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는 1963년 1월 21일에 지정된 문화재들로, 건축물, 불교 조각, 불교 공예, 석탑, 석등, 석비, 부도 등 다양한 유형의 유물들을 포함한다. 주요 건축물로는 흥인지문,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등이 있으며, 불교 조각으로는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 등이 있다. 또한, 옛 보신각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등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외에도 석등, 석비, 부도, 당간지주, 그리고 대반열반경소 권9~10, 경주 석빙고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들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국보 (2020년대)
2020년대 대한민국의 국보는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이순신 장검,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등 과학, 불교, 회화,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재를 포함하며, 2021년 문화재 일련번호 폐지로 국보 제336호가 마지막 일련번호 국보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국보 (2000년대~2010년대)
200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지정된 대한민국의 국보는 여수 진남관, 삼국유사,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 등 역사적 건축물, 역사 기록물, 불교 문화재를 포함하며, 한국 문화유산 보존 노력의 중요한 부분을 보여준다. - 대한민국의 보물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보물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 |
---|
2. 지정 목록
1962년 12월 20일 「문화재보호법」에 의거하여 국보와 함께 지정된 보물들은 1963년 1월 21일에 추가 지정되었다. 다음은 1963년 1월 21일에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 목록 (제1호 ~ 제100호)이다.
- 건축물, 불교 조각, 불교 공예, 석탑, 석등/석비/부도, 기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보물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건축: 조선 시대 도성 문인 서울 흥인지문, 통일신라 시대 전탑인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 등이 있다.
- 불교 조각: 통일신라 시대 불상인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고려 시대 불상인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충주 철조여래좌상,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등이 있다.
- 불교 공예: 조선 시대 옛 보신각 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8구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포항보경사서운암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문경김룡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홍천수타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안성청룡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화계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통도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의왕청계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강화동종), 통일신라 시대 탑산사명 동종 등이 있다.
- 석탑: 고려 시대 석탑인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나주 북망문 밖 삼층석탑,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봉화 서동리 동·서 삼층석탑,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경주 불국사 사리탑,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산청 단속사지 동 삼층석탑,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 춘천 칠층석탑, 홍천 희망리 삼층석탑,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여주 창리 삼층석탑, 여주 하리 삼층석탑,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등이 있다.
- 석등/석비/부도: 조선 시대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고려 시대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통일신라 시대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 고려 시대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백제 시대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통일신라 시대 김제 금산사 노주, 김제 금산사 석련대, 고려 시대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통일신라 시대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고려 시대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통일신라 시대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석등, 남원 실상사 승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나주 동점문 밖 석당간, 고령 지산리 당간지주,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경주 보문사지 석조, 조선 시대 경주 황남동 효자 손시양 정려비, 통일신라 시대 경주 망덕사지 당간지주, 경주 서악동 귀부, 고려 시대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통일신라 시대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고려 시대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 강릉 대창리 당간지주, 강릉 수문리 당간지주, 강릉 굴산사지 승탑,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천안 천흥사지 당간지주 등이 있다.
- 기타: 고려시대 주석서인 대반열반경소 권9~10와 조선 영조 14년(1738)에 만들어진 경주 석빙고등이 있다.
2. 1. 건축물


- 안동 운흥동 오층전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흙벽돌로 쌓은 전탑이다.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흙벽돌로 쌓은 전탑이다. 주변에서 발견된 기와 조각을 통해 건립 시기를 짐작할 수 있다.
