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쓰나미 가즈요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쓰나미 가즈요시는 1988년부터 2009년까지 주니치 드래건스에서 선수 생활을 한 일본의 야구 선수이다. 유격수, 2루수, 3루수, 좌익수 등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며 신인왕, 골든 글러브 상 5회, 베스트 나인 2회 등을 수상했다. 일본 프로 야구 통산 487개의 2루타로 역대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9년 은퇴 후에는 해설자와 타격 코치를 거쳐 2022년부터 주니치 드래건스 감독을 맡았으나 3년 연속 팀을 최하위로 이끌고 사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프로 야구 2루수 - 후쿠하라 미네오
후쿠하라 미네오는 닛폰 통운 우라와 사회인 야구 선수에서 한큐 브레이브스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하며 1984년 퍼시픽 리그 우승과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은퇴 후에는 일본과 한국 프로야구 구단에서 20년 이상 코치,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했다. - 일본 프로 야구 2루수 - 가타오카 야스유키
가타오카 야스유키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세이부 라이온스,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4년 연속 도루왕과 최다 안타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현재는 야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2024년부터 자이언츠 U15 주니어 유스 감독을 맡을 예정이다. - 일본 프로 야구 3루수 - 미즈하라 시게루
미즈하라 시게루는 일본 프로야구의 전설적인 선수이자 감독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주전 선수와 3개 구단 감독을 역임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도 활동하며 한국 프로야구 발전에도 기여했다. - 일본 프로 야구 3루수 - 맷 데이비드슨
맷 데이비드슨은 미국, 일본 프로 야구를 거쳐 2024년 KBO 리그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여 타율 0.306, 46홈런, 119타점을 기록하며 KBO 홈런상을 수상한 야구 선수이다. - 일본 프로 야구 유격수 - 세이케 마사카즈
세이케 마사카즈는 한신, 세이부, 야쿠르트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세이부 시절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여러 팀에서 코치 및 감독을 거쳐 현재 하나마우이 야구부 코치로 활동 중인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지도자이다. - 일본 프로 야구 유격수 - 요시다 요시오
요시다 요시오는 일본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한신 타이거스의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수비와 공격 능력을 인정받아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고, 은퇴 후에는 한신 타이거스 감독을 맡아 일본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으며 프랑스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도 활동했다.
다쓰나미 가즈요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 | |
포지션 | 내야수/감독 |
타석 | 좌타 |
투구 | 우투 |
생년월일 | 1969년 8월 19일 |
출생지 | 오사카부 셋쓰시 |
데뷔 리그 | NPB |
데뷔일 | 1988년 4월 8일 |
데뷔 팀 | 주니치 드래건스 |
최종 리그 | NPB |
최종일 | 2009년 10월 24일 |
최종 팀 | 주니치 드래건스 |
타격 성적 (2009 시즌 종료 시점) | |
타율 | .285 |
안타 | 2,480 |
홈런 | 171 |
타점 | 1,037 |
선수 경력 | |
소속 팀 | 주니치 드래건스 (1988년 ~ 2009년) |
코치/감독 경력 | |
소속 팀 | 주니치 드래건스 (2008년 ~ 2009년, 2022년 ~ 2024년) |
수상 | |
주요 수상 | 일본 시리즈 우승 (2007년) 센트럴 리그 신인왕 (1988년) 2× 베스트 나인 (2루수: 1996년, 3루수: 2004년) 5×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유격수: 1988년, 2루수: 1995년-1997년, 3루수: 2003년) 11× NPB 올스타 (1988년, 1991년, 1994년-1998년, 2000년, 2002년-2004년) 2× 최다 득점 (1991년, 1994년) 최다 출루 (1996년) 사이클링 히트 (1997년 8월 22일 vs 한신 타이거스 @ 나고야 돔) |
명예의 전당 | |
종류 |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
유형 | 일본 |
헌액 년도 | 2019년 |
득표율 | 77.4% (371표 중 287표) |
헌액 방식 | 경기자 부문 |
등번호 | |
등번호 | 73 |
통산 기록 (주니치 드래건스) | |
통산 연수 | 22년 (아라키 마사히로와 공동 구단 역사상 2위, 야수 최장 기록, 1위는 야마모토 마사의 29년) |
주요 기록 | 통산 경기 출장수: 2586 (구단 역사상 최다) 통산 안타: 2480 (구단 역사상 최다) 통산 타점: 1037 (구단 역사상 최다) 통산 타석: 10033 (구단 역사상 최다) |
2000안타 달성 선수 (주니치 토박이) | 다카기 모리미치, 야자와 겐이치, 다쓰나미, 아라키 |
2. 선수 경력
다쓰나미 가즈요시는 NPB 역대 최다 2루타 기록(487개) 보유자이며, 메이큐카이(명구회) 회원이다.[6] 통산 2480안타(NPB 역대 8위)를 기록했다.[9]
1987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난카이 호크스와 주니치 드래건스가 1위로 경합했고, 추첨 결과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이끄는 주니치가 교섭권을 획득하여 입단했다.
(2009년 7월 16일,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프로 선수 시절(주니치 드래건스, 1988년 ~ 2009년) 동안 주니치의 중심 선수로 활약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기록을 남겼다.
