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노우시노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요노우시노히는 일본에서 여름철 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장어를 먹는 풍습을 의미한다. 8세기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우' 자가 들어가는 음식을 먹으면 건강에 좋다는 속설에 따라 장어 외에도 다양한 음식을 먹었다. 히라가 겐나이가 장어 가게의 번성을 위해 '도요노우시노히'라는 문구를 사용하도록 했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존재한다. 도요노우시노히는 입추 전 18일간의 도요 기간 중 축일(丑の日)에 해당하며, 1년에 한 번 또는 두 번 올 수 있다. 현대에는 장어의 영양학적 효능에 대한 논란도 있지만, 여전히 여름철에 장어를 먹는 풍습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월의 세시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 8월의 세시 - 처서
처서는 양력 8월 22일 또는 23일 경에 해당하며, 햇살이 꺾이고 날씨가 서늘해지기 시작하는 시기로, 농사에서는 곡식이 익어가고 태풍을 경계해야 하는 중요한 절기이다. - 7월의 세시 - 칠석
칠석은 견우와 직녀 설화에서 비롯된 동아시아의 전통 명절로, 음력 7월 7일에 한국에서는 바느질 솜씨를 빌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다나바타 축제로 소원을 적어 대나무에 매달고, 중국에서는 치차오제 또는 연인의 날로 기념한다. - 7월의 세시 - 대서
대서는 24절기 중 소서와 입추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 황경이 120°인 때로, '큰 더위'라는 뜻처럼 보통 이 시기에 더위가 절정에 이르러 한국에서는 장마와 무더위, 농작물 관리에 힘쓰는 시기이며, 일본에서는 토용이 시작되어 장어를 먹고 소서문안을 보내는 풍습이 있다. - 일본의 연중행사 - 모치바나
모치바나는 풍요와 다산,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떡을 나뭇가지에 꽂아 만든 일본의 장식으로,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전해져 오고 특별한 날에 사용되며 현대에는 장식용이나 선물용으로도 활용된다. - 일본의 연중행사 - 쓰키미
쓰키미는 일본의 추석 풍습으로, 음력 8월 15일에 달을 감상하며 억새, 쓰키미 당고, 제철 음식 등을 바치고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는 행사이며, 헤이안 시대에 중국 중추절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어 오늘날에는 가을 달을 즐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며 일본 문화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도요노우시노히 | |
---|---|
도요노우시노히 | |
개요 | |
종류 | 잡절 |
시기 | 입하 후 입추 전의 우시(소)날 |
횟수 | 1년에 1~2회 |
풍습 | 장어 등을 먹는 풍습 |
날짜 | |
2023년 | 7월 30일, 8월 11일 |
2024년 | 7월 24일, 8월 5일 |
2025년 | 7월 19일, 7월 31일 |
2026년 | 7월 27일 |
2027년 | 7월 21일, 8월 2일 |
기타 정보 | |
관련 정보 | 도요 |
2. 전통의 유래
여름철 더위와 장어 요리의 연관성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8세기 일본의 시가집인 만엽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오토모노 야카모치가 남긴 시에는 여름 더위로 인해 체중이 줄어드는 것을 막기 위해 장어를 먹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4]
이처럼 "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영양가가 높은 장어를 먹는다"는 습관 자체는 만엽집에도 기록되어 있듯이 고대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특정일인 '도요노우시노히'에 장어를 먹는 풍습이 정착된 것은 그보다 후대의 일이다. 분세이 5년(1822년-1823년) 무렵 간행된 『메이와지』(아오야마 하쿠호 저)에 따르면, 이 풍습은 안에이・텐메이 시대(1772년-1788년)부터 시작되었다고 한다.
2. 1. 에도 시대의 풍습
만엽집에는 오토모노 야카모치가 여름 더위로 인해 살이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장어를 먹는 것이 좋다는 내용의 시를 남긴 기록이 있다. 이는 장어 섭취와 여름 건강을 연관 짓는 가장 오래된 언급 중 하나이다.에도 시대에 '도요노우시노히'에 장어를 먹는 풍습이 정착된 시기에 대해서는, 분세이 5년(1822년-1823년) 무렵 간행된 『메이와지』(아오야마 하쿠호 저)에 따르면 안에이・텐메이 시대(1772년-1788년)부터 시작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풍습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지는데, 그중 사누키국 출신의 학자 히라가 겐나이가 고안했다는 설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12]. 이야기에 따르면, 여름철에 장사가 잘 되지 않아 고민하던 장어 가게 주인이 겐나이에게 조언을 구하자, 겐나이는 가게 앞에 '오늘은 도요노우시노히(本日土用丑の日)'라고 써 붙이라고 제안했다. '우시노히(丑の日, 소의 날)'에 맞춰 '우'자로 시작하는 음식을 먹으면 여름을 잘 이겨낼 수 있다는 당시 속설을 이용한 것이다. 이 방법을 따르자 가게는 크게 번성했고, 다른 장어 가게들도 이를 모방하면서 이 풍습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이야기의 명확한 출처는 불분명하며, 일부에서 『메이와지』에 기록되어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해당 내용이 없다[13]. 또한, 세부적인 내용에는 여러 변형이 존재한다.
