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ا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ال)은 아랍어의 정관사로, 명사 앞에 붙어 해당 명사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형태는 접두사이며, 발음은 푸스하에서는 al, 이집트 방언 등에서는 el로 나타난다. 아랍 문자는 이 정관사가 붙을 때 발음 변화에 따라 해 문자(حروف شمسية)와 달 문자(حروف قمرية)로 구분된다. 알-은 단어의 문법적 기능, 용법, 다른 언어에 미친 영향, 한국어와의 관계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베리아 반도 언어와 영어 등 여러 언어에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어에서는 '알라', '알 자지라' 등 외래어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어 문법 - ء
    ء (함자)는 아랍어에서 단독 음가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문자이며, 아랍 문자의 아인(ع)에서 유래하여 꾸란 암송법을 위해 고안되었고, 함자틀 까뜨와 함자틀 와슬라 두 종류로 나뉘며, 단어 내 위치에 따라 표기 방식이 달라진다.
  • 접두사 - 숫자 접두사
    숫자 접두사는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기수, 배수, 분배, 서수 등 다양한 범주로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과학, 기술, 일상생활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접두사 - 앞자리 부호
    앞자리 부호는 임의의 부호어가 다른 부호어의 접두어가 되지 않는 어두 속성을 만족하는 부호이며, 허프만 코드, 섀넌-페노 코딩 등에 활용된다.
  • 아랍어 낱말 - 무자헤딘
    무자헤딘은 아랍어로 지하드를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이슬람교 포교자를 지칭했으나 근대에는 침략에 저항하는 저항 운동을, 20세기에는 아프가니스탄 게릴라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지하디스트와 유사한 의미로 무장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이다.
  • 아랍어 낱말 - 셔벗
    셔벗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디저트로, 과즙에 우유, 달걀 흰자 등을 섞어 만들며, 유지방 함유량이 낮고 입자가 굵은 형태를 띤다.
ال
개요
종류정관사
언어아랍어
정관사 형태الـ
발음알-, 앗-, 안-, 아르- (뒤따르는 자음에 따라 다름)
사용특정한 명사 또는 유일한 명사 앞에 붙음
영향명사의 격 변화에 영향을 줌
상세 정보
기본 형태ال (al-)
태양 문자ت, ث, د, ذ, ر, ز, س, ش, ص, ض, ط, ظ, ل, ن
달 문자ء, ب, ج, ح, خ, ع, غ, ف, ق, ك, م, ه, و, ي
태양 문자의 영향ال (al-)의 l 발음이 뒤의 자음과 동화되어 발음되지 않음.
달 문자의 영향ال (al-)의 l 발음이 그대로 발음됨.
예시 (태양 문자)الشمس (aš-šams) (태양)
예시 (달 문자)القمر (al-qamar) (달)
활용
고유 명사특정 고유 명사 (예: "알라")에 사용됨.
지리적 명칭특정 국가 또는 지역 이름에 사용됨 (예: "البحرين").
추상 명사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에 사용됨.
제한아랍어의 모든 명사가 정관사를 필요로 하지는 않음.

2. 형태 및 발음

아랍어 정관사 '알'(الـ)은 명사 앞에 붙어 하나의 단어처럼 쓰이며, 뒤따르는 자음에 따라 발음이 달라진다. 크게 해 문자와 달 문자로 나뉜다.

'알'의 발음은 정통 아랍어인 푸스하에서는 'al', 이집트 방언 등에서는 'el'이 된다. 정관사와 뒤따르는 명사, 그리고 여기에 접속하는 전치사나 접속사, 더 나아가 그 바로 앞의 어미는 특수한 음운 변화를 겪기도 한다.

'''알라'''는 다신교에서의 신 إله에 정관사가 붙은 형태이므로, الله에는 접속 지시 대명사가 붙는 것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al-''의 함자가 변동적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정관사로 말을 시작할 때는 파트하로 읽는다. 예를 들어, 일시 정지 후 البيتar('그 집')를 발음하면 "al-bayt"가 된다.

