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 (전라남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천시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구석기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해 온 유서 깊은 지역이다. 삼한 시대에는 마한에 속했으며, 백제,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행정구역으로 변화했다. 1310년 순천부로 개칭된 이후 현재의 순천이라는 지명이 사용되었으며, 1995년 승주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를 이루었다. 소백산맥의 지맥이 뻗어 있고, 보성강과 이사천 등이 흐르는 지리적 특징을 가지며, 순천만 국가정원, 낙안읍성, 송광사, 선암사 등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 수산업, 임업 등이 있으며, 철도 교통이 발달하여 전라선과 경전선이 지나간다. 샌타모니카, 이즈미시 등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2020년 8월 기준 28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시 (전라남도) - 선암사
선암사는 백제 시대에 창건되어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를 거치며 번성했으나 조선 시대 불교 탄압으로 폐사되기도 했으며, 현재는 태고종 사찰로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석탑과 승선교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조계종과의 분쟁 역사를 가진 곳이다. - 순천시 (전라남도) - 왜교성 전투
왜교성 전투는 1598년 순천왜성에 주둔한 고니시 유키나가를 유정이 이끄는 명나라군과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 연합군이 공격했으나, 일본군의 저항과 사천성 전투 패배 소식으로 공략에 실패하고 감시 체제로 전환된 정유재란 막바지의 주요 전투이자 조명 연합군의 총공세가 실패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 해룡면
해룡면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면으로, 해촌면과 용두면이 합쳐져 탄생했으며, 신대지구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단지가 조성되었으며, 벼농사와 문화재로도 알려져 있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행정 구역 - 서면 (순천시)
서면은 순천시 서쪽에 위치하며, 고속도로 나들목이 있어 교통 요충지이고, 14개 법정리와 59개 행정리로 구성된 지역이다. - 전라남도의 도시 - 여수시
여수시는 전라남도 남해안에 위치한, 고조선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조선시대 해군 기지로서 기능했고 1998년 통합을 거쳐 2012년 세계박람회 개최로 국제적인 도시가 되었으며 석유화학산업 중심의 경제와 아름다운 해안,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가진 도시이다. - 전라남도의 도시 - 광양시
광양시는 전라남도 동남부에 위치하며, 마한의 만로국에서 기원하여 고려 시대부터 광양으로 불렸고, 포스코 광양 제철소를 중심으로 철강 산업과 물류 산업이 발달하여 1인당 지역내총생산이 전국 최고 수준이며, 전남 드래곤즈 축구팀의 연고지이다.
순천시 (전라남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순천시 |
유형 | 시 |
로마자 표기 | Suncheon-si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Sunch'ŏn-si |
![]() | |
![]() | |
방언 | 전라 |
면적 | 907.43km² |
인구 (2024년 9월) | 276,375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9 |
지역 번호 | +82-61 |
정치 | |
시장 | 노관규 (무소속) |
하위 행정 구역 | 1 읍, 10 면, 12 동 |
상징 | |
![]() | |
시 나무 | 감나무 |
시 꽃 | 철쭉 |
시 새 | 흑두루미 |
행정 구역 정보 | |
읍 | 1개 |
면 | 10개 |
동 | 12개 |
기타 | |
웹사이트 | 순천시청 |
2. 역사
옛 순천군 지역에서는 주암댐 수몰지구 유적 조사 결과 구석기 유물이 발굴되었고,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과 주거지 등이 발견되어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했으며,[30] 백제 시대에는 감평군(嵌平郡) 또는 삽평군(歃平郡) 등으로 불렸다.[31] 남북국 시대인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는 승평군(昇平郡)으로 개칭되었다. 후삼국 시대에는 후백제에 속했다.
고려 시대에는 940년(고려 태조 23년) 승주(昇州)로 개칭 및 승격되었고,[30] 983년(고려 성종 2년)에는 십이목 중 하나인 승주목(昇州牧)으로 승격하였다. 이후 1036년(정종 2년) 다시 승평군으로 강등되었다가,[30] 1309년(충선왕 1년) 승주목으로 재승격하였다. 그러나 바로 다음 해인 1310년 전국적인 목(牧) 정비 과정에서 '''순천부'''(順天府)로 개칭 및 강등되었는데, 이때 처음으로 '순천'이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30]
조선 시대에 들어 1413년(태종 13년) 도호부로 개편되어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가 되었으며, 전라좌도 남부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1479년(성종 10년)에는 옛 여수현 지역에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설치되어 군사적 중요성도 커졌다.
1895년(고종 32년) 갑오개혁 때 남원부 순천군으로 개편되었고, 1896년 13도제 실시에 따라 전라남도 순천군이 되었다. 이후 돌산군, 여수군 등이 분리되고 낙안군 일부가 편입되는 등 행정구역 변화를 겪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행정구역이 재정비되었고, 1931년에는 순천면이 순천읍으로 승격하였다.[34]
광복 이후 1949년 순천읍과 주변 일부 지역이 순천부로 승격되었다가 곧 순천시로 개칭되었고, 나머지 지역은 승주군으로 분리되었다.[35] 1995년 1월 1일, 지방자치제 실시를 앞두고 순천시와 승주군이 다시 통합되어 현재의 도농복합 형태인 '''순천시'''가 되었다.[44] 이후 몇 차례의 행정동 통폐합과 분동을 거쳐 현재는 1읍 10면 13행정동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49][50] 2020년에는 동아시아 문화도시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2. 1. 고대 ~ 고려 시대
옛 순천군 지역에서는 주암댐 수몰지구 유적 조사 결과 구석기 유물이 발굴되었고,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과 주거지 등이 발견되어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하였다.[30]
- 백제 시대에는 감평군(嵌平郡), 사평군(沙平郡) 또는 무평군(武平郡)이라 불렸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백제의 삽평군(歃平郡)으로 기록되어 있다. 삽평군은 원촌현(현재 여수), 돌산현(현재 돌산), 마로현(현재 광양) 등 3개 현을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였으며, 전라남도 지역의 다른 13개 군과 함께 무진주(현재 광주)에 속했다.[31]
- 남북국 시대인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는 승평군(昇平郡)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또한 속현이었던 원촌현은 해읍현(海邑縣)으로, 돌산현은 여산현(廬山縣) 또는 노산현으로, 마로현은 희양현(陽縣)으로 각각 이름을 변경하여 승평군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 후삼국 시대에는 견훤이 세운 후백제의 영토였다.
- 고려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전국 행정구역을 주·부·군·현으로 개편하면서 승평군에서 승주(昇州)로 이름을 바꾸고 지위를 높였다.[30] 해읍현은 여수현(麗水縣)으로, 여산현은 돌산현(突山縣)으로, 희양현은 광양현(光陽縣)으로 개칭되어 그대로 승주의 속현이 되었다. 또한 곡성군의 영현이었던 부유현(富有縣)도 승주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 983년(고려 성종 2년) 전국에 처음으로 십이목(十二牧)을 설치할 때, 승주는 승주목(昇州牧)으로 승격되었다.
- 995년(성종 14년)에는 곤해군(袞海軍) 절도사가 파견되었다. 승주목은 낙안군, 곡성군과 부유현, 광양현, 여수현, 돌산현 및 여러 향·소·부곡을 관할하였다.[30]
- 1012년(현종 3년)에는 안무사로 개칭되었다.
