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종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종은 고려의 제22대 왕으로, 명종과 의정왕후의 아들이다. 1173년 왕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최충헌에 의해 명종이 폐위되면서 폐태자가 되었고, 강화도로 유배되었다. 이후 최충헌에 의해 1211년 왕위에 올랐으나 실권은 최충헌에게 있었으며, 재위 기간은 1211년에서 1213년까지이다. 능은 후릉이다. 사평왕후, 원덕태후를 비롯한 여러 후궁을 두었으며, 아들로는 고종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52년 출생 - 한탁주
    한탁주는 남송의 관료이자 정치가로, 효종의 신임을 바탕으로 영종 옹립에 기여하여 13년간 권력을 누렸으나, 측근 중용, 성리학 탄압, 개희북벌 실패 등으로 남송 쇠퇴의 원인이 된 인물이다.
  • 1152년 출생 - 이인로
    무신정변 이후 등용된 고려의 문인 이인로는 임춘, 오세재 등과 함께 강좌칠현으로 불리며 시와 술을 즐겼고, 한국 최초의 시화집 중 하나인 《파한집》을 저술하여 한국 시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세기 한국의 군주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13세기 한국의 군주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1213년 사망 - 와다 요시모리
    와다 요시모리는 헤이안 시대 말기에서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도와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하며 가마쿠라 막부의 유력 고케닌이 되었으나, 호조 씨와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213년 사망 - 페로 2세
    페로 2세는 1196년부터 1213년까지 아라곤의 왕이었으며, 레콩키스타에 참여하여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알비 십자군과의 대립 끝에 뮈레 전투에서 사망했다.
강종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강종의 초상
강종의 초상
이름강종
한글강종
한자康宗
로마자 표기Gangjong
생몰 기간1152년 5월 10일 ~ 1213년 8월 26일
묘호강종(康宗)
시호준철문열단총명헌이모목청원효대왕(濬哲文烈亶聰明憲貽謀穆淸元孝大王)
왕오(王祦), 초명은 왕숙(王璹), 왕정(王貞)
대화(大華) 또는 법주(法柱)
왕위
왕위 계승제22대 고려 국왕
재위 기간1211년 ~ 1213년
즉위1212년
이전 국왕희종
다음 국왕고종
가계
왕조왕씨
부왕명종
모후의정왕후
배우자사평왕후 (1174년 혼인, 폐출)
원덕왕후 (1175년 혼인, 1213년 사망)
자녀아들: 고종, 그 외 아들 9명
딸: 수령궁주, 정화택주
출생 및 사망
출생일1152년 5월 10일
출생지개성부, 개경, 고려
사망일1213년 8월 26일 (61세)
사망지수창궁 화평전, 개경, 고려
능묘후릉
기타
참고 사항최충헌을 몰아내려 했던 고려 왕 희종의 운명

2. 생애

는 '''오'''(祦), 는 대화(大華) 또는 태화(太華)이며, 묘호는 '''강종'''(康宗), 시호는 '''명헌원효대왕'''(明憲元孝大王)이다. 명종과 광정왕후 김씨의 맏아들로, 초명은 왕숙(王璹)이다. 능은 후릉(厚陵)이다.

1170년 무신정변으로 아버지 명종이 왕위에 오르자 1173년 왕태자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1197년 최충헌이 정변을 일으켜 명종을 폐위시키자, 태자 역시 폐위되어 강화도로 유배되었다.

1210년 개경으로 소환되었고, 이듬해 최충헌이 희종을 폐위시키고 강종을 왕으로 옹립하였다. 1212년부터 1213년까지 약 1년간 재위하였으나, 실권은 최충헌에게 있었다.

2. 1. 탄생과 가계

강종의 초명은 왕숙(王璹)으로, 1152년 4월 5일, 인종과 공예태후의 셋째 아들인 명종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의정왕후 김씨이며, 문종의 손자인 강릉공 왕온의 셋째 딸인데 모계 성씨인 김씨를 사용하였다.

'''강종의 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명종(明宗)제19대 국왕
조부인종(仁宗)제17대 국왕
조모공예왕후(恭睿王后) 임씨
어머니의정왕후(義靜王后) 김씨강릉공 왕온의 딸
외조부강릉공 왕온(江陵公 王溫)문종의 손자
외조모부인 김씨
누이연희궁주(延禧宮主)
누이수안궁주(壽安宮主)
배우자사평왕후(思平王后) 이씨전주 이씨
자녀수령궁주(遂寧宮主)
배우자원덕태후(元德太后) 유씨개성 왕씨, 1239년 사망
강종에게 4촌 고모의 6촌 재종뻘
자녀고종(高宗) 왕철(王皞)제24대 국왕
배우자미상
자녀정화궁주(靜和宮主)
자녀소군 왕씨
자녀소군 왕씨
자녀소군 왕씨
자녀소군 왕씨
자녀소군 왕씨
자녀소군 왕씨
자녀소군 왕씨
자녀소군 왕씨
자녀소군 왕씨


2. 2. 태자 책봉과 폐위

1170년(의종 24년), 무신정변으로 의종이 폐위되고 아버지 익양공(명종)이 왕으로 추대되자 궁궐에 들어갔다. 1171년(명종 1년)에는 관례를 올렸으며, 1173년(명종 3년) 왕태자로 책봉되었다.