그러나 ''al-''이 말 중간에 올 경우, 함자는 생략된다. 따라서 정관사 앞 모음은 ''al-''의 람(lām)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بابُ البيتar(일시 정지 없이 발음)는 "bābu l-bayt", بابَ البيتar는 "bāba l-bayt", بابِ البيتar는 "bābi l-bayt"로 발음된다.

''al-''이 접두되는 단어가 함자로 시작하면, 해당 함자의 모음은 ''al-''의 람으로 전이되고, 그 후 함자는 발음되지 않는다.[27]

2. 1. 해 문자

아랍 문자는 الar이 앞에 붙을 때 일어나는 발음의 변화에 따라 해 문자(حروف شمسيةar)와 달 문자(حروف قمريةar)로 나뉜다. 해 문자는 앞에 الar이 붙으면 لar묵음화되며, 대신 해 문자 자체가 강하게 발음된다. 예를 들어 شمسيةar(샴씨야)는 الشمسيةar(앗샴씨야)가 된다.[2]

2. 2. 달 문자

الar이 앞에 붙어도 달 문자는 서로 간섭되지 않고 각자가 정상적으로 발음된다.

  • 예) قمريةar(까마리야) → القمريةar(알까마리야)

2. 3. 함자

알의 함자(ﺀ)는 변동적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다수의 의견은 함자를 변동적이라고 간주하는 시바와이히(서기 797년경 사망)의 의견이다.[13][14][15] 그의 견해에 따르면, 함자는 ''알''-의 일부도 아니고, 뒤따르는 단어의 정해짐에 기여하지도 않는다.

반면에, 할릴, 이븐 케이산, 아크파쉬는 함자가 변동적이지 않다고 본다.[13][15] 두 번째 이론의 지지자들 사이에는 더 나아가 논쟁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함자를 변동적이라고 간주하지 않고, 뒤따르는 단어의 정해짐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다른 사람들은 함자가 뒤따르는 단어의 정해짐에 기여하지만 여전히 변동적이라고 주장한다.[13]

할릴은 자신의 주장을 옹호하며, ''알''-이 접두된 단어 앞에 의문 함자가 오면 두 함자가 섞인다고 주장한다.[16] 예를 들어, الآنar ''알-아나''(지금)라는 단어에 접두될 경우, 결과는 آلآنar ''알-아나''가 된다. 분명히, 이 경우 ''알''-의 함자는 더 이상 필요가 없더라도 탈락하지 않는다.

할릴은 또한 ''알''-의 함자가 탈락하는 유일한 이유는 변동적이기 때문이 아니라 너무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왜 ''알''-의 람(lām)에 자음이 많이 사용되고 발음하기 쉽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간단히 모음을 부여하지 않았는지 질문했을 때, 할릴의 추종자들은 만약 람에 파트하가 부여되었다면, 확언-겸-탄원 입자와 혼동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17] 만약 카스라가 부여되었다면, 소유격 입자와 혼동되었을 것이다.[17] 담마를 부여할 수 없었던 이유는 다음 모음이 카스라 또는 담마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لإبلar *''루-이빌'' 또는 لعنقar *''루-우누크''와 같이 어색한 발음을 초래하기 때문).[18]

이러한 수많은 증거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고전 문법서와 현대 아랍어에서는 시바와이히의 견해가 종종 공리적인 사실로 간주된다.[19] 많은 증거와 반증이 있지만, 이 의견을 옹호하는 전체적인 주장은 다음과 같다.

''알''-의 람은 언어에서 수쿤을 가진 유일한 람 입자이다(혼동을 피하기 위해 언급했듯이). 따라서 변동 함자가 필요하다.[19] 게다가, ''알''-은 입자이며, 아랍어 입자는 글자를 탈락시키지 않는다(의미나 함축을 잃지 않고). 그러나 ''알''-의 함자는 항상 탈락한다. 따라서 변동적이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알''-은 뒤따르는 단어를 정해지게 하는 능력을 잃을 것이다.[18]

결과적으로, ''알''-의 함자는 파트하 모음을 가진 언어에서 유일한 변동 함자로 간주된다.

