 비고 |
---|---|---|
프라임 (Prime)《LR-B》 | 3.34m | 12M 스텐더드 데크 |
노블 (Noble) 일반, 우등《LR-D》 | 3.49m | 12M 하이 데크 |
프레스티지 (Prestige) 프리미엄 | 3.49m | 12M 하이 데크, 프리미엄 고속버스로 운행 |
고품격 유로 특급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 - | - |
천연가스 버스 모델은 시외버스로는 푸른교통에서 2008년 11월 처음 구입하였으며, 공항버스는 태화공항리무진에서 같은 해 출고되었다. 직행좌석버스로는 2008년 12월 명성에서 처음 구입하여 직행좌석버스 1000번에 투입하였으며, 경기도 일반좌석버스로는 2011년 1월 성우운수에서 처음 구입하여 일반좌석버스 909번에 투입하였다. 2014년 4월 태화상운에서 일반좌석버스 707번에 투입하였다.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 전주 디자인 센터에서 디자인했으며, 2019년부터 EX라는 장축 모델이 출시되었다. 필리핀에서는 다음과 같은 모델이 있다.
모델명 | 비고 |
---|---|
스페이스 | - |
컴포트 | 에어로 스페이스 LD의 후속 모델 |
클래식 | - |
엘레강스 | 에어로 스페이스 LS의 후속 모델 |
럭셔리 (2006–2020) | - |
엑스프레스 | - |
프라임 | 에어로 하이 스페이스의 후속 모델 |
프라임 EX (2020–현재) | - |
노블 | - |
노블 퀸 | 에어로 퀸 하이클래스의 후속 모델 |
노블 EX (2019–현재) | - |
프레스티지 | - |
일본에서는 2008년 (헤이세이 20년)에 한국 현대자동차와 토요 에스.이.에 의해 처음으로 선행 프로토타입으로 일본에 수입되었으며, 2009년 (헤이세이 21년) 2월 5일에 현대자동차의 일본 법인인 현대자동차재팬(현대 모빌리티 재팬)에서 정식으로 발매되었다.
현대자동차는 유니버스를 세계 전략 차종으로 간주하여[1], 우측 핸들로 배출 가스 규제와 보안 기준이 다른 국가와 크게 다른 일본에 투입하는 것이 성공하면 품질 면에서 다른 국가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오세아니아 등 우측 핸들을 채택하는 지역에도 투입이 쉬워진다는 판단이 있었다.[2].
일본 사양은 엔진을 파워텍 425 (D6CC)형 (425PS (312kW) /1800rpm, 1891N-m/1200rpm)으로 하여, 일본제 관광 버스에 필적하는 출력을 발휘하며[6], 최대 토크는 그것들을 능가한다[7].
변속기는 ZF 제 6단 MT[8], 서스펜션은 전후륜 모두 차축 현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보조 브레이크 장치로 파워 터드와 유체식 리타더를 장착한다. 에어컨은 덴소의 한국 법인인 덴소 풍성이 제조한 직결식 에어컨을 채용한다.
한국에서는 전면 창 좌우 2분할 사양 설정, 스탠다드 데커 설정 등 다채로운 사양이 존재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하이 데커의 최상위 사양 "익스프레스 노블" 단일 등급으로 전개되었지만, 후에 2열+1열 3열 시트 차량 추가, 보조석 시트, 12열 시트 차량 등 일본 내 니즈에 맞춘 다양한 전개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의 보안 기준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타국 사양에는 없는 비상구를 후부 오른쪽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2011년 (헤이세이 23년) 도쿄 모터쇼에서, 전면부 및 스포일러 등 외관을 모델 체인지한[9] 유니버스를 발표, 2012년 (헤이세이 24년) 4월부터 정식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발매 이후, 제조사가 사양 설정을 하고 있는 투어 버스, 인바운드 대상 관광 버스 회사에 투입이 눈에 띄며, 광교 관광, 중국 버스, 후지 급행 등 일부 고속 노선 버스에서도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4. 1. 유니버스 스페이스 (SD급)
2006년 11월 9일 에어로 2세대 모델의 후속 차량으로 출시되었으며, 에어로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중에서는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된 차종이며,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자일대우 BX에 이어 2번째로 일본에 수출되었다. 또한 고급좌석버스용 및 관광용으로 유니버스의 CNG천연가스버스 모델도 판매되고 있다.[15]기존의 동급 기종의 버스들이 6매 창문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다르게 5매 창문 배열[16]로 되어 있어 좌석에서의 시야가 넓어진 것이 이 차량의 특징이다.
2008년 12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에 전중비형 직행좌석버스가 추가되었고, 2010년 10월에 출시된 2011년식부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럭셔리 이상급은 측면 화물칸 하단에 램프가 추가되었으며, 콜부저의 '''딩동''' 음향이 기본사양이 되었다. 아울러 후진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2011년 말 럭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으며, 엘레강스 이하급은 현행대로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출입문이 폴딩도어로 적용된 럭셔리 모델은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를 적용하였다. 2013년 초에 선보인 2013년식부터는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경우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CNG''' 로고가 무색 바탕/주황색 로고에서 흰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바탕/흰색 로고로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11월에 선보인 2014년식부터는 콜부저의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는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가는 윤고딕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 크기도 약간 축소되었다.
2015년에 배기가스 규제가 유로6 기준으로 강화됨을 대비하여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가 추가되었으며, 사이드 마커램프가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된 유로6 모델이 출시되었다. 컴포트 모델과 클래식 모델은 수요 저조로 단종되었다. 그리고 럭셔리에 출입문이 폴딩도어에만 적용되었던 전면부 크롬 가니쉬가 삭제되고 프라임 모델에 폴딩도어가 추가되었다. 2016년식부터 엘레강스 전중문에 한해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디젤 전 모델에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연료명과 요소수를 각각 표기하였다. 머플러가 땅을 바라보는 형태의 비노출 타입으로 바뀌었다. CD타입의 오디오에는 USB 포트가 추가되었으며,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사양), 긴급제동 시스템인 AEBS 등이 추가되었다. 2017년부터는 전면부 순정 스포일러 검은 데칼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2018년에는 사제 스포일러가 약간 변경되었다. 그 해 하반기에는 H엔진 한정 옵션이었던 ZF 아스트로닉 12단 AMT를 삭제하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교체했다. 또한 파워텍 엔진에도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적용하며, 기어박스에 달린 버튼식이다. 단, 똑같은 ZF 6단 자동변속기여도 파워모드가 없는 현대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와 달리, 파워모드 스위치가 기어박스 하단에 따로 있다.
2019년 3월에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었다. SD급은 전면부 기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에 적용되었던 그릴로 약간 변경하였으며, 스포일러와 운전석 대시보드를 제외하고는 HD급과 달리 많이 변경되지 않았다. 아울러 승용차처럼 스마트키가 추가되었으며, 선택사양이다.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올라갔으며,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에서 엑시언트와 동일한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단, 위아래로 레인지를 변경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어 끄트머리에 있는 스위치를 돌려서 레인지를 바꾸는 방식이며, 파워모드 ON/OFF 스위치가 변속기 끄트머리에 따로 있다. 이 방식은 기아 그랜버드도 슈퍼 프리미엄으로 모델 체인지하면서 적용했으며, 승용 라인업에서는 EV인 아이오닉 5가 이 방식을 이용한다. 2020년 6월 1일에는 비상문이 적용되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와 동일한 삼각램프로 변경되었다. 럭셔리 모델은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되어 단종되었다. 2023년 6월부터는 깜박이등과 방향지시등을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하여 같이 점등되도록 변경되었다.
