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람은 1416년에 태어나, 찬성사 권근의 손자이자 우찬성 권제의 아들로, 조선 초기의 문신이다. 그는 문과에 급제한 후 수양대군(세조)을 도와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정난공신이 되었으며, 이후 좌의정까지 올랐다. 세조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이조 판서, 예문관 대제학 등을 역임했고, 세조 사후에는 좌의정을 지냈다. 그는 《소한당집》, 《응제시주》 등 저서를 남겼으며, 세조 묘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6년 출생 - 윤자운
    윤자운은 조선 초 문신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은 윤회의 손자이자 신숙주의 처남이며, 여러 관직을 거쳐 수양대군 즉위 후 좌익공신에 책록,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성격이 편협하고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1416년 출생 - 크리스토페르 3세
    크리스토페르 3세는 1440년부터 덴마크, 1441년부터 스웨덴, 1442년부터 노르웨이의 국왕을 겸하며 칼마르 동맹을 통치했으나 귀족 세력과의 권력 균형 속에서 제한적인 권력을 행사했고 후사 없이 사망하여 칼마르 동맹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 1465년 사망 - 이순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천문학자, 역법학자인 이순지는 세종의 신임을 받아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을 완성하여 조선의 독자적인 역법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고 천문학 관련 저술을 남겼다.
  • 1465년 사망 - 희령군
    희령군은 조선 태종의 열 번째 아들로, 이름은 타이며, 1433년에 군에 봉해졌고,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세조가 예장으로 장례를 치르도록 명할 정도로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 정난공신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정난공신 - 한확
    한확은 조선 초 문신으로, 명나라 외교에서 활약하며 세종 대에 사신으로 공물 면제를 주청하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록되어 우의정에 올랐으며, 세조의 명나라 책봉을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명나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권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
한자 이름權擥
출생일1416년
출생지조선 한성부
사망일1465년 2월 6일
사망지조선 한성부에서 병사
국적조선
묘소 위치음성 권근 삼대 묘소 및 신도비
관직 정보
작위조선의 좌의정
재위 기간1462년 5월 29일~1465년 2월 6일
임기1462년 5월 11일~1462년 5월 29일
작위조선의 우의정
임금조선 세조
임금 2조선 세조
개인 정보
정경(正卿)
소한당(所閑堂) 또는 소한당(所閒堂), 후주당(後週堂), 작위는 길창군, 길창부원군
시호익평(翼平)
당파훈구파 세력
거주지조선 한성부
학력1450년 향시, 회시, 문과 급제
직업문신, 학자, 정치가
분야성리학
가족 정보
배우자영원군부인 고성 이씨
아버지권제
어머니경주 이씨
자녀아들 권걸, 아들 권건, 딸 8명
친인척할아버지 권근, 할머니 숙경택주 경주 이씨, 사촌 권총, 사위 남이, 사위 신수근, 사돈 신승선, 조카사위 김현석, 사돈 김문기, 사돈 유응부
기타 정보
한국어 (한글)권람
한자權擥
일본어 (히라가나)けん らん
일본어 (카타카나)クォン・ラム
로마자 표기Kwon Ram

2. 생애

소한당 권람은 1416년 검교정승 희(僖)의 증손으로, 찬성사이자 개국공신 양촌 권근의 손자이며, 의정부 우찬성을 지낸 권제와 그의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으로 자는 정경(正卿)이다. 어머니 이씨는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이준(李儁)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여 학문이 넓었으며, 뜻이 크고 지혜와 기책(奇策)이 많았다 한다.

개국공신인 찬성사 권근의 손자로 태어났으나 아버지 권제는 본처인 어머니를 내치고 첩에게 빠졌다. 이때문에 그는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처음에 권제가 첩(妾)에게 빠져 적처(嫡妻)를 소홀히 하므로 권남이 울면서 잘못을 고치기를 간하였으나, 오히려 아버지 권제의 폭력에 시달렸다.

아버지 권제는 문장에 능했고 달변가였으나 기생 첩에게 혹하여 처자(妻子)를 대접하기를 매우 박하게 하여 가도(家道)가 바르지 못하니, 세상에서 이를 좋지 않게 여겼다. 그의 누이와 서모 1명은 아버지 권제의 비위에 거슬렸다가 권제가 발로 차서 죽임당했다. 그러나 개국공신의 아들이라 권제는 처벌받지 않았고, 고려사 편찬 때문에 딸과 첩을 살해한 것은 기록에서 삭제되었다.[2] 권남이 울면서 잘못을 고치기를 여러번 간하였으나, 권제가 때리려 하였으므로 드디어 집을 나와 가출하였다. 그는 일찍이 한상환과 류태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때 한명회를 만난다.

강원도 자망산(紫望山)에 들어가 류태재(柳泰齋)의 문하에서 수학할 때 한명회와 친해졌는데 한명회에게 큰 뜻이 있음을 알아본 그는 이후 한명회와 평생의 지우가 된다.

성인이 되자 그는 호를 소한당(所閑堂)이라 하였다.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여 학문이 넓었으며, 뜻이 크고 기책(奇策)이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불우한 가정 환경으로 학문에 연마할 수 없었고 그는 가출 후 전국의 명산 대천을 유랑하기도 했다. 가출한 후 한명회, 신숙주 등과 교류하였는데, 책상자를 말에 싣고 명산고적을 찾아다니면서 한명회(韓明澮)와 함께 책을 읽고, 시를 짓고, 글을 지으면서 시름을 달래고 회포를 나누었다. 한명회와 명산(名山)을 두루 유람(遊覽)하며, 경치가 좋은 곳을 모두 찾아 보았다. 청년기에 스스로 자호를 소한당(所閑堂)이라 하고 풍류를 즐겼지만 첩을 들이지는 않았다.

그는 일찍이 친구인 한명회와 서로 약속하기를 "남자로 태어나 변방에서 무공을 세우지 못할 바에는 만권의 책을 읽어 불후의 이름을 남기자."고 다짐하였다. 한명회와의 교우는 왕조실록의 표현에 의하면 관포(관중포숙아)와 같았다[3] 고 한다. 35세까지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있다가, 1450년 향시와 회시(會試)에 응시하여 모두 장원으로 급제, 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다.

일찍이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명산고적을 떠돌아다닌 것은 아버지 권제가 첩에 혹해 정처를 소박하고 가족들에게 폭력을 행사한 데 대한 불만이었다고 한다. 어릴 적부터 널리 배우고 큰 뜻을 품어 책 상자를 말에 싣고 명승고적을 찾아 학문을 쌓았다. 이때 한명회를 만나 평생의 벗이 되었다. 한명회에게 "사내로 태어나 변방에서 무공을 세우지 못한다면 만 권의 책을 읽어 불후의 명성을 남기자"고 약속할 정도로 친교를 맺었다.