3. 용법

아랍어 정관사 '알-'은 명사를 한정하는 기능 외에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법으로 사용된다.


  • 일반 명사의 고유 명사화: 일반 명사에 '알-'이 붙어 고유 명사가 된다. 예를 들어 '섬'을 뜻하는 جزيرة|자지라ar에 정관사가 붙어 알 자지라 방송국이 되고, '기지'를 의미하는 قاعدة|카에다ar에 정관사가 붙어 알 카에다라는 조직명이 된다.
  • 상징적 의미 (이슬람 용어): '알-'이 붙은 명사는 특히 이슬람 관련 용어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띤다. 예를 들어 '책'을 뜻하는 كتاب|키타브ar에 정관사가 붙은 الكتاب|알 키타브ar는 꾸란을, '마을'을 뜻하는 مدينة|마디나ar에 정관사가 붙은 المدينة|알 마디나ar는 성지 메디나를 가리킨다. '신성함'을 의미하는 قدس|쿠드스ar에 정관사가 붙은 القدس|알 쿠드스ar예루살렘을 의미한다.
  • 현재 시제: 시제를 나타내는 명사에 '알-'이 붙으면 '현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간'을 뜻하는 آن|안ar에 정관사가 붙으면 الآن|알 안ar('지금')이 되고, '날'을 의미하는 يوم|욤ar에 정관사가 붙으면 اليوم|알 욤ar('오늘')이 된다. '달'은 الشهر|앗 샤흐르ar('이번 달'), '해'는 السنة|앗 싸나ar('올해')와 같이 사용된다.
  • 일부 지명: 국가도시 이름 등 일부 지명은 원칙적으로 정관사를 동반한다. 예를 들어 일본은 اليابان|알 야반ar으로 표기하는데, يابان|야반ar은 고대 사막을 의미하기도 한다. 바레인을 나타내는 البحرين|알 바흐라인ar에서 정관사를 제외한 بحرين|바흐라인ar은 '두 개의 바다'라는 일반 명사이다.

3. 1. 한정 (정관사)

아랍어에는 الـ(정관사)라는 것이 있으며, 철자상으로는 접두사 형태를 띤다. 정관사라는 특성상, 명사를 한정시키며, 수식어가 될 때는 선행 명사도 함께 하나의 한정 구문을 이룬다.[1] 명사 앞에 '알-'을 붙이는 것은 소유를 제외하면 정해성의 가장 약한 형태이다.[1] 즉, "그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이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만큼 명확하게 언급되는 사람을 정의하지 않는다.

''알-''의 주요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능은 뒤따르는 단어를 정관사화하는 것이다. 이는 تعريف العهد|taʿrīf al-ʿahdar로 알려져 있다. 이 기능은 두 가지 유형이 있다.[29]

  • ذكري|ḏikriyyar: 언급된 단어가 이미 언급된 경우. 예를 들어 "우리가 파라오에게 사자를 보냈으나, 파라오는 그 사자를 거역했다..."(꾸란 73:15-6)에서 '사자'라는 단어가 그 예시이다.
  • ذهني|ḏihniyyar: 언급된 단어가 청취자에 의해 이해되는 경우. 예를 들어 "전투가 심해지고 있다. 후퇴해야 할 것 같아."에서 '전투'라는 단어가 그 예시이다.


또한 "غلبة|ḡalabahar를 위한 알-"이라고 알려진 ذهني|ḏihniyyar의 특별한 유형도 있다. 이 경우 알-이 접두된 명사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지만 청취자는 무엇을 언급하는지 알고 있다.[30] 예를 들어 الكتاب|al-kitābar (책)이라는 단어는 실제로 시바웨이가 쓴 아랍어 문법의 고전적인 책을 의미할 수 있다. 문법학자들이 "그 책"에 대해 말할 때, 이것이 그들이 의미하는 바이며, 설명 없이 항상 이해된다.

발음은 정통 아랍어인 푸스하에서는 al, 이집트 방언 등에서는 el이 된다. 또한 정관사와 뒤따르는 명사, 그리고 여기에 접속하는 전치사나 접속사, 더 나아가 그 바로 앞의 어미는 특수한 음운 변화를 겪기도 한다. 아랍 문자#태양 문자·달 문자 및 샤다 항목을 참조.

