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덴데라 황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덴데라 황도대는 이집트 덴데라의 하토르 신전 천장에 조각된 부조로, 기원전 1세기에 제작되었다. 이집트 원정 당시 발견되어 프랑스로 옮겨졌으며,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황도대는 별자리와 행성을 묘사하며, 이집트 달력과 관련된 데칸을 보여준다. 덴데라 황도대의 연대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학설이 제시되었으며, 기원전 50년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2022년에는 이집트 학자 자히 하와스가 로제타석과 함께 이집트로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프랑스 관계 - 룩소르 오벨리스크
    룩소르 신전에서 유래한 룩소르 오벨리스크는 무함마드 알리 파샤가 샤를 10세에게 선물한 것으로 현재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 있으며, 높이 23m, 무게 222톤에 달하고 꼭대기에는 금박 피라미디온이 얹혀 있는 상징적인 기념물이다.
  • 고대 이집트의 천문학 - 누트 (이집트 신화)
    누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을 상징하며 대지의 신 게브의 배우자이자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의 어머니로, 태양신 라를 매일 삼켰다가 다시 낳는 죽음과 재생의 여신이자 사후 세계로 들어가는 죽은 자들을 보호하는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 고대 이집트의 천문학 - 십분각 (점성술)
    십분각은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달력을 구성하는 기준으로 사용된 점성술 개념으로, 헬레니즘 시대를 거치면서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어 점성술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으며, 현대 점성술에서는 개인의 성격과 운명 해석에 활용되고 고대 천문학 및 신화 연구에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부조 - 베히스툰 비문
    다리우스 1세가 자신의 혈통, 통치, 반란 진압을 기록한 베히스툰 비문은 고대 페르시아어, 엘람어, 바빌로니아어로 작성되어 고대 페르시아 설형 문자를 해독하고 아케메네스 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2006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부조 - 진실의 입
    진실의 입은 로마 산타 마리아 인 코스메딘 성당 입구 벽면에 있는 둥근 얼굴 모양의 석판으로, 고대 로마 시대 하수도 덮개 또는 강의 신 조각상으로 추정되며, 중세 시대에는 진실을 시험하는 신탁으로 여겨졌고, 영화 《로마의 휴일》로 유명해져 진실과 정의를 상징하는 관광 명소가 되었다.
덴데라 황도대
개요
덴데라 황도대
덴데라 황도대
발견 장소이집트 덴데라
재료사암
크기원형: 지름 2.59 m
사각형: 2.65 m × 2.65 m
소장루브르 박물관
상세 정보
유형천장 부조
시대그리스-로마 시대
제작 시기기원전 50년경
역사
발견1799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중 발견되었다.
이동1820년 프랑스로 옮겨졌다.
논란

2. 역사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동안, 비방 드농은 덴데라 신전 천장에서 원형 황도대와 직사각형 황도대를 발견하고 그렸다. 1802년, 드농은 《위아래의 이집트 여행(''Voyage dans la Basse et la Haute Egypte'')》에서 신전 천장의 판화들을 출판했다.[19] 이 판화들은 황도대가 표현하는 시대가 수만 년에서 수천 년, 또는 수백 년까지의 범위를 정하는 것과 황도대가 별자리판인지 점성술 차트인지에 대한 논쟁을 유발했다.[20]

이 논쟁은 "덴데라 사건(Dendera Affair)"이라 불리며, 조제프 푸리에[21], 토머스 영,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장바티스트 비오[22] 등이 참여했다. 요한 카를 부르크하르트와 장바티스트 코라뵈프는 황도대 분석 결과, 고대 이집트인들이 분점의 세차운동을 이해하고 있었다고 판정했다. 샹폴리옹은 덴데라 신전 천장에서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도미티아누스의 이름을 판독했고, 황도대를 이집트에 대한 로마의 통치 시대로 추정했다.[23] 조르주 퀴비에는 123년부터 147년까지로 보았다.[24]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실비 코비아와 에릭 우보그는 이집트인들이 알고 있던 다섯 행성의 배치(매 천년마다 한 번씩 발생)와 두 번의 일식 확인을 통해 기원전 50년으로 연대를 추정했다.[25]