11.8M급 미만의 SD 차량으로, 주로 자가용, 시외버스, 공항버스,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등에 쓰인다.
모델명 | 길이 | 서스펜션 | 비고 |
---|---|---|---|
컴포트 (Comfort)《LR-B》 | 11.65M | 롱 테이퍼 | 스텐더드 데크 등급, 단종 |
클래식 (Classic)《LR-B》 | 11.65M | 롱 테이퍼 | 스텐더드 데크 등급, 단종 |
엘레강스 (Elegance)《LR-B》 | 11.78M | 에어 | 스텐더드 데크 등급 |
럭셔리 (Luxury)《LR-B(일반), LR-F(장애인용)》 | 11.78M | 에어 | 스텐더드 데크 등급, 2020년 단종 |
4. 2.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HD급)
ユニバース일본어는 2006년 11월 9일 에어로 2세대 모델의 후속 차량으로 출시되었으며, 에어로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중에서는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된 차종이며,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자일대우 BX에 이어 2번째로 일본에 수출되었다. 고급좌석버스 및 관광용으로 유니버스의 CNG천연가스버스 모델도 판매되고 있다.[15]이 차량은 기존 동급 기종 버스들과 달리 6매 창문이 아닌 5매 창문 배열[16]로 되어 있어 좌석에서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2008년 12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에 전중비형 직행좌석버스가 추가되었고, 2010년 10월에 출시된 2011년식부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되며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럭셔리 이상급은 측면 화물칸 하단에 램프가 추가되었으며, 콜부저의 '''딩동''' 음향이 기본 사양이 되었다. 후진 경고음도 추가되었다. 2011년 말 럭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으며, 엘레강스 이하급은 현행대로 생산되고 있다. 폴딩도어가 적용된 럭셔리 모델은 전면에 크롬 가니쉬가 적용되었다. 2013년 초 2013년식부터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CNG''' 로고가 무색 바탕/주황색 로고에서 흰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바탕/흰색 로고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11월 2014년식부터 콜부저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고,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가는 윤고딕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 크기도 약간 축소되었다.
2015년 배기가스 규제가 유로6 기준으로 강화됨에 따라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다.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된 유로6 모델이 출시되었고, 컴포트 모델과 클래식 모델은 수요 저조로 단종되었다. 럭셔리에 폴딩도어에만 적용되었던 전면부 크롬 가니쉬가 삭제되고 프라임 모델에 폴딩도어가 추가되었다. 노블 기반의 21인승 프리미엄 사양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공개되었다. 2016년식부터 엘레강스 전중문에 한해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디젤 전 모델에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연료명과 요소수를 각각 표기하였고, 머플러가 땅을 바라보는 형태의 비노출 타입으로 바뀌었다. 노블 기반에 비행기의 퍼스트클래스석 시트를 적용한 프리미엄 좌석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본격 출시되었다. CD타입 오디오에는 USB 포트가 추가되었으며,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사양), 긴급제동 시스템인 AEBS 등이 추가되었다. 2017년부터 전면부 순정 스포일러 검은 데칼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2018년에는 사제 스포일러가 약간 변경되었다. 그 해 하반기에는 H엔진 한정 옵션이었던 ZF 아스트로닉 12단 AMT를 삭제하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교체했다. 파워텍 엔진에도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적용하며, 기어박스에 달린 버튼식이다. 단, 현대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와 달리 파워모드 스위치가 기어박스 하단에 있다.
2019년 3월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고 뉴그랜버드 실크로드와 경쟁급인 노블 EX, 프레스티지 EX 모델이 추가되었다. HD급은 신규 외장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실내 온도계와 승객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SD급은 전면부 기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에 적용되었던 그릴로 약간 변경되었으며, 스포일러와 운전석 대시보드를 제외하고 HD급과 달리 큰 변화는 없었다. 승용차처럼 스마트키가 추가되었으며(선택사양),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올라갔다.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에서 엑시언트와 동일한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기어 레인지 변경 방식은 위아래가 아닌 기어 끝 스위치를 돌리는 방식이며, 파워모드 ON/OFF 스위치는 변속기 끝에 있다. 이 방식은 기아 그랜버드가 슈퍼 프리미엄으로 모델 체인지하면서 적용했으며, 승용 라인업에서는 EV인 아이오닉 5가 이 방식을 이용한다. 2020년 6월 1일 비상문이 적용되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와 동일한 삼각램프로 변경되었다. 럭셔리 모델이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되어 단종되고, 유니버스 노블 EX, 프레스티지 EX에 저가형인 프라임 EX가 추가되었다. 2023년 6월식부터 깜빡이등과 방향지시등이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되어 함께 점등된다.
4. 3. 2019년 페이스리프트 이후
2019년 3월에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고 뉴 그랜버드 실크로드와 경쟁하는 노블 EX, 프레스티지 EX 모델이 추가되었다. HD급은 신규 외장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실내 온도계와 승객 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SD급은 전면부 기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에 적용되었던 그릴로 약간 변경하였으며, 스포일러와 운전석 대시보드는 HD급과 달리 많이 변경되지 않았다. 아울러 승용차처럼 스마트키가 추가되었으며, 선택 사양이다.[17]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올라갔으며,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에서 엑시언트와 동일한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단, 위아래로 레인지를 변경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어 끄트머리에 있는 스위치를 돌려서 레인지를 바꾸는 방식이며, 파워모드 ON/OFF 스위치가 변속기 끄트머리에 따로 있다. 이 방식은 기아 그랜버드도 슈퍼 프리미엄으로 모델 체인지하면서 적용했으며, 승용 라인업에서는 EV인 아이오닉 5가 이 방식을 이용한다.2020년 6월 1일에는 비상문이 적용되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와 동일한 삼각 램프로 변경되었다. 아울러 럭셔리 모델이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하여 단종되고 유니버스 노블 EX, 프레스티지 EX에 저가형인 프라임 EX가 추가되었다. 2023년 6월부터는 깜빡이등과 방향지시등이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되어 같이 점등되도록 변경되었다.
2019년에 출시된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1군 고속버스 회사의 경우 우등고속은 금호고속, 속리산고속, 중앙고속, 동양고속 등이 출고하였으며, 그 중 동양고속은 ZF의 컬럼식 6단 자동변속기를 장착했다. 노블 EX와 프레스티지 EX 모델은 금호속리산고속이 최초로 도입했다.
2019년 1월 22일에 공개된 새로운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 상용차 섀시를 사용하는 최초의 코치 모델이며, 2020년부터 새로운 기아 그랜버드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또한 블루링크 커넥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자동차의 캐스케이딩 그릴 대신 새롭게 디자인된 그릴, I자형 LED 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디자인의 헤드램프, LED가 적용된 새로운 디자인의 테일램프를 특징으로 한다. 실내에는 새롭게 디자인된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탑재되었으며, 대시보드에는 대형 컬러 계기판과 대형 터치스크린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새로운 코치의 파워트레인은 수동 및 자동 변속기와 결합된 파워텍 12.7리터 디젤 엔진이다.