- 1988년: 신인왕 및 골든 글러브 상 수상 (고졸 신인 야수 최초)[23]
- 1995년: 2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 수상
- 1996년: 베스트 나인 선정
- 1997년: 8월 22일 대 한신전 사이클 안타 달성
- 2003년: 3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 수상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초 3개 포지션(유격수, 2루수, 3루수) 수상)[60]
- 2004년: 베스트 나인 선정 (8년 만)
- 2005년: 통산 450 2루타 달성 (일본 프로 야구 신기록)[81]
2009년 시즌 후 은퇴했으며, 통산 타율 0.285, 171홈런, 1,037타점을 기록했다. 2019년 1월 15일,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3]
2. 1. 프로 입단 전
1969년 오사카부에서 태어나 셋쓰시에서 성장했다. 원래는 우타자였지만, 어릴 적 전직 실업 야구 선수였던 아버지의 권유로 좌타자로 교정되었다.[15] 어린 시절에는 오 사다하루를 동경했다.셋쓰 시립 토리카이 초등학교 2학년 때 부모님의 이혼 후, 어머니와 두 살 터울의 형과 함께 자랐다.[16] 초등학교 4학년 때 형의 권유로 경식 소년 야구팀 "이바라키 나니와 보이즈"에 가입하여 야구를 시작했다.[15] 초등학교 6학년 때 팔꿈치 부상으로 투수에서 야수로 전향했으며, 동기인 하시모토 기요시가 대신 에이스가 되었다.
1982년 셋쓰 시립 제2중학교에 진학했고, 3학년 때부터 셋쓰 시립 제5중학교로 전학하여 해당 학교를 졸업했다.[15]
1985년 PL학원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동기로는 하시모토 기요시, 가타오카 아츠시, 노무라 히로키, 구와타 이즈미 등이 있었다. 2학년 선배인 구와타 마스미와 야구부 합숙소에서 같은 방을 썼다. 1986년 제58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 6번 타자 겸 유격수로 출전했지만, 첫 경기에서 패배했다.
1987년 주장으로서 제59회 선발 고시엔 대회와 제69회 하계 고시엔 선수권 대회에서 춘하 연패를 달성했다. 하계 고시엔에서는 3번 타자 겸 유격수로 21타수 9안타, 2홈런, 8타점을 기록하며 우승에 기여했다.
1987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난카이 호크스와 주니치 드래건스가 1위로 경합했고, 추첨 결과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이끄는 주니치가 교섭권을 획득하여 입단하게 되었다. 주니치 입단이 결정된 직후, 스기우라 타다시에게 사과의 편지를 썼다. 등번호는 3번을 선택했다.
2. 2. 프로 선수 시절 (주니치 드래건스, 1988년 ~ 2009년)
1987년에 PL학원 고등학교 야구부 주장을 맡아 고시엔(제59회 선발 고등학교 야구, 제69회 전국 고교 야구)에서 춘하 연패를 달성하고, 같은 해 드래프트 회의에서 주니치 드래건스로부터 1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13] 프로 1년차인 1988년에 신인왕 및 골든 글러브 상 (고졸 신인으로는 일본 프로 야구〈NPB〉사상 최초)을 획득[13]했고, 그 후에도 프로 22년째인 2009년까지[5] 주니치의 중심 선수로 활약[13]했다. NPB 사상 최다인 통산 487 2루타[6]와 통산 2480안타 (NPB 역대 8위)를 기록했다.[9]; 1988년
: 헤드코치 시마노 이쿠오와 종합 코치 키마타 타츠히코는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춘계 캠프를 1군에서 시작하여 2번 유격수로 발탁했다. 전년도 베스트 나인 유격수 우노 마사루를 2루수로 컨버트하면서까지 발탁한 것이었다.[18]
: 개막전에서도 선발 "2번 유격수"로 풀이닝 출장(고졸 신인으로서는 구단 사상 유일)했다.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의 개막 투수 카케하타 미츠노리로부터 6회말 3번째 타석에서 첫 안타인 2루타를 쳤다. 고졸 신인 야수의 개막전 안타는 야노우라 구니미츠(긴테쓰) 이후 28년 만에, 사상 3번째 쾌거였다. 그 후, 4번 오치아이 히로미츠의 적시타로 귀루하여 첫 득점도 기록했다(같은 경기에서 드래건스의 유일한 득점).
: 동년 올스타전에는 유격수 부문에서 팬 투표로 선출[21]되어, 전 세의 지휘를 맡은 오 감독으로부터 3경기 연속 출전 기회를 얻었다.
: 레귤러 시즌은 110경기에 출장하여 규정 타석에 정확히 도달, 리그 최하위 타율.223을 기록했지만 22도루・21희생타를 기록하여 주니치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일본 시리즈에는 전 경기 선발 출전했다. 수비와 주루 기술을 높이 평가받아 신인왕을 수상했다. 고졸 1년차 야수의 수상은 현재까지 다쓰나미가 마지막이다. 또한 고졸 신인으로서는 첫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23]
; 1989년
: 전년 춘계에 다쳤던 오른쪽 어깨 부상의 영향으로 개막을 2군에서 맞이하여, 결국 시즌 30경기 출전에 그쳤다.
