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내각관방장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내각관방장관은 내각총리대신을 보좌하는 일본 내각의 핵심 직위이다. 1879년 내각 서기관장으로 시작하여,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과 함께 내각관방장관으로 개칭되었으며, 1966년 국무대신 중에서 임명하도록 변경되었다. 내각의 사무를 통괄하고, 정부 대변인 역할을 수행하며, 행정 각 부의 조정, 국회와의 조정 역할을 담당한다. 역대 내각관방장관으로는 하토야마 이치로, 아베 신조 등이 있으며, 2023년 12월 14일 하야시 요시마사가 현직으로 재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내각관방 - 일본 내각관방
일본 내각관방은 내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기관으로, 정보 수집 및 분석, 위기 관리, 홍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편된다. - 일본의 내각관방 - 내각정보조사실
내각정보조사실은 일본 내각관방 소속 정보기관으로, 내각총리대신 직할 하에 국내외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제공하며, 시대 변화에 따라 정보 수집 및 분석 활동을 변화시켜왔다. - 일본의 국무대신 -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 의결을 거쳐 천황이 임명하는 일본 행정부의 수반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다이죠다이진을 대신하여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1947년 일본국 헌법 채택 후 현행 제도가 확립되어 중의원 해산권을 포함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 일본의 국무대신 - 일본의 부총리
일본의 부총리는 법률로 규정된 제도가 아닌 정치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되는 내각의 각료로, 내각총리대신 유고 시 직무 대행 순위 1위 각료에게 주로 부여되지만 헌법에 명시된 자리가 아니며 권한과 책임 범위가 유동적이다. - 일본의 행정관직 -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 의결을 거쳐 천황이 임명하는 일본 행정부의 수반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다이죠다이진을 대신하여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1947년 일본국 헌법 채택 후 현행 제도가 확립되어 중의원 해산권을 포함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 일본의 행정관직 - 자위관
자위관은 일본 자위대의 장교 및 부사관으로, 방위성 시험을 통해 선발되며 다양한 유형의 채용 시험과 무시험 채용 경로가 존재하고, 국가 공무원으로서 안정적인 직업 환경과 복지 혜택을 누린다.
일본의 내각관방장관 | |
---|---|
직책 개요 | |
직책명 | 내각관방장관 |
영문 명칭 | Chief Cabinet Secretary |
일본어 명칭 | 内閣官房長官 (Naikaku-kanbō-chōkan) |
약칭 | 관방장관 |
현직 | |
현직자 | 하야시 요시마사 (제88대) |
취임일 | 2023년 12월 14일 (재임) |
소속 및 담당 기관 | |
소속 | 내각 |
담당 | 내각관방, 내각부 |
역할 및 권한 | |
보고 대상 | 내각총리대신 |
구성원 | 내각, 국가안전보장회의 |
직무 대행 | 내각관방부장관 (기치 게이이치로, 아오키 가즈히코, 사토 후미토시) |
임명 및 임기 | |
임명권자 | 내각총리대신 (천황의 인증을 받음) |
임기 | 정해진 임기 없음 |
역사 | |
창설일 | 1947년 5월 3일 |
전신 | 내각서기관장 |
초대 | 하야시 조지 (비인증관), 구로가네 야스미 (인증관),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국무대신) |
시설 | |
청사 | 내각총리대신관저 |
공관 | 내각관방장관공저 |
급여 | |
연봉 | 약 2,953만 엔 |
관련 정보 | |
후임 | 제2 서열 |
부관 | 내각관방부장관 |
기타 | |
웹사이트 | 내각관방 |
2. 역사
1879년 3월 12일 태정관의 대신이나 참의의 회의를 '내각'이라고 부르던 시절에 내각관방장관의 전신인 '''내각 서기관장'''이 처음 설치되었고, 하위 직으로 대서기관, 소서기관이 배치되었다. 당시 내각은 법률에 근거하지 않은 합의체이자 조직이었고, 서기관장도 비상설직이었다.
1885년 12월 22일 내각 제도가 발족되면서 '''내각 서기관장'''은 정식 상설직이 되었다. 제1차 이토 내각의 서기관장에는 태정관 시대의 마지막 서기관장이었던 다나카 미쓰아키가 유임되었다. 당시 직무는 "내각총리대신의 명을 받아 기밀 문서를 관장하고, 내각의 서무를 통리하며, 그 직원의 임면을 담당한다"고 규정되었다.
1947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 시행과 함께 기존의 내각서기관장직을 폐지하고 '''내각관방장관'''을 설치하였다. 당시에는 국무대신일 필요는 없었고, 내각총리대신의 의사에 따라 국무대신이나 공무원 중에서 임명되었다.
1963년 6월 11일 내각법 개정으로 천황이 인증하는 인증관이 되었다. 이에 따라 국무대신이 아닌 사람이 내각관방장관으로 임명되더라도 천황이 인증하게 되었다.
1966년 6월 28일 내각법 개정으로 내각관방장관은 국무대신 중에서 임명하게 되었다.
1984년 7월 1일 총무청 설치로 내각관방과 총리부(대신이 장이 되는 청 등 제외)의 총괄도 담당하게 되었다.
2000년 4월 5일 내각총리대신의 유사시 임시 대리로 예정된 사람의 지정이 복수로 모호하다는 지적이 있어, 내각 조성시에 미리 제5순위까지 규정하는 방식으로 변하면서, 내각관방장관이 제1순위가 되었다.
2001년 1월 6일 중앙 성청 개편에 따라 총리부 대신 내각부(대신이 장이 되는 청 등 제외)의 총괄도 담당하게 되었다.
