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Ó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Ó는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주로 스페인어 외래어, 중국어 병음,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페로어, 아이슬란드어, 아일랜드어, 이탈리아어, 카슈브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포르투갈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페인어, 소르브어, 베트남어 등에서 사용되며, 각 언어마다 다른 발음이나 의미를 나타낸다. 유니코드에서는 U+00D3 (대문자)와 U+00F3 (소문자)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자 낱자{{#if:{{{1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if:{{{1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Ó
기본 정보
Ó/ó
Ó/ó
유니코드U+00D3 (Ó), U+00F3 (ó)
HTML 엔티티"Ó" (Ó), "ó" (ó)
키릴 문자О́
소리o (IPA)
용례
언어아이슬란드어, 페로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헝가리어, 폴란드어, 카슈브어, 소르브어,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베트남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오크어
용도Ó/ó는 다양한 알파벳에서 사용되는 글자임.
일반적으로 로마자 O의 변형으로, 강세 또는 다른 발음을 나타냄.

2. 언어별 쓰임새

Ó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글자이다. 각 언어별 Ó의 사용은 다음과 같다.


  • 영어: 'periódico', 'peón', 'piñón', 'bodegón' 따위의 스페인어 외래어를 쓸 때 표기한다.
  • 중국어: 병음에서 /o/ 발음의 양평성(상승조)을 나타낼 때 쓰인다.
  • 체코어슬로바키아어: 체코어 알파벳의 24번째 글자이자 슬로바키아어 알파벳의 28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이다.[6]
  • 에밀리아로마냐어: 에밀리아 방언에서는 /o/ 발음을, 로마냐 방언에서는 /oː/ 발음을 표기할 때 쓰인다. (예: sótt sótt|마른eml, alóra alóra|그렇다면rgn)
  • 페로어: 페로어 알파벳의 18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에서 이다.
  • 아이슬란드어: 아이슬란드어 문자의 19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이다.
  • 아일랜드어: 전치사 '~에서', '~부터'(ó), 부칭용사 '손자 및 (남자)후손', '사촌이나 육촌'(Ó), 감탄사 '오!'(ó)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6]
  • 이탈리아어: 사전 등에서 강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 'córso' córso|코스it, 'còrso' còrso|코르시카의it)
  • 카슈브어: 카슈브어 알파벳의 23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이며, 남부 방언에서는 로 소리나기도 한다.
  • 헝가리어: 헝가리어 알파벳의 25번째 글자이며, 발음은 이다.
  • 폴란드어: 폴란드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이며, 발음은 이다.
  • 포르투갈어: 강세 음절이 불확실한 위치에 있을 때 강세된 발음을 나타낸다. (예: "pó" (먼지), "óculos" (안경))
  • 스코틀랜드 게일어: 과거에는 널리 쓰였으나 현재는 'ò'로 대체되었다.
  • 스페인어: 예외 강세가 있는 'o'를 표기할 때 사용된다.
  • 소르브어: 고지소르브어에서는 발음을, 저지소르브어에서는 에서 발음을 나타낸다.
  • 베트남어: 베트남어 알파벳에서 'o'의 상승조(제3음)를 나타낸다.

2. 1. 유럽

유럽에서의 Ó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 영어: 'periódico', 'peón', 'piñón', 'bodegón' 따위의 스페인어 외래어를 쓸 때 표기한다.
  • 중국어: 병음의 운모인 /o/ 발음의 양평성 (阳平聲, 상승조)를 표기할 때 쓰인다.
  • 체코어슬로바키아어: 체코어 알파벳의 스물네번째 글자이자 슬로바키아어 알파벳의 스물여덟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이다.[6]
  • 에밀리아로마냐어: 에밀리아 방언에서는 발음을 표기할 때 쓰이며 (예: sótt sótt|마른eml), 로마냐 방언에서는 발음을 표기할 때 쓰인다. (예: alóra alóra|그렇다면rgn)
  • 페로어: 페로어 알파벳의 열여덟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에서 이다.[6]
  • 아이슬란드어: 아이슬란드어 문자의 열아홉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이다.[6]
  • 아일랜드어: 아일랜드어에서 널리 쓰이는 글자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6]
  • * 전치사 '~에서', '~부터'라는 의미의 'ó'
  • * 부칭용사 '손자 및 (남자)후손', '사촌이나 육촌'이라는 의미의 'Ó'. 다른 단어로는 Ua, Uí, Í Uaí가 있다. 아일랜드 인명을 영어로 바꿀 때 'Ó'는 기호를 빼거나 O'로 옮겨 쓴다. '오브라이언', '오도넬' 등 영어권 인명에서도 자주 보이는 표기이다.
  • * 감탄사 '오!'를 뜻하는 'ó'.
  • 이탈리아어: 임의로 붙이는 기호로, 특히 사전에서 많이 사용한다. 가끔씩 강세 o가 들어가는 단어들 중에서, 'c'''ó'''rso' (, )와 'c'''ò'''rso' (, )의 경우처럼 발음이 유사할 때 이를 확실히 구분하기 위해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다만 둘 다 등장하는 문맥이 명확할 경우에는 악센트 기호 없이 o로만 쓴다). 비슷한 사례로 'é'와 'è'가 있으며 그 예는 'pésca' ()와 ', 'pèsca' ()를 들 수가 있다.
  • 카슈브어: 카슈브어 알파벳의 스물세번째 글자로 발음은 이다. 남부지방 방언에 따라 로 소리나기도 한다.
  • 헝가리어: 헝가리어 알파벳의 스물다섯번째 글자로 발음은 이다.
  • 폴란드어: 'Ó'로 표기하며 폴란드어 알파벳의 스물한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이다.
  • 포르투갈어: "pó" (먼지)와 "óculos" (안경)의 경우처럼 단어 내에서 강세음절이 불확실한 위치에 자리한 경우, 강세된 /ɔ/ 발음을 표기할 때 쓴다. 강세발음의 위치가 확실하면 악센트 기호를 붙이지 않는다. 'Ó' 는 'ô' 와 대조를 보인다.
  • 스코틀랜드 게일어: 한때 스코틀랜드어에서도 널리 쓰였으나 지금은 'ò'가 대체하여 자주 쓰인다. 일부 글에선 아직 찾아볼 수 있긴 하나 표준 글자 체계로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 스페인어: 예외 강세음을 가진 'o'를 표기할 때 사용된다.
  • 소르브어: 고지소르브어에서는 발음을, 저지소르브어에서는 에서 발음을 표기할 때 사용된다.
  • 베트남어: 베트남어 알파벳에서 글자 'o'의 상승조 (제3음)을 나타낸다.

