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만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의 행정 구역은 중화민국 헌법과 관련 법규에 따라 구분되며, 2개의 성, 6개의 직할시, 3개의 시, 13개의 현으로 구성된다. 일제강점기, 중화민국 성립 이전, 중화민국 시기를 거치며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으며, 현재는 2개의 성이 사실상 행정 기능을 상실했다. 6개의 직할시는 행정원 직속이며, 2010년과 2014년에 여러 현과 시가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대만의 행정 구역은 최상위 행정 구역인 성과 직할시를 시작으로, 시, 현, 구, 진, 향, 리, 린으로 세분화된다. 영토 문제와 행정 구역 개편에 대한 논란이 존재하며, 행정원 연합 서비스 센터를 통해 중앙 정부의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행정 구역 - ISO 3166-2:TW
    ISO 3166-2:TW는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을 식별하는 ISO 3166-2 표준 코드로, 'TW'와 세 글자로 구성되며 직할시, 시, 현을 나타내지만, 중화인민공화국은 대만을 자국 성으로 간주하여 'CN-TW' 코드를 할당하여 논쟁이 있다.
  • 대만의 행정 구역 - 성할시
    성할시는 중화민국 대만의 행정 구역 단위 중 하나로, 일본 통치 시대에 처음 설치되어 중화민국 시 조직법에 따라 성할시가 되었으며, 현재는 자이시, 신주시, 지룽시 3곳이 존재한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타오위안시
    타오위안시는 타이완 북서부에 위치한 직할시로, 평포족 거주지에서 객가인 이주와 복숭아나무 재배를 거쳐 발전, 2014년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는 대만 북부의 주요 산업 및 교통 중심지이다.
  • 중화민국의 행정 구역 - 저장성 (중화민국)
    저장성은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1955년 대천도 철수까지 현재의 저장성 대부분을 관할했던 행정 구역으로, 국공 내전 패배 후 타이완으로 철수하여 도서 지역을 관할하다 폐지되었으며, 청나라 절강성의 행정 구역을 계승하여 도제와 행정독찰제도를 시행했다.
대만의 행정 구역
지도
개요
국가중화민국
관할 지역타이완, 펑후 제도, 진먼현, 롄장현, 난사 군도의 타이핑 섬, 중저우 섬
행정 제도지방 자치
중앙 정부 직할
특별시타이베이시
신베이시
타오위안시
타이중시
타이난시
가오슝시
지룽시
신주 시
자이 시
이란 현
신주 현
먀오리 현
장화 현
난터우 현
윈린 현
자이 현
핑둥 현
타이둥 현
화롄 현
펑후 현
진먼 현
롄장 현
지방 정부
시할구특별시, 시 소속
산지 원주민구특별시 소속
현할시현 소속
현 소속
현 소속
산지향현 소속
촌리급
도시 지역
농촌 지역
구역
최하위 행정 구역

2. 역사적 배경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제국은 중화민국에 타이완섬과 펑후 제도를 반환하였다. 1949년 국공 내전 결과, 중화민국은 타이완섬과 일부 도서 지역으로 축소되었고, 중국 본토중화인민공화국이 통치하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현재 타이완 지역의 행정 구역은 두 가지 연원을 가진다.



또한, 중화민국은 남중국해의 둥사 군도와 난사 군도 일부를 통제하고 있는데, 이 지역들은 원래 하이난 특별 행정구에 속했다가 1996년 가오슝시로 이관되었다.

2. 1. 중화민국 시기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 (1912–1949)은 일본 제국으로부터 타이완(포르모사)과 펑후 제도(페스카도르스 제도)를 넘겨받았다.[7] 1949년 중국 내전 이후, 중화민국은 주로 타이완의 지리를 포함한 타이완 섬과 일부 도서 지역으로 축소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PRC)은 중국 본토를 통제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화민국 정부는 공식 지도에서 여전히 35개의 성(중화인민공화국 지역에 더 이상 속하지 않는 성 포함) 전체를 공식적으로 주장하며 중화인민공화국이 부과한 변화를 무시했다. 1953년 이후, 타이완 당국은 한때 몽골이 중화민국의 영토라고 주장했지만, 이 주장은 천수이볜 행정부 하에서 2002년에 폐지되었다. 1967년과 1979년까지, 중화민국은 타이베이와 가오슝을 특별시로 지정했으며, 2010년과 2014년에 각각 3개와 1개가 추가되었다. 현재, 중화민국은 중국 공산당이 통치하는 중국 본토에 대한 주장을 공식적으로 포기하지 않았지만,[8] 최근에는 중국 본토를 영토의 일부로 묘사하는 공식 지도를 발행하지도 않았다.[9]

이러한 역사는 현재 중화민국 자유 지역 또는 타이완 지역의 타이완 행정 구역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출처를 제공한다.