- 1036년(정종 2년) 다시 승평군(昇平郡)으로 이름이 바뀌고 지위가 낮아졌다.[30] 이때 승주목 관할이던 낙안군과 곡성군 및 그 부근의 4소(所)·2부곡(部曲)이 모두 나주목으로 이관되었다.
- 1108년 또는 1172년에 광양현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승주에서 분리되었다.
- 1309년(충선왕 1년) 다시 승주목(昇州牧)으로 승격하였다.
- 1310년(충선왕 2년) 전국의 목(牧) 제도를 정비하면서 '''순천부'''(順天府)로 이름이 바뀌고 부(府)로 강등되었다. 이때 처음으로 '순천'이라는 지명이 사용되었다.[30]
- 1350년(충정왕 2년) 여수현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순천에서 분리되었다.
2. 2. 조선 시대 ~ 일제강점기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1396년에는 여수현이 다시 순천부의 속현이 되었다. 1409년(태종 9년) 전라도의 속현·향·소·부곡이 모두 폐지되었는데,[32] 이때 순천부에는 3개 속현(여수현, 돌산현, 부유현), 2개 향(삼일포향, 정방향), 3개 소(상이사소, 두잉지소, 두평소), 10개 부곡(가음부곡, 이촌부곡, 죽청부곡, 율촌부곡, 진례부곡, 적량부곡, 소라포부곡, 하이사부곡, 별량부곡, 송림부곡)이 있었다.1413년(태종 13년) 조선 초기의 군현제 개편 때 도호부로 승격되어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가 되었다. 조선시대 동안 순천도호부는 전라좌도 남부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1479년(성종 10년)에는 옛 여수현(麗水縣) 땅에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설치되어 전라좌도 해안 방어의 군사적 요충지가 되었다.
1895년(고종 32년) 갑오개혁의 일환으로 실시된 지방제도 개정으로 남원부 순천군이 되었고, 1896년(고종 33년) 13도제 실시에 따라 전라남도 순천군으로 개편되었다. 같은 해 돌산군(突山郡)이 신설되면서 도서 지역이 돌산군으로 이관되었다. 당시 순천군은 용두면, 해촌면, 서면, 황전면, 월등면, 쌍암면, 주암면(옛 부유현), 송광면, 상사면(옛 상이사소), 하사면(옛 하이사부곡), 별량면(옛 별량부곡), 도리면, 장평면, 율촌면(옛 율촌부곡), 소라면(옛 소라포부곡), 삼일면(옛 삼일포향), 여수면(옛 여수현)을 관할하였다.
1897년에는 율촌면·소라면·삼일면·여수면이 여수군(麗水郡)으로 분할되어 순천군의 면적이 축소되었다 (14면). 1908년에는 낙안군이 폐지되면서 낙안군의 읍내·내서·외서·동상·동하·초상·초하면이 순천군에 편입되어 21개 면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선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 정책에 따라 면과 리가 통폐합되어 14면 199리로 개편되었다.
개편 전 | 개편 후 |
---|---|
소안면(蘇安面), 장평면(長平面) | 순천면(順天面) |
해촌면(海村面), 용두면(龍頭面) | 해룡면(海龍面) |
읍내면(邑內面), 내서면(內西面) | 낙안면(樂安面) |
도리면(道理面), 하사면(下沙面) | 도사면(道沙面) |
동상면(東上面), 동하면(東下面), 초상면(草上面), 초하면(草下面) | 동초면(東草面) |
서면, 황전면, 월등면, 쌍암면, 주암면, 송광면, 외서면, 상사면, 별량면 | (변동없음) |
1929년에는 동초면이 폐지되어 일부 지역은 별량면과 낙안면에, 일부는 보성군 벌교면에 분할 편입되었다.[33]
구 행정구역 (동초면) | 신 행정구역 |
---|---|
내운리·용능리·이곡리·신기리 | 낙안면 내운리·용능리·이곡리·신기리 |
금치리·죽산리·송기리·구룡리·두고리·원창리·대룡리 | 별량면 금치리·죽산리·송기리·구룡리·두고리·원창리·대룡리 |
호동리·장양리·회정리·봉림리·연산리 | 보성군 벌교면 호동리·장양리·회정리·봉림리·연산리 |
1931년 11월 1일에는 순천면이 순천읍으로 승격하였다.[34]
2. 3. 대한민국 시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인 1948년 10월,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한 군인들이 여수와 순천 등지에서 봉기한 여수·순천 사건이 발생했다. 봉기군은 일부 군경 및 우익 인사를 살해하였으나, 곧 대한민국 국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 과정에서 봉기 가담 혐의로 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다.행정 구역 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 1949년
- 8월 13일: 순천군 순천읍과 도사면 전역, 해룡면 일부(왕지리·조례리·연향리)를 관할로 '''순천부'''(順天府)가 설치되었다.[35][18]
- 8월 14일: 순천부 설치로 분리되고 남은 순천군 지역은 '''승주군'''(昇州郡)으로 개칭되었다.[35]
- 8월 15일: 순천부가 '''순천시'''(順天市)로 개칭되었다.
- 1964년 1월 7일: 순천시의 33개 법정동을 16개 행정동으로 개편하였다.[36]
- 1973년 7월 1일: 승주군 쌍암면 석흥리가 낙안면에 편입되었고, 보성군 문덕면 한천리가 승주군 송광면에 편입되었다.[37][38]
- 1983년 2월 15일: 곡성군 석곡면 운룡리가 승주군 주암면에 편입되었다.[39]
- 1985년 10월 1일: 승주군청을 쌍암면으로 이전하면서 쌍암면이 승주읍으로 승격하였다.[40][24]
- 1987년 1월 1일: 해룡면 복성리 일부가 광양군 광양읍에 편입되었다.[41][30]
- 1990년 4월 1일: 순천시 풍덕동과 장천동의 각 일부가 남제동에, 남제동 일부가 풍덕동에 편입되었다.[42]
- 1992년 12월 3일: 덕연동 일부가 조곡동과 풍덕동에, 풍덕동 일부가 조곡동에, 삼산동 일부가 매곡동에, 왕조동 일부가 덕연동으로 편입되었다.[43]
- 1995년
- 1월 1일: 전국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순천시와 승주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시 형태의 새로운 '''순천시'''가 출범하였다.[44][19] 통합 당시 행정구역은 1읍 10면 16동이었다.
- 8월 10일: 주암면 풍교리(楓橋里)를 문길리(文吉里)로 변경하였다.[45][20] 이는 일제강점기 때 바뀐 일본식 지명을 한국 고유 지명으로 되돌린 것이다.[30]
- 1998년
- 1월 15일: 해룡면 일부가 왕조동에 편입되었고, 덕연동과 조곡동의 경계가 조정되었으며, 풍덕동의 일부를 조곡동과 장천동으로 각각 편입시켰다.[46]
- 10월 12일: 행정동 통폐합이 이루어져 용수동·영옥동·행금동이 향동으로, 대평동·덕흥동·인안동이 도사동으로 통합되었다.[47] 이로써 1읍, 10면, 12동이 되었다.