첫 번째 부인인 태자비 이씨(사평왕후)는 무신정변을 주도한 인물 중 하나인 이의방의 딸이었으나, 이의방이 제거된 후 폐출되었다. 이후 종실 신안후와 인종의 셋째 딸인 창락궁주의 딸 유씨(원덕왕후)와 혼인하였다.

1197년(명종 27년), 최충헌이 정변을 일으켜 명종을 폐위시키고 창락궁에 유폐시키면서, 태자 역시 폐위되어 강화도로 유배되었다.

2. 3. 즉위와 사망

1210년(희종 6년) 소환되어 이듬해 수사공 상주국 한남공(守司空·上柱國·漢南公)에 봉해졌다. 희종을 폐위시킨 최충헌에 의해 1212년 왕위에 올랐으나, 실권은 최충헌이 가지고 있었다. 1212년부터 1213년까지 약 1년간 재위하였으며, 사망 후 능은 개성특별시 개풍구역 현화리에 있는 후릉(厚陵)이다.

3. 가족 관계

아버지는 명종이며, 어머니는 의정왕후이다. 누이로는 연희궁주와 수안궁주가 있었다. 정비는 이의방의 딸인 사평왕후였으나 폐위되었고, 이후 신안후 왕성의 딸인 원덕왕후를 왕비로 맞이하여 고종을 낳았다. 사평왕후 소생으로는 딸 수령궁주정화택주가 있다. 그 외에도 여러 명의 왕자가 있었으나 이름이나 생모는 기록이 명확하지 않다.[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

3. 1. 부모

3. 2. 왕비

시호생몰년부모비고
정비사평왕후 이씨
思平王后 李氏
미상이의방
李義方
조씨
曺氏
명종 4년(1174년) 태자비에 책봉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폐위되었고, 강종 원년(1211년) 왕후로 추존되었다.
계비원덕왕후 유씨
元德王后 柳氏
미상 - 1239년신안후 왕성
信安侯 王珹
[5]
창락궁주
昌樂宮主
[6]
고종의 어머니이다.


3. 3. 왕자

wikitext

'''강종의 왕자'''
순서이름생몰년생모비고
1고종(왕철, 王皞)1192년 ~ 1259년원덕왕후 유씨제23대 국왕[7]
2소군 왕씨[8][9]미상미상미혼
3소군 왕씨[10][11]미상미상미혼
4소군 왕씨[12][13]미상미상미혼
5소군 왕씨[14][15]미상미상미혼
6소군 왕씨[16][17]미상미상미혼
7소군 왕씨[18][19]미상미상미혼
8소군 왕씨[20][21]미상미상미혼
9소군 왕씨[22][23]미상미상미혼
10소군 왕씨[24][25]미상미상미혼


3. 4. 왕녀

wikitext

순서작호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1수령궁주
壽寧宮主
미상사평왕후 이씨하원공 왕춘
河源公 王瑃
2정화택주
靜和宅主[26]
미상사평왕후 이씨최충헌
崔忠獻


4. 강종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뉴스 "[Why] [이한우의 역사속의 WHY] 최충헌 몰아내려 했던 고려왕 희종의 운명은?" https://www.chosun.c[...] 2009-12-05
[2] 뉴스 "[Why] [이한우의 역사속의 Why] 고려판 강화도령 강종 조선의 철종과 닮은꼴" https://www.chosun.c[...] 2009-02-07
[3] 문서 명종 1년 음력 4월 19일, 율리우스력 6월 1일
[4] 문서 명종 27년 음력 9월 23일, 율리우스력 11월 4일
[5] 문서 한남백 왕기와 고려 예종|예종의 장녀 승덕공주의 아들
[6] 문서 고려 인종|인종의 3녀
[7] 문서 고려 희종|희종의 장녀
[8] 서적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9]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06-11-20
[10] 서적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11]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06-11-20
[12] 서적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13]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06-11-20
[14] 서적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15]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06-11-20
[16] 서적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17]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06-11-20
[18] 서적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19]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06-11-20
[20] 서적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21]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06-11-20
[22] 서적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23]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06-11-20
[24] 서적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25]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06-11-20
[26] 문서 《최충헌 묘지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