그는 일찍이 수양대군을 만났는데, 일설에는 권람이 한명회를 수양대군에게 소개했다고도 하고, 다른 설에 의하면 한명회가 권람을 수양대군에게 소개했다고도 한다. 권람이 목멱산(현 서울 남산) 북쪽 기슭, 비서감(祕書監) 관청 건너편 동쪽 바위 벼랑 쪽에 집을 짓고 후주당(後週堂)이라 이름하고 살았다. 그러나 수양대군은 불우한 처지에 있는 그를 계속 찾아왔고, 수양대군이 찾아왔다가 서쪽 벼랑 근처 녹천정 아래에 돌샘이 있었는데 이 샘물이 시원하고 맛이 좋았다며 탄복하였다 한다. 후일 세조가 대군 시절 마셨던 녹천정 샘물에는 어정(御井)이란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그 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진의부위(進義副尉)가 되었다. 진의부위로 있을 때, 하루는 어떤 친구가 과거를 보라고 권하였다. 부질없이 새삼스레 무슨 과거냐고 일축하다가 생각을 고쳐 과거를 보기로 했다. 그러나 과거를 준비하고 공부하자 마자 얼마안가 사서 육경을 모두 독파하였다. 그는 일찍이 불교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활을 잘 쏘고 문장에 뛰어났다.

어릴 적부터 널리 배우고 큰 뜻을 품어 책 상자를 말에 싣고 명승고적을 찾아 학문을 쌓았다. 이때 한명회를 만나 평생의 벗이 되었다.

한명회에게 "사내로 태어나 변방에서 무공을 세우지 못한다면 만 권의 책을 읽어 불후의 명성을 남기자"고 약속할 정도로 친교를 맺었다.

문종 즉위 직후 1450년(문종 즉위년) 진의부위로 재직 중 식년문과에 응시하여 장원(壯元)으로 급제하였다. 문종이 친히 주관한 시험에서 시사(時事)를 가리켜 진술한 것이 시험관의 마음에 들어 제4등으로써 의논했다가 당초 장원이던 김의정(金義精)의 집안 배경이 한미하다는 이유로 왕명으로 특별히 장원으로 하게 되었다. 이후 사헌부 감찰을 지냈으나, 그는 불우한 처지에 있던 한명회 등과 꾸준히 교류하였다.

감찰을 거쳐 그 뒤 1451년(문종 1년) 집현전교리(校理)로서 수양대군(首陽大君, 훗날의 世祖)과 함께 《역대병요 (歷代兵要)》를 편찬하는데 참여하였다. 이때 수양의 측근이 된다. 《역대병요 (歷代兵要)》를 함께 편찬하고 음주(音註)를 편찬하는 데 동참하여 그와 더 가까워졌다.[4] 역대병요의 음주를 달던 중 권람은 수양대군이 큰 뜻을 품고 있음을 알고 그와 가까이 지내다가 수양대군과 뜻이 통하여, 그의 참모가 된 뒤 양정(楊汀), 홍달손(洪達孫), 홍윤성, 유수(柳洙), 유하(柳河) 등 무장들을 설득, 포섭하는데 기여하였다.

한명회와 동문수학하던 사이인 그는 단종 등극 후 김종서 등이 권력을 독점하는 데 불만을 품고 집현전 시절부터 친분을 쌓게 된 수양대군을 찾아가 거사를 도모한다.[5]

문종이 죽고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권력은 김종서, 황보인 등 소수 대신들이 정사를 좌지우지하였다. 그는 어린 단종에게 왕의 나라인지 대신의 나라인지 항의하기도 하였다.

김종서, 황보인 등 소수의 대신들의 권력 집중에 불만을 품은 왕족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는 신숙주, 정인지 등을 포섭한다. 또한 안평대군김종서, 황보인을 비롯한 대신들과 결탁하여 세력을 키워가자, 이에 불안을 느낀 수양대군이 동지를 규합하고 있을 때, 한명회의 부탁을 받고 수양대군과 자주 만나 집권 계획을 세운다.

이후 양정, 홍달손, 유수(柳洙), 유하(柳河) 등 무사들과 가깝게 지내면서 이들을 통해 많은 무사들과 무신들을 포섭하거나 사병을 양성하였다. 1453년(단종 1년) 집현전 직제학이 되어 경연대독관(對讀官)을 겸하였다.

단종 즉위 초 계유정난김종서, 황보 인 등을 제거할 때에 적극 가담, 앞장섰으며 김종서, 황보 인 등 대신들의 세력을 제거하고 이들이 왕을 능가하는 권력남용을 했다며 이들을 비판하였다. 그 뒤 정난의 성공을 위해 노력한 공로로 수충위사협책정난동덕좌익공신정난공신 1등관에 녹훈되고 바로 승정원동부승지에 승진했다가 이후 우부승지에 올랐다. 1454년(단종 2년) 2월 승정원우부승지, 8월 좌부승지로 승진했다. 1455년 여름 우승지를 거쳐, 1455년(세조 즉위년) 6월 단종이 강압으로 양위하고 세조가 즉위하자 6월 이조 참판에 발탁되고 길창군(吉昌君)에 봉군되었다.

이어서 1455년 7월 겸 동지경연사를 겸하고 세조의 즉위에 세운 공으로 동년 9월 좌익공신 1등관으로 녹훈된 뒤 다시 이조참판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예문관 대제학이 되고, 다시 길창군(吉昌君)에 봉해졌다. 바로 세조의 즉위를 알리고 책봉 고명을 받기 위한 사신으로 북경에 다녀왔으며, 세조의 책봉 고명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1456년 2월 이조 판서가 되어 집현전대제학과 지경연춘추관사를 겸임하였다. 이후 감춘추관사로 세종실록의 편찬과 증보에 참여하였다. 또한 세조 즉위 초 한명회, 신숙주, 유응부와 함께 의정부 서사제를 반대하여 육조직계제를 지지하였다.

1456년 사육신의 단종 복위 사건에 가담하거나 연루된 사육신 및 관리들의 처, 첩, 딸, 누이 등이 공신들의 첩과 노비로 분배될 때 김문기의 아들 김현석의 아내 영금은 권람에게 내려졌다.[6] 김현석의 아내 권영금은 권규의 손녀딸로 권람의 5촌 조카딸이다.

1456년 3월에는 역신(逆臣, 사육신 관련자들)이 가졌던 연안, 전주, 충주, 양주의 전지를 토지로 하사받았다.

한편 단종의 후궁인 숙의 권씨도 권람의 일족이었다. 그러나 권람은 권 숙의의 논밭과 집, 노비를 자신이 다 차지하고 주지 않아서 숙의를 굶주리게 하여, 이목 등 학자들의 비웃음을 사기도 했다.[7] 이는 자신의 5촌 조카딸인 권영금을 일부러 자신의 노비로 분배받아 보호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1457년 2월 난신(亂臣)들의 노비를 하사받았고, 3월 김문기(金文起[8]), 장귀남(張貴南), 성승(成勝) 등의 전지를 토지로 하사받았다.

1456년(세조 2) 2월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세조를 도와 여러 차례 공을 세운 덕으로 만년에는 높은 지위와 많은 재산을 모았으며, 남산 아래에 화려한 집을 지녔다. 권람이 일찍이 벼슬을 그만두고 한가히 병(病)을 치료할 뜻이 있으니, 임금이 어찰(御扎)을 내려 만류하였다.

임금은 사직을 만류하였다. 1457년 8월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로 승진되었다가 바로 의정부우찬성(右贊成)에 제수하였다.