; 1990년
: 4월 7일 다이요와의 개막전(나고야 구장)에서는 1타석에서 홈런을 쳤다.[24] 같은 해는 진통제를 계속 복용하면서 경기에 출전했고, 유격수 포지션에서 128경기에 출전했다. 주로 리드오프 맨으로 활약하여 타율 .303, 155안타를 기록하며 부활했다.
; 1991년
: 후지타 모토시의 발탁으로 올스타전에 본인 첫 감독 추천으로 출전했다.
; 1992년
: 이 해 취임한 다카기 모리미치 감독에게 스스로 간청하여 유격수를 타네다 히토시 등에게 양보하고 2루수로 전향했다.
; 1993년
: 시즌 수비율.997을 남기고, 기록을 지속한 채 시즌을 마쳤다.
; 1994년
: 10월 8일, 자이언츠와 동률 선두로 맞이한 우승 결정전(10.8 결전)에서는 8회말 선두 타자로서 구와타 마스미로부터 3루 내야 안타를 쳤을 때 1루에 헤드 슬라이딩하여 왼쪽 어깨를 탈구, 부상으로 퇴장했다.
; 1995년
: 6월 11일 자이언츠전에서 본인 첫 번째이자 끝내기 홈런을 쳤다.[30] 팀이 부진한 가운데 분투했고, 본인으로서는 2번째이자 2루수로는 첫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이 해부터 3년 연속 2루수 부문에서 수상했다.
; 1996년
: 이 해 올스타전에 2루수 부문에서 팬 투표 선출. 이 해는 자기 최고 .323의 타율을 남겼지만, 수위 타자 획득은 이루지 못했다. 이 해, 본인 첫 베스트 나인에 선출된다.
; 1997년
: 8월 22일 대 한신전에서는 사이클 안타를 달성했다.
; 1998년
: 내야 포지션에 쿠지 테루요시와 이종범이 가입한 것도 있어 좌익수로 전향했다. 6월 13일 요코하마전에서는 토카네 나오시로부터 나고야 돔 첫 만루 홈런을 쳤다.
; 1999년
: 이종범과 교체되듯이 내야수로 복귀하여 개막전・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5번・2루수"로 선발 출전, 6회말에 네이선 민치로부터 배트를 부러뜨리면서도 라이트 앞에 승리 타점이 되는 적시타를 쳤다.[33]
; 2000년
: 4월 13일 히로시마전(나고야 돔)에서 8회말에 다카하시 켄으로부터 통산 1500안타를 기록한다.[36] 이 해는 4년 만에 타율 3할에 도달했다.
; 2001년
: 12월부터 일본 프로 야구 선수회 이사장에 취임했다. 노동 조합 일본 프로 야구 선수회 부회장도 겸임하여, 선수의 지위 향상과 야구 보급 활동에도 힘썼다.
; 2002년
: 5월 21일 야쿠르트전(나고야 돔)에서는 동점 9회말 무사 만루 상황에서 이가라시 료타로부터 본인 첫 번째 끝내기 만루 홈런을 쳤다.[42][43] 6월은 월간 타율 .342[44], 월간 18타점(리그 1위), 득점권 타율 .522[45]를 기록하며 맹타를 날려[46] 본인 첫 번째 월간 MVP를 수상했다.
; 2003년
: 7월 5일 대 자이언츠전(도쿄 돔)에서 8회초에 하야시 마사노리로부터 우전 안타를 쳐 일본 프로 야구 사상 30번째 통산 2000안타를 달성[58]하여 일본 프로 야구 명구회 입회 기자 회견을 가졌다.
: 같은 해, 3루수로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하고,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첫 번째로 3개의 포지션(유격수・2루수・3루수)에서 수상하게 되었다.[60]
; 2004년
: 4월 4일 히로시마전에서는 연장 11회말 2사 1・2루 상황에서 우익선에 끝내기 적시타를 쳤다.[64]
: 5월은 17경기 연속 안타[69], 35안타, 타율 .412(모두 리그 톱)[71], 월간 MVP를 획득했다. 6월은 전달보다 높은 37안타, 타율 .430(모두 리그 톱)의 성적을 남겨, 2개월 연속으로 월간 MVP를 획득했다.[73]
: 일본 시리즈 제2전(나고야 돔)에서는 7회말, 마츠자카 다이스케로부터 동점 3점 홈런을 쳐[78] 승리에 기여했지만, 같은 시리즈는 3승 4패로 아쉽게 패했다. 프로 야구 재편 문제에서 구계 제일의 실력자로 자이언츠 오너 퇴임 직전 와타나베 츠네오의 "고작 선수가..." 발언을 선수회 부회장으로서 비판했다. 8년 만에 베스트 나인에 선출되었다.