한편, الله|ʾAllāhar (. → '''알라''')는 다신교에서의 신 إله 에 정관사가 붙은 형태라고 여겨진다. 이 때문에 الله|ʾAllāhar에는 접속 지시 대명사가 붙는 일은 원칙적으로 없다.

3. 2. 이다파 (소유)

아랍어에서 "B의 A"와 같이 소유를 나타낼 때는 명사 A 뒤에 명사 B를 둔다. 이때 명사 B는 명사 A를 수식하는 어구가 되는데, 이를 '''이다파 구문'''이라고 한다[62]。 예를 들어 موسوعة الحرة|무와싸와 알후라ar의 경우, 정관사가 붙은 명사 الحرة|알후라ar는 바로 앞의 명사 موسوعة|무와싸와ar를 수식하며, 전체적으로 "자유로운 백과사전"이라는 의미가 된다.

이때 수식어가 되는 명사는 정관사를 동반하고, 선행하는 명사는 속격이 됨으로써 전체를 한정한다. 이다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랍어 문법'''에서 설명한다.

3. 3. 고유 명사화

일반 명사에 정관사 '알-'이 붙어 고유 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جزيرةar(ǧazīraẗ|자지라ar)는 '섬' 또는 '반도'를 의미하는 일반 명사이지만, 정관사 '알-'이 붙으면 '''알 자지라'''라는 특정 방송국의 이름으로 사용된다.[34] قاعدةar(qāʿidaẗ|카에다ar)는 '기지'를 의미하지만, 정관사가 붙으면 '''알 카에다'''라는 특정 조직의 이름이 된다.

이처럼 고유 명사가 되면서 그 명사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특히 이슬람 관련 용어에서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책'을 의미하는 일반 명사 كتابar(kitāb|키타브ar)에 정관사가 붙은 الكتابar(al-kitāb|알 키타브ar)는 이슬람의 성전인 '''꾸란'''을 가리킨다.[30] '마을'이나 '도시'를 의미하는 مدينةar(madīnaẗ|마디나ar)에 정관사가 붙은 المدينةar(al-madīnaẗ|알 마디나ar)는 성지 '''메디나'''를 가리킨다. 또한, '신성함'을 의미하는 قدسar(quds|쿠드스ar)에 정관사가 붙은 القدسar(al-quds|알 쿠드스ar)는 성지 '''예루살렘'''을 의미한다. 이는 "수많은 책 중 특히 뛰어난 책", "수많은 마을 중 특별한 마을"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3. 4. 현재 시제화

الar시제를 나타내는 명사에 붙으면 "현재의 ~"라는 의미를 띤다.[33] 시간을 의미하는 명사 آنar에 정관사 الar이 붙으면 الآنar이 되며, 이것은 "지금"이나 "현대"와 같은 의미이다. 을 의미하는 يومar에 الar이 붙으면 اليومar("오늘")이 된다. 마찬가지로 달을 의미하는 شهـرar에 الar이 붙으면 الشهرar(이번 달한국어)이 되고, 를 의미하는 سنةar에 الar이 붙으면 السنةar(올해한국어)가 된다.

الآنar은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며, 관용구화되어 있다. 따라서 시제를 나타내는 명사에 정관사를 붙여 시간을 한정하는 것은 혼동을 초래할 수 있다. "그때"와 같은 경우에는 전치사 عندar를 사용하거나, 시간의 의미인 وقتar를 사용하여 ذلك الوقتar처럼 표현한다.