- 1999년 8월 16일: 해룡면과 덕연동의 경계를 조정하였다.[48]
- 2003년 10월 20일: 왕조동을 왕조1동과 왕조2동으로 분동하였다.[49][50] 이로써 현재의 1읍, 10면, 13동 체제가 되었다.
- 2020년: 동아시아 문화도시로 선정되었다.
3. 지리
시의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소백산맥의 지맥인 백운산맥이 뻗어 있어, 지형은 대체로 북서쪽이 높고 동쪽으로 갈수록 고도가 낮아진다. 시의 중앙부에 솟은 조계산(884m)을 비롯하여 계족산(468m), 갈미봉(639m), 용계산(626m), 봉두산(753m), 희아산(764m), 문유산(688m), 국사봉(526m), 수리봉(550m), 고동산(709m), 금전산(668m), 모후산(919m), 망일봉(652m), 한동산(648m) 등 대부분 1000m 미만의 산들이 곳곳에 솟아 있으며, 이들 산줄기가 이 지역 주요 하천의 분수령이 되었다. 보성군 웅치면에서 발원한 보성강이 송광면과 주암면을 지나 북쪽으로 흐르다가 구례군과의 경계를 이루며 이 지역 북부를 흐르는 섬진강에 합류한다. 이사천(伊沙川)은 남쪽으로 흘러 순천만으로 들어간다. 또한 계족산에서 발원한 동천이 주요 시가지를 지나 석현천과 옥천을 합류하고 시가지 동쪽을 남쪽으로 흐르며 비교적 넓은 충적평야인 순천평야를 이룬다. 대동·조례·석현저수지 등과 주암호, 상사호 등의 다목적 댐이 주요 관개용수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순천만 하구에는 간석지가 분포하며, 방조제를 막아 간척지를 조성했다. 시의 남쪽은 다도해와 닿아 있다.
한반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전라남도 광양시 및 구례군, 서쪽으로는 화순군 및 보성군, 북쪽으로는 곡성군, 남쪽으로는 여수시와 접한다. 일부는 순천만 및 광양만에 면해 있다.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고, 갈대와 칠면초의 군락이 있는 순천만에는 칠게 등의 갑각류, 어패류, 벤갈고양이 등이 서식한다. 또한 검은목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 흰꼬리수리, 검은다리솔개, 노랑부리저어새, 큰뒷부리도요, 민물가마우지, 쇠제비갈매기, 흰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두루미 등 다양한 철새의 도래지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를 보호하기 위한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어 있다.[15][16][17] 내륙 지역에도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모후산과 조계산이 있으며, 바다의 갯벌과 이사천, 해룡천 등의 하천으로 연결되어 생태적 가치가 높다. 이러한 자연환경을 인정받아 순천시 전역은 2018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17]
3. 1. 기후
온화하고 강수량이 많으며, 해양성 기후의 특징이 강하다.[51] 연평균 기온은 12.6°C 내외이며, 1월 평균기온은 -0.4°C, 8월 평균기온은 25.2°C이다.[51] 연평균 강수량은 1531.3mm로서 다우지역에 속한다.[51] 난온대삼림지역으로서 온대활엽수림이 주종을 이루며, 난대림과 침엽수림도 분포한다.기록된 최고 기온 극값은 1994년 7월 24일의 39.4°C이고, 최저 기온 극값은 2001년 1월 15일의 -16°C이다.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
평균기온(℃) | -0.5°C | 1.2°C | 5.9°C | 12.1°C | 16.9°C | 21.2°C | 24.9°C | 25.2°C | 22.2°C | 13.8°C | 7.2°C | 1.5°C | 12.5°C |
최고기온(℃) | 5.5°C | 7.6°C | 12.9°C | 19.6°C | 24.1°C | 27.2°C | 29.7°C | 30.7°C | 26.8°C | 21.7°C | 14.6°C | 8.4°C | 19.1°C |
최저기온(℃) | -5.3°C | -4.2°C | -0.1°C | 5.2°C | 10.3°C | 16.2°C | 21.1°C | 21.2°C | 15.6°C | 8.2°C | 1.8°C | -3.6°C | 7.2°C |
강수량(mm) | 32.4mm | 43.7mm | 66.4mm | 111.3mm | 115.1mm | 217.2mm | 303.5mm | 304.8mm | 156.4mm | 59mm | 51mm | 26.7mm | 1487.6mm |
4. 행정 구역
순천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 13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천시의 면적은 907.41km2이며, 인구는 2020년 8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281,999 명, 120,230가구이다.[52]
읍면동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승주읍 | 昇州邑 | 93.05 | 2,739 | 1,539 |
해룡면[53] | 海龍面 | 49.93 | 54,937 | 20,268 |
서면 | 西面 | 103.53 | 12,164 | 5,837 |
황전면 | 黃田面 | 98.8 | 2,981 | 1,714 |
월등면 | 月燈面 | 44.29 | 1,830 | 1,024 |
주암면 | 住巖面 | 93.83 | 3,219 | 1,900 |
송광면 | 松光面 | 109.85 | 1,527 | 893 |
외서면 | 外西面 | 35.43 | 905 | 544 |
낙안면 | 樂安面 | 63.1 | 3,279 | 1,759 |
별량면 | 別良面 | 69.67 | 5,580 | 2,943 |
상사면 | 上沙面 | 60.3 | 2,835 | 1,442 |
향동 | 鄕洞 | 18.67 | 3,788 | 1,935 |
매곡동 | 梅谷洞 | 1.42 | 5,775 | 2,975 |
삼산동 | 三山洞 | 17.72 | 25,156 | 10,493 |
조곡동 | 稠谷洞 | 2.15 | 6,376 | 2,920 |
덕연동 | 德蓮洞 | 5.11 | 44,781 | 17,440 |
풍덕동 | 豊德洞 | 2.98 | 7,802 | 3,759 |
남제동 | 南蹄洞 | 2.56 | 8,991 | 4,441 |
저전동 | 楮田洞 | 0.97 | 2,904 | 1,427 |
장천동 | 長泉洞 | 0.47 | 2,452 | 1,541 |
중앙동 | 中央洞 | 0.5 | 3,163 | 1,750 |
도사동 | 道沙洞 | 25.4 | 18,444 | 7,639 |
왕조1동 | 旺照洞 | 9.41 | 40,547 | 16,644 |
왕조2동 | 1.29 | 19,824 | 7,402 | |
순천시 | 順天市 | 907.43 | 281,999 | 120,230 |
* 인구·세대는 2020년 8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한반도 남해안에 위치하며, 동쪽은 전라남도광양시·구례군, 서쪽은 화순군·보성군, 북쪽은 곡성군, 남쪽은 여수시와 접하고, 일부는 순천만 및 광양만에 면한다.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고, 갈대, 칠면초의 군락이 있는 순천만에는 칠게 등의 갑각류, 어패류, 삵 등이 서식하며, 검은목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 흰꼬리수리, 검은다리솔개, 노랑부리저어새, 큰뒷부리도요, 민물가마우지, 쇠제비갈매기, 흰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두루미 등의 철새 도래지로, 람사르 협약에 등록되어 있다.[15][16][17] 또한, 내륙부에도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모후산과 조계산이 있으며, 바다의 갯벌과 이사천, 해룡천 등의 하천으로 연결되어 있어, 시역은 2018년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17]
4. 1. 인구
통합 이전 승주군 지역은 1948년 8·15 해방 후 조금씩 증가해오던 인구가 1970년 145,879명을 정점으로 이후 계속 줄어드는 인구 유출 경향을 보였다. 연도별 인구를 보면 1975년 138,505명, 1980년 123,778명, 1985년 123,211명, 1990년 104,388명이었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20년간 인구는 약 28% 감소했으며, 가구 수도 1970년 24,390가구에서 1990년 20,597가구로 줄어 이촌향도에 따른 농촌 지역의 일반적인 인구 유출 현상을 나타냈다.한편 통합 이전 순천시 지역은 남쪽으로 여수시와 연결되고, 북쪽으로는 구례군, 곡성군, 보성군으로 이어지는 전라남도 동부 지방 교통의 요지에 위치하여 영조 때 이미 인구 41,000명 정도의 큰 취락을 이루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순천평야와 주변 농업 지역의 농산물 집산지이자 수탈 거점으로서 성장하여 1920년대 말에는 인구가 100,000명에 육박했다. 1948년 8·15 해방 후 일제의 수탈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고 1948년 여수·순천 사건 등으로 사회적 불안을 겪으면서 인구가 감소했으나, 1950년대 말부터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공업 도시들의 급격한 성장으로 농촌적 성격을 지닌 순천시의 성장은 상대적으로 위축되어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1970년 90,910명, 1980년 114,223명, 1990년 167,209명으로, 1970년에서 1980년 사이에는 26%, 1980년에서 1990년 사이에는 46%의 인구가 증가했다.