5. 운행 국가
현대자동차는 유니버스를 세계 전략 차종으로 간주하여, 대한민국, 일본 외 다른 국가로의 진출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1] 특히 우측 핸들을 사용하는 국가나 배출 가스 규제 및 보안 기준이 엄격한 국가에도 진출하여, 유니버스의 품질과 경쟁력을 입증하고자 했다.[2]
일본 시장 진출은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2008년 (헤이세이 20년) 현대자동차와 토요 에스.이.에 의해 프로토타입이 수입되었고, 2009년 (헤이세이 21년) 2월 5일 현대자동차재팬(현대 모빌리티 재팬)을 통해 정식 발매되었다.
일본 시장의 성공을 바탕으로, 현대자동차는 오세아니아 등 우측 핸들을 사용하는 다른 국가로의 진출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5. 1. 대한민국
2006년 11월 9일 에어로 2세대 모델의 후속 차량으로 출시된 현대 유니버스는 에어로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중에서는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자일대우 BX에 이어 2번째로 일본에 수출되었다. 고급좌석버스용 및 관광용으로 유니버스의 CNG천연가스버스 모델도 판매되고 있다.[15]기존 동급 기종 버스들이 6매 창문으로 구성된 것과 달리, 유니버스는 5매 창문 배열[16]로 좌석에서의 시야를 넓혔다.
2008년 12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에 전중비형 직행좌석버스가 추가되었다. 2010년 10월에 출시된 2011년식부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되었고,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럭셔리 이상급은 측면 화물칸 하단에 램프와 콜부저의 '''딩동''' 음향이 기본사양이 되었으며, 후진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2011년 말 럭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고, 엘레강스 이하급은 현행대로 생산되고 있다. 폴딩도어가 적용된 럭셔리 모델은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를 적용하였다.
2013년 초 2013년식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CNG''' 로고가 변경되었고(무색 바탕/주황색 로고 → 흰색 테두리 연두색 바탕/흰색로고), 같은 해 11월에 출시된 2014년식부터는 콜부저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는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가는 윤고딕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 크기도 약간 축소되었다.
2015년에는 유로6 배기가스 규제 기준 강화에 따라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를 추가했다.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내/외관이 약간 변경된 유로6 모델이 출시되었고, 컴포트 모델과 클래식 모델은 수요 저조로 단종되었다. 럭셔리 모델에 적용되었던 전면부 크롬 가니쉬는 삭제되었고, 프라임 모델에 폴딩도어가 추가되었다. 노블 기반의 21인승 프리미엄 사양인 프레스티지 모델도 공개되었다.
2016년식부터 엘레강스 전중문에 한해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디젤 전 모델에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연료명과 요소수를 각각 표기하였으며, 머플러가 비노출 타입으로 바뀌었다. 노블 기반에 비행기의 퍼스트클래스석 시트를 적용한 프리미엄 좌석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본격적으로 출시되었다. CD타입 오디오에는 USB 포트가 추가되었으며,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사양), 긴급제동 시스템(AEBS) 등이 추가되었다.
2017년부터 전면부 순정 스포일러 검은 데칼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2018년에는 사제 스포일러가 약간 변경되었다. 그 해 하반기에는 H엔진 한정 옵션이었던 ZF 아스트로닉 12단 AMT를 삭제하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교체했다. 파워텍 엔진에도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적용하며, 기어박스에 달린 버튼식이다. 단, 현대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와 달리 파워모드 스위치가 기어박스 하단에 따로 있다.
2019년 3월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고 뉴그랜버드 실크로드랑 같은 경쟁급인 노블 EX, 프레스티지 EX가 모델이 추가되었다. HD급은 신규 외장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실내 온도계랑 승객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SD급은 전면부 기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에 적용되었던 그릴로 약간 변경하였으며, 스포일러랑 운전석 대시보드 외에는 HD급과 달리 많이 변경되지 않았다. 승용차처럼 스마트키가 추가되었으며(선택사양),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에서 엑시언트와 동일한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단, 기어 레인지 변경 방식은 기어 끄트머리에 있는 스위치를 돌리는 방식이며, 파워모드 ON/OFF 스위치가 변속기 끄트머리에 따로 있다. 이 방식은 기아 그랜버드도 슈퍼 프리미엄으로 모델 체인지하면서 적용했으며, 승용 라인업에서는 EV인 아이오닉 5가 이 방식을 이용한다.
2020년 6월 1일에는 비상문이 적용되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랑 동일한 삼각램프로 변경되었다. 럭셔리 모델이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하여 단종되고 유니버스 노블 EX, 프레스티지 EX에 저가형인 프라임 EX가 추가되었다. 2023년 6월식부터는 깜박이등과 방향지시등이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되어 같이 점등되도록 변경되었다.
현대자동차는 2009년 11월 일본 승용 시장에서 철수했지만, 유니버스는 연료 효율과 내구성을 인정받아 일본 버스 시장에서 인기를 얻어 2010년 이후에도 판매되었다.[17] 이후 현대자동차는 2022년 아이오닉 5와 넥쏘로 일본 승용 시장에 재진출했고, 일렉시티 타운 등으로 일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5. 1. 1. 고속버스 회사
현대 유니버스는 11.8M급 미만의 SD 차량으로, 주로 자가용, 시외버스, 공항버스,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등에 쓰인다.
차종 | 등급 | 길이 | 서스펜션 | 비고 |
---|---|---|---|---|
컴포트 (Comfort) | 《LR-B》 | 11.65M | 스텐더드 데크, 롱 테이퍼 서스펜션 | |
클래식 (Classic) | 《LR-B》 | 11.65M | 스텐더드 데크, 롱 테이퍼 서스펜션 | |
엘레강스 (Elegance) | 《LR-B》 | 11.78M | 스텐더드 데크, 에어 서스펜션 | |
럭셔리 (Luxury) | 《LR-B(일반), LR-F(장애인용)》 | 11.78M | 스텐더드 데크, 에어 서스펜션 |
5. 1. 2. 시외버스 회사
11.8M급 미만의 SD 차량은 주로 자가용, 시외버스, 공항버스,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등에 쓰인다.
모델명 | 세부 구분 | 길이 | 서스펜션 | 비고 |
---|---|---|---|---|
컴포트 (Comfort) | LR-B | 11.65M | 롱 테이퍼 서스펜션 | 스텐더드 데크 등급 |
클래식 (Classic) | LR-B | 11.65M | 롱 테이퍼 서스펜션 | 스텐더드 데크 등급 |
엘레강스 (Elegance) | LR-B | 11.78M | 에어 서스펜션 | 스텐더드 데크 등급 |
럭셔리 (Luxury) | LR-B (일반), LR-F (장애인용) | 11.78M | 에어 서스펜션 | 스텐더드 데크 등급 |
5. 1. 3. 공항버스 회사
현대 유니버스 모델 중 11.8M급 미만의 SD 차량은 주로 자가용, 시외버스, 공항버스,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등에 쓰인다. 천연가스 버스 모델은 태화공항리무진에서 2008년에 공항버스용으로 처음 출고하였다.[4]5. 1. 4. 광역버스 및 좌석버스 회사
현대 유니버스 11.8M급 미만 SD 차량은 주로 자가용, 시외버스, 공항버스,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등에 쓰인다.