2. 1. 내각서기관장 (1879년 ~ 1947년)
1879년 3월 12일, 태정관의 대신이나 참의의 회의를 '내각'이라고 부르던 시절에 내각서기관장이 발족되었다. 당시 내각은 법률에 근거하지 않은 합의체이자 조직이었고, 서기관장도 비상설직이었다. 서기관장 아래에는 대서기관 및 소서기관이 설치되어 있었다.[5]1885년 12월 22일 내각제도가 창설되면서 내각서기관장은 정식 상설직이 되었다. 제1차 이토 내각의 서기관장에는 태정관 시대의 마지막 서기관장이었던 다나카 미쓰아키가 유임되었다. 당시 직무는 "내각총리대신의 명을 받아 기밀 문서를 관장하고, 내각의 서무를 통리하며, 그 직원의 임면을 담당한다"고 규정되었다.[5]
태정관 시대의 내각서기관장 | ||||
---|---|---|---|---|
colspan="5"| | ||||
내각서기관장 | ||||
대수 | 이름 | 내각 | 재직 기간 | 비고 |
1 | 다나카 미쓰아키 | 제1차 이토 내각 | 1885년 12월 22일~1888년 4월 30일 | |
2 | 고마키 마사나리 | 구로다 내각 | 1888년 4월 30일~1889년 12월 24일 | |
3 | 스후 고헤이 | 제1차 야마가타 내각 | 1889년 12월 24일~1891년 5월 6일 | |
4 | 히라야마 시게노부 | 제1차 마쓰카타 내각 | 1891년 6월 15일~1892년 8월 8일 | |
5 | 이토 미요지 | 제2차 이토 내각 | 1892년 8월 8일~1896년 8월 31일 | |
6 | 다카하시 겐조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 1896년 9월 20일~1897년 10월 8일 | |
7 | 히라야마 시게노부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 1897년 10월 28일~1897년 1월 12일 | 재임 |
8 | 사메지마 다케노스케 | 제3차 이토 내각 | 1898년 1월 12일~1898년 6월 30일 | 귀족원 |
9 | 다케노미 도키토시 | 제1차 오쿠마 내각 | 1898년 6월 30일~1898년 11월 8일 | |
10 | 야스히로 반이치로 | 제2차 야마가타 내각 | 1898년 11월 8일~1900년 10월 19일 | |
11 | 사메지마 다케노스케 | 제4차 이토 내각 | 1900년 10월 19일~1901년 6월 2일 | 재임 |
12 | 시바타 가몬 | 제1차 가쓰라 내각 | 1901년 6월 2일~1906년 1월 7일 | |
13 | 이시와타 빈이치 | 제1차 사이온지 내각 | 1906년 1월 7일~1908년 1월 4일 | |
14 | 미나미 히로시 | 제1차 사이온지 내각 | 1908년 1월 4일~1908년 7월 14일 | |
15 | 시바타 가몬 | 제2차 가쓰라 내각 | 1908년 7월 14일~1911년 8월 30일 | 재임 |
16 | 미나미 히로시 | 제2차 사이온지 내각 | 1911년 8월 30일~1912년 12월 21일 | 재임 |
17 | 에기 다스쿠 | 제3차 가쓰라 내각 | 1912년 12월 21일~1913년 2월 20일 | |
18 | 야마노우치 가즈쓰구 | 제1차 야마모토 내각 | 1913년 2월 20일~1914년 4월 16일 | |
19 | 에기 다스쿠 | 제2차 오쿠마 내각 | 1914년 4월 16일~1916년 10월 9일 | 재임 |
20 | 고다마 히데오 | 데라우치 내각 | 1916년 10월 9일~1918년 9월 29일 | |
21 | 다카하시 미쓰타케 | 하라 내각 | 1918년 9월 29일~1921년 11월 13일 | 입헌정우회 |
22 | 미쓰치 주조 | 다카하시 내각 | 1921년 11월 24일~1922년 6월 12일 | 입헌정우회 |
23 | 미야타 미쓰오 |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 | 1922년 6월 12일~1923년 9월 2일 | 남만주 철도 |
24 | 가바야마 스게히데 | 제2차 야마모토 내각 | 1923년 9월 2일~1924년 1월 7일 | |
25 | 고바시 이치다 | 기요우라 내각 | 1924년 1월 7일~1924년 6월 11일 | 정우본당 |
26 | 에기 다스쿠 | 가토 다카아키 내각 | 1924년 6월 11일~1925년 8월 2일 | 재임 |
27 | 쓰카모토 세이지 | 제1차 와카쓰키 내각 | 1925년 8월 2일~1927년 4월 20일 | |
28 | 하토야마 이치로 | 다나카 기이치 내각 | 1927년 4월 20일~1929년 7월 2일 | 입헌정우회 |
29 | 스즈키 후지야 | 하마구치 내각 | 1929년 7월 2일~1931년 4월 14일 | 입헌민정당 |
30 | 가와사키 다쿠키치 | 제2차 와카쓰키 내각 | 1931년 4월 14일~1931년 12월 13일 | |
31 | 모리 가쿠 | 이누카이 내각 | 1931년 12월 13일~1932년 5월 26일 | 입헌정우회 |
32 | 시바타 센사부로 | 사이토 내각 | 1932년 5월 26일~1933년 3월 13일 | 내무성 |
33 | 호리키리 센지로 | 사이토 내각 | 1933년 3월 13일~1934년 7월 8일 | |
34 | 가와다 이사오 | 오카다 내각 | 1934년 7월 8일~1934년 10월 20일 | |
35 | 요시다 시게루 | 오카다 내각 | 1934년 10월 20일~1935년 5월 11일 | |
36 | 시로네 다케스케 | 오카다 내각 | 1935년 5월 11일~1936년 3월 9일 | |
37 | 후지누마 쇼헤이 | 히로타 내각 | 1936년 3월 10일~1937년 2월 2일 | |
38 | 오하시 하치로 | 하야시 내각 | 1937년 2월 2일~1937년 6월 4일 | |
39 | 가자미 아키라 | 제1차 고노에 내각 | 1937년 6월 4일~1939년 1월 4일 | |
40 | 다나베 하라미치 | 히라누마 내각 | 1939년 1월 5일~1939년 4월 7일 | |
41 | 오타 고조 | 히라누마 내각 | 1939년 4월 7일~1939년 8월 30일 | |
42 | 엔도 류사쿠 | 아베 노부유키 내각 | 1939년 8월 30일~1940년 1월 15일 | |
43 | 이시와타 소타로 | 요나이 내각 | 1940년 1월 15일~1940년 7월 22일 | |
44 | 도미타 겐지 | 제2차 고노에 내각 | 1940년 7월 22일~1941년 10월 18일 | 내무성 |
45 | 제3차 고노에 내각 | |||
46 | 호시노 나오키 | 도조 내각 | 1941년 10월 18일~1944년 7월 22일 | |
47 | 미우라 가즈오 | 고이소 내각 | 1944년 7월 22일~1944년 7월 29일 | |
48 | 다나카 다케오 | 고이소 내각 | 1944년 7월 29일~1945년 2월 10일 | |
49 | 히로세 다다히사 | 고이소 내각 | 1945년 2월 10일~1945년 2월 21일 | |
50 | 이시와타 소타로 | 고이소 내각 | 1945년 2월 21일~1945년 4월 7일 | 재임 |
51 | 사코미즈 히사쓰네 | 스즈키 간타로 내각 | 1945년 4월 7일~1945년 8월 15일 | 대장성 |
52 | 오가타 다케토라 |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 | 1945년 8월 15일~1945년 10월 5일 | 귀족원 |
53 | 쓰기타 다이자부로 | 시데하라 내각 | 1945년 10월 9일~1946년 1월 13일 | 귀족원 |
54 | 나라하시 와타루 | 시데하라 내각 | 1946년 1월 13일~1946년 5월 22일 | 귀족원 |
55 | 하야시 조지 | 제1차 요시다 내각 | 1946년 5월 29일~1947년 5월 2일 | 일본자유당 |
2. 2. 내각관방장관 (1947년 ~ 현재)
内閣官房長官|ないかくかんぼうちょうかん|내각관방장관일본어은 1947년 5월 3일 일본국 헌법 시행과 함께 설치되었다. 처음에는 국무대신일 필요는 없었고, 내각총리대신의 의사에 따라 국무대신이나 공무원 중에서 임명되었다.[17] 1963년 6월 11일 내각법 개정으로 천황이 인증하는 인증관이 되었다.[17] 1966년 6월 28일 내각법 개정으로 국무대신 중에서 임명하게 되었다.1984년 7월 1일 총무청 설치로 내각관방과 총리부(대신이 장이 되는 청 등 제외)의 총괄도 담당하게 되었다. 2001년 1월 6일 중앙 성청 개편으로 총리부 대신 내각부(대신이 장이 되는 청 등 제외)의 총괄도 담당하게 되었다.