  • 타이완성: 타이완 섬(포르모사)과 펑후 제도 (페스카도르스 제도): 일본 통치하의 타이완의 일본 제국 하에서의 행정 구역에서 상속되었다.
  • 푸젠성: 진먼 섬 (퀘모이)과 마쭈 열도 – 중화민국의 푸젠성 구역에서 상속된 도서 지역. 원래의 성은 1949년 구닝터우 전투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으로 분할되었다. 또한, 중화민국은 여전히 둥사 군도와 난사 군도의 일부를 남중국해에서 통제하고 있다. 이들은 원래 하이난 특별 행정구의 일부였지만 1996년에 가오슝 특별시로 이전되었다. 이들 성은 1998년에 간소화되었고, 2019년에는 정부가 기능하지 않게 되었다.[10]


1949년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통제 하에 있는 지역의 행정 구역에 몇 가지 변화를 주었다. 두 개의 성 정부는 축소되었고, 그 기능의 대부분이 중앙 정부 또는 현 정부로 이관되었다. 6개의 직할시가 신설되었다.

1949년 이후, 행정 구역 시스템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부분은 타이완성의 존재였으며, 이는 타이완의 정치적 지위에 대한 더 큰 논란의 일부였다. 1998년 이후, 타이완 성 정부의 대부분의 의무와 권한은 헌법 개정을 통해 중화민국 정부로 이관되었다. 훨씬 작은 푸젠성인 푸젠 성 정부는 1956년부터 축소되었다.

현재의 행정 체제가 비효율적이고 지역 계획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다. 특히, 대부분의 행정시는 실제 대도시권보다 훨씬 작으며, 행정시와 주변 지역 간의 정책을 조정할 공식적인 수단이 없다.

2008년 이전에는 통합 가능성이 낮았다. 많은 도시가 주변 현과 매우 다른 정치적 인구 통계를 가지고 있어서, 통합 전망이 매우 정치적으로 민감했다. 예를 들어, 중국 국민당은 타이베이시, 타이베이현, 지룽시를 묶어 타이베이 대도시권을 만들면 더 나은 지역 계획을 세울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민주진보당은 이것이 때때로 통제했던 타이베이현 정부를, 국민당 지지 성향이 강한 타이베이시지룽시의 표로 압도하여 없애려는 핑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2007년 10월 1일, 타이베이현은 가오슝시와 타이베이시와 동등한 수준의 준직할시()로 승격되었다.[11] 이를 통해 타이베이현은 ''사실상'' 직할시와 동일한 조직 및 예산 틀을 갖게 되었지만, 여전히 형식적으로는 현으로 불렸다. 타이중현타이난시는 중앙 정부에 비슷한 지위를 요구했다. 타오위안현은 2011년 1월 1일에 인구가 200만 명을 넘어서 준직할시로 승격되었다.[12]

마잉주 총통 정부 하에서, 중앙 정부는 더 많은 현과 시를 재편했다.[13] 2009년에 4건의 합병 및 승격이 승인되어 2010년 12월 25일부터 시행되었고, 1건이 2014년 12월 25일부터 시행되었다.[14][15]

행정 구역 변경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이름비고
푸젠성1949년에 성도는 푸저우에서 진청, 진먼으로 이전되었다. 1956년에 성 정부가 축소되었고, 2019년에 해산되었다.
타이완성1956년에 성도는 타이베이에서 중싱신춘으로 이전되었다. 1998년에 성 정부가 축소되었고, 2018년에 해산되었다.
가오슝시이전에는 성할시였으며, 1979년에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2010년에, 기존의 가오슝시에 이전의 가오슝현을 합병하여 새로운 가오슝 직할시가 설립되었다.
신베이시이전에는 타이베이현이었으며, 2010년에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타이중시2010년에 타이중시와 타이중현을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타이난시2010년에 타이난시와 타이난현을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타이베이시이전에는 성할시였으며, 1967년에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타오위안시이전에는 타오위안현이었으며, 2014년에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이로써 타이완(중화민국)의 최고 행정 구역은 현재 2개의 명목상 행정 기능이 없는 성과 6개의 직할시가 되었으며, 성 아래에는 13개의 현과 3개의 시가 있다.[16]

3. 현행 행정 구역

대만의 현행 행정 구역은 중화민국 헌법과 수정 조문, 지방 제도법 조항에 따라 나뉜다. 현재 제1급 행정 구역은 6개 직할시(타이베이시, 신베이시, 타오위안시, 타이중시, 타이난시, 가오슝시)와 제2급 행정 구역인 3개 시(지룽시, 신주시, 자이시)와 13개 현으로 나뉜다.