2. 1. 이집트에서의 발견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동안, 비방 드농은 더 널리 알려진 원형 황도대와 직각형의 황도대들을 그렸다. 나폴레옹의 원정 후, 1982년에 드농은 《위아래의 이집트 여행(''Voyage dans la Basse et la Haute Egypte'')》에서 신전 천장의 판화들을 출판했다.[19] 그것들은 그 황도대가 표현하는 시대가 수만년에서 수천년 또는 수백년까지의 범위를 정하는 것과 그 황도대가 별자리판인지 점성술 차트인지에 대한 논쟁을 유발했다.[20] 그 원정대의 일원인 루이 샤를 앙투안 드제는 그 부조를 프랑스로 옮기기로 결정했고, 따라서 1820년에 고대유물 상인 세바스티앙루이 솔니에르는 숙련 석공 장 바티스트 르로랑에게 의뢰하여 그 작업을 위해 고안된 톱과 잭가위, 가위 등으로 원형황도대를 도려내게 했다. 1821년에 그 황도대 천장은 복고왕정의 프랑스로 옮겨졌고, 루이 18세에 의해 현재의 프랑스 국립도서관을 가리키는 당시의 왕립 도서관에 설치되었다.

황도대를 둘러싼 논쟁은 "덴데라 사건(Dendera Affair)"이라 불리며, (그 연대를 기원전 2500년으로 판단한) 조제프 푸리에[21]토머스 영,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그리고 장바티스트 비오와 같은 사람들을 포함한다.[22] 요한 카를 부르크하르트와 장바티스트 코라뵈프는 황도대에 대한 분석 후에, 고대 이집트인들이 분점의 세차운동을 이해하고 있었다고 판정했다. 샹폴리옹은 덴데라의 신전 천장에 있는 티베리우스클라우디우스, 네로 그리고 도미티아누스의 이름을 판독했고, 그 황도대를 이집트 전역에 대한 로마의 통치 시대의 것으로 정했다.[23] 조르주 퀴비에 남작은 그 연대를 123년부터 147년까지로 보았다.[24] 1820년대에 그가 그것에 대해 이해한 것으로써 그 연대를 정하는 문제에 대한 그의 검토는 그 연대에 관한 추론의 개요가 된다.

2. 2. 프랑스로의 이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동안, 비방 드농은 원형 황도대와 더 널리 알려진 직각형 황도대를 그렸다. 1982년, 드농은 나폴레옹 원정 이후 《위아래의 이집트 여행(''Voyage dans la Basse et la Haute Egypte'')》에서 신전 천장의 판화들을 출판했다.[19] 이 판화들은 황도대가 표현하는 시대가 수만 년에서 수천 년, 또는 수백 년까지의 범위를 정하는 것과 황도대가 별자리판인지 점성술 차트인지에 대한 논쟁을 유발했다.[20]

원정대의 일원이었던 루이 샤를 앙투안 드제는 부조를 프랑스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1820년, 고대 유물 상인 세바스티앙루이 솔니에르는 숙련된 석공 장 바티스트 르로랑에게 의뢰하여 톱, 잭가위, 가위 등 특별히 고안된 도구로 원형 황도대를 잘라내게 했다. 1821년, 황도대 천장은 복고 왕정 시대의 프랑스로 옮겨졌고, 루이 18세는 이 천장을 현재의 프랑스 국립도서관인 당시 왕립 도서관에 설치했다.

황도대를 둘러싼 논쟁은 "덴데라 사건(Dendera Affair)"으로 불리며, 조제프 푸리에[21], 토머스 영,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장바티스트 비오 등이 이 논쟁에 참여했다.[22] 푸리에는 황도대의 연대를 기원전 2500년으로 추정했다.

2. 3. 연대 추정 논쟁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이후, 비방 드농이 출판한 덴데라 신전 천장 판화는 황도대가 표현하는 시대에 대한 논쟁을 유발했다.[19][20] 이 논쟁은 "덴데라 사건(Dendera Affair)"으로 불렸다.

1820년, 고대유물 상인 세바스티앙루이 솔니에르는 장 바티스트 르로랑에게 의뢰하여 원형 황도대를 떼어냈다. 1821년 황도대 천장은 복고왕정의 프랑스로 옮겨졌고, 루이 18세에 의해 당시 왕립 도서관에 설치되었다. 1922년 황도대는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2. 3. 1. 현대의 연대 추정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때, 비방 드농이 덴데라 황도대를 그렸다. 1982년 드농은 《위아래의 이집트 여행(''Voyage dans la Basse et la Haute Egypte'')》에서 신전 천장의 판화들을 출판했고,[19] 이는 황도대가 표현하는 시대와 그것이 별자리판인지 점성술 차트인지에 대한 논쟁을 유발했다.[20]

