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희종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희종은 고려 신종의 아들이자 인종의 손자로, 1204년 고려의 제22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최충헌에게 권력을 빼앗긴 후 폐위되어 강화도 등지로 유배되었으며, 1237년 사망하였다. 재위 기간 동안 최충헌과의 권력 다툼, 왕준명 등과의 반란 시도 등이 있었으며, 여러 차례 유배를 거쳤다. 슬하에 여러 왕자와 공주를 두었으며, 자녀 중 안혜왕후는 고려 고종과 혼인하여 원종을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희종 - 강화 석릉
    희종의 능인 강화 석릉은 최충헌에 의해 폐위된 고려 21대 왕 희종이 유배된 강화도에 위치하며,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승격 지정되었다.
  • 1181년 출생 - 마리노 모로시니
    마리노 모로시니는 13세기 베네치아의 정치인이자 제44대 베네치아 공화국 도제로서, 재임 기간 동안 평화로운 시기를 보냈으며 바티칸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종교 재판소 설립을 허용했다.
  • 1181년 출생 - 서하 헌종
    서하 헌종은 서하의 제9대 황제로, 몽골의 침입 시기에 즉위하여 금나라와의 관계 회복을 시도했으나 칭기즈 칸의 침공을 막지 못하고 병사했다.
  • 1237년 사망 - 장 드 브리엔
    샹파뉴 출신 프랑스 기사이자 예루살렘 왕국의 왕이었던 장 드 브리엔은 마리아 몽페라트와의 결혼으로 예루살렘 왕이 되었고, 5차 십자군 참여와 라틴 제국 공동 황제로서 콘스탄티노폴리스 방어에 기여했다.
  • 1237년 사망 - 순경태후
    순경태후는 김약선의 딸이자 최우의 외손녀로 고려 원종의 왕비이며 충렬왕의 어머니로, 사후 왕후와 태후로 추존되었고 원나라로부터 '고려 왕비' 칭호를 받았으며 능은 강화 가릉이다.
희종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희종이 장양수에게 내린 교지인 장양수 홍패
희종이 장양수에게 내린 교지인 장양수 홍패
왕영(王韺) · 왕연(王淵) · 왕덕(王悳)
불피(不陂)
출생일1181년 6월 28일 (양력)
출생지고려 개경
사망일1237년 9월 7일 (양력)
사망지고려 강화도 법천정사
능호석릉(碩陵)
능 위치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 산182
묘호희종(熙宗) · 정종(貞宗)
시호성효인목성효대왕(誠孝仁穆誠孝大王)
왕위
작위제21대 고려 국왕
즉위식개경 대관전
재위 시작1204년 2월 14일 (양력)
재위 시작 (태자)1200년 6월 5일
재위 종료1212년 2월 6일 (양력)
태상왕1212년 2월 6일 ~ 1237년 9월 7일 (양력)
전임자신종
후임자강종
전임자 (태자)왕태자 숙 (강종)
후임자 (태자)폐태자 지 (창원공)
후임자 (태상왕)원종
가족
부친신종
모친선정왕후 김씨
형제자매2남 2녀 중 장남
배우자성평왕후 임씨, 폐태자비 왕씨
자녀5남 5녀
왕자
왕녀

2. 생애

는 영(韺), 는 불피(不陂)이며, 묘호는 '''희종'''(熙宗), 시호는 '''인목성효대왕'''(仁穆成孝大王)이다. 능호는 '''석릉'''(碩陵)이다. 신종과 선정왕후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재위 기간 동안에는 무신 최충헌이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희종은 최충헌을 제거하여 왕권을 회복하려 했으나, 계획이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고 결국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었다.[5]

2. 1. 탄생과 즉위

1181년(명종 11년) 5월 8일, 인종의 다섯째 아들인 익양공(신종)과 부인 김씨(선정왕후)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왕태자 책봉 교서에 따르면 희종은 용모가 빼어난 자태와 온화한 성품을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1197년(명종 27년), 당시 강력한 권력을 휘두르던 무신 최충헌 형제가 큰아버지인 명종을 폐위시키고 아버지 평량공(신종)을 왕으로 추대하면서 입궁하게 되었다. 1200년(신종 3년)에는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1204년(신종 7년) 아버지 신종의 양위를 받아 대관전(大觀殿)에서 왕위에 올랐다.

2. 2. 최충헌과의 갈등 및 폐위

1204년 즉위한 희종의 재위 기간 동안 실권은 최충헌이 장악하고 있었다. 희종은 즉위 초 최충헌에게 1205년 진강군 개국후(晋康郡 開國侯), 1206년 진강후(晋康侯)의 작위를 연이어 내리고 흥녕부(興寧府)를 세우게 하는 등 그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해주었다.[5] 1207년에는 최충헌의 요청에 따라 유배자 300여 명을 가까운 곳으로 옮기거나 사면하기도 하였다.