과거에는 제1급 행정 구역인 성(타이완성, 푸젠성)이 있었고, 시와 현은 성 아래에 있는 행정 구역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타이완 성 정부와 푸젠 성 정부의 기능이 축소되면서, 현재는 중앙 정부와 제2급 행정 구역인 시, 현으로 기능이 나뉘었다.

하지만 재정상으로는 성과 동급인 타이베이시가오슝시가 우선이었기 때문에 현이나 시는 적절한 예산이 지급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2007년 개정된 지방 제도법에 따라 인구 200만 명 이상인 현과 시는 직할시와 같은 수준의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조건에 만족하는 현과 시는 많지만, 타이베이현이 가장 먼저 준직할시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중화민국의 지방 제도법에는 준직할시라는 행정 구역은 존재하지 않으며, 타이베이현도 재정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다른 현과 같았다. 2009년 개정된 지방 제도법에 따라 신베이시(옛 타이베이현)는 2010년 말을 기해 직할시로 개편되었고, 타이중시타이중현, 타이난시타이난현, 가오슝시가오슝현은 각각 합병해서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타오위안현은 인구가 200만 명을 돌파하여 타오위안시로 승격되었다.

대만이 지배하고 있는 둥사 군도와 스프래틀리 군도(난사 군도)는 가오슝시에 속하며, 현재 일본이 실효 지배하고 있지만 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센카쿠 열도(댜오위타이 열도)는 《중화민국의 영해와 인접 구역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이란현에 속한다.

중화민국 행정원 직속 지방 자치체인 직할시는 인구가 125만 명 이상이고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설치된다. 직할시 아래에는 구(區)가 있고, 구 아래에는 리(里), 리 아래에는 린(隣)이 있다.

직할시한자영어넓이 (km2)인구청사 소재지
가오슝시高雄市Kaohsiung City2946.2671km22,778,15538링야구, 펑산구
신베이시新北市New Taipei City2052.5667km23,963,97029반차오구
타오위안시桃園市Taoyuan City1220.954km22,056,27313타오위안구
타이난시臺南市Tainan City2191.6531km21,883,84437안핑구, 신잉구
타이베이시臺北市Taipei City271.7997km22,700,09112신이구
타이중시臺中市Taichung City2214.8968km22,716,49729시툰구



시는 과거 성할시(省轄市)였던 행정 구역으로 현과 동급이며, 중화민국 행정원 직속 지방 자치체이다. 인구가 50만 명 이상, 125만 명 미만이고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설치된다. 시 아래에는 구(區), 구 아래에는 리(里), 리 아래에는 린(隣)을 두고 있다.

한자영어넓이 (km2)인구청사 소재지
신주시 (신죽시)新竹市Hsinchu City104.1526km2431,6013베이구
자이시 (가의시)嘉義市Chiayi City60.0256km2270,8582둥구
지룽시 (기륭시)基隆市Keelung City132.7589km2373,3407중정구



현(縣)은 명목상 성 다음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이지만 실제로는 중화민국 행정원 직속 지방 자치체이다. 현 아래에는 현할시(縣轄市), 진(鎭), 향(鄕)을 두고, 현할시와 진 아래에는 리(里), 향 아래에는 촌(村)을 두며, 리와 촌 아래에는 린(隣)을 둔다. 진먼현롄장현푸젠성에 속하며 나머지는 타이완성에 속한다.

한자영어넓이 (km2)인구현할시청사 소재지
난터우현 (남투현)南投縣Nantou County4106.436km2514,836148난터우시
롄장현 (연강현)連江縣Lienchiang County28.8km212,5284난간향
먀오리현 (묘률현)苗栗縣Miaoli County1820.3149km2567,2021611먀오리시
신주현 (신죽현)新竹縣Hsinchu County1427.5369km2536,954139주베이시
윈린현 (운림현)雲林縣Yunlin County1290.8326km2706,1741514더우류시
이란현 (의란현)宜蘭縣Yilan County2143.6251km2458,880138이란시
자이현 (가의현)嘉義縣Chiayi County1903.6367km2525,5792214타이바오시
장화현 (창화현)彰化縣Changhua County1074.396km21,292,2261718장화시
진먼현 (금문현)金門縣Kinmen County151.656km2126,96433진청진
타이둥현 (대동현)臺東縣Taitung County3515.2526km2224,7191213타이둥시
펑후현 (팽호현)澎湖縣Penghu County126.8641km2101,63615마궁시
핑둥현 (병동현)屏東縣Pingtung County2775.6003km2848,8041329핑둥시
화롄현 (화련현)花蓮縣Hualien County4628.5714km2333,4841210화롄시