2000년 4월 5일, 내각 조성 시 내각관방장관을 내각총리대신 임시 대리 예정자 제1순위로 지정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비 인증관 시대(1947년 5월 3일~1963년 6월 11일) | |||||
---|---|---|---|---|---|
대수 | 이름 | 내각 | 재임 기간 | 소속 | 비고 |
1 | 하야시 조지 | 제1차 요시다 내각 | 1947년 5월 3일 ~ 1947년 5월 24일 | 일본자유당 | 구 친임관 대우 |
- | 공석 | 가타야마 내각 | 1947년 5월 24일 ~ 1947년 6월 1일 | ||
2 | 니시오 스에히로 | 가타야마 내각 |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 일본사회당 | 국무대신 겸 내각관방장관 |
3 | 도마베치 기조 | 아시다 내각 | 1948년 3월 10일 ~ 1948년 10월 15일 | 민주당 | 국무대신 겸 내각관방장관 |
- | 공석 | 제2차 요시다 내각 | 1948년 10월 15일 ~ 1948년 10월 17일 | ||
4 | 사토 에이사쿠 | 제2차 요시다 내각 | 1948년 10월 17일 ~ 1949년 2월 16일 | 운수성 관료 | |
5, 6 | 마스다 가네시치 | 제3차 요시다 내각 | 1949년 2월 16일 ~ 1950년 5월 6일 | 민주자유당 | 국무대신(1949년 6월 24일~) |
7 | 오카자키 가쓰오 | 제3차 요시다 내각 제1차 개조내각 제2차 개조내각 | 1950년 5월 6일 ~ 1951년 12월 16일 | 민주자유당 | |
8 | 호리 시게루 | 제3차 요시다 내각 제3차 개조내각 | 1951년 12월 26일 ~ 1952년 10월 30일 | 자유당 | |
9 | 오가타 다케토라 | 제4차 요시다 내각 | 1952년 10월 30일 ~ 1953년 3월 24일 | 자유당 | 국무대신, 부총리(1952년 11월 28일 이후) |
10, 11, 12 | 후쿠나가 겐지 | 제4차 요시다 내각 제5차 요시다 내각 | 1953년 3월 24일 ~ 1954년 12월 10일 | 자유당 | 국무대신(1954년 9월 24일~) |
13, 14, 15 | 네모토 류타로 |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제2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 1954년 12월 10일 ~ 1956년 12월 23일 | 일본민주당 | |
16, 17 | 이시다 히로히데 | 이시바시 내각 제1차 기시 내각 | 1956년 12월 23일 ~ 1957년 7월 10일 | 자유민주당 | |
18 | 아이치 기이치 | 제1차 기시 내각 개조내각 | 1957년 7월 10일 ~ 1958년 6월 12일 | 자유민주당 | |
19 | 아카기 무네노리 | 제2차 기시 내각 | 1958년 6월 12일 ~ 1959년 6월 18일 | 자유민주당 | |
20 | 시나 에쓰사부로 | 제2차 기시 내각 개조내각 | 1959년 6월 18일 ~ 1960년 7월 19일 | 자유민주당 | |
21, 22 | 오히라 마사요시 | 제1차 이케다 내각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60년 7월 19일 ~ 1962년 7월 18일 | 자유민주당 | |
23 | 구로가네 야스미 | 제2차 이케다 내각 제2차 개조내각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6월 11일 | 자유민주당 | |
인증관 시대(1963년 6월 11일~1966년 6월 28일) | |||||
24, 25 | 구로가네 야스미 | 제2차 이케다 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3차 개조내각 제3차 이케다 내각 | 1963년 6월 11일 ~ 1964년 7월 18일 | 자유민주당 | |
26 | 스즈키 젠코 | 제3차 이케다 내각 개조내각 | 1964년 7월 18일 ~ 1964년 11월 9일 | 자유민주당 | |
27 |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 제1차 사토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64년 11월 9일 ~ 1966년 6월 28일 | 자유민주당 | |
국무대신 시대(1966년 6월 28일~) | |||||
28 |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 제1차 사토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66년 6월 28일 ~ 1966년 8월 1일 | 자유민주당 | |
29 | 아이치 기이치 | 제1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내각 | 1966년 8월 1일 ~ 1966년 12월 3일 | 자유민주당 | |
30, 31 | 후쿠나가 겐지 | 제1차 사토 내각 제3차 개조내각 제2차 사토 내각 | 1966년 12월 3일 ~ 1967년 6월 21일 | 자유민주당 | |
32 | 기무라 도시오 | 제2차 사토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67년 6월 21일 ~ 1968년 11월 30일 | 자유민주당 | |
33, 34 | 호리 시게루 | 제2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3차 사토 내각 | 1968년 11월 30일 ~ 1971년 7월 5일 | 자유민주당 | |
35 | 다케시타 노보루 | 제3차 사토 내각 개조내각 | 1971년 7월 5일 ~ 1972년 7월 7일 | 자유민주당 | |
36, 37 | 니카이도 스스무 | 제1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72년 7월 7일 ~ 1974년 11월 11일 | 자유민주당 | |
38 | 다케시타 노보루 |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내각 | 1974년 11월 11일 ~ 1974년 12월 9일 | 자유민주당 | |
39 | 이데 이치타로 | 미키 내각 개조내각 | 1974년 12월 9일 ~ 1976년 12월 24일 | 자유민주당 | |
40 | 소노다 스나오 | 후쿠다 다케오 내각 | 1976년 12월 24일 ~ 1977년 11월 28일 | 자유민주당 | |
41 | 아베 신타로 | 후쿠다 다케오 내각 개조내각 | 1977년 11월 28일 ~ 1978년 12월 7일 | 자유민주당 | |