"덴데라 사건(Dendera Affair)"으로 불리는 이 논쟁에는 조제프 푸리에[21], 토머스 영,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장바티스트 비오[22] 등이 참여했다. 조제프 푸리에는 황도대의 연대를 기원전 2500년으로 추정했다.[10] 요한 카를 부르크하르트와 장바티스트 코라뵈프는 황도대 분석을 통해 고대 이집트인들이 분점의 세차운동을 이해했다고 판단했다. 샹폴리옹은 덴데라 신전 천장에서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네로, 도미티아누스의 이름을 판독하고, 황도대를 이집트에 대한 로마의 통치 시대로 추정했다.[23] 샹폴리옹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이것이 종교적인 황도대라고 믿었다. 샹폴리옹은 황도대를 서기 4세기로 추정했다.[11] 조르주 퀴비에는 123년부터 147년까지로 보았다.[12] 1820년대에 그가 이해한 연대 추론의 개요가 된다.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실비 코비아와 에릭 우보그는 이집트인들이 알고 있던 다섯 행성의 배치(매 천년마다 한 번씩 발생)와 두 번의 일식 확인을 통해 기원전 50년으로 연대를 추정했다.[25] 이들은 일식이 기원전 51년 3월 7일(아누비스(토트)의 꼬리를 잡고 있는 이시스로 표현)과 기원전 52년 9월 25일(호루스의 눈으로 표현)에 일어났다고 보았다.[14]

기원전 51년 3월 7일의 일식


기원전 52년 9월 25일의 월식

3. 황도대의 묘사

덴데라 황도대는 별들을 평면 투영한 천구도 또는 지도로, 10일씩 36개의 데칸으로 이루어진 황도대 띠의 12개 별자리와 행성을 보여준다.[3] 이 데칸들은 겉보기 등급 별들의 그룹으로, 고대 이집트 달력의 기준이 되었으며, 약 30일의 달 주기와 시리우스 별의 출현을 기반으로 한다. 덴데라 황도대는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보기 드문 원형 조각이다.[3]

덴데라 황도대에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중 현재 72개 별자리가 명확하게 식별된다.

3. 1. 별자리 묘사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는 천장 원반에는 작은곰자리가 자칼로 묘사되어 있다.[3] 내부 원반은 황도대의 별자리들을 보여주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별자리들은 10일씩 36개의 데칸을 형성하는 황도대 12개 별자리와 행성을 보여주는 천구도이다. 이 데칸들은 겉보기 등급의 별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고대 이집트 달력에 사용되었으며, 이는 약 30일의 달의 주기와 시리우스의 출현을 기반으로 했다. 이 중 일부는 양, 황소, 전갈, 염소와 같이 익숙한 그리스-로마식 도상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4] 반면 다른 별자리들은 좀 더 이집트적인 형태로 나타나는데, 물병자리는 두 개의 꽃병을 들고 물을 뿜는 홍수 신 하피로 표현된다. 익숙하지 않은 도상학은 셀레우코스 황도대의 세 개의 현존하는 석판과 유사하며, 둘 다 ''쿠두루''(경계석) 표현과 관련이 있다. 덴데라 황도대는 "메소포타미아 황도대의 완전한 복사본"으로 볼 수 있다.[4] 다른 메소포타미아 선(先)황도대 천문 자료와 비교하면, 이 묘사는 약간의 그리스-이집트적 추가와 변형을 포함한 바빌로니아의 별자리 차트를 보여준다.[5]

4명의 여성과 4쌍의 매 머리 형상이 서로 45° 간격으로 배치되어 천장 원반을 받치고 있으며, 원반의 가장 바깥쪽 고리에는 이집트의 밤을 나누는 36개의 40분 "시간"과 이집트 연도의 36개의 10일 "주"(데칸)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36개의 성군을 나타내는 36개의 형상이 있다.[3]

원형 형태의 이러한 황도대 조각 표현은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독특하다.

3. 2. 기타 묘사



천장 원반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며, 작은곰자리는 자칼로 묘사되어 있다.[3] 내부 원반은 황도대의 별자리들을 보여주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일부는 양, 황소, 전갈, 염소와 같이 익숙한 그리스-로마식 도상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4] 반면, 물병자리는 두 개의 꽃병을 들고 물을 뿜는 홍수 신 하피로 표현되는 등 좀 더 이집트적인 형태로 나타난다.[4]

4명의 여성과 4쌍의 매 머리 형상이 서로 45° 간격으로 배치되어 천장 원반을 받치고 있다. 원반의 가장 바깥쪽 고리에는 이집트의 밤을 나누는 36개의 40분 "시간"과 이집트 연도의 36개의 10일 "주"(데칸)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36개의 성군을 나타내는 36개의 형상이 있다 (5일 제외).[3]

원형 형태의 황도대 조각 표현은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독특하다. 더 전형적인 것은 같은 신전의 앞방을 장식하는 직사각형 황도대이다.