모델명 | 세부 구분 | 길이 | 서스펜션 | 비고 |
---|---|---|---|---|
컴포트 (Comfort) | LR-B | 11.65M | 롱 테이퍼 서스펜션 | 스텐더드 데크 등급 |
클래식 (Classic) | LR-B | 11.65M | 롱 테이퍼 서스펜션 | 스텐더드 데크 등급 |
엘레강스 (Elegance) | LR-B | 11.78M | 에어 서스펜션 | 스텐더드 데크 등급 |
럭셔리 (Luxury) | LR-B (일반), LR-F (장애인용) | 11.78M | 에어 서스펜션 | 스텐더드 데크 등급 |
5. 2. 일본
일본에서는 2008년(헤이세이 20년)에 한국 현대자동차와 토요 에스.이.에 의해 처음으로 선행 프로토타입으로 일본에 수입되었으며, 2009년(헤이세이 21년) 2월 5일에 현대자동차의 일본 법인인 현대자동차재팬(현대 모빌리티 재팬)에서 정식으로 발매되었다.
현대자동차는 유니버스를 세계 전략 차종으로 간주하여[1], 우측 핸들로 배출 가스 규제와 보안 기준이 다른 국가와 크게 다른 일본에 투입하는 것이 성공하면 품질 면에서 다른 국가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오세아니아 등 우측 핸들을 채택하는 지역에도 투입이 쉬워진다는 판단이 있었다[2].
일본 내 버스 사업자로서는 최근의 경기 침체로 수송 수요가 늘지 않고, 새로운 배출 가스 규제에 대응할 때마다 상승하는 차량 가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양산 효과로 비교적 저렴한 수입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3][4].
차체는 조립의 용이성과 비용, 경량화를 고려하여 고강성 모노코크를 채용하고 있지만, 모노코크 차체로 인해 발생하는 승차감과 정숙성 저하 문제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5]. 룸미러는 국산 버스와 달리, 전면 유리 접착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스타일링은 현대자동차 전주 디자인 센터에서 담당했으며, 미쓰비시 계통에서 벗어난 오리지널 "파워텍 엔진" (12.3 L 직렬 6기통 SOHC 인터쿨러 터보 24 밸브)에 DePM 시스템으로 명명된 세라믹DPF와 냉각 EGR을 조합한 시스템으로, 신 장기 규제·유로 5를 만족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2009년(헤이세이 21년)에는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만족하는 유니버스를 발매했다. DePM 시스템 대신, DPF + SCR을 적용하여 수입차로서는 처음으로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만족시켰다.
일본 사양은 엔진을 파워텍 425 (D6CC)형 (425PS (312kW) /1800rpm, 1891N-m/1200rpm)으로 하여, 일본제 관광 버스에 필적하는 출력을 발휘하며[6], 최대 토크는 그것들을 능가한다[7]. 변속기는 ZF 제 6단 MT[8], 서스펜션은 전후륜 모두 차축 현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일본제 관광 버스와 같은 전륜 독립 현가 방식도 검토되었지만, 승차감, 비용, 정비성, 내구성을 고려하여 차축식으로 결정되었다. 보조 브레이크 장치로 파워 터드와 유체식 리타더를 장착한다. 에어컨은 덴소의 한국 법인인 덴소 풍성이 제조한 직결식 에어컨을 채용한다.
한국에서는 전면 창 좌우 2분할 사양 설정, 스탠다드 데커 설정 등 다채로운 사양이 존재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하이 데커의 최상위 사양 "익스프레스 노블" 단일 등급으로 판매되었지만, 후에 2열+1열 3열 시트 차량, 보조석 시트, 12열 시트 차량 등 일본 내 수요에 맞춘 다양한 사양이 추가되었다. 그 외에도 국제적으로 일반적인 고정 창 외에, 보조석이 있는 보안 기준에 적합한 측면 창 상부 고정·하부 미닫이 방식 채용, 보조석 설정, 우측 핸들 사양에 더해, 스티어링 컬럼의 컴비네이션 레버 배치를 일본차와 같이 오른쪽 턴 시그널으로 하는 등 대응을 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의 보안 기준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 사양에는 없는 비상구를 후부 오른쪽에 설치하고 있다.
2011년(헤이세이 23년) 도쿄 모터쇼에서 전면부 및 스포일러 등 외관을 모델 체인지한[9] 유니버스를 발표, 2012년(헤이세이 24년) 4월부터 정식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발매 이후, 제조사가 사양 설정을 하고 있는 투어 버스, 인바운드 대상 관광 버스 회사에 투입이 두드러지며, 광교 관광, 중국 버스, 후지 급행 등 일부 고속 노선 버스에서도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사키 버스 네트워크의 키리시마호와 빈고 라이너, 중국 버스의 메이플 하버와 드림 슬리퍼[10]). 2011년(헤이세이 23년)에는 일본 버스 협회 회장이기도 한 후지 급행이 산하의 후지큐 시즈오카 버스에서 주간 고속편 (도쿄~후지노미야), 관광차에서도 후지큐 관광에 관광 12열 격납식 보조석 버전을 투입했다. 니시테츠(니시테츠 버스)에서도 고속 버스 사양의 차량을 투입하고 있다. 니시테츠의 도입에 이어, 규슈에서는 큐슈 산코 버스, 쇼와 버스가 여러 대를 도입하여 급속하게 보급이 진행되고 있으며, 2016년(헤이세이 28년)에 다이신토가 후쿠오카현 진출에 맞춰 20대 가까이를 신차 도입하는 등 급속하게 대수가 증가하여, 같은 해에는 과거 최고인 163대가 일본 내에 도입되었다. 한편, 2018년에는 반대로 판매 대수 12대로 급감했으며, 주요 수요 대상인 중국인 관광객의 동향이 반영된 데다, 2020년 이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버스 이용자 감소로, 전국 버스 사업자에서 신차 구매가 줄어들어 연간 도입 대수가 대폭 감소하고 있다.
- 2006년(헤이세이 18년)
- * 12월 - 한국 국내 및 수출용으로 판매 시작 (좌측 핸들만). 연간 판매 대수는 한국 국내 약 4000대, 수출 약 200대의 대량 판매 차종. 2009년에는 국내 수출을 포함하여 4000대를 판매하여, 단일 차종의 하이데커 타입으로는 최다 생산인 1만 대를 넘어섰다.
- 2007년(헤이세이 19년)
- * 7월 - 버스 잡지인 "버스 라마 인터내셔널"을 발행하는 포르토 출판이 기획하는 "클럽 버스 라마 투어"의 한국 투어에서 현지 시승회에 사용. 동시에 현대 전주 공장에서 일본인 버스 사업자 드라이버에 의한 테스트 코스에서의 시운전·시승을 실시. 유니버스에 대한 첫 일본인 버스 사업 종사자로서의 운전성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11]。
- * 11월 - 제40회 도쿄 모터쇼에 우측 핸들의 일본 사양차를 참고 출품. 클럽 버스 라마에서의 일본인 직업 드라이버의 의견이 반영되었다. 또한, 모터쇼는 일본 버스 협회 기술 위원회에서 안내 배포, DM에 의한 버스 사업자 초대가 이루어졌으며, 상품에 대한 의견이 추가로 수집되었다. 이 차량은 시모노세키까지 자력으로 주행하여 주행 시험 데이터를 수집, 한국·현대자동차 전주 공장에서 충돌 실험을 실시하여 역할을 마쳤다.