; 2005년
: 5월 19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삿포로 돔)에서 3회초에 카네무라 아키라로부터 일본 프로 야구 신기록인 통산 450 2루타를 쳤다.[81] 6월 4일 닛폰햄전(나고야 돔) 1회말, 쇼다 쥬로부터 다카기 모리미치의 구단 기록을 넘는 2275개째 안타를 좌전으로 쳤다.[82]
; 2006년
: 4월 7일 대 자이언츠전(나고야 돔)에서는 동점 9회말 1사 만루 상황에서 우에하라 코지로부터 끝내기 만루 홈런을 쳤다.[98][99]
2. 3. 은퇴 후
2010년 1월 6일, 나고야 돔에서 "다쓰나미 선수에게 감사하는 모임"이 개최되었다. 2월 27일에는 롯데와의 오픈전에서 은퇴 기념 경기를 가졌다.[5] 주니치 선수로 오픈전에서 은퇴 경기가 열린 것은 2002년 이마나카 신지 이후이며, 다쓰나미 다음은 2014년 야마자키 다케시였다. 같은 해 현역에서 은퇴한 아카호시 노리히로, 시미즈 다카유키와 함께 니혼 TV(닛테레)의 프로 야구 중계 해설자가 되었다. 주로 주니치 경기를 담당했지만, 주쿄 TV(나고야에 있는 닛테레 계열국)는 나고야 돔의 주니치 주최 경기의 방영권이 없었다. 닛테레 제작의 요미우리전에서도 주니치와 관련 없는 몇몇 경기에 출연했다. CBC 텔레비전, CBC 라디오, 후지 TV, 도카이 TV, TV 아이치의 중계에도 게스트 해설자로서 부정기적으로 출연했다. 가타오카 아쓰시의 후임으로 홋카이도 분카 방송의 "스포츠 와이드 F의 불꽃" 레귤러 해설자로도 기용되었다.[14]2011년 4월부터 노무라 히로키와 함께 후지 TV 『스포츠!』의 레귤러 야구 해설자를 맡았다. 2012년 4월 28일에는 도카이 TV 프로 야구 로컬 중계에서 노무라와 처음으로 페어로 야구 중계 해설을 맡았다.
2012년 10월 10일,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타격 코치로 취임했고,[2] 11월 13일 등번호 "'''81'''"번이 발표되었다.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타격 코치를 역임했다.
2013년 오프 시즌에는 다카기 모리미치 감독 퇴임에 따라 주니치의 차기 감독 후보 중 한 명으로 거론되었지만, 타니시게 모토노부가 선수 겸임 감독으로 취임하면서 실현되지 않았다. 다쓰나미는 일의 중심을 나고야에서 도쿄로 옮기려 했으나 부인의 반대로 단념했다. TV 해설 등으로 나고야 돔을 방문했을 때 주니치 젊은 선수들에게 조언을 보내는 모습이 보여 팀 안팎에서 다쓰나미 감독 대망론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쓰나미는 저서를 통해 "언젠가 다시 주니치 드래곤즈 유니폼을 입고 지도자로서 그라운드에 서고 싶다. 그러기 위해 지금부터 여러 가지를 생각하고 노력하고 싶다", "나는 (지도자가 된다면) 호시노 감독처럼 경기 시작과 함께 다른 사람이 될 수 있을까"라며 주니치 감독을 맡을 의욕을 보였다.
2018년 가을, 요미우리 감독으로 복귀하는 하라 다쓰노리에게서 코치 취임 요청을 받았지만 고사했다.
2019년 야구 전당에 입성했다(경기자 표창).[13] 2020년 11월 주니치 구단의 의뢰로 2021년 봄철 캠프에서 임시 코치를 맡았다.
2021년 10월 29일, 주니치 오시마 우이치로 구단주로부터 그해 퇴임한 요다 고 감독 후임 요청을 수락했다.[10][11] 2022년부터 주니치 감독을 맡게 되었다.[2]
3. 감독 경력
2021년 10월 13일, 다쓰나미는 2022년 NPB 시즌을 앞두고 주니치 드래곤스의 감독 제안을 받았다.[2] 그러나 2024년 9월 18일, 팀의 부진한 성적 때문에 시즌 종료 후 사임한다고 발표했다.[3]
3. 1. 주니치 드래건스 (2022년 ~ 현재)
2021년 10월 13일, 주니치 드래건스는 다쓰나미를 NPB 2022년 시즌 감독으로 선임했다.[2] 2022년 2월 26일 한신 타이거스와의 시범 경기에서 감독 데뷔전을 치렀고,[156] 3월 5일 야쿠르트와의 시범 경기에서는 4389일 만에 홈구장에서 유니폼을 입었다.[157]그러나 2022년 시즌, 타격진 부진과[158] 5월부터 6월 사이 6연패 이상을 세 번이나 기록하며[159][160][161] 최하위로 시즌을 마감했다.[162][163] 2023년에도 최하위에 머물렀다.