42 | 다나카 로쿠스케 | 제1차 오히라 내각 | 1978년 12월 7일 ~ 1979년 11월 9일 | 자유민주당 | |
43 | 이토 마사요시 | 제2차 오히라 내각 | 1979년 11월 9일 ~ 1980년 7월 17일 | 자유민주당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부총리) (1980년 6월 11일 이후) |
44 | 미야자와 기이치 | 스즈키 젠코 내각 개조내각 | 1980년 7월 17일 ~ 1982년 11월 27일 | 자유민주당 | |
45 | 고토다 마사하루 | 제1차 나카소네 내각 | 1982년 11월 27일 ~ 1983년 12월 27일 | 자유민주당 | |
46 | 후지나미 다카오 |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83년 12월 27일 ~ 1985년 12월 28일 | 자유민주당 | |
47, 48 | 고토다 마사하루 |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3차 나카소네 내각 | 1985년 12월 28일 ~ 1987년 11월 6일 | 자유민주당 | |
49 | 오부치 게이조 | 다케시타 내각 | 1987년 11월 6일 ~ 1989년 6월 3일 | 자유민주당 | 새 연호 헤이세이 발표. |
50 | 시오카와 마사주로 | 우노 내각 | 1989년 6월 3일 ~ 1989년 8월 10일 | 자유민주당 | |
51, 52 | 야마시타 도쿠오, 모리야마 마유미 | 제1차 가이후 내각 | 1989년 8월 10일 ~ 1990년 2월 28일 | 자유민주당 | |
53 | 사카모토 미소지 | 제2차 가이후 내각 개조내각 | 1990년 2월 28일 ~ 1991년 11월 5일 | 자유민주당 | |
54 | 가토 고이치 | 미야자와 내각 | 1991년 11월 5일 ~ 1992년 12월 12일 | 자유민주당 | |
55 | 고노 요헤이 | 미야자와 내각 개조내각 | 1992년 12월 12일 ~ 1993년 8월 9일 | 자유민주당 | |
56 | 다케무라 마사요시 | 호소카와 내각 | 1993년 8월 9일 ~ 1994년 4월 28일 | 신당 사키가케 | |
- | 하다 쓰토무 | 하타 내각 | 1994년 4월 28일 | 신생당 | (내각총리대신으로) 내각관방장관 사무 취급 |
57 | 구마가이 히로시 | 하타 내각 | 1994년 4월 28일 ~ 1994년 6월 30일 | 신생당 | |
58 | 이가라시 고조 | 무라야마 내각 | 1994년 6월 30일 ~ 1995년 8월 8일 | 일본사회당 | |
59 | 노사카 고켄 | 무라야마 내각 개조내각 | 1995년 8월 8일 ~ 1996년 1월 11일 | 일본사회당 | |
60, 61 | 가지야마 세이로쿠 | 제1차 하시모토 내각 제2차 하시모토 내각 | 1996년 1월 11일 ~ 1997년 9월 11일 | 자유민주당 | |
62 | 무라오카 가네조 | 제2차 하시모토 내각 개조내각 | 1997년 9월 11일 ~ 1998년 7월 30일 | 자유민주당 | |
63, 64 | 노나카 히로무, 아오키 미키오 | 오부치 내각 제1차 개조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1차 모리 내각 | 1998년 7월 30일 ~ 2000년 7월 4일 | 자유민주당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2000년 4월 3일 이후, 아오키) |
65, 66 | 나카가와 히데나오, 후쿠다 야스오 | 제2차 모리 내각 개조내각 | 2000년 7월 4일 ~ 2001년 4월 26일 | 자유민주당 | |
67, 68, 69 | 후쿠다 야스오 | 제1차 고이즈미 내각 제1차 개조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2차 고이즈미 내각 | 2001년 4월 26일 ~ 2004년 5월 7일 | 자유민주당 | |
70, 71 | 호소다 히로유키 | 제2차 고이즈미 내각 개조내각 제3차 고이즈미 내각 | 2004년 5월 7일 ~ 2005년 10월 31일 | 자유민주당 | |
72 | 아베 신조 | 제3차 고이즈미 내각 개조내각 | 2005년 10월 31일 ~ 2006년 9월 26일 | 자유민주당 | |
73 | 시오자키 야스히사 | 제1차 아베 신조 내각 | 2006년 9월 26일 ~ 2007년 8월 27일 | 자유민주당 | |
74 | 요사노 가오루 | 제1차 아베 신조 내각 개조내각 | 2007년 8월 27일 ~ 2007년 9월 26일 | 자유민주당 | |
75 | 마치무라 노부타카 | 후쿠다 야스오 내각 | 2007년 9월 26일 ~ 2008년 9월 24일 | 자유민주당 | |
76 | 가와무라 다케오 | 아소 다로 내각 | 2008년 9월 24일 ~ 2009년 9월 16일 | 자유민주당 | |
77 | 히라노 히로후미 |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 | 2009년 9월 16일 ~ 2010년 6월 8일 | 민주당 | |
78 | 센고쿠 요시토 | 간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2010년 6월 8일 ~ 2011년 1월 14일 | 민주당 | |
79 | 에다노 유키오 | 제2차 개조내각 | 2011년 1월 14일 ~2011년 9월 2일 | 민주당 | |
80 | 후지무라 오사무 | 노다 내각 제1차 개조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3차 개조내각 | 2011년 9월 2일 ~2012년 12월 26일 | 민주당 | |
81, 82, 83 | 스가 요시히데 | 제2차 아베 신조 내각 개조내각 제3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3차 개조내각 제4차 아베 신조 내각 제1차 개조내각 제2차 개조내각 | 2012년 12월 26일 ~2020년 9월 16일 | 자유민주당 | 새 연호 레이와 발표. |
84 | 가토 가쓰노부 | 스가 내각 | 2020년 9월 16일 ~2021년 10월 4일 | 자유민주당 | |
85, 86 | 마쓰노 히로카즈 | 제1차 기시다 내각 제2차 기시다 내각 | 2021년 10월 4일 ~2023년 12월 14일 | 자유민주당 | |
87 | 하야시 요시마사 | 제2차 기시다 내각 (제2차 개조) | 2023년 12월 14일~ | 자유민주당 |
내각관방은 내각의 보조 기관으로, 내각총리대신을 직접 보좌하고 지원하는 기관이다. 각의 사항 정리, 내각의 서무, 행정 각 부의 시책 종합 조정, 내각의 중요 정책에 관한 정보 수집 조사 등을 담당한다[9]. 내각관방장관은 국무대신으로 임명되며, 내각관방의 사무를 총괄하고 직원의 복무에 대해 감독한다[10].
