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후스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후스탄은 히브리어로 "위대한 뱀" 또는 "위대한 놋"을 의미하며, 성경에 등장하는 청동 뱀을 지칭한다.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뱀에 물렸을 때 모세가 만든 놋뱀을 쳐다보면 살아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히스기야 왕은 종교 개혁을 통해 이 놋뱀을 우상 숭배의 대상으로 여겨 파괴했다. 신약성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매달린 것을 놋뱀에 비유하여 구원의 상징으로 해석하기도 하며, 예술 작품 및 현대적 해석에서도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경의 뱀 - 레비아탄
    레비아탄은 고대 근동 신화의 바다 괴물로, 꼬인 뱀 형상으로 혼돈을 상징하며, 우가릿 신화 로탄과 연관, 성경에서 신의 피조물 및 심판 대상으로, 기독교에서 악마 이미지로, 홉스가 국가를 비유, 현대에 거대한 존재 지칭, 멸종 향유고래 속명 등으로 쓰인다.
  • 성경의 뱀 - 치천사
    기독교 신학에서 치천사는 '타오르는' 또는 '불타는 뱀'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천사 계급의 최상위 존재로서 하나님의 보좌를 지키며 찬양을 드리는 여섯 날개를 가진 천상의 존재이다.
  • 민수기 - 아각
    아각은 아말렉 왕의 칭호이자 고대 이스라엘과 아말렉 민족 간 갈등을 상징하는 성경 속 인물로, 사울에 의해 포로로 잡혔다가 사무엘에게 죽임 당했으며, 에스델기에 등장하는 하만과 관련된 원한의 배경이 되었다.
  • 민수기 - 피람세스
    피-람세스는 람세스 2세가 나일 삼각주에 건설한 고대 이집트 수도로, 지정학적 중요성 덕분에 외교 및 군사적 요충지였으나 나일강 지류 변화로 쇠퇴하여 현재는 칸티르 지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 미디안 - 비느하스
    비느하스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페오르 사건 당시 짐리와 코즈비를 죽여 역병을 막고 야훼로부터 세습 제사장직을 약속받았으며, 미디안 전투를 이끌고 제단 건축 오해 사건 해결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유대교 문화에서 위선자를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되거나 엘리야와 동일시되기도 하며 가톨릭교회와 동방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숭배받는다.
  • 미디안 - 시나이산
    시나이산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장소로 여겨지는, 알칼리성 화강암과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북쪽에는 성 카타리나 수도원이, 정상에는 모스크와 예배당이 있다.
네후스탄
성경 속 놋 뱀
구스타브 도레의 '모세와 놋 뱀'
구스타브 도레의 '모세와 놋 뱀'
관련 성경 구절민수기 21장 4-9절
관련 성경 구절열왕기하 18장 4절
관련 성경 구절요한복음 3장 14절
관련 성경 구절지혜서 16장 5-14절
히브리어 명칭
로마자 표기Nəḥuštān
국제 음성 기호/nəħuʃtaːn/

2. 어원

네후스탄은 히브리어로 "뱀"을 뜻하는 נָחָשׁ|나하쉬he와 "놋"을 뜻하는 נְחשֶׁת|느호쉣he의 언어유희로, "큰 뱀" 또는 "큰 놋"을 의미할 수 있다.[2]

영어 표준 버전 등 대부분의 현대 영어 성경 번역본에서는 뱀을 "청동"으로 언급하지만, 킹 제임스 성경 등에서는 "놋쇠"로 번역한다. 열왕기하 18장 4절은 킹 제임스 성경에서 "놋쇠"로 번역되었다.[3] 두에-레임스 1899년판도 "놋쇠"로 되어 있다. 유진 피터슨은 성경을 의역한 더 메시지 (2002)에서 "불타는 구리 뱀"을 선택했다.[4]

3. 성경 속 네후스탄

민수기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하나님과 모세를 원망하자 하나님께서는 불뱀(독사)을 보내 벌하셨다. 백성이 회개하고 모세가 중보기도를 하자,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청동 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게 하시고, 그것을 쳐다보는 사람은 살 것이라고 말씀하셨다.[16]

열왕기 하권에 따르면 유다 왕국의 왕 히스기야는 종교 개혁을 단행하면서 우상 숭배의 대상이 된 네후스탄을 파괴했다.[16] 히스기야는 네후스탄을 "느후스단", 즉 단순한 놋 조각이라고 폄하했다.

3. 1. 구약성경

민수기 21장 4-9절에 따르면,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하나님과 모세를 원망하자 하나님께서는 불뱀들을 보내 백성을 벌하셨다. 백성이 회개하고 모세가 중보기도를 하자,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놋으로 뱀을 만들어 장대 위에 달게 하시고, 그것을 쳐다보는 사람은 살 것이라고 말씀하셨다.נְחֻשְׁתָּן|느후스탄he

열왕기하 18장 4절에는 유다 왕국의 왕 히스기야가 종교 개혁을 단행하면서 우상 숭배의 대상이 된 네후스탄을 파괴한 기록이 있다. 히스기야는 네후스탄을 "느후스단", 즉 단순한 놋 조각이라고 폄하하며 우상 숭배를 근절하고자 했다.[16]

3. 2. 신약성경

요한 복음서에서 예수사람의 아들이 들리는 것과 모세가 백성을 치유하기 위해 뱀을 든 행위를 비교하면서 "모세가 광야에서 뱀을 든 것 같이 인자도 들려야 하리니"(요한복음 3:14)라고 말했다.[18]

깃대에 감긴 뱀. 깃대라고는 하지만, 십자가 형태를 하고 있다.