1456년 3월에 역신(逆臣)들이 가졌던 연안‧전주‧충주‧양주의 토지를 하사받았다. 1457년 2월에는 사육신과 그 관련자들의 노비를 하사받았고, 3월에는 김문기(金文起)‧장귀남(張貴南)‧성승(成勝) 등의 토지를 하사받았다. 김시습 등은 이를 두고 어진 신하를 죽여서 얻은 재물이라며 비판, 그의 집 문 앞에서 조롱하였다. 그러나 할아버지 권근으로부터 물려받은 토지와 노비들 외에도 자신이 세운 훈공으로 막대한 재산과 전지, 노비를 하사받고 당대의 부자의 한사람이 되었다.

권람에 대한 세조의 총애는 각별하였다. 권람이 어느날 어머니 이씨를 위해서 특별히 잔치를 벌였는데, 한명회, 신숙주, 정인지를 비롯 지체 높은 손님들이 끊이지 않아 초헌과 일산이 문을 메우고 학발(鶴髮, 학의 털)이 마루 위를 뒤덮을 정도였다. 그의 어머니를 위한 잔치라 하자, 이를 들은 세조 역시 친히 찾아와 친히 권람의 어머니께 헌수했다고 전한다.

1458년(세조 4년) 5월 수찬관(修撰官)으로 정인지, 신숙주 등과 함께 《국조보감》을 편찬하였으며, 활을 잘 쏘았고 문장에도 뛰어났다. 그러나 횡포가 심하고 많은 돈을 모아 탄핵을 받았다. 그해 다시 좌부승지가 되었다가 그해 12월 의정부우찬성(右贊成)이 되었으며, 1459년 의정부좌찬성이 되었다.

좌찬성 재직 중 하루는 왕이 세자를 편전에 데려와 "이는 나의 보배이다" 하니, 그는 "전하의 보배일 뿐만 아니라, 바로 국가의 보배입니다." 하므로, 왕의 마음에 들어 임금이 용상(龍床)에서 내려와 사례하며 "경(卿)의 말이 옳다." 하고 곧 안마(鞍馬)를 내려 주고, 특별히 우의정으로 승진시켰다. 이어 감춘추관사 세자부(監春秋館事 世子傅)를 겸하였다.

그해 11월 사인(舍人) 민순손(閔順孫)으로부터 무례하다는 이유로 탄핵을 당했으나 충훈부 당상관(忠勳府堂上官)인 영천 부원군(鈴川府院君) 윤사로좌찬성(左贊成) 황수신이 변호하여 죄를 감경시켰다. 그러나 왕이 그에 대한 경징계를 받아들이지 않자, 윤사로와 황수신이 그를 탄핵, 국문을 청하며 공격하였다. 11월 중순 면직되었다가 다시 우의정으로 복직했고, 1460년(세조 6년) 3월 명나라에서 온 사신을 접대하였다. 1462년 5월 다시 의정부우의정이 되었다가 동년 5월 같은 달에 다시 의정부좌의정 겸 세자부에 올랐다.

1463년(세조 8년) 초 감춘추관사를 겸임하여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8월 병을 핑계로 스스로 체임을 청하여 관직에서 물러났으며, 세조의 특명으로 바로 진봉되어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이 되었다. 1463년 9월 《동국통감》 편찬의 편수관이 되어 감수책임을 맡았으나 간행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이듬해부터 그는 신병으로 고생하였다.

그는 성리학을 국가 이념으로 채택해야 된다며 불교와 무속 신앙을 배격하였다. 그러나 1464년 신병으로 감악산신(紺岳山神)으로 추앙받던 설인귀(薛仁貴)의 사당에 치성을 드릴 때, 비바람이 몰아치자 “당신(설인귀)과 나는 세력이 서로 같은데 어찌하여 이와같이 몰아치는가.” 하고 호통하였다. 불교를 좋아하지 않았으나 만년에는 전국의 명산대찰을 찾아다니고 명신(名神)을 숭배하여 사람들의 의아심을 사기도 하였다.

은퇴 직후부터 그는 아버지 권제가 편찬하려 했던 문중의 족보 편찬, 사료 수집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그는 생전에 족보 편찬을 보지 못한다. 그가 수집하던 족보는 1476년(성종 7)에 간행되는데, 1476년에 간행된 안동 권씨의 족보인 성화보(成化譜)는 후대에 전하는 족보 가운데 오래된 족보로 전한다.

활을 잘 쏘고, 역사 지식에 해박하였으며 문장에도 뛰어났다. 그러나 횡포가 심하고 축재를 하여 여러 번 탄핵을 받았다. 그는 신숙주, 서거정, 한명회 등과 교류하였다. 세조 말년에 의정부 좌의정으로 있다가 병으로 여러 번 사직하였으나 왕이 허락하지 않다가 병이 위중함을 보고 사직을 허락했다. 은퇴하여 있다가 1465년 2월 6일 병으로 죽었다.

사후 세조묘(世祖廟)에 배향되었다. 시문과 글재주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으나 대부분 유실되거나 실전되었고, 문집으로는 시문집인 《소한당집》, 《응제시주》, 《여사대전》 등이 현재 전하고 있다. 당시 그의 향년 50세였다.

그의 사후, 그의 일족은 남이 역모사건에 연좌될 뻔하였으나, 남이에게 출가한 그의 딸이 일찍 요절하였으므로 연좌의 위기는 피하였다. 남이는 그의 넷째 사위였고, 신수근은 여섯째 사위였다.

세조는 조회를 파하고 3일간 애도하였으며, 익평(翼平)의 시호를 내렸다. 권람은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현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 7)의 아버지 권제의 묘소 아래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소 주변에는 아버지 권제의 묘소와 할아버지 권근의 묘소가 있으며, 묘역 일대는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다. 1471년 세조 묘(世祖廟)에 배향되었다. 아들 권걸(權傑)도 자헌대부동지중추부사에 올라 봉군되어 길창군(吉昌君)을 습봉받았다. 1467년(세조 13년) 신도비가 세워졌으며 신도비문은 신숙주가 짓고 글씨는 권반(權攀)이 썼다.

예종 때 역모로 몰린 남이는 장인의 친구들인 대신들에게 구명을 요청했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고 외면하였다. 오히려 그의 아들들은 누이가 일찍 죽어서 예종 초 남이 집안과 아무런 관련도 교류도 없음을 들어 극적으로 멸문지화를 면하였다. 한성부 목멱산 근처 예장동에는 그의 별장이 있었으나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파괴, 소실되었다. 예장동 별장은 자초(自超) 또는 무학이 택한 명당이라는 하였다.

사후 세조 말기부터 중앙 정계에 진출한 사림파들에 의해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1910년(융희 4년) 대한제국 멸망 이후부터 재평가 여론이 조성되었다. 1970년대에 다시 재평가 여론이 등장하였고, 그의 저서 응제시주 등에서 단군 중심의 역사관을 서술한 점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2. 1. 생애 초반

소한당 권람은 1416년 검교정승 희(僖)의 증손으로, 찬성사이자 개국공신 양촌 권근의 손자이며, 의정부 우찬성을 지낸 권제와 그의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으로 자는 정경(正卿)이다. 어머니 이씨는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이준(李儁)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여 학문이 넓었으며, 뜻이 크고 지혜와 기책(奇策)이 많았다 한다.