2. 1. 1. 게르만어군


  • 영어: 'periódico', 'peón', 'piñón', 'bodegón' 따위의 스페인어 외래어를 쓸 때 표기하기도 한다.
  • 페로어: 페로어 알파벳의 열여덟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에서 이다.[6]
  • 아이슬란드어: 아이슬란드어 문자의 열아홉번째 글자이다. 발음은 이다.[6]
  • 네덜란드어: 단어의 다른 의미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 voor (for) / vóór (before), vóórkomen / voorkómen (to occur / to prevent))[6]

2. 1. 2. 로망스어군


  • 스페인어: 예외 강세음을 가진 'o'를 표기할 때 사용된다.[6]
  • 이탈리아어: 임의로 붙이는 기호로, 특히 사전에서 많이 사용한다. 강세 o가 들어가는 단어들 중에서, 발음이 유사할 때 이를 확실히 구분하기 위해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예: 'c'''ó'''rso' córso|코르소it)와 'c'''ò'''rso' còrso|코르시카의it)
  • 포르투갈어: 단어 내에서 강세음절이 불확실한 위치에 자리한 경우, 강세된 /ɔ/ 발음을 표기할 때 쓴다. 강세발음의 위치가 확실하면 악센트 기호를 붙이지 않는다. 'Ó' /ɔ/는 'ô' /o/와 대조를 보인다.
  • 에밀리아로마냐어: 에밀리아 방언에서는 /o/발음을 표기할 때 쓰이며 (예: sótt sótt|마른eml), 로마냐 방언에서는 /oː/ 발음을 표기할 때 쓰인다. (예:alóra alóra|그렇다면rgn)

2. 1. 3. 슬라브어파

2. 1. 4. 기타

Óga아일랜드어에서 널리 쓰이는 글자로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 전치사 '~에서', '~부터'라는 의미의 'ó'
  • 부칭용사 '손자 및 (남자)후손', '사촌이나 육촌'이라는 의미의 'Ó'. 다른 단어로는 Ua, Uí, Í Uaí가 있다.[6] 아일랜드 인명을 영어로 바꿀 때 'Ó'는 기호를 빼거나 O'로 옮겨 쓴다. '오브라이언', '오도넬' 등 영어권 인명에서도 자주 보이는 표기이다.
  • 감탄사 '오!'를 뜻하는 'ó'.


Óhu는 헝가리어 알파벳의 스물다섯번째 글자로 장모음 이다.

Ógd는 한때 스코틀랜드 게일어에서도 널리 쓰였으나 지금은 'ò'가 대체하여 자주 쓰인다. 일부 글에선 아직 찾아볼 수 있긴 하나 표준 글자 체계로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2. 2. 아시아


  • '''중국어''': 병음의 운모인 /o/ 발음의 양평성 (阳平聲, 상승조)를 표기할 때 쓰인다.
  • '''베트남어''': 베트남어 알파벳에서 글자 'o'의 상승조 (제3음)을 나타낸다.
  • '''카자흐어''': 2018년에 Ó는 라틴 문자 중 하나로 제안되어 Ө를 대체하고 (또는 )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2019년 말에 Ö로 수정되었다.
  • '''카라칼파크어''': Ó/ó는 카라칼파크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이며, 를 나타낸다.
  • '''도브루자 타타르어''': 도브루자 타타르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로, "tór" [t̶ɵr̶] '배경'에서와 같이 중성 반전진 ATR 또는 부드러운 모음 /ɵ/를 나타낸다.

3. 유니코드

Ó, ó는 유니코드에서 각각 U+00D3, U+00F3으로 표현된다.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비고
ÓU+00D31-9-42ÓóU+00F31-9-73ó



EBCDIC 계열에서 대문자 Ó는 EE, 소문자 ó는 CE로 표현된다. ISO 8859-1/2/3/9/10/13/14/15/16에서는 대문자 Ó는 D3, 소문자 ó는 F3로 표현된다.

참조

[1] 서적 Foclóir Gaeḋlge agus Béarla Irish Texts Society
[2] 웹사이트 Anglicisation of Irish Surnames - Irish Names and Surnames https://www.libraryi[...] 2019-07-30
[3] 웹사이트 The Anglicisation of some Gaelic Irish Surnames - translation and change - Irish Genealogy http://www.familyhis[...] 2019-07-30
[4] 웹사이트 19 Keyboard Shortcuts for Spanish Accents Alt Codes https://www.keyxl.co[...] Keyxl.com 2022-08-13
[5] 웹사이트 How to Type Accent Marks over Letters in Microsoft Word https://www.howtogee[...] 2018-07-27
[6] 서적 Foclóir Gaeḋlge agus Béarla Irish Texts Socie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