2024년 9월 18일, 한신전 패배 후 다쓰나미는 사임을 표명했다.[164] 시즌 최종전까지 센트럴 리그 최하위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니치는 DeNA와의 최종전에서 무승부 이상이면 5위가 될 수 있었다.[165] 그러나 2022년 오프 시즌 트레이드로 내보낸 교다 요타에게 결승타를 허용하고 타선 침묵으로 시즌 14번째 완봉패를 당하며 최하위가 확정되었다. 다쓰나미는 감독 3년 동안 모두 최하위라는 NPB 사상 4번째 신인 감독 3년 연속 최하위, 구단 역사상 최초 3년 연속 최하위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남겼다.[166][167]
다쓰나미는 "3년간 결과를 내지 못해 죄송하다. 팀을 강하게 만들기 위해 개혁을 추진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하고 팀을 떠나게 되어 유감이다. 내년 이후 새로운 체제에 응원을 부탁드린다."라고 말하며 등번호 73번에 작별을 고했다.[168]
연도 | 구단 | 순위 | 경기 | 승리 | 패전 | 무승부 | 승률 | 게임차 | 홈런 | 타율 | 방어율 | 연령 | ||
---|---|---|---|---|---|---|---|---|---|---|---|---|---|---|
2022 | 주니치 | 6위 | 143 | 66 | 75 | 2 | .468 | 15.0 | 62 | .247 | 3.28 | 53세 | ||
2023 | 6위 | 143 | 56 | 82 | 5 | .406 | 29.0 | 71 | .234 | 3.08 | 54세 | |||
2024 | 6위 | 143 | 60 | 75 | 8 | .444 | 16.5 | 68 | .243 | 2.99 | 55세 | |||
통산: 3년 | 429 | 182 | 232 | 15 | .440 | B클래스 3회 |
4. 상세 정보
다쓰나미 가즈요시는 통산 2480개의 안타와 487개의 2루타(일본 기록)를 기록했다.[194] 1988년 신인왕을 수상했고, 베스트 나인 2회(1996년, 2004년), 골든 글러브상 5회(1988년, 1995년 ~ 1997년, 2003년)를 수상했다.[227][228] 특히 골든 글러브상은 3개 포지션(유격수, 2루수, 3루수)에서 수상하며 최다 기록을 세웠다.[228] 2019년에는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주요 개인 기록
- 통산 2루타: 487개 (일본 기록)[194]
- 시즌 30 2루타 이상: 7회
- 끝내기 만루 홈런: 2회 (타이 기록)[194]
- 1경기 5안타: 5회 (타이 기록)[194]
- 사이클링 히트: 1997년 8월 22일, 대 한신 타이거스 전 (나고야 돔) (역대 47번째)
수상 및 타이틀 경력
- 신인왕 (1988년)
- 베스트 나인: 2회 (1996년, 2004년)[227]
- 골든 글러브상: 5회 (1988년, 1995년 ~ 1997년, 2003년)[228]
- 월간 MVP: 3회 (2002년 6월, 2004년 5월, 2004년 6월)
- 우수 JCB·MEP상: 3회 (1991년, 1992년, 2000년)
- JA 전농 Go·Go상: 1회 (최다 2·3루타상: 2001년 8월)
-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 (2019년)
개인 기록 상세
연도 | 기록 | 내용 | 비고 |
---|---|---|---|
1988년 4월 8일 | 첫 출장 · 첫 선발 출장 | 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1차전 (나고야 구장), 2번 · 유격수로 선발 출장 | |
1988년 4월 8일 | 첫 안타 | 6회말에 가케하타 미쓰노리로부터 우익선상 2루타 | |
1988년 4월 17일 | 첫 홈런 · 첫 타점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3차전(나고야 구장), 6회말에 가토 하지메로부터 | |
1988년 5월 8일 | 첫 도루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5차전(도쿄 돔) | |
1996년 6월 2일 | 1000안타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7차전 (도쿄 돔), 8회초에 사이토 마사키로부터 좌전 안타 ※역대 183번째 | |
1996년 9월 21일 | 1000경기 출장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4차전 (도쿄 돔), 3번 · 2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338번째 | |
1998년 8월 19일 | 100홈런 |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19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3회초에 기타가와 테츠야로부터 우월 솔로 ※역대 199번째 | |
2000년 4월 7일 | 300 2루타 |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7회초에 가와하라 류이치로부터 좌중간 2루타 ※역대 36번째 | |
2000년 4월 13일 | 1500안타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3차전 (나고야 돔), 8회말에 다카하시 켄으로부터 중전 안타 ※역대 80번째 | |
2000년 8월 29일 | 1500경기 출장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5번 · 2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128번째 | |
2001년 9월 2일 | 350 2루타 |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23차전 (나고야 돔), 6회말에 가와무라 다케오로부터 우중간 2루타 ※역대 22번째[195] | |
2003년 6월 26일 | 400 2루타 |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15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1회초에 제이슨 베벌린으로부터 ※역대 9번째[196] | |
2003년 6월 26일 | 1000득점 | 1회초에 알렉스 오초아의 우전 2점 적시타로 생환하여 기록※역대 30번째 | |
2003년 7월 5일 | 2000안타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6차전 (도쿄 돔), 8회초에 하야시 마사노리로부터 우전 안타 ※역대 30번째 | |