3. 1. 행정 구역 체계

(“성할시()”)13 ()12 현할시()40 진()146 ()()223687,835147,877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 (1912–1949)은 일본 제국으로부터 타이완(포르모사)과 펑후 제도 (페스카도르스 제도)를 넘겨받았다. 1949년 중국 내전 이후, 중화민국은 주로 타이완의 지리를 포함한 타이완 섬과 일부 도서 지역으로 축소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PRC)은 중국 본토를 통제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화민국 정부는 공식 지도에서 여전히 35개의 성(중화인민공화국 지역에 더 이상 속하지 않는 성 포함) 전체를 공식적으로 주장하며 중화인민공화국이 부과한 변화를 무시했다. 1953년 이후, 타이완 당국은 한때 몽골이 중화민국의 영토라고 주장했지만, 이 주장은 천수이볜 행정부 하에서 2002년에 폐지되었다.[7] 1967년1979년까지, 중화민국은 타이베이와 가오슝을 특별시로 지정했으며, 2010년2014년에 각각 3개와 1개가 추가되었다. 현재, 중화민국은 중국 공산당이 통치하는 중국 본토에 대한 주장을 공식적으로 포기하지 않았지만,[8] 최근에는 중국 본토를 영토의 일부로 묘사하는 공식 지도를 발행하지도 않았다.[9]

이러한 역사는 현재 중화민국 자유 지역 또는 타이완 지역의 타이완 행정 구역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출처를 제공한다.



현재 중화민국 중앙 정부(행정원)가 직접 관할하는 22개의 행정 구역이 있으며,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중화민국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인구 125만 명 이상인 곳은 특별시, 인구 50만 명에서 125만 명 사이인 곳은 시가 될 수 있다. 인구 200만 명 이상인 현은 특별시를 위해 설계된 지방 자치에 대한 몇 가지 추가 특권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이름중국어병음백화자
bgcolor=f5c3c4|특별시zhíxiáshìti̍t-hat-chhī6
bgcolor=e3edc3|xiànkoān13
bgcolor=ceb2cd|shìchhī3



이 22개의 구역은 또한 지방 자치 단체로서 '지방 자치법'에 의해 규제된다. 각 구역에는 "시/현 정부"라고 불리는 자체 행정부와 "시/현 의회"라고 불리는 자체 입법부가 있다. 시장, 현장, 모든 입법자는 4년마다 관할 구역의 시민들에 의해 선출된다. 지리적으로,



특별시
가오슝시
신베이시
타이중시
타이난시
타이베이시
타오위안시
장화현
자이현
신주현
화롄현
먀오리현
난터우현
핑둥현
타이둥현
이란현
윈린현
자이시
신주시
지룽시



대만의 22개 주요 행정 구역은 368개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세분된다. 이 368개 구역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름중국어병음백화자관할자치개수
산지 향shāndì xiāngsoaⁿ-tē hiong24
농촌 향xiānghiong122
도시 향zhèntìn38
현할시xiànxiáshìkoān-hat-chhī14
산지 구yuánzhùmín qūgôan-chū-bîn khu직할시6
khu직할시
아니요164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현은 향과 현할시로 나뉜다. 현의 소재지 또는 인구 10만에서 50만 사이의 지역은 현할시가 될 수 있다. 직할시 또는 시는 구로 나뉜다.

현의 향, 현할시, 직할시의 산지 구는 또한 지방 자치 단체이다. 각 구역에는 "향/시/구 사무소"라고 불리는 자체 집행 기관과 "향/시/구 의회"라고 불리는 자체 입법 기관이 있다. 시장, 향/구장 및 모든 입법자는 관할 지역 주민에 의해 4년마다 선출된다. 직할시 및 시의 일반 구는 시/시 정부의 지부로 관리되며 지방 자치 권한을 갖지 않는다.

산지 향과 구는 대만 원주민의 상당한 인구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 구역에서는 대만 원주민만이 향/구장으로 선출될 수 있다.

368개의 하위 행정 구역은 추가적으로 촌과 린(鄰)으로 나뉜다.

이름중국어병음민난어 로마자관할 구역개수
농촌 촌cūnchūn산지 원주민 향
농촌 향
7,835
도시 촌도시 향
현할시
산지 원주민 구
colspan=6|
린(鄰)línlîn농촌 촌
도시 촌
147,877



촌장은 관할 구역의 주민들이 4년마다 선출한다. 린의 린장은 촌장에 의해 임명된다.

3. 2. 직할시

중화민국 행정원 직속의 지방 자치체로, 인구가 125만 명 이상이며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에 설치된다. 직할시 아래에는 구(區)가 있고, 구 아래에는 촌(村), 촌 아래에는 린(隣)이 있다.