3. 5. 이슬람 관련 용어

일반 명사에 정관사 ال(알)이 붙어 고유 명사가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이나 반도를 의미하는 جزيرة (자지라)에 정관사가 붙어 알 자지라가 되고, 기지를 의미하는 قاعدة (카에다)에 정관사가 붙으면 알 카에다가 된다.[1]

이처럼 고유 명사가 되면서 그 명사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게 되므로, 특히 이슬람 관련 용어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슬람"이라는 단어 إسلام (이슬람) 역시 문법적으로는 동사의 명사형인데, 정관사 الـ (알)을 동반한 الإسلام (알 이슬람)의 형태로 '''이슬람교'''를 특별히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을 나타내는 일반 명사 كتاب (키탑)에 정관사가 붙은 الكتاب (알 키탑)는 이슬람의 성전인 꾸란을 가리키며, 마을이나 를 나타내는 مدينة (마디나)에 정관사가 붙은 المدينة (알 마디나)는 성지 메디나를 가리킨다. 또한, 신성함을 의미하는 قدس (쿠드스)에 정관사가 붙은 القدس (알 쿠드스)는 성지예루살렘을 의미한다. 이는 "수많은 책 중 특히 뛰어난 책", "수많은 마을 중 특별한 마을"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1]

참고로, كتاب (키탑)이나 مدينة (마디나)는 그 단어만으로는 일반 명사이며, 정관사가 붙어도 문법상으로는 한정되었다는 것 이상의 의미는 없다. 따라서 문맥에 따라서는 이슬람과 무관하게 책이나 마을을 한정할 목적으로 정관사가 붙는 경우는 드물지 않으며, الكتاب (알 키탑)라고 말했다고 해서 반드시 꾸란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1]

3. 6. 일부 지명

국가도시 이름 등 일부 지명은 원칙적으로 정관사를 동반하며, 여기에는 일본을 나타내는 اليابان도 포함된다. 이러한 지명의 대부분은 현대 아랍어나 고대 아랍어로 해당 지명 이외의 의미를 가지며, 그 때문에 고유명사로서 정관사를 붙이고 있다.

اليابان의 경우, 정관사 الـ를 제외한 يابان는 고어의 사막과 같은 철자와 발음이 되며, 이란페르시아어권에서는 현대에도 사용되는 지역이 있다. 또한 바레인을 나타내는 البحرين은 정관사를 제외하면 بحرين이 되며, 이것은 "두 개의 바다"라는 일반 명사 쌍수형 속격이 된다.

한편, 구어에서는 이러한 지명에 붙은 정관사가 생략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으며, 문맥의 판단에 맡겨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4. 문법

''알''(-ال)은 아랍어 단어(ḥarf)의 일종으로, 대부분 다른 단어에 접두사로 붙는다.[39][40][41] ''알''은 명사에 붙어 한정시키는 기능을 하며, 정관사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알''은 명사에 붙지만, 제한적인 상황에서 동사나 숫자에 붙기도 한다.


  • 동사: 시에서 동사에 사용된 경우가 있다. Dhu al-Kharq al-Tahawi (ذو الخرق الطهوي)의 시 구절에 등장한다.[42]
  • 숫자: 11과 19 사이 숫자의 첫 부분, 복합 숫자(21-29, 31-39, ..., 91-99)의 두 부분 모두에 접두사로 붙을 수 있다.[56] 예를 들어, احد عشر|아하다 ‘아샤르ar (11)는 الاحد عشر|알-아하다 ‘아샤르ar로 읽을 수 있다.


''알''이 분사에 접두사로 붙으면 관계대명사처럼 작용한다.[57] 예를 들어, مررت بالراكب خيله|마라르투 비-르-라키비 카일라후ar는 "나는 그의 말을 타고 있던 남자를 지나갔다"로 번역된다.

''알''은 주격이나 속격 형태인 ism manqūṣ에서 ي|야ar 문자를 되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알''이 없으면, 이러한 명사에서의 ي|야ar는 생략되고 nunation으로 대체된다.

발음은 정통 아랍어인 푸스하에서는 al, 이집트 방언 등에서는 el이 된다.

4. 1. 전치사와의 결합

정관사 الـ (ال)가 붙은 명사에 전치사와 같은 접두어가 붙는 경우, 일부 단어에서는 형태가 변화한다.

  • 전치사 بـ (비-)가 붙을 때는 بالـ 의 형태가 되어 bil-로 발음된다.
  • 전치사 لـ (리-)가 붙을 때는 표기상으로도 정관사의 ا 가 생략되어 للـ 의 형태를 띄며, lil-로 발음된다.