내각관방장관을 보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직책이 설치되어 있다.
1947년 이후, 내각관방장관직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으로 가는 발판으로 여겨져 왔다. 내각관방장관을 거쳐 총리가 된 첫 번째 인물은 하토야마 이치로였다. 그 이후로 아베 신조, 후쿠다 야스오, 스가 요시히데 등 8명의 전직 내각관방장관이 총리가 되었다.
스가 요시히데는 아베 신조 내각에서 약 8년 동안 내각관방장관을 역임하여, 역대 최장수 내각관방장관이 되었다.[5]
현 내각관방장관은 2023년 12월 14일에 취임한 하야시 요시마사이다.
3. 직무
내각관방의 사무는 행정부의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있으므로, 이를 총괄하는 내각관방장관의 직무도 매우 광범위하다. 오늘날 내각관방장관이 수행하는 특히 중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11].
# 내각의 여러 안건에 대해 행정 각 부의 조정 역할.
# 여러 안건에 대해 국회 각 회파 (특히 여당)와의 조정 역할.
# 내각이 다루는 중요 사항이나, 다양한 사태에 대한 정부의 공식 견해 등을 발표하는 "정부 대변인" (스포크스퍼슨)으로서의 역할.
집무실은 총리대신 관저 5층에 있으며, 특별직 국가공무원인 국무대신 비서관 1명이 배정되어 있다. 각 성청(省廳)으로부터 출향된 복수의 직원이 비서관 사무 취급으로 배정된다. 희망에 따라 특별직 대신보좌관 1명을 보좌관으로 임명할 수 있다. 각의에서는 진행 역할을 맡는다[11].
내각부 설치법 8조에 따라 대신위원회 및 특명담당대신의 소관 부서를 제외한 내각부의 사무를 총괄 정리하는 것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는 내각부 대신관방, 궁내청, 상훈국, 국제평화협력본부, 관민 인재 교류 센터, 재취업 등 감시위원회 외에 현재는 납치 피해자 지원 등도 담당하고 있다[12].
관저 부지 내에 내각관방장관 공저가 2002년 (헤이세이 14년) 3월부터 설치되어 있다. 2015년까지 긴급사태 발생 시 내각관방장관이 숙박하여 신속하게 대응하는 경우 등에 활용된 사례는 있지만, 상주 시설로는 사용된 적이 없다[13].
내각관방장관은 "총리의 오른팔"이나 "내각의 요체"라고도 불리며, 중대한 현안 해결에 있어서는 관방장관의 조정 능력이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직책으로 여겨진다.[14][15] 조각 시에는 보통 가장 먼저 임명된다[14].
현 헌법 하에서는 처음에는 천황의 인증 대상이 아닌 비인증관이었으나, 1963년 (쇼와 38년) 이케다 하야토 총리가 총리의 뜻을 받아 대신에게 지시하려면 대신과 동격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17] 인증관이 되었다[17]. 그 전까지는 형식상 대신보다 격이 낮은 직책이었지만, 이때부터 완전한 대신 대우를 받게 되었다. 텔레비전을 통해 노출이 많으며, 매일의 기자회견이 텔레비전을 통해 전달되어 정권의 얼굴이 되고 있다[17]. 현재는 실질적인 내각 넘버 2로 간주되는 경우도 많다[18].
장래의 총리 후보자의 등용문적인 직책으로서[19], 융통성 있는 실무 능력을 중시하여 비교적 젊은 유망주를 기용하는 경우도 있고, 국회나 관청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책 조정 능력을 중시하여 베테랑 거물 정치가가 취임하는 경우도 있다[20]. 어느 경우든, 총리 측근의 정치가가 취임하는 것이 통례이다[21]. 과거 자유민주당 정권에서는 총재파벌에서 기용되는 것이 관례화되어 나카소네 내각에서 타 파벌의 고토다 마사하루가 임명되었을 때는 이례적인 일로 여겨졌다. 이후에는 총재 파벌 이외에서의 기용도 여러 번 있었다. 연립 정권에서는 총리가 소속된 정당에서의 기용이 많지만, 호소카와 내각에서는 타당의 다케무라 마사요시가 기용되었다.
보도에서 "정부 수뇌"라는 말은 관례적으로 내각관방장관을 가리킨다. 이것은 취재 기자와의 간담 등 공식적이지 않은 발언(오프 더 레코드) 등에 사용되는 표현이다[22]. 또한, 국정 운영상 필요한 경우 내각관방보상비를 내각관방장관의 판단으로 지출할 수 있다[21].
2000년 (헤이세이 12년) 4월 이후에는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예정자를 5명 지정하는 관례가 있지만, 내각관방장관은 제1위 또는 제2위로 지정되어 있다. 내각관방장관 이외의 국무대신이 제1위로 지정된 경우, 그 국무대신은 부총리라고 불리지만, 내각관방장관의 경우에는 특별히 부총리라고 불리지 않는다. 또한 그 이전의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예정자를 반드시 지정하지 않던 시대에 지정된 자는, 내각관방장관이더라도 부총리라고 불리고 있었다.
외유를 포함하여 출장이 많은 총리를 대신하여 위기 관리를 담당하기 위해[15], 1시간 이내에 관저에 들어갈 수 있는 체제가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며, 도쿄를 떠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23]. 또한 내각관방장관이 도쿄를 떠나는 경우에는, 행정부의 최고 책임자인 내각총리대신이 도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내각총리대신과 내각관방장관이 동시에 도쿄를 떠나는 사태는 이례적이라고 보도되는 경우가 있지만[24][25], 그 경우에는 내각관방부장관이 도쿄에 있어서 위기 관리를 담당하게 된다[26][27].
