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이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바는 일본의 방어 시설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막부 시대에는 시나가와 다이바, 벤텐 다이바 등이 축조되었고, 각 번(藩)에서도 아카시 번의 마이코 다이바, 돗토리 번의 8곳의 다이바 등 다양한 다이바가 건설되었다. 보신 전쟁과 서남 전쟁 시기에도 다이바가 사용되었으며, 이외에도 가나가와현, 지바현, 와카야마현 등 여러 지역에 다이바 및 관련 시설이 설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시대 도쿄 - 오색부동
    오색부동은 도쿄도에 있는 다섯 부동존 사찰(용천사, 금승원, 남곡사, 교학원, 영구사/최승사)을 지칭하며, 에도 시대 도쿠가와 이에미쓰가 에도의 진호와 천하태평을 기원하며 배치했다는 전설이 있고, 메이지 시대 이후 현재의 전설이 형성되었다.
  • 에도 시대 도쿄 - 시나가와슈쿠
    에도 시대 도카이도의 첫 번째 역참 마을인 시나가와슈쿠는 에도의 관문이자 숙박 시설과 상업, 유곽으로 번성했으나 숙역제 폐지와 철도 개통으로 쇠퇴했고, 현재는 역사적 자원 보존 노력이 이어지는 곳이다.
  • 일본의 요새 - 고료카쿠
    고료카쿠는 1855년 다케다 아야사부로가 설계한 오각별 모양의 요새로, 하코다테 개항 후 건설되어 하코다테 봉행소로 사용되었으며 보신 전쟁의 마지막 격전지였고, 현재는 국가 특별 사적으로 지정된 공원이다.
  • 일본의 요새 - 이시야마 혼간지
    이시야마 혼간지는 15세기 말 렌뇨가 현재 오사카성 자리에 세운 사찰로, 요새화된 사원 안 마을은 상업과 수운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나, 오다 노부나가와의 11년간 전투 후 폐성되었고, 그 자리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오사카성을 축성하였다.
  • 해안요새 - 섬터 요새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항구에 위치한 섬터 요새는 남부 해안 방어를 위해 1827년부터 건설되었으며, 남북 전쟁의 시작과 종식을 상징하는 장소이자 현재는 섬터 요새 국립 기념물로 관리되고 있다.
  • 해안요새 - 수오멘린나
    수오멘린나는 헬싱키 앞바다 섬에 건설된 요새로, 스웨덴 시대에 러시아의 위협에 대비해 스베아보리로 건설되어 유럽에서 강력한 요새였으나 핀란드 전쟁 중 러시아에 점령된 후 확장되었고, 1917년 핀란드 독립 후 수오멘린나로 개명되었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자 관광 명소이다.
다이바
지도
개요
지역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고토구, 시나가와구
면적약 442 헥타르
역사
기원에도 막부 말기
주요 목적에도 방어
개발 시작1990년대 초
주요 개발 목표주거, 상업, 레크리에이션 공간 조성
주요 시설 및 특징
주요 시설아쿠아시티 오다이바
다이버 시티 도쿄
덱스 도쿄 비치
레인보우 브리지
후지 TV 본사
오다이바 해변공원
일본 과학미래관
도쿄 빅사이트
비너스 포트
오에도 온천 모노가타리
특징인공 해변
다양한 상업 및 엔터테인먼트 시설
미래적인 건축물
도쿄 만의 아름다운 야경
관광 명소
교통
주요 교통 수단유리카모메
린카이선
수상 버스
자동차 (레인보우 브리지 경유)
기타 정보
어원에도 막부 말기에 건설된 포대 (台場)에서 유래
현재인기있는 관광지 및 상업 지구

2. 주요 다이바

일본 각지에는 에도 막부 말기에 외세의 침략을 막기 위해 설치한 다이바(포대) 유적이 남아 있다. 이 유적들은 크게 에도 막부가 직접 설치한 것과 각 번에서 자체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 막부의 다이바



; 각 번의 다이바

아카시 번, 도쿠시마 번, 돗토리 번 등 여러 번에서 다이바를 설치하여 해안 방어에 힘썼다.

번 이름다이바 이름위치비고
아카시 번마이코 다이바효고현 고베시국가 사적, 아카시 해협 방위
도쿠시마 번마쓰호 다이바효고현 아와지시국가 사적, 아카시 해협 방위
돗토리 번다이바 8곳돗토리현국가 사적


2. 1. 막부의 다이바

에도 막부가 직접 설치한 다이바로, 주로 수도 에도(지금의 도쿄)와 그 주변 지역의 방어를 담당했다. 대표적인 막부의 다이바로는 도쿄도 미나토구에 위치한 시나가와 다이바(페리 제독의 내항을 방비하기 위해 축조, 국가 사적으로 지정)와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에 위치한 벤텐 다이바(신센구미와 메이지 신정부군의 마지막 격전지)가 있다.