뱀은 기독교인에게 치유와 죄를 대신한 그리스도의 상징(예형)이자, 탈피를 통해 부활을 상징하기도 한다. 뱀은 불사, 치유, 죄로부터의 치유를 상징하며, 실낙원의 뱀과 같은 원죄만을 상징하는 것은 아니다.[38] 신약성경의 요한복음 3:14에서 니고데모와 예수의 대화 속에서 이 청동 뱀이 비유로 사용된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예수는 쳐들린 청동 뱀처럼 "인자도 들려야 한다"라고 말했다.

3. 3. 몰몬경

몰몬경에서는 리하이의 아들 니파이[20][21], 앨마[22], 그리고 앨마의 증손자 니파이[23]가 이 사건을 언급한다. 니파이는 많은 이스라엘 백성이 그 길이 단순하고 쉬웠기 때문에 멸망했다고 말하며, 앨마는 앤티오넘 백성들에게 많은 이스라엘 백성이 놋뱀을 쳐다볼 믿음이 부족하여 죽었다고 말한다. 앨마는 놋뱀을 그리스도의 모형에 비유하며 백성들에게 그리스도를 바라보고 영적으로 살라고 권고했으며, 이러한 주제는 힐라맨서에서 니파이에 의해 반복되었다.

4. 뱀 숭배와 네후스탄

뱀 숭배는 청동기 시대 가나안에서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고고학자들은 가나안의 여러 이스라엘 이전 도시에서 청동기 시대의 뱀 숭배 물을 발견했는데, 메기도에서 두 개,[5] 게제르에서 하나,[6] 텔 하솔의 H구역 사원 성소에서 하나,[7] 세겜에서 두 개가 발견되었다.[8] 숭배 뱀 이미지는 가나안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바빌론수호신으로서 마르두크의 에사길라 사원을 포함하여 주변 지역에도 나타났으며, 이곳에서는 두 쌍의 청동 뱀이 사원 각 입구 옆에 세워졌다.[9]

로웰 K. 핸디에 따르면, 네후스탄은 예루살렘 성전 안에서 뱀에 물림 치료를 위한 신의 상징이었을 수 있다.[10]

모세가 네게브 사막에 세운 놋뱀의 현대 기념비(2018년), 성 모세 교회 앞, 느보산에 위치해 있다.


H. H. 롤리는 히스기야 시대에 알려진 네후스탄이 파괴될 당시 야훼의 상징으로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야훼교에서 기원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26] 대신 롤리는 히스기야 왕이 파괴한 놋뱀이 가나안 종교와 관련된 뱀 숭배의 신성한 이스라엘 이전의 상징이었으며, 이스라엘이 예루살렘을 점령한 후 그것을 받아들였다고 이론화했다.[27] W.W.G. 보디신 역시 가나안 놋뱀이 이스라엘이 예루살렘에 정착한 후인 기원전 850~750년 사이에 이스라엘에 의해 받아들여졌다고 믿었다.[28]

이집트학자 헨리 홀은 히스기야에 의해 파괴된 네후스탄이 야훼와 관련이 없다는 이론을 지지하며, 그 대신 그것이 이스라엘 조상들이 이집트에서 가져온 고대 뱀 형상이라고 제안했다.[29] 이 이론은 뱀 물림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뱀의 형상을 사용하는 고대 이집트 종교의 표준적인 관행을 인정함으로써 뒷받침되며, 이는 공감 주술의 한 형태였다.[30]

탈무드에서 뱀은 참소와 명예훼손(창세기 3:4–5)과 같은 악을 상징한다. 미드라쉬는 불뱀의 재앙에서 악한 혀의 죄에 대한 처벌을 찾는다(민수기 21:5). 하나님은 "악한 혀'로 처음 죄를 지은 뱀이 그 뱀의 본보기를 통해 이득을 얻지 못한 동일한 죄를 범한 자들에게 벌을 내리게 하라."라고 말씀하셨다.

이 경우 불평 중 하나는 만나에 대한 불만이었다. 만나가 그것을 먹는 사람에게 원하는 어떤 맛이든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Shemot Rabbah 25:3), 뱀에게는 모든 것이 먼지의 맛을 가지고 있었으니, "네가 평생토록 먼지를 먹으리라"라는 말씀에 따른 것이다(창세기 3:14). 그러므로 어떤 맛이든 제공하는 음식을 혐오하는 자들이 모든 것이 같은 맛을 가진 그 피조물을 통해 벌을 받는 것은 매우 적절했다(Tan., ed. Buber, Ḥuḳḳat, xlv. [337]; Midrash R. Num. xix. 22).