도농복합시로 통합된 이후 1995년 말 인구는 241,889명이었고, 2016년 2월 말 인구는 281,071명이다. 읍·면 지역에 시 전체 인구의 29.22%, 동 지역에 70.78%가 분포하고 있다. 행정동별로는 왕조1·2동(68,000명)과 덕연동(43,000명)에 인구가 많고, 읍·면별로는 해룡면(50,000명)이 인구가 가장 많다. 특히 해룡면은 대한민국의 면 중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이다.
순천시의 인구는 2000년에 27만 명에 달한 후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 인구는 약 1,600명이며, 그중 약 700명이 중국인이다. 일본인은 약 60명이다 (2009년 기준).
참고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에는 한글 표기가 같은 순천시가 있어 번역 시 한자 표기가 혼동될 수 있다.
5. 시청
현재 순천시청은 전라남도 순천시 장천동에 위치하고 있다.
6. 산업
순천시는 도시임에도 농업 비중이 비교적 높으며, 순천만을 중심으로 한 수산업과 상업도 함께 발달하였다. 예로부터 농산물 집산지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도 여러 정기시장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또한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의 배후 도시로서 해룡면 등을 중심으로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철강 및 화학 관련 산업도 이루어지고 있다.[6] 인접한 여수시, 광양시와의 산업 연계성도 높은 편이다.
6. 1. 농업
총 경지 면적은 27.28km2이며, 이 중 논은 19.38km2, 밭은 7.9km2이다. 도시임에도 경지율이 30.8%로 높은 편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과 보리가 있으며,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오이, 고추, 상추 등 고등 원예농업이 발달했다. 이외에도 참깨, 잎담배, 인삼 같은 특용작물과 과일로는 단감 등이 생산된다. 생산된 농산물의 대부분은 호남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를 통해 서울, 부산 등 대도시로 출하된다.목축업은 농가를 중심으로 소규모로 이루어지며, 소, 돼지, 닭, 산양, 젖소 등을 사육하는 농가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6. 2. 수산업
수산업은 순천만에서 소규모로 이루어지며, 수산업에 종사하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3.8%에 불과하다.주요 어획 및 양식 품목은 다음과 같다.
6. 3. 임업
임야 면적이 전라남도 내에서 가장 넓지만 소나무가 주종을 이루어 목재 생산량은 많지 않다. 주요 임산물은 밤, 대추, 도토리, 은행, 표고버섯 등이다. 목축업은 농가를 중심으로 소규모로 이루어지며, 소, 돼지, 닭, 산양, 젖소 등의 사육 농가가 늘고 있다.6. 4. 축산업
목축업은 농가를 중심으로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편이다. 주요 사육 가축으로는 소, 돼지, 닭, 산양, 젖소 등이 있으며, 관련 사육 농가는 점차 늘고 있다.6. 5. 상업
예로부터 농산물 집산지로 상설시장, 도매시장, 정기시장 등이 발달했다.남부시장, 북부시장, 승주시장, 주암시장, 창촌시장, 송광시장, 괴목시장, 별량시장 등 8개 정기시장을 중심으로 상업 활동이 이루어지며, 주요 거래 품목은 농산물과 해산물이다.
2012년에 남부시장은 아랫장으로, 북부시장은 웃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6. 6. 산업단지
서면 선평리 일원에는 순천일반산업단지가 있으며, 주암면에는 주암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 개발로 인해 해룡면 일원에 해룡산업단지와 율촌제1산업단지가 조성되었다.순천시는 여수시와 광양시의 주요 산업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철강 및 화학 관련 주요 산업이 발달하였다. 특히 금속 주조, 제강, 제철업이 주요 산업 분야이다. 순천시의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현대제철, 현대아이피씨, 세아제강, DSR제강, 해원엠에스씨, 이맥솔루션, 피제이이앤에스 등이 있다.[6]
7. 교통
전라남도에서 상대적으로 철도 교통이 발달한 지역으로, 순천역에서는 전라선과 경전선이 교차하며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가 위치한다. 2011년 10월 5일에는 전라선 KTX가 개통되었다. 고속도로는 호남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가 지나 여러 지역과 연결되며, 구례, 곡성, 보성, 여수, 남원, 광양, 광주, 화순 등 주요 도시를 잇는 국도망도 잘 갖추어져 있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여수공항으로, 순천시와 인접해 있어 항공 시간표에는 종종 '''여수/순천'''으로 함께 표기된다.
7. 1. 철도
전라남도에서 상대적으로 철도교통이 번성한 곳으로, 순천역에서 전라선과 경전선이 교차하며 한국철도공사 전남본부가 자리 잡고 있다. 2011년 10월 5일에는 전라선 KTX가 개통되어 수도권 접근성이 향상되었다.전라선에는 용산역에서 출발하는 KTX가 운행된다. 순천시 내에서는 순천역에 모든 열차가 정차하고, 구례구역에는 일부 열차가 정차한다. 용산역에서 순천역까지 KTX 운행 시간은 약 2시간 40분이 소요된다. 또한, ITX-새마을,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S-Train도 모든 열차가 구례구역과 순천역에 정차하여 여객 운송을 담당한다.