- 2008년(헤이세이 20년)
- * 7월 - 선행 시험차로 현대자동차 컴퍼니·토요 에스·이가, 우측 핸들 선행 양산 초호차 3대를 수입. 이 차량은 스기사키 관광 버스에 2대와 가고시마현의 이와사키 버스 네트워크가 1대 도입하여, 실제 운행되고 있다.
- * 9월 - 수입업체를 "현대자동차 재팬 주식회사"로 하여 국토교통성에 의한 형식 (수입차 특별 취급 제도 = PHP)에 의해 신 장기 규제 적합차로 형식 ('''ADG-RD00''')을 취득. 같은 달, 이와사키 코퍼레이션(그룹 모회사인 이와사키 산업도 규슈와 간토 지방에서의 본 차종 판매 대리점 업무에 참여)에 납입하는 3호차 (PHP 형식차의 1호차 중 한 대)를 이용하여, 규슈에서 홋카이도까지의 주행 시험을 실시, 후지산, 고후 - 고우미의 2000m 도로, 이로하자카의 상하 주행 등을 클리어하고, 약 5000km에 달하는 시험을 종료.
- * 10월 30일 - 일본 버스 협회 중앙 기술 위원회에서, 일본 법인·수입업체로서의 현대자동차 재팬이 선행 판매 고지와 일본 사양차 정식판의 카탈로그 배포를 실시.
- 2009년(헤이세이 21년)
- * 1월 22일 - 한국·현대자동차의 일본 법인인 현대자동차 재팬이 2월 5일에 정식 발표·판매를 자사 홈페이지에서 예고.
- * 2월 5일 - 현대자동차 재팬이 정식적인 정규 수입업체로서, 유니버스를 정식으로 발표·판매. 이에 따라 일반 수입차와 마찬가지로 메이커 직계의 수입업체가 총수입 대리점이 됨과 동시에, PHP (수입차 특별 취급 제도) 이면서 수입 버스 최초의 신 장기 규제 적합차가 된다. 도쿄·호텔 뉴 오타니에서의 신차 발표회에는 버스 사업자 160명 이상이 모였다.
- :: 또한, 정규 딜러 십여 개 회사 외에, 야마토 운수의 그룹 회사 "야마토 오토웍스"가 현대차를 회원으로 유니버스의 유지 보수를 담당하고, 야나세의 그룹 회사 "야나세 오토파츠"는 수리용 부품 공급을, 레커차 로드 서비스 업체의 전국 체인 "로드 레스큐 21"이 긴급 대응을 담당하게 되었다. 일반 버스가 보증을 1년 10만 킬로미터로 하는 가운데, 파워트레인 (엔진 포함)을 2년 20만 킬로미터 보증하는 것을 발표했다. 2011년에는 로터스 트랙 네트워크와의 협업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 * 8월 28일 - 후지큐 시즈오카 버스가 대형 버스 사업자로는 처음으로 유니버스를 도입. 종래 불가능했던 "측면 LED 방향막" (메이커 강도 설계·국내 가공)과 "좌측 화장실" (납품 딜러인 이와사키 산업과 이즈미 차체의 기획·설계)을 장착하여, 도쿄 - 후지노미야선과 후지노미야·신후지 - 요코하마·하네다 노선에 투입. 2011년에는, 관광차의 테스트 케이스로서 후지큐 관광도 "관광 사양 57인승"을 도입. 동시기 국산차의 정원이 53명인 가운데, 57명, 게다가 후지큐 측의 요청 (격납식 보조석·운전석 후부 승무원 휴게 공간 등)으로 관광차를 성립시켰다.
- * 9월 - 일본 버스 협회에 메이커 찬조 회원으로 가입. 중앙 기술 위원회지에도 광고를 게재.
- * 10월 22일 - 신 타입 추가 발표회로서, 새롭게 12열 61인승·가로 2+1열 30인승을 도쿄·포시즌스 호텔 쓰바키야마장에서 발표. 차량 형식으로는 양산을 고려하면서 시트 배열·장비 사양을 대폭 증가시켰다.
- :: 이 시점에서는, 야마토 오토웍스 외에 유력 딜러 톱 3사 (이와사키 산업<현대 유니버스 이와사키>·영스틸<현대 유니버스 영스틸>·토요 에스이<현대 유니버스 토요 에스이>) 각사는 독자적으로 전국 네트워크의 서비스망을 각각 계약하여 전개함으로써 대응하고 있다.
- * 12월 1일 - 일본 법인의 현대자동차 재팬은, 판매 부진으로 승용차 판매를 일시 중단한다고 발표.
- 2010년(헤이세이 22년)
- * 10월 28일 - 일본 버스 협회 제59회 중앙 기술 위원회에서, 규슈 버스 협회 기술 위원회의 가고시마 교통의 총괄 회사인 이와사키 코퍼레이션이 "외국산 상용차의 도입에 대해·버스 사업자로서의 차량 선택"으로서 국산차를 대신하는 세 번째 선택지로서 21대의 유니버스의 도입 경위·운행 상황을 보고. 또한 중앙 기술 위원회지에도 현대차가 "100대 도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광고를 게재했다. 2010년부터 일본 국내에서 시행된 헤이세이 21년 배출 가스 규제 (포스트 신 장기 규제)에 대해서도, 요소 SCR 시스템의 채용으로 적합시킨다[12]。
- * 12월 1일 - 수입 대형 버스로는 최초로 포스트 신 장기 배출 가스 규제 대응의 유니버스를 발매. 국토교통성에 의한 형식 (수입차 특별 취급 제도 = PHP)에 의해 포스트 신 장기 규제 (유로5 이상) 적합차로 형식 ('''LDG-RD00''')을 취득.
- 2011년(헤이세이 23년)
- * 9월 - 후지큐 관광에 납차. 누계 납차 대수 180대를 돌파. 같은 달, 주고쿠 버스가 야간 노선 "메이플 하버"에 기간 한정으로 2대 도입. 정기 야간 노선에 도입은 서일본 최초. 같은 해 12월까지 운행된 후, 차량은 다른 노선으로 전용되었다.
- * 11월 - 규슈 산코 버스, 니시테쓰 버스에 납차. 누계 납차 대수 200대는 료비 그룹의 주고쿠 버스가 되었다.
- :: 200대를 넘는 것으로, 과거의 수입 버스 최고 기록 (볼보 쓰쿠바 박람회용 연절 버스·베어 섀시·후지 중공업 가공 100대, 네오플랜<주오 교통>의 200대)을 넘어서게 되었다. 같은 달, 본국에서 페이스리프트를 실시하여, 신형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발표.
- * 11월 30일 - 제42회 도쿄 모터쇼에서 페이스리프트 후의 신형 유니버스를 참고 출품.
- 2012년(헤이세이 24년)
- * 4월 - 도쿄 모터쇼 발표의 신형 2012년 모델을 정식 발표·발매. 클래스 최초의 ECE 시트 대응·국내 유일의 전 좌석 삼점식 안전 벨트·LED 실내등을 설정했다.