4. 보좌 조직
5. 역대 내각관방장관
~ 1947년 5월 24일 || 일본자유당 || 구 친임관 대우
|-
! -
| 공석 || rowspan="2" | 가타야마 내각 || 1947년 5월 24일
~ 1947년 6월 1일 || ||
|-
! 2
| 니시오 스에히로 || 1947년 6월 1일
~ 1948년 3월 10일 || 일본사회당 || 국무대신 겸 내각관방장관
|-
! 3
| 도마베치 기조 || 아시다 내각 || 1948년 3월 10일
~ 1948년 10월 15일 || 민주당 || 국무대신 겸 내각관방장관
|-
! -
| 공석 || rowspan="2" | 제2차 요시다 내각 || 1948년 10월 15일
~ 1948년 10월 17일 || ||
|-
! 4
| 사토 에이사쿠 || 1948년 10월 17일
~ 1949년 2월 16일 || 운수성 관료 ||
|-
! 5, 6
| 마스다 가네시치 || rowspan="3" | 제3차 요시다 내각 || 1949년 2월 16일
~ 1950년 5월 6일 || 민주자유당 || 국무대신(1949년 6월 24일~)
|-
! rowspan="3" | 7
| rowspan="3" | 오카자키 가쓰오 || 1950년 5월 6일
~ 1951년 12월 16일 || rowspan="3" | 민주자유당 ||
|-
| 제3차 요시다 내각 제1차 개조내각, 제2차 개조내각
|-
! 8
| 호리 시게루 || 제3차 요시다 내각 제3차 개조내각 || 1951년 12월 26일
~ 1952년 10월 30일 || 자유당 ||
|-
! 9
| 오가타 다케토라 || rowspan="2" | 제4차 요시다 내각 || 1952년 10월 30일
~ 1953년 3월 24일 || 자유당 || 국무대신, 부총리 (1952년 11월 28일 이후)
|-
! 10, 11, 12
| 후쿠나가 겐지 || 제4차 요시다 내각, 제5차 요시다 내각 || 1953년 3월 24일
~ 1954년 12월 10일 || 자유당 || 국무대신 (1954년 9월 24일~)
|-
! 13, 14, 15
| 네모토 류타로 ||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제2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제3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 1954년 12월 10일
~ 1956년 12월 23일 || 일본민주당 ||
|-
! 16, 17
| 이시다 히로히데 || 이시바시 내각, 제1차 기시 내각 || 1956년 12월 23일
~ 1957년 7월 10일 || 자유민주당 ||
|-
! 18
| 아이치 기이치 || 제1차 기시 내각 개조내각 || 1957년 7월 10일
~ 1958년 6월 12일 || 자유민주당 ||
|-
! 19
| 아카기 무네노리 || 제2차 기시 내각 || 1958년 6월 12일
~ 1959년 6월 18일 || 자유민주당 ||
|-
! 20
| 시나 에쓰사부로 || 제2차 기시 내각 개조내각 || 1959년 6월 18일
~ 1960년 7월 19일 || 자유민주당 ||
|-
! 21, 22
| 오히라 마사요시 || 제1차 이케다 내각, 제2차 이케다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60년 7월 19일
~ 1962년 7월 18일 || 자유민주당 ||
|-
! 23
| 구로가네 야스미 || 제2차 이케다 내각 제2차 개조내각 || 1962년 7월 18일
~ 1963년 6월 11일 || 자유민주당 ||
|-
! colspan="6" | 인증관 시대 (1963년 6월 11일~1966년 6월 28일)
|-
! 24, 25
| 구로가네 야스미 || 제2차 이케다 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3차 개조내각, 제3차 이케다 내각 || 1963년 6월 11일
~ 1964년 7월 18일 || 자유민주당 ||
|-
! 26
| 스즈키 젠코 || 제3차 이케다 내각 개조내각 || 1964년 7월 18일
~ 1964년 11월 9일 || 자유민주당 ||
|-
! 27
|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 제1차 사토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64년 11월 9일
~ 1966년 6월 28일 || 자유민주당 ||
|-
! colspan="6" | 국무대신 시대 (1966년 6월 28일~)
|-
! 28
| 하시모토 도미사부로 || 제1차 사토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66년 6월 28일
~ 1966년 8월 1일 || 자유민주당 ||
|-
! 29
| 아이치 기이치 || 제1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내각 || 1966년 8월 1일
~ 1966년 12월 3일 || 자유민주당 ||
|-
! 30, 31
| 후쿠나가 겐지 || 제1차 사토 내각 제3차 개조내각, 제2차 사토 내각 || 1966년 12월 3일
~ 1967년 6월 21일 || 자유민주당 ||
|-
! 32
| 기무라 도시오 || 제2차 사토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67년 6월 21일
~ 1968년 11월 30일 || 자유민주당 ||
|-
! 33, 34
| 호리 시게루 || 제2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3차 사토 내각 || 1968년 11월 30일
~ 1971년 7월 5일 || 자유민주당 ||
|-
! 35
| 다케시타 노보루 || 제3차 사토 내각 개조내각 || 1971년 7월 5일
~ 1972년 7월 7일 || 자유민주당 ||
|-
! 36, 37
| 니카이도 스스무 || 제1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72년 7월 7일
~ 1974년 11월 11일 || 자유민주당 ||
|-
! 38
| 다케시타 노보루 || 제2차 다나카 가쿠에이 내각 제2차 개조내각 || 1974년 11월 11일
~ 1974년 12월 9일 || 자유민주당 ||
|-
! 39
| 이데 이치타로 || 미키 내각, 개조내각 || 1974년 12월 9일
~ 1976년 12월 24일 || 자유민주당 ||
|-
! 40
| 소노다 스나오 || 후쿠다 다케오 내각 || 1976년 12월 24일
~ 1977년 11월 28일 || 자유민주당 ||
|-
! 41
| 아베 신타로 || 후쿠다 다케오 내각 개조내각 || 1977년 11월 28일
~ 1978년 12월 7일 || 자유민주당 ||
|-
! 42
| 다나카 로쿠스케 || 제1차 오히라 내각 || 1978년 12월 7일