경전선은 순천역에서 대부분의 열차 운행 계통이 나뉜다. 진주역 방면과 서광주역 방면으로 가는 무궁화호가 순천역에서 출발하거나 도착하지만, 운행 횟수는 많지 않은 편이다. 또한, 용산역에서 출발하여 서광주역을 거쳐 순천역까지 운행하는 장거리 무궁화호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7. 2. 버스

- '''시내버스''': 순천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조하라. 시내버스에서는 캐시비(마이비카드 포함), 티머니, 한페이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시외/고속버스''':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은 순천역에서 서쪽으로 1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 * '''고속버스''': 서울남부터미널(호남선) 방면 노선이 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약 3시간 35분이 소요된다. 그 외 인천국제공항,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 * '''시외버스''': 부산서부버스터미널 방면 노선이 시간당 1~3회 운행하며, 약 2시간 40분이 소요된다. 광주 방면은 30분 간격(약 1시간 20분 소요), 여수 방면은 1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그 외 전주, 진주, 마산(창원시), 해남군, 강진군, 고흥군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7. 3. 도로
고속도로로는 호남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를 통해 여러 지역을 연결한다. 또한 구례, 곡성, 보성, 여수, 남원, 광양, 광주, 화순 등을 잇는 국도가 지난다.8. 문화·관광
순천시는 풍부한 역사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다채로운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국가지정문화재(국보 3점, 보물 34점, 천연기념물 2점, 명승 1점, 사적 3점, 중요민속자료 10점, 중요무형문화재 1점)와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26점, 무형문화재 3점, 기념물 10점, 민속자료 3점) 및 문화재자료 18점이 있어[55] 역사와 문화의 깊이를 더한다.
대표적인 관광 명소로는 순천만습지, 낙안읍성 민속마을, 순천만국가정원, 송광사, 선암사 등을 포함하는 '순천 10경'이 유명하다. 이 외에도 순천 드라마 촬영장, 고인돌 공원, 순천왜성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또한 순천문화원과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 박물관 등의 문화 시설과 지역 고유의 민속놀이, 설화, 민요 등이 전승되어 지역 문화를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자원을 바탕으로 순천시는 생태 및 역사 문화 관광 도시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8. 1. 관광

순천시에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3점, 보물 34점, 천연기념물 2점, 명승 1점, 사적 3점, 중요민속자료 10점, 중요무형문화재 1점)와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26점, 무형문화재 3점, 기념물 10점, 민속자료 3점) 및 문화재자료 18점이 있다.[55] 순천시는 주요 관광 명소를 "순천 10경"으로 홍보하고 있다.
- 순천만습지: 세계 5대 연안습지 중 하나로, 넓게 펼쳐진 갯벌과 갈대밭, 칠면초 군락이 특징이다. 2003년 해양수산부 지정 습지보호지역이며,[3]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국제적으로 중요한 습지이다.[15][16][17] 검은목두루미, 노랑부리저어새, 알락꼬리마도요 등 다양한 철새가 찾는 도래지이며, 칠게 등 갑각류, 어패류, 살쾡이(벵갈고양이)를 비롯한 여러 생물이 서식한다. 이사천, 해룡천 등 하천과 갯벌, 내륙의 모후산, 조계산까지 이어지는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바탕으로 2018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17] (순천 10경 중 하나)
- 낙안읍성 민속마을: 조선 시대의 성곽, 관청, 민가 등이 잘 보존된 역사 마을이다.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 쌓은 토성을 기반으로 17세기 전반에 약 1.4km 길이의 석성으로 개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198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도 200명 이상의 주민이 실제 거주하며 전통적인 생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5] (순천 10경 중 하나)

- 순천 드라마 촬영장: 조례동에 위치한 영화 및 드라마 촬영 세트장이다. 2006년에 조성되었으며, 1950년대 순천 읍내, 1960년대 서울 봉천동 달동네, 1970년대 서울 변두리 풍경을 재현했다. (순천 10경 중 하나)
- 고인돌 공원: 주암면에 위치하며, 고창군, 화순군, 강화군의 고인돌 유적과 함께 200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고인돌 유적의 일부이다. (순천 10경 중 하나)
- 송광사: 한국 불교 최대 종파인 조계종의 주요 사찰(삼보사찰 중 승보사찰)이다. 해인사, 통도사와 더불어 한국 불교의 중요한 수행 및 교육 도량으로 꼽힌다. (순천 10경 중 하나)

- 순천왜성: 해룡면 신성리에 위치한 정유재란 시기(1597년) 소서행장이 축조한 일본식 성곽이다. 광양만에 접한 작은 산에 당시의 성벽과 해자가 남아 있으며, 1598년 순천왜성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순천 10경 중 하나)
이 외에도 순천 10경에는 순천만국가정원, 순천전통야생차체험관, 주암호·상사호 조망, 와온·화포 해변이 포함된다.
8. 1. 1. 순천만국가정원
201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회장을 개조하여 조성한 정원이다. 순천시의 대표적인 관광명소로 2019년 618만 명이 방문했다. 순천만 보호를 위해 1.112km2 부지에 조성되었으며, 79만 그루 이상의 나무가 있다.[4]201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정원박람회였다. 이 박람회는 태양에너지, 지속 가능한 정원 개발 및 전기 운송과 같은 녹색 산업 발전에 중점을 두었으며, 녹색 기술, 국제 정원 전시 및 습지 보전을 선보였다. 박람회장, 상설 정원, 수목원, 습지센터, 그리고 순천만으로 연결되는 모노레일은 지속적인 관광을 위해 유지되고 있다. 순천시의 "10경" 중 하나로 꼽히며, 정원 내 일본 정원은 자매 도시인 가고시마현 이즈미시가 대표로 조성하였다. 박람회 폐막 후 현재의 순천만국가정원이 되었으며 사진 찍기 좋은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8. 2. 유적지
순천 지역에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적지가 분포하고 있다.청동기 시대 유적은 가곡동, 용당동, 덕암동, 왕지동, 조례동, 승주읍, 송광면 등에서 확인되며, 특히 보성강과 이사천 주변에는 수백 기의 고인돌이 흩어져 있다. 주암면 구산리에서는 청동기 시대 집터가, 송광면 낙수리에서는 삼국 시대 전기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집터 15곳이 발견되어 중요한 고고학 자료로 평가받는다.[1] 별량면, 상사면 등에서도 청동기 시대 유물 및 유적이 발견되었다. 삼국 시대 유적으로는 옥천동 고분이 대표적이다.
성곽 유적으로는 삼국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매곡산성(난봉산 소재)과 인제산성(인제산 소재)이 있으며, 이후 시대에 만들어진 홍내산성과 석성인 순천읍성 터도 남아있다.[1]
고려 시대 유적으로는 청백리의 상징으로 알려진 최석(崔碩)의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팔마비(八馬碑)가 영동에 있으며, 이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되어 있다.[1]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낙안읍성과 순천왜성이 있다.
- '''낙안읍성'''
전라남도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조선 시대 읍성으로,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토성을 기반으로 17세기 전반에 약 1.4km 길이의 석성으로 개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성곽뿐만 아니라 내부의 관아 건물과 민가들이 잘 보존되어 있어 조선 시대의 생활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5] 198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다른 민속촌과 달리 현재에도 약 200명 이상의 주민들이 실제로 거주하며 생활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남도음식문화축제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 '''순천왜성'''
임진왜란 중 정유재란 때인 1597년, 소서행장(小西行長)이 이끄는 일본군이 광양만에 인접한 검단산성 동쪽의 산 능선에 축조한 일본식 성곽이다. 해자와 성벽의 일부가 남아 있으며, 1598년 10월 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의 공격을 받았으나, 일본군이 이를 격퇴한 순천왜성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자연 및 근현대 유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곳들이 있다.