1208년(희종 4년), 개경의 큰 시장 좌우에 있던 긴 행랑 1,080칸을 다시 짓게 하였는데, 이때 필요한 비용은 오부방리(五部坊里)와 양반들의 집에서 곡식을 거두어 충당하게 하여 백성들에게 부담을 주었다.

1211년(희종 7년), 희종은 내시 왕준명(王濬明) 등과 함께 왕권 회복을 위해 당시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던 최충헌을 제거하려 시도했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였다.[6] 이 사건으로 희종은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어 강화로 유배되었다.[5] 이후 자란도(紫鸞島)로 옮겨졌고, 1215년(고종 2년)에는 다시 교동으로 이배되었다. 1219년(고종 6년) 잠시 개경으로 돌아왔으나, 1227년(고종 14년) 복위를 꾀한다는 무고를 받아 최충헌의 아들 최우(崔瑀)에 의해 다시 강화로 보내졌다가 교동으로 옮겨져 1237년(고종 24년) 그곳의 법천정사(法天精舍)에서 승하하였다.

3. 연표

wikitext

연도내용
1181년5월 8일, 신종과 선정왕후 김씨의 맏아들로 태어남.
1196년최충헌이 정권을 장악함 (최충헌 정권 성립). 이 정권은 1258년까지 4대 62년간 지속됨.
1197년최충헌 형제가 명종을 폐위시키고 아버지 신종을 왕위에 올림. 희종은 입궁함.
1198년개경에서 사노 만적이 난을 일으킴. 명주, 동경, 합주 등 각지에서 반란 발생.
1200년태자에 책봉됨.
1204년아버지 신종의 양위를 받아 대관전에서 즉위함.
1205년최충헌을 진강군 개국후(晋康郡 開國侯)에 봉함.
1206년최충헌을 다시 진강후(晋康侯)에 봉하고 흥녕부(興寧府)를 세우게 함.
1207년최충헌의 요청으로 유배자 300여 명을 가까운 곳으로 옮기거나 방면함.
1208년개경 대시(大市) 좌우의 긴 행랑 1,080칸을 다시 짓게 함.
1211년내시 왕준명(王濬明) 등과 함께 최충헌을 제거하고 정권을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함.[6] 이로 인해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어 강화로 유배되었다가[5] 자란도(紫鸞島)로 옮겨짐.
1215년유배지를 교동(喬桐)으로 옮김.
1219년개경으로 돌아옴. 딸 덕창궁주(德昌宮主)가 최충헌의 아들 최성(崔珹, 후의 최우)과 혼인함.
1227년복위를 꾀했다는 무고로 최우(崔瑀, 최충헌의 아들)에 의해 다시 강화로 추방되었다가 교동으로 옮겨짐.
1237년용유도(龍游島)의 법천정사(法天精舍)에서 사망함. 강도(江都)에 매장됨 (능호: 석릉).


4. 가족 관계

희종은 신종과 선정왕후 김씨의 맏아들이다.[5]

희종에게는 두 명의 부인이 있었다. 첫 번째 부인은 태자 시절 맞이한 폐태자비 개성 왕씨였으나, 1197년 최충헌의 동생인 최충수에 의해 폐위되었다.[9] 이는 당시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던 최씨 무신정권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건 중 하나이다. 이후 영인후 왕진의 딸인 성평왕후 장흥 임씨를 왕후로 맞이하였다.

희종의 모든 자녀는 성평왕후 임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슬하에 5남 5녀를 두었다. 장남은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후에 폐위된 창원공 왕지이며, 장녀는 훗날 고종의 왕비가 되는 안혜왕후이다. 다른 자녀로는 시령후 왕위, 경원공 왕조, 원정국사 왕경지, 충명국사 왕각응 등의 아들과 영창공주, 덕창궁주, 가순궁주, 정희궁주 등의 딸이 있다.

4. 1. 부모

'''희종의 부모'''
구분인물생몰년부모비고
아버지신종(神宗)1144년 ~ 1204년인종(仁宗)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
고려 제20대 국왕
어머니선정왕후 김씨(宣靖王后 金氏)
(선정태후)
미상 ~ 1222년강릉공 왕온(江陵公 王溫)
김씨(金氏)


4. 2. 왕비

희종에게는 두 명의 부인이 있었다. 첫 번째 부인은 태자 시절 맞이한 폐태자비 개성 왕씨였으나, 신종 원년(1197년) 최충헌의 동생인 최충수에 의해 폐위되었다.[9] 이후 성평왕후 장흥 임씨를 왕후로 맞이하였다.