3. 3. 도상의 해석

천장 원반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며, 작은곰자리는 자칼로 묘사되어 있다.[3] 내부 원반은 황도대의 별자리들을 보여주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황도대는 평면 투영된 별들의 천구도 또는 지도이며, 각 10일로 구성된 36개의 데칸을 형성하는 황도대 띠의 12개의 별자리와 행성을 보여준다. 이 데칸들은 겉보기 등급의 별들로 이루어진 그룹이다. 이들은 고대 이집트 달력에 사용되었으며, 이는 약 30일의 달의 주기와 별 시리우스의 출현을 기반으로 했다.

이 중 일부는 익숙한 별자리와 동일한 그리스-로마식 도상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예: 양, 황소, 전갈, 염소). 반면 다른 별자리들은 좀 더 이집트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물병자리는 두 개의 꽃병을 들고 물을 뿜는 홍수 신 하피로 표현된다. 로저스는 익숙하지 않은 도상학이 셀레우코스 황도대의 세 개의 현존하는 석판과 유사하며, 둘 다 ''쿠두루''(경계석) 표현과 관련이 있음을 언급했다. 즉, 로저스는 덴데라 황도대를 "메소포타미아 황도대의 완전한 복사본"으로 본다.[4] 다른 메소포타미아 선(先)황도대 천문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호프만은 이 묘사가 약간의 그리스-이집트적 추가와 변형을 포함한 바빌로니아의 별자리 차트(바빌로니아 황도대뿐만 아니라)를 보여준다는 것을 제시했다.[5]

4명의 여성과 4쌍의 매 머리 형상은 서로 45° 간격으로 배치되어 천장 원반을 받치고 있으며, 원반의 가장 바깥쪽 고리에는 이집트의 밤을 나누는 36개의 40분 "시간"과 이집트 연도의 36개의 10일 "주"(데칸)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36개의 성군을 나타내는 36개의 형상이 있다(5일 제외). 전체 조각의 사각형은 신전 벽을 향하고 있다.[3]

원형 형태의 이러한 황도대 조각 표현은 고대 이집트 미술에서 독특하다. 더 전형적인 것은 같은 신전의 앞방을 장식하는 직사각형 황도대이다.

참조

[1] 간행물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http://adsabs.harvar[...] 1998
[2] 서적 Zodiac of Dendera https://books.google[...] J. Haddon 1825
[3] 서적 Secrets of the Great Pyramid https://archive.org/[...] Harper & Row
[4] 문서 Rogers (1998) p. 10
[5] 저널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Dendera zodiac (Egypt) https://www.research[...] 2022
[6] 간행물 Voyage: Dominique-Vivant Denon and the transference of images of Egypt 2002
[7] 서적 Zodiac of Dendera https://books.google[...] J. Haddon 1825
[8] 서적 Notice sur le voyage de M. Lelorrain en Egypte: et observations sur le zodiaque circulaire de Denderah https://archive.org/[...] Chez l'auteur
[9] 웹사이트 Egyptians call for the return of the Rosetta Stone and other ancient artifacts https://www.npr.org/[...] 2022-10-12
[10] 서적 The monuments of Egypt: Or, Egypt a witness for the Bible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850
[11] Youtube YouTube https://www.youtube.[...]
[12] 서적 A Discourse on the Revolutions of the Surface of the Globe (1825) http://geology.19thc[...]
[13] 문서 Centre for Computer-aided Egyptological Research at Utrecht University
[14] 저널 Decoding the ancient Egyptians' stone sky map https://www.newscien[...] 2010-07-05
[15] 문서 The online book is an edition from 1839
[16] 간행물 Origins of the ancient con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http://adsabs.harvar[...] 1998
[17] 서적 Zodiac of Dendera http://books.google.[...] J. Haddon 1825
[18] 문서 Rogers 1998:10
[19] 간행물 Voyage: Dominique-Vivant Denon and the Transference of Images of Egypt 2002
[20] 서적 Zodiac of Dendera http://books.google.[...] J. Haddon 1825
[21] 서적 The Monuments of Egypt: Or, Egypt a Witness for the Bible http://books.google.[...] John Murray 1850
[22] 문서 Récherches sur plusieurs points de 1'Astronomie Egyptienne, appliquées aux monumens astronomiques trouvés en Egypte Paris 1823
[23] 서적 Essay on the Hieroglyphic System of M. Champollion, Jun., and on the Advantages which it Offers To Sacred Criticism http://books.google.[...] Saxton & Miles 1842
[24] 서적 A Discourse on the Revolutions of the Surface of the Globe (1825) http://geology.19thc[...]
[25] 저널 Decoding the ancient Egyptians' stone sky map http://www.newscient[...] 2010-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