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전등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덕전등록은 1004년 송나라의 도원이 편찬한 불교 서적으로, 고려 팔만대장경에 수록되었으며, 1971년 동국역경원에서 한글대장경으로 출판되었다. 임제종 간화선 수행에서 1700개의 화두를 사용하는데, 이는 경덕전등록에 실린 화두의 수에 따른 것이다. 석가모니를 포함한 과거 칠불부터 달마, 육조 혜능 문하의 승려, 선종 이외의 참선자들의 내용이 담겨 있으며, 짧은 문답, 게송 등이 수록되어 있다. 원오극근의 벽암록은 경덕전등록의 화두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며 교정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덕전등록 | |
|---|---|
| 기본 정보 | |
![]() | |
| 한자 표기 | 景德傳燈錄 |
| 간체자 표기 | 景德传灯录 |
| 병음 | Jǐngdé Chuándēnglù |
| 웨이드-자일스 | Ching-te Ch'uan teng lu |
| 가나 표기 | Keitoku Dentō-roku |
| 저자 | 석도원 |
| 편찬 시기 | 1004년 |
| 시대 | 송나라 |
| 언어 | 한문 |
| 내용 | |
| 주제 | 선종의 역사 |
| 권수 | 30권 |
| 수록 인물 | 1701명 |
| 내용 요약 | 선종의 역사와 불교 승려들의 전기 |
| 영향 | 선 사상의 발전에 큰 영향 |
2. 역사
은 3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국 선종의 대표적인 역사서로 널리 알려져 있다.
2. 1. 한국 불교와의 관계
팔만대장경에 1251년에 완성되어 수록되었다. 1971년 동국역경원에서 한글대장경으로 출판하여 3권의 책으로 판매되었다.2016년 현재 한국 불교의 주류인 임제종 간화선 수행에서 명상의 대상으로 정신집중을 하는 화두는 1700개라고 하는데, 이는 전등록에 실린 화두의 수에 따른 것이다. 전등록에는 고려 최초의 국사인 도봉산 혜거국사의 공안이 실려있다. 혜거국사는 서울 도봉산 망월사에서 오랫동안 머물렀으며, 전등록 제25권에는 청양문익 선사의 법을 이은 고려 도봉산 혜거국사에 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1066년 혜거국사가 망월사를 중건했으며, 도봉산 망월사 근처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2호인 혜거국사 부도가 있다.
3. 내용 구성
《경덕전등록》은 총 3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권 | 내용 |
|---|---|
| 1-3 | 석가모니를 포함한 과거 칠불부터 인도 27조 반야다라까지, 중국 선종 초조 달마부터 5조 홍인까지 |
| 4 | 4조 도신 방계 우두종, 북종 신수 등 남종선 이외 승려 |
| 5 | 6조 혜능 문하: 하택신회, 남악회양, 청원행사, 혜충 국사 등 |
| 6-8 | 남악회양 문하: 마조도일, 백장회해, 서당지장, 염관제안, 귀종지상, 남천보원 등 |
| 9 | 백장회해 문하: 위산령우, 황벽희운, 복주대안 등 |
| 10 | 남천보원 문하: 조주종심 등, 백거이 |
| 11 | 위산령우 문하: 앙산혜적, 향엄지한, 왕경초 등 |
| 12 | 황벽희운 문하: 임제의현, 배휴 등, 앙산혜적 문하 |
| 13 | 남악회양 계통: 풍혈연소, 수산성념 등 |
| 14-16 | 청원행사 문하: 석두희천, 천황도오, 단하천연, 운암담성, 투자대동, 덕산선감, 석상경저, 동산양개, 협산선회 등 |
| 17 | 덕산선감 문하: 엄두전곽, 설봉의존 등, 석상경저 문하 구봉도건 등 |
| 18 | 동산양개 문하: 운거도응, 조산본적 등 |
| 19-20 | 설봉의존 문하: 현사사비, 장경혜릉, 경청도부, 보복종전, 운문문언 등 |
| 21 | 운거도응 문하, 조산본적 문하: 육왕홍통 등 |
| 22 | 현사사비 문하: 나한계침 등 |
| 23 | 설봉의존 3세 |
| 24 | 운문문언 문하 |
| 25-27 | 나한계침 문하: 법안문익, 천태덕소 등 |
| 28 | 선종 이외 참선자: 보지, 부대사, 형산 혜사, 지의, 승가, 만회, 풍간한산·습득, 포대 등, 짧은 문답 |
| 29 | 긴 문답 |
| 30 | 게송, 명(銘)·가(歌)·서(書) |
3. 1. 등장인물
경덕전등록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인물 목록 |
|---|---|
| 과거 칠불 | 비바시, 시키, 비사부, 구류손, 구나함모니, 가섭, 석가 |