~ 1979년 11월 9일 || 자유민주당 ||
|-
! 43
| 이토 마사요시 || 제2차 오히라 내각 || 1979년 11월 9일
~ 1980년 7월 17일 || 자유민주당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부총리) (1980년 6월 11일 이후)
|-
! 44
| 미야자와 기이치 || 스즈키 젠코 내각, 개조내각 || 1980년 7월 17일
~ 1982년 11월 27일 || 자유민주당 ||
|-
! 45
| 고토다 마사하루 || 제1차 나카소네 내각 || 1982년 11월 27일
~ 1983년 12월 27일 || 자유민주당 ||
|-
! 46
| 후지나미 다카오 ||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83년 12월 27일
~ 1985년 12월 28일 || 자유민주당 ||
|-
! 47, 48
| 고토다 마사하루 || 제2차 나카소네 내각 제2차 개조내각, 제3차 나카소네 내각 || 1985년 12월 28일
~ 1987년 11월 6일 || 자유민주당 ||
|-
! 49
| 오부치 게이조 || 다케시타 내각 || 1987년 11월 6일
~ 1989년 6월 3일 || 자유민주당 || 새 연호 '헤이세이' 발표
|-
! 50
| 시오카와 마사주로 || 우노 내각 || 1989년 6월 3일
~ 1989년 8월 10일 || 자유민주당 ||
|-
! 51, 52
| 야마시타 도쿠오, 모리야마 마유미 || 제1차 가이후 내각 || 1989년 8월 10일
~ 1990년 2월 28일 || 자유민주당 ||
|-
! 53
| 사카모토 미소지 || 제2차 가이후 내각, 개조내각 || 1990년 2월 28일
~ 1991년 11월 5일 || 자유민주당 ||
|-
! 54
| 가토 고이치 || 미야자와 내각 || 1991년 11월 5일
~ 1992년 12월 12일 || 자유민주당 ||
|-
! 55
| 고노 요헤이 || 미야자와 내각 개조내각 || 1992년 12월 12일
~ 1993년 8월 9일 || 자유민주당 ||
|-
! 56
| 다케무라 마사요시 || 호소카와 내각 || 1993년 8월 9일
~ 1994년 4월 28일 || 신당 사키가케 ||
|-
! -
| 하다 쓰토무 || rowspan="2" | 하타 내각 || 1994년 4월 28일 || 신생당 || (내각총리대신으로) 내각관방장관 사무 취급
|-
! 57
| 구마가이 히로시 || 1994년 4월 28일
~ 1994년 6월 30일 || 신생당 ||
|-
! 58
| 이가라시 고조 || 무라야마 내각 || 1994년 6월 30일
~ 1995년 8월 8일 || 일본사회당 ||
|-
! 59
| 노사카 고켄 || 무라야마 내각 개조내각 || 1995년 8월 8일
~ 1996년 1월 11일 || 일본사회당 ||
|-
! 60, 61
| 가지야마 세이로쿠 || 제1차 하시모토 내각, 제2차 하시모토 내각 || 1996년 1월 11일
~ 1997년 9월 11일 || 자유민주당 ||
|-
! 62
| 무라오카 가네조 || 제2차 하시모토 내각 개조내각 || 1997년 9월 11일
~ 1998년 7월 30일 || 자유민주당 ||
|-
! 63
| 노나카 히로무 || 오부치 내각, 제1차 개조내각 || 1998년 7월 30일
~ 1999년 10월 5일 || 자유민주당 ||
|-
! 64, 65
| 아오키 미키오 || 제2차 개조내각, 제1차 모리 내각 || 1999년 10월 5일
~ 2000년 7월 4일 || 자유민주당 (참) ||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2000년 4월 3일 이후)
|-
! 66
| 나카가와 히데나오 || rowspan="2" |
6. 평가 및 비판
내각관방장관은 총리의 측근으로서, 총리 부재 시 위기 관리 책임을 맡지만, 관저 복귀를 위해 도쿄를 떠나기 어렵다는 제약이 있다.[15][23] 총리와 관방장관이 동시에 도쿄를 비우는 것은 이례적인 상황으로 보도된다.[24][25]
과거 자민당 정권에서는 총재 파벌에서 관방장관을 기용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나카소네 내각에서 타 파벌 출신인 고토다 마사하루가 임명되어 이례적으로 여겨졌다. 이후 총재 파벌 외 인사 기용도 이루어졌다.[20] 호소카와 내각에서는 연립정권 파트너 정당 출신인 다케무라 마사요시가 기용되기도 했다.
언론 보도에서 '정부 수뇌'는 관례적으로 내각관방장관을 지칭하며, 이는 기자 간담회 등 비공식적 발언에 사용된다.[22] 내각관방장관은 국정 운영에 필요한 경우 내각관방보상비를 자신의 판단으로 지출할 수 있다.[21]
6. 1. 긍정적 평가
내각관방장관은 "총리의 오른팔"이나 "내각의 요체"라고도 불리며, 중대한 현안 해결에 있어서는 관방장관의 조정 능력이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직책으로 여겨진다.[14][15] 조각 시에는 보통 가장 먼저 임명된다.[14]현 헌법에서는 처음에는 천황의 인증 대상이 아닌 비인증관이었으나, 1963년(쇼와 38년) 당시 이케다 하야토 총리가, 총리의 뜻을 받아 대신에게 지시하려면 대신과 동격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17] 제2차 이케다 제2차 내각 시대인 같은 해 6월 11일부터 인증관이 되었다.[17] 그 전까지는 형식상 대신보다 격이 낮은 직책이었지만, 이때부터 완전한 대신 대우를 받게 되었다. 텔레비전을 통해 노출이 많으며, 매일 기자회견이 텔레비전을 통해 전달되어 정권의 얼굴이 되고 있다.[17] 현재는 실질적인 내각 넘버 2로 간주되는 경우도 많다.[18]
장래의 총리 후보자의 등용문적인 직책으로서[19], 융통성 있는 실무 능력을 중시하여 비교적 젊은 유망주를 기용하는 경우도 있고, 국회나 관청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책 조정 능력을 중시하여 베테랑 거물 정치가가 취임하는 경우도 있다.[20] 어느 경우든, 총리 측근의 정치가가 취임하는 것이 통례이다.[21]
2000년(헤이세이 12년) 4월 이후에는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예정자를 5명 지정하는 관례가 있지만, 내각관방장관은 제1위 또는 제2위로 지정되어 있다. 내각관방장관 이외의 국무대신이 제1위로 지정된 경우, 그 국무대신은 부총리라고 불리지만, 내각관방장관의 경우에는 특별히 부총리라고 불리지 않는다. 또한 그 이전의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예정자를 반드시 지정하지 않던 시대에 지정된 자는, 내각관방장관이더라도 부총리라고 불리고 있었다.