개국공신인 찬성사 권근의 손자로 태어났으나 아버지 권제는 본처인 어머니를 내치고 첩에게 빠졌다. 이때문에 그는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처음에 권제가 첩(妾)에게 빠져 적처(嫡妻)를 소홀히 하므로 권남이 울면서 잘못을 고치기를 간하였으나, 오히려 아버지 권제의 폭력에 시달렸다.

아버지 권제는 문장에 능했고 달변가였으나 기생 첩에게 혹하여 처자(妻子)를 대접하기를 매우 박하게 하여 가도(家道)가 바르지 못하니, 세상에서 이를 좋지 않게 여겼다. 그의 누이와 서모 1명은 아버지 권제의 비위에 거슬렸다가 권제가 발로 차서 죽임당했다. 그러나 개국공신의 아들이라 권제는 처벌받지 않았고, 고려사 편찬 때문에 딸과 첩을 살해한 것은 기록에서 삭제되었다.[2] 권남이 울면서 잘못을 고치기를 여러번 간하였으나, 권제가 때리려 하였으므로 드디어 집을 나와 가출하였다. 그는 일찍이 한상환과 류태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때 한명회를 만난다.

강원도 자망산(紫望山)에 들어가 류태재(柳泰齋)의 문하에서 수학할 때 한명회와 친해졌는데 한명회에게 큰 뜻이 있음을 알아본 그는 이후 한명회와 평생의 지우가 된다.

성인이 되자 그는 호를 소한당(所閑堂)이라 하였다.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여 학문이 넓었으며, 뜻이 크고 기책(奇策)이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불우한 가정 환경으로 학문에 연마할 수 없었고 그는 가출 후 전국의 명산 대천을 유랑하기도 했다. 가출한 후 한명회, 신숙주 등과 교류하였는데, 책상자를 말에 싣고 명산고적을 찾아다니면서 한명회(韓明澮)와 함께 책을 읽고, 시를 짓고, 글을 지으면서 시름을 달래고 회포를 나누었다. 한명회와 명산(名山)을 두루 유람(遊覽)하며, 경치가 좋은 곳을 모두 찾아 보았다. 청년기에 스스로 자호를 소한당(所閑堂)이라 하고 풍류를 즐겼지만 첩을 들이지는 않았다.

그는 일찍이 친구인 한명회와 서로 약속하기를 "남자로 태어나 변방에서 무공을 세우지 못할 바에는 만권의 책을 읽어 불후의 이름을 남기자."고 다짐하였다. 한명회와의 교우는 왕조실록의 표현에 의하면 관포(관중포숙아)와 같았다[3] 고 한다. 35세까지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있다가, 1450년 향시와 회시(會試)에 응시하여 모두 장원으로 급제, 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다.

일찍이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명산고적을 떠돌아다닌 것은 아버지 권제가 첩에 혹해 정처를 소박하고 가족들에게 폭력을 행사한 데 대한 불만이었다고 한다. 어릴 적부터 널리 배우고 큰 뜻을 품어 책 상자를 말에 싣고 명승고적을 찾아 학문을 쌓았다. 이때 한명회를 만나 평생의 벗이 되었다. 한명회에게 "사내로 태어나 변방에서 무공을 세우지 못한다면 만 권의 책을 읽어 불후의 명성을 남기자"고 약속할 정도로 친교를 맺었다.

그는 일찍이 수양대군을 만났는데, 일설에는 권람이 한명회를 수양대군에게 소개했다고도 하고, 다른 설에 의하면 한명회가 권람을 수양대군에게 소개했다고도 한다. 권람이 목멱산(현 서울 남산) 북쪽 기슭, 비서감(祕書監) 관청 건너편 동쪽 바위 벼랑 쪽에 집을 짓고 후주당(後週堂)이라 이름하고 살았다. 그러나 수양대군은 불우한 처지에 있는 그를 계속 찾아왔고, 수양대군이 찾아왔다가 서쪽 벼랑 근처 녹천정 아래에 돌샘이 있었는데 이 샘물이 시원하고 맛이 좋았다며 탄복하였다 한다. 후일 세조가 대군 시절 마셨던 녹천정 샘물에는 어정(御井)이란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그 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진의부위(進義副尉)가 되었다. 진의부위로 있을 때, 하루는 어떤 친구가 과거를 보라고 권하였다. 부질없이 새삼스레 무슨 과거냐고 일축하다가 생각을 고쳐 과거를 보기로 했다. 그러나 과거를 준비하고 공부하자 마자 얼마안가 사서 육경을 모두 독파하였다. 그는 일찍이 불교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활을 잘 쏘고 문장에 뛰어났다.

어릴 적부터 널리 배우고 큰 뜻을 품어 책 상자를 말에 싣고 명승고적을 찾아 학문을 쌓았다. 이때 한명회를 만나 평생의 벗이 되었다.

한명회에게 "사내로 태어나 변방에서 무공을 세우지 못한다면 만 권의 책을 읽어 불후의 명성을 남기자"고 약속할 정도로 친교를 맺었다.

2. 1. 1. 출생과 유년기

소한당 권람은 1416년 검교정승 희(僖)의 증손으로, 찬성사이자 개국공신 양촌 권근의 손자이며, 의정부 우찬성을 지낸 권제와 그의 부인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으로 자는 정경(正卿)이다. 어머니 이씨는 판사재감사(判司宰監事) 이준(李儁)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여 학문이 넓었으며, 뜻이 크고 지혜와 기책(奇策)이 많았다 한다.

개국공신인 찬성사 권근의 손자로 태어났으나 아버지 권제는 본처인 어머니를 내치고 첩에게 빠졌다. 이때문에 그는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처음에 권제가 첩(妾)에게 빠져 적처(嫡妻)를 소홀히 하므로 권남이 울면서 잘못을 고치기를 간하였으나, 오히려 아버지 권제의 폭력에 시달렸다.

아버지 권제는 문장에 능했고 달변가였으나 기생 첩에게 혹하여 처자(妻子)를 대접하기를 매우 박하게 하여 가도(家道)가 바르지 못하니, 세상에서 이를 좋지 않게 여겼다. 그의 누이와 서모 1명은 아버지 권제의 비위에 거슬렸다가 권제가 발로 차서 죽임당했다. 그러나 개국공신의 아들이라 권제는 처벌받지 않았고, 고려사 편찬 때문에 딸과 첩을 살해한 것은 기록에서 삭제되었다.[2] 권남이 울면서 잘못을 고치기를 여러번 간하였으나, 권제가 때리려 하였으므로 드디어 집을 나와 가출하였다. 그는 일찍이 한상환과 류태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이때 한명회를 만난다.

강원도 자망산(紫望山)에 들어가 류태재(柳泰齋)의 문하에서 수학할 때 한명회와 친해졌는데 한명회에게 큰 뜻이 있음을 알아본 그는 이후 한명회와 평생의 지우가 된다.

2. 1. 2. 청소년기

성인이 되자 그는 호를 소한당(所閑堂)이라 하였다.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여 학문이 넓었으며, 뜻이 크고 기책(奇策)이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불우한 가정 환경으로 학문에 연마할 수 없었고 그는 가출 후 전국의 명산 대천을 유랑하기도 했다. 가출한 후 한명회, 신숙주 등과 교류하였는데, 책상자를 말에 싣고 명산고적을 찾아다니면서 한명회(韓明澮)와 함께 책을 읽고, 시를 짓고, 글을 지으면서 시름을 달래고 회포를 나누었다. 한명회와 명산(名山)을 두루 유람(遊覽)하며, 경치가 좋은 곳을 모두 찾아 보았다. 청년기에 스스로 자호를 소한당(所閑堂)이라 하고 풍류를 즐겼지만 첩을 들이지는 않았다.