2003년 9월 30일 | 150홈런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7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4회초에 사카이 다이스케로부터 우월 솔로 ※역대 130번째 | |
2004년 6월 29일 | 2000경기 출장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3차전 (후쿠이 현영 야구장), 3번 · 3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34번째[197] | |
2005년 5월 19일 | 450 2루타 |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3차전 (삿포로 돔), 3회초에 카네무라 아키라로부터 좌익선 2루타 ※역대 최초[198] | |
2005년 6월 22일 | 1000사사구 | 대 한신 타이거스 8차전 (오사카 돔), 7회초에 하시모토 켄타로로부터 ※역대 11번째[199][200] | |
2007년 8월 24일 | 1000타점 | 대 한신 타이거스 17차전 (나고야 돔), 5회말에 와타나베 료로부터 우전 적시타 ※역대 32번째[201] | |
2007년 9월 1일 | 3500루타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7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6회초에 자레드 페르난데스로부터 우월 2점 홈런 ※역대 22번째[202] | |
2008년 9월 16일 | 2500경기 출장 | 대 한신 타이거스 22차전 (나고야 돔), 7회말에 천웨이인의 대타로 출장 ※역대 7번째[203] | |
2008년 10월 5일 | 1000삼진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4차전 (도쿄 돔), 8회초에 토요타 키요시로부터 헛스윙 삼진 ※역대 43번째[204][205] | |
2009년 8월 1일 | 10000타석 |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4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7회초에 오가사와라 타카시의 대타로 출장 ※역대 7번째[206] |
기타 기록
- 최다 득점: 2회 (1991년, 1994년)
- 최다 출루: 1회 (1996년)
- 올스타전 출장: 11회 (1988년, 1991년, 1994년 ~ 1998년, 2000년, 2002년 ~ 2004년)
연도별 타격 성적
연 도 | 소 속 | 경 기 | 타 석 | 타 수 | 득 점 | 안 타 | 2 루 타 | 3 루 타 | 홈 런 | 루 타 | 타 점 | 도 루 | 도 루 자 | 희 생 번 | 희 생 플 | 볼 넷 | 고 4 | 사 구 | 삼 진 | 병 살 타 | 타 율 | 출 루 율 | 장 타 율 | O P S |
---|---|---|---|---|---|---|---|---|---|---|---|---|---|---|---|---|---|---|---|---|---|---|---|---|
1988년 | 주니치 | 110 | 403 | 336 | 61 | 75 | 15 | 1 | 4 | 104 | 18 | 22 | 7 | 21 | 0 | 42 | 0 | 4 | 53 | 3 | .223 | .317 | .310 | .626 |
1989년 | 30 | 100 | 85 | 10 | 20 | 6 | 1 | 2 | 34 | 8 | 3 | 6 | 5 | 0 | 10 | 0 | 0 | 10 | 3 | .235 | .316 | .400 | .716 | |
1990년 | 128 | 591 | 511 | 73 | 155 | 33 | 6 | 11 | 233 | 45 | 18 | 9 | 14 | 1 | 60 | 1 | 5 | 61 | 3 | .303 | .381 | .456 | .837 | |
1991년 | 131 | 605 | 520 | 87 | 151 | 35 | 2 | 10 | 220 | 45 | 10 | 8 | 8 | 2 | 74 | 4 | 1 | 69 | 5 | .290 | .379 | .423 | .802 | |
1992년 | 98 | 438 | 379 | 52 | 114 | 16 | 4 | 5 | 153 | 42 | 8 | 4 | 2 | 4 | 51 | 1 | 2 | 52 | 6 | .301 | .383 | .404 | .787 | |
1993년 | 128 | 577 | 500 | 73 | 143 | 18 | 3 | 16 | 215 | 50 | 6 | 8 | 3 | 1 | 70 | 0 | 3 | 51 | 3 | .286 | .376 | .430 | .806 | |
1994년 | 129 | 581 | 489 | 90 | 134 | 27 | 1 | 10 | 193 | 53 | 12 | 2 | 2 | 5 | 83 | 6 | 2 | 50 | 10 | .274 | .378 | .395 | .773 | |
1995년 | 126 | 557 | 489 | 72 | 147 | 25 | 1 | 11 | 207 | 53 | 10 | 11 | 2 | 3 | 59 | 2 | 4 | 46 | 11 | .301 | .378 | .423 | .802 | |
1996년 | 130 | 587 | 511 | 91 | 165 | 39 | 2 | 10 | 238 | 62 | 2 | 5 | 3 | 2 | 69 | 0 | 2 | 57 | 12 | .323 | .404 | .466 | .870 | |
1997년 | 133 | 579 | 495 | 77 | 133 | 24 | 3 | 14 | 205 | 55 | 8 | 5 | 1 | 1 | 77 | 4 | 5 | 42 | 13 | .269 | .372 | .414 | .786 | |
1998년 | 134 | 589 | 504 | 60 | 137 | 24 | 1 | 8 | 187 | 43 | 6 | 6 | 3 | 4 | 74 | 4 | 4 | 60 | 8 | .272 | .367 | .371 | .738 | |
1999년 | 123 | 477 | 417 | 54 | 111 | 32 | 1 | 4 | 157 | 53 | 3 | 2 | 4 | 4 | 51 | 1 | 1 | 44 | 14 | .266 | .345 | .376 | .721 | |
2000년 | 126 | 503 | 436 | 58 | 132 | 30 | 3 | 9 | 195 | 58 | 5 | 0 | 16 | 2 | 46 | 1 | 3 | 43 | 13 | .303 | .372 | .447 | .819 | |
2001년 | 139 | 576 | 507 | 52 | 148 | 30 | 2 | 9 | 209 | 65 | 6 | 1 | 7 | 6 | 54 | 4 | 2 | 54 | 9 | .292 | .359 | .412 | .771 | |
2002년 | 137 | 562 | 506 | 62 | 153 | 34 | 2 | 16 | 239 | 92 | 4 | 9 | 1 | 4 | 45 | 3 | 6 | 55 | 10 | .302 | .364 | .472 | .836 | |