- '''순천만습지'''
세계 5대 연안 습지 중 하나로, 넓은 갈대밭과 갯벌이 펼쳐져 있으며 다양한 철새들의 서식지로 유명하다. 2003년 해양수산부에 의해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생태적 가치가 높아 꾸준히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3]
- '''순천만국가정원'''
순천만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조성된 대한민국 제1호 국가정원이다. 1.112km2의 넓은 부지에 79만 그루 이상의 나무와 다양한 테마의 정원이 꾸며져 있다.[4] 201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 장소였으며, 박람회 이후 국가정원으로 지정되어 많은 방문객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자매 도시인 가고시마현 이즈미시가 조성한 일본 정원도 있다.
- '''고인돌 공원'''
주암댐 건설로 수몰될 위기에 처했던 고인돌들을 이전하여 조성한 공원이다. 고창군, 화순군, 강화군의 고인돌 유적과 함께 200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의 일부이다.
- '''순천 드라마 촬영장'''
조례동에 위치한 오픈 세트장으로, 2006년 영화와 드라마 촬영을 위해 조성되었다. 1950년대 순천 읍내, 1960년대 서울 봉천동 달동네, 1970년대 서울 변두리 거리 등 세 시대를 재현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과거의 모습을 체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순천시는 "10경 10미(十景十味)"를 선정하여 홍보하고 있으며, 주요 유적 및 명소는 다음과 같다.
'''순천 10경'''
- 제1경: 순천왜성 (해룡면)
- 제2경: 낙안읍성 (낙안면)
- 제3경: 순천만국가정원
- 제4경: 송광사 (송광면): 한국 불교 조계종의 승보사찰로, 해인사, 통도사와 함께 삼보사찰로 불린다.
- 제5경: 선암사 (승주읍): 한국 불교 태고종의 총본산이다.
- 제6경: 순천 드라마 촬영장
- 제7경: 순천전통야생차체험관
- 제8경: 고인돌 공원 (송광면)
- 제9경: 순천만습지
- 제10경: 주암호 · 상사호 조망
8. 3. 유교 문화재
조선시대의 유교 문화재로는 1658년 낙안면 교촌리로 이전한 낙안향교(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2호)와 순천향교(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가 대표적이다. 또한 여러 서원이 존재하는데, 옥천서원(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4호), 옥계서원(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5호), 용강서원(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을 비롯하여 청수서원, 곡수서원, 송천서원, 오천서원, 율봉서원 등이 있다.사당으로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장윤을 추모하기 위해 세웠다가 후에 서원이 된 정충사( )를 비롯하여 월계사, 문천사, 육층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조선시대 순천에 유배되었던 김굉필과 조위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임청대(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77호)가 옥천동에 남아 있다.
8. 4. 불교 문화재
순천시는 불교 문화의 요람이라 불릴 만큼 많은 불교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조계산의 수려한 자연경관 속에 자리 잡은 송광사와 선암사는 전라남도의 대표적인 사찰이자 중요한 관광지이다.'''송광사'''
송광사(松廣寺)는 송광면 신평리에 위치하며,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와 함께 한국의 삼보사찰 중 하나로 꼽힌다. 신라 말기에 창건되어 길상사(吉祥寺)라 불렸으나, 고려 명종 때 지눌 국사가 불교 전통을 새롭게 하고자 노력하며 송광사(松廣寺)로 개명하였다. 이곳은 고려 시대에 16명의 국사(國師)를 배출한 유서 깊은 사찰이다. 조선 시대에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재건되었으나, 1948년 여순 사건과 1951년 한국 전쟁으로 인해 다시 크게 파손되었다. 1984년부터 1988년까지 8차례의 중건 사업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33개의 건물이 복원되었다. 오늘날 송광사는 국내외 승려들의 수행처이자 한국 불교 문화를 연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송광사는 다수의 국보와 보물을 포함하여 총 26점의 지정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구분 | 문화재명 | 지정 번호 | 소재지 |
---|---|---|---|
국보 | 송광사 목조삼존불감(松廣寺木彫三尊佛龕) | 국보 제42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국보 | 고려고종제서(高麗高宗制書) | 국보 제43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국보 | 송광사 국사전(松廣寺 國師殿) | 국보 제56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대반열반경소(松廣寺大般涅槃經疏) | 보물 제90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경질(經帙) | 보물 제134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경패(松廣寺經牌) | 보물 제175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금동요령(松廣寺金銅搖鈴) | 보물 제176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松廣寺妙法蓮花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 | 보물 제204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대승아비달마잡론소(松廣寺大乘阿毘達磨雜論疏) | 보물 제205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묘법연화경찬술(松廣寺妙法蓮華經讚述) | 보물 제206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금강반야경소개현초(松廣寺金剛般若經疏開玄~) | 보물 제207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하사당(松廣寺下舍堂) | 보물 제263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약사전(松廣寺藥師殿) | 보물 제302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보물 | 송광사 고려문서(松廣寺高麗文書) | 보물 제572호 |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 |
'''선암사'''
선암사(仙巖寺)는 승주읍 죽학리 조계산 동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백제 시대에 아도화상이 청량산에 비로암이라는 작은 절을 지은 것이 시초이며, 신라 시대에 도선 국사가 중창하며 선암사(仙巖寺)로 개칭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대각국사 의천이 이곳에 천태종을 창건하였으며, 이후 여러 불교 종파가 융합되는 중심지 역할을 했다. 선암사 역시 송광사와 더불어 한국 불교 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다수 소장하고 있다.
선암사는 7점의 국보와 11점의 보물을 포함하여 총 18점의 지정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구분 | 문화재명 | 지정 번호 | 소재지 |
---|---|---|---|
보물 | 순천 선암사 승선교(仙巖寺昇仙橋) | 보물 제400호 |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 |
보물 | 선암사 삼층석탑(仙巖寺 三層石塔) | 보물 제395호 |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 선암사 금동향로(仙巖寺 金銅香爐)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0호 |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 |
'''기타 불교 문화재'''
순천시에는 송광사와 선암사 외에도 여러 중요한 불교 문화재가 산재해 있다.
문화재명 | 지정 | 소재지 |
---|---|---|
동화사 삼층석탑(桐華寺 三層石塔) | 보물 제831호 | 별량면 동화리 |
금둔사지 석불입상(金芚寺址 石佛立像) | 보물 제946호 | 낙안면 금산리 (금둔사지) |
향림사(香林寺) 대웅전(大雄殿)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3호 | 석현동 (향림사) |
향림사 삼층석탑(香林寺 三層石塔)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6호 | 석현동 (향림사) |
장명석등(長明石燈)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호 | 영동 (옛 승주군 군청터) |
장천동 구층석탑(長川洞 九層石塔) | 비지정 | 장천동 |
'''천연기념물'''
-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천연기념물 제88호): 송광면 율리 송광사 천자암 경내에 있는 약 700년 된 곱향나무 두 그루이다. 높이는 약 12.5m, 가슴높이 둘레는 약 3.98m이다. 전설에 따르면, 중국에서 돌아온 승려가 짚고 온 향나무 지팡이를 나란히 꽂은 것이 뿌리를 내려 자랐다고 전해진다. 두 나무가 서로를 향해 비스듬히 자라면서 줄기가 엿가락처럼 꼬인 독특한 모습을 하고 있다.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지정 면적은 600평(1980m2)이다.