그는 일찍이 친구인 한명회와 서로 약속하기를 "남자로 태어나 변방에서 무공을 세우지 못할 바에는 만권의 책을 읽어 불후의 이름을 남기자."고 다짐하였다. 한명회와의 교우는 왕조실록의 표현에 의하면 관포(관중포숙아)와 같았다[3] 고 한다. 35세까지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있다가, 1450년 향시와 회시(會試)에 응시하여 모두 장원으로 급제, 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다.

일찍이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명산고적을 떠돌아다닌 것은 아버지 권제가 첩에 혹해 정처를 소박하고 가족들에게 폭력을 행사한 데 대한 불만이었다고 한다. 어릴 적부터 널리 배우고 큰 뜻을 품어 책 상자를 말에 싣고 명승고적을 찾아 학문을 쌓았다. 이때 한명회를 만나 평생의 벗이 되었다. 한명회에게 "사내로 태어나 변방에서 무공을 세우지 못한다면 만 권의 책을 읽어 불후의 명성을 남기자"고 약속할 정도로 친교를 맺었다.

2. 1. 3. 청년기

그는 일찍이 수양대군을 만났는데, 일설에는 권람이 한명회를 수양대군에게 소개했다고도 하고, 다른 설에 의하면 한명회가 권람을 수양대군에게 소개했다고도 한다. 권람이 목멱산(현 서울 남산) 북쪽 기슭, 비서감(祕書監) 관청 건너편 동쪽 바위 벼랑 쪽에 집을 짓고 후주당(後週堂)이라 이름하고 살았다. 그러나 수양대군은 불우한 처지에 있는 그를 계속 찾아왔고, 수양대군이 찾아왔다가 서쪽 벼랑 근처 녹천정 아래에 돌샘이 있었는데 이 샘물이 시원하고 맛이 좋았다며 탄복하였다 한다. 후일 세조가 대군 시절 마셨던 녹천정 샘물에는 어정(御井)이란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그 뒤 음보(蔭補)로 출사하여 진의부위(進義副尉)가 되었다. 진의부위로 있을 때, 하루는 어떤 친구가 과거를 보라고 권하였다. 부질없이 새삼스레 무슨 과거냐고 일축하다가 생각을 고쳐 과거를 보기로 했다. 그러나 과거를 준비하고 공부하자 마자 얼마안가 사서 육경을 모두 독파하였다. 그는 일찍이 불교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활을 잘 쏘고 문장에 뛰어났다.

어릴 적부터 널리 배우고 큰 뜻을 품어 책 상자를 말에 싣고 명승고적을 찾아 학문을 쌓았다. 이때 한명회를 만나 평생의 벗이 되었다.

한명회에게 "사내로 태어나 변방에서 무공을 세우지 못한다면 만 권의 책을 읽어 불후의 명성을 남기자"고 약속할 정도로 친교를 맺었다.

2. 2. 관료 생활

1450년 식년 문과에 수석으로 합격하고, 이후 사헌부 감찰(正六品相当)에 임명되었다.[4] 1451년 집현전 교리(正五品相当)에 임명되었다.[4] 1453년 11월 1일, 집현전 직제학(正三品堂上相当)으로 이동하였다.[5] 11월 8일, 계유정난의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에 녹훈되어, 승정원 동부승지(正三品堂上相当)로 이동하였다. 1454년 2월 13일, 승정원 우부승지(正三品堂上相当)로 전임되었다. 8월 5일, 승정원 좌부승지(正三品堂上相当)로 전임. 1455년 1월 24일, 통정대부(正三品堂上相当)에 서임되었고, 승정원 좌부승지를 본관으로 하여, 경연청 참찬관(正三品堂上相当), 보문각 직제학(正三品堂上相当), 지제교, 겸 판 증 공감사(兼判贈工監事), 지 공조사(知工曹事) 등을 겸임하고 있다. 윤 6월 10일, 승정원 우승지(正三品堂上相当)로 전임. 윤 6월 23일, 이조 참판(従二品相当)으로 전임. 9월 20일, 공으로 좌익공신(佐翼功臣) 1등에 녹훈되어, 명나라에 사은사(謝恩使)로 임명되었다. 이 때 예문관 대제학(正二品相当)을 겸임하고 있었다. 1456년 2월 4일, 이조 판서(正二品相当)로 전임. 7월 5일, 길창군(吉昌君)에 봉해지고, 집현전 대제학(正二品相当), 지경연 춘추관사(正二品相当)를 겸한다. 1457년 8월 14일, 판 중추원사(従一品相当)로 전임. 1458년 12월 7일, 의정부우찬성(従一品相当)으로 전임. 1459년 10월 30일, 좌찬성(従一品相当)으로 전임하였다. 11월 6일, 의정부우의정(正一品相当)으로 전임. 1462년 5월 20일, 의정부좌의정(正一品相当)으로 전임. 이 때 의정부영의정에는 신숙주, 의정부우의정에는 한명회가 취임하여, 정난공신의 공신에 의해 의정부의 각료가 채워졌다. 1463년, 병으로 인해 의정부좌의정을 사임하고,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에 봉해진다. 1465년, 사망. 향년 49세.

2. 2. 1. 과거 급제와 관료생활 초기

문종 즉위 직후 1450년(문종 즉위년) 진의부위로 재직 중 식년문과에 응시하여 장원(壯元)으로 급제하였다. 문종이 친히 주관한 시험에서 시사(時事)를 가리켜 진술한 것이 시험관의 마음에 들어 제4등으로써 의논했다가 당초 장원이던 김의정(金義精)의 집안 배경이 한미하다는 이유로 왕명으로 특별히 장원으로 하게 되었다. 이후 사헌부 감찰을 지냈으나, 그는 불우한 처지에 있던 한명회 등과 꾸준히 교류하였다.

감찰을 거쳐 그 뒤 1451년(문종 1년) 집현전교리(校理)로서 수양대군(首陽大君, 훗날의 世祖)과 함께 《역대병요 (歷代兵要)》를 편찬하는데 참여하였다. 이때 수양의 측근이 된다. 《역대병요 (歷代兵要)》를 함께 편찬하고 음주(音註)를 편찬하는 데 동참하여 그와 더 가까워졌다.[4] 역대병요의 음주를 달던 중 권람은 수양대군이 큰 뜻을 품고 있음을 알고 그와 가까이 지내다가 수양대군과 뜻이 통하여, 그의 참모가 된 뒤 양정(楊汀), 홍달손(洪達孫), 홍윤성, 유수(柳洙), 유하(柳河) 등 무장들을 설득, 포섭하는데 기여하였다.

한명회와 동문수학하던 사이인 그는 단종 등극 후 김종서 등이 권력을 독점하는 데 불만을 품고 집현전 시절부터 친분을 쌓게 된 수양대군을 찾아가 거사를 도모한다.[5]

2. 2. 2. 거사 준비 과정

문종이 죽고 어린 단종이 즉위하자, 권력은 김종서, 황보인 등 소수 대신들이 정사를 좌지우지하였다. 그는 어린 단종에게 왕의 나라인지 대신의 나라인지 항의하기도 하였다.