직할시한자영어넓이 (km2)인구청사 소재지
가오슝시高雄市Kaohsiung City2946.2671km22,778,15538링야구, 펑산구
신베이시新北市New Taipei City2052.5667km23,963,97029반차오구
타오위안시桃園市Taoyuan City1220.954km22,056,27313타오위안구
타이난시臺南市Tainan City2191.6531km21,883,84437안핑구, 신잉구
타이베이시臺北市Taipei City271.7997km22,700,09112신이구
타이중시臺中市Taichung City2214.8968km22,716,49729시툰구



2010년 12월 25일에 타이베이시, 가오슝시, 신베이시, 타이중시, 타이난시가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2014년 12월 25일에는 타오위안시가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하부 행정 구역 수하부 행정 구역
타이베이시12구쑹산구, 신이구, 다안구, 중산구, 중정구, 다퉁구, 만화구, 원산구, 난강구, 네이후구, 스린구, 베이터우구
신베이시29구반차오구, 싼충구, 중허구, 융허구, 신좡구, 신뎬구, 수린구, 잉거구, 싼샤구, 단수이구, 시즈구, 루이팡구, 투청구, 루저우구, 우구구, 타이산구, 린커우구, 선컹구, 스딩구, 핑린구, 싼즈구, 스먼구, 바리구, 핑시구, 솽시구, 궁랴오구, 진산구, 완리구, 우라이구
타오위안시13구타오위안구, 중리구, 다시구, 양메이구, 루주구, 다위안구, 구이산구, 바더구, 룽탄구, 핑전구, 신우구, 관인구, 푸싱구
타이중시29구중구, 둥구, 난구, 시구, 베이구, 시툰구, 난툰구, 베이툰구, 펑위안구, 둥스구, 다자구, 칭수이구, 사루구, 우치구, 호우리구, 선강구, 탄쯔구, 다야구, 신서구, 스강구, 와이푸구, 다안구, 우르구, 다두구, 룽징구, 우펑구, 타이핑구, 다리구, 허핑구
타이난시37구신잉구, 옌수이구, 바이허구, 류잉구, 허우비구, 둥산구, 마더우구, 샤잉구, 류자이구, 관톈구, 다네이구, 자리구, 쉐자이구, 시강구, 치구구, 장쥔구, 베이먼구, 신화구, 선화구, 신스구, 안딩구, 산상구, 위징구, 난시구, 난화구, 쭤전구, 런더구, 구이런구, 관먀오구, 룽치구, 융캉구, 둥구, 난구, 베이구, 안난구, 안핑구, 중시구
가오슝시38구옌청구, 구산구, 쭤잉구, 난쯔구, 싼민구, 신싱구, 첸진구, 링야구, 첸전구, 치진구, 샤오강구, 펑산구, 린위안구, 다랴오구, 다수구, 다서구, 런우구, 냐오쑹구, 강산구, 차오터우구, 옌차오구, 톈랴오구, 알렌구, 루주구, 후네이구, 자뎬구, 융안구, 미퉈구, 쯔관구, 치산구, 메이눙구, 류구이구, 자셴구, 산린구, 네이먼구, 마오린구, 타오위안구, 나마샤구


3. 3. 시

시는 과거 성할시(省轄市)로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과 동급인 행정 구역이며 중화민국 행정원 직속으로 남아 있는 지방 자치체이다. 인구가 50만 명 이상, 125만 명 미만이고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발전에 중요한 지역인 곳에 설치된다. 시 아래에는 구(區), 구 아래에는 리(里), 리 아래에는 린(隣)을 두고 있다.

한자영어넓이 (km2)인구청사 소재지
신주시 (신죽시)新竹市Hsinchu City104.1526km2431,6013베이구
자이시 (가의시)嘉義市Chiayi City60.0256km2270,8582둥구
지룽시 (기륭시)基隆市Keelung City132.7589km2373,3407중정구



중화민국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인구 50만 명에서 125만 명 사이인 곳은 시가 될 수 있다.

이름중국어병음백화자
shìchhī3



지리적으로 3개의 성 관할 시는 타이완 섬 본섬에 있다.

특별시
가오슝시
신베이시
타이중시
타이난시
타이베이시
타오위안시
장화현
자이현
신주현
화롄현
먀오리현
난터우현
핑둥현
타이둥현
이란현
윈린현
자이시
신주시
지룽시



시의 하부에는 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의 하부에는 리, 리의 하부에는 린을 설치하고 있다.