- * 8월 - 후지큐 그룹이 시즈오카선·후지큐 관광의 실적을 바탕으로 메인 노선인 중앙 고속 버스에 7대를 투입 (후지큐 야마나시 1대, 후지큐 평화 2대, 후지 익스프레스 도쿄 4대) 한다. 같은 달, 주고쿠 버스가 야간 노선 "드림 슬리퍼"에 2대를 도입. 개인실 타입 2열 시트·파우더룸·전원 콘센트·이온 발생기·아로마 발생 장치 장착의 특주 사양으로 도입되었다.
- * 9월 - 후지큐 시즈오카 버스가 첫 번째 초호기에 이어, 중앙 고속선과 동형차를 투입 (후지노미야 영업소). 후지큐 그룹에서 유일하게 신·구 동거가 되었다.
- 2014년(헤이세이 26년)
- * 6월 - 주고쿠 버스가 야간 노선 "메이플 하버"용으로 2대 도입. 야간 노선에서 사용하기 위해, 프라이빗 커튼·파우더룸·승무원 임시 휴게실이 설치되었다.
- 2018년(헤이세이 30년)
- * 3월 - ZF제 6단 AT차를 추가[13]。
- 2019년(헤이세이 31년)
- * 4월 - 한국 국내에서 대폭적인 마이너 체인지를 실시한 모델의 판매가 시작되었다. 동시에 12.5m 차도 추가되었다. 현 시점에서 일본 국내에서의 판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2021년(레이와 3년)
- * 4월 - 리무진 버스·도시 간 노선에서의 사용을 상정한 염가 사양차가 발매. 전후 스포일러가 미장착이 되는 것 외에, 전면 창은 좌우 분할 타입이 채용되었다.
5. 3. 기타 국가
일본에서는 2008년(헤이세이 20년)에 한국 현대자동차와 토요 에스.이.에 의해 처음으로 선행 프로토타입으로 일본에 수입되었으며, 2009년(헤이세이 21년) 2월 5일에 현대자동차의 일본 법인인 현대자동차재팬(현대 모빌리티 재팬)에서 정식으로 발매되었다.현대자동차는 유니버스를 세계 전략 차종으로 간주하여[1], 우측 핸들로 배출 가스 규제와 보안 기준이 다른 국가와 크게 다른 일본에 투입하는 것이 성공하면 품질 면에서 다른 국가에서도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오세아니아 등 우측 핸들을 채택하는 지역에도 투입이 쉬워진다는 판단이 있었다[2].
일본 내 버스 사업자로서는 최근의 경기 침체로 수송 수요가 늘지 않고, 새로운 배출 가스 규제에 대응할 때마다 상승하는 차량 가격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에서 양산 효과로 비교적 저렴한 수입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3][4].
차체는 조립의 용이성과 비용, 그리고 경량화를 고려하여 고강성 모노코크를 채용하고 있지만, 모노코크 차체로 불리해지는 승차감과 정숙성에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5]. 룸미러는 국산 버스와 달리, 전면 유리 접착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스타일링은 현대자동차 전주 디자인 센터이며, 미쓰비시 계통에서 벗어난 오리지널 "파워텍 엔진" (12.3 L 직렬 6기통 SOHC 인터쿨러 터보 24 밸브)에 DePM 시스템으로 명명된 세라믹DPF와 냉각 EGR을 조합한 시스템으로, 신 장기 규제·유로 5를 클리어하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2009년(헤이세이 21년)에는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클리어하는 유니버스를 발매했다. DePM 시스템 대신, DPF + SCR로 수입차로서는 처음으로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클리어했다.
일본 사양은 엔진을 파워텍 425 (D6CC)형 (425PS (312kW) /1800rpm, 1891N-m/1200rpm)으로 하여, 일본제 관광 버스에 필적하는 출력을 발휘하며[6], 최대 토크는 그것들을 능가한다[7]. 변속기는 ZF 제 6단 MT[8], 서스펜션은 전후륜 모두 차축 현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일본제 관광 버스와 같은 전륜 독립 현가 방식도 검토되었지만, 승차감, 비용, 정비성, 내구성을 고려한 결과 차축식으로 했다. 보조 브레이크 장치로 파워 터드와 유체식 리타더를 장착한다. 에어컨은 덴소의 한국 법인인 덴소 풍성이 제조한 직결식 에어컨을 채용한다.
한국에서는 전면 창 좌우 2분할 사양 설정, 스탠다드 데커 설정 등 다채로운 사양이 존재하지만 일본 내에서는 하이 데커의 최상위 사양 "익스프레스 노블" 단일 등급으로 전개되었지만, 후에 2열+1열 3열 시트 차량 추가, 보조석 시트, 12열 시트 차량 등 일본 내 니즈에 맞춘 다양한 전개를 확대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국제적으로 일반적인 고정 창 외에, 보조석이 있는 보안 기준에 적합한 측면 창 상부 고정·하부 미닫이 방식 채용, 보조석 설정, 우측 핸들 사양에 더해, 스티어링 컬럼의 컴비네이션 레버 배치를 일본차와 같이 오른쪽 턴 시그널으로 하는 등 대응을 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의 보안 기준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타국 사양에는 없는 비상구를 후부 오른쪽에 설치하고 있다. 2011년 (헤이세이 23년) 도쿄 모터쇼에서, 전면부 및 스포일러 등 외관을 모델 체인지한[9] 유니버스를 발표, 2012년 (헤이세이 24년) 4월부터 정식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일본에서는 발매 이후, 제조사가 사양 설정을 하고 있는 투어 버스, 인바운드 대상 관광 버스 회사에 투입이 눈에 띄며, 광교 관광, 중국 버스, 후지 급행 등 일부 고속 노선 버스에서도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사키 버스 네트워크의 키리시마호와 빈고 라이너, 중국 버스의 메이플 하버와 드림 슬리퍼[10]). 2011년(헤이세이 23년)에는 일본 버스 협회 회장사이기도 한 후지 급행이 산하의 후지큐 시즈오카 버스에서 주간 고속편 (도쿄~후지노미야), 관광차에서도 후지큐 관광에 관광 12열 격납식 보조석 버전을 투입. 니시테츠(니시테츠 버스)에서도 고속 버스 사양의 차량을 투입하고 있다. 니시테츠의 도입에 이어, 규슈에서는 큐슈 산코 버스, 쇼와 버스가 여러 대를 도입하여 급속하게 보급이 진행되고 있으며, 2016년(헤이세이 28년)에 다이신토가 후쿠오카현 진출에 맞춰 20대 가까이를 신차 도입하는 등 급속하게 대수가 증가하여, 같은 해에는 과거 최고인 163대가 일본 내에 도입되었다. 한편, 2018년에는 반대로 판매 대수 12대로 급감했으며, 주요 수요 대상인 중국인 관광객의 동향이 반영된 데다, 2020년 이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버스 이용자 감소로, 전국 버스 사업자에서 신차 구매가 줄어들어 연간 도입 대수가 대폭 감소하고 있다.