김종서, 황보인 등 소수의 대신들의 권력 집중에 불만을 품은 왕족들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그는 신숙주, 정인지 등을 포섭한다. 또한 안평대군김종서, 황보인을 비롯한 대신들과 결탁하여 세력을 키워가자, 이에 불안을 느낀 수양대군이 동지를 규합하고 있을 때, 한명회의 부탁을 받고 수양대군과 자주 만나 집권 계획을 세운다.

이후 양정, 홍달손, 유수(柳洙), 유하(柳河) 등 무사들과 가깝게 지내면서 이들을 통해 많은 무사들과 무신들을 포섭하거나 사병을 양성하였다. 1453년(단종 1년) 집현전 직제학이 되어 경연대독관(對讀官)을 겸하였다.

2. 2. 3. 계유정난과 세조반정

단종 즉위 초 계유정난김종서, 황보 인 등을 제거할 때에 적극 가담, 앞장섰으며 김종서, 황보 인 등 대신들의 세력을 제거하고 이들이 왕을 능가하는 권력남용을 했다며 이들을 비판하였다. 그 뒤 정난의 성공을 위해 노력한 공로로 수충위사협책정난동덕좌익공신정난공신 1등관에 녹훈되고 바로 승정원동부승지에 승진했다가 이후 우부승지에 올랐다. 1454년(단종 2년) 2월 승정원우부승지, 8월 좌부승지로 승진했다. 1455년 여름 우승지를 거쳐, 1455년(세조 즉위년) 6월 단종이 강압으로 양위하고 세조가 즉위하자 6월 이조 참판에 발탁되고 길창군(吉昌君)에 봉군되었다.

이어서 1455년 7월 겸 동지경연사를 겸하고 세조의 즉위에 세운 공으로 동년 9월 좌익공신 1등관으로 녹훈된 뒤 다시 이조참판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예문관 대제학이 되고, 다시 길창군(吉昌君)에 봉해졌다. 바로 세조의 즉위를 알리고 책봉 고명을 받기 위한 사신으로 북경에 다녀왔으며, 세조의 책봉 고명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1456년 2월 이조 판서가 되어 집현전대제학과 지경연춘추관사를 겸임하였다. 이후 감춘추관사로 세종실록의 편찬과 증보에 참여하였다. 또한 세조 즉위 초 한명회, 신숙주, 유응부와 함께 의정부 서사제를 반대하여 육조직계제를 지지하였다.

2. 2. 4. 사육신의 난

1456년 사육신의 단종 복위 사건에 가담하거나 연루된 사육신 및 관리들의 처, 첩, 딸, 누이 등이 공신들의 첩과 노비로 분배될 때 김문기의 아들 김현석의 아내 영금은 권람에게 내려졌다.[6] 김현석의 아내 권영금은 권규의 손녀딸로 권람의 5촌 조카딸이다.

1456년 3월에는 역신(逆臣, 사육신 관련자들)이 가졌던 연안, 전주, 충주, 양주의 전지를 토지로 하사받았다.

한편 단종의 후궁인 숙의 권씨도 권람의 일족이었다. 그러나 권람은 권 숙의의 논밭과 집, 노비를 자신이 다 차지하고 주지 않아서 숙의를 굶주리게 하여, 이목 등 학자들의 비웃음을 사기도 했다.[7] 이는 자신의 5촌 조카딸인 권영금을 일부러 자신의 노비로 분배받아 보호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1457년 2월 난신(亂臣)들의 노비를 하사받았고, 3월 김문기(金文起[8]), 장귀남(張貴南), 성승(成勝) 등의 전지를 토지로 하사받았다.

2. 2. 5. 공신 책록과 치부

1456년(세조 2) 2월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세조를 도와 여러 차례 공을 세운 덕으로 만년에는 높은 지위와 많은 재산을 모았으며, 남산 아래에 화려한 집을 지녔다. 권람이 일찍이 벼슬을 그만두고 한가히 병(病)을 치료할 뜻이 있으니, 임금이 어찰(御扎)을 내려 만류하였다.

임금은 사직을 만류하였다. 1457년 8월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로 승진되었다가 바로 의정부우찬성(右贊成)에 제수하였다.

1456년 3월에 역신(逆臣)들이 가졌던 연안‧전주‧충주‧양주의 토지를 하사받았다. 1457년 2월에는 사육신과 그 관련자들의 노비를 하사받았고, 3월에는 김문기(金文起)‧장귀남(張貴南)‧성승(成勝) 등의 토지를 하사받았다. 김시습 등은 이를 두고 어진 신하를 죽여서 얻은 재물이라며 비판, 그의 집 문 앞에서 조롱하였다. 그러나 할아버지 권근으로부터 물려받은 토지와 노비들 외에도 자신이 세운 훈공으로 막대한 재산과 전지, 노비를 하사받고 당대의 부자의 한사람이 되었다.

권람에 대한 세조의 총애는 각별하였다. 권람이 어느날 어머니 이씨를 위해서 특별히 잔치를 벌였는데, 한명회, 신숙주, 정인지를 비롯 지체 높은 손님들이 끊이지 않아 초헌과 일산이 문을 메우고 학발(鶴髮, 학의 털)이 마루 위를 뒤덮을 정도였다. 그의 어머니를 위한 잔치라 하자, 이를 들은 세조 역시 친히 찾아와 친히 권람의 어머니께 헌수했다고 전한다.

2. 3. 생애 후반

1458년(세조 4년) 5월 수찬관(修撰官)으로 정인지, 신숙주 등과 함께 《국조보감》을 편찬하였으며, 활을 잘 쏘았고 문장에도 뛰어났다. 그러나 횡포가 심하고 많은 돈을 모아 탄핵을 받았다. 그해 다시 좌부승지가 되었다가 그해 12월 의정부우찬성(右贊成)이 되었으며, 1459년 의정부좌찬성이 되었다.

좌찬성 재직 중 하루는 왕이 세자를 편전에 데려와 "이는 나의 보배이다" 하니, 그는 "전하의 보배일 뿐만 아니라, 바로 국가의 보배입니다." 하므로, 왕의 마음에 들어 임금이 용상(龍床)에서 내려와 사례하며 "경(卿)의 말이 옳다." 하고 곧 안마(鞍馬)를 내려 주고, 특별히 우의정으로 승진시켰다. 이어 감춘추관사 세자부(監春秋館事 世子傅)를 겸하였다.

그해 11월 사인(舍人) 민순손(閔順孫)으로부터 무례하다는 이유로 탄핵을 당했으나 충훈부 당상관(忠勳府堂上官)인 영천 부원군(鈴川府院君) 윤사로좌찬성(左贊成) 황수신이 변호하여 죄를 감경시켰다. 그러나 왕이 그에 대한 경징계를 받아들이지 않자, 윤사로와 황수신이 그를 탄핵, 국문을 청하며 공격하였다. 11월 중순 면직되었다가 다시 우의정으로 복직했고, 1460년(세조 6년) 3월 명나라에서 온 사신을 접대하였다. 1462년 5월 다시 의정부우의정이 되었다가 동년 5월 같은 달에 다시 의정부좌의정 겸 세자부에 올랐다.