3. 4. 현

현(縣)은 명목상 성 다음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이지만 실제로는 중화민국 행정원 직속으로 남아 있는 지방 자치체이다. 현 아래에는 현할시(縣轄市), 진(鎭), 향(鄕)을 두고 있는데 현할시와 진 아래에는 리(里), 향 아래에는 촌(村)을 두고 있으며 리와 촌 아래에는 린(隣)을 두고 있다. 진먼현롄장현푸젠성에 속하며 나머지는 타이완성에 속한다.

한자영어넓이 (km2)인구현할시청사 소재지
난터우현 (남투현)南投縣Nantou County4106.436km2514,836148난터우시
롄장현 (연강현)連江縣Lienchiang County28.8km212,5284난간향
먀오리현 (묘률현)苗栗縣Miaoli County1820.3149km2567,2021611먀오리시
신주현 (신죽현)新竹縣Hsinchu County1427.5369km2536,954139주베이시
윈린현 (운림현)雲林縣Yunlin County1290.8326km2706,1741514더우류시
이란현 (의란현)宜蘭縣Yilan County2143.6251km2458,880138이란시
자이현 (가의현)嘉義縣Chiayi County1903.6367km2525,5792214타이바오시
장화현 (창화현)彰化縣Changhua County1074.396km21,292,2261718장화시
진먼현 (금문현)金門縣Kinmen County151.656km2126,96433진청진
타이둥현 (대동현)臺東縣Taitung County3515.2526km2224,7191213타이둥시
펑후현 (팽호현)澎湖縣Penghu County126.8641km2101,63615마궁시
핑둥현 (병동현)屏東縣Pingtung County2775.6003km2848,8041329핑둥시
화롄현 (화련현)花蓮縣Hualien County4628.5714km2333,4841210화롄시


3. 5. 하위 행정 구역

대만의 22개 주요 행정 구역은 368개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세분된다. 368개 구역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이름중국어병음백화자관할자치개수
산지 향shāndì xiāngsoaⁿ-tē hiong24
농촌 향xiānghiong122
도시 향zhèntìn38
현할시xiànxiáshìkoān-hat-chhī14
산지 구yuánzhùmín qūgôan-chū-bîn khu직할시6
khu직할시, 시아니요164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현은 향과 현할시로 나뉜다. 현 소재지 또는 인구 10만에서 50만 사이의 지역은 현할시가 될 수 있다. 직할시 또는 시는 구로 나뉜다.

현의 향, 현할시, 직할시의 산지 구는 지방 자치 단체이다. 각 구역에는 "향/시/구 사무소"라고 불리는 자체 집행 기관과 "향/시/구 의회"라고 불리는 자체 입법 기관이 있다. 시장, 향/구장 및 모든 입법자는 관할 지역 주민에 의해 4년마다 선출된다. 직할시 및 시의 일반 구는 시/시 정부의 지부로 관리되며 지방 자치 권한을 갖지 않는다.

산지 향과 구는 대만 원주민의 상당한 인구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 구역에서는 대만 원주민만이 향/구장으로 선출될 수 있다.

368개의 하위 행정 구역은 촌과 린(鄰)으로 세분된다.

이름중국어병음민난어 로마자관할 구역개수
농촌 촌cūnchūn산지 원주민 향, 농촌 향7,835
도시 촌도시 향, 현할시, 산지 원주민 구, 구7,835
린(鄰)línlîn농촌 촌, 도시 촌147,877



촌장은 관할 구역 주민들이 4년마다 선출한다. 린장은 촌장에 의해 임명된다.

직할시(1994년 이전에는 원할시)는 행정원에 직속된 지방 자치체이다. 인구 125만 명 이상, 정치·경제·문화 발전에 중요한 지역이 지정된다. 2010년 12월 25일과 2014년 12월 25일에 변경이 있었으며, 현재는 타이베이시, 가오슝시, 신베이시, 타이중시, 타이난시, 타오위안시가 지정되어 있다. 시 하부에는 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 하부에는 리, 리 하부에는 린을 설치하고 있다.