5. 예술 작품 속 네후스탄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당 천장에 놋뱀을 만들어 뱀의 재앙으로부터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하는 장면을 벽화로 그렸다.[35] 요르단느보산에는 이탈리아 예술가 조반니 판토니가 제작한 놋뱀 기념비가 있다.[35]

6. 현대적 해석

모세청동 뱀을 만든 사건은 기원전 13세기경 유대인들에게 뱀이 숭배 대상이었음을 보여준다. 유다 왕국의 히스기야 왕 시대에 이 청동 뱀이 파괴되었지만, 기원전 2세기에 만들어진 야훼 부조에는 야훼의 몸 일부가 뱀으로 표현되어 있어, 뱀 신앙이 남아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37]

뱀은 기독교인에게 치유와 죄를 대신한 그리스도의 상징(예형)이자, 탈피를 통해 부활의 상징이기도 하다. 뱀은 불사, 치유, 죄로부터의 구원 등을 상징하며, 실낙원의 뱀과 같은 원죄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38] 신약성경의 요한복음 3장 14절에서는 니고데모와 예수의 대화에서 청동 뱀이 비유로 사용되었다. 예수는 쳐들린 청동 뱀처럼 "인자도 들려야 한다"고 말했다.

정교회 주교가 사용하는 권장은 이 청동 뱀을 본뜬 지팡이이다. 따라서 정교회에서는 예수의 부활뿐만 아니라 권위의 상징이기도 하다.

영지주의 분파 중 하나인 Ophites|오피스파영어(오피스는 그리스어로 '뱀'이라는 뜻)는 우로보로스 뱀을 상징으로 삼았다.[39]

7. 소설 속 네후스탄

팀 라헤이와 그레고리 S. 디날로가 청동 뱀을 소재로 하여 쓴 소설 Babylon rising|비보 - 청동 뱀을 찾아라영어미국에서 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 이 소설은 일본에서 쿠테 나리유키의 번역으로 2005년 5월 후소샤에서 간행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II Kings 18:4 https://www.sefaria.[...]
[2] 웹사이트 Nehushtan Definition and Meaning – Bible Dictionary https://www.biblestu[...] 2019-09-09
[3] 웹사이트 2 Kings 18:4 https://www.biblegat[...] 2015-09-15
[4] 웹사이트 Numbers 21:9 https://www.biblegat[...] 2015-09-15
[5] 서적 Megiddo II: Plates
[6] 서적 Gezer II
[7] 서적 Hazor III-IV: Plates
[8] 문서
[9] 논문 The Bronze Serpent in the Israelite Cult https://dx.doi.org/1[...] 1968-09-01
[10] 서적 The Triumph of Elohim: From Yahwisms to Judaism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19-09-09
[11] harvp
[12] harvnb
[13] 간행물 The Mystery of the Nechushtan Biblical Archaeology Review 2007-03
[14] 서적 The Bronze Serpent in the Israelite Cult The Bronze Serpent in the Israelite Cult JOBL, 87
[15] 웹사이트 2 Kings 18:4 – Bible Gateway https://www.biblegat[...] 2019-09-09
[16] 웹사이트 Nehushtan Definition and Meaning – Bible Dictionary https://www.biblestu[...] 2019-09-09
[17] 문서 Jewish Encyclopedia, s.v. "Nehushtan" 1939-06
[18] harvnb
[19] 웹사이트 The Mysteries of the Brazen Serpent https://www.spurgeon[...] 1857
[20] 문서 2 Nephi 25:20
[21] 문서 1 Nephi 17:41
[22] 문서 Alma 33:19–23
[23] 웹사이트 It Is Better to Look Up – Carl B. Cook https://www.churchof[...] 2018-02-16
[24] 웹사이트 Brazen Serpent http://jewishencyclo[...] 2019-09-09
[25] 웹사이트 Hezekiah http://jewishencyclo[...] 2019-09-09
[26] 논문 Zadok and Nehushtan https://www.jstor.or[...] 1939-06
[27] 논문 Zadok and Nehushtan https://www.jstor.or[...] 1939
[28] 논문 The Bronze Serpent in the Israelite Cult https://www.jstor.or[...] 1968
[29] 서적 The Ancient History of the Near East: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Battle of Salamis Methuen & Co. Ltd.
[30] 논문 The Bronze Serpent in the Israelite Cult https://www.jstor.or[...] 1968-09
[31] 논문 Zadok and Nehushtan https://www.jstor.or[...] 1939
[32] 논문 Zadok and Nehushtan https://www.jstor.or[...] 1939
[33] 서적 Encyclopædia of Religion and Ethics C. Scribner's Sons
[34] 논문 Zadok and Nehushtan https://www.jstor.or[...] 1939
[35] 웹사이트 Brazen Serpent monument « See The Holy Land http://www.seethehol[...] 2019-09-09
[36] 문서 Nehushtan
[37] 서적 龍の起源
[38] 서적 蛇儀礼
[39] 서적 龍の起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