이처럼 순천시는 풍부한 불교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
8. 5. 기타 관광지
- 순천만습지: 세계 5대 연안습지로 꼽히는 곳으로, 넓은 갈대밭과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이다. 2003년 해양수산부에 의해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고[3], 람사르 협약에도 등록되어 국제적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15][16][17] 갯벌에는 칠게 등 갑각류와 어패류가 풍부하며, 삵과 같은 포유류도 서식한다. 또한 검은목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 흰꼬리수리 등 다양한 철새들의 중요한 도래지이기도 하다. 이러한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17]
- 순천만국가정원: 순천만 보호를 위해 조성된 1.112km2 규모의 정원으로, 79만 그루 이상의 나무와 다채로운 테마 정원이 꾸며져 있다.[4] 2013년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 장소였으며, 박람회 이후 국가정원으로 지정되어 많은 방문객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자매 도시인 일본 가고시마현 이즈미시가 조성한 일본 정원도 볼 수 있다.
- 순천 화순 고인돌 공원: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의 일부로,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인 고인돌이 다수 분포하고 있다.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순천 드라마 세트장: 조례동에 위치한 대규모 촬영 세트장이다. 2006년 영화와 드라마 촬영을 위해 39669.6m2 부지에 조성되었으며, 1950년대 순천 읍내, 1960년대 서울 봉천동 달동네, 1970년대 서울 변두리 풍경 등 세 시대를 재현한 200여 채의 건물이 들어서 있다. 드라마 《사랑과 야망》, 《자이언트》(2010), 영화 《멀리서 보면》(2008) 등 다수의 작품이 이곳에서 촬영되었다.
- 낙안읍성 민속마을: 조선 시대의 전통적인 생활 모습과 성곽, 관아, 민가 등이 잘 보존되어 있는 역사 마을이다.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토성을 기초로, 17세기 전반에 약 1.4km 길이의 석성으로 개축되었다. 다른 민속촌과 달리 실제 주민 200여 명이 전통 가옥에서 생활하고 있으며[5], 198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순천왜성: 해룡면에 위치하며, 정유재란 중인 1597년 일본 장수 소서행장이 축조한 일본식 성곽이다. 광양만과 인접한 작은 산에 당시의 성벽과 해자(垓子) 일부가 남아 있다. 1598년 10월, 소서행장이 이끄는 일본군이 명나라와 조선 연합군의 공격을 격퇴한 순천왜성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 송광사: 송광면에 자리한 한국 불교의 주요 사찰 중 하나로, 조계종에 속한다. 해인사, 통도사와 더불어 한국의 삼보사찰로 불리며, 많은 고승을 배출한 승려 수행 및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 선암사: 승주읍 조계산 자락에 위치한 고찰이다.
- 순천전통야생차체험관: 한국 전통 차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 주암호·상사호: 순천의 주요 상수원이자 주변 경관이 아름다운 호수이다.
- 와온해변·화포해변: 순천만과 인접한 해변으로, 특히 일몰 풍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져 있다.
8. 6. 문화
순천문화원으로 통합되기 전까지 구 승주문화원은 각종 향토 유물과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하여 책을 편찬하는 등 향토 문화 발전에 기여해왔다.순천 지역의 주요 민속놀이로는 강강술래, 농악, 선유락(船遊樂), 줄다리기, 달맞이놀이, 승경도놀이 등이 있다. 전승되는 설화 중에는 사찰의 유래와 관련된 이야기가 많으며, 민요로는 〈김매기노래〉, 〈밭매기노래〉, 〈길쌈노래〉와 같은 노동요와 〈방개타령〉, 〈화투타령〉 등의 유희요가 구전되어 온다.
순천시립 뿌리깊은나무 박물관은 낙안읍성 인근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박물관은 한국의 유명 잡지 창립자인 한창기의 개인 소장품을 중심으로 설립되었으며, 청동기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소장 유물은 한국 고전 문학 서적, 민속 예술품, 도자기, 삼국 시대의 전통 의복 등 약 6,500여 점에 달하며, 이를 통해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국의 문화와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9. 교육 기관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순천향교와 낙안향교를 비롯해 송천서원·오천서원·옥천서원·율봉서원·이천서원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09년에 개교한 승명학교(昇明學校)와 1917년 낙안면 동내리에 개교한 낙안공립보통학교가 있었고, 이후 황전·주암·별량·송광·쌍암·동산·해룡·외서·월등 등의 지역에 공립보통학교가 차례로 설립되었다.
2007년을 기준으로 유치원 58개소, 초등학교 38개교, 중학교 21개교, 인문계 고등학교 9개교, 전문계 고등학교 5개교가 있다.[56]
대학교로는 국립순천대학교, 청암대학교, 순천제일대학교 등이 있다.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 | 학교명 | 학교명 | 학교명 |
---|---|---|---|
순천강남여자고등학교 | 순천고등학교 | 순천공업고등학교 | 순천금당고등학교 |
순천매산고등학교 | 순천매산여자고등학교 | 순천여자고등학교 | 순천전자고등학교 |
순천제일고등학교 | 순천청암고등학교 | 순천효산고등학교 | 순천효천고등학교 |
한국바둑고등학교 | 순천팔마고등학교 | 순천복성고등학교 |
특수학교로는 순천선혜학교가 있다.
10. FM 라디오 주파수 방송 목록
주파수 (MHz) | 방송국 | 송신소 |
---|---|---|
88.3 | 전주KBS 제1라디오 | 구례 노고단 |
88.7 | 순천KBS 제1라디오 | 순천 남산 |
89.5 | 전남CBS 표준FM | 순천 남산 |
90.7 | kbc MyFM | 광양 구봉화산 |
91.1 | MBC경남 표준FM | 경남 하동 금오산 |
93.7 | GFN 광주영어방송 | 여수 구봉산 |
94.5 | 광주KBS 클래식FM | 경남 남해 망운산 |
95.7 | 순천KBS 제1라디오 | 경남 남해 망운산 |
96.7 | kbc MyFM | 여수 구봉산 |
97.1 | 진주KBS 제1라디오 | 경남 하동 금오산 |
97.5 | febc 전남동부극동방송 | 광양 구봉화산 |
98.3 | 여수MBC FM4U | 여수 구봉산 |
99.5 | cpbc 광주가톨릭평화방송 | 여수 구봉산 |
100.3 | 여수MBC 표준FM | 순천 남산 |
100.9 | 광주KBS 해피FM | 여수 구봉산 |
101.3 | 여수MBC 표준FM | 경남 남해 망운산 |
102.1 | 전남CBS 표준FM | 여수 구봉산 |
102.7 | 광주KBS 해피FM | 순천 남산 |
103.5 | TBN 광주교통방송 | 광양 구봉화산 |
104.1 | EBS 라디오 | 보성 벌교 |
104.5 | 전주KBS 클래식FM | 구례 노고단 |
105.7 | BBS 광주불교방송 | 광양 구봉화산 |
106.3 | EBS 라디오 | 경남 남해 망운산 |
107.1 | 여수MBC 표준FM | 여수 구봉산 |
107.5 | EBS 라디오 | 구례 노고단 |
11. 출신 인물
- 카이 (본명: 김종인): 가수, 래퍼, 댄서, 배우, 모델. K팝 아이돌 그룹 엑소, 엑소-K, 슈퍼엠의 멤버이다.