| 인도 28조사 | 마하가섭부터 반야다라까지, 나가르주나(서천 14조), 가나제바(서천 15조) 포함 |
| 중국 6조사 | 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 혜능 |
| 기타 선종 인물 | 우두종, 북종 신수, 하택신회, 남악회양, 청원행사, 혜충, 마조도일, 백장회해, 서당지장, 염관제안, 귀종지상, 남천보원, 위산령우, 황벽희운, 복주대안, 조주종심, 백거이, 앙산혜적, 향엄지한, 왕경초, 임제의현, 배휴, 풍혈연소, 수산성념, 석두희천, 천황도오, 단하천연, 운암담성, 투자대동, 덕산선감, 석상경저, 동산양개, 협산선회, 엄두전곽, 설봉의존, 구봉도건, 운거도응, 조산본적, 현사사비, 장경혜릉, 경청도부, 보복종전, 운문문언, 육왕홍통, 나한계침, 법안문익, 천태덕소, 보지, 부대사, 남악혜사, 지의, 승가, 만회, 풍간한산,습득, 포대 |
3. 1. 1. 과거 칠불
- 비파신
- 시키
- 비슈바부
- 가구손
- 가나카무니
- 카샤파
- 샤카무니
3. 1. 2. 인도 28조사
# 마하카샤파# 아난다
# 샤나바사
# 우파굽타
# 드리타카
# 미차카
# 바수미트라
# 부다난디
# 부다미트라
# 파르스바
# 푸냐야사스
# 아슈바고샤
# 카피말라
# 나가르주나
# 아르야데바
# 라훌라타
# 상가난디
# 가야사타
# 쿠모라타
# 자야타
# 바수반두
# 마노리타
# 하클레나
# 아리야심하
# 바시쉬타
# 푸냐미트라
# 프라즈냐타라
# 보리달마
3. 1. 3. 중국 6조사
3. 1. 4. 기타 선종 인물
禪宗중국어 이외의 참선자로는 보지, 부대사, 남악 혜사, 지의, 승가, 만회, 풍간豐干중국어, 한산,습득, 포대 등이 수록되어 있다.3. 2. 내용 형식
景德傳燈錄중국어은 총 3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 | 내용 |
|---|---|
| 1-3 | 석가모니를 포함한 과거 칠불부터 서천(인도) 14조 용수까지, 서천 15조 가나제바부터 서천 27조 반야다라까지, 달마부터 동토(중국) 5조 홍인까지 |
| 4 | 4조 도신의 방계 우두종 및 북종 신수 등 남종 이외의 승려 |
| 5 | 6조 혜능 문하. 하택신회, 남악회양, 청원행사, 혜충 국사 등 |
| 6-8 | 남악회양 문하. 마조도일, 백장회해, 서당지장, 염관제안, 귀종지상, 남천보원 등 |
| 9 | 백장회해 문하. 위산령우, 황벽희운, 복주대안 등 |
| 10 | 남천보원 문하. 조주종심 등 및 백거이 등 |
| 11 | 위산령우 문하. 앙산혜적, 향엄지한, 왕경초 등 |
| 12 | 황벽희운 문하. 임제의현, 배휴 등 및 앙산혜적 문하 |
| 13 | 남악회양 계통. 풍혈연소, 수산성념 등 |
| 14-16 | 청원행사 문하. 석두희천, 천황도오, 단하천연, 운암담성, 투자대동, 덕산선감, 석상경저, 동산양개, 협산선회 등 |
| 17 | 덕산선감 문하. 엄두전곽, 설봉의존 등 및 석상경저 문하 구봉도건 등 |
| 18 | 동산양개 문하. 운거도응, 조산본적 등 |
| 19-20 | 설봉의존 문하. 현사사비, 장경혜릉, 경청도부, 보복종전, 운문문언 등 |
| 21 | 운거도응 문하 및 조산본적 문하. 육왕홍통 등 |
| 22 | 현사사비 문하. 나한계침 등 |
| 23 | 설봉의존의 3세 |
| 24 | 운문문언 문하 |
| 25-27 | 나한계침 문하. 법안문익, 천태덕소 등 |
| 28 | 선종 이외의 참선자. 보지, 부대사, 형산 혜사, 지의, 승가, 만회, 풍간 한산·습득, 포대 및 짧은 문답 |
| 29 | 긴 문답 |
| 30 | 게송, 명(銘)·가(歌)·서(書) |
4. 벽암록과의 비교
원오극근이 1125년에 저술한 벽암록은 임제종의 종문제일록으로 불린다. 운문종 설두중현이 경덕전등록 1700칙 공안 중에서 중요한 100칙을 골라서 송을 붙여 설두송고(雪竇頌古)를 저술했다. 임제종 원오극근이 설두송고에 주석을 달아 벽암록이라고 하였다.
전등록의 1700개 화두가 모두 활구는 아니라서 사구가 상당히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원오극근은 천축 48대, 중국 21대 조사스님이라서, 벽암록의 100개 화두가 좀 더 가치 있다고 평가받는다.
5. 판본
- 동선사본 경덕전등록 고판
- 사부총간 제104권, 제105권
- 고려본 경덕전등록
- 대정신수대장경 제51권 「사전부」3 원판
- 중화대장경 경덕전등록 금판
- 경덕전등록 민국 상녕사본
텍스트에는 여러 판본이 있으며, 그 교정만으로도 하나의 연구 분야를 이룰 수 있고,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 성과가 발표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