2. 1. 1. 시나가와 다이바 (오다이바)

시나가와 다이바(시나가와 포대)는 도쿄도 미나토구에 있는 국가 사적이다. 에도 막부가 페리의 내항에 대비해 축조한 포대로, '오다이바'라는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제1 다이바부터 제7 다이바까지 건설되었으나, 제7 다이바는 미완성으로 남았다.

2. 1. 2. 벤텐 다이바

홋카이도하코다테시에 있으며, 신센구미(신센구미)와 메이지 신정부군 간의 최후의 전투 장소이다.[1]

2. 1. 3. 사카이 다이바

오사카부 사카이시 사카이구에 위치한다. 36관(貫) 몰티르포 등 대포 8문을 설치했으며, 사카이 사건의 무대이기도 하다.[1]

2. 1. 4. 쿠스하 다이바, 다카하마 다이바

오사카부 히라카타시(쿠스하)와 미시마군 시마모토정(다카하마)에 위치한다. 요도가와 방어를 목적으로 한 하천 다이바로, 교토 방면으로 거슬러 올라오는 적함에 양쪽 강안에서 포격을 가하도록 2기의 포대로 1세트를 이루었다.[4]

2. 2. 각 번의 다이바

각 번에서는 자체적으로 다이바를 설치하여 해당 지역의 해안 방어를 담당했다.

2. 2. 1. 히라타테 포대 (아오모리현)

히로사키 번이 소토가하마정에 설치한 포대로, 아오모리현 지정 문화재이다.

2. 2. 2. 가가 번 이치키 포대 (도야마현)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설치되었던 가가 번의 포대이다. 도야마현 지정 문화재이다.[1]

2. 2. 3. 후시키 포대 (도야마현)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있는 후시키 포대는 가가 번이 이국 선박 방비를 위해 설치를 결정한 13개의 포대 중 하나로 1851년에 설치되었다. 1867년경까지는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1]

2. 2. 4. 마루오카 번 포대 (후쿠이현)

마루오카 번 포대 터는 후쿠이현 사카이시 미쿠니정 카지에 있으며, 카지 포대라고도 불린다. 이 포대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

2. 2. 5. 오바마 번 포대 (후쿠이현)

후쿠이현 오이군오이정에 있는 오바마 번의 포대 터는 마츠가세 포대 터와 노코자키 포대 터가 있으며, 국가 사적이다.[2]

2. 2. 6. 아카시 번 마이코 포대 (효고현)

가쓰 가이슈의 설계로 아카시 해협을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아카시 번의 포대이다. 효고현 고베시에 있으며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2]

2. 2. 7. 도쿠시마 번 마쓰호 포대 (효고현)

도쿠시마 번이 아카시 해협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한 포대로, 효고현 아와지시에 있으며 국가 사적이다.[3]

2. 2. 8. 요코이노우에 오다이바 (오카야마현)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에 있는 오카야마 번의 포대이다. 시 지정 사적이며, 쓰야마 오라이(가도)의 방위와 군사 훈련을 목적으로 고분을 이용하여 내륙부에 구축되었다.[4]

2. 2. 9. 돗토리 번 포대 (돗토리현)

돗토리현 내 8곳에 설치된 돗토리 번의 포대로, 국가 사적이다.[4]

2. 2. 10. 조슈 번 시모노세키 마에다 포대 (야마구치현)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에 위치한 조슈 번의 포대로, 간몬 해협 방어를 위해 설치되었다.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시모노세키 전쟁의 무대였다.[5] 낮은 포대와 높은 포대로 구성되어 있고, 주변에는 단노우라 포대 터 등 십여 개의 포대가 축조되었다.[5]

시모노세키 전쟁에서 외국군에 점령된 조슈 번의 마에다(前田) 포대

2. 2. 11. 기쿠가하마 토루이 (야마구치현)

야마구치현 하기시 지정 사적이다. 해안선을 따라 축조되었으며, 곳곳에 요코야카카리(빗껴 쌓기)를 설치한 방루(보루)이다.[6]

2. 2. 12. 후쿠오카 번 포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 번 포대 터

3. 보신 전쟁 시기의 다이바

보신 전쟁 시기에 사용된 다이바는 다음과 같다.