외유를 포함하여 출장이 많은 총리를 대신하여 위기 관리를 담당하기 위해[15], 1시간 이내에 관저에 들어갈 수 있는 체제가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며, 도쿄를 떠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23]
6. 2. 부정적 평가
내각관방장관은 "총리의 오른팔"이나 "내각의 요체"라고도 불리며, 중대한 현안 해결에 있어서는 관방장관의 조정 능력이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직책으로 여겨진다.[14][15] 조각 시에는 보통 가장 먼저 임명된다.[14]전전의 내각서기관장에 상당하며[8], 현 헌법 하에서는 처음에는 천황의 인증 대상이 아닌 비인증관이었으나, 1963년(쇼와 38년) 당시 이케다 하야토 총리가 총리의 뜻을 받아 대신에게 지시하려면 대신과 동격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17] 제2차 이케다 제2차 내각 시대인 같은 해 6월 11일부터 인증관이 되었다.[17] 그 전까지는 형식상 대신보다 격이 낮은 직책이었지만, 이때부터 완전한 대신 대우를 받게 되었다. 텔레비전을 통해 노출이 많으며, 매일의 기자회견이 텔레비전을 통해 전달되어 정권의 얼굴이 되고 있다.[17] 현재는 실질적인 내각 넘버 2로 간주되는 경우도 많다.[18]
장래의 총리 후보자의 등용문적인 직책으로서,[19] 융통성 있는 실무 능력을 중시하여 비교적 젊은 유망주를 기용하는 경우도 있고, 국회나 관청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책 조정 능력을 중시하여 베테랑 거물 정치가가 취임하는 경우도 있다.[20] 어느 경우든, 총리 측근의 정치가가 취임하는 것이 통례이다.[21] 과거 자유민주당 정권에서는 총재파벌에서 기용되는 것이 관례화되어 나카소네 내각에서 타 파벌의 고토다 마사하루가 임명되었을 때는 이례적인 일로 여겨졌다. 이후에는 총재 파벌 이외에서의 기용도 여러 번 있었다. 연립 정권에서는 총리가 소속된 정당에서의 기용이 많지만, 호소카와 내각에서는 타당의 다케무라 마사요시가 기용되었다.
보도에서 "정부 수뇌"라는 말은 관례적으로 내각관방장관을 가리킨다. 이것은 취재 기자와의 간담 등 공식적이지 않은 발언(오프 더 레코드) 등에 사용되는 표현이다.[22] 또한, 국정 운영상 필요한 경우 내각관방보상비를 내각관방장관의 판단으로 지출할 수 있다.[21]
2000년 (헤이세이 12년) 4월 이후에는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예정자를 5명 지정하는 관례가 있지만, 내각관방장관은 제1위 또는 제2위로 지정되어 있다. 내각관방장관 이외의 국무대신이 제1위로 지정된 경우, 그 국무대신은 부총리라고 불리지만, 내각관방장관의 경우에는 특별히 부총리라고 불리지 않는다. 또한 그 이전의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 예정자를 반드시 지정하지 않던 시대에 지정된 자는, 내각관방장관이더라도 부총리라고 불리고 있었다.
외유를 포함하여 출장이 많은 총리를 대신하여 위기 관리를 담당하기 위해,[15] 1시간 이내에 관저에 들어갈 수 있는 체제가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며, 도쿄를 떠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23] 또한 내각관방장관이 도쿄를 떠나는 경우에는, 행정부의 최고 책임자인 내각총리대신이 도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내각총리대신과 내각관방장관이 동시에 도쿄를 떠나는 사태는 이례적이라고 보도되는 경우가 있지만,[24][25] 그 경우에는 내각관방부장관이 도쿄에 있어서 위기 관리를 담당하게 된다.[26][27]
참조
[1]
문서
Cabinet Act, Article 13
[2]
문서
Cabinet Act, Article 12, Paragraph 2, Item 4 and 5
[3]
문서
Cabinet Act, Article 15
[4]
문서
Cabinet Act, Article 9
[5]
웹사이트
Government strongman Suga set to become Japan's longest-serving chief Cabinet secretary
http://www.japantime[...]
Jiji Press
2016-12-03
[6]
웹사이트
主な特別職の職員の給与
https://www.cas.go.j[...]
[7]
웹사이트
内閣官房組織等英文名称一覧
https://www.cas.go.j[...]
内閣官房
2020-10-18
[8]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9]
문서
内閣法第12条
[10]
문서
内閣法第13条第2項、第3項
[11]
웹사이트
内閣官房長官とは|金融経済用語集 - iFinance
https://www.ifinance[...]
[12]
웹사이트
内閣府における大臣・副大臣・大臣政務官の担当分野表
https://www.cao.go.j[...]
内閣府
2022-10-01
[13]
뉴스
住人いない官房長官公邸
日本経済新聞
2015-08-09
[14]
웹사이트
総理の右腕 官房長官に加藤勝信氏が就任…重要ポストに地元からも喜びの声【岡山】 | OHK 岡山放送
https://www.ohk.co.j[...]
[15]
뉴스
北ミサイル発射直後に官邸を空けた松野官房長官 危機管理に不安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09-29
[16]
서적
情と理 後藤田正晴回顧録 下
講談社
[17]
서적
官房長官 側近の政治学
朝日新聞出版
[18]
웹사이트
日本国COOになった官房長官 なぜ絶大な力を得たのか: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19]
웹사이트
官房長官は首相への必須条件 | | 中川佳昭 | 毎日新聞「政治プレミア」
https://mainichi.jp/[...]
[20]
웹사이트
官房長官、首相と二人三脚の「内閣の要」: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21]
웹사이트
官房長官の仕事って? 「実力者中の実力者」と言われる理由… The Asahi Shimbun Company.
https://withnews.jp/[...]
[22]
웹사이트
「政府高官」としか書けない 「オフレコ懇談」とは何か: J-CAST ニュース【全文表示】
https://www.j-cast.c[...]
[23]
문서
内閣官房長官の[[外遊]]の例としては[[五十嵐広三]]の[[1994年]](平成6年)10月の外遊、[[野坂浩賢]]の[[1995年]](平成7年)9月の外遊、[[福田康夫]]の[[2003年]](平成15年)9月の外遊、菅義偉の[[2015年]](平成27年)10月の外遊と2019年(令和元年)5月の外遊の例がある。
[24]
뉴스
日韓首脳会談 官房長官が同席 官邸外では異例
読売新聞
2010-11-16
[25]
뉴스
首相も官房長官も「不在」の官邸 異例の事態に懸念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7-19
[26]
뉴스
首相・菅長官不在「指揮体制に間隙ない」 西村副長官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9-07-17
[27]
뉴스
首相も官房長官も都内不在「十分な態勢とっていた」 北朝鮮ミサイル 【2021衆院選】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10-19
[28]
웹사이트
パーティー裏金疑惑の松野官房長官を更迭へ、首相「役割果たして」から一転・後任調整 : 読売新聞
https://www.yomiu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