6. 대한민국의 프로 스포츠 구단 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대한민국의 프로 스포츠 구단에서 구단 버스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역 | 운수 회사 |
---|---|
서울특별시 | 남성버스[28], 동성교통[29], 서울매일버스[30] |
부산광역시 | 동남여객[31], 동원여객, 동진여객[31], 부일여객, 삼신교통, 삼진여객[32], 세진여객[33], 태영버스, 해동여객, 신한여객, 부산여객 |
인천광역시 | 마니교통[34], 신강교통[35], 인강여객[36], 선진여객[37], 천지교통[38], 강화교통[39], 신동아교통[40] |
대전광역시 | 대전비알티[41] |
울산광역시 | 남성여객[42], 신도여객[42], 울산여객[43][42], 유진버스[42], 학성버스[44][42], 한성교통[42], 세원 |
경기도 | 선진시내버스[45], 경원여객[46], 김포운수[47], 경진여객[48], 명성[49], 성남시내버스[50], 삼경운수[51], 성우운수[52], 시흥교통[53], 신성교통[54], 용남고속[55], 선진버스[56], 가평교통[57], 경남여객[58], 보영운수[59], 태화상운[60], 제부여객[61], 대원고속, 경기고속, 평안운수, 경기여객, 대원운수, 대원버스, 화성여객, 소신여객, 화영운수, 진명여객, 평택버스 |
경상남도 | 세원[62], 대운교통, 창원버스, 대중교통, 마인버스, 마창여객, 제일교통, 세일교통[63], 거제삼화여객[63], 푸른교통 |
충청북도 | 동양교통[64], 동일운수[64], 우진교통[64], 청신운수[64], 청주교통[64], 한성운수[64] |
경상북도 | 새천년미소 |
제주특별자치도 | 극동여객, 제주여객, 동진여객 |
강원특별자치도 | 영암고속[65] |
충청남도 | 경익버스[66], 아산여객, 온양교통 |
7. 기타
2006년 11월 9일 에어로 2세대 모델의 후속 차량으로 출시된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 에어로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되었다.[15]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중에서는 처음으로 일본에 수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버스로는 자일대우 BX에 이어 2번째로 일본에 수출되었다.[15] 고급좌석버스용 및 관광용으로 유니버스의 CNG천연가스버스 모델도 판매되고 있다.[15]
이 차량은 기존 동급 기종 버스들이 6매 창문으로 구성된 것과 달리, 5매 창문 배열[16]로 좌석에서의 시야를 넓힌 것이 특징이다.
2008년 12월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에 전중비형 직행좌석버스가 추가되었고, 2010년 10월에 출시된 2011년식부터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되며 MP3 플레이어가 추가되었다. 럭셔리 이상급은 측면 화물칸 하단에 램프가 추가되었고, 콜부저의 '''딩동''' 음향이 기본사양이 되었으며, 후진 경고음도 추가되었다. 2011년 말 럭셔리 이상급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로 페이스리프트되었고, 엘레강스 이하급은 현행대로 생산되고 있다. 출입문이 폴딩도어로 적용된 럭셔리 모델은 전면부에 크롬 가니쉬를 적용하였다.
2013년 초 2013년식부터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우측면 왼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CNG''' 로고가 무색 바탕/주황색 로고에서 흰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바탕/흰색 로고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11월 2014년식부터는 콜부저의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고, CNG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가는 윤고딕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로고 크기도 약간 축소되었다.
2015년 배기가스 규제가 유로6 기준으로 강화됨에 따라 엔진을 H430, 파워텍 440 엔진으로 변경하고 요소수 탱크가 추가되었다. 사이드 마커램프 적용 및 차량 외관과 내관이 약간 변경된 유로6 모델이 출시되었고, 컴포트 모델과 클래식 모델은 수요 저조로 단종되었다. 럭셔리에 출입문이 폴딩도어에만 적용되었던 전면부 크롬 가니쉬가 삭제되고 프라임 모델에 폴딩도어가 추가되었다. 노블 기반의 21인승 프리미엄 사양인 프레스티지라는 모델이 공개되었다.
2016년식부터 엘레강스 전중문에 한해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디젤 전 모델에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연료명과 요소수를 각각 표기하였으며, 머플러가 땅을 바라보는 형태의 비노출 타입으로 바뀌었다. 노블 기반에 비행기의 퍼스트클래스석 시트를 적용한 프리미엄 좌석인 프레스티지 모델이 본격적으로 출시되었다. CD타입의 오디오에는 USB 포트가 추가되었으며, 독립식 우등시트, 3점식 안전벨트(선택사양), 긴급제동 시스템인 AEBS 등이 추가되었다.
2017년부터 전면부 순정 스포일러 검은 데칼이 약간 변경되었으며, 2018년 사제 스포일러가 약간 변경되었다. 그 해 하반기에는 H엔진 한정 옵션이었던 ZF 아스트로닉 12단 AMT를 삭제하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로 교체했다. 파워텍 엔진에도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옵션으로 적용하며, 기어박스에 달린 버튼식이다. 단, 똑같은 ZF 6단 자동변속기여도 파워모드가 없는 현대 에어로시티 저상버스와 달리, 파워모드 스위치가 기어박스 하단에 따로 있다.
2019년 3월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유니버스 스페이스, 익스프레스 명칭이 삭제되고 뉴그랜버드 실크로드랑 같은 경쟁급인 노블 EX, 프레스티지 EX 모델이 추가되었다. HD급은 신규 외장 디자인이 적용되었고, 실내 온도계랑 승객좌석 안전벨트 경고등이 추가되었다. SD급은 전면부 기존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에 적용되었던 그릴로 약간 변경하였으며, 스포일러랑 운전석 대시보드 외에는 HD급과 달리 많이 변경되지 않았다. 승용차처럼 스마트키가 추가되었으며, 선택사양이다. 6단 수동변속기는 대시보드에 올라갔으며,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는 버튼식에서 엑시언트와 동일한 컬럼식으로 변경되었다. 단, 위아래로 레인지를 변경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어 끄트머리에 있는 스위치를 돌려서 레인지를 바꾸는 방식이며, 파워모드 ON/OFF 스위치가 변속기 끄트머리에 따로 있다. 이 방식은 기아 그랜버드도 슈퍼 프리미엄으로 모델 체인지하면서 적용했으며, 승용 라인업에서는 EV인 아이오닉 5가 이 방식을 이용한다.
2020년 6월 1일 비상문이 적용되고, SD급 전면부가 HD급 전면부랑 동일한 삼각램프로 변경되었다. 럭셔리 모델이 엘레강스 모델로 통합되어 단종되고 유니버스 노블 EX, 프레스티지 EX에 저가형인 프라임 EX가 추가되었다. 2023년 6월식부터는 깜박이등과 방향지시등을 측면 사이드램프와 연동되어 같이 점등되도록 변경되었다.
한동안 현대자동차가 유일하게 일본 시장에 수출하는 차종이었다. 현대자동차가 판매 부진으로 2009년 11월에 일본 승용 시장에서 철수한 후 2022년에 아이오닉 5와 넥쏘를 앞세워 일본 승용시장에 재진출할 때까지 13년이 걸리는 동안에도, 유니버스는 연료효율과 내구성을 인정받아 일본의 버스 시장에서 인기를 얻어 2010년 이후에도 판매되고 있다.[17] 이후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5와 넥쏘로 일본 승용 시장에 재상륙한 후, 일렉시티 타운 등으로 서서히 일본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11.8M급 미만의 SD 차량은 주로 자가용, 시외버스, 공항버스, 직행좌석버스, 급행버스 등에 쓰인다.
일본 현지에서는 하이데크형인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차종만 수출해서 사용하거나 한국과는 달리 1/3 개폐창문이 아니라 2/3 개폐창문을 사용한다.