명칭위치설명
시료카쿠홋카이도 하코다테시설명
곤겐다이바홋카이도 하코다테시구 막부군이 하코다테 도쇼구(현재의 고야마 이나리 신사) 경내를 야전 진지화한 것이다.
모나세 고개, 마이리 고개후쿠시마현 이나와시로정아이즈 전쟁아이즈번이 국경의 고개에 구축한 야전 진지이다.
사카다루다이바교토부 교토시도바・후시미 전투에서 구 막부군이 급조한 일종의 바리케이드이다. 접수한 술통으로 구축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3. 1. 시료카쿠 (홋카이도)

시료카쿠는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에 있는 요새이다.

3. 2. 곤겐다이바 (홋카이도)

구 막부군이 하코다테 도쇼구(현재의 고야마 이나리 신사. 도쇼구는 그 후 동시 진카와초로 이전) 경내를 야전 진지화한 것이다.[1]

3. 3. 모나세 고개, 마이리 고개 (후쿠시마현)

아이즈 전쟁아이즈번이 국경의 고개에 구축한 야전 진지이다.[1]

3. 4. 사카다루다이바 (교토부)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구 막부군이 급조한 일종의 바리케이드이다. 접수한 술통으로 구축했기 때문에 사카다루다이바라고 명명되었다.[1]

4. 서남 전쟁 시기의 다이바

서남 전쟁 시기에 사용된 다이바는 다음과 같다.


  • 나나모토가키다이바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 후타마타우리오다 관군 포대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교토쿠마치) - 정부군 보루
  • 가고시마 교두보[7]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 - 정부군 구축. 다수의 보루와 야전 진지로 구성.

4. 1. 나나모토가키다이바 (구마모토현)

나나모토가키다이바는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에 있는 다이바이다.

4. 2. 후타마타우리오다 관군 포대 (구마모토현)

후타마타우리오다 관군 포대는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교토쿠마치에 위치한 정부군의 보루이다.[7]

4. 3. 가고시마 교두보 (가고시마현)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에 구축된 정부군의 교두보로, 다수의 보루와 야전 진지로 구성되었다.[7]

5. 그 외의 다이바 및 진야 설치 지역

가나가와현, 지바현, 와카야마현에도 다이바 및 진야가 설치되었다.

그 외 지역의 다이바 및 진야
지역위치다이바/진야
가나가와현요코스카시사루시마
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이요 마쓰야마번가나가와 다이바
오다와라시오다와라번오다와라 다이바
지바현다테야마시스노사키 비장
후츠시야나가와번후츠 다이바
후츠시아이즈번나나마가리 포대, 다케가오카 포대
후츠시시마도쿠라 포대
후츠시막부아즈마촌 반쇼
후츠시시라카와번후츠 진야
후츠시다케가오카 진야
후츠시이이노번이이노 진야
미나미보소시막부시라코 토미반쇼
가모가와시하자마 진야, 호조 진야
와카야마현와카야마시기슈번사이카자키 다이바(현 반쇼 정원), 가타 다이바


5. 1.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에 이요 마쓰야마번이 건설한 가나가와 다이바가 있었다.[1] 오다와라시에는 오다와라번이 건설한 오다와라 다이바가 있었다.[1]

가나가와현의 다이바
위치다이바
요코스카시사루시마
요코하마시 가나가와구이요 마쓰야마번가나가와 다이바
오다와라시오다와라번오다와라 다이바


5. 2. 지바현

1853년 페리 내항 이후, 아이즈번 및 무사시 시노부번이 보슈 연안 경비역을 맡았고, 비젠 오카야마번과 지쿠고 야나가와번도 추가되었다.

5. 3. 와카야마현

참조

[1] 문화유산 丸岡藩砲台跡
[2] 문화유산 小浜藩台場跡 松ヶ瀬台場跡 鋸崎台場跡
[3] 문화유산 徳島藩松帆台場跡 とくしまはんまつほだいばあと https://bunka.nii.ac[...]
[4] 국가지정문화재 鳥取藩台場跡
[5] 웹사이트 維新史回廊トピックス〈Vol.4〉 http://www.pref.yama[...] 山口県文化振興課
[6] 웹사이트 菊ヶ浜土塁(女台場) https://bunka.nii.ac[...] 萩市観光協会「ぶらり萩あるき」
[7] 논문 西南戦争・鹿児島橋頭堡 학연퍼블리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