2. 2. 불교 조각
번호 | 명칭 | 제작 시기 | 특징 | 이미지 |
---|---|---|---|---|
제41호 | 남원 실상사 철조여래좌상 | 통일신라 후기 | 선종 불교의 영향을 받은 철불 좌상으로, 비교적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 ![]() |
제42호 |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 | 고려 초기 | 거대한 크기와 독특한 조형미가 특징인 석불 입상이다. | ![]() |
제43호 |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 고려 | 만복사 터에서 발견된 석불 입상이다. | ![]() |
제45호 |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 | 백제 | 온화한 표정과 섬세한 조각 기법이 돋보이는 석불 좌상이다. | ![]() |
제46호 | 익산 고도리 석조여래입상 | 백제 | 연꽃무늬 대좌 위에 서 있는 두 구의 석불 입상이다. | ![]() |
제58호 | 안동 안기동 석조여래좌상 | 통일신라 | 훼손이 심하지만 얼굴 부분에 남아있는 온화한 미소가 인상적인 석불 좌상이다. | ![]() |
제60호 |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 | 통일신라 | 머리 부분은 없어졌지만 전체적인 균형미가 뛰어난 석불 입상이다. | ![]() |
제62호 |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 | 통일신라 | 바위에 새겨진 삼존불 입상으로, 본존불은 왼손을 가슴에 올리고 오른손은 아래로 내린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 ![]() |
제63호 |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통일신라 | 본존불은 둥근 얼굴에 미소를 띠고 있으며, 협시보살은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는 삼존불 입상이다. | ![]() |
제71호 |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 통일신라 |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본존불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석불 삼존상이다. | ![]() |
제75호 |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 통일신라 | 연꽃무늬 대좌 위에 앉아 있는 여래 좌상으로, 얼굴은 훼손되었지만 전체적인 윤곽은 뚜렷하다. | ![]() |
제81호 |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 통일신라 | 현재 오죽헌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석조 보살 좌상이다. | ![]() |
제84호 |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 통일신라 | 신복사 터에서 발견된 석조 보살 좌상이다. | ![]() |
제89호 | 영암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 통일신라 | 도갑사에 모셔져 있는 석불 좌상이다. | ![]() |
제93호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 고려 | 자연 암벽에 돋을새김으로 조각된 두 구의 마애불 입상이다. | |
제96호 |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 | 고려 | 미륵리 절터에 있는 석불 입상이다. | ![]() |
제97호 |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 고려 | 바위에 나란히 새겨진 두 구의 마애불 좌상이다. | ![]() |
제98호 | 충주 철조여래좌상 | 고려 초기 | 당시 철불 제작 기술의 발달을 보여주는 철불 좌상이다. | ![]() |
제100호 |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 고려 | 안국사 터에서 발견된 석불 삼존 입상이다. | ![]() |
2. 3. 불교 공예
조선 전기에 제작된 옛 보신각 동종은 원래 보신각에 걸려 있었으나,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후기 승려 사인비구가 제작한 8개의 동종은 각기 다른 사찰에 봉안되어 있다.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포항보경사서운암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문경김룡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홍천수타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안성청룡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화계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통도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의왕청계사동종 사인비구 제작 동종 - 강화동종 통일신라 시대에 제작된 탑산사명 동종에는 "탑산사"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다.2. 4. 석탑
번호 | 사진 | 명칭 | 소재지 | 지정일 |
---|---|---|---|---|
제6호 | ![]()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 1963년 1월 21일 |
제10호 |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 | 인천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 1963년 1월 21일 | |
제12호 | ![]() |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 경기 하남시 춘궁동 | 1963년 1월 21일 |
제13호 | ![]() |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 | 경기 하남시 춘궁동 | 1963년 1월 21일 |
제18호 | ![]() | 청양 서정리 구층석탑 | 충남 청양군 정산면 서정리 | 1963년 1월 21일 |
제19호 | ![]()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 1963년 1월 21일 |
제20호 | ![]() |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 1963년 1월 21일 |
제25호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 1963년 1월 21일 | |
제27호 | ![]() |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 1963년 1월 21일 |
제29호 | ![]() |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 1963년 1월 21일 |
제30호 | ![]() |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 | 전북 남원시 왕정동 | 1963년 1월 21일 |
제37호 | ![]() | 남원 실상사 동·서 삼층석탑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 | 1963년 1월 21일 |