1463년(세조 8년) 초 감춘추관사를 겸임하여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8월 병을 핑계로 스스로 체임을 청하여 관직에서 물러났으며, 세조의 특명으로 바로 진봉되어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이 되었다. 1463년 9월 《동국통감》 편찬의 편수관이 되어 감수책임을 맡았으나 간행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이듬해부터 그는 신병으로 고생하였다.

그는 성리학을 국가 이념으로 채택해야 된다며 불교와 무속 신앙을 배격하였다. 그러나 1464년 신병으로 감악산신(紺岳山神)으로 추앙받던 설인귀(薛仁貴)의 사당에 치성을 드릴 때, 비바람이 몰아치자 “당신(설인귀)과 나는 세력이 서로 같은데 어찌하여 이와같이 몰아치는가.” 하고 호통하였다. 불교를 좋아하지 않았으나 만년에는 전국의 명산대찰을 찾아다니고 명신(名神)을 숭배하여 사람들의 의아심을 사기도 하였다.

은퇴 직후부터 그는 아버지 권제가 편찬하려 했던 문중의 족보 편찬, 사료 수집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그는 생전에 족보 편찬을 보지 못한다. 그가 수집하던 족보는 1476년(성종 7)에 간행되는데, 1476년에 간행된 안동 권씨의 족보인 성화보(成化譜)는 후대에 전하는 족보 가운데 오래된 족보로 전한다.

활을 잘 쏘고, 역사 지식에 해박하였으며 문장에도 뛰어났다. 그러나 횡포가 심하고 축재를 하여 여러 번 탄핵을 받았다. 그는 신숙주, 서거정, 한명회 등과 교류하였다. 세조 말년에 의정부 좌의정으로 있다가 병으로 여러 번 사직하였으나 왕이 허락하지 않다가 병이 위중함을 보고 사직을 허락했다. 은퇴하여 있다가 1465년 2월 6일 병으로 죽었다.

사후 세조묘(世祖廟)에 배향되었다. 시문과 글재주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으나 대부분 유실되거나 실전되었고, 문집으로는 시문집인 《소한당집》, 《응제시주》, 《여사대전》 등이 현재 전하고 있다. 당시 그의 향년 50세였다.

그의 사후, 그의 일족은 남이 역모사건에 연좌될 뻔하였으나, 남이에게 출가한 그의 딸이 일찍 요절하였으므로 연좌의 위기는 피하였다. 남이는 그의 넷째 사위였고, 신수근은 여섯째 사위였다.

2. 3. 1. 정치 활동

1458년(세조 4년) 5월 수찬관(修撰官)으로 정인지, 신숙주 등과 함께 《국조보감》을 편찬하였으며, 활을 잘 쏘았고 문장에도 뛰어났다. 그러나 횡포가 심하고 많은 돈을 모아 탄핵을 받았다. 그해 다시 좌부승지가 되었다가 그해 12월 의정부우찬성(右贊成)이 되었으며, 1459년 의정부좌찬성이 되었다.

좌찬성 재직 중 하루는 왕이 세자를 편전에 데려와 "이는 나의 보배이다" 하니, 그는 "전하의 보배일 뿐만 아니라, 바로 국가의 보배입니다." 하므로, 왕의 마음에 들어 임금이 용상(龍床)에서 내려와 사례하며 "경(卿)의 말이 옳다." 하고 곧 안마(鞍馬)를 내려 주고, 특별히 우의정으로 승진시켰다. 이어 감춘추관사 세자부(監春秋館事 世子傅)를 겸하였다.

그해 11월 사인(舍人) 민순손(閔順孫)으로부터 무례하다는 이유로 탄핵을 당했으나 충훈부 당상관(忠勳府堂上官)인 영천 부원군(鈴川府院君) 윤사로좌찬성(左贊成) 황수신이 변호하여 죄를 감경시켰다. 그러나 왕이 그에 대한 경징계를 받아들이지 않자, 윤사로와 황수신이 그를 탄핵, 국문을 청하며 공격하였다. 11월 중순 면직되었다가 다시 우의정으로 복직했고, 1460년(세조 6년) 3월 명나라에서 온 사신을 접대하였다. 1462년 5월 다시 의정부우의정이 되었다가 동년 5월 같은 달에 다시 의정부좌의정 겸 세자부에 올랐다.

2. 3. 2. 오랜 병환과 은퇴

1463년(세조 8년) 초 감춘추관사를 겸임하여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8월 병을 핑계로 스스로 체임을 청하여 관직에서 물러났으며, 세조의 특명으로 바로 진봉되어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이 되었다. 1463년 9월 《동국통감》 편찬의 편수관이 되어 감수책임을 맡았으나 간행을 보지 못하고 죽었다. 이듬해부터 그는 신병으로 고생하였다.

그는 성리학을 국가 이념으로 채택해야 된다며 불교와 무속 신앙을 배격하였다. 그러나 1464년 신병으로 감악산신(紺岳山神)으로 추앙받던 설인귀(薛仁貴)의 사당에 치성을 드릴 때, 비바람이 몰아치자 “당신(설인귀)과 나는 세력이 서로 같은데 어찌하여 이와같이 몰아치는가.” 하고 호통하였다. 불교를 좋아하지 않았으나 만년에는 전국의 명산대찰을 찾아다니고 명신(名神)을 숭배하여 사람들의 의아심을 사기도 하였다.

은퇴 직후부터 그는 아버지 권제가 편찬하려 했던 문중의 족보 편찬, 사료 수집 작업에 착수하였다. 그러나 그는 생전에 족보 편찬을 보지 못한다. 그가 수집하던 족보는 1476년(성종 7)에 간행되는데, 1476년에 간행된 안동 권씨의 족보인 성화보(成化譜)는 후대에 전하는 족보 가운데 오래된 족보로 전한다.

2. 3. 3. 최후

활을 잘 쏘고, 역사 지식에 해박하였으며 문장에도 뛰어났다. 그러나 횡포가 심하고 축재를 하여 여러 번 탄핵을 받았다. 그는 신숙주, 서거정, 한명회 등과 교류하였다. 세조 말년에 의정부 좌의정으로 있다가 병으로 여러 번 사직하였으나 왕이 허락하지 않다가 병이 위중함을 보고 사직을 허락했다. 은퇴하여 있다가 1465년 2월 6일 병으로 죽었다.

사후 세조묘(世祖廟)에 배향되었다. 시문과 글재주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으나 대부분 유실되거나 실전되었고, 문집으로는 시문집인 《소한당집》, 《응제시주》, 《여사대전》 등이 현재 전하고 있다. 당시 그의 향년 50세였다.

그의 사후, 그의 일족은 남이 역모사건에 연좌될 뻔하였으나, 남이에게 출가한 그의 딸이 일찍 요절하였으므로 연좌의 위기는 피하였다. 남이는 그의 넷째 사위였고, 신수근은 여섯째 사위였다.