2003년 | 135 | 569 | 500 | 52 | 140 | 28 | 2 | 13 | 211 | 80 | 2 | 4 | 0 | 10 | 52 | 2 | 7 | 72 | 13 | .280 | .350 | .422 | .772 | |
2004년 | 134 | 580 | 523 | 68 | 161 | 25 | 0 | 5 | 201 | 70 | 5 | 3 | 1 | 6 | 45 | 2 | 5 | 52 | 12 | .308 | .364 | .384 | .749 | |
2005년 | 138 | 580 | 501 | 57 | 127 | 25 | 1 | 9 | 181 | 56 | 2 | 0 | 0 | 6 | 68 | 1 | 5 | 76 | 15 | .253 | .345 | .361 | .706 | |
2006년 | 113 | 284 | 259 | 17 | 68 | 10 | 1 | 1 | 83 | 31 | 3 | 1 | 3 | 3 | 17 | 2 | 2 | 28 | 6 | .263 | .310 | .320 | .630 | |
2007년 | 101 | 129 | 109 | 4 | 30 | 2 | 1 | 2 | 40 | 31 | 0 | 0 | 0 | 3 | 16 | 3 | 1 | 14 | 2 | .275 | .364 | .367 | .731 | |
2008년 | 86 | 86 | 73 | 2 | 15 | 4 | 0 | 1 | 22 | 10 | 0 | 0 | 0 | 1 | 11 | 3 | 1 | 11 | 2 | .205 | .314 | .301 | .615 | |
2009년 | 77 | 80 | 66 | 3 | 21 | 5 | 0 | 1 | 29 | 17 | 0 | 0 | 0 | 1 | 12 | 1 | 1 | 7 | 1 | .318 | .425 | .439 | .864 | |
통산 : 22년 | 2586 | 10033 | 8716 | 1175 | 2480 | 487 | 38 | 171 | 3556 | 1037 | 135 | 91 | 96 | 69 | 1086 | 45 | 66 | 1007 | 174 | .285 | .366 | .408 | .773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기록.
연도별 수비 성적
연 도 | 1루수 | 2루수 | 3루수 | 유격수 | 외야수 | |||||||||||||||||||||||||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시 합 | 자 살 | 보 살 | 실 책 | 병 살 | 수 비 율 | |
1988 | - | - | - | 103 | 158 | 219 | 10 | 53 | .974 | - | ||||||||||||||||||||
1989 | - | - | - | 27 | 36 | 64 | 3 | 15 | .971 | - | ||||||||||||||||||||
1990 | - | - | - | 128 | 234 | 355 | 14 | 74 | .977 | - | ||||||||||||||||||||
1991 | - | - | - | 131 | 192 | 377 | 14 | 76 | .976 | - | ||||||||||||||||||||
1992 | - | 97 | 228 | 280 | 10 | 52 | .981 | - | - | - | ||||||||||||||||||||
1993 | - | 127 | 311 | 357 | 2 | 94 | .997 | - | - | - | ||||||||||||||||||||
1994 | - | 120 | 280 | 339 | 4 | 96 | .994 | - | 27 | 41 | 59 | 1 | 19 | .990 | - | |||||||||||||||
1995 | - | 124 | 281 | 355 | 7 | 83 | .989 | - | 6 | 8 | 19 | 1 | 4 | .964 | - | |||||||||||||||
1996 | - | 130 | 296 | 336 | 8 | 81 | .988 | - | - | - | ||||||||||||||||||||
1997 | - | 133 | 331 | 314 | 11 | 73 | .983 | - | - | - | ||||||||||||||||||||
1998 | - | 56 | 97 | 133 | 3 | 27 | .987 | 2 | 3 | 3 | 0 | 0 | 1.000 | - | 86 | 127 | 3 | 1 | 0 | .992 | ||||||||||
1999 | - | 118 | 235 | 306 | 7 | 60 | .987 | 3 | 0 | 3 | 0 | 0 | 1.000 | - | 12 | 6 | 1 | 0 | 0 | 1.000 | ||||||||||
2000 | - | 123 | 201 | 303 | 5 | 43 | .990 | 1 | 0 | 0 | 0 | 0 | .--- | 3 | 0 | 1 | 0 | 0 | 1.000 | 15 | 11 | 0 | 0 | 0 | 1.000 | |||||
2001 | - | 95 | 175 | 252 | 2 | 52 | .995 | 54 | 24 | 77 | 6 | 4 | .944 | 1 | 1 | 2 | 0 | 0 | 1.000 | - | ||||||||||
2002 | - | 25 | 51 | 52 | 1 | 13 | .990 | 116 | 80 | 182 | 10 | 11 | .963 | - | - | |||||||||||||||
2003 | - | - | 133 | 81 | 183 | 15 | 8 | .946 | - | - | ||||||||||||||||||||
2004 | - | - | 134 | 87 | 176 | 8 | 14 | .970 | - | - | ||||||||||||||||||||
2005 | - | - | 81 | 43 | 130 | 10 | 12 | .945 | - | 35 | 35 | 0 | 2 | 0 | .946 | |||||||||||||||
2006 | - | - | 46 | 23 | 63 | 3 | 6 | .966 | - | 2 | 3 | 0 | 0 | 0 | 1.000 | |||||||||||||||
2009 | 1 | 6 | 1 | 0 | 0 | 1.000 | - | - | - | - | ||||||||||||||||||||
통산 | 1 | 6 | 1 | 0 | 0 | 1.000 | 1148 | 2486 | 3027 | 60 | 674 | .989 | 570 | 341 | 817 | 52 | 55 | .957 | 426 | 670 | 1096 | 43 | 241 | .976 | 150 | 182 | 4 | 3 | 0 | .984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 '''굵은 글씨 연도'''는 골든 글러브상 수상
4. 1. 수상·타이틀 경력
- 신인왕(1988년)
- 베스트 나인 : 2회(1996년, 2004년)[227]
- 골든 글러브상 : 5회(1988년, 1995년 ~ 1997년, 2003년)[228] ※3개 포지션에서의 수상은 최다 기록.