제47호 | ![]() |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 1963년 1월 21일 |
제50호 | ![]() | 나주 북망문 밖 삼층석탑 | 전남 나주시 대호동 | 1963년 1월 21일 |
제51호 | ![]() |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 경북 문경시 산북면 내화리 | 1963년 1월 21일 |
제52호 | ![]() | 봉화 서동리 동·서 삼층석탑 |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동리 | 1963년 1월 21일 |
제53호 | ![]() | 예천 개심사지 오층석탑 | 경북 예천군 예천읍 남본리 | 1963년 1월 21일 |
제61호 | ![]() | 경주 불국사 사리탑 | 경북 경주시 진현동 | 1963년 1월 21일 |
제65호 | ![]() |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 경북 경주시 서악동 | 1963년 1월 21일 |
제67호 | ![]() |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 경북 경주시 효현동 | 1963년 1월 21일 |
제72호 | ![]() | 산청 단속사지 동 삼층석탑 | 경남 산청군 단성면 운리 | 1963년 1월 21일 |
제73호 | ![]() | 산청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 | 경남 산청군 단성면 운리 | 1963년 1월 21일 |
제77호 | ![]() | 춘천 칠층석탑 | 강원 춘천시 소양로2가 | 1963년 1월 21일 |
제79호 | ![]() | 홍천 희망리 삼층석탑 | 강원 홍천군 홍천읍 희망리 | 1963년 1월 21일 |
제87호 | ![]() |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 강원 강릉시 내곡동 | 1963년 1월 21일 |
제91호 | ![]() | 여주 창리 삼층석탑 | 경기 여주시 상동 | 1963년 1월 21일 |
제92호 | ![]() | 여주 하리 삼층석탑 | 경기 여주시 상동 | 1963년 1월 21일 |
제94호 | ![]() |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 |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 1963년 1월 21일 |
제95호 | ![]() |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 |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 1963년 1월 21일 |
2. 5. 석등/석비/부도
wikitext번호 | 명칭 | 제작 시기 | 위치 | 설명 |
---|---|---|---|---|
3호 |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 조선 전기 | 서울 종로구 종로2가 38-3 | 원각사 창건에 대한 내용이 기록된 비석이다. |
4호 |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 | 통일신라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 (석수동) | 중초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당간지주이다. |
6호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 고려시대 |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19-3 | 고달사 터에 있는 원종대사의 탑비이다. |
7호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 고려시대 |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산46-1 | 고달사 터에 있는 원종대사의 승탑이다. |
8호 |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 | 고려시대 | 경기 여주시 북내면 상교리 420-5 | 고달사 터에 있는 석조 불대좌이다. |
9호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 고려시대 | 경기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산110 | 서봉사 터에 있는 현오국사의 탑비이다. |
14호 |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 고려시대 | 경기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13-1번지 | 창성사 터에 있는 진각국사의 탑비이다. |
15호 |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 | 통일신라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 법주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등이다. |
16호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 고려시대 | 충북 충주시 엄정면 비석2길 35-21 (괴동리) | 억정사 터에 있는 대지국사의 탑비이다. |
17호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고려시대 | 충북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 177-6 | 정토사 터에 있는 법경대사의 탑비이다. |
21호 |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 백제 | 충남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국립부여박물관 (동남리) | 당나라 장수 유인원의 공적을 기록한 백제 시대 비석이다. |
22호 | 김제 금산사 노주 | 통일신라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사 (금산리) | 금산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조물이다. |
23호 | 김제 금산사 석련대 | 통일신라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사 (금산리) | 금산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조 연꽃 대좌이다. |
24호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고려시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4길 268 (금산리) | 금산사에 있는 혜덕왕사의 탑비이다. |
26호 |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고려시대 | 전북 김제시 금산면 모악15길 1, 금산사 (금산리) | 금산사에 있는 고려시대 계단이다. |
28호 |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 통일신라 |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28-3 | 금산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당간지주이다. |