겐나이 설의 배경에는 '우(う)' 자로 시작하는 음식을 먹으면 여름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속설이 있었다. 이 때문에 장어(うなぎ|우나기jpn) 외에도 오이( うり|우리jpn), 매실 장아찌( うめぼし|우메보시jpn), 우동( うどん|우동jpn) 등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심지어 토끼( うさぎ|우사기jpn), 말고기( うま|우마jpn), 쇠고기( うし|우시jpn) 등도 언급되지만, 오늘날에는 장어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풍습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다만 오이를 먹던 풍습은 장어 요리에 곁들여 나오는 나라즈케(나라 절임)의 형태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당시 사람들은 장어에 비타민 A와 B군 등이 풍부하여 여름철 식욕 부진이나 여름 감기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여겼다.
히라가 겐나이 설 외에도 다음과 같은 유래 설들이 있다.
- '''하루키야 젠베 설''': 분세이 연간(1818년-1831년)에 에도의 장어 가게 주인 하루키야 젠베와 관련된 설이다. 대량 주문받은 장어 덮밥을 여러 날에 걸쳐 만들었는데, 유독 '축일(丑の日)'에 만든 것만 상하지 않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가 실렸다고 알려진 동시대의 서적 『에도 쇼핑 독 안내』에는 해당 일화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 '''오타 난포(쇼쿠산진) 설''': 유명 문인인 오타 난포가 장어 가게의 부탁을 받고 "축일(丑の日)에 장어를 먹으면 약이 된다"는 내용의 교카(광가)를 지어 홍보 문구로 사용했다는 설이다. 이 내용이 덴포 10년(1839년-1840년)의 『덴포 가화』라는 책에 실려있다고도 하나, 실제로는 관련 기록을 찾을 수 없다. 오타 난포의 작품집인 『홍매집』에는 특정 장어 가게를 칭찬하는 교카와 광시가 실려 있으나, 도요노우시노히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언급되지 않는다.
- '''축(丑)=장어 두 마리 설''': 히라가나로 '우시(うし|우시jpn)'라고 쓴 글자의 모양이 마치 장어 두 마리가 있는 모습처럼 보였기 때문에 장어를 먹게 되었다는 설이다.
3. 도요노우시노히의 날짜
여름의 도요(土用)는 입추(立秋) 전 약 18일간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태양 황경이 117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135도(입추)가 되기 전날까지의 기간이다. 이 기간은 평균 18.82일이다.
도요노우시노히는 이 여름 도요 기간 중에 돌아오는 축일(丑の日)을 가리킨다. 도요 기간의 길이나 시작 요일에 따라 도요노우시노히는 1년에 한 번만 있을 수도 있고, 두 번 있을 수도 있다.
도요 기간이 19일인 해에, 도요 시작 후 7일 이내에 첫 번째 축일이 오면(즉, 도요 시작일이 미(未)부터 축(丑) 사이일 경우), 도요 기간 안에 다시 한번 축일이 돌아오게 된다. 이 두 번째 축일을 '二の丑(두 번째 축일)'라고 부르며, 약 57%의 해에 나타난다.
3. 1. 날짜 목록
도요노우시노히가 되는 날은 여름의 도요(土用) 기간인 7월 19일부터 8월 7일 사이다. 매년 이 기간의 날짜가 모두 12년에 한 번 비율(반드시 12년 간격은 아님)로 도요노우시노히가 될 수 있다.1900년부터 2099년 사이에는 도요 기간의 날짜가 조금씩 앞당겨지는 경향이 있어, 도요노우시노히가 될 수 있는 날도 변화한다. 예를 들어, 1907년에는 그레고리력 개정 이후 유일하게 8월 8일이 도요노우시노히(둘째 날)였으며, 2096년에는 개력 이후 처음으로 7월 18일이 도요노우시노히(첫째 날)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는 2001년부터 2030년까지의 도요노우시노히 날짜 목록이다.
4. 현대의 도요노우시노히
장어 산지로 알려진 나가노현 오카야시에서는 오카야 상공회의소가 겨울의 도요노우시노히를 "추위의 토용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상표 등록(출원 번호: 상원 평 11-39161호, 등록 번호: 등록 상표 제4525842호)을 했다. 또한 1998년(헤이세이 10년)에는 '장어의 거리 오카야의 회'가 이 날을 일본 기념일 협회에 기념일로 등록하기도 했다.