2. 4. 사후

세조는 조회를 파하고 3일간 애도하였으며, 익평(翼平)의 시호를 내렸다. 권람은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현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 7)의 아버지 권제의 묘소 아래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소 주변에는 아버지 권제의 묘소와 할아버지 권근의 묘소가 있으며, 묘역 일대는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다. 1471년 세조 묘(世祖廟)에 배향되었다. 아들 권걸(權傑)도 자헌대부동지중추부사에 올라 봉군되어 길창군(吉昌君)을 습봉받았다. 1467년(세조 13년) 신도비가 세워졌으며 신도비문은 신숙주가 짓고 글씨는 권반(權攀)이 썼다.

예종 때 역모로 몰린 남이는 장인의 친구들인 대신들에게 구명을 요청했지만 아무도 들어주지 않고 외면하였다. 오히려 그의 아들들은 누이가 일찍 죽어서 예종 초 남이 집안과 아무런 관련도 교류도 없음을 들어 극적으로 멸문지화를 면하였다. 한성부 목멱산 근처 예장동에는 그의 별장이 있었으나 임진왜란을 전후해서 파괴, 소실되었다. 예장동 별장은 자초(自超) 또는 무학이 택한 명당이라는 하였다.

사후 세조 말기부터 중앙 정계에 진출한 사림파들에 의해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1910년(융희 4년) 대한제국 멸망 이후부터 재평가 여론이 조성되었다. 1970년대에 다시 재평가 여론이 등장하였고, 그의 저서 응제시주 등에서 단군 중심의 역사관을 서술한 점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3. 사상

3. 1. 역사관

권람은 단군을 민족의 기원으로 평가했다.[10] 그의 할아버지 양촌 권근이 지은 응제시에 주석을 붙인 《응제시주 應製詩註》는 단군 신화를 다루는 서적으로, 그의 역사의식을 반영한다.[10] 이는 세조 때 《동국통감》의 편찬 방향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10]

그는 《응제시주 應製詩註》에서 주요 장마다 민족시조(民族始祖), 개국시조(開國始祖) 라는 단어를 거의 빠짐없이 수록하였으며, 삼국유사나 민간 전승 등으로 전해오는 설화 중심의 서술을 하였다. 이는 기자기자조선을 시초로 생각하는 사림파성리학자들의 국사관과는 다른 점이다.

3. 2. 무속 신앙

권람은 무속을 신봉하기도 했다. 국교가 유교조선에서 무속에 대한 신봉은 용납될 수 없는 사상이었으나 그가 세조의 반정공신이었기 때문에 불이익을 받지 않았다.

한번은 사위로 남이를 낙점할 때 무속인에게 점을 쳐 보았으나 역적이 될 조짐이라는 괘가 나오자 파혼하려 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사후라는 말을 듣고 다시 번복했다 한다.

1464년 신병으로 경기도 파주군감악산에 올라 감악산신(紺岳山神) 설인귀에 치성을 드릴 때, 비바람이 몰아치자 “당신(설인귀)과 나는 세력이 서로 같은데 어찌하여 이와같이 몰아치는가.” 하고 호통하였다. 불교를 좋아하지 않았으나 명신(名神)을 숭배하여 사람들의 의아심을 사기도 하였다. 이는 안향, 백이정의 학맥을 계승했으며 이색의 문하생인 성리학자였던 할아버지 권근과 비교되기도 한다.

4. 가족 관계

권근(權近)을 할아버지로, 숙경택주 경주 이씨(淑敬宅主 慶州李氏)를 할머니로 두었다. 삼촌은 권규(權跬)이며, 사촌으로는 권총(權聰)과 권담(權聃)이 있었다.[11] 아버지는 권제(權踶)이고, 어머니는 검교판한성부사 이휴(李携)의 딸 경주 이씨(慶州李氏)이다. 형제로는 권지(權摯), 권반(權攀), 권마(權摩), 권설(權挈), 권경(權擎)이 있었고, 누이 권씨는 아버지 권제에게 살해되었다. 서모 또한 이름은 미상이나 권제에게 살해되었다.[11]

부인은 영원군부인 고성 이씨(寧原郡夫人 固城李氏, 1410년 - 1491년 10월 18일)로, 이암(李嵓)의 증손녀이자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이원(李原)의 딸이다. 장남은 길창군에 습봉된 권걸(權傑, 자는 사일(士逸))이며 며느리는 의령남씨(宜寧南氏)이다. 차남은 권건(權健)이다. 딸은 모두 여덟으로, 각각 한서구(韓瑞龜), 박사화(朴士華), 신억년(申億年), 남이(南怡), 안동 김씨 김수형(金壽亨), 신수근(愼守勤), 신말평(申末平), 민사건(閔師騫)의 처가 되었다. 특히 사위 남이는 예종 때 역모로 몰려 죽었으므로 1491년에 세워진 부인 영원군부인 고성이씨의 묘비명에서는 빠졌다. 외손녀는 남씨이다.

양녕대군의 외손자 김수형(金壽亨)과 사돈을 맺었고, 신승선, 거창군부인 신씨(연산군의 비)와도 사돈 관계이다.

5. 평가

5. 1. 평가

wikitext

권람은 성격이 활달한 대인으로 평가되었다. 성품은 도량이 넓고 너그럽고 크며 작은 일에 연연하지 않았으며, 사소한 것을 마음에 담아두지 않았다. 그러나 조용하며 말수가 적었고 생각이 깊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젊어서는 뜻을 두텁게 하여 힘써 배우더니, 큰 뜻이 있어 작은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스스로 고세(高世)한 선비로 여겨, 나이 30세가 넘도록 관직을 얻지 못하자, 주변에서 그에게 굽힐 것이라고 하였으나 굽히지 않고 거들떠보지 않았다'고 한다.

5. 2. 비판

사림파가 집권한 이후 아버지를 배신하고 가출한 불효자로 몰려 비판과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유학자의 후손이나 무속을 신봉한 점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사위가 신수근인 점도 인신공격의 대상이 되었으나 단경왕후에 대한 동정여론이 곧 조성되면서 묻혀지게 되었다.

사림의 집권 이후 조성된 도학적 분위기로 훈구파 공신들에 대한 비판여론이 조성되어 거의 정설처럼 굳어졌으나, 한명회, 유응부신숙주에 비교하여 그에 대한 비판은 상대적으로 덜한 편이었다.

6. 관련 작품

권람이 등장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6. 1. 드라마

권람이 등장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7. 저서

wikitable

권람의 저서 목록
제목비고
소한당집
여사대전양성지와 공저
응제시주단군신화 관련 서적
국조보감공저
역대병요공저


7. 1. 공저

참조

[1] 문서 사위 신수근의 아호도 소한당이다.
[2] 문서 그러나 왕조실록의 세종실록, 권제의 졸기에 딸과 첩 1명을 살해한 사실이 기록된다.
[3] 문서 세조실록, 권람의 졸기 참조
[4] 서적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5] 서적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6] 웹인용 마이다스동아일보(동아일보매거진:신동아9810월호) https://web.archive.[...] 2003-10-01
[7] 웹사이트 한국고전번역원 http://www.itkc.or.k[...]
[8] 문서 사촌형 권총의 사돈이기도 하다.
[9] 문서 거란 부족 혹은 유목민이었으나 경기도 감악산 근처에서 태어났다는 전설이 있다.
[10] 웹인용 권람: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 https://web.archive.[...] 2011-06-26
[11] 문서 권휘(權 麻+非+手)? 조선왕조실록에서는 권마(權摩)라고 기록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