31호 |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 | 고려시대 | 전북 남원시 왕정동 494-11 | 만복사 터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 불대좌이다. |
32호 |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 | 통일신라 | 전북 남원시 남문로 325-5 (왕정동) | 만복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당간지주이다. |
33호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통일신라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 실상사에 있는 수철화상의 승탑이다. |
34호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통일신라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 실상사에 있는 수철화상의 탑비이다. |
35호 | 남원 실상사 석등 | 통일신라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 실상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등이다. |
36호 | 남원 실상사 승탑 | 통일신라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 실상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승탑이다. |
38호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통일신라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 실상사에 있는 증각대사의 승탑이다. |
39호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통일신라 |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 실상사 (입석리) | 실상사에 있는 증각대사의 탑비이다. |
40호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 통일신라 | 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975 실상사 백장암 | 실상사 백장암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등이다. |
49호 | 나주 동점문 밖 석당간 | 통일신라 | 전남 나주시 성북동 229-9 | 나주읍성 동문 밖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당간이다. |
54호 | 고령 지산리 당간지주 | 통일신라 |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리 3-5번지 | 고령읍 지산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당간지주이다. |
59호 |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 통일신라 |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8 | 숙수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당간지주이다. |
64호 | 경주 보문사지 석조 | 통일신라 | 경북 경주시 보문동 848-16 | 보문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석조물이다. |
68호 | 경주 황남동 효자 손시양 정려비 | 조선시대 | 경북 경주시 황남동 240-3 | 효자 손시양의 효행을 기리는 조선시대 정려비이다. |
69호 | 경주 망덕사지 당간지주 | 통일신라 | 경북 경주시 배반동 964-2 | 망덕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당간지주이다. |
70호 | 경주 서악동 귀부 | 통일신라 | 경북 경주시 서악동 1006-1 | 무열왕릉 근처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거북 모양 비석 받침돌이다. |
74호 |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 고려시대 | 경남 양산시 하북면 백록리 718-44 | 통도사의 경계를 표시하는 고려시대 돌기둥이다. |
76호 |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통일신라 | 강원 춘천시 근화동 793-1 | 춘천시 근화동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당간지주이다. |
78호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고려시대 | 강원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 144 | 거돈사 터에 있는 원공국사의 탑비이다. |
80호 |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 | 고려시대 | 강원 홍천군 홍천읍 희망리 376-26 | 홍천읍 희망리 마을에 있는 고려시대 당간지주이다. |
82호 | 강릉 대창리 당간지주 | 고려시대 | 강원 강릉시 옥천동 334 | 강릉시 옥천동에 있는 고려시대 당간지주이다. |
83호 | 강릉 수문리 당간지주 | 고려시대 | 강원 강릉시 옥천동 43-9 | 강릉시 옥천동에 있는 고려시대 당간지주이다. |
85호 | 강릉 굴산사지 승탑 | 통일신라 | 강원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731 | 굴산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승탑이다. |
86호 |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 통일신라 | 강원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1181 | 굴산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당간지주이다. |
99호 | 천안 천흥사지 당간지주 | 통일신라 |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4길 115-5 (천흥리) | 천흥사 터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당간지주이다. |
2. 6. 기타
大般涅槃經중국어은 북위의 담무참(曇無讖)이 번역한 불교 경전이다. 大般涅槃經중국어이라는 이름은 산스크리트어 '마하파리니르바나 수트라(Mahāparinirvāṇa Sūtra)'를 번역한 것으로,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는 것에 대한 큰 경전'이라는 뜻이다.[1]보물 제90호 '''대반열반경소 권9~10'''(大般湟槃經疏 卷九~十)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대반열반경의 주석서로,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사에 소장되어 있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

보물 제66호 '''경주 석빙고'''(慶州 石氷庫)는 조선 영조 14년(1738)에 만들어진 얼음 창고로, 경상북도 경주시 반월성 안에 있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얼음 창고 중 가장 크며, 과학적인 설계로 유명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