- 월간 MVP : 3회(2002년 6월, 2004년 5월, 2004년 6월)
- 우수 JCB·MEP상 : 3회(1991년, 1992년, 2000년)
- JA 전농 Go·Go상 : 1회(최다 2·3루타상 : 2001년 8월)
-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2019년)
4. 2. 개인 기록
통산 2루타 : 487개(일본 기록)[194]연도 | 기록 | 내용 | 비고 |
---|---|---|---|
1988년 4월 8일 | 첫 출장 · 첫 선발 출장 | 대 요코하마 다이요 웨일스 1차전 (나고야 구장), 2번 · 유격수로 선발 출장 | |
1988년 4월 8일 | 첫 안타 | 6회말에 가케하타 미쓰노리로부터 우익선상 2루타 | |
1988년 4월 17일 | 첫 홈런 · 첫 타점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3차전(나고야 구장), 6회말에 가토 하지메로부터 | |
1988년 5월 8일 | 첫 도루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5차전(도쿄 돔) | |
1996년 6월 2일 | 1000안타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7차전 (도쿄 돔), 8회초에 사이토 마사키로부터 좌전 안타 ※역대 183번째 | |
1996년 9월 21일 | 1000경기 출장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4차전 (도쿄 돔), 3번 · 2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338번째 | |
1997년 8월 22일 | 사이클링 안타 | 대 한신 타이거스 전, 나고야 돔 ※역대 47번째 | |
1998년 8월 19일 | 100홈런 |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19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3회초에 기타가와 테츠야로부터 우월 솔로 ※역대 199번째 | |
2000년 4월 7일 | 300 2루타 |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1차전 (요코하마 스타디움), 7회초에 가와하라 류이치로부터 좌중간 2루타 ※역대 36번째 | |
2000년 4월 13일 | 1500안타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3차전 (나고야 돔), 8회말에 다카하시 켄으로부터 중전 안타 ※역대 80번째 | |
2000년 8월 29일 | 1500경기 출장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5번 · 2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128번째 | |
2001년 9월 2일 | 350 2루타 | 대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23차전 (나고야 돔), 6회말에 가와무라 다케오로부터 우중간 2루타 ※역대 22번째[195] | |
2003년 6월 26일 | 400 2루타 | 대 야쿠르트 스왈로스 15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1회초에 제이슨 베벌린으로부터 ※역대 9번째[196] | |
2003년 6월 26일 | 1000득점 | 1회초에 알렉스 오초아의 우전 2점 적시타로 생환하여 기록※역대 30번째 | |
2003년 7월 5일 | 2000안타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6차전 (도쿄 돔), 8회초에 하야시 마사노리로부터 우전 안타 ※역대 30번째 | |
2003년 9월 30일 | 150홈런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27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4회초에 사카이 다이스케로부터 우월 솔로 ※역대 130번째 | |
2004년 6월 29일 | 2000경기 출장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3차전 (후쿠이 현영 야구장), 3번 · 3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34번째[197] | |
2005년 5월 19일 | 450 2루타 | 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3차전 (삿포로 돔), 3회초에 카네무라 아키라로부터 좌익선 2루타 ※역대 최초[198] | |
2005년 6월 22일 | 1000사사구 | 대 한신 타이거스 8차전 (오사카 돔), 7회초에 하시모토 켄타로로부터 ※역대 11번째[199][200] | |
2007년 8월 24일 | 1000타점 | 대 한신 타이거스 17차전 (나고야 돔), 5회말에 와타나베 료로부터 우전 적시타 ※역대 32번째[201] | |
2007년 9월 1일 | 3500루타 |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7차전 (히로시마 시민 구장), 6회초에 자레드 페르난데스로부터 우월 2점 홈런 ※역대 22번째[202] | |
2008년 9월 16일 | 2500경기 출장 | 대 한신 타이거스 22차전 (나고야 돔), 7회말에 천웨이인의 대타로 출장 ※역대 7번째[203] | |
2008년 10월 5일 | 1000삼진 |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4차전 (도쿄 돔), 8회초에 토요타 키요시로부터 헛스윙 삼진 ※역대 43번째[204][205] | |
2009년 8월 1일 | 10000타석 |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4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7회초에 오가사와라 타카시의 대타로 출장 ※역대 7번째[206] |
- 최다 득점: 2회 (1991년, 1994년)
- 최다 출루: 1회 (1996년)
- 올스타전 출장: 11회 (1988년, 1991년, 1994년 ~ 1998년, 2000년, 2002년 ~ 2004년)
4. 3. 연도별 타격 성적
도속
기
석
수
점
타
루
타
루
타
런
타
점
루
루
자
생
번
생
플
넷
4
구
진
살
타
율
루
율
타
율
P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