접속사 و (와-)는 표기상으로는 접두어가 되지만 ا 의 생략은 일어나지 않는다. 정관사 الـ 의 ا함자를 동반하지 않지만 발음된다.

관계사 يا (야-)는 통상적으로 사람에게 사용되지만, 일반 명사나 지명이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때, 후속하는 단어가 정관사 الـ 를 동반하는 경우, 발음상으로는 생략되는 경우가 있어도 표기상으로는 변화하지 않는다. 다만 감탄사로 사용되는 성구 يا الله 는 전체적으로 yallāh로 발음되며, يا لله 혹은 يلله 로 표기되는 경우도 많다.

5. 다른 언어에 미친 영향

아랍어 정관사는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 이베리아 반도 언어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포르투갈어에는 "마을"을 뜻하는 'aldeiapt' (الضيعة||ar에서 유래), "상추"를 뜻하는 'alfacept' (الخس||ar에서 유래) 등 9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유입된 약 1,200개의 아랍어 단어가 있다.[61] 스페인어에도 "카펫"을 뜻하는 ''alfombra'', "면화"를 뜻하는 ''algodón'' 등 아랍어에서 유래한 단어가 많다.[63]

영어에도 아랍어에서 유래한 단어에 정관사가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alcohol' (알코올)[64], 'algebra' (대수학)[64] 등이 대표적이다. 이 외에도 ''alcove, albatross, alfalfa, algorithm, alchemy, alkaline, alembic, elixir, artichoke'' (아티초크)[65], ''acequia, adobe, aniline, apricot, aubergine, azimuth''와 ''Algol''과 같은 별 이름에도 아랍어 정관사가 남아있다.

لازورد||ar에서 유래한 ''azure''의 경우, 단어의 첫 글자 ''l''이 아랍어 관사로 오인되어 사라졌지만, ''lazurite''와 복합어 ''lapis lazuli''에는 남아있다. العود||ar에서 유래한 ''lute''에서는 관사의 ''a''가 삭제되었지만 ''l''은 남아있다.

알 관사는 우르두어에서도 아랍어 기원의 개인 이름과 종교, 행정, 과학 어휘와 관련된 단어에 주로 사용된다. 우르두어에서 가장 흔한 알 단어는 "정확히"를 의미하는 بالکل||ur과 "현재"를 의미하는 فی الحال||ur이다.

6. 한국어와의 관계

한국어에는 아랍어 정관사에 해당하는 문법 요소가 없지만, 관형격 조사 '-의'나 일부 명사에서 유사한 기능을 찾을 수 있다. '알라', '알 자지라', '알 카에다' 등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외래어에서 '알-'은 아랍어 정관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웹사이트 A First Century BC Arabic Inscription in Musnad Script at Qaryat Al-Faw http://www.islamic-a[...]
[5] 서적
[6]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the Definite Article in Semitic: A Syntactic Approach https://www.academia[...] Oxford University Press Spring 2009
[7] 간행물 Definite Articles in Semitic (with a focus on Central Semitic) https://www.academia[...] Eisenbrauns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간행물
[37] 간행물
[38] 간행물
[39] 간행물
[40] 간행물
[41] 간행물
[42] 간행물
[43] 웹사이트 خزانة الأدب-عبد القادر البغدادي http://islamport.com[...]
[44] 간행물 Al-mu‘jam Ul-waṣīt
[45] 간행물
[46] 간행물
[47] 간행물
[48] 간행물
[49] 간행물
[50] 간행물
[51] 간행물
[52] 간행물
[53] 간행물
[54] 간행물
[55] 간행물
[56] 간행물
[57] 간행물
[58] 간행물
[59] 간행물
[60] 간행물
[61] OED sulfur
[62] 웹사이트 アラビア語独習コンテンツ 第5課 http://el.minoh.osak[...] 2023-10-30
[63] 서적 A History of the Spanish Lexicon: A Linguistic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4] 웹사이트 alcohol https://www.thefreed[...] 2023-01-01
[65] 웹사이트 artichoke https://www.thefreed[...] 2023-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