하부 행정 구역 수하부 행정 구역
타이베이시12구쑹산구, 신이구, 다안구, 중산구, 중정구, 다퉁구, 만화구, 원산구, 난강구, 네이후구, 스린구, 베이터우구
신베이시29구반차오구, 싼충구, 중허구, 융허구, 신좡구, 신뎬구, 수린구, 잉거구, 싼샤구, 단수이구, 시즈구, 루이팡구, 투청구, 루저우구, 우구구, 타이산구, 린커우구, 선컹구, 스딩구, 핑린구, 싼즈구, 스먼구, 바리구, 핑시구, 솽시구, 궁랴오구, 진산구, 완리구, 우라이구
타오위안시13구타오위안구, 중리구, 다시구, 양메이구, 루주구, 다위안구, 구이산구, 바더구, 룽탄구, 핑전구, 신우구, 관인구, 푸싱구
타이중시29구중구, 둥구, 난구, 시구, 베이구, 시툰구, 난툰구, 베이툰구, 펑위안구, 둥스구, 다자구, 칭수이구, 사루구, 우치구, 호우리구, 선강구, 탄쯔구, 다야구, 신서구, 스강구, 와이푸구, 다안구, 우르구, 다두구, 룽징구, 우펑구, 타이핑구, 다리구, 허핑구
타이난시37구신잉구, 옌수이구, 바이허구, 류잉구, 허우비구, 둥산구, 마더우구, 샤잉구, 류자이구, 관톈구, 다네이구, 자리구, 쉐자이구, 시강구, 치구구, 장쥔구, 베이먼구, 신화구, 선화구, 신스구, 안딩구, 산상구, 위징구, 난시구, 난화구, 쭤전구, 런더구, 구이런구, 관먀오구, 룽치구, 융캉구, 둥구, 난구, 베이구, 안난구, 안핑구, 중시구
가오슝시38구옌청구, 구산구, 쭤잉구, 난쯔구, 싼민구, 신싱구, 첸진구, 링야구, 첸전구, 치진구[19], 샤오강구, 펑산구, 린위안구, 다랴오구, 다수구, 다서구, 런우구, 냐오쑹구, 강산구, 차오터우구, 옌차오구, 톈랴오구, 알렌구, 루주구, 후네이구, 자뎬구, 융안구, 미퉈구, 쯔관구, 치산구, 메이눙구, 류구이구, 자셴구, 산린구, 네이먼구, 마오린구, 타오위안구, 나마샤구



시(1994년 이전에는 성할시)는 현과 동등한 지방 자치 단체로서 행정원에 직속된다. 인구 50만 명 이상 125만 명 미만이며, 정치·경제·문화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경우에 지정된다. 시 하부에는 구가 설치되며, 구 하부에는 리, 리 하부에는 린이 설치된다.

시명하부 행정구역 수하부 행정구역
기륭시7구중정구, 칠두구, 난난구, 인애구, 중산구, 안락구, 신의구
신주시3구동구, 북구, 샹산구
자이시2구동구, 서구


4. 논란 및 쟁점

대만은 현재 행정 구역 체제와 관련하여 영토 문제, 행정 구역 개편 문제, 행정원 연합 서비스 센터 운영 등 여러 논란과 쟁점을 안고 있다.

하위 섹션에서 영토 문제와 행정 구역 개편 문제에 대해 더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언급만 한다.

4. 1. 영토 문제

가오슝시의 관할 구역에는 둥사 군도()와 스프래틀리 군도(중국명 난사 군도())에 속해 있는 이투아바섬(중국명 타이핑섬()), 중저우 암초(중국명 중저우섬())가 포함된다.[7] 참고로 대만은 스프래틀리 군도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화민국 (1912–1949)은 일본 제국으로부터 타이완(포르모사)과 펑후 제도(페스카도르스 제도)를 넘겨받았다. 1949년 중국 내전 이후, 중화민국은 주로 타이완의 지리를 포함한 타이완 섬과 일부 도서 지역으로 축소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PRC)은 중국 본토를 통제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화민국 정부는 공식 지도에서 여전히 35개의 성(중화인민공화국 지역에 더 이상 속하지 않는 성 포함) 전체를 공식적으로 주장하며 중화인민공화국이 부과한 변화를 무시했다. 1953년 이후, 타이완 당국은 한때 몽골이 중화민국의 영토라고 주장했지만, 이 주장은 천수이볜 행정부 하에서 2002년에 폐지되었다.[7] 현재, 중화민국은 중국 공산당이 통치하는 중국 본토에 대한 주장을 공식적으로 포기하지 않았지만,[8] 최근에는 중국 본토를 영토의 일부로 묘사하는 공식 지도를 발행하지도 않았다.[9]

이러한 역사는 현재 중화민국 자유 지역 또는 타이완 지역의 타이완 행정 구역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출처를 제공한다.

4. 2. 행정 구역 개편 문제

1949년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행정 구역에 몇 가지 변화를 주었다. 타이완성과 푸젠성 정부는 축소되어 기능 대부분이 중앙 정부나 현 정부로 이관되었다. 또한 6개의 직할시가 신설되었다.

현재 행정 체제가 비효율적이고 지역 계획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특히, 대부분의 행정시는 실제 대도시권보다 훨씬 작아, 행정시와 주변 지역 간의 정책 조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2008년 이전에는 통합 가능성이 낮았다. 많은 도시가 주변 현과 정치적 성향이 달라, 통합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였다. 예를 들어, 중국 국민당은 타이베이시, 타이베이현, 지룽시를 묶어 타이베이 대도시권을 만들면 지역 계획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민주진보당은 이것이 타이베이현 정부를 없애려는 핑계라고 비판했다.