- '''과거 운행했던 회사'''
회사 |
---|
나하 버스 |
도사전기철도 |
서일본 철도(니시테쓰 버스) |
쇼와 자동차 |
오리온 관광 |
이와사키 버스 네트워크 |
일본 중앙 버스 |
츄고쿠 버스 |
큐산코 관광 |
후지 급행 |
히로코 관광 |
고미나토 철도버스 |
하나투어 전용버스 |
모두투어 전용버스 |
8. 경쟁 차종
현대 유니버스는 세계 전략 차종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국가의 환경에 맞게 설계되었다.[1] 특히 일본 시장은 자동차 배출 가스 규제와 보안 기준이 엄격하여, 이곳에서의 성공은 다른 국가에서도 품질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의미였다.[2]
일본 시장에서 유니버스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주목받았다.[3][4] 일본 내 버스 사업자들은 경기 침체와 강화되는 배출 가스 규제로 인해 차량 가격 상승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이다.
차체는 모노코크 방식을 채택하여 조립이 쉽고 가벼우며, 승차감과 정숙성에도 신경을 썼다.[5] 엔진은 12.3L 직렬 6기통 SOHC 인터쿨러 터보 24 밸브 "파워텍 엔진"을 탑재하여 신 장기 규제 및 유로 5 기준을 충족했다. 2009년에는 포스트 신 장기 규제를 만족하는 모델도 출시되었다.
일본 사양은 425마력(D6CC) 엔진을 탑재하여 일본 관광 버스 수준의 출력을 냈으며,[6] 변속기는 ZF 제 6단 MT를,[8] 서스펜션은 전후륜 모두 차축 현가 방식을 사용했다. 에어컨은 덴소의 한국 법인인 덴소 풍성에서 제조한 직결식 에어컨을 장착했다.
일본 내에서는 하이 데커 최상위 사양인 "익스프레스 노블" 등급으로 판매되었으며, 다양한 좌석 배치와 보조석 설정을 통해 일본 시장의 요구에 맞췄다. 또한, 보조석 설정, 우측 핸들, 일본식 턴 시그널 레버 배치, 비상구 설치 등 일본 보안 기준에 맞게 설계되었다.
2011년 도쿄 모터쇼에서는 외관 디자인을 변경한 모델이 발표되었고,[9] 2012년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투어 버스, 인바운드 관광 버스 회사, 일부 고속 노선 버스 등에서 유니버스를 도입했다. 후지 급행, 니시테츠(니시테츠 버스) 등 주요 버스 회사들도 유니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하고 있다.
2016년에는 일본 내 유니버스 도입 대수가 163대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2018년에는 12대로 급감했다. 이는 중국인 관광객 감소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버스 이용 감소 때문으로 분석된다.
참조
[1]
문서
null
[2]
간행물
バスラマインターナショナル No.112
null
2009-02
[3]
문서
null
[4]
뉴스
強力エアコン搭載の「沖縄仕様」 那覇バスと琉球バス交通、貸し切りバス20台購入
http://www.okinawati[...]
沖縄タイムス
2016-09-17
[5]
뉴스
外国バス最前線!現代自動車「ユニバース」が売れている!!
http://www.bus-trip.[...]
バス観光マガジン
2016-08-17
[6]
문서
null
[7]
문서
null
[8]
문서
null
[9]
문서
null
[10]
웹사이트
中四国で初!びんごライナーにWi-Fi搭載
http://www.chugokubu[...]
中国バス
[11]
간행물
バスラマインターナショナル NO.103
null
2007-08
[12]
간행물
バスラマインターナショナル No.117
null
2009-12
[13]
뉴스
現代自動車(ヒュンダイモーター)の「ユニバース」に待望のAT車がデビュー! その走行性能や操作性は?
https://www.bushikak[...]
バストリップ
2018-07-09
[14]
문서
null
[15]
문서
null
[16]
문서
null
[17]
뉴스
값싼 중국산 트럭·승합차 몰려온다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null
[18]
웹인용
현대차,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출시
https://www.asiae.co[...]
2023-04-11
[19]
웹인용
현대차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나왔다…친환경 선도
https://www.newsis.c[...]
NEWSIS
2023-04-11
[20]
웹인용
현대차,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출시
https://daily.hankoo[...]
2023-04-11
[21]
웹인용
현대차, 소방관 회복지원 수소전기버스 캠페인 영상 '사륙 사칠' 공개
https://news.tvchosu[...]
2024-07-08
[22]
웹인용
"소방관이 회복해야 시민 생명 구해"…현대차의 응원 '사륙, 사칠'
https://www.news1.kr[...]
2024-07-08
[23]
문서
null
[24]
문서
null
[25]
문서
null
[26]
문서
null
[27]
문서
null
[28]
문서
null
[29]
문서
null
[30]
문서
null
[31]
문서
null
[32]
문서
null
[33]
문서
null
[34]
문서
null
[35]
문서
null
[36]
문서
M6405번 증차분 및 9100번, 9200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37]
문서
M6118번 및 9300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38]
문서
1301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39]
문서
800번 노선 투입 버스 도색 정보
[40]
문서
1200번 노선 투입 버스 도색 정보
[41]
문서
B1번 운행 버스 정보
[42]
문서
1137번 직행좌석 전환 버스 도입 정보
[43]
문서
KTX 2단계 개통 대비 5002번, 5004번 투입 버스 도입 정보
[44]
문서
KTX 2단계 개통 대비 5001번 투입 버스 도입 정보
[45]
문서
3100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46]
문서
M6410번 및 여러 노선 투입 버스 도색 및 시트 정보
[47]
문서
M6117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48]
문서
7770번~7900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49]
문서
여러 노선 투입 버스 도색 정보
[50]
문서
4500번, 9507번, 9607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51]
문서
2007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52]
문서
909번 노선 투입 버스 도색 정보
[53]
문서
3200번, 3300번, 3400번 투입 버스 도색 및 시트 정보
[54]
문서
200번, 9030번 및 M7111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55]
문서
여러 노선 투입 버스 정보
[56]
문서
M7119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57]
문서
1330번대 투입 버스 정보
[58]
문서
5000번대 및 5600번, 5700번 투입 버스 정보
[59]
문서
3030번, G9633번 투입 버스 도색 정보
[60]
문서
707번 투입 버스 도색 및 차급 정보
[61]
문서
여러 노선 투입 버스 도색 정보
[62]
문서
1200번 및 5003번 투입 버스 정보
[63]
문서
2000번 투입 버스 도입 정보
[64]
문서
757번 운행 버스 정보
[65]
문서
도계캠퍼스행 좌석버스 투입 버스 차급 정보
[66]
문서
경익운수 계열사 및 2002번 운행 정보
[67]
문서
선수단 차량 및 작전 지휘차 정보
[68]
문서
차량 대차 정보
[69]
문서
후방 감지 센서 정보
[70]
문서
2022시즌 차량 대차 정보
[71]
문서
[72]
문서
[73]
문서
[74]
문서
[75]
문서
[76]
문서
[77]
문서
[78]
문서
[79]
문서
[80]
문서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86]
문서
[87]
문서
[88]
뉴스
월드컵 32개국 모두 현대차 버스 탄다
http://car.mt.co.kr/[...]
머니투데이
2010-06-15
[89]
뉴스
현대차, 주한미군에 버스 기증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0-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