'''희종의 왕비'''
구분시호 / 이름생몰년부모비고
폐태자비폐태자비 왕씨
廢太子妃 王氏
미상: 창화후 왕우 (昌化侯 王祐)
[7]: 수안궁주 (壽安宮主)[8]
1197년 최충수에 의해 폐위[9]
왕후성평왕후 임씨
成平王后 任氏
미상 ~ 1247년: 영인후 왕진 (寧仁侯 王稹)
[10]: 연희궁주 (延禧宮主)[11]
희종의 유일한 정비(正妃)


4. 3. 자녀

희종에게는 폐태자비 왕씨와 성평왕후 임씨 두 명의 부인이 있었다. 폐태자비 왕씨에게는 자녀가 없었으며, 모든 자녀는 성평왕후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성평왕후는 5명의 왕자와 5명의 왕녀를 낳았다. 장남은 창원공 왕지이며, 장녀는 훗날 고종의 왕후가 되는 안혜왕후이다. 나머지 자녀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3. 1. 왕자

순서봉호이름생몰년생모비고
1창원공왕지(王祉)1197년 ~ 1262년성평왕후 임씨1204년 태자 책봉, 1211년 폐위
2시령후왕위(王禕)미상성평왕후 임씨
3경원공왕조(王祚)? ~ 1279년성평왕후 임씨
4원정국사왕경지(王鏡智)미상성평왕후 임씨승려
5충명국사왕각응(王覺膺)미상성평왕후 임씨승려


4. 3. 2. 왕녀

안혜왕후(安惠王后)1195년 ~ 1232년성평왕후 임씨고종(高宗)원종의 어머니2영창공주(永昌公主)1210년 ~ 미상성평왕후 임씨단양백(丹陽伯) 왕서(王楈)3덕창궁주
(德昌宮主)1211년 ~ 미상성평왕후 임씨영가후(永嘉侯) 최전(崔瑼)[12]4가순궁주
(嘉順宮主)1212년 ~ 미상성평왕후 임씨신안공 왕전(王恮)원종의 제2비 경창궁주의 어머니5정희궁주
(貞禧宮主)1213년 ~ 미상성평왕후 임씨영안공(永安公) 왕희(王僖)[13]


5. 평가

무신정권 시기, 특히 최충헌이 실권을 장악했을 때 즉위하여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기 어려웠던 왕으로 평가된다. 최충헌을 제거하여 왕권을 회복하려 시도했으나 이는 미수에 그쳤고, 오히려 이 사건으로 인해 최충헌에게 폐위당했다.[5] 이러한 시도는 왕권 강화를 위한 노력으로 볼 수도 있지만, 결국 실패로 돌아가면서 고려 왕실의 권위는 더욱 약화되었다.

6.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null http://www.heritage.[...]
[2] 뉴스 "[Why] [이한우의 역사속의 WHY] 최충헌 몰아내려 했던 고려왕 희종의 운명은?" https://www.chosun.c[...] 2009-12-05
[3] 문서 "신종 3년 음력 4월 15일, 율리우스력 5월 29일"
[4] 문서 "《김중구 묘지명》"
[5] 서적 "《고려사》 권21, 세가 권제21, 희종(熙宗) 7년(1211년) 12월 25일 (계묘)----'''최충헌이 왕을 폐위시키고 왕정을 옹립하다'''"
[6] 서적 "《고려사》 권21, 세가 권제21, 희종(熙宗) 7년(1211년) 12월 22일(경자)----'''최충헌 암살 시도가 실패하다'''----12월 경자, 내시(內侍) [[왕준명]](王濬明) 등이 [[최충헌]](崔忠獻)을 죽이려고 모의했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7] 문서 "[[고려 인종|인종]]의 넷째 딸인 [[영화궁주]]의 아들"
[8] 문서 "[[고려 명종|명종]]과 [[의정왕후|광정태후]]의 둘째 딸로, 희종과는 사촌지간이다."
[9] 서적 "《[[고려사]]》 권129, 열전 권제42, 반역(叛逆), [[최충헌|'''최충헌''']](崔忠獻)----'''최충헌이 최충수를 처단하여 권력을 독점하다'''----이전에 태자([[고려 희종|희종]])가 창화백(昌化伯) 왕우(王祐)의 딸을 비(妃)로 맞았는데, 이때에 와서 [[최충수]](崔忠粹)가 자신의 딸을 태자에 바치려고 왕에게 굳이 청하니, 왕([[고려 신종|신종]])이 좋아하지 않았다.\n\n최충수가 거짓으로 내인(內人)에 말하기를,\n\n“왕께서 이미 태자비를 내보내시지 않았는가?”라고 하였다.\n\n내인이 왕에게 보고하니, 왕이 어쩔 수없이 태자비를 내보내었다. \n\n태자비가 흐느껴 울고 목이 메이기를 스스로 이겨내지 못하니, 왕후([[선정왕후 (신종)|선정왕후]])도 눈물을 흘렸으며 궁중에서 눈물을 흘리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
[10] 문서 "[[고려 인종|인종]]의 셋째 딸인 [[창락궁주]]의 아들"
[11] 문서 "[[고려 명종|명종]]과 [[의정왕후|광정태후]]의 장녀이며, 희종과는 사촌지간이다."
[12] 문서 "[[최충헌]]의 아들"
[13] 문서 "희종의 동생인 [[양양공]] 왕서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