- 이슬비: 배우
- 민희 (본명: 강민희): 가수, 댄서. K팝 아이돌 그룹 크래비티의 멤버이다.
- 김옥빈: 배우
- 준 (본명: 박준희): 가수, 댄서. K팝 아이돌 그룹 에이스의 리더이자 멤버이다.
- 해윤 (본명: 박해윤): 가수, 댄서. K팝 아이돌 그룹 체리블렛의 리더이자 멤버이다.
- 현승 (본명: 장현승): 가수, 댄서. K팝 아이돌 그룹 비스트의 전 멤버이다.
- 공찬 (본명: 공찬식): 가수, 댄서, 모델, 배우, MC. K팝 아이돌 그룹 비원에이포의 멤버이다.
- 채연 (본명: 정채연): 가수, 댄서, 모델, 배우. K팝 아이돌 그룹 다이아의 멤버이자, 아이오아이의 전 멤버이다.
- 윤시윤 (본명: 윤동구): 배우
- 미료 (본명: 조미혜): 싱어송라이터, 래퍼, 댄서, 음반 프로듀서. K팝 아이돌 그룹 브라운 아이드 걸스의 멤버이다.
- 아이디 (본명: 남유진): 가수, 작사가, 배우. 베이스캠프 스튜디오 소속이며, 믹스나인에 출연했다.
- 강혜달림 (본명: 강경순): 블루스 싱어송라이터
- 박결: 골프 선수
- 박초선: 일제강점기의 여성 판소리 명창이자 동명의 시인이다.
12. 자매결연도시
순천시는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 우호교류, 협력증진 등의 관계를 맺으며 활발한 교류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제 교류와 국내 협력 증진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으며,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의 순천시와 자매결연을 추진하며 남북 교류 활성화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상세한 교류 도시 목록 및 현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12. 1. 국제 자매 결연
12. 2. 국제 우호 교류
wikitext구분 | 국가 | 도시 | 결연/교류 일자 |
---|---|---|---|
자매결연 | 미국 | 캘리포니아주 샌타모니카 시 | 1991년 10월 18일 |
일본 | 가고시마현 이즈미시 | 2012년 11월 13일 | |
우호교류 | 네팔 | 치트완 현 바랏푸르 | 1997년 6월 24일 |
중국 | 랴오닝성 단둥시 | 2003년 2월 22일 | |
프랑스 | 낭트 | 2009년 10월 30일 | |
세이셸 | 빅토리아 시 | 2012년 10월 29일 | |
튀르키예 | 지중해 지역 안탈리아주 안탈리아 | 2016년 4월 21일 |
12. 3. 국내 협력 증진
- 경상남도 진주시 (1998년 9월 25일~)
- 서울특별시 양천구 (2003년 5월 2일~)
- 서울특별시 강서구 (2012년 12월 10일~)
- 경기도 오산시 (2013년 1월 11일~)
- 서울특별시 (2013년 2월 28일~)
- 평안남도 순천시 (결연 추진)
12. 4. 결연 추진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Yeosu, Surrounding Cities to Merge
https://web.archive.[...]
2007-10-24
[3]
웹사이트
Suncheon Bay Wetland Reserve Returns to Top 100 Tourist Spot List
http://koreabizwire.[...]
2019-01-04
[4]
웹사이트
Suncheon Bay Garden
https://www.koreatim[...]
2015-02-12
[5]
웹사이트
Naganeupseong, Town Fortress and Village
https://whc.unesco.o[...]
[6]
웹사이트
순천의 주요 기업
https://informative.[...]
[7]
뉴스
'Aha! Suncheon' Suncheon brand slogan confirmed Four colors to promote urban image
http://www.namdonews[...]
2005-10-18
[8]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eb.archive.[...]
Antalya
2021-01-25
[9]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ww.como.gov[...]
City of Columbia
[10]
웹사이트
海外姉妹都市
https://www.city.kag[...]
Izumi, Kagoshima
[11]
웹사이트
Gradovi pobratimi
https://web.archive.[...]
2023-07-11
[12]
웹사이트
Déclaration d'amitié Nantes-Cardiff
https://metropole.na[...]
Nantes
[13]
웹사이트
순천시, 중국 산시성 타이위안시와 자매도시협약 체결
https://www.suncheon[...]
Suncheon
[1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15]
웹사이트
Suncheon Bay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6-01-20
[16]
웹사이트
Dongcheon Estuary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6-05-26
[17]
웹사이트
Suncheon Biosphere Reserve, Republic of Korea
https://en.unesco.or[...]
2018-10
[18]
법령
대통령령 제161호 부의설치및군의명칭·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19]
법령
법률 제4774호·경기도남양주시등의33의도농복합형태시의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20]
법령
순천시조례 제168호 순천시 동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1995-08-10
[21]
서적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전주부
[22]
법령
전라남도령 제22호
[2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10-20
[24]
법령
대통령령 제11772호·경기도양주군檜泉읍등의읍의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25]
웹사이트
대한민국기상청
http://www.kma.go.kr[...]
[2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7]
문서
순천시 행정구역
[28]
문서
순천시 행정구역
[29]
뉴스
순천시 UN 지정 '살기 좋은 도시' 은상 수상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11-09
[30]
웹사이트
연혁 - 순천시청
https://www.suncheon[...]
[31]
문서
순천시 공무원 업무수첩
2020
[32]
서적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전주부
[33]
법령
전라남도령 제22호
[3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10-20
[35]
법령
대통령령 제161호 부의설치및군의명칭·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36]
조례
순천시 조례 제174호
[37]
법령
대통령령 제6542호, 승주군 조례 제319호
[38]
문서
편입과 동시에 한천리는 우산리(牛山里)로 개칭되었다.
[39]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40]
법령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5-09-26
[41]
법령
대통령령 제12007호
[42]
조례
순천시 조례 제652호
[43]
조례
순천시 조례 제1592호
[44]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45]
조례
순천시조례 제168호 순천시 동리의 명칭과 관할구역에 관한 조례
1995-08-10
[46]
조례
순천시 조례 제334호
[47]
조례
순천시 조례 제385호
[48]
조례
순천시 조례 제440호
[49]
조례
순천시 조례 제???호
[50]
문서
관련 조례 자료 미상
[51]
웹인용
평년값자료(1981−2010) 주암(256)
http://www.kma.go.kr[...]
기상청
2011-05-04
[5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2020-09-14
[53]
문서
해룡면 상삼출장소와 신대출장소의 인구·세대를 포함한다.
[54]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55]
웹사이트
2007년 통계연보 - 교육/문화 : 문화 - 문화재현황
http://sta.suncheon.[...]
순천시청
[56]
웹사이트
2007년 통계연보 - 교육/문화 : 교육 - 각 학교별 현황
http://sta.suncheon.[...]
순천시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