이처럼 장어 양식업자들을 중심으로 여름뿐만 아니라 다른 계절의 도요노우시노히에도 장어를 먹는 문화를 확산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 소매 유통업계에서도 관찰된다. 계절이 바뀌는 시기인 도요노우시노히에 영양가가 높은 장어를 먹고 기운을 내자는 취지에는 어느 정도 타당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4. 1. 장어의 영양학적 효능 논란
일본 농림수산성은 홍보용 웹 매거진을 통해 장어에는 여름철 무기력증 예방에 필요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7]그러나 일본 내 피로 연구 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10][8][9] 오사카 시립 대학 대학원 특임교수 카지모토 오사미는 이러한 통념에 반론을 제기한다. 그는 "영양가가 높은 음식을 먹는 것이 당연해진 현대 사회에서는 에너지나 비타민 등의 영양 부족이 여름철 무기력증의 주된 원인이 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현대에 들어 여름철 무기력증 예방을 위해 장어를 먹는 행위는 의학적 근거가 부족하며 그 효과는 미미하다"고 주장한다.[10][11] 즉, 현대인의 여름철 무기력증은 단순한 영양 부족보다는 다른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5. 기타 풍습
- 헤이안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걸쳐서는 역병 퇴치를 위해 巡り|메구리일본어라고 불리는 杉原紙|스기하라지일본어를 섞은 水団|스이톤일본어을 먹거나, 팥이나 마늘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14]
- 에도 시대 말기의 신센구미 부장이었던 히지카타 토시조의 생가에서는 도요노우시노히에만 약초를 베어 만든 石田散薬|이시다산야쿠일본어라는 약을 제조하고 판매했다.
- 사찰에서는 도요노우시노히에 焙烙|호로쿠일본어라는 굽지 않은 접시 위에 뜸을 놓고 그것을 머리에 얹는 炮烙灸|호로쿠구일본어라는 치료법이 전해진다. 이는 두통 등에 효험이 있다고 여겨진다.[15]
- 북쪽의 수호신인 현무와 연관 지어 검은색 음식을 먹는 풍습도 있다.[16] 재첩이나 검은콩 등이 그 예시다. 장어를 먹는 이유 중 하나로, 도요노우시노히에 '우(う)' 자가 들어가는 음식을 먹으면 여름을 잘 날 수 있다는 속설 외에, 검은색 음식을 먹으면 좋다는 설도 있다.[17] 참고로 '우(う)'로 시작하는 다른 검은 음식으로는 성게(うに|우니일본어), 소(うし|우시일본어, 와규), 오골계(うこっけい|우콕케이일본어) 등이 있지만 일반적이지는 않다.
- 장어와 마찬가지로 기운을 돋우는 검은 음식으로 미꾸라지를 먹는 풍습도 있는데, 특히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에서는 도요노우시노히에 먹는 미꾸라지 덮밥이 명물 요리로 자리 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Японское летосчисление
http://whitemouse.ru[...]
[2]
웹사이트
«Доё уси-но хи» — день, когда едят жареных угрей
http://www.tasteofja[...]
[3]
웹사이트
НИППОНИЯ № 34 15 сентября 2005 г.
http://web-japan.org[...]
2013-01-12
[4]
웹사이트
Япония: О некоторых (13 из 24) — День быка и угорь
http://www.abroadmag[...]
[5]
웹사이트
四季と日本の食歳時
https://dia.or.jp/di[...]
公益財団法人ダイヤ高齢社会研究財団
2021-07-28
[6]
문서
同年5月1日から12月31日までの和暦(元号一覧 (日本)|元号)。1月1日から4月30日までは「平成31年」。
[7]
웹사이트
特集2 鰻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0-07-21
[8]
뉴스
日常の疲れは「いびき」が原因 回復には鶏肉が効く
http://www.nikkan-ge[...]
2016-08-05
[9]
뉴스
疲労と睡眠研究の第一人者・梶本修身医師による 健康情報記事一覧
http://www.yumble.co[...]
2016-08-05
[10]
뉴스
『ホンマでっか!?TV』(フジテレビ系列、2016年8月3日放送分)「間違えだらけの夏の習慣 / 夏バテは自律神経の乱れにより脳が疲れて起こる」
2016-08-03
[11]
뉴스
日常の疲れは「いびき」が原因 回復には鶏肉が効く
https://news.livedoo[...]
2016-08-05
[12]
논문
鰻の蒲焼考
https://doi.org/10.1[...]
大阪生活衛生協会
[13]
서적
鰻
皓星社
[14]
서적
たべもの噺
平凡社
[15]
서적
角川俳句大歳時記 夏
角川書店
[16]
웹사이트
食育大辞典
https://shokuiku-dai[...]
[17]
웹사이트
食育大辞典
https://shokuiku-da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