마잉주 총통 정부 하에서, 중앙 정부는 더 많은 현과 시를 재편했다. 2009년에 4건의 합병 및 승격이 승인되어 2010년 12월 25일부터 시행되었고, 1건이 2014년 12월 25일부터 시행되었다.

행정 구역 변경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이름비고
푸젠성1949년에 성도가 푸저우에서 진청으로 이전되었다. 1956년에 성 정부가 축소되었고, 2019년에 해산되었다.
타이완성1956년에 성도가 타이베이에서 중싱신춘으로 이전되었다. 1998년에 성 정부가 축소되었고, 2018년에 해산되었다.
가오슝시1979년에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2010년에 기존의 가오슝시와 가오슝현을 합병하였다.
신베이시2010년에 타이베이현에서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타이중시2010년에 타이중시타이중현을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타이난시2010년에 타이난시타이난현을 합병하여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타이베이시1967년에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타오위안시2014년에 타오위안현에서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대만(중화민국)의 최고 행정 구역은 2개의 성(명목상 행정 기능 없음)과 6개의 직할시이며, 성 아래에는 13개의 현과 3개의 시가 있다.

4. 3. 행정원 연합 서비스 센터

중앙 정부는 타이베이 외곽에 5개의 지역 합동 서비스 센터(JSC, )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행정원 정부 부처의 전초 기지 역할을 한다. 이 지역들은 대만의 포괄적인 국가 공간 개발 계획()에 따라 구성되었다.

이름중국어설립일관할 구역
남부 대만 JSC1998년 6월 1일가오슝, 펑후, 핑둥
중부 대만 JSC2003년 5월 14일창화, 먀오리, 난터우, 타이중
동부 대만 JSC2007년 9월 29일화롄, 타이둥
윈린-자이-타이난 JSC2012년 3월 27일자이 (시 및 ), 타이난, 윈린
진먼-마쭈 JSC2017년 1월 18일진먼, 롄장



신주 (시 및 ), 지룽, 신베이, 타이베이, 타오위안이난을 포함한 북부 대만의 행정 구역은 어떤 JSC의 관할도 받지 않는다. 이 지역은 타이베이에 있는 행정원 본부에서 직접 관리한다.

참조

[1] 뉴스 Gone with the Times http://taiwanreview.[...] 2012-01-11
[2] 웹사이트 Taiwan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 Website http://www.tpg.gov.t[...] 2018-10-21
[3] 간행물 Demographic Quarterly https://www.ris.gov.[...]
[4] 뉴스 World: Asia-Pacific Analysis: Flashpoint Spratly http://news.bbc.co.u[...] BBC 1999-02-14
[5] 뉴스 Gone with the Times http://taiwanreview.[...] 2012-04-13
[6] 웹사이트 中華民國國情簡介 政府組織 http://info.gio.gov.[...] Government Information Office 2012-04-13
[7] 웹사이트 Mongolian office to ride into Taipei by end of the year http://www.taipeitim[...] 2009-05-28
[8] 웹사이트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Mainland Affairs https://www.mac.gov.[...] 2018-05-30
[9] 웹사이트 編印臺灣全圖及各級行政區域圖 https://www.land.moi[...] 2021-04-05
[10] 웹사이트 Provincial-level agencies to be defunded next year https://www.taipeiti[...] 2021-05-29
[11] 웹사이트 http://web.ner.gov.t[...] 2007-10-01
[12] 뉴스 http://www.libertyti[...] 2010-12-07
[13] 웹사이트 http://www.libertyti[...] 2008-12-27
[14] 웹사이트 http://www.libertyti[...] 2009-06-24
[15] 뉴스 http://zh.wikinews.o[...] 2009-06-29
[16] 웹사이트 中華民國國情簡介 政府組織 http://info.gio.gov.[...]
[17] 뉴스 Hanyu Pinyin to be standard system in 2009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8-09-18
[18] 뉴스 Gov't to improve English-friendly environment http://www.chinapost[...] The China Post 2008-09-18
[19] 문서 中華民国政府が領有する[[東沙諸島]]、[[南沙諸島]]の島々は旗津区に帰属している
[20] 문서 中華民国政府は[[尖閣諸島]]([[中国語]]名:釣魚臺列嶼)の領有権を主張しており、行政区分上は頭城鎮に帰属させている。
[21] 문서 中華人民共和国の特別行政区
[22] 문서 [[ヨーロッパ]]にも分類され得る。
[23] 문서 一部は[[アフリカ]]に含まれ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